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543B1 - 두족류 포획용 어구 - Google Patents

두족류 포획용 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543B1
KR100857543B1 KR1020070102984A KR20070102984A KR100857543B1 KR 100857543 B1 KR100857543 B1 KR 100857543B1 KR 1020070102984 A KR1020070102984 A KR 1020070102984A KR 20070102984 A KR20070102984 A KR 20070102984A KR 100857543 B1 KR100857543 B1 KR 100857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phalopod
sub
main body
bai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옥순
송희성
Original Assignee
임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옥순 filed Critical 임옥순
Priority to KR102007010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본체, 서브본체 및 미끼보관함으로 분리 구성시켜 일체화시키고, 상기의 구성부를 내구성이 우수한 복합 합성수지로 형성시킴으로써, 최대한 두족류의 생물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간편한 설치와 두족류의 용이한 유인으로 두족류의 어획량을 증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양줄을 용이하게 끼우고 분리시킬 수 있게 하여 파손 및 훼손된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제거하기 위해 해당 인양줄을 자르거나 절단하지 않고도 교체 및 교환이 가능하게 하고, 분리가 가능한 메인본체, 서브본체 및 미끼보관함 중에서 어느 하나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 교체 및 교환이 가능하게 하여 전체적인 작업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요 비용을 최소화시키게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족류 포확용 어구에 대한 전체적인 효율성을 향상시켜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어촌의 어민들에게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극대화시키게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두족류, 어구, 미끼

Description

두족류 포획용 어구{A fishing gear for cephalopod capture}
본 발명은 낙지, 문어, 쭈꾸미 및 오징어 등과 같은 두족류(이하 '두족류'라 한다)를 용이하게 포획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메인본체, 서브본체 및 미끼보관함으로 분리 구성시켜 일체화시키고, 상기의 구성부를 내구성이 우수한 복합 합성수지로 형성시킴으로써, 최대한 두족류의 생물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간편한 설치와 두족류의 용이한 유인으로 두족류의 어획량을 증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이로 인해 두족류 포확용 어구에 대한 전체적인 효율성을 향상시켜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어촌의 어민들에게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족류는 연체동물의 특성상 적절한 보호수단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주로 속이 비어있는 소라껍질과 같은 장소에 숨거나 은폐하여 몸을 보호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해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수단은 소라껍질과 같은 빈 패각을 채취한 다음 상기 빈 패각에 긴 줄을 연결하여 연안의 바다 밑바닥 에 투하한 후에 상기 두족류가 산란이나 은신을 위해서 빈 패각에 둥지를 잡을 때 건져 올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빈 패각은 바다에 투하되었을 때 입구가 바닥에 향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동시에 내부공간도 좁기 때문에 두족류가 잘 유인되지 않은 문제와, 포획된 두족류가 있더라도 빼내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빈 패각은 석회질로서 취성을 지니기 때문에 여러번 반복하여 사용하게 되면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어 장기적인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20-0344846호와 실용신안등록 제20-0363331호에 의해 두족류 포획구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두족류 포획구는 별도의 미끼보관함이 없어 두족류를 유인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인양줄결합공에 인양줄이 끼워질 경우 파손 및 훼손된 두족류 포획구를 제거하기 위해 해당 인양줄을 자르거나 절단해야되는 문제로 전체적인 인양줄을 복구해야되는 작업이 발생하게 되는 동시에 파손 및 훼손된 두족류 포획구로 인해 두족류 수확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들로 인해 종래에 실시하는 빈 패각은 두족류의 생물학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는 구조일 뿐만 아니라 포획구로서의 내구성이 좋지 못함으로 인해 오히려 두족류의 어획량이 감소되어 어촌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포획된 두족류의 손상으로 상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또한 종래의 두족류 포획구는 사용시에 파손될 경우 용이하게 교체 및 교환이 번거로워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게 되며, 이에 따른 어촌의 어민들에게 전체적으로 만족도 및 신 뢰도가 극소화되는 문제점이 항상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메인본체, 서브본체 및 미끼보관함으로 분리 구성시켜 일체화시키고, 상기의 구성부를 내구성이 우수한 복합 합성수지로 형성시킴으로써, 최대한 두족류의 생물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간편한 설치와 두족류의 용이한 유인으로 두족류의 어획량을 증가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양줄을 용이하게 끼우고 분리시킬 수 있게 하여 파손 및 훼손된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제거하기 위해 해당 인양줄을 자르거나 절단하지 않고도 교체 및 교환이 가능하게 하고, 분리가 가능한 메인본체, 서브본체 및 미끼보관함 중에서 어느 하나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 교체 및 교환이 가능하게 하여 전체적인 작업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요 비용을 최소화시키게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두족류 포확용 어구에 대한 전체적인 효율성을 향상시켜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어촌의 어민들에게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극대화시키게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및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어구에는 두족류가 출입하는 입구를 일면에 지니고, 내구성이 우수한 복합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패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에 있어서, 상기 패각 형상에는 두족류가 출입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본체와, 상기 두족류를 유인하기 위해 미끼를 보관하는 미끼보관함이 구비되어 있는 서브본체로 구분된 상태에서 결합되되, 상기 미끼보관함은 서브본체와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미끼보관함의 양측단에 보관함걸림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서브본체에는 보관함걸림부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보관함체결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미끼보관함에는 보관된 미끼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관함덮개가 구비되며, 상기 보관함덮개는 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보관함덮개의 외측 전단부에는 결합공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서브본체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삭제
이에, 상기 메인본체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인양줄을 끼울 수 있는 인양줄끼움홈이 구비되고, 상기 인양줄끼움홈에 끼워진 인양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끼움홈덮개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본체의 적정한 위치에는 다수의 체결단이 구비되고, 상기 서브본체의 양측면에는 메인본체에 구비된 다수의 체결단에 용이하게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걸림단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메인본체의 하단부에는 일정한 무게를 갖도록 하는 무게부가 구 비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서브본체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미끼보관함의 파손 및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하도록 하는 충격보호부가 구비되고, 상기 충격보호부는 미끼보관함의 외측 이격된 위치에 하나 또는 둘 이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최대한 두족류의 생물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간편한 설치와 두족류의 용이한 유인으로 두족류의 어획량이 증가되어 전체적인 어촌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양줄을 용이하게 끼우고 분리시킬 수 있게 하여 파손 및 훼손된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제거하기 위해 해당 인양줄을 자르거나 절단하지 않고도 교체 및 교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가 가능한 메인본체, 서브본체 및 미끼보관함 중에서 어느 하나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부분만 교체 및 교환이 가능하게 하여 전체적인 작업이 향상되는 동시에 소요 비용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족류 포확용 어구에 대한 전체적인 효율성이 향상되어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어촌의 어민들에게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가 극대화되는 여러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의 사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의 정면을 보여주는 구성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의 측면을 보여주는 구성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메인본체, 서브본체 및 끼움홈덮개를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인양줄에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인 두족류 포획용 어구(100)에는 입구(101)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쭈꾸미와 같은 두족류가 용이하게 들어올 수가 있는 것이고, 또한 미끼보관함(30)을 별도로 구비시키게 되는데, 이는 상기의 입구(101)로 두족류가 들어올 수 있도록 유인하기 위해 칠게와 같은 미끼를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두족류 포획용 어구(100)는 소라 형태와 유사한 패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다에 투여되기 때문에 해수에 오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복합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른, 상기 두족류 포획용 어구(100)는 전체적인 제품으로서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0)로 구분되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메인본체(10)에는 두족류가 출입하는 입구(101)가 형성되게 되고, 상기 서브본체(20)에는 미끼보관함(30)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0)가 체결 및 겹합되어 일체화된 상태에서 두족류를 포획하기 위해 바다에 투여하게 되는데, 이때 두족류는 소라 형태와 유사한 패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두족류 포획용 어구(100)의 입구(101)로 들어와 숨거나 은폐하여 몸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의 두족류 포획용 어구(100)를 실시하기 위해 상기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0)가 분리된 상태를 일체화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메인본체(10)에 구비된 다수의 체결단(11)에 상기 서브본체(20)에 구비된 체결걸림단(21)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놓고 끼워 체결시키면 상기 체결걸림단(21)이 체결단(11) 각각에 안정적으로 맞물려 일체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브본체(20)에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미끼보관함(30)이 구비되게 되는데, 이는 서브본체(20)와 미끼보관함(30)이 분리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하여 일체화시키기 위해 상기 서브본체(20)에 구비된 보관함체결부(22)에 상기 미 끼보관함(30)의 양측단에 구비된 보관함걸림부(31)을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놓고 끼워 체결시키면 상기 보관함걸림부(31)가 보관함체결부(22) 각각에 안정적으로 체결되어 일체화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미끼보관함(30)의 상단부에는 보관함덮개(32)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미끼보관함(30)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칠게와 같은 미끼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관함덮개(32)는 회동 가능하게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미끼보관함(30)의 후단부와 보관함덮개(32)가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게 이루는 것으로, 이는 보관함덮개(32)를 올려 개방한 다음 미끼보관함(30)의 내부에 미끼를 넣은 후에 보관함덮개(32)를 닫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관함덮개(32)의 외측 전단부에 결합공(32-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서브본체(20)에는 결합돌기(23)가 구비되어 있기에 상기 보관함덮개(32)에 구비된 결합공(32-1)이 결합돌기(23)를 삽입시켜 결합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는 보관함덮개(30)가 닫히는 과정에서 서브본체(20)에 구비된 결합돌기(23)가 결합공(32-1)에 삽입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관함덮개(32)를 열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결합돌기(23)를 밀면 결합공(32-1)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으로, 이는 결합돌기(23)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고, 이 합성수지재는 탄성력이 있기에 상기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룰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브본체(20)에는 충격보호부(24)가 구비되게 되는데, 이는 미끼 보관함(30)이 인양줄이나 다른 물질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전체적인 파손 및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충격보호부(24)가 미끼보관함(30)의 외측 이격된 위치에 하나 또는 둘 이상 서브본체(20)에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100)를 바다에 투입한 다음 일정한 시간 후에 끌어올려 인양하기 위해서는 상기 두족류 포획용 어구(100)를 인양줄에 설치시켜야 되는데, 이는 상기 메인본체(10)의 상단부에 구비된 인양줄끼움홈(12)에 인양줄을 끼운 다음 상기 인양줄끼움홈(12)에 끼워진 인양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끼움홈덮개(13)를 이용하여 덮어주면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인양줄을 끼우기 위해 종래와 같이 삽입공으로 실시하지 않고 측면에서 기울 수 있는 홈으로 형성시켜 별도의 덮개를 이용하여 덮도록 하는 것은 통상 하나의 연결된 인양줄에 다수의 두족류 포획용 어구가 끼워지게 되고, 이때 인양줄에 끼워진 어느 하나의 두족류 포획용 어구가 파손되거나 훼손될 경우 손쉽게 교체 및 교환이 가능하기 위한 것이다.
즉, 종래에 실시되는 삽입공에 인양줄이 끼워질 경우 파손 및 훼손된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제거하기 위해 해당 인양줄을 자르거나 절단해야되는 문제로 전체적인 인양줄을 복구해야되는 작업이 발생하게 되는 동시에 파손 및 훼손된 두족류 포획용 어구로 인해 두족류 수확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의해 인양줄끼움홈을 형성시킨 다음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별도의 끼움홈덮개를 구비시키면 파손 및 훼손된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용이하게 인양줄에서 분리시킨 다음 새로운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설치시킬 수가 있어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본체(10)의 하단부에는 일정한 무게를 갖도록 하는 무게부(14)가 구비되는데, 이는 전체적인 두족류 포획용 어구(100)가 바다에 투여될 시 해수 아래(바다의 밑바닥)로 용이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입구(101)가 바다의 밑바닥에 닿아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메인본체(10)와 서브본체(20)에는 필요에 따라 구멍(미도시)을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는 포획된 두족류의 호흡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실시하고 있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100)를 메인본체(10), 서브본체(20) 및 미끼보관함(30)으로 분리 구성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은 상기의 구성부 중에 어느 하나 파손 및 훼손될 경우 두족류 포획용 어구(100)의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파손 및 훼손된 것만 교환 및 교체를 가능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교환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두족류 포획용 어구(100)를 이루는 재질은 야간과 같이 어두운 상황에 두족류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야광을 발생시키는 형광물질을 포함시킨 합성수지재로 이룰 수가 있고, 두족류로 하여금 식별이 가능케 하는 입구(101)측 내부에 진주(眞珠)와 같은 유사한 색깔을 칠하여 두족류의 유인을 향상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고 있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100)의 구성에 있 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의 사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의 정면을 보여주는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의 측면을 보여주는 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실시하는 메인본체, 서브본체 및 끼움홈덮개를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두족류 포획용 어구를 인양줄에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본체 11 : 체결단
12 : 인양줄끼움홈 13 : 끼움홈덮개
14 : 무게부 20 : 서브본체
21 : 체결걸림단 22 : 보관함체결부
23 : 결합돌기 24 : 충격보호부
30 : 미끼보관함 31 : 보관함걸림부
32 : 보관함덮개 32-1 : 결합공
100 : 두족류 포획용 어구 101 : 입구

Claims (10)

  1. 두족류가 출입하는 입구를 일면에 지니고, 내구성이 우수한 복합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패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에 있어서,
    상기 패각 형상에는 두족류가 출입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본체와, 상기 두족류를 유인하기 위해 미끼를 보관하는 미끼보관함이 구비되어 있는 서브본체로 구분된 상태에서 결합되되, 상기 미끼보관함은 서브본체와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미끼보관함의 양측단에 보관함걸림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서브본체에는 보관함걸림부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보관함체결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미끼보관함에는 보관된 미끼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관함덮개가 구비되며, 상기 보관함덮개는 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보관함덮개의 외측 전단부에는 결합공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서브본체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인양줄을 끼울 수 있는 인양줄끼움홈이 구비되고, 상기 인양줄끼움홈에 끼워진 인양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끼움홈덮개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의 적정한 위치에는 다수의 체결단이 구비되고, 상기 서브본체의 양측면에는 메인본체에 구비된 다수의 체결단에 용이하게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걸림단이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본체의 하단부에는 일정한 무게를 갖도록 하는 무게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본체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미끼보관함의 파손 및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하도록 하는 충격보호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보호부는 미끼보관함의 외측 이격된 위치에 하나 또는 둘 이상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10. 두족류가 출입하는 입구를 일면에 지니고, 내구성이 우수한 복합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패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에 있어서,
    상기 패각 형상에는 두족류가 출입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본체와, 상기 미끼보관함이 구비되어 있는 서브본체로 구분된 상태에서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본체의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인양줄을 끼울 수 있는 인양줄끼움홈이 구비되고, 상기 인양줄끼움홈에 끼워진 인양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끼움홈덮개가 구비되며, 상기 메인본체의 적정한 위치에는 다수의 체결단이 구비되고, 상기 서브본체의 양측면에는 메인본체에 구비된 다수의 체결단에 용이하게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걸림단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메인본체의 하단부에는 일정한 무게를 갖도록 하는 무게부가 구비 되고,
    상기 서브본체에는 미끼보관함이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미끼보관함의 양측단에 보관함걸림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서브본체에는 보관함걸림부에 의해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 보관함체결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미끼보관함에는 보관된 미끼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관함덮개가 구비되며, 상기 보관함덮개의 외측 전단부에는 결합공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서브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본체에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미끼보관함의 파손 및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하도록 하는 충격보호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족류 포획용 어구.
KR1020070102984A 2007-10-12 2007-10-12 두족류 포획용 어구 KR100857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984A KR100857543B1 (ko) 2007-10-12 2007-10-12 두족류 포획용 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984A KR100857543B1 (ko) 2007-10-12 2007-10-12 두족류 포획용 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7543B1 true KR100857543B1 (ko) 2008-09-08

Family

ID=4002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984A KR100857543B1 (ko) 2007-10-12 2007-10-12 두족류 포획용 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5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846Y1 (ko) * 2003-12-11 2004-03-18 송희성 두족류 포획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846Y1 (ko) * 2003-12-11 2004-03-18 송희성 두족류 포획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17501A1 (en) Case structure for housing fishing hook and its fixing method
KR101041580B1 (ko) 낙지 포획용 통발
US9155291B1 (en) Time release bait cannister
KR101191278B1 (ko) 어로용 통발의 포획구
JP2006109836A (ja) 捕獲器
JP6351506B2 (ja) アライグマ捕獲用モジュール及びアライグマ捕獲装置
KR100877074B1 (ko) 지퍼를 형성한 어패류 육성망
KR100937908B1 (ko) 두족류 포획용 어구
KR20110112517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101453990B1 (ko)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AU2008203546A1 (en) Combination lobster, crayfish and crab trap
KR100857543B1 (ko) 두족류 포획용 어구
Iriarte et al. Implementation of exclusion devices to mitigate seal (Arctocephalus australis, Otaria flavescens) incidental mortalities during bottom-trawling in the Falkland Islands (Southwest Atlantic)
KR200363331Y1 (ko) 두족류 포획구
KR200344846Y1 (ko) 두족류 포획구
KR100846059B1 (ko) 두족류 포획구
KR20100000836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20110056603A (ko) 어류 포획용 통발
KR200452503Y1 (ko) 소라 포획구
CA2624435A1 (en) Live bait trap and bucket
KR102147622B1 (ko) 미끼통 및 이를 구비하는 통발 장치
KR101594741B1 (ko) 전복 통발
KR200364111Y1 (ko) 살림망 일체형 낚시 보조가방.
KR101285873B1 (ko) 통발용 차폐구 및 이를 사용한 통발
KR200283360Y1 (ko) 통발용 미끼 수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