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715B1 -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715B1
KR100855715B1 KR1020030094353A KR20030094353A KR100855715B1 KR 100855715 B1 KR100855715 B1 KR 100855715B1 KR 1020030094353 A KR1020030094353 A KR 1020030094353A KR 20030094353 A KR20030094353 A KR 20030094353A KR 100855715 B1 KR100855715 B1 KR 100855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oling fan
air
radiator
exhaus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2689A (ko
Inventor
육욱성
박철현
이호준
김영우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30094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715B1/ko
Publication of KR20050062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00Air cooling
    • F01P1/02Arrangements for cooling cylinders or cylinder heads, e.g. ducting cooling-air from its pressure source to cylinders or along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2Filtering, cooling, or silencing cooling-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엔진실 상부커버에 형성된 보조 배기구를 통하여 냉각팬 후방의 공기를 보다많이 대기중에 배출시켜 엔진실에 흡배기되는 풍량을 최대한 확보하여 라디에이터를 원활하게 열교환시키고, 냉각팬과 엔진사이에 설치되는 차폐부재 및 이의 흡음재에 의해 엔진실로 부터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을 최대한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는, 엔진과, 엔진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와, 라디에이터와 엔진사이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흡,배기구를 통해 흡배기시키는 냉각팬과, 라디에이터에 지지되는 슈라우드를 구비하는 건설중장비용 엔진실에 있어서,
엔진실 상부커버에 형성되는 보조 배기구와, 냉각팬과 엔진사이에 설치되고 냉각팬 후방의 상부측 공기를 보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며 엔진 소음을 차폐시키는 차폐부재를 구비한다.
건설중장비, 엔진실 차폐장치, 풍량, 소음, 배기구

Description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shielding device for cocstruction heavy equipment engine room}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엔진실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엔진실에 설치되는 차폐부재의 요부발췌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폐부재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엔진
2; 라디에이터
3; 흡기구
4; 배기구
5; 냉각팬
6; 슈라우드
9; 케이싱
11; 상부커버
12; 보조 배기구
13; 차폐부재
14; 흡음재
15; 안내깃
본 발명은 외부로 부터 엔진실에 흡배기되는 풍량을 최대한 확보하여 엔진 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고, 엔진으로 부터 발생되어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실 상부커버에 형성된 보조 배기구를 통하여 냉각팬 후방의 공기를 보다많이 대기중에 배출시키며, 냉각팬과 엔진사이에 설치되는 차폐부재 및 이의 흡음재에 의해 엔진실로 부터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엔진실은, 엔진(1)과, 엔진(1)으로 부터 순환되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도록 방열핀이 외측면에 형성된 라디에이터(2)와, 라디에이터(2)와 엔진(1)사이에 설치되며 흡기구(3)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배기구(4)를 통해 배기시키는 냉각팬(5)과, 라디에이터(2) 에 지지되며 외부공기 흡입통로를 형성하는 슈라우드(6)와, 엔진실을 형성하는 케이싱(9)을 구비한다.
도면중 8은 유압펌프(7)로 부터 비산되는 오일이 엔진(1) 과열로 인해 발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엔진(1)과 유압펌프(7)를 격리시키는 방화벽이고, 10은 엔진(1)으로 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소음기이다.
전술한 엔진(1) 또는 미도시된 유압모터에 연결되는 냉각팬(3) 구동으로 흡기구(3)를 통하여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라디에이터(2)를 통과시 방열핀과 상호 열교환으로 내부 냉각수를 냉각시킨 후, 전술한 엔진실 상부에 형성된 배기구(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흡기구(3)를 따라 엔진실에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도 1에 화살표로 표기된 바와 같이, 냉각팬(3)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엔진실의 상부커버(11)에 충돌하여 이동하면서 배기구(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흐름과, 엔진(1)의 좌우측면을 따라 이동하여 배출되는 공기 흐름으로 구분된다.
이때, 엔진실에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압력은 냉각팬(5) 후방에서 가장 높고 배기구(4)쪽으로 이동하면서 점진적으로 떨어진다.
한편, 전술한 엔진(1)으로 부터 발생되어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배기구(4)를 축소시키는 경우, 엔진실에 유입되는 풍량 감소를 초래하여 엔진(1) 냉각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반면에, 전술한 냉각팬(3)에 의해 흡배기되는 공기량을 충분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흡기구(3)와 배기구(4) 면적을 확대시키는 경우, 엔진실에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방사되어 중장비 주변의 작업장에 소음공해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실 상부커버에 형성된 보조 배기구를 통하여 냉각팬 후방의 공기를 보다많이 대기중으로 배출시킴에 따라, 엔진실에 흡배기되는 풍량을 최대한 확보하여 외부공기와 라디에이터의 원활한 열교환으로 엔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각팬과 엔진사이에 설치되는 차폐부재 및 이의 내측면에 부착된 흡음재에 의해 엔진실로 부터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을 최대한 차폐시켜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과, 엔진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와, 라디에이터와 엔진사이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흡,배기구를 통해 흡배기시키는 냉각팬과, 라디에이터에 지지되는 슈라우드를 구비하는 건설중장비용 엔진실에 있어서,
엔진실 상부커버(11)에 형성되는 보조 배기구(12)와,
냉각팬(5)의 연결축(5a) 상방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흡음재(14)가 내측면에 부착되는 몸체(13a)와, 몸체(13a)의 상단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부커버(11)에 상단이 고정되며 흡음재(14)가 바닥면에 부착되는 경사판(13b)으로 이루어져 냉각팬(5)과 엔진(1)사이에 설치되고, 냉각팬(5) 후방의 상부측 공기를 보조 배기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며 엔진(1)의 소음을 차폐시키는 차폐부재(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경사판(13b)의 상면에 보조 배기구(12)로 배출되는 공기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되며, 냉각팬(5)의 후방에서 보조 배기구(12)로 이동되는 공기를 일방향으로 안내하여 와류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깃(15)을 구비한다.
전술한 안내깃(15)의 양측면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흡음재(14)가 부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1)과, 외부공기와 상호 열교환으로 엔진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방열핀이 외측면에 형성된 라디에이터(2)와, 라디에이터(2)와 엔진(1)사이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흡,배기구(3,4)를 통해 흡배기시키는 냉각팬(5)과, 라디에이터(2)에 지지되어 외부공기 흡입통로를 형성하는 슈라우 드(6) 등을 구비하는 건설중장비용 엔진실에 적용되며, 이들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실 상부커버(11)에 보조 배기구(12)를 형성하고, 냉각팬(5) 후방의 상부측 공기를 보조 배기구(12)를 통해 엔진실 외부로 보다많이 배출시키도록 가이드하며, 엔진(1) 소음을 차폐시키도록 흡음재(14)를 갖는 차폐부재(13)가 냉각팬(5)과 엔진(1)사이에 이들을 격리시키도록 설치된다.
이때, 보조 배기구(12)와 배기구(4)를 합한 단면적이 도 1에 도시된 종래 배기구(4) 단면적을 초과하지않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차폐부재(13)는 냉각팬(5)의 연결축(5a) 상방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흡음재(14)가 내측면에 부착된 몸체(13a)와, 몸체(13a) 상단에 연장형성되고 흡음재(14)가 바닥면에 부착되며 상단이 상부커버(11)에 고정된 경사판(13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차폐부재(13)는 상부커버(11)를 개방하여 엔진실 내부를 정비시 간섭받지않도록 장착됨은 물론이다.
이때, 경사판(13b)은 몸체(13a)에 대해 90°이상으로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판(13b)의 폭(b)과 경사각(a)은 보조 배기구(12)의 위치에 따라 변경된다.
전술한 경사판(13b) 상면에 냉각팬(5)으로 부터 보조 배기구(12)로 배출되는 공기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되며, 냉각팬(5) 후방에서 보조 배기구(12)로 이동되는 공기를 일방향으로 안내하여 와류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흡음재(14)가 양측면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부착되는 다수의 안내깃(15)을 구비한다. 이때 안내깃(15)의 개수와 사이즈는 보조 배기구(12)에 따라 변경된다.
이때, 전술한 차폐부재(13)에 부착되는 흡음재(14)로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재, 유리섬유(glass wool)재, 통기성이 적은 발포수지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의 작동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엔진(1) 구동시 연결축(5a)에 의해 냉각팬(5)이 연동되어 회전되므로, 외부공기는 흡기구(3)를 통해 엔진실에 유입되어 방열핀이 외측면에 형성된 라디에이터(2)를 통과한후 배기구(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즉 외부공기는 방열핀을 통해 상호 열교환을 하게되어 엔진(1) 내부에 순환되는 라디에이터(2) 내부의 냉각수를 냉각시킨다.
전술한 냉각팬(5)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인해 냉각팬(5) 후방 상부를 통과하는 외부공기는, 전술한 차폐부재(13)의 경사판(13b)을 따라 흐름이 안내되어 상부커버(11)에 형성된 보조 배기구(12)를 통해 엔진실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경사판(13b) 상면에 형성된 안내깃(15)에 의해 외부공기는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보조 배기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외부공기가 엔진실에서 이동중 정체되어 발생되는 와류 형성으로 인한 유동 소음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안내깃(15) 양측면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형성되는 흡음재(14)에 의해 소음을 흡수하게 되므로 외부로 소음 방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냉각팬(5) 후방을 통과하는 외부공기의 높은 압력과 대기압과의 압력차에 의해 보조 배기구(12)를 통해 많은 양의 공기가 대기중으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이로 인해 엔진실에 많은 풍량이 확보되어 흡배기되므로 엔진(1)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 배기구(12)와 배기구(4)를 합한 단면적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배기구(4)의 단면적과 동일하므로, 엔진(1) 소음 방사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엔진(1)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차폐부재(13)에 의해 엔진(1)에서 발생되어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엔진(1) 소음이 보조 배기구(12)를 빠져 나갈때, 차폐부재(13) 및 차폐부재(13)의 몸체(13a)와 경사판(13b)에 부착된 흡음재(14)에 의해 소음을 흡수하여 차폐하게 된다. 이로 인해 중장비와 인접한 작업장 주변에 발생되는 소음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냉각팬(5) 구동시 엔진실에 유입되어 냉각팬(5) 하부측을 통과하는 외부공기는 엔진(1) 좌우측면을 통과한후,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배기구(4)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배기구(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엔진(1)을 냉각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엔진실 상부커버에 형성된 보조 배기구를 통하여 냉각팬 후방의 공기를 보다 많이 대기중으로 배출시킴에 따라, 엔진실에 흡배기되는 풍량을 최대한 확보하여 외부공기와 라디에이터의 원활한 열교환으로 엔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팬과 엔진사이에 설치되는 차폐부재 및 이의 흡음재에 의해 엔진실로 부터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을 흡음하여 최대한 차폐시킴에 따라 중장비 주변의 작업장에 발생되는 소음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엔진과, 엔진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와, 라디에이터와 엔진사이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흡,배기구를 통해 흡배기시키는 냉각팬과, 라디에이터에 지지되는 슈라우드를 구비하는 건설중장비용 엔진실에 있어서:
    상기 엔진실 상부커버(11)에 형성되는 보조 배기구(12); 및
    상기 냉각팬(5)의 연결축(5a) 상방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흡음재(14)가 내측면에 부착되는 몸체(13a)와, 몸체(13a)의 상단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고 상부커버(11)에 상단이 고정되며 흡음재(14)가 바닥면에 부착되는 경사판(13b)으로 이루어져 냉각팬(5)과 엔진(1)사이에 설치되고, 냉각팬(5) 후방의 상부측 공기를 보조 배기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며 엔진(1)의 소음을 차폐시키는 차폐부재(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13b)의 상면에 보조 배기구(12)로 배출되는 공기 이동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되며, 냉각팬(5)의 후방에서 보조 배기구(12)로 이동되는 공기를 일방향으로 안내하여 와류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깃(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내깃(15)의 양측면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흡음재(14)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
KR1020030094353A 2003-12-22 2003-12-22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 KR100855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353A KR100855715B1 (ko) 2003-12-22 2003-12-22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353A KR100855715B1 (ko) 2003-12-22 2003-12-22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689A KR20050062689A (ko) 2005-06-27
KR100855715B1 true KR100855715B1 (ko) 2008-09-03

Family

ID=37254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353A KR100855715B1 (ko) 2003-12-22 2003-12-22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276B1 (ko) * 2008-02-04 2010-08-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노이즈 트랩을 구비한 건설장비용 엔진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1027U (ko) * 1974-09-20 1976-03-26
JPS5930519U (ja) 1982-08-19 1984-02-2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冷却用導風システム
JPS6295940U (ko) 1985-12-09 1987-06-18
JPS62148719U (ko) 1986-03-12 1987-09-19
JPS63193726U (ko) 1987-05-30 1988-12-13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1027U (ko) * 1974-09-20 1976-03-26
JPS5930519U (ja) 1982-08-19 1984-02-2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冷却用導風システム
JPS6295940U (ko) 1985-12-09 1987-06-18
JPS62148719U (ko) 1986-03-12 1987-09-19
JPS63193726U (ko) 1987-05-30 1988-12-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689A (ko) 2005-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3746B1 (en) Engine room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101923759B1 (ko) 건설 기계
US6922925B2 (en) Construction machine
US6401801B1 (en) Twin fan cooling system
EP2192281B1 (en) Exhaust cool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equipment
JP2007283801A (ja) 建設機械
KR20100010203A (ko) 건설장비용 노이즈 싸일런서
JP2008088852A (ja) パッケージ型圧縮機
JP3728144B2 (ja) 防音型エンジン駆動作業機
EP1637710B1 (en) Construction machine engine hood, construction machine engine room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achine cooling device
JP4520892B2 (ja) 作業機械の冷却構造
KR100855715B1 (ko) 건설중장비용 엔진실 차폐장치
KR101705906B1 (ko) 건설중장비의 엔진룸 냉각장치
JP4238129B2 (ja) 防音型エンジン駆動作業機
JP2005139952A (ja) 空冷式インタークーラを備えた建設機械
KR100665111B1 (ko) 건설기계의 엔진룸 구조
WO2001004474A1 (fr) Structure de chambre de moteur fermee
JP4223847B2 (ja) エンジン室換気構造
JP2004353532A (ja) 作業機械
JP5060405B2 (ja) エンジン作業機
KR20100025394A (ko) 차폐판이 구비된 건설장비의 엔진실
JP2002089262A (ja) エンジン装置
JP2003201720A (ja) 建設機械
JP4280219B2 (ja) 建設機械の騒音低減構造
KR100272984B1 (ko) 중장비의엔진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