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896B1 -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896B1
KR101103896B1 KR1020080130928A KR20080130928A KR101103896B1 KR 101103896 B1 KR101103896 B1 KR 101103896B1 KR 1020080130928 A KR1020080130928 A KR 1020080130928A KR 20080130928 A KR20080130928 A KR 20080130928A KR 101103896 B1 KR101103896 B1 KR 101103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age environment
environment information
terminal
receiv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2500A (ko
Inventor
지홍근
황병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0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8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72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 단말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하면, 통신 단말이 상기 컨텐츠 목록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컨텐츠를 상기 수신 단말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중계 서버에 전달을 요청하고, 중계 서버가 상기 컨텐츠를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른 단말에게 전달함에 있어, 우체국에 우편물을 맡기듯이 컨텐츠와 함께 수신단말의 전화번호만을 중계 서버에 전송하기만 하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다.
컨텐츠, 사용환경, 적응변환

Description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s between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이 전달하고자 하는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 받으면, 구비된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컨텐츠 목록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컨텐츠를 상기 수신 단말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중계서버로 전송하고, 중계 서버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단말기에는 사용자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타인의 주소 정보, 타인으로부터 전달 받은 문자메시지 등 사용자의 개인적인 정보들이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관리되고 있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통신 단말기는 단지 전화통화만을 하기 위한 장치가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 및 개성에 맞게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즉, 게임, 영상 정보, 음향 정보,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 등이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통신 단말기 내부에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유료 또는 무료로 구입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컨텐츠에는 배경화면, 아바타, 벨소리, 온라인 게임, MP3, 동영상 등 다양하다.
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다른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컨텐츠를 공유하기도 한다.
그러나, 제1 통신 단말이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다른 통신 단말로 전송하고자 할 때, 다른 통신 단말의 사용환경 정보(예를 들면, 코덱 등임)에 맞도록 컨텐츠의 변환을 거쳐 전송하면 좋겠지만,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제1 통신 단말이 다른 통신 단말의 사용환경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하고, 그 변환 기능도 갖추어야 하므로 제1 통신 단말의 부담이 지나치게 크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통신 단말이 다른 통신 단말로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전송하고자 할 때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통신 단말이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다른 통신 단말로 전달하기를 원할 경우, 전달 대상 컨텐츠와 수신단말 식별정보를 중계 서버에 전송하여 중계 서버가 전달 대상 컨텐츠를 수신단말로 전달하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통신 단말로의 컨텐츠 전달이 요청된 경우, 중계서버가 구비된 데이터베이스 또는 별도의 단말 관리 서버를 통해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각 수신단말의 사용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전달대상 컨텐츠를 변환하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 단말이 복수의 전달 대상 컨텐츠를 복수의 수신 단말로 전달하고자 할 경우,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복수의 전달 대상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을 한꺼번에 입력받아 한번의 전송 요청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를 복수의 수신 단말로 전달이 가능한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달하고자 하는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구비된 저장부에서 상기 컨텐츠 목록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컨텐츠와 상기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단말,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 단말 식별정보 및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컨텐츠를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은 통신 단말별 사용 환경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가 요청된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말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가 구비된 통신 단말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중계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컨텐츠가 저장된 컨텐츠 저장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 받는 컨텐츠 전달 정보 처리부, 상기 컨텐츠 전달 정보 처리부에서 입력 받은 컨텐츠 목록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컨텐츠 추출부, 상기 컨텐츠 추출부에서 추출된 컨텐츠와 상기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 상기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상기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달 요청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컨텐츠 전달 정보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컨텐츠 전달 메뉴가 선택되면,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 받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단말로부터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를 분석하여 컨텐츠와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신호 분석부, 상기 신호 분석부에서 추출된 수신 단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 환경 정보 획득부, 상기 신호 분석부에서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 환경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한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는 적응 변환부, 상기 적응 변환부에서 변환된 컨텐츠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중계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중계 서버는 단말별 사용 환경 정보가 저장된 사용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단말로부터 단말 특성 정보 및 재생 취향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용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 환경 정보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환경 정보 획득부는 사용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된 경우 그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수신단말 식별정보가 포함된 사용 환경 정보 요청 메시지를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사용 환경 정보는 단말의 부호화/복호화 성능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단말 특성 정보, 사용자 재생 취향 특성 정보, 단말별 설치 프로그램(툴)을 포함한다.
상기 적응 변환부는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가 상기 컨텐츠를 실행시키는데 부합하는지를 판단하여, 부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컨텐츠를 수신단말의 사용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고, 부합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전송 처리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통신 단말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구비된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컨텐츠 목록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b)상기 통신 단말이 상기 추출한 컨텐츠를 상기 수신 단말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를 생 성하고, 상기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분석하여 컨텐츠와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d)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추출된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e)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획득한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e)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사용 환경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실행 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획득한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수신 단말로 전송하고, 실행 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실행 툴과 함께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단말이 다른 단말에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전달 메뉴가 선택되면,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통해 하나 이상의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구비된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컨텐츠 목록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컨텐츠를 상기 수신 단말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컨텐츠 전달 메뉴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중계 서버와 접속하여 제공된 화면을 통해 선택 또는 단말의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록을 선택하는 영역,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중계 서버가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통신 단말로부터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를 분석하여 컨텐츠와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상기 추출된 수신 단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상기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획득한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획득한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실행 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실행 툴과 함께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고, 실행 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통신 단말에 저장된 컨텐츠를 제2 단말에게 전달함에 있어, 우체국에 우편물을 맡기듯이 컨텐츠와 함께 제2 통신단말의 전화번호만을 중계 서버에 전송하기만 하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제1 통신 단말이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다른 통신 단말로 전달하기를 원할 경우, 전달 대상 컨텐츠와 수신단말 식별정보를 중계 서버에 전송하 여 중계 서버가 전달 대상 컨텐츠를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코덱 정보 등을 포함)에 부합되도록 변환하여 각 수신단말로 전달하므로, 각기 다른 사용 환경과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이 복수의 전달 대상 컨텐츠를 복수의 수신 단말로 전달하고자 할 경우,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복수의 전달 대상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을 한꺼번에 입력 받아 한번의 전송 요청을 통해 복수의 컨텐츠를 복수의 수신 단말로 전달이 가능하므로, 복수의 사용자에게 자신의 보유한 컨텐츠를 전송하는데 편리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제2 통신 단말(100b)에 전달하기 위한 제1 통신 단말(100a), 제1 통신 단말(100a)로부터의 컨텐츠를 제2 통신 단말(100b)로 전송하는 중계 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컨텐츠 발신자와 수신자를 구분하기 위하여 제1 통신 단말(100a), 제2 통신 단말(100b)이라는 표현을 하였으나, 두 통신 단말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통신 단말(100)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수신 단말을 제2 통신 단말(100b) 하나로 하였지만, 수신 단 말은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단말(100)은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 식별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구비된 저장부에서 상기 컨텐츠 목록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컨텐츠를 상기 수신 단말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중계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 단말(100)은 통신망을 통해 중계 서버(200)와의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 유선 통신 단말 등을 말한다.
상기 중계 서버(200)는 상기 통신 단말(100)로부터의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 단말을 판단하고, 각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컨텐츠를 각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각각 변환하여 해당 수신 단말로 각각 전송한다.
이때, 상기 중계 서버(200)는 단말별 사용 환경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된 경우 그 데이터베이스에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 단말 사용 환경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 환경 정보는 단말의 부호화/복호화 성능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단말 특성 정보, 사용자 재생 취향 특성 정보, 단말별 설치 프로그램(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은 단말별 사용 환경 정보가 저장된 단말 관리 서버(3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말 관리 서버(300)는 상기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가 요청된 경우 해당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중계 서버(200)에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100)은 통신망을 통해 중계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02),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 컨텐츠가 저장된 컨텐츠 저장부(106), 출력부(208), 컨텐츠 전달 정보 처리부(110), 컨텐츠 추출부(112),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14), 컨텐츠 전달 요청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전달 정보 처리부(11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해 컨텐츠 전달 메뉴가 선택되면,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목록 및 하나 이상의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 받는다. 상기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록을 선택하는 영역,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컨텐츠 추출부(112)는 상기 컨텐츠 전달 정보 처리부(110)로부터 상기 컨텐츠 목록에 해당하는 컨텐츠 추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 저장부(106)에서 해당 컨텐츠를 추출한다.
상기 컨텐츠 전달 정보 생성부(114)는 상기 컨텐츠 추출부(112)에서 추출한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 전달 정보 처리부(110)로부터의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매핑 하여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컨텐츠 전달 요청부(116)는 상기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114)에서 생성한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상기 중계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는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계 서버(200)는 통신부(202), 신호 분석부(204), 사용환경 정보 획득부(206), 적응 변환부(208), 컨텐츠 전송 처리부(210), 사용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212), 사용 환경 정보 등록부(214)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분석부(204)는 통신 단말로부터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와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사용 환경 정보 획득부(206)는 상기 신호 분석부(204)에서 추출된 수신 단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
즉, 상기 사용 환경 정보 획득부(206)는 사용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212)가 구비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212)에서 각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추출하여 획득하고, 사용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212)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각 수신단말 식별정보가 포함된 사용 환경 정보 요청 메시지를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적응 변환부(208)는 상기 신호 분석부(204)에서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 환경 정보 획득부(206)에서 획득한 각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각각 변환한다.
또한, 상기 적응 변환부(208)는 각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가 상기 컨텐츠를 실행시키는데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부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적응 변환부(208)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단말의 사용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고, 부합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전송 처리부(210)로 전송한다.
상기 컨텐츠 전송 처리부(210)는 상기 적응 변환부(208)에서 변환된 각 컨텐츠를 통신망을 통해 해당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전송 처리부(210)는 각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전달 대상 컨텐츠 실행 툴의 존재 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해당 실행 툴이 존재하지 않은 수신단말에 대해 실행 툴과 함께 컨텐츠를 전송한다. 즉, 상기 컨텐츠 전송 처리부(210)는 사용 환경 정보 내 단말별 설치 프로그램(툴)을 검색하여 전달 대상 컨텐츠 실행 툴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212)에는 단말의 부호화/복호화 성능과 관련된 정보, 화면 사이즈 등의 정보가 포함된 단말 특성 정보, 사용자 재생 취향 특성 정보, 단말별 설치 프로그램(툴) 등을 포함하는 사용 환경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사용 환경 정보 등록부(214)는 각 단말로부터 단말 특성 정보 및 재생 취향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용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212)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 사용자가 컨텐츠 전달 메뉴를 선택하면(S400), 통신 단말은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402).
상기 통신 단말 사용자는 중계 서버와 접속하여 제공된 화면을 통해 컨텐츠 전달 메뉴를 선택하거나, 단말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전달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컨텐츠 전달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은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 전달을 원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목록, 하나 이상의 수신단말 식별정보를 선택(또는 입력)한다.
상기 S402가 수행된 후,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통해 다른 단말에 전달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 받고(S404), 구비된 저장부에서 상기 컨텐츠 목록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추출한다(S406).
그런 다음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추출한 컨텐츠를 상기 수신 단말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고(S408), 상기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중계서버로 전송한다(S410).
그러면,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분석하여 컨텐츠와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추출한다(S412). 즉, 상기 중계 서버는 전달대상 컨텐츠와 수신단말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 내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와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추출된 각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S414). 이때, 상기 중계 서버에 사용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된 경우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추출하여 획득한다.
만약, 중계 서버에 사용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중계 서버는 각 수신단말 식별정보가 포함된 사용 환경 정보 요청 메시지를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각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S414의 수행 후,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획득한 각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각각 변환하여(S416) 해당 수신 단말로 각각 전송한다(S418).
이때, 상기 중계 서버는 각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가 상기 컨텐츠를 실행시키는데 부합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부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컨텐츠를 수신단말의 사용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 사용자가 컨텐츠 전달 메뉴를 선택하면(S500), 통신 단말은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502).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통해 다른 단말에 전달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 받고(S504), 구비된 저장부에서 상기 컨텐츠 목록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추출한다(S506).
그런 다음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추출한 컨텐츠를 상기 수신 단말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고(S508), 상기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중계서버로 전송한다(S510).
그러면,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분석하여 컨텐츠와 수신 단말을 추출한다(S512). 즉, 상기 중계 서버는 전달대상 컨텐츠와 수신단말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 내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를 분석하여 컨텐츠와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그런 다음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추출된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S514), 상기 사용 환경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516).
상기 판단결과 실행 툴이 존재하면(S518),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획득한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고(S520), 상기 변환된 컨텐츠를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한다(S522).
만약, 실행 툴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중계 서버는 실행 툴과 함께 상기 컨텐츠를 전송한다(S524).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 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은 제1 통신 단말이 다른 통신 단말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를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 각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에 맞게 변환하여 전달하므로 단말간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술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계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통신단말 102, 202 : 통신부
104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06 : 컨텐츠 저장부
108 : 출력부 110 : 컨텐츠 전달 정보 처리부
112 : 컨텐츠 추출부 114 :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 생성부
116 : 컨텐츠 전달 요청부 200 : 중계 서버
204 : 신호 분석부 206 : 사용환경 정보 획득부
208 : 적응 변환부 210 : 컨텐츠 전송 처리부
212 : 사용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214 : 사용환경정보 등록부

Claims (17)

  1. 전달하고자 하는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구비된 저장부에서 상기 컨텐츠 목록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컨텐츠와 상기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단말; 및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의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 단말 식별정보 및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컨텐츠를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중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실행 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전송하고, 실행 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실행 툴과 함께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통신 단말별 사용 환경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가 요청된 경우 상기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중계 서버에 전송하는 단말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통신 단말로부터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를 분석하여 컨텐츠와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신호 분석부;
    상기 신호 분석부에서 추출된 수신 단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 환경 정보 획득부;
    상기 신호 분석부에서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 환경 정보 획득부에서 획득한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는 적응 변환부; 및
    상기 적응 변환부에서 변환된 컨텐츠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전송 처리부는 상기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실행 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응 변환부에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전송하고, 실행 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실행 툴과 함께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중계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단말별 사용 환경 정보가 저장된 사용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단말로부터 단말 특성 정보 및 재생 취향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용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사용 환경 정보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중계 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환경 정보 획득부는 사용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된 경우 그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수신단말 식별정보가 포함된 사용 환경 정보 요청 메시지를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서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환경 정보는 단말의 부호화/복호화 성능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 단말 특성 정보, 사용자 재생 취향 특성 정보, 단말별 설치 프로그램(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서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 변환부는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가 상기 컨텐츠를 실행시키는데 부합하는지를 판단하여, 부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컨텐츠를 수신단말의 사용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고, 부합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전송 처리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서버.
  10. (a)통신 단말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구비된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컨텐츠 목록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b)상기 통신 단말에서, 상기 추출한 컨텐츠를 상기 수신 단말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상기 중계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분석하여 컨텐츠와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d)상기 중계 서버에서, 상기 추출된 수신 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e)상기 중계 서버에서, 상기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획득한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e)단계는,
    상기 중계 서버에서, 상기 사용 환경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실행 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획득한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수신 단말로 전송하고, 실행 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실행 툴과 함께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
  11. 삭제
  12. 통신 단말이 다른 단말에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전달 메뉴가 선택되면,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통해 하나 이상의 컨텐츠 목록 및 수신 단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구비된 저장부를 검색하여 상기 컨텐츠 목록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컨텐츠를 상기 수신 단말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한 전달 대상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를 중계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에 따라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의 실행 툴에 상응하도록 변환된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툴과 함께 상기 컨텐츠를 전송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달 메뉴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중계 서버와 접속하여 제공된 화면을 통해 선택 또는 단말의 메뉴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전달 정보 입력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목록을 선택하는 영역, 적어도 하나의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
  15. 중계 서버가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통신 단말로부터 컨텐츠 전달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를 분석하여 컨텐츠와 수신 단말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b)상기 추출된 수신 단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수신단말의 사용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c)상기 추출된 컨텐츠를 상기 획득한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상기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획득한 사용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실행 툴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실행 툴과 함께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고, 실행 툴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 환경 정보에 상응하도록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간 컨텐츠 전송 방법.
  16. 삭제
  17.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통신 단말이 다른 단말에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기록한 전자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80130928A 2008-12-22 2008-12-22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103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928A KR101103896B1 (ko) 2008-12-22 2008-12-22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928A KR101103896B1 (ko) 2008-12-22 2008-12-22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500A KR20100072500A (ko) 2010-07-01
KR101103896B1 true KR101103896B1 (ko) 2012-01-12

Family

ID=4263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928A KR101103896B1 (ko) 2008-12-22 2008-12-22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2224A (zh) * 2016-03-30 2017-02-15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多媒体数据的展示方法、设备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89B1 (ko) * 2010-08-09 2019-05-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자동 응답 시스템을 이용한 파일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9829B1 (ko) * 2013-02-20 2019-04-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108A (ko)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달망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68573A (ko) * 2004-12-16 2006-06-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종 시스템간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공유 방법
KR100752080B1 (ko) 2005-11-25 2007-08-27 (주) 엘지텔레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108A (ko) * 2003-12-29 2005-07-05 주식회사 케이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달망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변환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68573A (ko) * 2004-12-16 2006-06-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종 시스템간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정보 공유 방법
KR100752080B1 (ko) 2005-11-25 2007-08-27 (주) 엘지텔레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2224A (zh) * 2016-03-30 2017-02-15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多媒体数据的展示方法、设备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500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5497B2 (en) Method for providing human network management service in mobile terminal
US8417768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ng via communication network
JP6077231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端末の情報取得方法および装置
US20150282233A1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management program
KR100851433B1 (ko) 이미지 태그 정보에 기반한 인물 이미지 전송 방법,송수신자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인물 이미지 검색방법
KR101820505B1 (ko)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단말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방법
US20150379471A1 (en) Management system for transmission of electronic business card based on telephone number linkage and method therefor
KR101103896B1 (ko)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2011141617A (ja) webページ閲覧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中継サーバ
KR102149914B1 (ko) 클라우드 소싱 기반 관심 지점 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701836B (zh) 信息处理方法、终端设备和服务器
CN106161575B (zh) 用户匹配方法及装置
JP6041678B2 (ja) 投稿情報の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182450B1 (ko) 사용자 컨텍스트에 기반한 메시징 시스템 및 방법
CN105577521A (zh) 好友分组方法、装置及系统
KR101961984B1 (ko) 메시지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및 기술 장비
KR101770299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597248B1 (ko) VoIP 기반 음성 통화 시 음성 인식을 이용한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40714A (ko) 통화대기시간을 이용한 광고 출력 시스템
KR101700301B1 (ko) 주소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7985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바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5766104B2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KR101018275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37657A (ko) 블로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8555B1 (ko) Mo 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