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098B1 - Strut structure as temporary system using a vertical truss at the end and the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trut structure as temporary system using a vertical truss at the end and the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5098B1
KR100855098B1 KR1020070049882A KR20070049882A KR100855098B1 KR 100855098 B1 KR100855098 B1 KR 100855098B1 KR 1020070049882 A KR1020070049882 A KR 1020070049882A KR 20070049882 A KR20070049882 A KR 20070049882A KR 100855098 B1 KR100855098 B1 KR 100855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
pile
vertical truss
truss memb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택동
Original Assignee
정택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택동 filed Critical 정택동
Priority to KR102007004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50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50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A vertical truss type strut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the vertical truss type strut structure are provided to secure economical efficiency by transferring the earth pressure received from an H-pile and a wale to a strut according to stress distribution, and keeping the installation number of H-piles and wale as it is and reducing the installation number of a strut member. A vertical truss type strut structure comprises a vertical truss member(410) having the bottom is installed parallel to an H-pile(100) at the top of a wale(200) and the top is coupled to the end of a strut(300), and a sloped truss member(420) having the bottom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obliquely and the top is connected to the strut at the joint of the strut and a central pile(500). A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a vertical truss type strut structure comprises the steps of installing a vertical truss member having the bottom is installed parallel to an H-pile at the top of a wale and the top is coupled to the end of a strut, and installing a sloped truss member having the bottom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obliquely and the top is connected to the strut at the joint of the strut and a central pile.

Description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Strut Structure as Temporary System using a Vertical Truss at the End and the Method thereof}Strut Structure as Temporary System using a Vertical Truss at the End and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구조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경우의 굴착평면도.Figure 1 is an excavation plan in the case of construction using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종래 버팀보 구조에 따른 터파기 흙막이 공사를 하는 경우의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of the trench earthenwar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buttress structur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구조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경우의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case of construction using the end vertical truss-shaped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터파기 공사를 하는 경우 토압으로 인한 흙막이 측벽의 응력 분포도.Figure 4 is a stress distribution diagram of the mudwall sidewall due to earth pressure when the excavation work.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의 설치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of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에서 경사트러스부재의 신축용잭의 상세도.Figure 6 is a detailed view of the expansion jack of the inclined truss member in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에서 좌굴방지용 H-형강의 사용상태도.Figure 7 is a state of use of the buckling prevention H-shaped steel in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종래의 버팀보 구조로 흙막이 벽체 시공 후 굴착작업을 시공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Figure 8 is a state of use when constructing excavation work after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with a conventional support structur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구조로 흙막이 벽체 시공 후 굴착작업을 시공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Figure 9 is a state of use when constructing the excavation work after construction of the wall construction with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 설명 *Major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 : 종래발명에서의 H-Pile 2 : 종래발명에서의 띠장1: H-Pile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2: Band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3 : 종래발명에서의 버팀보 5 : 종래발명에서의 중앙부파일3: prop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5: central part pile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100 : H-Pile(엄지말뚝) 200 : 띠장(Wale)100: H-Pile 200: Wale

270 : 스티프너(stiffener) 300 : 버팀보(Strut)270: stiffener 300: strut

400 : 단부트러스 410 : 수직트러스부재400: end truss 410: vertical truss member

417 : 스티프너(stiffener) 420 : 경사트러스부재417: stiffener 420: inclined truss member

426 : 신축용잭 430 : 좌굴방지용 H형강426: expansion jack 430: buckling prevention H-beam

500 : 중앙부파일(Center Pile) 500: Center Pile

110,210,310,411,421,431,510 : 플랜지 120,220,320,412,422,432,520 : 웨브110,210,310,411,421,431,510: Flange 120,220,320,412,422,432,520: Web

130,230,330,413,423,433 : 결합공 140,240,340,414,424,434 : 결합볼트130,230,330,413,423,433: Coupling hole 140,240,340,414,424,434: Coupling bolt

A : 토압에 따른 하중A: Load according to earth pressure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 구축을 위한 터파기 공사에서 흙막이 가시설 공법 중 하나인 버팀보 공법에 의한 구조물 설계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 구조 물 공사를 위한 흙막이 측벽을 설치시 수직으로 H-Pile을 소정 간격으로 타발하고, 상기 수직으로 타발된 H-Pile에 가로로 토류판을 삽입한 후, 상기 H-Pile 위에 가로로 띠장을 설치한 후, 상기 띠장을 동일 평면상의 수직으로 플랜지 부위를 압축하며 같은 평면상에 있는 다른 측벽의 띠장 플랜지까지 수평연장되어 축력을 지탱하는 버팀보를 설치하는 흙막이 버팀보 공법에 있어서, 하단은 상기 띠장 위로 상기 H-Pile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단은 상기 버팀보의 끝단에 결합되는 수직트러스 부재와, 하단은 상기 수직트러스 부재의 하단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버팀보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는 경사 트러스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수직 트러스 버팀보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design of the structure by the reinforcement method, which is one of the temporary wall construction methods in the trench construction for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More specifically, the H-Pile is vertically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hen installing the side wall for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After inserting the earth plate to the vertically punched H-Pile horizontally, install a strip on the H-Pile horizontally, and then compress the flange portion vertically on the same plane and the same plane In the retaining support method for installing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axial force by extending horizontally to the other side of the belt flange of the side wall, the bottom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H-Pile above the band and the top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upport The member and the lower end are connected inclin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the upper end is inclined to the bra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lined end truss member sum relates to perpendicular beotimbo truss structure.

통상의 건설현장에서는 지하에 건물의 기초, 지하실 또는 콘크리트 벽체를 축조하기 위하여 해당 지반을 굴토한 후 굴토면이 토압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통 가설 흙막이 벽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기존 지하철 공사나 건물의 지하층을 만들기 위하여 터파기를 하여 흙막이를 하는 경우의 시공방법은 우선 계획된 평면을 따라 설계 깊이까지 구멍을 뚫고, 소정 간격으로 지반에 설치되는 수직 H-Pile(엄지말뚝)을 박고 이러한 H-Pile의 설치가 끝나면, 부분적으로 굴착을 하고 주형보와 복공판을 설치한다. 이어서, 복공판의 설치가 끝나면 이후의 작업은 굴착작업과 굴착에 따른 버팀보의 설치가 반복되면서 공사가 진행된다. 또한, 상기 H-Pile 사이에 토류판 등을 적층하여 굴토면을 받치는 토류벽을 형성하고 H-Pile의 일측면에 수평되게 띠장을 설치하며, 이를 지지하기 위한 버팀보 를 띠장에 연결시킨다. 상기 띠장은 여러개의 H형강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빔 사이에 철판을 대고 용접하거나 빔의 연결부위에 구멍을 뚫고 대는 철판에도 구멍을 뚫어 이를 볼팅하는 방식으로 접합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가시설을 설계하기 위하여 굴착 단계별 토압과 버팀보에 작용하는 하중을 반복 계산하여, 최대값을 견딜 수 있도록 버팀보를 설치한다. 이런 방식으로 설계와 시공을 하다보니 버팀보의 개수가 많이 필요하게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H-Pile과 띠장(Wale)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수직 간격이 2.0-3.0 M 이내로 버팀보를 매우 촘촘하게 배치하며, 이렇게 촘촘하게 배치된 버팀보는 막장 내에서 건설자재의 운반이나, 중장비의 반입 및 공사 작업을 방해하는 매우 중대한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암부분 굴착시에는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큰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커다란 장비의 진입이 어렵고 결국 작업효율도 떨어지게 되며, 상기 버팀보의 개수가 많이 소요되므로 설치비용도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버팀보를 유지한 채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슬래브 등의 시공시 본 구조물에 다수의 구멍이 생기는 것을 비할 수 없기 때문에, 완성된 지하구조물의 방수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In a typical construction site, in order to construct a foundation, basement, or concrete wall of a building underground, the temporary ground wall is usually installed to prevent the oyster surface from collapse by earth pressure after excavating the ground. The construction method in the case of digging a hole by digging in order to make a basement floor of a conventional existing subway construction or building is to first drill a vertical H-Pile (thumb pile) installed o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y drilling holes to the design depth along the planned plane.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H-Pile, excavate partly and install the mold beam and perforated plate. Subsequently,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perforated plate is completed, the subsequent work is carried out while the excavation work and the installation of the brace according to the excavation are repeated. In addition, by stacking the earth plate and the like between the H-Pile to form the earth wall to support the oyster earth surface, install a band horizontally on one side of the H-Pile, and connects the support for supporting it to the band. The strip is used to connect a number of H-shaped steel to connect it by welding the steel plate between the two beams, or by drilling a hole in the iron plate to the hole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eam to be bonded in a manner of bolting it. Therefore, in order to design such a temporary facility,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calculate the earth pressure and the load acting on the brace in each excavation, and install the brace to endure the maximum value. The design and construction in this way requires a large number of braces. In most cases, the braces are arranged very tightly with a vertical spacing of 2.0-3.0 M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H-Pile and the wale. Densely arranged braces are very important obstacles to the transport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heavy equipment and construction work within the shelter. In particular, the excavation of the arm portion takes a lot of work time and use a large equipment, it is difficult to enter such a large equipment and eventually work efficiency is also reduced, because the number of the braces takes a lot of installation cost increases. In addition, since the construction is made while maintaining the brace, it is impossible to compare a large number of holes in the present structur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lab, which causes serious problems in waterproofing the finished underground structure.

결국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흙막이 공사에서 사용되는 종래 버팀보 시공법은 상기 촘촘하게 설치된 버팀보로 인해 장비의 작업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현장에서 작업이 어려워 충분한 작업공간 확보 후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공간확보를 하는 경우, 흙막이 벽체에 변위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2162호 "트러스식 지보구조에 의한 지반 굴착공법"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하여 버팀보 형태로 시공되는 경우 평면상으로 트러스 부재를 많이 설치하여 응력을 버틸 수 있도록 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상기 버팀보 자체의 평면상 트러스 구조로 인하여 가설 구조물 흙막이 현장에서 정밀하게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종간의 트러스가 설치되지 않은 공간이 넓은 경우는 트러스만으로 흙막이 벽체에 작용하는 토압을 충분히 받아줄 수 없는 구조이고, 굴착 깊이가 깊은 경우는 특히 토압에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수직으로는 2.0-3.0 M 간격으로 트러스 형태의 버팀보를 계속적으로 설치하여야하므로 트러스형 버팀보가 설치되는 구간에는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작업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즉 평면상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효율적일지 모르나, 역시 띠장마다 각각 버팀보를 설치해야 하므로 수직 공간에서의 작업공간은 확보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the end, as mentioned above, the conventional brace construction method used in the earthen construction is difficult to secure the working space in the field due to the tightly installed braces, so it is difficult to work in the field, so the work must be secured after securing sufficient working space. As a result, a lot of displacement occurs in the retaining wall. Accordingly,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412162 "Ground Excavation Method by Truss Type Supporting Structure" is intended to be able to withstand the stress by installing a large number of truss members in the plane when it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brac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However, due to the planar truss structure of the brace itself,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install the temporary structure in the construction site, and in the case where the space between the trusses is not installed, the truss alone cannot sufficiently receive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wall. In case of deep excavation depth, it is not possible to secure enough safety especially for earth pressure, an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nstall truss-type braces at 2.0-3.0 M intervals vertically. It can not be secured and work efficiency may be reduced. In other words, it may be efficient as a method for securing a work space on a plan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 space in the vertical space cannot be secured because the braces must be installed for each belt.

또한, 지하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한 가시설 공법 중 앞에서 언급된 버팀보공법 외에 버팀보가 없는 방법으로 어스앵커를 이용하여 띠장(강재 파일)을 지지하는 공법이 있으며, 이 방법은 H-Pile의 뒷편 지반 속으로 경사구멍을 천공하여 강선이나 강봉을 삽입하고 삽입된 강봉의 끝부분을 기계적인 방법이나 에폭시, 시멘트 그라우팅 등의 화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정착한 뒤, 강봉을 긴장하여 띠장을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시공된 가시설은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공사의 난이도가 개선되는 등의 장점이 있는 공법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이 공법의 최대 단점은 복잡한 시내 도심지에서 적용될 경우, 거의 대부분의 경우 인접 사유지를 침범하게 되어 민원이 발생될 여지가 많다는 점이며, 더욱이 수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깊은 지하층이 이루어진 건물이 기존에 있는 경우, 결코 이루어 질 수 없는 공법이다. 또한, 공사비 역시 비싸진다는 점도 큰 문제점의 하나이다. 결국, 상기 어스앵커 공법의 흙막이 공사는 도심지에서 곤란한 바가 있고, 이에 따라, 버팀보 공법에 따른 흙막이 공사를 지향하고 있는 가운데, 자재의 절약, 시공비용의 절감, 막장 내에서 건설자재의 운반이나, 중장비의 반입 및 공사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여러가지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supporting the strip (steel pile) using earth anchors in a way without the support,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support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structures. A steel wire or steel bar is inserted by drilling a sloped hole, and the end of the inserted steel bar is fixed by a mechanical method or a chemical method such as epoxy or cement grouting, and then the steel bar is tensioned to fix the strip. The provisional facilities constructed in this way can be secured with sufficient internal space, which is evaluated as a construction method tha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However, the biggest drawback of this method is that when applied in a complex urban downtown area, in most cases, there is a lot of room for civil complaints due to invasion of adjacent private lands. In this case, it can never be done. In addition, construction costs are also one of the big problems. As a result, the earth anchor construction of the earth anchor construction method is difficult in the downtown area, and thus, while aiming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support method, the saving of materials, the reduction of construction cost, the transport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the heavy equipment in the construction site There is a need to improve various problems for the convenience of import and construction work.

한편 상기 띠장은 토류벽의 토압을 견디게 되는데, 횡방향으로 미치는 토압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버팀보와 띠장이 연접하는 부위나 또는 버팀보의 길이의 조절을 위하여 잭과 띠장이 인접하는 부위는 많은 힘을 받게 된다. 즉 상기 띠장과 버팀보로 대개 H형강을 사용함으로써 버팀보에 약축 방향으로 좌굴이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하여야 하며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수평 및 수직으로 보강재를 설치하기도 한다. 보강재로는 띠장으로 사용되는 H형강의 플랜지 사이에 적당한 크기의 철판을 수직으로 대고 용접하거나, 해당 플랜지 부분에 철판을 수평으로 대고 용접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용접설치시 가스 발생을 유발하여 환경파괴 및 안정적이지 못한 곳에서의 가스 사용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뿐만 아니라 분리가 힘들기 때문에 이부분을 절단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자재의 낭비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좌굴방지 부재의 시공편의에 따른 합리적인 필요성 및 경제적인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rip is to endure the earth pressure of the earth wall, the area where the brace and the strip is connected to support the earth pressure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portion adjacent to the jack and the strip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race is a lot of force Will receive. That is, the buckling occurs in the weak axis direction in the brace by using the H-shaped steel as the girdle and the brace, and the reinforcement may be install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reinforce it. As a reinforcing material, a steel plate of a suitable size is welded vertically between the flanges of H-shaped steel used as a band, or horizontally welded to the flange part. However, this method is very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This is a problem that leads to waste of materials because it is necessary to cut this part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parate as well as the risk of safety accident due to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use of gas in an unstable place by causing gas generation. Therefore, the rational necessity and economic demands of the construction convenience of such a buckling preventing member have emerg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은, 흙막이 가시설 공법 중 버팀보 구조에 대하여 구조물 설계를 하면 H-Pile(H형강), 띠장(Wale, H형강), 버팀보(STRUT, H형강)가 주요부재로, 토압의 60% - 70% 정도를 받아 가장 먼저 항복강도에 도달하는 부재는 띠장과 H-Pile이며, 버팀보는 허용응력의 30% - 40% 정도까지의 응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상기 응력분포에 따라 H-Pile과 띠장에서 받는 토압을 버팀보로 전달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H-Pile 및 띠장의 설치 개수는 그대로 유지하되, 상기 버팀보 부재의 설치 단수를 줄이면서, 상기 버팀보의 설치단수가 많아 설치 비용이 많이 들어간 종래 버팀보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부재 절감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흙막이 공법으로써 단부 수직 트러스 버팀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ructure design for the brace structure of the earthquake temporary construction method H-Pile (H-beam), strip (Wale, H-beam), brace ( STRUT, H-shaped steel) is the main member, and the first member to reach yield strength by receiving 60%-70% of earth pressure is the band-length and H-Pile, and the brace is a stress of 30%-40% of the allowable stress. According to the stress distribution, it is possible to transfer the earth pressure received from the H-Pile and the band according to the stress distribution,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H-Pile and the band is maintained as it is, but the number of steps of installing the bracing member At the same time, it solves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uttress method, which has a large number of installation costs, and provides an end vertical truss buttress structure as an earthquake method that can secure economical efficiency. It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버팀보 공법에서 버팀보의 설치 단수가 촘촘히 이루어져 작업이 곤란하였는데, 이에 본 발명의 단부 수직 트러스를 사용하여 상기 버팀보의 수직 설치 폭을 넓힘으로써 수직 작업공간이 확보되므로 굴착 작업이 용이하고 특히 암반구간에는 천공 및 브레이카 작업 효율이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 버팀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ifficult to work because the number of steps of the mounting of the support in the conventional buttress method is tight, the vertical working space is secured by widening the vertical installation width of the buttress using the end vertical truss of the present invention, excavation work It is to provide an end vertical truss brace structure that facilitates and facilitates drilling and breaker work efficiency, particularly in rock sec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H-Pile과 띠장은 일반 버팀보 공법과 동일하게 배치하고 버팀보는 단부 부분에 삼각형의 수직트러스부재와 경사트러스부재를 사용한 수직 트러스 형태를 설치하여 H-Pile과 띠장에서 전달된 축력을 상기 수직 트러스와 경사 트러스를 통하여 버팀보에 전달하여 버팀보 공법의 시공시 흙막이 공사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 버팀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Pile and the strip is arranged in the same way as the general brace method, but the buttress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truss form using a vertical vertical truss member and inclined truss member at the end portion of the H-Pile and the strip It is to provide an end vertical truss brace structure to transmit the transmitted axial force to the brace through the vertical truss and the inclined trus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earthwork construc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race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버팀보의 단부에 삼각형의 수직 트러스 형태의 구조를 사용하여 버팀보의 수직 설치 폭을 넓혀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한 후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흙막이 벽체의 변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 버팀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triangular vertical truss structure at the end of the brace to widen the vertical installation width of the brace so that the work space is sufficiently secured so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prevented. To provide end vertical truss brace structur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버팀보의 단부에만 삼각형의 수직 트러스 구조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수평 버팀보를 적게 설치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단부 수직 트러스 버팀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vertical vertical truss structure only at the end of the brace, while maintaining safety while increasing the working space by increasing the work efficiency and installing a small vertical brace so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vertically. To provide a truss brac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단부 수직 트러스 버팀보 공법에 있어서, 경사트러스부재는 응력을 받을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신축용잭을 포함하도록 하여 수직트러스부재와 버팀보 간의 불균형한 수직 정도 또는 토압의 불특정으로 흙막이 벽체가 균등한 평면을 이루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경사트러스부재의 신축용잭을 사용하여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 버팀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truss member includes an elastic jack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so as to be stressed unbalanced vertical degree between the vertical truss member and the brace or When the earth wall is not evenly formed due to unspecified earth pressure, it is to provide an end vertical truss brace structure to adjust the length using the expansion jack of the inclined truss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띠장과 수직트러스부재와 경사트러스부재의 조인트 부위에서 상기 H-Pile과 상기 수직트러스부재 사이에 있는 상기 띠장 상,하부에 좌굴방지용 H-형강을 포함하여 상기 경사트러스부재와 수직트러스에 가해지는 축력으로 인해 상기 띠장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 버팀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the H-shaped steel for preventing buckling above and below the H-Pile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between the H-Pile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at the joint portion of the H-Pile and the inclined truss member. It is to provide an end vertical truss brace structure to prevent the belt is buckled due to the axial force applied to the truss member and the vertical trus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버팀보와 상기 수직트러스부재의 접합 부위 에서 불균등한 토압에 따라 상기 수직트러스부재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하부토압에 따라 상기 수직트러스부재가 수직에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버팀보와의 접합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접합부에 스티프너를 포함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 버팀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orsion in the vertical truss member due to uneven earth pressure at the joint portion of the brace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and in addition, the vertical truss member is inclined vertically according to the lower earth pressure. When losing, there is a risk that the joint portion with the brace is damaged, so to provide an end vertical truss brace structure including a stiffener to the joint to prevent it.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며,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mplemented by the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include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구조는, 지하 구조물 공사를 위한 흙막이 측벽을 설치시 수직으로 타발되는 소정 간격의 H-Pile(100)과, 상기 H-Pile(100) 위에 가로로 설치되는 띠장(200)과, 상기 띠장(200)을 동일 평면상의 수직으로 상기 띠장의 플랜지(210) 부위를 압축하며 같은 평면상에 있는 다른 측벽의 띠장 플랜지(210)까지 수평연장되어 축력을 지탱하도록 설치되는 버팀보(300)와, 상기 버팀보(30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중앙부파일(500)을 포함하는 흙막이 버팀보 구조에 있어서, 하단은 상기 띠장(200) 위로 상기 H-Pile(100)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의 끝단에 결합되는 수직트러스부재(410)와, 하단은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의 하단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중앙부파일(500)의 조인트 부위에서 상기 버팀보(300)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는 경사트러스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vertical truss-shaped suppor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Pile (100) and the H-Pi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at is punched vertically when installing the mudwall sidewall for th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100 is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strip 200 and the strip 200 in the same plane vertically compresses the flange 210 of the strip length and horizontal to the strip flange 210 of the other side wall on the same plane In the retaining structure of the retaining support structure including a brace 300 that is extended to support the axial force, and the central pile (500) installed therein to prevent sagging of the brace 300, the bottom is the strip 200 It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H-Pile (100), the top is a vertical truss member 410 coupled to the end of the brace 300, and the bottom is coupled inclined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 The top is the brace (30 0) and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which is coupled to the brace 300 in an inclined portion at the joint portion of the central portion pile 5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는,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는 응력을 받을 수 있게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신축용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pansion jack for adjusting the length to be stress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구조는, 상기 띠장(200)과 수직트러스부재(410)와 경사트러스부재(420)의 조인트 부위에 상기 띠장(200)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띠장 상,하부에 좌굴방지용 H-형강(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200,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and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of the joint portion of the band 2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shaped steel 430 for buckling to prevent the buckling in the upper, lower girdle.

본 발명의 또 다른 살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구조는,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띠장(200)과의 조인트 부위에 좌굴방지용 스티프너(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ckling prevention stiffener 270 in the joint portion of the brace 300 and the strip length 200.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구조는,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의 접합 부위에서 비틀림 방지 및 하부토압에 따른 접합 부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스티프너(4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rsion prevention at the joint portion of the brace 300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and the damage of the joint portion due to the lower earth pressur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iffener 417 to prev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구조는,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의 하단은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의 하단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중앙부파일(500)의 조인트 부위에서 상기 중앙부파일(500)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는 경사트러스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coupled inclin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the top is the br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clined truss member 420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pile 500 inclined at the joint portion of the 300 and the central portion pile 5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공법은, 지하 구조물 공사를 위한 흙막이 측벽을 설치시 수직으로 H-Pile(100)을 소정 간격으로 타발하고, 상기 수직으로 타발된 H-Pile에 가로로 토류판을 삽입한 후, 상기 H-Pile 및 토류판 위에 가로로 띠장(200)을 설치한 후, 상기 띠장을 동일 평면상의 수직으로 상기 띠장의 플랜지(210) 부위를 압축하며 같은 평면상에 있는 다른 측벽의 띠장 플랜지(210)까지 수평연장되어 축력을 지탱하는 버팀보(300)를 설치하고, 상기 버팀보(30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중앙부파일(500)을 설치하는 흙막이 버팀보공법에 있어서, 하단은 상기 띠장(200) 위로 상기 H-Pile(100)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의 끝단에 결합되는 수직트러스부재(410)를 설치하는 단계와, 하단은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의 하단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중앙부파일(500)의 조인트 부위에서 상기 버팀보(300)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는 경사트러스부재(42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rtical vertical truss-shaped reinforc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ing the mudwall sidewall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vertically punch the H-Pile (1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vertical punching After inserting the earth plate horizontally into the H-Pile, and installed the horizontal strip 200 on the H-Pile and the earth plate, and then compress the flange 210 of the strip length vertically on the same plane Installing a brace 300 to extend the horizontal force to support the axial force by horizontally extending to the strip flange 210 of the other side wall on the same plane, and to install the central portion pile 500 therein to prevent sagging of the brace 300 In the retaining bracing method, the bottom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H-Pile (100) above the belt length 200, the top is to install a vertical truss member 41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brace 300; , The bottom is above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inclined, the top is inclined coupled to the brace 300 in the joint portion of the brace 300 and the central pile (500). It includes a step.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공법은,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는 응력을 받을 수 있게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신축용잭(4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vertical truss-type bra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jack 426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to be stressed. do.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공법은, 상기 띠장(200)과 수직트러스부재(410)와 경사트러스부재(420)의 조인트 부위에 상기 띠장(200)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띠장(200) 상,하부에 좌굴방지용 H-형강(43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length 200,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and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of the joint portion of the band length 2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installing the buckling prevention H-shaped steel 430 on the upper and lower bands 200 to prevent buckl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공법은,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의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중앙부파일(500)의 조인트 부위에서 상기 버팀보(300)에 연결되는 대신에 상기 중앙부파일(500)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rtical vertical truss-type reinforc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the support at the joint portion of the brace 300 and the central pile (500) ( Instead of being connected to 3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clined coupled to the central pile (50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수직트러스형 버팀보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의 설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에서 경사트러스부재의 신축용잭의 상세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에서 좌굴방지용 H-형강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of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etailed view of the expansion jack of the inclined truss member in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buckling prevention H-shaped steel in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공법에 사용되는 단부 수직트러스 버팀보 구조는 H-Pile(엄지말뚝, 100), 띠장(Wale, 200), 버팀보(Strut, 300), 단부트러스(400)와 중앙부파일(Center Pile, 5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5,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structure used in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H-Pile (thumb pile, 100), strip (200), brace (Strut, 300) , An end truss 400 and a center pile (500).

상기 H-Pile(100)은 H형상으로 이루어진 긴 철골부재로 통상의 철골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철골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H-300×200×9×14 강재나 H-300×300×10×15 강재를 사용한다. 이러한 H-Pile(100)는 터파기의 굴착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지하 구조물 공사를 위한 흙막이 측벽을 설치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소정 간격 타발되는데, 상기 지하구조물의 최저깊이보다 더 깊게 박혀야 할 것이다. 이 때, 상기 H-Pile(100)의 플랜지(110) 부분의 일측은 토압을 직접 받는 측 벽 방향으로 위치되고, 타측은 지하구조물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하며, 결국 상기 H-Pile(100)의 웨브(120)와 양끝의 플랜지(1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토류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상기 플랜지(110)로 인하여 흙막이 벽의 토압을 받는 토류판이 지지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최외측에 설치된 H-Pile(100)과 H-Pile(100) 사이에는 토류판을 설치하는 것은 흙막이 측면의 흙이 무너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H-Pile(100)은 상기 지하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 후 다시 인발되어 다른 터파기 흙막이 측벽 시공에 사용될 수 있도록 이용된다. 상기 H-Pile(100)은 또한, 결합공(130)과 결합볼트(140)을 포함하는데, 이는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띠장(200)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좌굴방지용 H형강(430)과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H-Pile (100) is a long steel frame member made of H shape made of a steel frame member used in a conventional steel frame structure, generally H-300 × 200 × 9 × 14 steel or H-300 × 300 × 10 × 15 Use steel. This H-Pile (100) before the excavation work of the trench, is first punched vertically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install the mud wall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t will have to be embedded deeper than the minimum depth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flange 110 portion of the H-Pile 100 is located in the side wall direction directly receiving the earth pressure, the other side should be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eventually the web of the H-Pile 100 The earth plate should be formed to allow the earth plate to be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y the 120 and the flanges 110 at both ends. The earth plate receiving the earth pressure of the earth wall is supported by the flange 110. That is, the earth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H-Pile (100) and the H-Pile (100) installed on the outermost side in order to prevent the soil on the side of the retaining wall. The H-Pile 100 is drawn agai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completed is used to be used for the other trench earth wall construction. The H-Pile 100 also includes a coupling hole 130 and the coupling bolt 140, which is to prevent the buckling of the belt 200 to be described below to prevent buckling H-shaped steel 430 and bolts To be able to combine.

상기 띠장(200)은 역시 H형상으로 이루어진 긴 철골부재로 통상의 철골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철골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H-300×300×10×15 강재를 사용한다. 이러한 띠장(200)은 상기 수직으로 타발된 H-Pile(100)에 가로로 토류판을 삽입한 후, 상기 H-Pile(100) 및 토류판 위에 가로로 설치되어 상기 H-Pile(100) 및 토류판에 작용하는 토압을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버팀보(300)에 전달해 주고, 상기 토압이 불균등하게 작용하는 것에 대해 균등한 토압으로 변경하여 버팀보(300)에 전달해 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띠장(200)의 플랜지(210) 부분은 일측은 상기 H-Pile(100)와 수직으로 접촉하여 위치하고, 타측은 지하구조물 방향으로 위치하여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버팀보(300)와 접촉하게 되고, 토압으로 인한 축력을 받게 된다. 결국, 상기 띠장(200)은 상기 H-Pile(100)에 작용된 토압을 받아 버팀보(300)에 전달하여 양측 토압이 균형을 이루어 토압에 지지되는 버팀보 공법을 이룰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띠장(200)은 결합공(230)과 결합볼트(240)을 포함하는데, 이는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버팀보(300)의 단부와 수직트러스부재(410)의 하단에서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띠장(200)은 스티프너(270)을 포함한다.The strip 200 is also made of a steel frame member used in a conventional steel frame structure as a long steel member made of a H shape, generally using H-300 × 300 × 10 × 15 steel. The strip 200 is inserted horizontally into the vertically punched H-Pile (100), and then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H-Pile (100) and the earth plate to the H-Pile (100) and the earth plate It acts to deliver the acting earth pressure to the bracing beam 3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o change to an equal earth pressure for the earth pressure acting unevenly to deliver to the bracing beam 300. Flange 210 portion of the strip 200 is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to the H-Pile 100, the other side is located in the dire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in contact with the brace 300 to be described below, You will receive axial force from earth pressure. As a result, the strip 200 receives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H-Pile 100 and delivers the earth pressure to the brace 300 so that both earth pressures are balanced to achieve the brace method supported by the earth pressure. The strip 200 includes a coupling hole 230 and the coupling bolt 240, which is to be bolted at the end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and the end of the brace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In addition, the strip 200 includes a stiffener 270.

상기 스티프너(270)는 상기 띠장(200)과 하기의 버팀보(300)의 단부 접촉부에서 토압에 의한 하중으로 상기 띠장(200)이 좌굴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부재의 절감 및 시공의 편의를 위해 판형 철판부재를 사용하여 용접되거나, 볼트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판형부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종래의 철골부재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프너의 사용이라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The stiffener 270 is installed to prevent the belt 200 from buckling under load due to earth pressure at the end contact portion of the belt 200 and the brace 300 below. For convenience of the plate-shaped steel plate using a member, or made of bol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plate-shaped member, and any use of a stiffener that can prevent buckling of a conventional steel frame member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버팀보(300)는 역시 H형상으로 이루어진 긴 철골부재로 통상의 철골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철골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H-300×300×10×15 강재를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 버팀보(300)는 상기 띠장(200)을 동일 평면상의 수직으로 플랜지(210) 부위를 압축하며 같은 평면상에 있는 다른 측벽의 띠장(200) 플랜지(210)까지 수평연장되어 축력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여 종국적으로 터파기에 따른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버팀보(300)는 통상적으로 철골구조에서 H형 철골이 보로써 설치되는 형태와 같이 플랜지(310) 부분은 상하부를 향하게 하고, 웨브(320)는 수직된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버팀보(300)는 일정 수평간격으로 상기 띠장(200)을 따라 설치되며, 수직 간격 또한 띠장(100)의 간격 과 일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공법에 따르면 수직간격에 있어서 상기 띠장(200)의 간격과 일치시키지 아니하고 2개의 띠장(200)에 걸쳐 하나의 버팀보(300)가 설치되므로 이러한 상기 버팀보(300)의 수직 단수를 줄여 부재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버팀보(300)는 또한 결합공(330)과 결합볼트(340)을 포함하는데, 이는 상기 띠장(200)과의 볼트결합, 하기에서 설명할 수직트러스부재(410)와의 볼트결합, 역시 하기에서 설명할 경사트러스부재(420)와의 볼트결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brace 300 is also made of a steel frame member used in a conventional steel frame structure as a long steel frame member made of H shape, and generally uses H-300 × 300 × 10 × 15 steel. The support 300 compresses the region of the flange 210 vertically on the same plane and extends horizontally to the flange 210 of the side wall 200 of the other sidewall on the same plane to support the axial force. It will eventually be able to support the earth pressure on the wall of the mud due to the burrow. The brace 300 is typically in the steel frame structure, such as the form of the H-shaped steel frame is installed in the flange portion 310 fac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web 320 is installed in a vertical form. The brace 300 is installed along the strip 200 at a predetermined horizontal interval, the vertical interval is also generally matched with the interval of the strip 100. However, according to the 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atch the spacing of the girdle 200 in the vertical spacing, because one brace 300 is installed over the two girdle 200 is such a brace ( By reducing the number of vertical stages of 300)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ducing the member. The brace 300 also includes a coupling hole 330 and a coupling bolt 340, which is bolted to the band 200, bolted to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to be described later, also in the following This is to allow bolt coupling with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to be described.

상기 단부 트러스(400)는 본 발명의 핵심으로써, 직각 삼각형의 철골부재 결합체로 형성되며, 상기 버팀보(300)의 수직 단수를 줄여 자재 절감 및 수직의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띠장(200)에서의 토압 하중을 수직트러스부재(410)와 경사트러스부재(420)를 통해 상기 버팀보(30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데, 수직트러스부재(410), 경사트러스부재(420), 좌굴방지용 H형강(430)을 포함한다. The end truss 400 is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 right angle triangular steel member assembly, the vertical length of the brace 300 to reduce the number of vertical stages in the strip 200 for material saving and vertical working space It functions to transmit the earth pressure load to the brace 300 through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and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buckling prevention H-shaped steel 430.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는 역시 H형상으로 이루어진 긴 철골부재로 통상의 철골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철골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의 단부에 접촉하여 볼트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띠장(200)에 접촉하여 역시 볼트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의 띠장(200)에서 작용되는 좀더 큰 토압 하중을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경사트러스(420)에 전달하게 되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H-Pile(100)이 수직으로 세워진 것과 같이 평행하게 수직으로 세워진다.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는 플랜지(411)부분은 역시 상기 H-Pile(100)과 같이 일측은 흙막이 벽체 방향을 향하며, 타측은 지하구조물 쪽의 방향을 향하게 되며, 웨브(412)는 하단에서 상기 띠장(200)과 하기의 경사트러스부재(420)에서 축력을 받게 된다.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는 결합공(413)과 결합볼트(414)를 통해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와 볼트체결되고, 하단은 상기 띠장(200) 및 하기의 경사트러스부재(420)과 볼트결합 체결된다. 또한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는 스티프너(417)를 포함한다.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is also made of a steel frame member used in a conventional steel frame structure as a long steel member made of an H shape, the upper end is bolted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brace 300, the lower end is the band In contact with the 200 is also bolted.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serves to transfer a larger earth pressure load acting on the lower strip 200 as shown in FIG. 5 to the inclined truss 42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Pile (100) is erected vertically in parallel as it is erected vertically.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the flange 411 portion is also facing the earth wall direction, one side as the H-Pile (100), the other side is facing the dire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side, the web 412 is at the bottom The belt 200 is subjected to the axial force in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is bolted to the upper end with the support beam 300 through the coupling hole 413 and the coupling bolt 414, and the lower end is the belt length 200 and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below; It is bolted and fastened. In addition,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includes a stiffener 417.

상기 스티프너(417)는 상기 버팀보(300)의 단부의 하단과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의 상단 내측 사이에 설치되는데,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판형의 삼각형 철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티프너(417)는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의 접합 부위에서 흙막이 벽체의 좌우 불균등한 토압에 의해 비틀림이 발생하거나 상부토압과 하부토압의 차이에 따른 상하 불균형으로 접합 부위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상기 띠장(200)에서의 스티프너(270)와 같이 일반적으로 부재의 절감 및 시공의 편의를 위해 판형 철판부재를 사용하여 용접되거나, 볼트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판형부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종래의 철골의 비틀림,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프너의 사용이라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The stiffener 417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end of the brace 300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as shown in Figure 5, may be made of a plate-shaped triangular iron plate member. The stiffener 417 is twisted due to uneven earth pressure left and right of the retaining wall at the joint portion of the brace 300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or joined in an up and down imbala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earth pressure and the lower earth pressure. It is installed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site, such as the stiffener 270 in the strip 200 is generally welded or bolted using a plate-shaped iron plate member for the reduction of members and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plate-shaped member, and any use of a stiffener that can prevent twisting, damage, and the like of a conventional steel frame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는 역시 H형상으로 이루어진 긴 철골부재로 통상의 철골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철골부재로 이루어지는데, 하단은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의 하단에 접촉하여 결합공(423)과 결합볼트(424)를 통해 볼트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의 하단에 접촉하여 역시 결합공(423)과 결합볼트(424)를 통 해 볼트결합된다. 이에 상기 버팀보(300)와의 접촉부는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중앙부파일(500)과의 조인트 부위이다. 이러한 경사트러스부재(420)는 도 5에 도시된 토압의 하중분포에 따라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의 하단에 접촉한 상기 띠장(200)에서의 하중을 상기 상부의 버팀보(300)로 전달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버팀보 공법에 따른 토압의 하중 응력분포를 살펴보면, 상기 H-Pile(100) 및 상기 띠장(200)이 60-70%의 하중을 받고, 상기 버팀보(300)는 30-40%의 응력을 받으므로,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를 통해 하부의 띠장(200)에서 받는 응력을 상부의 버팀보(300)로 전달해 줌으로써 효율적인 응력분포를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응력분포의 분배를 통해 상기 버팀보(300)의 수직단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써 부재절감을 실현시켜 시공비용을 줄이며, 수직 공간의 극대화시켜 굴착작업 등의 편의를 도모하여 시공기간을 단축시켜며,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는 중간에 신축용잭(426)을 포함한다.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also made of a steel frame member used in a conventional steel frame structure as a long steel member made of an H shape,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and the coupling hole 423 and Bolted through the coupling bolt 424, the upp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brace 300 is also bol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423 and the coupling bolt 424.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brace 300 is a joint portion with the central portion pile 500 to be described below.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transfers the load from the band 200 to the lower brace 300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according to the load distribution of the earth pressure shown in FIG. 5. Giving functions. In general, when looking at the load stress distribution of the earth pressure according to the reinforcement method, the H-Pile (100) and the band 200 is subjected to a load of 60-70%, the reinforcement 300 is a stress of 30-40% Since it receives, through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to transfer the stress received from the lower strip length 200 to the upper brace 300 to achieve an efficient stress distribu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vertical stages of the brace 300 can be reduced by distributing the stress distribution, thereby realizing member reduction,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cost, and maximizing the vertical space to facilitate convenience such as excavation work. It can shorten an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includes an expansion jack 426 in the middle.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달리, 일 끝단이 상기 버팀보(300)와 하기에서 설명하게 될 중앙부파일(500)의 조인트 부위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버팀보(300)에 경사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중앙부파일(500)에 경사로 볼트 결합체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결국, 상기의 버팀보(300)에 결합한 것과 같이 하부의 띠장(200)에서 받는 응력을 상부에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5, and one end of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connected to the joint portion of the central part pile 500 to be described below. When coupled, the oblique coupling to the brace 300, rather than the oblique bolt coupling may be fastened to the central pile (500) below. Due to this configuration, as a result of being coupled to the brace 300, it is to function to transfer the stress received from the lower strip length 200 to the top.

상기 신축용잭(426)은 상기 단부 트러스(400)를 시공하는 경우,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신축 가능한 부재로써, 상기 버팀보(300) 와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 사이의 경사길이가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와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축력을 적절하게 받을 수 없으므로 신축시킴으로써 축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상부 띠장 및 하부 띠장의 토압 응력분포가 불균등하게 이루어지는 경우 또는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가 헐거워질 수 있는 경우에 신축시킴으로써 충분한 축력을 받도록 하여 하중을 상기 버팀보(300)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먼저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를 설치한 후 설치되므로 상기 버팀보(300) 사이에 배치시킨 후 신축용잭(426)을 통해 길이조절하여 접촉시킨 후 볼트결합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신축용잭(42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단부 수직트러스형 버팀보공법의 토압 하중을 버틸 수 있을 정도의 신축용 잭이라면 유압식 잭 등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The telescopic jack 426 is an elastic member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when the end truss 400 is constructed, between the brace 300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If the inclined length of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does not match the axial force can not be properly received so that the axial force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also if the earth pressure stress distribution of the upper and lower belt length is made uneven or When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may be loosened,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may be stretched to receive sufficient axial force so that the load can be transmitted to the brace 300. In addition, even when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installed,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is installed after the first installation, so that it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beams 300 and then the length is adjusted through the expansion jack 426. Afterwards, the bolt can be fastened. The expansion jack 426 may be made of a screw jack as shown in Figure 6, but if any expansion jack is enough to withstand the earth pressure load of the end vertical truss brac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hydraulic jack or the like It will be possible.

상기 좌굴방지용 H형강(430)은 역시 H형상의 철골부재로 통상의 철골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철골부재로 이루어지는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길이는 상기 H-Pile(100)과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띠장(200)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되므로 짧은 길이의 철골부재로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상기 띠장(200)이 설치되어 있는 상,하부에 설치되므로 상기 띠장(200)의 플랜지(210)의 길이와 동일한 웨브(432)를 갖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상기 좌굴방지용 H형강(430)이 상기 띠장(200)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상기 H-Pile(100) 및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과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의 하단에 접촉된 띠장(200)은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를 통해 그 하중을 상기 버팀보(300)로 전달하게 되므로 큰 하중의 압축력을 받게 되고 또한, 이러한 압축력은 단순히 직각방향이 아닌 경사진 방향으로 주어져 이러한 응력으로 인해 상기 띠장(200)이 좌굴될 가능성이 크므로, 여기에서는 보통의 좌굴방지용 스티프너보다 큰 힘을 버틸 수 있는 상기 좌굴방지용 H형강(430)을 설치하는 것이다. The buckling prevention H-shaped steel 430 is also made of a steel frame member used in a conventional steel frame structure as a H-shaped steel member, as shown in Figure 7 the length of the H-Pile 100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Located between the 410 is installed in a form that can prevent the buckling of the belt-length 200 will be made of a steel frame member of a short length. In addition, since the strip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t will have to have a web 432 equal to the length of the flange 210 of the strip 200. This is because the buckling preventing H-shaped steel 430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H-Pile 100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in order to prevent buckling of the belt-length 200. Since the belt 2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transmits the load to the buttress beam 300 through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the compressive force of a large load is also received. Since the belt 200 is more likely to be buckled due to such stress because it is given in an inclined direction rather than a right angle, here, the anti-buckling H-shaped steel 430 that can withstand a greater force than a normal anti-buckling stiffener is used. To install.

상기 중앙부파일(500)은 역시 H형상의 긴 철골부재로 통상의 철골구조물에서 사용되는 철골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버팀보(300)는 축력을 받기도 하지만, 자체하중으로 쳐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서 상기 버팀보(300)를 지지하는 기둥의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중앙부파일(500)의 기능을 살펴볼 때,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는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중앙부파일(500)의 조인트 부위에서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의 일 끝단이 경사결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상기 중앙부파일(500)에 경사 볼트결합 체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의 중앙부파일(500)에의 경사 볼트 결합체결에 있어서도 상기 하부의 띠장(200)에서 받는 응력을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를 통해 상부로 전달하여 중앙부파일(500)을 통해 상기 버팀보(300)에 전달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응력분포의 분산을 통해 또한 부재절감과 시공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외의 상기 중앙부파일(500)의 기능 및 작용은 종래의 버팀보공법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로서의 기능 및 작용을 가지는 바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central pile (500) is also made of a steel frame member used in a conventional steel frame structure as an H-shaped long steel frame member, but the support beam 300 is subjected to axial force, but may be struck by its own load to prevent the inside In installed in the form of a column supporting the brace 300. When looking at the function of the central portion pile 500, as described above,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one end of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at the joint portion of the brace 300 and the central portion pile 500. In the case of the inclined coupling,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oblique bolt coupling may be fastened to the central pile (500). Even when the inclined bolt is fastened to the central pile 500 of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the stress received by the lower strip 200 is transferred to the upper through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to provide the central pile 500. It can be delivered to the brace 300 through.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member and construction convenience through the dispersion of the stress distribution. In addition, the function and action of the central portion pile 500 has the function and action as a component used in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method bar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herei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보팀보구조의 사용상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se state of the end vertical trussed beam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구조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경우의 굴착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버팀보 구조에 따른 터파기 흙막이 공사를 하는 경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구조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1 is an excavation plan view when constructing using an 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cavation earthquak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brace structure, Fig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in the case of constructing using an end-vertical truss type brace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구조의 사용상태를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 지하층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지반을 굴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굴착에 따라 굴착된 부위의 토압이 작용하는 것을 지탱하기 위하여 버팀보(300)를 이용하여 흙막이 공사가 이루어 진다. 이러한 지반 굴착공법은 대공을 천공하여 외측의 H-Pile(100)을 타설하고 H-Pile(100)과 H-Pile(100) 사이에 토류판을 설치한 후 띠장을 설치할 수 있는 깊이까지 굴착한 다음 띠장을 시공한 후 버팀보를 설치한 후 다음단계 굴착을 진행해 나아간다. 이렇게 굴착에 따른 흙막이 시공을 한 후, 상기 흙막이 공사가 끝마쳐진 후에는 지하층을 시공하는데, 통상의 시공방법과 마찬가지로 최하층의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지상층의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상기 흙막이 공사에 사용된 H-Pile은 제거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종래기술 및 본 발명에 따른 시공시의 흙막이 버팀보 구조 단면도를 나타낸 것인데, 이를 보면 통상의 버팀보공법은 최외측의 H-Pile(H형강,1)을 설치하고 상기 H-Pile(1)과 H-Pile(1)사이에서 플랜지(110)에 끼워지게 토류판을 설치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게 하고 상기 띠 장(Wale,H형강, 2)을 설치하여 상기 H-Pile(1)에 작용된 토압을 받아 상기 버팀보(STRUT,H형강, 3)에 전달하여 양측 토압이 균형을 이루어 토압에 지지되는 공법으로 작업된다. 이에 도 2의 종래기술에 따른 공법은 각 단마다 버팀보(3)를 설치하여 토압에 균형을 이루어 지지하게 되나 상기 버팀보(3)의 수직 간격은 토압의 하중 응력분포에 따라 통상 2-3M 로 작업하여야 하므로 수직공간의 확보가 어렵게 된다. 그러나,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버팀보 공법에서처럼 단부에 삼각형의 단부트러스(400)를 설치하여 상기 H-Pile(100)과 상기 띠장(200)에 작용된 토압을 상부에 설치된 버팀보(300)에 전달하여 작용되도록 하는데, 보통 H-Pile(100)과 띠장(200) 허용강도의 60-70%의 힘이 작용되고, 버팀보(300)는 30-40%의 힘이 작용되므로 상기 단부트러스(400)에 모아지는 합성하중이 수평 버팀보가 충분히 지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 확보가 가능한 것이다. 결국, 단부 수직 트러스(400)가 종래 버팀보 공법의 수평버팀보(3)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고, 단부 수직 트러스(400)가 설치된 후에 굴착이 이루어지므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the use state of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3, as shown in Figure 1 to excavate the ground to build a building basement, such excav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arth pressure of the excavated site to support the earthwork construction is made using the brace 300. The ground excavation method is to drill a large hole to pour the H-Pile (100) on the outside, install the earth plate between the H-Pile (100) and H-Pile (100) and then excavate to the depth to install the strip After installing the belt, install the brace and proceed to the next excavation. After the earthquak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excavation in this way, after the earthquake construction is completed, the basement floor is constructed, as in the usual construction method, while placing the slab concrete of the lowest layer, while placing the slab concrete of the ground floor, H used in the earthwork construction -Pile is removed. 2 and 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soil retaining structure in the prior art and th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ventional support method is installed the outermost H-Pile (H-shaped steel, 1) and the H-Pile Install the earth plate to fit the flange 110 between (1) and the H-Pile (1) so that the soil does not collapse and install the band (Wale, H-shaped steel, 2) to the H-Pile (1) Receives the applied earth pressure is delivered to the brace (STRUT, H-beam, 3) to work in a method in which both earth pressures are balanced and supported by the earth pressure. Therefor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of FIG. 2 is provided to support the balance of earth pressure by installing a brace 3 at each stage, but the vertical spacing of the brace 3 is usually 2-3M depending on the load stress distribution of the earth pressure. Sinc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vertical space becomes difficult. However, as can be seen in Figure 3, as in the buttress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triangular end truss 400 at the end, the earth pressure applied to the H-Pile (100) and the strip 200 is installed on the brace It is delivered to the 300 to act, usually 60-70% of the force of the H-Pile (100) and the strip length 200 is applied, and the support 300 is 30-40% of the force is applied because Since the composite load collected on the end truss 400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by the horizontal brace, safety can be ensured. As a result, the end vertical truss 400 can fully play the role of the horizontal brace 3 of the conventional brace method, and since the excavation is made after the end vertical truss 400 is installed, safety can be secured.

도 4는 터파기 공사를 하는 경우 토압으로 인한 흙막이 측벽의 응력 분포도이다. Figure 4 is a stress distribution of the earth wall sidewall due to earth pressure when the excavation wor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구조의 사용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파기 공사를 하는 경우, 토압의 하중 응력분포도는 하부로 내려갈수록 커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단부 수직트러스 공법으로 시공하는 경우,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의 하단 부분에 더 큰 토압에 따른 하중(A)이 작용되게 된다. 결국, 상기 큰 하중(A)을 받는 부분은 더 큰 보강이 필요하게 되므로 앞서 구성에 설명되었듯이, 좌굴방지용 H형강을 상기 띠장(200) 상,하부에 설치하여 이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토압의 하중분포도는 도 5에도 도시하였다.)Referring to Figure 4 using the 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cavation work as shown in Figure 4, the load stress distribution diagram of earth pressure is lowered It gets bigger. When the construction by the end vertical trus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A) according to the greater earth pressure is appli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As a result, the portion that receives the large load (A) requires a larger reinforcement, as describ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so that the buckling-proof H-shaped steel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rip 200 to reinforce it. (The load distribution of such earth pressure is also shown in FIG. 5.)

도 8은 종래의 버팀보 구조로 흙막이 벽체 시공 후 굴착작업을 시공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구조로 흙막이 벽체 시공 후 굴착작업을 시공하는 경우의 사용상태도이다. Figure 8 is a state of use when the excavation work after construction of the wall construction with a conventional buttress structure, Figure 9 is a state of use when the excavation work after construction of the wall construction wall with vertical end truss type brac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구조의 사용상태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종래의 버팀보 공법에 따른 흙막이 공사를 시행하는 경우 종래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팀보(3)의 수직간격이 짧아 수직 단수가 많아지며 촘촘히 배치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굴착작업인 터파기 공사의 경우 포크레인이나 덤프트럭 등과 같은 토목작업을 하는 대형 중장비가 상기 터파기 작업 현장에 투입되는데 이에 따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1),(2),(3) 단계의 순서로 굴착작업 진행시, 상기 종래 버팀보공법에 따른 시공으로 수직 높이가 짧으므로, 굴착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이 매우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버팀보(3)를 일부 제거하면서 시공을 하기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시공을 함으로써 결국 상기 제거된 버팀보(3)의 위치에 있는 상기 흙막이 벽체에 변위가 발생하게 되고, 심각하게는 상기 흙막이 벽체가 무너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이에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공법을 사용하는 경우 (1),(2),(3) 단계의 순서로 굴착작업에 필요한 대형 토목공사용 중장비가 터파기 내부에 반입되어 시공을 하는 경우에도 공사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이로써 시공기간도 단축시키게 되며, 또한 상기 종래에서 버팀보(3)를 일부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므로, 흙막이 벽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단부 수직트러스 공법은 도 9에서 보듯이 먼저 지상의 최상부의 직선 버팀보를 3단까지 시공한 후, 다시 단부 트러스형 버팀보 깊이까지 굴착한 다음에 단부 트러스를 설치하여 안전성이 확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충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고, 다시 4단 직선 버팀보 설치 깊이까지 굴착한 후 상기 작업을 반복하여 시공하면 굴착 깊이까지 굴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 버팀보(3)를 수직간격 2.0-3.0M 설치하였던 것을 본 발명의 단부 트러스형 버팀보를 사용함으로써 버팀보(300) 수직 간격이 4.0-6.0M 로 간격이 넓어져서 굴착시 장비 작업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은 물론 암 부분인 경우 암 굴착시 브레이카 작업 등의 작업효율이 현격하게 향상되고, 직선 버팀보를 적게 설치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직선 버팀보가 적게 설치되므로 사용 강재가 절약되어 공사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the use state of the 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when performing the earth block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brace structure method as shown in Figure 2 Since the vertical spacing of the braces 3 is short, the number of vertical stages increases and tends to be closely arrang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excavation work digging work, a large heavy equipment for civil works such as fork-lane or dump truck is put into the digging work site, as shown in Figure 8 (1), (2), (3) When the excavation work proceeds in the order of the steps, since the vertical height is short by th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brace construction method, when the excavation work is very difficult and in some cases it leads to the construction while removing part of the brace 3 do. As a result of this construction, displacement occurs in the retaining wall at the position of the removed buttress 3, and seriously, a safety accident may occur due to the collapse of the retaining wall. Therefore, as shown in Figure 9, when using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2), heavy equipment used for excavation work in the order of the steps carried in the trench Even when the construction is carried ou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there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nd also to overcome the problem of removing some of the support 3 in the prior art, to ensure the safety of the wall It will be possible. Specifically, in the end vertical trus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first, construct a straight brace on the top of the ground up to three stages, and then excavate to an end truss-type brace and then install an end truss to secure safety. Done. Accordingly, a sufficient working space is secured, and the excavation is carried out up to four depths of straight braces, and then the construction is repeatedly excavated to the excavation depth.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end truss-type bra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brace 3 is installed in the prior art with a vertical spacing of 2.0-3.0M, the spacing of the brace 300 is increased to 4.0-6.0M. In case of excavation, the equipment work space is secured enough, and in the case of the arm part, the work efficiency such as the breaker work is greatly improved when installing the arm,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by installing fewer straight braces. As the steel used is saved, the cost of construction can be expected.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공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just a preferred embodiment for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implement the end vertical truss type brac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hat parts easily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mbination and opera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본 발명은, 토압의 응력분포에 따라 H-Pile과 띠장에서 받는 토압을 버팀보로 전달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H-Pile 및 띠장의 설치 개수는 그대로 유지하되, 상기 버팀보 부재의 설치 단수를 줄이고, 상기 버팀보의 설치단수가 많아 자재를 낭비하여 설치비용이 많이 들어간 종래 버팀보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부재 절감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earth pressure to deliver the earth pressure received from the H-Pile and the strip to the brace, while maintaining the number of installation of the H-Pile and the strip as it is, reducing the number of step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upport method, which has a lot of installation cost due to waste of materials, a large number of installation steps of the support can achieve an effect of securing the economics of member reduction.

본 발명은, 종래 버팀보 공법에서 버팀보의 설치 단수가 촘촘히 이루어져 작업이 곤란하였는데, 이에 본 발명의 단부 수직 트러스를 사용하여 상기 버팀보의 수직 설치 폭을 넓힘으로써 수직 작업공간이 확보되므로 시공시 불편함을 해소하고, 또한 굴착 작업이 용이하고 특히 암반구간에는 천공 및 브레이카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fficult to work because the number of steps of the installation of the buttress in the conventional buttress method is tight, thereby increasing the vertical installation width of the buttress by using the end vertical trus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inconvenience in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and to facilitate the excavation work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rilling and breaker work, especially in the rock section.

본 발명은, H-Pile과 띠장은 일반 버팀보 공법과 동일하게 배치하고 버팀보는 단부 부분에 삼각형의 수직트러스부재와 경사트러스부재를 사용한 수직 트러스 형태를 설치하여 H-Pile과 띠장에서 전달된 축력을 상기 수직 트러스와 경사 트러 스를 통하여 버팀보에 전달하여 버팀보 공법의 시공시 흙막이 공사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Pile and the strip is arranged in the same way as the general brace method, and the brace is installed on the end portion of the vertical truss shape using a triangular vertical truss member and an inclined truss member to prevent the axi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H-Pile and the strip. The vertical truss and the inclined truss can be transferred to the bracing beam to achieve the effect of securing the safety of the earthwork construction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bracing method.

본 발명은, 상기 버팀보의 단부에 삼각형의 수직 트러스 형태의 구조를 사용하여 버팀보의 수직 설치 폭을 넓혀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한 후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흙막이 벽체의 변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triangular vertical truss-shaped structure at the end of the braces to increase the vertical installation width of the braces to secure a sufficient working space to proceed the work to achiev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isplacement of the wall walls can do.

본 발명은, 상기 버팀보의 단부에만 삼각형의 수직 트러스 구조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수평 버팀보를 적게 설치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시공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triangular vertical truss structure only at the end of the bracing beam to maintain the safety while ensuring sufficient working space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and to install less horizontal brac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y reducing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planned.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단부 수직 트러스 버팀보 공법에 있어서, 경사트러스부재는 응력을 받을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신축용잭을 포함하도록 하여 수직트러스부재와 버팀보 간의 불균형한 수직 정도 또는 토압의 불특정으로 흙막이 벽체가 균등한 평면을 이루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경사트러스부재의 신축용잭을 사용하여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nd vertical truss brac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ed truss member includes a telescopic jack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so as to be stressed, so that the unbalanced vertical accuracy or earth pressure between the vertical truss member and the brace is unspecified. If the wall does not form an even plan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adjusting the length using the expansion jack of the inclined truss member.

본 발명은, 상기 띠장과 수직트러스부재와 경사트러스부재의 조인트 부위에서 상기 H-Pile과 상기 수직트러스부재 사이에 있는 상기 띠장 상,하부에 좌굴방지용 H-형강을 포함하여 상기 경사트러스부재와 수직트러스에 가해지는 축력으로 인해 상기 띠장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buckling truss member including an H-shaped steel for preventing buckling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nd long and the vertical truss between the H-Pile and the vertical truss at the joint portion of the band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and the inclined truss member. Due to the axial force applied to the truss,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belt length from buckling.

본 발명은, 상기 버팀보와 상기 수직트러스부재의 접합 부위에서 좌굴방지용 스티프너를 포함함으로써 불균등한 토압에 따라 상기 수직트러스부재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하부토압에 따라 상기 수직트러스부재가 수직에서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버팀보와의 접합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buckling prevention stiffener at the junction of the brace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orsion in the vertical truss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uneven earth pressure,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is vertical in accordance with the lower earth pressure When inclined at, there is a risk that the joint portion and the joint portion may be damaged, thereby achieving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Claims (11)

지하 구조물 공사를 위한 흙막이 측벽을 설치시 수직으로 타발되는 소정 간격의 H-Pile(100)과, 상기 H-Pile(100) 위에 가로로 설치되는 띠장(200)과, 상기 띠장(200)을 동일 평면상의 수직으로 상기 띠장의 플랜지(210) 부위를 압축하며 같은 평면상에 있는 다른 측벽의 띠장 플랜지(210)까지 수평연장되어 축력을 지탱하도록 설치되는 버팀보(300)와, 상기 버팀보(30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설치되는 중앙부파일(500)을 포함하는 흙막이 버팀보 구조에 있어서;H-Pile (100) of the predetermined interval that is punched vertically when installing the side wall for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 band 200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H-Pile (100) and the band 200 is the same The brace 300 is installed to support the axial force by compressing the flange 210 of the strip length vertically in the plane and horizontally extended to the strip flange 210 of the other side wall in the same plane, and the brace 300 of the In the soil support structure including a central pile (500) installed therein to prevent sag; 하단은 상기 띠장(200) 위로 상기 H-Pile(100)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의 끝단에 결합되는 수직트러스부재(410)와;A lower end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H-Pile (100) over the strip length 200, the upper end is a vertical truss member (410) coupled to the end of the brace 300; 하단은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의 하단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중앙부파일(500)의 조인트 부위에서 상기 버팀보(300)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는 경사트러스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A lower end is incline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the upper end is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connected inclined to the brace 300 in the joint portion of the brace 300 and the central pile (500). End vertical truss type bracing structur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는 응력을 받을 수 있게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신축용잭(4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has an end vertical truss-type brac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lescopic jack 426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to be stress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띠장과 수직트러스부재(410)와 경사트러스부재(420)의 조인트 부위에 상기 띠장(200)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띠장(200) 상,하부에 좌굴방지용 H-형강(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The buckling prevention H-shaped steel 430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girder 200 to prevent buckling of the girdle 200 at the joint portion of the girdle,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and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End vertical truss brac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띠장(200)과의 조인트 부위에 좌굴방지용 스티프너(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ckling prevention stiffener 270 in the joint portion of the brace 300 and the strip length 20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의 접합 부위에서 비틀림 방지 및 하부토압에 따른 접합 부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스티프너(4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iffener (417) for preventing the torsion at the joint portion of the brace 300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and the breakage of the joint portion due to the lower earth pressur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의 접합 부위에서 비틀림 방지 및 하부토압에 따른 접합 부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스티프너(4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iffener (417) for preventing the torsion at the joint portion of the brace 300 and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and the breakage of the joint portion due to the lower earth press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의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중앙부파일(500)의 조인트 부위에서 상기 버팀보(300)에 연결되는 대신에 상기 중앙부파일(500)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An upper end of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sub pile 500 in an inclined manner instead of being connected to the prop timber 300 at a joint portion of the brace 300 and the central sub pile 500. End vertical truss brace structure 지하 구조물 공사를 위한 흙막이 측벽을 설치시 수직으로 H-Pile(100)을 소정 간격으로 타발하고, 상기 수직으로 타발된 H-Pile에 가로로 토류판을 삽입한 후, 상기 H-Pile 및 토류판 위에 가로로 띠장(200)을 설치한 후, 상기 띠장을 동일 평면상의 수직으로 상기 띠장의 플랜지(210) 부위를 압축하며 같은 평면상에 있는 다른 측벽의 띠장 플랜지(210)까지 수평연장되어 축력을 지탱하는 버팀보(300)를 설치하고, 상기 버팀보(30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중앙부파일(500)을 설치하는 흙막이 버팀보공법에 있어서;When installing the mudwall sidewall for th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vertically punch the H-Pile (1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fter inserting the earth plate horizontally into the vertically punched H-Pile, horizontally on the H-Pile and the earth plate After the furnace strip 200 is installed, the strip is compressed vertically on the same plane to the flange 210 of the strip length and is horizontally extended to the strip flange 210 of the other side wall on the same plane to support the axial force In the earth retaining support method for installing the support 300, and installing a central portion pile 500 therein to prevent sagging of the support 300; 하단은 상기 띠장(200) 위로 상기 H-Pile(100)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의 끝단에 결합되는 수직트러스부재(410)를 설치하는 단계와;A lower end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H-Pile (100) above the belt length (200), and an upper end is provided with a vertical truss member (410) coupled to the end of the brace (300); 하단은 상기 수직트러스부재(410)의 하단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며,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중앙부파일(500)의 조인트 부위에서 상기 버팀보(300)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는 경사트러스부재(42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공법A lower end is inclined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the upper end is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connected inclined to the brace 300 in the joint portion of the brace 300 and the central pile (500). End vertical truss brac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는 응력을 받을 수 있게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신축용잭(4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공법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an end-vertical truss-type reinforc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lescopic jack 426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to receive a stress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상기 띠장(200)과 수직트러스부재(410)와 경사트러스부재(420)의 조인트 부위에 상기 띠장(200)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띠장(200) 상,하부에 좌굴방지용 H-형강(43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공법H-shaped steel for preventing buckling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nd 200 to prevent buckling of the band 200 in the joint portion of the band 200, the vertical truss member 410 and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 430) end vertical truss brac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경사트러스부재(420)의 상단은 상기 버팀보(300)와 상기 중앙부파일(500)의 조인트 부위에서 상기 버팀보(300)에 연결되는 대신에 상기 중앙부파 일(500)에 경사로 연결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공법An upper end of the inclined truss member 42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part file 500 in an inclined manner instead of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300 at a joint portion of the buttress beam 300 and the central part pile 500. End vertical truss type brace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70049882A 2007-05-22 2007-05-22 Strut structure as temporary system using a vertical truss at the end and the method thereof KR1008550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882A KR100855098B1 (en) 2007-05-22 2007-05-22 Strut structure as temporary system using a vertical truss at the end and th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882A KR100855098B1 (en) 2007-05-22 2007-05-22 Strut structure as temporary system using a vertical truss at the end and the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5098B1 true KR100855098B1 (en) 2008-08-29

Family

ID=39878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882A KR100855098B1 (en) 2007-05-22 2007-05-22 Strut structure as temporary system using a vertical truss at the end and the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5098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496B1 (en) 2010-02-19 2010-07-07 (주)바로건설기술 Device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KR100967497B1 (en) 2010-02-19 2010-07-07 (주)바로건설기술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KR101310677B1 (en) 2011-09-05 2013-09-24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Top down method using precast composite retaining wall and raker in slope
CN103774676A (en) * 2014-02-18 2014-05-07 中建三局第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Construction method for dismounting foundation pit waist beam
KR101468101B1 (en) * 2012-11-30 2014-12-02 쌍용건설 주식회사 Retaining wall using diagonal reinforcement member
CN107842027A (en) * 2017-12-08 2018-03-27 江苏东合南岩土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foundation ditch combined type type steel support beam and its method of construction
CN110185044A (en) * 2019-06-17 2019-08-30 中铁上海设计院集团有限公司 A kind of foundation pit side-wall Stress relief system for deep caving ground
CN111851519A (en) * 2020-07-27 2020-10-30 广西大学 Space truss multilayer internal support system
CN112127368A (en) * 2020-08-15 2020-12-25 崔留顺 Connecting device for foundation pit supporting steel truss and steel sheet pile
CN115610608A (en) * 2022-11-10 2023-01-1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Design method for variable longitudinal frame spacing of double-layer bottom and double-deck area of liquid cargo ship
KR102571246B1 (en) * 2023-03-03 2023-08-28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Underground permanent wall using PC retaining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728A (en) * 1991-08-28 1993-03-09 Maeda Corp Sheathing work above underground structure
JP2002227204A (en) * 2001-01-29 2002-08-14 Maeda Corp Earth retaining method of excavation section
JP2003268770A (en) * 2002-03-18 2003-09-25 Rita Sogo Kikaku:Kk Earth retaining construction method and reinforcing structure of sheet pile used for this construction method
KR200366939Y1 (en) * 2004-07-29 2004-11-06 박무용 Bracket for supporting forms for perimeter girder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728A (en) * 1991-08-28 1993-03-09 Maeda Corp Sheathing work above underground structure
JP2002227204A (en) * 2001-01-29 2002-08-14 Maeda Corp Earth retaining method of excavation section
JP2003268770A (en) * 2002-03-18 2003-09-25 Rita Sogo Kikaku:Kk Earth retaining construction method and reinforcing structure of sheet pile used for this construction method
KR200366939Y1 (en) * 2004-07-29 2004-11-06 박무용 Bracket for supporting forms for perimeter girder construction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496B1 (en) 2010-02-19 2010-07-07 (주)바로건설기술 Device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KR100967497B1 (en) 2010-02-19 2010-07-07 (주)바로건설기술 Method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KR101310677B1 (en) 2011-09-05 2013-09-24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Top down method using precast composite retaining wall and raker in slope
KR101468101B1 (en) * 2012-11-30 2014-12-02 쌍용건설 주식회사 Retaining wall using diagonal reinforcement member
CN103774676A (en) * 2014-02-18 2014-05-07 中建三局第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Construction method for dismounting foundation pit waist beam
CN107842027A (en) * 2017-12-08 2018-03-27 江苏东合南岩土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foundation ditch combined type type steel support beam and its method of construction
CN110185044A (en) * 2019-06-17 2019-08-30 中铁上海设计院集团有限公司 A kind of foundation pit side-wall Stress relief system for deep caving ground
CN110185044B (en) * 2019-06-17 2023-12-12 中铁上海设计院集团有限公司 Foundation pit side wall stress adjustment system for deep unstable stratum
CN111851519A (en) * 2020-07-27 2020-10-30 广西大学 Space truss multilayer internal support system
CN112127368A (en) * 2020-08-15 2020-12-25 崔留顺 Connecting device for foundation pit supporting steel truss and steel sheet pile
CN115610608A (en) * 2022-11-10 2023-01-1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Design method for variable longitudinal frame spacing of double-layer bottom and double-deck area of liquid cargo ship
KR102571246B1 (en) * 2023-03-03 2023-08-28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Underground permanent wall using PC retaining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098B1 (en) Strut structure as temporary system using a vertical truss at the end and the method thereof
KR100866162B1 (en) Chair-type self-supported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KR100633796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mid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KR100633795B1 (en) Fixing structure of assembling type wale
KR102071225B1 (en) Construction method of sheathing temporary facility using steel sheet pile
EP1595031A1 (en)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KR100831332B1 (en) Underground retaining wall for public wor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140013497A (en) Method for constructing block type reinforced retaining wall in cut site
KR100313720B1 (en) Composit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KR20120115704A (en) Soil retaining method using two rows pile
US1066968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well point in granular soils under groundwater level
KR101262357B1 (en) Inclined Earth Retaining Structure Method
KR101187170B1 (en) Application of under pinning method in remodeling
KR20100001516A (en) Joint structure for connecting slant supporter and square steel strut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KR200492883Y1 (en) Braced wall
KR100808977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rner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KR100808939B1 (en) wire-reinforced structure for underground pre-scaffolding system
JP3958319B2 (en) Prestressed temporary construction method
KR20080025219A (en) Underground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deck-plate and deck-plate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outer wall
KR101032408B1 (en)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cutting face through reinforcing execution and concrete block
KR100984040B1 (en)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cutting face through double reinforcing execution
KR100858712B1 (en) Corner connecting apparatus of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KR100397958B1 (en) The structure timbering of cut with separating wal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308716Y1 (en) Prestressed scaffolding method
CN113006086A (en) Combination formula underground structure based on frame pile and miniature composite p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