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922B1 - Construction method of sand mat for road fill that can save sand through unnecessary cross section reduction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sand mat for road fill that can save sand through unnecessary cross section red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7922B1 KR100857922B1 KR1020070066885A KR20070066885A KR100857922B1 KR 100857922 B1 KR100857922 B1 KR 100857922B1 KR 1020070066885 A KR1020070066885 A KR 1020070066885A KR 20070066885 A KR20070066885 A KR 20070066885A KR 100857922 B1 KR100857922 B1 KR 1008579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nd
- mat
- fill
- sand mat
- ground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7596 consolidation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429 fil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362 coarse particl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101100491335 Caenorhabditis elegans mat-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6 geo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DINCKMPIJJUCX-UHFFFAOYSA-N Calcium oxide Chemical compound [Ca]=O ODINCKMPIJJUC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55 calcium 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92 calc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1 card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5 constru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33 lab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15 p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05—Soil-conditioning by mixing with fibrous materials, filaments, open mesh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26—Improving by compacting by rolling with rollers usable only for or specially adapted for soil compaction, e.g. sheepsfoot roll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 점토 지반 상에 성토를 통한 도로 축조시 성토 재하 하중에 의한 침하 방지 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연약지반의 압밀을 촉진시키기 위한 드레인 작업시 드레인 장비의 진입을 원할 하게 도모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성토 과정에서 최초로 연약 점토 지반 상에 포설시키게 되는 샌드 매트의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이루어 고가의 모래 사용량 절감에 의한 시공비의 대폭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실 사용시 침하량이 달리 나타나는 성토 중앙부와 사면부 하부에 위치하는 샌드 매트부의 내용물 입자 크기와 형태를 달리하여 효과적인 지지력 도모와 더불어 배수 능력의 장애 요인을 배제시킨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통해 모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to smoothly enter the drain equipment during the drain operation to promote the consolidation of the soft ground while providing a function to prevent settlement of the fill load during construction of the road through the fill on the soft clay ground In order to reduce the unnecessary cross-section of the sand mat, which is to be installed on the soft clay ground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fill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y reducing the use of expensive s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sand mats for road fillets, which can achieve sand savings through unnecessary cross-sectional reduction that prevents obstacles in drainage capacity by promoting effective bearing capacity by varying the particle size and shape of sand mats located under the slopes. .
특히, 연약 점토 지반 상에 일정 높이 만큼 성토를 이루어 축조되는 도로의 침하 방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약 점토 지반과 성토층 사이에 포설되는 샌드 매트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In particular,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nd mat installed between the soft clay ground and the fill layer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settlement prevention function of the road made by filling a certain height on the soft clay ground,
성토 중앙부위 하부에 위치하는 중앙 샌드 매트부는 내용물을 작은 입자의 모래(0.25~0.5mm)로 형성하되,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일정 두께로 포설하고, The central sand mat located under the central part of the fill is formed of small particles of sand (0.25 to 0.5 mm), and is laid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 horizontal state.
성토 사면부 하부에 위치하는 가장자리 샌드 매트부는 내용물을 굵은 입자의 모래알(1mm~2mm)로 형성하되, 가장 자리로 갈수록 상면이 낮아지게 포설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edge sand ma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ll slope is formed of sand grains (1 mm to 2 mm) of coarse particles, and the upper surface is lowered toward the edg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인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통해 모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을 도시한 단면도,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and mat construction method for filling the road through which the inventors can achieve sand saving through unnecessary cross-sectional reduction,
도 2는 본 발명인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통해 모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의 구체적인 시공 예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pecific construction example of the sand mat construction method for road fill that can achieve the sand savings by reducing the unnecessary cross-section of the inventors,
도 3a,도 3b는 본 발명인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통해 모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시공된 도로 성토의 침하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Figure 3a, Figure 3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ttlement state of the road fill constructed by using the sand mat construction method for road fill that can achieve the sand savings through the unnecessary cross-sectional re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인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통해 모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시공된 도로 성토의 모래 절감 비용 산출을 위해 수치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numerical value for calculating the sand saving cost of the road fill constructed by using the sand mat construction method for road fill that can achieve the sand savings through the unnecessary cross-sectional reduction of the inventors,
도 5a는 종래의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을 도시한 단면도,Figure 5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and mat construction method for a conventional road fill;
도 5b는 종래의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시공된 도로 성토의 침하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Figure 5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ttlement state of the road fill constructed by using a sand mat construction method for the conventional road fill;
도 6a는 종래의 또 다른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을 도시한 단면도,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sand mat construction method for land fill,
도 6b는 종래의 또 다른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시공된 도로 성토의 침하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Figure 6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ttlement state of the road fill constructed by using another conventional sand mat filling method for the road fill.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c : 성토 중앙부 s : 성토 사면부(s)c: Filling center s: Filling slope (s)
1 : 연약 지반 2: 샌드 매트1: soft ground 2: sand mat
4 : 성토 6 : 포장층4: fill 6: 6: layer
8 : 도로 10 : 보정침하토8: road 10: correction settlement
100 : 샌드 매트 100a: 중앙 샌드 매트부100:
100b : 가장자리 샌드 매트부 102 : 작은 입자의 모래100b: edge sand mat portion 102: sand of small particles
104 : 굵은 입자의 모래알104: coarse grains of sand
본 발명은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통해 모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 점토 지반 상에 성토를 이루어 시공되는 도로의 침하 방지 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연약지반의 압밀을 촉진시키기 위한 드레인 작업시 드레인 장비의 진입을 원할 하게 도모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성토 과정에서 최초로 연약 점토 지반 상에 포설시키게 되는 샌드 매트부의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이루어 고가의 모래 사용량 절감에 의한 시공 비의 대폭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실 사용시 침하량이 달리 나타나는 성토 중앙부와 사면부 하부에 위치하는 샌드 매트부의 내용물 입자 크기와 형태를 달리하여 효과적인 지지력 도모와 더불어 배수 능력의 장애 요인을 배제시킨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통해 모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d mat construction method for road fill that can achieve sand saving through unnecessary cross-sectional redu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function of preventing settlement of roads that are constructed by filling in soft clay ground. To reduce the costly sand consumption by reducing the unnecessary cross-section of the sand mat part, which is installed on the soft clay ground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filling process, to provide a function to facilitate the entry of the drain equipment during the drain work to promote the consolidation of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construction cost due to the construction, and by varying the particle size and shape of the contents of the sand mat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ll and the bottom of the slope where the sedimentation amount is different during actual use, it is effective to promote the bearing capacity and the barriers to drainage capacity. To eliminate unnecessary cross section reduction It relates to methods for road construction sand mat sand embankment that can achieve savings.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이란 점토나 실트와 같은 미세한 입자의 흙이나 간극이 큰 유기질토, 또는 이탄토, 느슨한 모래 등으로 이루어진 토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수위가 높고, 제체 및 구조물의 안정과 침하 문제를 발생시키는 지반을 말한다.In general, soft ground is composed of soil composed of fine particles such as clay or silt, organic soil with large gaps, peat soil, loose sand, etc., and high groundwater level. It refers to the ground to generate.
이러한 연약지반에 토목 건축공사가 실시될 때에 원 지반을 그대로 이용하면 구조물 등에 안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When civil engineering works are carried out on such soft ground, if the ground is used as it is, stability problems may occur.
이와 같은 경우에 지반에 공학적 성질을 개선하여 그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지반개량이라고 한다. In such a case, it is called the ground improvement to improve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the ground and increase its stability.
일반적으로 연약지반 개량공법의 목적은 크게 다음의 네 가지로 나눈다.In general, the purpose of the soft ground improvement method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1) 강도특성의 개선 : 지반의 강도라는 것은 지반의 파괴에 대한 저항성이다. 지반의 파괴에 대한 저항성은 흙의 전단 강도에 의존하고 있다.(1) Improvement of strength characteristics: The strength of the ground is the resistance to the destruction of the ground. The resistance to ground failure depends on the shear strength of the soil.
(2) 변형 특성의 개선 : 지반의 변형은 흙의 체적변화와 형상변화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압축성을 저하시키거나 전단 변형계수를 증대시킨다.(2) Improvement of deformation characteristics: Soil deformation is divided into soil volume change and shape change. In order to improve such characteristics, the compressibility is lowered or the shear strain coefficient is increased.
(3) 지수성의 개선 : 공사 중 또는 공사 완료 후에 토층수가 이동하면 유효 응력의 변화에 의해서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는데, 이 문제는 지반의 지수성 개선에 의해서 방지될 수 있다.(3) Improvement of exponentiality: When soil water moves during or after construction, various problems occur due to the change of effective stress, which can be prevented by improving the exponential of the ground.
(4) 동적 특성의 개선 : 느슨한 사질토의 지반에서는 지진이나 지반의 동적 거동에 의해서 간극수압이 상승하여 유효 응력 감소에 의한 액상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액상화 방지를 위해서는 액상화 저항을 증대시켜야 한다. 액상화 저항은 지반을 구성하는 흙의 밀도, 입도 분포, 골격구조, 포화도, 초기 유효 응력에 관련되기 때문에 액상화에 대한 저항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과잉간극수압의 신속한 소산, 주변에서의 과잉간극 수압의 공급차단, 지진 시의 전단변형을 감소하는 방법이 있다.(4) Improvement of dynamic properties: In loose sandy soils, the pore water pressure may increase due to earthquake or ground dynamics, and liquefaction may occur due to effective stress reduction. To prevent liquefaction, the liquefaction resistance must be increased. Since the liquefaction resistance is related to the soil density, particle size distribution, skeletal structure, saturation, and initial effective stress of the soil, in order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liquefaction, rapid dissipation of excess pore water pressure and supply cutoff of excess pore water pressure at the periphery For example, there are ways to reduce shear deformation during earthquakes.
연약지반 개량공사 필요 유무의 판단은 구조물의 기능, 기초형식, 공기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한 후 결정하여야 한다.Determination of the necessity of soft ground improvement works should be made after comprehensive judgment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basic type, and air of the structure.
연약지반 개량공법의 종류에는 외국에서 도입되어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시공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프리로딩 공법, 연직배수 공법, 샌드 컴팩션파일(SCP) 공법 등과 최근 들어 그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동압밀 공법 및 특수한 목적에서 사용되며 최근 국내에 도입되기 시작한 진공압밀공법 등 다양한 공법들이 있다. The soft ground improvement methods include preloading method, vertical drainage method, sand compaction pile method, etc., which are introduced from abroad and have many construction experiences in Korea. There are various methods, such as vacuum consolidation method, which are used for special purpose and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in Korea.
연약지반 개량공법의 선정은 대책의 목적, 대상 지반의 성질, 공기, 주변의 영향 등을 고려한 공법을 선정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지 비교 검토한 후에 최종적으로 경제적인 관점에서 최적공법을 선택한다. In selecting the soft ground improvement method, select the method that considers the purpose of countermeasu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the air, and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area. do.
(1) 공법 선정시의 유의사항 : 연약지반 대책은 안전하고 경제적인 도로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서 수립된다. (1) Points to note when selecting a construction method: Soft ground measures are established to make safe and economic road structures.
지반개량은 반드시 하나의 원리에 입각하여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원리에 의해 혼합병행공법으로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Soil improvement does not necessarily exist on the basis of one principle, but is often applied in a mixed parallel method based on a plurality of principles.
그러므로 지반개량공법의 선정에 있어서는 개량의 목적을 명확히 하여야 하며, 대상토 지반의 성질, 하중조건, 시공여건, 공사기간, 주변 자연환경과 주변에 미치는 영향 등 제 조건을 감안하여 개량목표와 원활한 시공, 경제성을 고려한 적합한 공법을 수립하여야 한다. Therefore, when selecting the soil improvement method,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of the improvement, and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load conditions, construction conditions, construction period, and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and surroundings, the improvement objectives and smooth construction. In this regard, appropriate construction methods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economic feasibility.
(2) 도로와 연약지반의 특성 : 연약지반상에 도로를 축조할 때에는 도로의 종류, 규모 등을 확정하여 공학적 의미의 연약지반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이는 지반조사, 현장조사, 그리고, 실내시험 결과로부터 대상 도로 구조물에 대한 허용지지력 및 허용 침하량을 계산하여 비교 검토함으로써 가능하다. 연약지반의 특성은 먼저, 구조물 조건과의 조합으로 대책공법 실시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서 원 지반 조건에서의 설계 검토가 필요하다. (2) Characteristics of roads and soft grounds: When constructing roads on soft grounds, the type and size of the roads shall be determined to determine whether the soft grounds have an engineering meaning. This can be done by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and allowable settlement for the target road structure from the results of ground surveys, field surveys, and laboratory tes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ft ground need to be reviewed in the original ground condition first,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countermeasure method is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the structure condition.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이 될 경우에는 대책공법의 선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에 따른 각각의 대책공법은 지반의 조건에 맞는 대책공법을 선정해야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a countermeasure is necessary, it is necessary to select a countermeasure method. Therefore, each countermeasure method according to this should select a countermeasure method suited to the conditions of the ground.
(3) 연약지반 대책의 목적 : 설계검토 결과 원지반에 대해서 무엇이 문제가 되는지, 대책의 목적과 대책의 정도 등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3) Purpose of soft ground countermeasures: As a result of the design review, it is necessary to clarify what causes problems with the original ground, the purpose of countermeasures, and the degree of countermeasures.
(4) 공기나 환경의 제약 : 공기는 공법의 선정 폭을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 예를 들어, 프리로딩 공법의 경우는 개량비도 타 공법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고, 시공기술에 있어서도 비교적 용이하나 소정의 개량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장시간의 공기가 허락되는 두꺼운 점토층에서는 효과적이다. 공기의 제 약이 엄격한 경우에는 연직 배수보다는 치환율이 높은 샌드 컴팩션 파일이나 수주일 내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심층 혼합처리 공법을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4) Constraints on air and environment: Air is a factor in the selection of construction method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preloading method, the improvement ratio is also relatively inexpensive compared to other methods, and it is relatively easy i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but it takes a long time to obtain a predetermined improvement effect, so it is effective in a thick clay layer that allows a long time of air. In the case of severe air constraints, it is possible to select a sand compaction file having a higher substitution rate than a vertical drainage or a deep mixing process that can be obtained within a few weeks.
최근의 건설공사에서는 환경에 대한 배려가 큰 문제가 되고 있다. In recent construction work, environmental consideration is a big problem.
따라서, 인접하는 기존 구조물에 대해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는데, 원 지반을 강제적으로 배제하는 다짐 공법이나 생석회 말뚝 공법의 타설 방향 등은 인접한 기존 구조물에 변형을 가져올 수 있고, 압밀에 의한 인접 구조물의 잔류 침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약액주입 공법에 의한 지하수 오염의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Therefore, the existing structures should not be affected, but the compaction method or the quicklime pile method, which excludes the original ground, may cause deformation of the existing structures, and the settlement of the remaining structures by consolidation.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impact. And the problem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chemical injection method should be considered.
대책공법의 결정에는 풍부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로 하고, 지반조건, 도로조건, 시공조건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하며, 단독공법으로 처리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두 가지 이상의 공법을 혼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Determination of countermeasure methods requires abundant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should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ground conditions, road conditions, construction conditions, etc., and may be handled solely, but in most cases, two or more methods are used in combination. .
(1) 재하 중 공법(프리로딩, 진공압) + 연직배수 공법(샌드드레인, 팩드레인, 페이퍼드레인, 메나드 드레인, 쇄석드레인)(1) Loading method (preloading, vacuum pressure) + vertical drainage method (sand drain, pack drain, paper drain, menard drain, crushed stone drain)
(2) 재하 중 공법+압성토(2) Loading method + pressure soil
(3) 연직배수 공법+모래다짐말뚝(SCP) 공법(3) Vertical drainage method + sand compaction method (SCP) method
(4) 샌드매트+(1)(4) Sand Mat + (1)
(5) 샌드매트+토목섬유(Geotextile)+(1)(5) Sand Mat + Geotextile + (1)
(6) 샌드매트+토목섬유+(2)(6) Sand Mat + Geotextile + (2)
(7) 샌드매트+토목섬유+(3)(7) Sand Mat + Geotextile + (3)
(8) 연직배수공법+혼합처리공법(8) Vertical drainage method + mixed treatment method
(9) 기타(9) other
여기서 상기 샌드매트 깔기공은 연약지반 상에 샌드 매트(sand mat)를 부설하는 것으로 연약지반의 압밀로 인해 배출되는 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상부 배수층의 역할과 압성토 내로 지하수가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지하 배수층의 역할 및 시공 장비의 주행성(trafficability)을 확보하기 위한 지지층 역할 등의 목적으로 부설된다. The sand mat laying hole is a sand mat laid on the soft ground to act as an upper drainage layer for smooth drainage of water discharged due to the consolidation of the soft ground and the underground to block the rise of groundwater into the crushed soil. It is laid for the purpose of the drainage layer and the role of the support layer to secure the trafficability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참고로 이러한 샌드 매트의 두께 산정은 장비 주행성 및 배수 기능과 같은 두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되는데, 장비 주행성에 대한 샌드 매트 두께 산정은 대상지반이 연약 점토지반인 경우에는 비배수 전단 강도가 장비의 주행성을 결정하는 주요인 자가 된다. For reference, the thickness of the sand mat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wo conditions, such as equipment running and drainage function. The sand mat thickness for the equipment running is determined by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the equipment when the ground is soft clay ground. It is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driving ability.
따라서 대상 연약지반의 비배수 전단 강도가 주어지면 이를 사용하여 설계시 지반의 허용지지력 값을 산정할 수 있고, 이로부터 장비의 주행성을 고려한 샌드 매트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Therefore, given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of the target soft ground, it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of the ground when designing, and from th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hickness of the sand mat considering the running ability of the equipment.
그리고, 배수기능에 대한 샌드 매트의 두께 산정은 연약지반 상부에 부설되는 샌드매트는 연약지반이 압밀침하를 하면서 배출되는 간극수에 대한 수평배수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sand mat thickness calculation for drainage function should be able to play a role as a horizontal drainage of the gap water discharged while the soft ground is consolidated settlement of the soft ground.
따라서 연약층이 두꺼운 경우, 흙쌓기 폭이 넓은 경우, 압밀로 인한 물의 배출이 많은 경우 등에는 배수로의 역할을 적절히 수행하기 위하여 충분한 샌드 매트 두께가 요구된다. Therefore, when the soft layer is thick, when the pile width is wide, when the discharge of water due to consolidation, etc., a sufficient sand mat thickness is required to properly perform the role of the drainage.
이러한 샌드 매트의 시공에 있어서는 준비배수를 충분히 하여 시공에 따른 기초지반의 흐트러짐을 적게 하고, 점토 등이 섞여 들어가 배수효과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도록 계획한다. In the construction of such sand mats, a sufficient amount of preparation drainage is used to reduce the disturbance of the foundation ground due to the construction, and to prevent the mixing of clay and the like, thus preventing the drainage effect.
또 샌드 매트의 재료는 세립화하지 않는 재료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sand mat needs to select a material that is not refined.
흙쌓기 범위가 넓을 경우 양측면을 먼저 하고 지표면의 상황 및 연약 정도에 따라 시공방법을 고려하며, 편압 등을 소홀히 하여 불균일한 부설두께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In case of wide range of stacking, both sides should be considered first and construction method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surface condition and weakness of the surface, and neglect pressure to avoid uneven laying thickness.
지하 배수공의 배치에는 제체 종단 방향 또는 횡단 방향으로 설치하지만, 종단 방향으로 설치할 경우는 통수거리를 짧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In the arrangement of underground drainage holes, it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ody, but in the case of the install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advantageous to shorten the water passage distance.
지하 배수공은 샌드 매트 안에 설치하여 배수공 내에 점토 등의 세립분이 침입하여 배수 효과를 저하하는 일이 없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It is necessary to be careful that the underground drain hole is installed in the sand mat so that fine grains, such as clay, invade the drain hole and thus reduce the drainage effect.
특히 배수량이 많은 경우는 지하 배수공의 추가나 유공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when there is a large amount of drainage, it is preferable to add underground drain holes or use perforated pipes.
그리, 상기 연직배수공법은 샌드 매트 하부에 드레인재를 타설하여 배수를 촉진시키는 연약지반 개량공법의 일종으로, 연약한 점성토 지반 내에 인공적으로 연직 드레인을 다수 설치하여 배수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압밀을 촉진시키는 공법으로 버티컬드레인공법이라고도 한다. Thus, the vertical drainage method is a kind of soft ground improvement method that promotes drainage by pouring drain material under the sand mat, and a method of promoting consolidation by shortening the drainage distance by artificially installing a plurality of vertical drains in the soft clay soil. Also called vertical drain method.
또한 표면수평배수공법은 연약지반의 두께가 작은 경우 연직배수공법을 적용하지 않고 샌드 매트에 의해 점토층의 압밀수를 수평으로 배수시키는 공법이다.In addition, the surface horizontal drainage method is a method of draining the consolidation water of the clay layer horizontally by sand mat without applying the vertical drainage method when the thickness of the soft ground is small.
상기 연직배수공법 및 수평배수공법을 이용하여 점토지반을 개량하고 성토를 하는 경우 성토 중앙부는 배모양과 같이 오목하게 중앙부가 침하량이 증가되므로 자연적인 배수가 어렵다. When the clay ground is improved and filled using the vertical drainage method and the horizontal drainage method, the central part of the fill is concave like the shape of the pear so that the settlement of the central part is increased, so that natural drainage is difficult.
또한, 연약 점토지반 상부에 바로 설치되는 샌드 매트는 하부지반이 연약한 경우 원 지반으로 많은 양이 함몰됨으로 드레인 타설기계 및 기타시공기계의 중량을 버틸 수 있는 접지압이 부족하여 시공기계가 자주 전도된다. In addition, the sand mat that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upper soft clay ground, if the lower ground is soft, because a large amount of depression into the ground ground, the construction machine is frequently conducted because there is a lack of ground pressure to withstand the weight of the drain pouring machine and other construction machinery.
또한, 점토지반도 크게 교란된다. 이로 인해 시공기계의 전도위험에 의한 시공지연과 지반교란 영역 내 원지반의 투수 계수 감소에 의해 배수 효과가 줄어들게 되고 배수시간이 길어서 개량효과가 저하된다.In addition, clay ground is also greatly disturbed. As a result, the drainage effect is reduced due to the construction delay caused by the danger of falling of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the ground in the ground disturbance region.
더나아가 성토재하시 원래의 점토지반 하부로 샌드 매트가 함몰되어 외측으로 배수가 불가능하다. In addition, sand mats are buried under the original clay at the time of filling, and drainage is impossible.
따라서 배수영역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연직배수재와 샌드 매트가 서로 중첩되게 설치해야 하고 연직배수재가 없는 경우는 침하토가 점토지반보다 투수계수가 큰 것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drainage area, it is important to install the vertical drainage material and sand mat overlapping each other, and in the case of the vertical drainage material,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settled soil having a larger permeability coefficient than the clay ground.
시공 방법에 따라 주로 점토층 내부의 배수기능 역할을 위해 기둥 모양의 모래말뚝을 설치해 배수거리를 짧게 하는 연직배수공법계통인 샌드드레인 공법(sand drain method), 팩드레인 공법(pack drain method), 플라스틱(페이퍼) 드레인 공법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method, sand drain method, pack drain method, and plastic, which is a vertical drainage method that shortens the drainage distance by installing column-shaped sand piles for the drainage function inside the clay layer, Paper) Drain Method
(plastic drain method),쇄석말뚝(gravel drain method)등이 있다. (plastic drain method), crushed pile method (gravel drain method).
또한, 압입 다짐 기계에 의해 케이싱매부에 재료를 관입하여 인발과 압축에 의해 다짐말뚝을 형성하여 모래 및 쇄석 말뚝의 지지력과 배수를 동시에 도모하는 다짐말뚝계통인 샌드컴팩션공법(sand compaction methd), 쇄석다짐공법(gravel compaction method)등으로 구분된다. In addition, sand compaction method, which is a compaction pile system that injects material into the casing medium by a press-fit compaction machine, forms compaction piles by drawing and compression, and simultaneously promotes bearing capacity and drainage of sand and crushed stone piles. It is divided into the "gravel compaction method".
그리고 연직배수공법중 플라스틱 드레인공법은 모래 대신 특수가공된 플라스틱재나 이들의 복합재인 카드보드(card-board)를 땅속에 박아압밀을 촉진시키는 공법이다.In the vertical drainage method, the plastic drain method is a method of promoting consolidation in the ground by inserting a specially processed plastic material instead of sand or a card-board thereof.
플라스틱 드레인공법은 샌드 드레인공법에 비하여 시공이 간편하면서 속도가 빠르고, 관입시 점토지반내부의 교란이 적고 , 드레인 단면이 깊이 방향으로 일정하여 확실한 시공이 가능하고, 배수 효과가 좋으며, 공사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Compared with sand drain method, plastic drain method is simpler and faster in construction, less disturbance in clay ground during penetration, and constant drain cross section in depth direction enables reliable construction, good drainage effect, and low construction cost. There is an advantage.
샌드(자갈) 드레인공법과 샌드(자갈)컴팩션 공법은 최근 시공기계의 발달로 육상 및 해상 공사에서 확실한 압밀 및 다짐효과를 가져오므로 널리 시용되고 있고 비교적 고가이다.The sand (gravel) drain method and the sand (gravel) compact method are widely used and relatively expensive 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machinery, which brings certain consolidation and compaction effects in land and sea works.
최근 연안지역의 과도한 해사 채취로 인하여 해안 생태계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어획고가 감소하여 어민들의 민원이 많이 증가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excessive maritime harvesting in coastal areas has resulted in imbalances in coastal ecosystems and reduced catches.
따라서 건설재료용 골재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배타적 경계 수역의 모래자원을 적극 개발하고 있으나 깊은 수심으로 인해 양질의 해사확보도 어렵고 채취비용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continuously supply aggregates for construction materials, we are actively developing sand resources in the exclusive boundary waters.
이러한 상황에 의해 연약지반 처리에 필요한 배수재의 확보는 우선적인 콘크리트 골재의 공급의 중요성에 비추어 뒤처지게 되어 연약지반 개량공사는 더욱더 어려운 시기에 직면하고 있다. Due to this situation, securing of drainage materials for soft ground treatment is lagging in view of the importance of supplying preferential concrete aggregate, and the soft ground improvement construction is facing a more difficult time.
그러므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연약지반개량을 위해 다소 입도 기준에 부적합한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배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책기술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ountermeasure technique that can improve drainage function when materials that are somewhat unsuitable to the particle size criteria are used to improve the soft ground economically and efficiently.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잔골재 또는 Fiber Mat재료를 이용하여 실내시험에 의해 연약지반 배수재로서의 활용성을 검토하거나 준설토를 샌드 매트 대안으로 이용하여 수평배수의 기능을 유지하고자 측구를 설치하고 압밀 침하량이 큰 경우에는For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soft aggregates or fiber mat materials was us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soft ground drainage by indoor testing, or to install horizontal holes in order to maintain the function of horizontal drainage using dredged soil as an alternative to sand mat.
배수대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지만 이러한 기존의 연구들은 실험적인 유효성의 고찰로 전체적인 샌드매트의 배수와 지반 침하를 고려한 정상적인 메카니즘과 설계 및 시공기술 등이 아직 제시되지 않고 있다.Although the need for drainage measures has been suggested, these previous studies have not yet proposed the normal mechanism,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iques considering the overall sand mat drainage and ground subsidence.
이해를 돕기 위해 종래 기술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clarity.
도 5a는 종래의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종래의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시공된 도로 성토의 침하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5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sand mat construction method for road fill, and FIG. 5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ttlement state of road fills constructed using a conventional sand mat construction method for road fill.
도시된 바와 같이 연약 지반(1) 상에 일정 두께로 샌드 매트(2)를 포설한 후이 샌드 매트(2)의 상부에 드레인 타설기계 및 기타시공기계를 주행 및 위치시켜 인공적으로 연직 드레인재를 타설(미도시하였음)하고, 뒤이어 이 샌드 매트(2)의 상부에 상협하광(上狹下廣)진 형태로 일정 높이만큼 성토(4)하며, 상기 성토(4) 상부에 포장층(6)을 이루어 도로(8)를 축조한다.As shown, after laying the
이와 같이 축조된 도로의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토(4)시 자체의 재하 하중 전가로 인해 일어나는 압밀 침하 현상에 의한 샌드 매트(2)의 부분 변형이 발생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road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5B, partial deformation of the
즉, 성토(4) 자체의 재하 하중 전가가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성토(4) 중앙부 위 하부에 위치한 샌드 매트(2) 부위가 상대적으로 하중 전가가 적은 성토(2)의 양측 경사부 하부에 위치한 샌드 매트(2) 부위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집중적으로 함몰 침하 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and mat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both slopes of the fill (2) with relatively low load transfer of the sand mat (2)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above the center of the fill (4) where load loading of the fill (4) itself is concentrated. (2) As shown in the drawing rather than the site will be concentrated sinking.
이에 따라 양측에 위치하게 되는 샌드 매트(2) 부위는 중앙에 위치하는 샌드 매트(2) 부위보다 상향 위치하게 되므로 초기에 의도한 수평배수로 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성토(2)의 양측 경사부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샌드 매트(2) 부위는 중앙에 위치하는 샌드 매트(2)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중 전가가 적음에 따른 침하 정도가 약하므로 샌드 매트(2)의 두께가 중앙부위만큼 두꺼울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두께로 포설하므로 고가의 모래를 불필요하게 사용함에 따른 시공비 상승을 초래시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ion of the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 기술의 개발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In recent years, development of countermeasure technology to solve such a problem phenomenon has emerged one after another.
이를 일 예(출원번호10-2006-0048424호)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an example (application number 10-2006-0048424) as follows.
도 6a는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종래의 또 다른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종래의 또 다른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을 이용하여 시공된 도로 성토의 침하 상태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sand filling method for land fill proposed as an alternative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Figure 6b is constructed using another conventional sand filling method for land fill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ettlement state of road fill.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협하광(上狹下廣)진 형태로 보정침하토(10)를 먼저 포설 하고, 뒤이어 상기 보정 침하토(10)의 상부에 일정 두께로 샌드 매트(2)를 포설한 후 이 샌드 매트(2)의 상부에 드레인 타설기계 및 기타시공기계를 주행 및 위치시켜 인공적으로 연직 드레인재를 타설하며, 뒤이어 일정 높이만큼 성토(4)를 하여 상기 성토(4) 상부에 포장층(6)을 이루어 도로(8)를 축조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rrected
이와 같이 축조된 도로(8)는 상기 보정침하토(10)가 성토(2)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하 하중을 효과적으로 대응 지지하여 성토(2) 과정에서 발생하는 침하 현상을 크게 저감 및 초기 의도한 수평 배수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As such, the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나열 설명하면,If you explain this in detail according to the order,
첫째, 침하보정토의 사용으로 인한 공수 및 자재의 증가로 인해 작업 지연과 시공비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irs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delay and construction cost increase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irborne and materials due to the use of settlement soils.
둘째, 상술한 바와 같이 침하보정토가 상협하광(上狹下廣)진 형태로 포설됨에 따라 뒤이어 포설되는 샌드 매트 역시 상협하광(上狹下廣)진 형태로 포설되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포설작업 후 실시하게 되는 드레인 타설기계 및 기타시공기계의 주행 및 안정된 설치를 이루는데 있어 장애 요인을 제공하였다.Second, as settling correction soil is laid out in the form of upper and lower subsidence, the sand mats that are subsequently laid are also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subsidence. It provided obstacles in the running and stable installation of drain pouring machine and other construction machine.
즉,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샌드 매트의 상부로 드레인 타설기계 및 기타시공기계를 주행 및 정 위치시켜 연직 드레인재를 타설해 주어야 함에 따른 장비 전도 및 샌드 매트의 붕락 현상 등이 초래되었기 때문이다. That is, since the drain pouring machine and other construction machines are moved and positioned to the top of the sand mat formed to be inclined to both sides, the vertical drain material is to be poured and the collapse of the sand mat is caused.
셋째, 침하보정토가 지반의 원할한 투수를 저해하는 요인을 제공하여 샌드 매트의 기능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Thi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ttlement soil loses the function of the sand mat by providing a factor that inhibits the smooth pitch of the ground.
즉, 상기 침하보정토가 성토 과정에서의 재하 하중에 의해 샌드 매트와 혼합되는 현상이 초래되어 결과적으로 기초지반을 크게 흐트러지게 하는 현상을 초래시키게 됨에 따라 초기에 의도한 샌드 매트의 배수에 크나큰 장애현상을 초래시키기 때문이다.That is, the settlement soil is mixed with the sand mat by the loading load during the filling process, and as a result, a phenomenon that greatly disturbs the foundation ground is caused. This is because it causes a phenomenon.
넷째, 샌드 매트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위가 돌출된 형태로 포설되기 때문에 고가의 샌드 매트 포설 거리 증가에 따른 시공비 상승을 초래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Fourth, since the sand mat is laid in a protruding form as shown in the figure, there is an uneconomical problem that leads to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 due to the increase in the distance of expensive sand mat laying.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약 점토 지반 상에 성토를 통한 도로 축조시 성토 재하 하중에 의한 침하 방지 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연약지반의 압밀을 촉진시키기 위한 드레인 작업시 드레인 장비의 진입을 원할 하게 도모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성토 과정에서 최초로 연약 점토 지반 상에 포설시키게 되는 샌드 매트의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이루어 고가의 모래 사용량 절감에 의한 시공비의 대폭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실 사용시 침하량이 달리 나타나는 성토 중앙부와 사면부 하부에 위치하는 샌드 매트부의 내용물 입자 크기와 형태를 달리하여 효과적인 지지력 도모와 더불어 배수 능력의 장애 요인을 배제시킨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통해 모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function to prevent settlement of the ground due to the fill load during construction of the road through the fill on the soft clay ground and consolidation of the soft ground. Construction costs due to the reduction of expensive sand usage by making unnecessary cross-sectional reduction of sand mat, which is installed on soft clay ground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filling process, to provide the function to facilitate the entry of drain equipment during draining work The size and shape of the contents of the sand mat part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soil and the lower part of the slope where the settling amount is different when the actual use is settled can be greatly reduced. Reduced Sand Through Section Reduction To provide a fill for road construction methods that you can rule the sand mat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Specific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연약 점토 지반 상에 일정 높이 만큼 성토를 이루어 축조되는 도로의 침하 방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약 점토 지반과 성토층 사이에 포설되는 샌드 매트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nd mat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soft clay ground and the fill layer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settlement prevention function of the road is made by filling a certain height on the soft clay ground,
성토 중앙부위 하부에 위치하는 중앙 샌드 매트부는 내용물을 작은 입자의 모래(0.25~0.5mm)로 형성하되,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일정 두께로 포설하고, The central sand mat located under the central part of the fill is formed of small particles of sand (0.25 to 0.5 mm), and is laid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form a horizontal state.
성토 사면부 하부에 위치하는 가장자리 샌드 매트부는 내용물을 굵은 입자의 모래알(1mm~2mm)로 형성하되, 가장 자리로 갈수록 상면이 낮아지게 포설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edge sand mat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ill slope is formed of sand grains (1 mm to 2 mm) of coarse particles, and the upper surface is lowered toward the edge.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통해 모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통해 모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도로 성토용 샌드 매트 시공방법의 구체적인 시공 예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단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and mat construction method for the road fill that can achieve the sand savings through the unnecessary cross-sectional reduction of the present inventors, Figure 2 is a sand mat for road fill that can achieve the sand savings through the unnecessary cross-sectional reduction of the inventors. It is a cross section shown to show the specific construction example of a construction method.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For referenc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 이다.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성토 중앙부위(c) 하부에 위치하는 중앙 샌드 매트부(100a)는 내용물이 작은 입자의 모래(102)로 형성되어 있되,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일정 두께로 포설되어 있고, 성토 사면부(s) 하부에 위치하는 가장자리 샌드 매트부(100b)는 내용물이 굵은 입자의 모래알(104)로 형성되어 있되, 가장 자리로 갈수록 낮아지게 포설되어 있다.As shown, the central
여기서, 상기 중앙 샌드 매트부(100a)는 내용물의 크기가 약 0.25mm ~ 0.5mm의 크기를 이루는 작은 입자의 모래(102)로 형성되고, 가장자리 샌드 매트부(100b)는 내용물의 크기가 약 1mm ~ 2mm의 크기를 이루는 굵은 입자의 모래알(104)로 형성되어 있다.Here, the central
한편, 상기 굵은 입자의 모래알(104)로 형성되어 있되, 가장 자리로 갈수록 상면이 낮아지게 포설되는 가장자리 샌드 매트부(100b)는 샌드 매트(100) 전체의 정중앙(D)을 기준으로 양측의 중심(D/2)이 되는 부위로부터 하향지게 포설을 시작하여 가장자리 샌드 매트부(100b) 포설이 끝나는 양단부가 중앙 샌드 매트부(100a)의 포설 두께(H)의 절반 두께(H/2)가 되도록 포설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arse
이와 같이 포설되는 샌드 매트(100)는 최종 성토 후 재하 하중에 의해 도 3a,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The
즉, 성토(4) 재하 하중에 의한 응력 집중이 가해지는 성토(4) 중앙부위(c) 하부에 위치하는 중앙 샌드 매트부(10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다소 큰 함몰 상태를 취하는 함몰 현상이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재하 하중에 의한 응력 집중이 적은 성토(4)의 양측 경사부 하부에 위치한 가장자리 샌드 매트부(100b)는 중앙 샌드 매트부(100a)보다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의 정도가 매우 적게 나타나게 된다.That is, the central
이에 따라 성토(4) 후 최종적으로는 구현되는 샌드 매트(100)의 전체적인 형태는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포설되어 있던 가장자리 샌드 매트부(100b)와 수평 상태를 유지토록 균일한 두께로 포설되어 있던 샌드 매트부(100a)가 수평 상태에 가까운 단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Accordingly, the overall shape of the
그러므로 도로(8) 축조시 성토(4) 재하 하중에 의한 샌드 매트(100)의 침하 형상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통한 모래 절감을 이룰 수 있어 천연 자원의 낭비 절감과 더불어 시공비의 대폭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considering the sinking shape of the
참고로 상술한 단면 축소를 통한 모래 절감 비용을 도 4를 참조하여 개략 산출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For reference, the sand saving cost through the cross-sectional reduction described above is roughly calculated with reference to FIG. 4.
①총면적산출 ① Total area calculation
②절감면적산출② Calculation of reduction area
③면적산출에 의한 모래절감비용③ Sand saving cost by area calculation
그리고, 최종적으로 구현되는 샌드 매트(100) 전체의 형상은 수평에 가까운 단면 형상을 이루게 되며, 샌드 매트(100)의 중앙 샌드 매트부(100a)는 내용물이 작은 입자의 모래(0.25~0.5mm:(102))로 형성되어 있고, 가장자리 샌드 매트부(100b)는 내용물이 굵은 입자의 모래알(1mm~2mm:(104))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초기 의도한 수평 배수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And, the final shape of the
즉, 샌드 매트(100)의 형상이 수평 배수에 용이한 형상으로 구현되도록 예측 포설함은 물론이고 배수 행정에 효과적인 모래 입자 배열을 통해 연약지반(1)의 압밀로 인해 배출되는 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상부 배수층의 역할을 수행하게 됨과 더불어 압성토 내로 지하수가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는 지하 배수층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hape of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샌드 매트(10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중앙 샌드 매트부(100a)는 수평상태를 유지토록 일정두께를 취하고 있되, 내용물이 작은 입자의 모래(0.25~0.5mm:(102))로 형성되어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수평 배수 행정은 효과적으로 도모하면서도 비배수 전단 강도는 연약지반의 압밀을 촉진시키기 위해 연직 드레인재를 타설하는 드레인 타설기계와 기타시공기계의 주행과 설치 안정에 적합하여 이러한 장비의 주행과 설치 안정을 위해 불필요하게 샌드 매트(100) 두께 상승을 야기시키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모래 절감에 따른 천연 자원의 낭비 절감과 더불어 시공비의 절감을 추가 도모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참고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For referenc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take various forms. Howev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described.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but rather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must be understood.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약 점토 지반 상에 성토를 통한 도로 축조시 성토 재하 하중에 의한 침하 방지 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연약지반의 압밀을 촉진시키기 위한 드레인 작업시 드레인 장비의 진입을 원할 하게 도모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성토 과정에서 최초로 연약 점토 지반 상에 포설시키게 되는 샌드 매트의 불필요한 단면 축소를 이루어 고가의 모래 사용량 절감에 의한 시공비의 대폭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 of preventing settlement due to the loading load of the groun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oad through the fill on the soft clay ground, and also facilitates the entry of the drain equipment during the drain work to promote the compaction of the soft ground. In order to provide a function for planning, the unnecessary cross-sectional reduction of the sand mat, which is installed on the soft clay ground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filling process, has the effect of drastically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by reducing the use of expensive sand.
그리고, 실 사용시 침하량이 달리 나타나는 성토 중앙부와 사면부 하부에 위치하는 샌드 매트부의 내용물 입자 크기와 형태를 달리하여 효과적인 지지력 도모와 더불어 배수 능력의 장애 요인을 배제하여, 연약지반의 압밀을 촉진시키기 위해 연직 드레인재를 타설하는 드레인 타설기계와 기타 시공 기계의 주행과 설치 안정에 적합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음에 따른 작업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고, 이러한 장비의 주행과 설치 안정을 위해 불필요하게 샌드 매트 두께를 상승시키지 않아도 됨에 따른 모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어 천연 자원의 낭비 절감과 더불어 시공비의 절감을 추가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효과 등이 있다.In addition, by varying the particle size and shape of the contents of the sand mat located in the central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sediment where sedimentation amounts are different when the yarn is used, it is effective to promote the bearing capacity and to eliminate the obstacles of drainage capacity. It can improve working safety and convenience by providing a space suitable for driving and installation stability of drain pouring machine and other construction machines for pouring drain material, and unnecessary sand for driving and installation stability of such equip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and by not having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mat, and to reduce the waste of natural resources and to further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6885A KR100857922B1 (en) | 2007-07-04 | 2007-07-04 | Construction method of sand mat for road fill that can save sand through unnecessary cross section red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6885A KR100857922B1 (en) | 2007-07-04 | 2007-07-04 | Construction method of sand mat for road fill that can save sand through unnecessary cross section redu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57922B1 true KR100857922B1 (en) | 2008-09-10 |
Family
ID=4002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6885A KR100857922B1 (en) | 2007-07-04 | 2007-07-04 | Construction method of sand mat for road fill that can save sand through unnecessary cross section red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792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74640A (en) * | 2014-02-24 | 2014-05-07 | 北京中科力爆炸技术工程有限公司 | Composite dike head one-step molding blasting soft foundation treatment method |
KR101644507B1 (en) * | 2015-07-27 | 2016-08-10 | (주)삼화토건 | Improvement method of the soft groun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7431A (en) * | 1990-04-25 | 1992-01-10 | Daikichi Suematsu | Stormwater-permeable structure of road |
KR200289644Y1 (en) | 2002-06-21 | 2002-09-16 | 주식회사 삼기칼라콘 | Water Permeable concrete pavement structure with waste tire chip composition |
KR100353010B1 (en) * | 1999-12-16 | 2002-09-18 |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 A method for constructing environmental blocks for permeating rainwater into verges of a paved road |
KR100686520B1 (en) * | 2006-05-30 | 2007-02-26 | 주식회사 씨엔텍 | Construction method of clay ground sand mat through sand mat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
-
2007
- 2007-07-04 KR KR1020070066885A patent/KR10085792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7431A (en) * | 1990-04-25 | 1992-01-10 | Daikichi Suematsu | Stormwater-permeable structure of road |
KR100353010B1 (en) * | 1999-12-16 | 2002-09-18 |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 A method for constructing environmental blocks for permeating rainwater into verges of a paved road |
KR200289644Y1 (en) | 2002-06-21 | 2002-09-16 | 주식회사 삼기칼라콘 | Water Permeable concrete pavement structure with waste tire chip composition |
KR100686520B1 (en) * | 2006-05-30 | 2007-02-26 | 주식회사 씨엔텍 | Construction method of clay ground sand mat through sand mat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74640A (en) * | 2014-02-24 | 2014-05-07 | 北京中科力爆炸技术工程有限公司 | Composite dike head one-step molding blasting soft foundation treatment method |
CN103774640B (en) * | 2014-02-24 | 2016-03-30 | 北京中科力爆炸技术工程有限公司 | The method of combined type dike shaping blasting treatment of soft foundation for the first time |
KR101644507B1 (en) * | 2015-07-27 | 2016-08-10 | (주)삼화토건 | Improvement method of the soft groun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43395B1 (en) | A Wastes Treatment District Structure for using a Cell Frame-wor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US11105061B1 (en) | High-performance liquefaction-resistance treatment method for gravel pile of existing building foundation | |
KR100686520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clay ground sand mat through sand mat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 |
CN103074882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reinforcing island-type perennial frozen-soil foundation by adopting gravel piles | |
Andromalos et al. | Stabilization of soft soils by soil mixing | |
US20170016200A1 (en) | Method for Improving an Inwards Stability of a Levee | |
CN104695419A (en) | Soft soil roadbed construction method | |
Raju et al. | Ground improvement: principles and applications in Asia | |
JP7554501B2 (en) | Rapid consolidation and compaction methods for remediation of various layers of soil and intermediate geological materials in soil piles. | |
KR10085792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and mat for road fill that can save sand through unnecessary cross section reduction | |
JP2014012981A (en) | Liquefaction countermeasure structure | |
CN104818658A (en) | Road widening system and road widening method for collapsible yellow earth foundation layer | |
JPH02504050A (en) | Method for forming road and roadbed structures | |
KR101129469B1 (en) | Method For Laying Pipes Under The Ground | |
CN107700514A (en) | A kind of processing method on weak base foundation selection structural shape | |
CN213804677U (en) | Soft soil foundation structure | |
Lee et al. | Field load tests of geogrid encased stone columns in soft ground | |
KR20160142009A (en) | Method for generating ground settlement and adjusting consolidation settlement using adjustment of ground water level in aquifer | |
CN213804676U (en) | Soft soil foundation structure | |
CN204753289U (en) | System is widened to road on settlement by soaking loess foundation layer | |
Umravia et al. | Comparative study of existing cement fly ash gravel pile and encased stone column composite foundation | |
Sohaib et al. | Experimental study on improvement of soft clay using sand columns | |
CN219992075U (en) | Soft soil roadbed reinforcing structure suitable for highway | |
CN112195701A (en) | Soft soil found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CN112227344A (en) | Soft foundation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with good reinforcement effec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7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707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707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3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04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