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166B1 -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7166B1
KR100857166B1 KR1020060119283A KR20060119283A KR100857166B1 KR 100857166 B1 KR100857166 B1 KR 100857166B1 KR 1020060119283 A KR1020060119283 A KR 1020060119283A KR 20060119283 A KR20060119283 A KR 20060119283A KR 100857166 B1 KR100857166 B1 KR 100857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key
center
opening
input devic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8826A (ko
Inventor
최민웅
정호철
임성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9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7166B1/ko
Publication of KR20080048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7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24Key guide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가 개시된다.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센터키와, 케이스에 고정되어 센터키를 지지하며 센터키가 개구부의 중심에서 이탈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센터키를 중심으로 복귀하게 하는 탄성부재와, 센터키의 이동을 검출하여 이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는 부피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한 입력이 가능하다.
입력장치, 단말기, 홀 소자

Description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INPUTT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탄성부재, 마그네트 및 센터키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에서 센터키가 개구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에서 센터키가 개구부의 중앙에서 편심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a는 센터키가 하향 이동하여 돔버튼을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b는 수평 이동한 센터키가 하향 이동하여 돔버튼을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가 구비된 휴대 컴퓨터의 사시도.
<도면 부호의 설명>
10: 입력장치 11: 센터키
13: 몸통부 15: 헤드부
17: 삽입홈 19: 케이스
21: 개구부 23, 25: 간격
27: 단턱 31: 지지부
33: 탄성부재 35: 수용홈
37: 지지암 39: 둘레부
41: 이동부 43: 회로기판
49: 돔버튼 51: 홀소자
53: 마그네트 55: 가압부재
본 발명은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 즉 휴대 전화기, 휴대 컴퓨터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많은 전자 기기에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에서 커서(cursor) 또는 포인 터(pointer)를 해당 메뉴 또는 아이콘이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이를 실행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인식하고 이를 커서 또는 포인터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라는 명령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다.
최근 휴대용 전화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와 같은 휴대 단말기들은 사진 또는 동영상의 촬영, 재생 및 편집, 위성 방송의 수신, 음악 파일의 재생 또는 편집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을 구비하고,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마우스와 같이 포인터 또는 커서 등을 2차원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개인용 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광 마우스(optical mouse) 등은 부피가 커서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적용되는 입력장치로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센터키와, 케이스에 고정되어 센터키를 지지하며 센터키가 개구부의 중심에서 이탈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센터키를 중심으로 복귀하게 하는 탄성부재와, 센터키의 이동을 검출하여 이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실시 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터키는 탄성부재와 결합하는 몸통부 및 몸통부의 일면에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고, 개구부의 내주면과 헤드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는 케이스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헤드부는 개구부의 지름에 비해 작은 원형의 단면을 갖을 수 있다. 개구부는 몸통부에 의해 항상 밀폐될 수 있다.
이동 감지부는 센터키와 일체로 이동하는 마그네트와, 마그네트의 이동을 감지하는 홀 센서일 수 있으며, 탄성부재의 일면에는 마그네트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센터키에는 수용홈에 끼워 맞춤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의 이면에는 회로기판이 고정되어 있으며, 회로기판의 일면에는 돔버튼이 구비되어 센터키의 이동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는 하향 돌출된 복수 개의 지지부를 구비하고, 회로기판은 지지부의 일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센터키와 결합하는 이동부와, 이동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동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암과, 케이스의 이면에 고정되는 둘레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부의 상면은 케이스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거나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입력장치를 포함하고,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가 구비된 휴대 전화기(6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전화기(60)는 입력장치(10)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부(61)와 입력장치(10)에 의해 입력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65)를 구비한 디스플레이부(63)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부(61)의 외체를 이루는 케이스(19)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21)에는 센터키(11)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사용자는 입력장치(10)의 센터키(11)를 2차원적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63) 상에서의 포인터(67)가 센터키(11)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포인터(67)가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콘(69)에 위치하는 경우 센터키(11)를 눌러서 해당 아이콘(69)의 기능을 실행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로 인해 휴대 전화기(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정보를 더욱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센터키(11), 마그네트(53) 및 탄성부재(3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휴대 전화기(60)의 케이스(19)에 형성된 개구부(2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센터키(11), 센터키(11)를 지지하는 탄성부재(33), 센터키(11)와 일체로 이동하는 마그네트(53), 케이스(19)에 고정되는 회로기판(43)을 구비한다. 그리고 회로기판(43) 상에는 돔버튼(49)이 구비되어 있으며, 돔버튼(49)은 가압부재(55)와 접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는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고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19)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장치(10) 전체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입력장치(10)의 센터키(11), 탄성부재(33), 회로기판(43)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19)를 이용하기 때문에 하우징이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센터키(1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9)의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의 손 등과 직접 접촉하여 2차원적으로 이동한다. 센터키(11)는 원판 형상을 가지는 몸통부(13)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된 헤드부(15)를 구비한다. 그리고 센터키(11)의 이면에는 삽입홈(17)이 구비되어 있다.
헤드부(15)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몸통부(13)에서 일정 높이 만큼 돌출되어 있다. 헤드부(15)의 외주면과 케이스(19)에 형성된 개구부(21)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23)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15)는 이 간격(23)에 의해 2차원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헤드부(15)의 단면 형상은 개구부(21)의 형상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본 실시 예에서 개구부(21)의 형상이 원형이므로 헤드부(15)도 이에 대응하여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물론, 개구부(21)의 형상은 디스플레이의 사양 또는 단말기 전체의 사양에 따라서 타원형 또는 정다각형 등으로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몸통부(13)는 헤드부(15)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19)의 이면과 접한다. 몸통부(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을 갖는다. 몸통부(13)의 이면은 탄성부재(33)와 접하고 있다. 몸통부(13)와 케이스(19) 사이에도 간격(25)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통부(13)는 간격(25)을 통해서 2차원적으로 이동한다. 몸통부(13)는 센터키(11)의 이동에도 항상 케이스(19)의 이면과 접하는데, 이로 인해 센터키(11)가 이동하더라도 개구부(21)를 통해 이물질이 휴대 단말기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센터키(11)가 입력장치(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센터키(11)의 이면에는 삽입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17)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33)의 이동부(41)가 삽입된다. 그리고 이동부(41)에는 마그네트(53)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센터키(11)의 이동에 따라 마그네트(53)도 센터키(11)와 일체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헤드부(15)의 상면(16)은 커버(19)의 상면과 실질적으 로 동일한 평면에 있거나 약간 낮게 위치한다. 이로 인해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화기(60)의 본체부(61)와 디스플레이부(63)가 포개어질 때, 헤드부(15)의 상면(16)이 디스플레이부(63)에 의해 가압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케이스(19)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부 또는 디스플레이부 등과 같이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9)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센터키(11)의 헤드부(15) 및 몸통부(13)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개구부(21)의 일측에는 단턱(27)이 형성되어 있는데, 단턱(27)을 경계로 하여 헤드부(15)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과 몸통부(13)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이 나뉜다. 케이스(19)의 하면(29)에는 지지부(31)가 하향 돌출되어 있다. 지지부(31)는 케이스(19)를 회로기판(43)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케이스(19)의 하면(29)에는 탄성부재(33)의 둘레부(39)가 고정되어 있다.
탄성부재(33)는 센터키(11)와 결합되어 센터키(1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센터키(11)가 개구부(21)의 중앙에서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부재(33)의 지지암(37) 중 일부가 신장되어 센터키(11)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센터키(11)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할 수 있게 한다. 탄성부재(33)는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료에 의해 제작되며 프레스(press)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33)는 센터키(11)의 삽입홈(17)에 삽입되는 이동부(41), 케이스(19)의 하면(29)에 고정되는 둘레부(39) 그리고 이동부(41) 및 둘레부(39)를 상호 연결하며 이동부(41)가 이동하는 경우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지지암(37)을 포 함한다.
이동부(41)는 센터키(11)의 삽입홈(17)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는 수용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35)에는 마그네트(53)가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센터키(11)를 움직이면 이에 연동하여 마그네트(53) 및 이동부(41)가 일체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동부(41)의 이면에는 가압부재(55)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암(37)은 이동부(41)의 외주면과 둘레부(39)의 내주면을 연결하며, 이동부(41)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키(11)가 이동하는 경우, 이동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지지암(37a)은 수축하고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있는 지지암(37b)은 신장하여 센터키(11)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둘레부(39)는 전체적으로 링(ring) 형상을 가지고 케이스(19)의 이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 인해 마그네트(53) 및 센터키(11)가 개구부(21)에 대해 지지된다.
회로기판(43)은 지지부(31)에 의해서 케이스(19)와 결합한다. 그리고 회로기판(43)의 상면(45)에는 돔버튼(49)이 구비되어 있는데, 돔버튼(49)은 가압부재(55)에 의해 가압되어 일정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회로기판(43)의 하면(47)에는 홀 소자(51)가 구비되어 있다. 홀 소자(51)는 마그네트(53)의 이동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마그네트(53) 및 이와 일체로 이동하는 센터키(11)의 이동을 감지한 후 기전력을 발생하여 외부의 제어장치에 전달한다.
홀 소자(51)를 대시하여 MR 센서 또는 GMR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MR 센서 또는 GMR 센서는 자계의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소자로서, 고체속의 캐리어 진로가 전자력에 의해 휘어져 길어지기 때문에 저항이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MR 센서 또는 GMR 센서는 크기가 작고 신호 레벨이 클 뿐만 아니라 민감도가 우수하여 저자계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온도 안정성(temperature stability)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마그네트(53) 및 홀 소자(51)는 센터키(11)의 이동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이동 감지부를 구성한다. 물론, 이동 감지부는 위치센서 등을 이용하거나 광 마우스와 같이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10)에서 정보의 입력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센터키(11)가 개구부(21)의 중앙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4b는 센터키(11)가 개구부(21)의 중앙에서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센터키(11)는 개구부(21)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때 모든 지지암(37)은 수축되거나 신장되지 않고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때 사용자 등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면 센터키(11)는 개구부(21)에서 2차원적으로 이동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키(11)가 이동하는 방향에 있는 지지암(37a)은 수축하고 그 반대 방향에 있는 지지암(37b)은 신장하여 센터키(11)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센터키(11)와 함께 마그네트(53)가 이동 하면 자기장의 변화가 발생하며, 이를 홀 소자(51)가 검출한 후 기전력을 발생시켜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한다.
도 5a는 개구부(21)의 중앙에 위치한 센터키(11)가 눌려졌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개구부(21)의 중앙에서 이탈한 센터키(11)가 눌려졌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 등에 의해 센터키(11)가 눌려지는 경우 센터키(11)및 탄성부재(33)의 이동부(41)가 하향 이동하고, 이동부(41)의 이면에 고정되어 있는 가압부재(55)가 돔버튼(49)을 가압한다. 이때 탄성부재(33)의 지지암(37)은 신장되어 센터키(1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둘레부(39)는 케이스(19)의 하면(29)에 부착되어 있어서 이동하지 않는다. 돔버튼(49)이 눌려짐으로써 일정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서 메뉴 기능의 활성화, MP3 플레이어 기능의 실행, 동영상 재생 등과 같은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돔버튼(49)이 가압되는 회수에 따라서 그 기능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돔버튼(49)이 1회 가압되는 경우 MP3 플레이어 기능이 활성화되고, 2회 연속으로 가압되는 경우 동영상 재생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센터키(11)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지지암(37)의 탄성력 및 돔버튼(49)의 탄성력에 의해 센터키(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 등에 의해 센터키(11)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구부(21)의 중심에서 이탈한 상태에서 가압되는 경우, 센터키(11) 및 탄성부 재(33)의 이동부(41)는 하향 이동하면서 돔버튼(49)을 가압한다. 이때 가압부재(55)는 돔버튼(49)에 대향하는 면이 편평하기 때문에 센터키(11)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항상 돔버튼(49)을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센터키(11)의 이동에 의해서도 몸통부(13)는 항상 개구부(21)를 밀폐하고 있기 때문에 개구부(21)를 통해 입력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센터키(1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다른 입력장치(10)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6에는 휴대 단말기로서 휴대용 컴퓨터(70)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컴퓨터(70)는 입력장치(10)가 구비되어 있는 본체부(71) 및 입력장치(10)에 의해 입력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75)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73)를 구비한다. 본체부(71)의 상면에 해당하는 케이스(19)에는 개구부(21)가 구비되어 입력장치(10)의 센터키(11)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종래에는 휴대용 컴퓨터(7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광마우스(도시하지 않음)를 휴대해야 했지만, 본 실시 예에 따른 입력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정보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되었다.
이상에서는 휴대 단말기로서 휴대 전화기(60) 및 휴대용 컴퓨터(70)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60)의 본체부(61) 및 휴대용 컴퓨터(70)의 본체부(71)에 입력장치(10)가 구비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부(63, 73)에도 입력장치(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에서 본체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별도로 구별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예와 수정 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에 적용되는 입력장치로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센터키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센터키를 지지하며 상기 센터키가 상기 개구부의 중심에서 이탈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센터키를 상기 중심으로 복귀하게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센터키의 이동을 검출하여 이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키는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일면에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과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몸통부에 의해 항상 밀폐되어 있는 입력장치.
  5.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센터키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센터키를 지지하며 상기 센터키가 상기 개구부의 중심에서 이탈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센터키를 상기 중심으로 복귀하게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센터키의 이동을 검출하여 이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감지부는 상기 센터키와 일체로 이동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이동을 감지하는 홀 센서인 입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터키에는 상기 수용홈에 끼워 맞춤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입력장치.
  7. 삭제
  8.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센터키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센터키를 지지하며 상기 센터키가 상기 개구부의 중심에서 이탈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센터키를 상기 중심으로 복귀하게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센터키의 이동을 검출하여 이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이면에는 회로기판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는 돔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센터키의 이동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는 하향 돌출된 복수 개의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입력장치.
  9.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센터키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센터키를 지지하며 상기 센터키가 상기 개구부의 중심에서 이탈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센터키를 상기 중심으로 복귀하게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센터키의 이동을 검출하여 이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센터키와 결합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암과,
    상기 케이스의 이면에 고정되는 둘레부로 이루어지는 입력장치.
  10.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센터키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센터키를 지지하며 상기 센터키가 상기 개구부의 중심에서 이탈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센터키를 상기 중심으로 복귀하게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센터키의 이동을 검출하여 이에 해당하는 입력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이동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키는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일면에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과 상기 헤드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부의 상면은 상기 케이스 상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거나 낮게 위치하는 입력장치.
  11. 제4항, 제5항, 제6항, 제8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60119283A 2006-11-29 2006-11-29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857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283A KR100857166B1 (ko) 2006-11-29 2006-11-29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283A KR100857166B1 (ko) 2006-11-29 2006-11-29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826A KR20080048826A (ko) 2008-06-03
KR100857166B1 true KR100857166B1 (ko) 2008-09-05

Family

ID=3980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283A KR100857166B1 (ko) 2006-11-29 2006-11-29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71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001B1 (ko) * 2007-10-24 2009-06-2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촉각센서를 이용한 슬림형 마우스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264A (ko) * 2004-03-11 2005-09-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용 방향입력장치
KR20050100622A (ko) * 2003-01-20 2005-10-19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포인팅 디바이스
WO2006033862A2 (en) 2004-09-16 2006-03-30 Agilent Technologies, Inc. Pointing device with extended travel
KR20060046385A (ko) * 2004-06-01 2006-05-17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포인팅 디바이스용 키 시트 및 포인팅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622A (ko) * 2003-01-20 2005-10-19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포인팅 디바이스
KR20050091264A (ko) * 2004-03-11 2005-09-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용 방향입력장치
KR20060046385A (ko) * 2004-06-01 2006-05-17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포인팅 디바이스용 키 시트 및 포인팅 디바이스
WO2006033862A2 (en) 2004-09-16 2006-03-30 Agilent Technologies, Inc. Pointing device with extended tra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826A (ko) 2008-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0841B2 (ja) 入力装置
US10754437B2 (en) Wrist-wor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KR101120266B1 (ko) 가변 위치 케이퍼빌리티를 갖는 키
US9629268B2 (en) Mobile terminal
KR101513785B1 (ko) 터치 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커맨드들을 변경하는 방법
US9729688B2 (en) Mobile terminal
US8749493B2 (en)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TW201229830A (en) Multi-direction input device
KR100816713B1 (ko) 입력장치
US20020061735A1 (en) Control device
JP4500829B2 (ja) 入力装置
CN106094977A (zh) 盖及包括该盖的电子装置
CN103984433B (zh) 用于控制触摸键操作的方法和设备
KR102445940B1 (ko) 전자 장치
KR100857166B1 (ko)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110286829B (zh) 电子设备及其处理方法
CN101971276B (zh) 复合开关以及具有该复合开关的便携设备
KR101160942B1 (ko) 복합 포인팅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20090168338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N219978506U (zh) 触控笔的检测模组以及电子设备
KR20160129665A (ko) 커버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0857171B1 (ko) 회전식 입력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857173B1 (ko) 회전식 입력장치
KR100857168B1 (ko) 회전식 입력장치
AU2007101095B4 (en)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