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314B1 -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 - Google Patents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314B1
KR100857314B1 KR1020070010061A KR20070010061A KR100857314B1 KR 100857314 B1 KR100857314 B1 KR 100857314B1 KR 1020070010061 A KR1020070010061 A KR 1020070010061A KR 20070010061 A KR20070010061 A KR 20070010061A KR 100857314 B1 KR100857314 B1 KR 100857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hrink
water film
shrink tube
tube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769A (ko
Inventor
안기용
정병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314B1/ko
Publication of KR20080071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B29C61/025Thermal shrinking for the production of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팽창관은 열수축 튜브가 연속적으로 통과되면서 팽창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열수축 튜브 통로가 구비된 팽창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관 몸체에는 상기 열수축 튜브 통로에 음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열수축 튜브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천공된 진공홀과, 상기 열수축 튜브 통로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홀의 천공 지점과 중첩되지 않는 지점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수막홀이 구비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수막홀은 상호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막을 이용하여 열수축 튜브와 팽창관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므로 윤활제 등의 사용으로 인한 오염물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열수축 튜브의 연신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막을 형성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면 열수축 튜브 냉각도 가능하다는 부수적 효과도 있다. 나아가 수막홀과 진공홀의 형태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열수축 튜브, 팽창관, 수막홀, 진공홀, 수막

Description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Water membrane type expansion tube for heat shrinkable tub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수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이 도입된 열수축 튜브 제조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이 팽창장치에 체결된 상태에서 열수축 튜브의 팽창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팽창관 110 : 수막홀
111 : 수막용 물 공급관 112 : 수막홀 밀봉캡
120 : 진공홀 130 : 어댑터
140 : 체결부
본 발명은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수축 튜브의 팽창공정에서 열수축 튜브와 팽창관 내벽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열수축 튜브의 연신편차를 줄일 수 있는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에 관한 것이다.
열수축 튜브는 가교(cross link) 된 폴리머(polymer)의 메모리 효과를 이용한 제품으로서, 열을 가하면 팽창 전의 직경으로 수축하는 고분자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열수축 튜브는 제품에 따라 직경 방향으로 33% 내지 75%이상 수축되고 길이방향으로도 일정량이 수축되어 대상물에 정확히 밀착하여 절연보호, 선심식별, 부식방지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열 수축 튜브는 수축 후 용융이나 변형이 없고 일반 가열에 의해 쉽게 수축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며 내열성, 내한성, 내 화학성, 난연성이 우수하다.
열수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합성수지 원료를 혼합하여 섞은 필렛(Pellet) 형태의 컴파운드를 압출기에 넣고 용융시킨 후 원형 튜브의 형상으로 압출한다. 그런 다음 원형 튜브의 내부로 열전자를 가속시켜 주입하여 튜브를 구성하는 폴리머 내에 고분자 체인의 레디컬(Radical)을 생성시킨 후 가교 결합을 일으켜 형상을 기억시킨다. 형상이 기억된 원형 튜브는 다시 팽창하기에 충분한 온도로 가열된 후, 진공압력 및 공기압에 의해 소망하는 직경의 튜브로 팽창시킨다. 이렇게 팽창된 튜브는 제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최종적으로 권취된다.
상기한 바에 따라 제조된 열수축 튜브의 품질은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여 수축시켰을 때 길이방향의 수축율 편차를 토대로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수축율이란 특정길이의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여 수축시켰을 때 수축 전의 길이에 대한 수축 후의 길이 비이다. 그리고 수축율 편차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N개의 열수축 튜브에 대하여 각각의 수축율을 구한 후 최고 수축율과 최저 수축율의 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수축율 편차가 작을수록 길이방향의 연신편차가 작은 양품의 열수축 튜브라고 볼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열수축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팽창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팽창장치(35)는 다수의 진공홀(12)이 형성된 팽창관(11)과, 팽창관(11) 외벽에 진공 분위기를 형성하여 진공홀(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 챔버(14)와, 팽창관(11)의 외벽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팽창관(11)을 냉각시키는 냉각노즐(13)과, 진공 챔버(14)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기로 배출하여 진공 챔버(14) 내부에 진공 분위기를 형성하는 진공 펌프(15)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20℃로 가열된 열수축 튜브(1)는 어댑터(13)를 통해서 팽창관(11) 내부로 연속적으로 유입된다. 팽창관(11)을 통과하는 열수축 튜브(1)는 진공홀(12)을 통해 인가되는 진공력에 의해 팽창관(11) 내벽까지 팽창된다. 한편 냉각노즐(13)은 약 8℃의 냉각수를 팽창관(11)의 외벽에 분사하여 고온의 열수축 튜브(1)가 통과됨에 따라 온도가 상승한 팽창관(11)을 냉각시킨다. 이에 따라, 열수축 튜브(1)는 팽창 및 냉각이 이루어지고, 팽창장치(35)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열수축 튜브(1)의 팽창 공정이 완료된다.
그런데 열수축 튜브(1)는 팽창장치(35)에 의해 팽창되어 인출되는 과정에서 연신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 이유는 팽창관(11)을 통과하는 열수축 튜브(1)에 반경 방향으로 팽창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 열수축 튜브(1)를 인취하려는 인취부(미도시)의 인장력이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열수축 튜브(1)와 팽창관(11)의 내벽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고, 이 마찰력은 열수축 튜브(1)의 인출을 방해하게 되어 열수축 튜브(1)는 길이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연신이 된다. 그 결과 제품화된 열수축 튜브(1)를 수축시키면 길이 방향으로 수축율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열수축 튜브 표면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방법, 진공 챔버 내부의 진공도를 조정하는 방법, 열수축 튜브 통로 내벽을 표면 처리하여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는 방법 등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윤활제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와 부적절한 진공도에 의한 열수축 튜브의 불완전한 팽창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마찰계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표면 처리를 행하면 팽창관의 장시간 사용에 의해 표면 처리 효과가 저감되므로 마찰력을 균일하게 저감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는 열수축 튜브가 팽창되어 인출되는 공정에서 팽창에 따른 마찰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열수축 튜브를 인출함으로써 연신편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열수축 튜브 외면과 팽창관 내면 사이에 수막을 형성하여 팽창관과 열수축 튜브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은, 열수축 튜브를 팽창 및 냉각시키는 팽창장치에 체결되는 팽창관에 있어서, 열수축 튜브가 연속적으로 통과되면서 팽창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열수축 튜브 통로가 구비된 팽창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관 몸체에는 상기 열수축 튜브 통로에 음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열수축 튜브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천공된 진공홀과, 상기 열수축 튜브 통로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홀의 천공 지점과 중첩되지 않는 지점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방사 상으로 형성된 수막홀이 구비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수막홀은 상호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막홀로 인가되는 물의 압력이 상기 진공홀로 인가되는 음압보다 크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팽창관 몸체 상부에는 상기 팽창장치 입구 측에 팽창관 몸체를 체결시키는 체결부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팽창관 몸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다수의 수막홀과 교차되어 각각의 수막홀에 수막용 물을 공급하는 수막용 물 공급관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막홀은 일단은 열수축 튜브 통로 측으로 타단은 팽창관 몸체의 외측면으로 개방된 천공홀이고, 상기 팽창관 몸체의 외벽에 면한 수막홀의 일단을 밀봉하는 수막홀 밀봉캡이 더 포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이 도입된 열수축 튜브 제조 설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열수축 튜브 제조 설비는 공급롤(10), 가열부(20), 팽창장치(30), 인취부(40) 및 권취롤(50)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공급롤(10)에 권취된 열수축 튜브(1)는 인취부(40)의 구동에 의해 송출되면서 가열부(20)를 거쳐 약 120℃ 정도로 가열된다. 이렇게 가열된 열수축 튜브(1)는 팽창장치(30) 내로 인입되어 직경 및 길이가 팽창 및 연신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열수축 튜브(1)는 가이드롤과 인취부(40)를 따라 권취롤(50)에 권취되어 열수축 튜브(1) 제품이 만들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은, 팽창관 몸체(100)와, 팽창관 몸체(100)의 열수축 튜브(1) 인입구 측에 설치된 어댑터(130)와, 팽창관 몸체(100)의 중심축을 따라 마련되어 열수축 튜브(1)가 연속적으로 통과되는 열수축 튜브 통로(150)와, 팽창관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천공된 진공홀(120)과, 상기 팽창관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 진공홀(120) 사이에 방사형으로 천공된 수막홀(110)과, 상기 수막홀(110)의 양단 중 팽창관 몸체(100)의 외벽에 면한 일단을 밀봉하는 수막홀 밀봉캡(112)과, 팽창관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막홀(110)과 교차되어 각각의 수막홀(110)에 수막용 물을 공급하는 수막용 물 공급관(111)과, 상기 팽창관 몸체(100)를 스크루 조임에 의해 팽창장치(30)와 체결하는 체결부(140)를 포함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관 몸체(100)는 체결부(140)의 스크루 조임에 의해 팽창장치(30) 내부에 체결된다. 상기 팽창관 몸체(100)의 내측에는 팽창관 몸체(100)의 중심축을 따라 열수축 튜브(1)가 통과되는 열수축 튜브 통로(150)가 마련된다. 이 때 열수축 튜브 통로(150)의 직경은 인입되는 열수축 튜브(1)의 직경보다 크다. 팽창관 몸체(10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천공된 진공홀(120)이 구비된다. 진공홀(120)의 일단은 팽창관 몸체(100)의 내측면에, 그리고 진공홀(120)의 타단은 팽창관 몸체(100)의 외측면에 면한다. 상기 진공홀(120)은 팽창장치(30)에서 가해지는 진공력을 열수축 튜브 통로(150)로 인가한다.
상기 팽창관 몸체(100)에는 진공홀(120) 이외에 수막홀(11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수막홀(110)은 진공홀(120)과 마찬가지로 팽창관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이 때 각 수막홀(110)의 일단은 팽창관 몸체(100)의 내측 벽과 면하고 타단은 팽창관 몸체(100)의 외측면과 면한다. 도면에서, 수막홀(110)은 진공홀(120)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막홀(110)은 외부에서 공급된 수막용 물을 열수축 튜브 통로(150) 내로 유입시켜 열수축 튜브 통로(150)의 내측면과 팽창된 열수축 튜브(1) 사이에 수막을 형성하여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작용을 한다.
한편, 팽창관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각각의 수막홀(110)은 팽창 관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막용 물 공급관(111)과 교차된다. 따라서 수막용 물 공급관(111)은 소정 압력이 인가된 물을 팽창관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 수막홀(110)에 동시에 공급한다. 여기서 수막용 물에 인가되는 압력은 열수축 튜브(1)를 팽창하기 위해 인가되는 음압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막홀 밀봉캡(112)은 팽창관 몸체(100)의 외벽에 면한 수막홀(110)의 일단을 밀봉한다. 수막홀 밀봉캡(112)은 수막용 물 공급관(111)으로부터 수막형성을 위해 공급되는 물이 팽창관 몸체(100)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는다. 한편 수막홀(11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팽창관 몸체(100)의 외주면과 면한 수막홀(110)의 일단이 개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수막홀 밀봉캡(112)은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어댑터(130)는 상기 팽창관 몸체(100) 인입구 측에 설치되어 열수축 튜브 통로(150)로 인입되는 열수축 튜브를 가이드한다. 어댑터(130)의 내측면과 열수축 튜브(1)의 간격은 임의로 조절 가능하다. 이러한 간격 조절을 통해 열수축 튜브 통로(15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팽창장치(30) 내부의 진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어댑터(130)는 마찰계수가 작고 내마모성이 우수한 테프론 재질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어댑터(130) 재질의 종류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체결부(140)는 나사탭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이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체결부(140)는 상기 팽창장치(30)에 팽창관 몸체(100)를 기밀하게 체결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이 팽창장치에 체결된 상태에서 열수축 튜브의 팽창 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수 직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은 팽창관 몸체(100) 외벽에 진공 분위기를 형성하여 진공홀(12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 챔버(31)와, 팽창관 몸체(100)의 외벽에 냉각수를 분사하여 팽창관 몸체(100)를 냉각시키는 냉각노즐(32)과, 상기 진공 챔버(31)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기로 배출하여 진공 챔버(31) 내부에 진공 분위기를 형성하는 진공 펌프(33)로 구성된 팽창장치(30) 내부에 체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관 몸체(100)는 팽창관 몸체(100) 상부에 위치한 체결부(140)를 팽창장치(30)에 체결하여 팽창장치(30) 내에 설치 고정된다. 이어서, 가열부(20)를 거쳐 약 120℃ 정도로 가열된 열수축 튜브(1)가 어댑터(130)를 통해서 팽창관 몸체(100)로 인입된다. 인입된 열수축 튜브(1)는 팽창관 몸체(100) 내부에 구비된 열수축 튜브 통로(150)를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팽창관 몸체(100)는 인입된 열수축 튜브(1)가 팽창될 수 있도록 팽창관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열수축 튜브 통로(150)와 외부가 천공된 진공홀(1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일부 진공홀(120) 사이에 수막홀(110)을 구비하여 열수축 튜브 통로(150) 내측 벽과 열수축 튜브(1) 외면 사이에 수막을 형성한다.
상기 진공 챔버(30)는 팽창관 몸체(100) 외벽에 진공 분위기를 형성하고, 진공홀(120)을 통해 열수축 튜브 통로(150)에 진공력을 인가하여 열수축 튜브(1)를 팽창시킨다. 고온의 열수축 튜브(1)가 이동함에 따라 온도가 상승한 팽창관 몸체(100)는 진공 챔버(31) 내에 설치된 냉각노즐(32)이 팽창관 몸체(100)를 향해 냉 각수를 분사하여 냉각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수막용 물 공급관(111)을 통해 특정 압력이 인가된 물이 수막홀(110)로 공급된다. 공급된 물은 수막홀(110)을 통해 열수축 튜브 통로(150)로 유입된다. 유입된 물은 열수축 튜브 통로(150)를 이동하는 열수축 튜브(1) 외면과 열수축 튜브 통로(150) 내벽 사이에 수막을 형성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이때, 팽창관 몸체(100) 외벽으로 이어진 수막홀(110)에 수막홀 밀봉캡(112)을 구비하여, 수막용 물이 진공 챔버(31)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막용 물은 상기 수막용 물 공급관(111)을 통해서 공급된다. 공급된 물은 수막용 물 공급관(111)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수막용 물 공급관(111)과 교차되는 모든 수막홀(110)을 통해서 특정 수압(P)으로 수막용 물이 열수축 튜브 통로(150)에 유입된다. 유입된 물은 열수축 튜브 통로(150) 내벽과 열수축 튜브(1) 외면 사이에 수막(113)을 형성한다. 한편, 열수축 튜브 통로(150)에는 진공 챔버(31)로부터 음압(N)이 인가되므로 열수축 튜브 통로(150)를 통과하는 열수축 튜브(1)는 열수축 튜브 통로(150)의 내벽 지점까지 팽창된다. 여기서, 진공 챔버(31)로부터 인가되는 음압(N)이 수막용 물의 수압(P)보다 크면 열수축 튜브 통로(150) 내벽과 열수축 튜브(1) 외면 사이에 수막(113)을 형성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수막홀(110)을 통해 열수축 튜브 통로(150)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P)은 진공홀(120)을 통해 열수축 튜브 통로(150)로 인가되는 음압(N)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막을 이용하여 열수축 튜브와 팽창관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므로 윤활제 등의 사용으로 인한 오염물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열수축 튜브의 연신편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막을 형성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면 열수축 튜브 냉각도 가능하다는 부수적 효과도 있다. 나아가 수막홀과 진공홀의 형태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열수축 튜브를 팽창 및 냉각시키는 팽창장치에 체결되는 팽창관에 있어서,
    열수축 튜브가 연속적으로 통과되면서 팽창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열수축 튜브 통로가 구비된 팽창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관 몸체에는 상기 열수축 튜브 통로에 음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열수축 튜브 통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천공된 진공홀과, 상기 열수축 튜브 통로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진공홀의 천공 지점과 중첩되지 않는 지점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된 수막홀이 구비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수막홀은 상호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홀로 인가되는 물의 압력이 상기 진공홀로 인가되는 음압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관 몸체 상부에는 상기 팽창장치 입구 측에 팽창관 몸체를 체결시키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관 몸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된 다수의 수막홀과 교차되어 각각의 수막홀에 수막용 물을 공급하는 수막용 물 공급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막홀은 일단은 열수축 튜브 통로 측으로 타단은 팽창관 몸체의 외측면으로 개방된 천공홀이고, 상기 팽창관 몸체의 외벽에 면한 수막홀의 일단을 밀봉하는 수막홀 밀봉캡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
KR1020070010061A 2007-01-31 2007-01-31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 KR100857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061A KR100857314B1 (ko) 2007-01-31 2007-01-31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061A KR100857314B1 (ko) 2007-01-31 2007-01-31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769A KR20080071769A (ko) 2008-08-05
KR100857314B1 true KR100857314B1 (ko) 2008-09-05

Family

ID=3988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061A KR100857314B1 (ko) 2007-01-31 2007-01-31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3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6499A (ja) * 1994-04-11 1995-10-24 Hitachi Cable Ltd 熱収縮性チューブ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40075265A (ko) * 2003-02-20 2004-08-27 엘지전선 주식회사 마찰력 저감을 위한 열수축 튜브용 진공챔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6499A (ja) * 1994-04-11 1995-10-24 Hitachi Cable Ltd 熱収縮性チューブ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40075265A (ko) * 2003-02-20 2004-08-27 엘지전선 주식회사 마찰력 저감을 위한 열수축 튜브용 진공챔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769A (ko) 200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3107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rmoplastic tubes
US331387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wo-dimensional stretching of thermoplastic film, plate and pipe
KR100472979B1 (ko) 이축연신에 의한 플라스틱 튜브 제조 방법과 장치 및 이에 따라제조된 플라스틱 튜브
IL29315A (en) Production of cylindrical sheets
US3320637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rmoplastic pipes
US3445891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ilm from thermoplastic resinous film-forming materials
US3554999A (en) Method of making a shrink device
KR100857314B1 (ko) 수막형 열수축 튜브 팽창관
EP0028450A2 (en) Manufacture of thermoplastics pipe
JP2008307823A (ja) 熱収縮性チューブ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US3307219A (en) Manufacture of plastic film
US3302241A (en) Apparatus for preparation of plastic tubes
JPH11314272A (ja) 管継手形成方法及び装置
US20030017285A1 (en) Heat shrinkable film and jacket
US3716320A (en) Apparatus for producing flat film from thermoplastic material
US3427638A (en) Automatic device for producing expanded tubing
US3311679A (en) Process for orienting tubular films of polymeric material
US2642622A (en) Continuous vulcanizing apparatus
EP4375556A1 (en) Tubing for an electrolysis or hydrolysis cell
JPS612523A (ja) 熱収縮チュ−ブ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SU874382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двухосноориентированных полимерных рукавных пленок
CN209955285U (zh) 一种管件生产用热吹塑模具
JPS63317319A (ja) 架橋型熱収縮管の連続製造装置
KR100508106B1 (ko) 열수축 튜브용 진공도 자동조절 팽창관 어뎁터
JP2016016615A (ja) ライナー材、ライナー材の製造方法および施工方法、並びにその施工方法に用いる加熱冷却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