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710B1 -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710B1
KR100855710B1 KR1020070048741A KR20070048741A KR100855710B1 KR 100855710 B1 KR100855710 B1 KR 100855710B1 KR 1020070048741 A KR1020070048741 A KR 1020070048741A KR 20070048741 A KR20070048741 A KR 20070048741A KR 100855710 B1 KR100855710 B1 KR 100855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link
conveyor system
link chain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규
Original Assignee
김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규 filed Critical 김대규
Priority to KR102007004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4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closed conduits, e.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22Impellers, e.g. push-plates, scrapers; Guiding means therefor
    • B65G19/24Attachment of impellers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86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moving the materials over supporting surfaces by impeller means, e.g. scrapers
    • B65G2812/0287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moving the materials over supporting surfaces by impeller means, e.g. scrape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02881Scraper conveyors
    • B65G2812/0295Scraper chains
    • B65G2812/0296Attachments of scrapers to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97Attachments of scrapers to traction elements to one ch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 컨베이어 시스템은, 액체, 슬러지, 분말 등이 복합된 물류를 효과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종래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었던 비효율적인 작동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및 그 구성품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종판넬의 조종에 따라 내부에 위치한 스풀러킷에 의해 폐회로 상태의 파이프라인으로 삽입된 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원반고리 형태의 체인패널 중심에 체인고리를 삽입한 상태로 체인홀더를 고정시켜 서로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다수 결합되어 폐회로 상태의 벨트를 이루는 링크체인을 더 구비하고, 링크체인이 걸리는 상기 스풀러킷의 요부 모양과 같은 요홈을 가지며 상기 스풀러킷의 요부 모양에 맞춰 고정시키는 슈트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축 체결 방식 등을 도입하고 체인패널 내에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무거운 중량의 이송물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각 링크체인을 보다 강하게 구조화시키고 동시에 각 링크체인의 연결도 보다 강하게 연결한 컨베이어 시스템의 체인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여, 관련 산업계의 기술을 한 단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컨베이어, 링크체인, 슈트, 파이프라인, 스풀러킷

Description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link-chain conveyer system}
도 1 ~ 도 4는 종래 파이프라인 형태의 링크 컨베이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링크체인의 분해사시도.
도 6는 도 5 링크체인의 결합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슈트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 슈트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파이프라인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파이프라인을 연결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본체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링크체인 콘베이어 시스템 50b ; 시스템본체
510 ; 링크체인
511 ; 체인와이어 512 ; 체인홀더
513 ; 체인패널
520 ; 스풀러킷 520s ; 슈트
530 ; 모터
540 ; 본체프레임
550 ; 파이프라인
551 ; 이송파이프 552 ; 연결단부
본 발명은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액체, 슬러지, 분말 등이 복합된 물류를 효과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종래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었던 비효율적인 작동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링크체인, 슈트 및 파이프라인을 구비한 링크체인 콘베이어 시스템을 제시한 것이다.
공장이나 물류회사 등 제품을 이송하기 위해서 카펫트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롤러컨베이어, 라운드 컨베이어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컨베이어가 사용된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어떠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제품들의 이송과 달리, 콘크리트 타설물과 같이 액체, 슬러지, 분말 등이 복합된 물류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다른 형태의 물류이송시스템이 필요하며, 이의 이송을 위한 장치가 파이프라인 형태의 링크 컨베이어 시스템이다.
도 1 ~ 도 4는 종래 파이프라인 형태의 링크 컨베이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한국 특허출원 2003-81520호로 출원된 종래의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10)는 컨베이어 본체(110)에 연결된 파이프라인(120)을 통해 각각의 분배기(20a, 20b)에서 분배되고 유입되는 이송물(30)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링크 컨베이어(10)의 컨베이어 본체(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링크체인(130)을 회전가동시키기 위한 스풀러킷(111)을 설치하고 있으며, 그 상부에는 모터(140)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라인(120) 내부에 위치한 링크체인(130)에 의해 이송물(30)이 이송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각 링크체인(130)의 연결부위가 자체적으로 회전되고 또 전체적으로 회전됨으로써 곡률부분 등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이송물(30)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링크 컨베이어(10)는 각 링크체인(130)의 중심에 이송패널(130p)이 위치하고 이 이송패널(130p)의 양측으로 체인링(130r)이 있으며, 이 체인링(130r)에 각각의 링크체인(130)을 연결하기 위한 회전부(135)가 중간에 삽입된 상태로 연결됨으로써, 링크체인(130)을 길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4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링크 컨베이어(10)의 회전부(135)는 암수회전부재(135x, 135y)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체결과 회전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링크 컨베이어(10)는 이송물(30)을 실제 운반하는 파이프라인(120) 내부 링크체인(130)의 회전부위나 연결부위에 이송물(30)이 끼이게 됨으로써, 링크체인(130)의 회전작동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암수회전부재(135x, 135y)로 이루어지는 회전부(135)가 추가적으로 링크체인(130)의 연결에 추가되어 있어 무거운 중량의 이송물(30) 등을 이송하기에는 많은 부담을 주어 구조적으로 취약한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며, 손길을 많이 해주어야 하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각 링크체인(130)이나 회전부(135) 등의 연결부위에 이송물(30)이 끼여 이음부분을 상하게 하거나 약화시 킬 염려도 있다. 각 링크체인(130)의 회전이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이송물(30)의 수송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종래 링크 컨베이어(10)는 링크체인(130)을 회전시키는 스풀러킷(111)이 약하여, 링크체인(130)이 걸리는 부분의 스풀러킷(111)이 닳거나 마모되는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뿐만아니라, 결국 마모된 스풀러킷(111)을 새것으로 교체해 주기 위해 링크 컨베이어(10)를 분해해야 하는 문제로까지 발전하게 된다.
종래 링크 컨베이어(10)는 파이프라인(120) 자체의 연결상태도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각 파이프라인(120)의 연결시 각 파이프라인(120)의 연결부위에 수지형태의 연결패드(120p)를 끼운 상태에서 나사 등으로 체결하기 때문에, 그 견고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연결된 파이프라인(120)의 체결부위가 힘에 견디지 못하고 벌어지거나 이그러지게 되어, 연결패드(120p)가 끼워진 사이가 벌어지는 경우는 이송물(30)에 섞여 있는 액체성분이 유출된 가능성 마저 앉고 있어, 링크 컨베이어(10)의 각 부분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거운 중량의 이송물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각 링크체인을 보다 강하게 구조화시키고 동시에 각 링크체인의 연결도 보다 강하게 연결할 수 있는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그 체결단을 줄여 체결의 견고성을 높임과 동시에, 종래와 같이 연결 되는 부위가 이송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조화시킨 컨베이어 시스템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풀러킷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구성품을 유기적으로 체결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이송물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에 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링크체인(5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 링크체인(510)의 결합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슈트(520s)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 슈트(520s)의 체결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울러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파이프라인(55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파이프라인(550)을 연결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은, 조종판넬의 조종에 따라 내부에 위치한 스풀러킷에 의해 폐회로 상태의 파이프라인으로 삽입된 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원반고리 형태의 체인패널(513) 중심에 체인와이어(511) 끝단부에 결합되는 체인고리를 삽입한 상태로 체인홀더(512)를 고정시킴으로써, 회돌이 회전시 자체 연결부위의 회전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다수 결합되어 폐회로 상태의 벨트를 이루는 링크체인(510)과;
상기 링크체인이 걸리는 상기 스풀러킷(520)의 요부 모양과 같은 요홈을 가지며, 상기 스풀러킷의 요부 모양에 맞춰 고정되는 슈트(520s)와;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의 체인으로부터 추출되고 인입되는 이송물을 운송하며, 양끝단 접합 연결부위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이송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부재(552s)를 삽입한 후 결합되는 파이프라인(5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링크체인(510)에 있어, 상기 체인고리는 상기 체인와이어에 가압된 상태로 체결되며, 상기 체인홀더는 일정 두께를 갖는 고리원반 형태의 패널을 일정한 간격으로 조각내어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슈트(520s)는, 링크식 컨베이어 시스템의 체인을 견고하게 걸기 위해 상기 체인이 걸리는 상기 스풀러킷의 요부 모양과 같은 요홈을 가지며 상기 스풀러킷의 요부 모양에 맞춰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슈트(520s)는 상기 체인의 걸림이 양호하도록 상기 요홈의 주위를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시키며, 망간(Mn)과 크롬(Cr)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된 망간크롬 합금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550)은, 링크식 컨베이어 시스템의 체인으로부터 추출되고 인입되는 이송물을 운송하며, 양끝단 접합 연결부위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이송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부재를 삽입한 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파이프라인(550)에 있어, 상기 삽입부재는 원형의 링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은, 원반고리 형태의 체인패널 중심에 체인고리를 삽입한 상태로 체인홀더를 고정시켜 서로 회전가능한 상태에서 다수 결합되어 폐회로 상태의 벨트를 이루는 링크체인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이러한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은, 상기 링크체인을 견고하게 걸기 위해, 상기 링크체인이 걸리는 상기 스풀러킷의 요부 모양과 같은 요홈을 가지며, 상기 스풀러킷의 요부 모양에 맞춰 고정시키는 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에 따른 링크체인 콘베이어 시스템과 이를 구성하는 각 링크체인, 슈트 및 파이프라인의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링크체인 콘베이어 시스템의 링크체인(510)은 체인와이어(511), 체인홀더(512), 체인패널(513)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체인와이어(511)는 링크체인(510)의 연결을 위한 벨트라인으로, 그 끝에 체인패널(513)에 체결하기 위한 체인볼트(511b)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체인와이어(511)의 중앙은 와이어(511w)가 위치하고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다수 가닥의 와이어가 동아줄 형태로 얽어져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체인와이어(511)는 일정한 간격, 예컨대 30cm 정도의 길이로 잘려진 와이어(511w) 끝에 보울트(bolt) 모양의 체인볼트(511b)를 끼운 후, 유압 방식의 체결장치에 물린 후 중심방향으로 순간적인 압력을 가함으로써 체인와이 어(511)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순간 압력 방식의 제조는 종래의 용접 제작방식에 비해 단시간에 제작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높으며, 용접방식에 비해 체결강도도 뛰어나다.
하지만 본 체인와이어(511)는 용접방식 등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중간의 와이어(511w)도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은 와이어 형태이외에도 다수의 와이어링에 의한 링체 형태 등, 본 컨베이어 시스템(50)에서의 체인와이어(511)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체인패널(513)은 중심에 체결을 위한 삽입홈(513h)이 형성되어 있는 원반고리형태이다. 이 체인패널(513)이 실제 이송물을 이송하는 받침대가 되고, 컨베이어 시스템(50)의 파이프라인(550)에 실제 삽입되어 이송상태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게 되므로 가벼운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일정한 강도를 가진 수지성 재료로 형성하고 있다.
체인홀더(512)는 체인패널(513)의 중심에 삽입하는 체인와이어(511)의 체인볼트(511b)를 건 상태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체인홀더(512)는 고리형 원반을 이등분한 형태이지만, 체결상태의 견고성이나 효율성, 체인패널(513)의 형태나 크기 등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등분의 비율 및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형성한 체인와이어(511)의 체인볼트(511b)를 체인패널(513)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체인홀더(512)로 체인볼트(511b)를 걸어 체결하면, 본 실시 예의 링크체인(510)이 완성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슈트(520s)는 대략 말발굽 형태와 비슷한 'C'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슈트(520s)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은 본 컨베이어 시스템 스풀러킷(520)의 요부에 맞추기 위한 것으로서, 후술하겠지만 작동하는 과정에서 앞서 살펴본 링크체인(510)이 실제 걸리는 부분이며, 따라서 스풀러킷(520)의 요부와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꼭 같을 필요는 없으며 상황에 따라 약간 튀어나오도록 하거나 약간 변형한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슈트(520s)는 링크체인(510)의 걸림과 이탈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그 끝을 경사진 형태로 다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풀러킷(520)에 체결시키기 위해 본 실시 예의 슈트(520s)에는 체결공을 다수로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슈트(520s)는 높은 강도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를 위해 강도나 경도가 뛰어난 M/C합금강(망간/크롬 합금강)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러한 M/C합금강은 망간과 크롬의 혼합/화합비율을 달리하므로써 그 강도나 경도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가공하기도 편리하다. 아울러 본 실시 예의 슈트(520s) 재료 또한 링크체인(510)의 걸림과 이탈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재료라면 다양하게 채택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형성한 슈트(520s)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체인(510)이 걸 리는 본 컨베이어 시스템의 스풀러킷 일측면에 체결된 상태로 작동되므로써, 스풀러킷의 수명을 증대시킴은 물론 작동 효율로 향상시키게 된다.
본 컨베이어 시스템(50)에 있어 파이프라인(55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의 이송파이프(551)와 이 이송파이프(551) 양측의 연결단부(552)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라인(550)은 연결부분에 고무밴드 등의 연결패드(120p)를 추가적으로 덧대고, 이렇게 덧댄 상태에서 연결부위를 체결함에 따라 체결의 견고함에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파이프라인(550)에서는 연결단부(552)에 삽입링홈(552h)을 구비하고 있다. 이 삽입링홈(552h)은 연결단부(552)의 표면으로부터 패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후 설명하겠지만 이 연결단부(552)에는 링형태의 삽입부재(552s)가 삽입된다.
본 파이프라인(550)그 길이가 필요에 따라 500~600mm에서부터 2000~3000mm 까지 되는 것도 있으며, 본 컨베이어 시스템(50)의 설치장소 및 설치여건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그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본 파이프라인(550)은 도시한 바와 같은 곧은 형태 이외에, 중간의 이송파이프(551)가 굽어지거나 라운드진 형태도 있으며 해당 연결위치에 합당한 형태를 연결함으로써 전체 파이프라인 구성을 완성하게 된다.
도 10을 통하여 본 파이프라인(550)이 연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한쪽 연결단부(552)의 삽입링홈(552h)에 삽입부재(552s)를 삽입하고 이 후 연결시킬 반 대쪽 연결단부(552)를 덧대인다. 이 후 양쪽의 연결단부(552)를 볼트나 너트 등으로 서로 체결함으로써 두 파이프라인(550)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이 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필요한 위치까지 파이프라인(550)을 연결하고 이를 컨베이어 시스템의 본체프레임(540)에 형성된 출구와 입구에 각각 연결해줌으로써 컨베이어 시스템(50)을 완성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컨베이어 시스템(50)은 컨베이어 시스템본체(50b) 상부에 스풀러킷(5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530)를 구비하고 있으며, 조종판넬의 조종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폐회로를 구성하면서 길게 연결된 링크체인(510)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의 링크체인(51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체인이다. 아울러 본 실시 예의 링크체인(510)은 중간이 와이어(511w)로 연결되어 있어 곡면부에서 원활하게 회전되며,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 일실시 예의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을 통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에 대해 살펴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본 발명의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 링크체인(510), 슈트(520s), 파이프라인(550) 등은 전술한 본 발명의 개념을 바탕으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한 이러한 변화된 응용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 체결 방식 등을 도입하고 체인패널 내에서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무거운 중량의 이송물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각 링크체인을 보다 강하게 구조화시키고 동시에 각 링크체인의 연결도 보다 강하게 연결한 컨베이어 시스템의 체인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컨베이어 시스템의 파이프라인 및 스풀러킷에 있어서도, 그 체결단을 줄여 체결의 견고성을 높임과 동시에, 종래와 같이 연결되는 부위가 이송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조화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스풀러킷의 구조를 보강하여 오래도록 사용하도록 함과 동시에 원활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품을 이용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이송물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은 관련 산업계의 기술을 한 단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0)

  1. 조종판넬의 조종에 따라 내부에 위치한 스풀러킷에 의해 폐회로 상태의 파이프라인으로 삽입된 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원반고리 형태의 체인패널(513) 중심에 체인와이어(511) 끝단부에 결합되는 체인고리를 삽입한 상태로 체인홀더(512)를 고정시킴으로써, 회돌이 회전시 자체 연결부위의 회전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다수 결합되어 폐회로 상태의 벨트를 이루는 링크체인(510)과;
    상기 링크체인이 걸리는 상기 스풀러킷(520)의 요부 모양과 같은 요홈을 가지며, 상기 스풀러킷의 요부 모양에 맞춰 고정되는 슈트(520s)와;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의 체인으로부터 추출되고 인입되는 이송물을 운송하며, 양끝단 접합 연결부위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이송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부재(552s)를 삽입한 후 결합되는 파이프라인(5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고리는,
    상기 체인와이어(511)에 가압된 상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홀더는,
    일정 두께를 갖는 고리원반 형태의 패널을 일정한 간격으로 조각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520s)는,
    상기 링크체인의 걸림이 양호하도록 상기 요홈의 주위를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망간(Mn)과 크롬(Cr)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되어 형성된 망간크롬 합금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552s)는,
    원형의 링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48741A 2007-05-18 2007-05-18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KR100855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741A KR100855710B1 (ko) 2007-05-18 2007-05-18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741A KR100855710B1 (ko) 2007-05-18 2007-05-18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710B1 true KR100855710B1 (ko) 2008-09-03

Family

ID=40022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741A KR100855710B1 (ko) 2007-05-18 2007-05-18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194B1 (ko) 2022-11-03 2023-12-07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관형 낙탄 회수 링크 체인 컨베이어용 접이식 스크래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0890U (ko) 1975-12-29 1977-07-07
JPS55139668U (ko) 1979-03-27 1980-10-04
JPH02291305A (ja) * 1989-04-14 1990-12-03 Camillo Pirovano ケーブル搬送装置
JPH06340316A (ja) * 1993-04-05 1994-12-13 Houriyou Sangyo Kk エレベーティングコンベヤ
JPH11301819A (ja) 1998-04-17 1999-11-02 Parutakku:Kk ピッキング台車及びピッキング台車の商品の店舗別仕分け方法
KR100489924B1 (ko) 2003-11-18 2005-05-19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0890U (ko) 1975-12-29 1977-07-07
JPS55139668U (ko) 1979-03-27 1980-10-04
JPH02291305A (ja) * 1989-04-14 1990-12-03 Camillo Pirovano ケーブル搬送装置
JPH06340316A (ja) * 1993-04-05 1994-12-13 Houriyou Sangyo Kk エレベーティングコンベヤ
JPH11301819A (ja) 1998-04-17 1999-11-02 Parutakku:Kk ピッキング台車及びピッキング台車の商品の店舗別仕分け方法
KR100489924B1 (ko) 2003-11-18 2005-05-19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파이프라인형 링크 컨베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194B1 (ko) 2022-11-03 2023-12-07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관형 낙탄 회수 링크 체인 컨베이어용 접이식 스크래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647B1 (ko) 파이프 커플링
JP2005519826A5 (ko)
AU2003220129A8 (en) Conveyor chain
US9370898B2 (en) Connecting method
EP0878418A1 (en) Side-flexing conveyor construction
CA2268193A1 (en) Pig delivery and transport system for subsea wells
KR100855710B1 (ko) 링크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GB2371342A (en) Method for joining plastics lined pipeline sections
US7267221B2 (en) Silent modular conveyor and conveyor links
CN105947559A (zh) 一种吊挂输送系统
MX2007001458A (es) Aparato y sistema transportador.
US5057058A (en) Split pulley
CN102803103B (zh) 用于干煤挤压泵带有重叠链节的履带
US6473945B1 (en) Flange clamp
GB2176865A (en) Pipe having a segmented lining
US6302452B1 (en) Pipe connector system with interchangeable connector assemblies
US7303359B1 (en) Pipe reinforcement system and method
US7251924B1 (en) Non-detachable chain link for material mover chain
CN207961412U (zh) 一种新型运输带连接扣结构
CN206234318U (zh) 一种易更换的带连接座的同步带接头
US5704465A (en) Coupling assembly for bulk material conveying systems
FR2589543A1 (fr) Dispositif d'agrafage pour la jonction des courroies, procede de jonctionnement utilisant ce dispositif et courroie jonctionnee selon ce procede
CN208790444U (zh) 一种柔性链板
CN2537684Y (zh) 均衡耐磨圆环式输送链
CN206384452U (zh) 一种用于输送的滚珠侧弯链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