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817B1 -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6817B1 KR100856817B1 KR1020060034387A KR20060034387A KR100856817B1 KR 100856817 B1 KR100856817 B1 KR 100856817B1 KR 1020060034387 A KR1020060034387 A KR 1020060034387A KR 20060034387 A KR20060034387 A KR 20060034387A KR 100856817 B1 KR100856817 B1 KR 1008568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groove
- retaining wall
- blocks
- te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89—Geo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고 블록 윗면에 가로 및 세로의 배수홈을 형성하여 블록 배면의 유입수가 전면으로 직접 배수되며, 블록 중앙부에 균열 방지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블록 사이에 티형 연결부재를 삽입하여 직각 또는 곡선 방향으로 축조가 용이로운 구조적 특징을 갖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제품으로 제작된 다수개의 블록이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축조되고, 최하단 블록의 상단에 다른 블록이 다층으로 적층되거나 계단 형태로 적층되며, 다층으로 적층되는 블록의 각층마다 후방에 그리드가 안착되고 후방에 토사를 부설하여 축조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몸체(110)의 머리부(120), 측면부(125), 꼬리부(130) 및 관통되는 공간부(140)가 형성되고, 머리부(120)와 몸체(110)가 접하는 위치에 수직한 수직홈(180)이 측면부(125)와 연접되게 형성되며, 머리부(120)의 상면과 몸체(110)의 전방 상면에 가로 배수홈(150)과 세로 배수홈(160)이 직각으로 형성되고, 머리부(120)의 상면과 몸체(110)의 전방 상면과 바닥면에 단차를 가지도록 균열방지홈(170)이 형성되며, 바닥면 균열 방지홈(170)이 형성된 중앙에 전단키홈(190)이 형성된 블록(100);
상기 다수개의 블록(100)의 수직홈(180)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한편,
사각 기둥부(210)의 후방으로 평판 형태로 양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220)가 일체로 성형된 부재로, 일측에 날개부(220)보다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30)가 형성되어 블록(100)의 전단키홈(190)에 삽입되어 블록(100)의 몸체(110)가 토압에 의해 이동할 시 돌출부(230)가 전단키홈(190)의 삽입되어 전단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티형 연결부재(200);로 블록(100) 사이마다 티형 연결부재(200)가 삽입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이다.
콘크리트 블록, 보강토, 토압, 수압, 합력, 마찰 저항력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 콘크리트 블록과 티형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콘크리트 블록과 티형 연결부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콘크리트 블록의 바닥면에 티형 연결부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콘크리트 블록의 바닥면에 티형 연결부재가 결합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블록식 보강토 옹벽이 직선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블록식 보강토 옹벽을 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 블록식 보강토 옹벽이 곡선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블록 200: 티형 연결부재
300: 그리드 400: 부직포
500: 토사면 700: 보강토 옹벽
본 발명은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고 블록 윗면에 가로 및 세로의 배수홈을 형성하여 블록 배면의 유입수가 전면으로 직접 배수되며, 블록 중앙부에 균열 방지홈이 형성되고 각각의 블록 사이에 티형 연결부재를 삽입하여 직각 또는 곡선 방향으로 축조가 용이로운 구조적 특징을 갖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블록을 조적하여 시공되는 보강토 옹벽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의 토사 유실로 인한 변형 및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옹벽 구조물로, 이와 같이 성토지 또는 절개지에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등으로 된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 구조물이 축조된다.
보강토 공법에서 보강토체 내부에 작용하는 응력은 보강재와 흙이 결합한 보강토체가 일체가 되어 저항하지만 흙으로 이루어진 보강토체의 외벽은 부분적으로 유실되게 된다. 전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기능은 보강토체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에 보강재를 연결하여 외벽을 이루어 보강토체의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관을 위한 요소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보강토 옹벽은 사면체 또는 육면체의 내부를 절삭하여 공간부를 형성한 것으로 블록 좌우 양단의 돌출한 부분을 접속하여 조립하며, 블록은 다층으로 적층하며, 콘크리트 블록이 이루는 벽면이 3 ~ 15°의 경사면을 이루도록 축조하게 된다.
또한, 보강토 옹벽은 블록 공간부에 골재를 채움하고 블록 후방에 골재층을 형성하여 블록 배면에서 유입수를 배수하게 된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의 배수 구조는 중력에 의하여 우수 또는 지하수를 후방 골재층 하단에 매설된 유공관을 통해 외부로 배수처리하는 구조로 많이 시공되는 한편, 배수로가 긴(長) 특징이 있고, 만일 중간 배수구간이 차단되면 미배수된 유입수가 적체되어 콘크리트 블록 후방 벽면에 수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렇듯 배수층이 차단되는 원인은, 작업 환경이 열악하여 골재부설을 정밀하게 하지 못한 경우에 배수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보강토 옹벽의 시공 기간 중에 폭우로 포화상태가 된 흙이 우수와 함께 골재층에 침투되어 골재 사이의 공극을 채워 투수기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며, 골재의 석분이 침하, 퇴적으로 유공관 주위를 막는 경우, 보강토 옹벽의 측면에 차도가 시공되어 차량 통행에 따른 진동으로 배면의 흙이 골재층으로 이동하여 배수면적을 좁히는 경우 등 다양한 이유가 존재하며, 이로 인해 배수로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장마기간 중 흙탕물이 폐쇄된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는 경우가 콘크리트 블록의 후방 배면의 배수층이 문제가 발생된 단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이렇듯 배수를 위한 골재층이 상술한 예와 같이 차단되게 되면 벽면을 따라 물기둥을 형성하여 예상하지 못한 토압과 수압의 합력(合力)이 발생되고, 합력이 블록의 마찰 저항력보다 크게 되면 블록이 전면으로 밀려나면서 배불림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배불림 현상이 보강토 옹벽에 발생되면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된다 할 것이다.
한편, 인장력이 무시되는 무근 콘크리트 블록에 불균형이 발생되면 중앙부에 인장 균열과 블록 양단에 전단 균열이 발생되는 원인을 제공하는 한편, 인장 균열은 콘크리트 블록 위의 이물질 청소 미비 또는 그리드의 겹침 부분에서 그리드의 두께가 증가되어 이물질이나 그리드 겹침 부분을 중심으로 콘크리트 블록 좌우에 수직응력이 작용하여 블록 중심에서 휨 응력이 발생되어 균열이 발생되게 되고, 전단 균열은 콘크리트 블록이 수평 상태로 시공되지 않아 블록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블록 일단에 전단 균열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보강토 옹벽이 곡선으로 축조된 경우 곡선 구간에서 원의 중심으로 내측으로 블록을 조립할 때 동심원의 곡선장은 중심에 가까울수록 감소하고 외측으로 조립할 때 곡선장이 증가하게 되는데, 벽면의 경사가 클수록 곡선장의 변화도 크며, 곡선 반경이 짧을수록 블록의 폭이 넓을수록 곡선장의 변화가 커 곡선장 변화에 맞춰 블록의 중심간격을 조정하지 않으면 한쪽 방향으로 블록의 쏠림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이때, 블록의 폭은 일정하므로 내측으로 블록을 조립할 때 감소한 곡선장 만큼 블록의 양단을 미세하게 절단하여야 하나 블록 절단에 한계가 있어 이러한 절단 작업은 불가하고, 외측으로 조립할 때 증가한 곡선장 만큼 블록 조각을 삽입하여 보상하든가 블록의 간격을 넓혀야 하나 이또한 한계가 있어 불가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하의 블록은 블록의 중심선을 벗어나 상,하 블록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 한쪽 방향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하여 시공 종점까지 누적되는 쏠림현상 이 발생되는 실정이다.
또한, 수중 구조물인 경우 블록 양측면의 접촉부 경계선에 천공기로 구멍을 뚫어 배수구로 사용하는 바, 일반적으로 속채움 및 뒷채움 골재의 최대 직경은 25mm 이하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배수시 골재가 배출되지 않기 위하여 골재 최대직경의 1/2 정도의 배수 구멍을 천공하게 되고 배수구멍의 숫자가 적고 배수구멍의 면적이 매우 적어 시간당 배수량이 적게되어 보강토체 내 침입수의 체류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여름철 홍수시에는 짧은 시간에 홍수위에서 평수위로 급강화하는데 수위 강화와 함께 골재가 흡입한 물과 골재 공극 사이의 물이 빠질 때 하부 구조물은 여전히 하천수로 침수되어 있게 되어 하천수의 흐름에 맞추어 조금씩 배수되므로 골재층에 잔류한 물은 위치 에너지에 의하여 물줄기를 이루어 뿜어져 나오는게 되며, 이때 블록 배면은 배수되는 동안 벽면에 수압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블록의 머리부와 나란하고 또한 직각으로 가로 및 세로 배수홈을 형성하여 유공관, 하수관로 및 벽면의 어떤 위치에 배수가 차단이 되어도 유입수가 블록의 전후, 좌우로 이동하도록 배수홈이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이 제공되며, 또한 블록 양단이 상하 블록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블록 머리부 중앙에 깊이가 얕은 사각의 균열 방지 홈이 형성되며, 티형 연결 부재를 블록과 블록 사이에 삽입하여 티형 연결 부재를 블록과 같은 용도로 사용하도로 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 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곡선구간에서 상부 블록의 바닥면 전단키홈에 티형 연결부재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블록 몸체 및 티형 연결부재의 중심선이 일치하여 쏠림 현상이 없는 보강토 옹벽을 시공할 수 있어 시공 품질을 높이며, 그에 따라 팔면체 블록과 티형 연결부재를 결합하는 곡선부 시공이 용이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 바닥면 전단키홈에 티형 연결부재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일자형 전단키 역할을 하도록 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수중 구조물인 경우 다수의 가로 및 세로 배수홈에 의하여 총 배수면적이 넓게 형성된 블록을 제공하게 되므로 신속한 배수가 되어 배면의 수압이 경감되고 침입수의 잔류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티형 연결부재를 블록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고가의 블록 수량을 약 10% 정도 절감할 수 있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우수와 지하수와 같은 유입수가 어떤 위치에서도 배출처리되므로 배수용 뒷채움 골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킨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폭이 넓은 블록과 폭이 좁은 티형 연결부 재를 번갈아 설치시공하게 되므로 시각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콘크리트 블록과 티형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콘크리트 블록과 티형 연결부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콘크리트 블록의 바닥면에 티형 연결부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콘크리트 블록의 바닥면에 티형 연결부재가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블록식 보강토 옹벽이 직선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블록식 보강토 옹벽을 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 블록식 보강토 옹벽이 곡선으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보강토 옹벽(700)은, 다수개의 블록(100)이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축조되고, 최하단 블록의 상단에 다른 블록이 다층으로 적층되거나 계단 형태로 적층되며, 각각의 블록(100)에는 이음부에 티형 연결부재(200)가 삽입밀착되며, 다층으로 적층되는 블록(100)에는 각층마다 후방으로 그리드(300)가 안착되어 설치되게 된다.
부연 하자면, 보강토 옹벽(700)이 계단 형태로 적층되는 상태는, 도 7과 같이 제일 전방으로 위치된 블록(100)이 티형 연결부재(200)를 연결하면서 라운딩되도록 설치한 후 그 후방에 토사를 채움 작업하고, 이때 블록(100)의 사이에는 다른 블록(100')을 설치할 수 있고, 한편 블록(100)의 후방 토사층 상면에 동일한 블록(100)을 토사면(500)이 일치되도록 하는 방식과 같이 단차를 가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부연 하자면, 보강토 옹벽(700)이 계단 형태로 적층되는 상태는, 도 7과 같이 제일 전방으로 위치된 블록(100)이 티형 연결부재(200)를 연결하면서 라운딩되도록 설치한 후 그 후방에 토사를 채움 작업하고, 이때 블록(100)의 사이에는 다른 블록(100')을 설치할 수 있고, 한편 블록(100)의 후방 토사층 상면에 동일한 블록(100)을 토사면(500)이 일치되도록 하는 방식과 같이 단차를 가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보강토 옹벽(700)은, 팔면체 형태로 제작된 블록(100)에 각각 몸체(110)의 머리부(120), 측면부(125), 꼬리부(130) 및 공간부(140)를 가지며, 머리부(120)와 몸체(110)가 접하는 위치에 수직한 수직홈(180)이 측면부(125)와 연접되게 형성되며, 머리부(120)의 상면과 몸체(110)의 전방 상면에 가로 배수홈(150)과 세로 배수홈(160)이 직각으로 형성된다.
다른 블록(100')은 몸체(110)의 상면 위치에 단차를 가지도록 균열방지홈(170)이 형성되고, 균열 방지홈(170)이 형성된 중앙에 또 다시 단차를 가지는 전단키홈(190)이 형성된다.
다른 블록(100')은 몸체(110)의 상면 위치에 단차를 가지도록 균열방지홈(170)이 형성되고, 균열 방지홈(170)이 형성된 중앙에 또 다시 단차를 가지는 전단키홈(190)이 형성된다.
이때, 블록(100)은 머리부(120)의 양측 측면부(125) 양단 후방에 수직홈(180)이 형성되어 티형 연결부재(200)의 날개부(220)가 삽입밀착되어 수직홈(180)의 벽면이 날개부(220)를 지지하게 된다.
부연 하자면, 블록은 도 1과 도 3과 같은 타입의 블록(100)과 도 2와 도 4와 같은 타입의 블록(100')이 사용되며, 블록(100)은 계단 및 수직하게 적층될 수 있고 블록(100')도 마찬가지로 계단 및 수직하게 적층되어 보강토 옹벽(700)으로 사용가능하다.
부연 하자면, 블록은 도 1과 도 3과 같은 타입의 블록(100)과 도 2와 도 4와 같은 타입의 블록(100')이 사용되며, 블록(100)은 계단 및 수직하게 적층될 수 있고 블록(100')도 마찬가지로 계단 및 수직하게 적층되어 보강토 옹벽(700)으로 사용가능하다.
티형 연결부재(200)는, 사각 기둥부(210)의 후방으로 평판 형태로 양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220)가 일체로 성형된 부재로, 일측에 날개부(220)보다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30)가 형성되어 블록(100)의 전단키홈(190)에 삽입되어 블록(100)의 몸체(110)가 토압에 의해 이동할 시 돌출부(230)가 전단키홈(190)의 삽입되어 전단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블록(100)(100')은 다층으로 수직하게 축조되는 경우, 블록(100)과 다른 블록(100')이 번갈아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그 사이에 티형 연결부재(200)로 연결가능하되, 하단의 블록 몸체(110)의 좌우측 측면부(125)가 다른 블록의 바닥면 중앙에 위치되는 균열방지홈(170)에 의해 직접 밀착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각각의 블록(100)의 측면부(125)가 파손되지 않게 된다.
블록(100')은, 하단의 몸체(110)를 수평상태로 놓고, 몸체(110)의 측면부(125) 후방에 형성된 수직홈(180)에 티형 연결부재(200)의 날개부(220)가 삽입되어 몸체(110)와 같은 수직상태를 삽입밀착하며, 이로 인해 안착된 블록(100)(100') 사이마다 티형 연결부재(200)가 설치된 상태로 토사면(500)에 나란히 안착되어 일렬로 하단의 블록(100)들이 배치되게 된다.
이때, 하단의 블록(100) 후방 꼬리부(130)에는 세골재는 통과되지 않고 유입수만 통과하는 부직포(400)를 길게 펼쳐 설치한 후 부직포 후방에 흙을 채우면 블록(100) 몸체(110)의 후방 꼬리부(130)와 부직포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에 뒷채움 골재를 채움한 뒤 그리드(300)를 하단 1열의 블록(100) 꼬리부(130) 상면에 설치한다.
보강토 옹벽(700)은, 다른 블록(100')을 다층으로 수직하게 축조시, 하단 상면의 블록(100')이 티형 연결부재(200)의 돌출부(230)를 삽입한 상태로 설치되어, 우측 몸체(110)의 밑면에 형성된 전단키홈(190)에 티형 연결부재(200)의 돌출부(230)를 삽입하여 수평상태를 이루게 한 후 좌,우 몸체(110)의 사이 공간에 티형 연결부재(200)의 좌우측 날개부(220)를 수직홈(180)에 삽입하면 다층으로 적층되는 몸체(110)와 티형 연결부재(200)는 수직방향의 중심선이 자동으로 일치하게 된다.
상기 블록(100')은 중심선이 일정한 상부 몸체(110)의 측면부(125)는 하부 몸체(110) 윗면에서 2mm정도 단차를 가지는 균열방지홈(170)이 형성되어 전단균열에 약한 측면부(125)가 직접 접촉하지 않아 균열이 방생되지 않게 되며, 다수개의 블록(100)이 일렬로 배치되면 몸체(110)와 티형 연결부재(200)가 상호 연결되어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
지중에서 부직포(400)를 통과한 침입수와 공간부(140)로 유입된 유입수는 골재층을 따라 수직으로 내려가 유공관(도면상 미도시됨)으로 배수되고, 만일 유공관에서 배수층이 차단될 경우 차단된 위치 상부의 유입수는 블록(100)의 세로 배수홈(160)을 따라 전면으로 배출되게 되므로 유입수가 체류되지 않게 된다.
곡선 구간에 보강토 옹벽(700)이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7의 우측 설치 상태)
번갈아 안착된 블록(100)(100')의 최하단 몸체(110)의 연결선이 이루는 외측 곡선과 다수의 블록(100)을 적층하면서 상단 몸체(110)를 연결하는 다수의 내측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내측 곡선장은 외측 곡선장에 비하여 짧으므로 이에 비례하여 외측 곡선장에 배열되는 블록 몸체(110)의 중심간격은 넓게 되고 내측 곡선장에 배열되는 몸체(110)의 중심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먼저, 외측 곡선장에서 블록 몸체(110)를 수평하게 놓고 수직홈(180)에 티형 연결부재(200)의 날개부(22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반복하여 토사면(500)에 배열하고, 내측 곡선장에서 몸체(110)의 밑면 전단키홈(190)을 티형 연결부재(200)의 돌출부(230)에 삽입하면 몸체(110)의 중심간격이 좁아지므로 좁아진 만큼 티형 연결부재(200)의 날개부(220)를 콘크리트 절단기로 절단한 후 이를 수직홈(180)에 삽입하여 곡선 방향에 따라 다수개 배치시킨다.
곡선구간 외측방향 블록(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7의 좌측 설치 상태)
안착된 블록(100)(100')의 최하단 몸체(110)의 연결선이 이루는 내측 곡선과 다수 몸체를 적층하면서 상단 몸체(110)를 연결하는 다수의 외측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내측 곡선장은 외측 곡선장에 비하여 짧고 이에 비례하여 내측 곡선장에 배열되는 몸체(110)의 중심 간격은 좁게 되며, 외측 곡선장에 배열되는 몸체(110)의 중심 간격은 넓어지게 된다.
먼저, 내측 곡선장에서 몸체(110)를 수평하게 놓고 티형 연결부재(200)의 양면 날개부(220)를 수직홈(180)이 지지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절단기로 절단한 후 수직홈(180)에 삽입하며, 이를 반복하여 토사면(500)에 다수개 배열하고, 내측 곡선장에서 몸체(110)의 밑면 전단키홈(190)을 티형 연결부재(200)의 돌출부(230)에 삽입하면 몸체(110)의 중심간격이 넓어지므로 넓어진 간격만큼 맞추어 티형 연결부재(200)의 양면 날개부(220)를 콘크리트 절단기로 절단하고 이를 수직홈(180)에 삽입하여 곡선 방향에 따라 다수개 배치하게 된다.
도 7을 보면, 다른 블록(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을 알 수 있고, 우측과 좌측의 조립 상태를 살펴보면, 번갈아 안착된 블록(100)(100')과 티형 연결부재(200)가 방향이 서로 반대로 설치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을 뿐 아니라, 계단식으로 설치시 블록(100) 만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본 발명은, 블록의 머리부와 나란하고 또한 직각인 가로 및 세로 배수홈을 형성하여 유공관 및 벽면의 어떤 위치에 배수가 차단이 되어도 유입수가 블록의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여 배수되는 블록을 다층으로 적층하는 보강토 옹벽이 제공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각각의 블록은 균열 방지홈이 형성되어 있어 블록 양단이 상,하블록과 직접 접촉하지 않게 설치되므로 블록의 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티형 연결부재를 블록과 같은 용도로 사용하여 고가의 블록을 절약하는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곡선 구간에서 상부 블록의 밑면 전단키홈에 티형 연결부재의 돌출부를 삽입하여 몸체 및 티형 연결부재의 중심선이 일치하여 쏠림 현상이 없이 시공할 수 있어 시공품질이 높아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블록의 전단키홈에 티형 연결부재의 돌출부를 삽입하여 일자형 전단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며, 수중 구조물인 경우 다수개의 가로 및 세로 배수홈의 총 배수면적이 넓어 신속하게 배수되므로 배면의 수압을 경감하고 침입수의 잔류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보강토 옹벽 후방으로 유입된 유입수가 어떤 위치에서도 배출되므로 배수용 뒷채움 골재를 최소화할 수 있고 시공성과 경제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지고, 폭이 넓은 블록과 폭이 좁은 티형 연결부재를 격간으로 번갈아 사용하여 시각적 변화를 주는 블록을 제공할 수 있어 심미감이 뛰어난 보강토 옹벽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 콘크리트 제품으로 제작된 다수개의 블록이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축조되고, 최하단 블록의 상단에 다른 블록이 다층으로 적층되거나 계단 형태로 적층되며, 다층으로 적층되는 블록의 각층마다 후방에 그리드가 안착되고 후방에 토사를 부설하여 축조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에 있어서,8면체 형태로 제작되되,몸체(110)의 머리부(120), 측면부(125), 꼬리부(130) 및 관통되는 공간부(140)가 형성되고, 머리부(120)와 몸체(110)가 접하는 위치에 수직한 수직홈(180)이 측면부(125)와 연접되게 형성되며, 머리부(120)의 상면과 몸체(110)의 전방 상면에 가로 배수홈(150)과 세로 배수홈(160)이 직각으로 형성되는 블록(100)과,몸체(110)의 상면에 단차를 가지는 균열방지홈(170)이 형성되고 균열 방지홈(170)이 형성된 중앙에 단차를 가지는 전단키홈(190)이 형성된 블록(100');상기 블록(100)(100')이 번갈아 안착되어 위치되는 수직홈(180)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한편,사각 기둥부(210)의 후방으로 평판 형태로 양측으로 돌출되는 날개부(220)가 일체로 성형된 부재로, 일측에 날개부(220)보다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30)가 형성되어 블록(100)의 전단키홈(190)에 삽입되어 블록(100)의 몸체(110)가 토압에 의해 이동할 시 돌출부(230)가 전단키홈(190)의 삽입되어 전단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 티형 연결부재(200);를 포함하며,티형 연결부재(200)는 돌출부(230)가 블록(100') 몸체(110)의 균열방지홈(170)의 중앙 전단키홈(190)에 수직하게 일자형으로 삽입되어 전단키 역할을 담당하도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블록(100)(100')이 번갈아 안착된 경우 그 수직홈(180)에 밀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4387A KR100856817B1 (ko) | 2006-04-17 | 2006-04-17 |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34387A KR100856817B1 (ko) | 2006-04-17 | 2006-04-17 |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2775A KR20070102775A (ko) | 2007-10-22 |
KR100856817B1 true KR100856817B1 (ko) | 2008-09-05 |
Family
ID=3881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34387A KR100856817B1 (ko) | 2006-04-17 | 2006-04-17 |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681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06715A (ko) * | 2017-03-21 | 2018-10-01 | 주식회사 에코탑플러스 |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
CN111216225A (zh) * | 2018-11-27 | 2020-06-02 | 山东大学 | 一种预制预应力混凝土楼板的地下生产系统 |
EP3792405A1 (en) * | 2019-09-10 | 2021-03-17 | Soletanche Freyssinet | Facing element for a front wall of a stabilized soil structure, and stabilized soil structure built with such facing elements |
KR102478622B1 (ko) * | 2022-04-01 | 2022-12-15 | 박정식 | 옹벽 블록 구조체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41750A (ko) * | 2003-10-31 | 2005-05-04 | 홍건영 | 보강토 옹벽 및 그 설치방법 |
-
2006
- 2006-04-17 KR KR1020060034387A patent/KR10085681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41750A (ko) * | 2003-10-31 | 2005-05-04 | 홍건영 | 보강토 옹벽 및 그 설치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공개특허공보 10-2005-0041750호(2005.05.04.) |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22582호(2006.01.2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2775A (ko) | 2007-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079640A1 (en) | Modular tessellation assembly for storage of water underground | |
KR101615614B1 (ko) | 제주를 포함한 우수 집중 지역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 |
JP2008138446A (ja) | 擁壁の構築方法 | |
KR970065905A (ko) | 구조물용 보강틀 및 보강틀을 이용한 건설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0659599B1 (ko) | 폭 조절과 배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토류판 | |
KR100856817B1 (ko) |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 |
KR101227275B1 (ko) | 도로포장용 블록, 그것을 이용한 도로포장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200477688Y1 (ko) | 옹벽용 배수파일 | |
KR101201544B1 (ko) | 지중침투형 측구 조립체 | |
US8182174B2 (en) | Drainage system for directing surface water to underground strata | |
KR101119651B1 (ko) |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친환경 옹벽 및 그 시공공법 | |
JP5880060B2 (ja) | 地盤沈下により発生する建物と周囲の地盤との段差を抑制する構造及び方法 | |
JP5167498B1 (ja) | 地盤改良構造 | |
JP2011032703A (ja) | 雨水地中浸透施設 | |
JP4528176B2 (ja) | 浮力対策構造を備えた軽量盛土構造体 | |
KR20090052308A (ko) | 배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 | |
KR100510884B1 (ko) | 자연석을 이용한 취입보 설치공법 | |
KR200405621Y1 (ko) | 도로용 보강토 옹벽 설치구조 | |
JP4420536B2 (ja) | 浸透式ボックスカルバート、浸透式管渠及びその構築方法 | |
JP7557779B2 (ja) | 地中排水具及び地中排水構造 | |
KR101201796B1 (ko) | 빗물 저류조 | |
KR100940339B1 (ko) | 시공이 간편한 옹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
JPH03275813A (ja) | 埋設構造物の液状化対策工法 | |
KR100620326B1 (ko) | 도로용 보강토 옹벽 설치구조 | |
CN218933008U (zh) | 一种谷坊溢流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