KR100858151B1 -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151B1
KR100858151B1 KR1020070052910A KR20070052910A KR100858151B1 KR 100858151 B1 KR100858151 B1 KR 100858151B1 KR 1020070052910 A KR1020070052910 A KR 1020070052910A KR 20070052910 A KR20070052910 A KR 20070052910A KR 100858151 B1 KR100858151 B1 KR 100858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data
information
terminal
provid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문순
김경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52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15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을 통해 정보 요청 단말기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이동통신망의 통신 위치 서버로 문의하여 특정 지역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정보 제공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말기 정보 취득부, 정보 제공 단말기 및 정보 요청 단말기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정보 제공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정보 요청 단말기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지역 기반, 멀티미디어, 데이터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MULTIMEDIA DATA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상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요청 및 응답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정보 제공 단말기로부터 정보 요청 단말기로 제공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정보 제공 단말기로부터 정보 요청 단말기로 제공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에서 멀티미디 어 데이터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정보 요청 단말기
120: 정보 제공 단말기
130: 통신망
140: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
150: 통신 위치 서버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지역 기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과 그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에 따라 일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은 광대한 영역의 멀티미디어를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근래에는 UCC(User Created Contents)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제작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멀티미디어는 인간의 삶의 일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다.
서비스 이용의 편리함에 따라 정보의 양은 방대해졌지만 시시때때로 생산되는 정보를 걸러낼 수 있는 아무런 장치가 구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무작 위적이고 일방적인 정보를 제공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는 일방적인 대량의 정보 제공 보다는 대량의 정보 속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질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세심한 서비스가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현재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는 제작자를 중심으로 제작의 시간과 공간이 결정되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이용자들의 요구하는 저마다의 조건을 만족시키기에 부족함이 많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이용자들이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공간적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종래의 방법은 대부분 하나의 제공자가 곳곳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 장치를 구비하고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수집 장치의 구비 및 유지/보수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모되고 있으며 구비된 수집 장치 또한 움직임에 한계가 있어 수집 초점이 한정적일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역 기반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정보 수집 장치를 구비할 필요없이 가입자들의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운영 비용의 절감 및 양질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제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 제공자와 정보 요청자간의 직접적인 데이터 전송을 통해 실시간으로 보다 빠른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정보 요청 단말기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이동통신망의 통신 위치 서버로 문의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정보 제공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말기 정보 취득부;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 및 상기 정보 요청 단말기로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요청 단말기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망과 결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에서 위치 기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위치 기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보 요청 단말기로부터 특정 지역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위치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단말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정보 요청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 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을 위한 멀티미 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정보 요청 단말기(110), 정보 제공 단말기(120), 통신망(130),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 및 통신 위치 서버(150)을 포함한다.
정보 요청 단말기(110)는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개인 휴대 단말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이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정보 요청 단말기(11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을 요청함으로써, 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기능한다.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을 요청하고,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은 관련 도면(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정보 요청 단말기(110)는 통신망(130)을 통해 기본적인 전화 서비스 이외에도 하나 이상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정보 요청 단말기(110)는 통신망(130)을 통해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이동통신 서비스 또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이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와 마찬가지로 통신망(130)을 통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예를 들면, 동영상, 정지영상, 음원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신망(130)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 또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자동 또는 사용자의 통제 하에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생성된 동영상을 직접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를 통해 해당 정보를 요청한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따라서,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통제에 따라 개인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송신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작업 툴, 예를 들면 소형화된 칩을 내장한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와 같은 영상 및 음성을 기록할 수 있는 미디어 기록 장치, 고화질 및 고음질의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처리 장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제공 단말기(120)에 향기 수집 장치 또는 진동, 온도, 습도, 고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각 장치에 의해 수집 또는 측정된 데이터가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생성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파일 형식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나, 만일 스트리밍 방식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송신할 경우룰 위해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과 스트리밍 플랫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망(13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이동통신망뿐만 아니라, 패킷 기반의 IMS(IP Multimedia Subsystems) 망 등의 각 단말기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통신망(130)은 각 단말기 간에 데이터 송수신 및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모든 유무선통신망일 수 있고, 정보 요청 단말기(110) 및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 또는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면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PC 등과 같은 유선 단말기가 유선통신망을 통해 인터넷과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요청 단말기(110)는 각 지역에 설치/고정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 등)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구동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의 요청에 따라 요청된 지역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해당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신호와 함께 지역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수신하는 지역 정보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역 정보(예를 들어, 도시 이름, 상호, 지명, 주소 등) 또는 지도 상에 표시되는 좌표 정보일 수도 있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부터 좌표 정보를 수신할 경우,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전자지도를 내장하여 전자지도 상에서 지정된 특정 위치를 해당 좌표 정보로 변환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요청하여 특정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지역 정보에 해당하는 기지국을 인식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해당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단말기(120)를 인식하고, 해당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부터 지역 정보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취득하여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정보 제공 단말기(120)가 직접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기지국을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수신한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기지국 ID, 섹터 ID 등과 해당 지역 정보를 매핑하여 기지국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을 인식하는 방법은 반드시 하나의 기지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섹터 단 위, 복수의 기지국 그룹 단위 등 다양하게 그 단위가 적용될 수 있다.
통신 위치 서버(150)는 상기한 기지국 정보에 따른 정보 제공 단말기(120)들의 단말기 정보를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 제공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지역 정보에 상응하는 기지국을 매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한 매핑 기능을 통신 위치 서버(150)가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지역 정보에 매핑하는 방법으로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방식 이외에 GPS 정보 등 통신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SMS(Short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의 메시지 전송 서비스 장치(예를 들어, SMSC, LMSC 및 MMSC 등)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저장부(230)로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통신 위치 서버(150)로 특정 지역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단말기(120)의 단말기 정보를 요청한다.
통신부(21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특정 지역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통신 위치 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해당 지역 내의 각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발송한다.
제어부(220)는 기능에 따라 단말기 정보 취득부(222), 메시지 처리부(224),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226)로 구성된다.
단말기 정보 취득부(222)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지역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 내의 기지국을 인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ID, 섹터 ID 등과 매핑하는 방법으로 기지국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정보 취득부(222)는 통신 위치 서버(150)로 요청하여 해당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메시지 처리부(224)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 또는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발송할 메시지를 작성하고 발송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 또는 메시지를 처리한다.
메시지 처리부(224)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정보 제공 단말기(11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시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지역 정보 등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작성한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224)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진행 과정 을 알리기 위해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안내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메시지 처리부(224)는, 예를 들어, 서비스 종료를 알리기 위해 서비스 종료 메시지를 작성하고, 통신부(210)를 통해 작성한 서비스 종료 메시지를 해당 단말기로 발송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226)는 정보 제공 단말기(120)가 수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226)은 정보 제공 단말기(120)가 수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226)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정보 제공 단말기(120)의 가입자 정보를 제공하거나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정보 요청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보 요청 단말기(110)와 정보 제공 단말기(120)가 직접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226)는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통신 위치 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140)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및 내부에서 생성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230)는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지역 정보, 통신 위치 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정보, 또는 정보 제공 장치(12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처리부(224)가 작성한 멀티미디어 요청 메시지,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226)이 제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목록, 단말기 정보 취득부(222)가 기지국을 인식하기 위해 이용하는 매핑 테이블 등도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정보 요청 단말기(110)는 특정 지역에 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신망(130)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 요청한다. 여기서, 특정 지역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역 정보 또는 지도 상의 표시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지역에 대한 정보는 지도 상의 특정 영역 또는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그 주변 일대를 지정할 수 있으며, 특정 위치, 예를 들어, 강남역 8번 출구 앞, 신세계백화점 5층, 세종대왕릉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요청 단말기(110)는 지역 정보와 함께 키워드를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키워드는 해당 지역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강남역 주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요청하였을 때에는, 단순히 강남역의 모습부 터 강남역 주변의 음식점, 영화관, 교통 상황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키워드로 '교통'을 제시하였을 경우, 정보 요청 단말기(110)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에서 오직 '교통'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만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정보 요청 단말기(110)는 특정 지역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과 함께 키워드를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 전송함으로써, 요청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대상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요청 단말기(11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종류도 제시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종류는 동영상, 정지화상, 음원 등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제공받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형태를 지정하기 위해 이용되는데 상기한 키워드와 마찬가지로 보다 효율적인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요청된 지역에 상응하는 기지국을 인식한다.
단계 33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인식한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정보 제공 단말기(120)들의 단말기 정보를 통신 위치 서버(150)로 요청한다.
단계 340에서 통신 위치 서버(15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 단말기 정보를 제공한다.
통신 위치 서버(150)가 제공하는 단말기 정보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인식한 기지국의 커버리지에 위치한 모든 단말기에 해당될 수 있으며 또 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해 추출된 단말기들에 대한 정보로 그 범위를 한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은 단말기 종류, 단말기 능력,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거리 등이 될 수 있다.
단계 35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통신 위치 서버(150)로부터 검색 및 추출된 단말기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36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제공된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각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발송한다. 여기서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키워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종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요청 메시지를 발송하는 대신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음성호를 연결하고 저장된 음성 메시지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370에서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요청한 조건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한다. 정보 제공 단말기(110)는 단말기 사용자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의 통제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정보 제공 단말기(110)는 멀티미디어 요청 승인 후 단말기 사용자 의 통제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승낙 신호를 수신하고 정보 제공 단말기(120)를 직접 제어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단계 38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은 정보 제공 단말기(120)가 수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보 요청 단말기(110)에 제공한다.
정보 제공 단말기(120)가 수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수신하여 파일 형태로 전송되거나 스트리밍 방식 등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의 중계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단말기(120)가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관련 도면(도 5와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상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요청 및 응답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요청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는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그 대상을 보다 정확히 표현 하기 위한 부가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문자, 음성 등의 다양한 형태로 요청될 수 있다.
단계 420은 정보 제공 단말기(120)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요청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정보 제공 단말기(120)은 승인 또는 거절할 수 있으며, 그 결정에 따라 각각 단계 430 또는 단계 440을 진행한다.
단계 430은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 거절 신호를 발신한다.
단계 440에서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승인 신호를 발신한다.
단계 450에서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요청된 조건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한다.
단계 460에서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수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부터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제공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51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공을 요청한다.
단계 520에서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각종 멀티미디어 수집 장치를 이용하 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한다.
단계 530에서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수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 전송한다.
단계 54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통신 위치 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목록을 작성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목록에는 단말기의 성능, 단말기의 기능, 단말기의 위치 또는 해당 단말기가 수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55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목록을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목록에서 각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한 단말기에 대한 정보는 텍스트로 나열되거나 지도 상에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단계 560에서 정보 요청 단말기(11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목록 에서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 선택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
단계 57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선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부터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제공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1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을 요청한다.
단계 620에서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한다.
단계 630에서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수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 전송한다.
단계 64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목록을 작성한다.
단계 65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작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목록을 제공한다.
단계 660에서 정보 요청 단말기(11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목록에서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선택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로 전송을 요청한다.
단계 67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전송 요청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상응하는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정보 요청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를 제공한다.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의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를 통하지 않고 정보 요청 단말기(110)와 직접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자 정보는 정보 요 청 단말기(110)의 전화번호, IP 주소, 또는 가입자의 이메일(e-mail) 주소 등이 될 수 있다.
단계 680에서는 정보 제공 단말기(120)가 가입자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한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선택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상에서는 정보 제공 단말기(120)와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직접 접속하기 위하여 정보 요청 단말기(110)에 대한 정보가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전송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의 경우, 즉, 정보 제공 단말기(120)에 대한 정보가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전송되어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정보 제공 단말기(120)에 직접 접속하고 요청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부터 특정 지역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 72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요청한 지역에 상응하는 기지국을 인식한다.
단계 73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요청된 지역이 멀티미디 어 데이터 수집 가능한 지역인가를 판단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요청한 지역과의 일정 거리 내에 기지국이 존재하는가를 기준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집 불가능 지역일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을 종료하며, 종료 시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종료 안내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단계 740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가 요청한 지역이 멀티미디어 수집 가능한 지역일 경우의 수행 단계로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통신 위치 서버(150)로부터 해당 기지국 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750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통신 위치 서버(150)로부터 수신한 단말기 정보를 이용하여 각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발송한다.
정보 제공 단말기(120)는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해 응답 신호를 발신한다. 여기서, 응답 신호는 승인 또는 거절 신호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이 가능한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760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이 가능한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은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로 멀티미디어 제공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이 수신한 응답 신호가 모두 거절 신호일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을 종료한다.
반면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부터 승낙 신호를 수신한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이 가능하다 판단하고 정보 제공 단말기(12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770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은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목록을 작성하여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단계 78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공 여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목록에 대한 정보 요청 단말기(110)의 응답에 따라 결정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면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요청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부터 어느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해서도 요청받지 못하였다면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 치(1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제공을 종료한다.
단계 79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로 요청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을 중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정보 요청 단말기(110)와 정보 제공 단말기(120)가 직접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가 가입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요청자의 요구를 보다 정확히 수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않고도 각 가입자의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인력 및 비용의 소모를 절감하고 요청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 제공자와 정보 요청자간의 직접적인 데이터 전송을 통해 실시간으로 보다 빠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 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정보 요청 단말기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신호와 함께 지역 정보, 키워드 정보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망의 통신 위치 서버로 문의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단말기 정보 취득부;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 및 상기 정보 요청 단말기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작성하는 메시지 처리부; 및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 요청 단말기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
  2.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는 통신 위치 서버; 및
    정보 요청 단말기로부터 특정 지역에 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정보 요청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신호와 함께 지역 정보, 키워드 정보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통신 위치 서버로 문의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정보 제공 단말기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에 상응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취득하는 경우, 상기 정보 요청 단말기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140)와 연동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
  4. 통신망과 결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에서 위치 기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정보 요청 단말기로부터 특정 지역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제공 단말기 정보를 통신 위치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단계;
    c)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요청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정보 요청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a) 단계는,
    상기 정보 요청 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신호와 함께 지역 정보, 키워드 정보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기지국을 인식하는 단계;
    b-2) 상기 통신 위치 서버로 상기 기지국에 내의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문의하는 단계; 및
    b-3)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 위치한 단말기 중 미리 설정된 기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리 설정된 기준은 상기 단말기 모델 정보, 상기 단말기 능력 정보, 상기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 간의 거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목록을 상기 정보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정보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목록에서 선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정보 요청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정보 요청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단말기 전화번호, 가입자 단말기 IP 주소 및 가입자의 이메일(e-mail)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입자 정보를 통해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에서 상기 정보 요청 단말기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 제공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에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정보 제공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요청 메시지는 지역 정보, 키워드 정보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KR1020070052910A 2007-05-30 2007-05-30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58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910A KR100858151B1 (ko) 2007-05-30 2007-05-30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910A KR100858151B1 (ko) 2007-05-30 2007-05-30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151B1 true KR100858151B1 (ko) 2008-09-10

Family

ID=4002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910A KR100858151B1 (ko) 2007-05-30 2007-05-30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1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2882A (ja) * 1996-05-24 1997-12-02 Fujitsu Ltd 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サービス方法
KR20020044404A (ko) * 2000-12-06 2002-06-15 구자홍 지역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서비스제공을 위한 운영 방법
KR20050045716A (ko) * 2003-11-12 2005-05-17 이중섭 위치 추적이 가능한 이동 통신망에서 지역 정보 제공 방법
KR20070009517A (ko) * 2006-12-29 2007-01-18 이종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획득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의 영상 및 사진, 문자를 인터넷 지도에표시, 등록하기 위한 단말응용기술 및 서비스 시스템
KR100678682B1 (ko) * 2005-10-26 2007-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지역 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2882A (ja) * 1996-05-24 1997-12-02 Fujitsu Ltd 情報提供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サービス方法
KR20020044404A (ko) * 2000-12-06 2002-06-15 구자홍 지역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서비스제공을 위한 운영 방법
KR20050045716A (ko) * 2003-11-12 2005-05-17 이중섭 위치 추적이 가능한 이동 통신망에서 지역 정보 제공 방법
KR100678682B1 (ko) * 2005-10-26 2007-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지역 정보 제공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70009517A (ko) * 2006-12-29 2007-01-18 이종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획득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의 영상 및 사진, 문자를 인터넷 지도에표시, 등록하기 위한 단말응용기술 및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8399A1 (en) Methods, systems, and storage mediums for providing multi-viewpoint media sharing of proximity-centric content
CN1832591B (zh) 用于在移动通信系统和移动通信终端中发送消息的方法
KR20090084211A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640481A (zh) 用于移动通信装置上的应用程序的系统和方法
US7933614B2 (en) Short message website-address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hort message value-added service
JP6077231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端末の情報取得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28054A (ko) 위치 기반의 광고 서비스 방법
CN101115260A (zh) 移动通信终端及其实时播放消息的方法
JP3820243B2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060001902A (ko) 장문메시지를 이용한 사진공유 및 무선홈페이지 서비스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414465B1 (ko) 통신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일정 관리 방법
CN1694370A (zh) 提供综合消息传送业务的无线通信终端及其方法
KR100858151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5150941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06243B1 (ko)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3896B1 (ko)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4814753B2 (ja) データ情報と音声情報とを結びつけ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645110B1 (ko) 펜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펜팔 서비스서버
KR20100073308A (ko)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38208B1 (ko) 통화중인 상대방과의 통신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서비스제공서버
KR100712462B1 (ko) 위치 기반 통신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이를 위한휴대 단말기
KR20040091287A (ko) 이동통신단말기로의 메시지 코디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16734B1 (ko) 개인 피알(pr)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그 제공방법
KR100612684B1 (ko) Tv 방송 연계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58152B1 (ko) 글로벌 네비게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