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883Y1 - Braced wall - Google Patents
Braced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2883Y1 KR200492883Y1 KR2020180001987U KR20180001987U KR200492883Y1 KR 200492883 Y1 KR200492883 Y1 KR 200492883Y1 KR 2020180001987 U KR2020180001987 U KR 2020180001987U KR 20180001987 U KR20180001987 U KR 20180001987U KR 200492883 Y1 KR200492883 Y1 KR 20049288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arth plate
- hole
- extension surface
- extension
- reinforc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류판의 상부 측면에 위치한 연장면과 적층되는 토류판의 하부 측면에 위치한 연장면이 서로 견고하게 지탱하기 때문에 토압(Earth pressure)에 대한 강성이 크고 시공작업이 용이한 토류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은, 수직면과, 수직면의 양단에 각각 동일한 방향을 향해서 절곡되는 상부 및 하부면과, 상부면의 단부에는 수직면과 나란하게 절곡되는 상부 연장면과, 하부면의 단부에는 수직면과 나란하고 상부 연장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서 절곡되는 하부 연장면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 plate having high rigidity against earth pressure and easy construction work because the extended surfac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earth plate and the extended surfac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acked earth plate firmly support each other. The eart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surface, an upper and lower surface bent in the same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surface, an upper extension surface bent parallel to the vertical surface at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and a vertical surface at the end of the lower surface. It includes a lower extension surface that is parallel and bent toward the same direction as the upper extension surface.
Description
본 고안은 토류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류판의 상부 측면에 위치한 연장면과 적층되는 토류판의 하부 측면에 위치한 연장면이 서로 견고하게 지탱하기 때문에 토압(Earth pressure)에 대한 강성이 크고 시공작업이 용이한 토류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 plate, and more specifically, the extension surfac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earth plate and the extension surfac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acked earth plate firmly support each other, so the rigidity against earth pressure is large and construction work It relates to this easy earth plate.
우리나라의 도심지는 가용 토지의 부족으로 고층화 및 고밀도화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지하 구조물은 규모가 커지면서 인근 건축물과의 근접 시공이 불가피함으로 지하 구조물의 터파기(Excavation) 공사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Urban areas in Korea are trending towards high-rise and high-density due to the lack of available land. Therefore, as the scale of underground structures grows, construction in close proximity to nearby buildings is inevitable, so the excavation work of underground structures is emerging as a very important factor.
일반적으로 건축의 기초공사인 터파기 공사에 이용되는 흙막이(Land-side protection wall)는, 지하공사를 할 때 굴토벽면으로부터 붕괴되는 토사 및 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설구조물이다. 대표적인 흙막이 공법으로는 토류판공법, CPI공법 및 SCW공법이 있다.Land-side protection wall, which is generally used for excavation work, which is a foundation work of a building, is a temporary structure installed to block the inflow of soil and water that collapses from the excavation wall during underground work. Representative soil barrier construction methods include earth plate construction, CPI construction, and SCW construction.
먼저, 토류판공법은 다수개의 토류판과 H형강 말뚝을 사용하는 공법으로, 지하의 굴착할 곳에 H형강 말뚝을 약 1.5~2M 간격으로 박는다. 굴착을 하면서 H형강 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설치해서 배면의 토사를 막고, H형강 말뚝의 지탱을 위한 버팀띠장을 설치한 후 버팀띠장과 H형강 말뚝에 가로 및 세로로 버팀대를 설치하는 공법이다. 토류판으로는 목재가 많이 사용되었으나 강도가 약하고 재사용이 어려워 요즘에는 강재를 사용한다.First, the earth plate construction method uses a plurality of earth plates and H-beam piles, and the H-beam piles are driven at about 1.5-2M intervals in the underground excavation area. During excavation, an earth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H-beam piles to prevent soil and sand on the back side, and after installing a brace to support the H-beam piles, a brace is install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the brace and H-beam piles. Wood was used a lot for the earth plate, but nowadays, steel is used because of its weak strength and difficult to reuse.
다음으로, CPI공법은 오우거(Auger)로 땅에 구멍을 뚫은 다음 그 구멍에 철근망이나 H형강 말뚝을 넣고 레미콘이나 시멘트페이스트와 벤토나이트를 섞은 시멘트풀을 넣어 연속된 콘크리트 기둥을 만든다. 굴착하는 곳의 사방으로 콘크리트벽을 만든 다음 붕괴를 막기 위해 콘크리트벽을 지탱할 가로 및 세로의 버팀보를 설치한 상태에서 굴착하는 공법이다.Next, in the CPI method, a hole is drilled in the ground with an auger, and then a rebar net or H-beam pile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a cement paste mixed with ready-mixed concrete or cement paste and bentonite is added to make a continuous concrete column. This is a method of excavating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struts installed to support the concrete wall to prevent collapse after making concrete walls in all directions of the excavation site.
다음으로, SCW공법은 축을 세개 가진 오우거로 지하 연속벽을 만들어 나가는 공법으로 공사방법은 CPI와 거의 동일하다.Next, the SCW method is a method of making an underground continuous wall with a three-axis og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CPI.
본 고안은 상기 공법 중에서 토류판공법에 관한 것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0709120호 "금속제 흙막이판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10-1388478호 "아치형 토류판',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6805호 "토류판" 등 많은 특허 문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 plate construction method among the above construction methods,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09120 "Metal earth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orean Patent No. 10-1388478 "Arch type earth plat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It can be easily found in many patent documents such as 20-2010-0006805 "Earth Edition".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흙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토류판은, 다단으로 적층되는 토류판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맞닿아 있지만, 각각의 토류판의 측면은 서로 지지하지 못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토류판은 토압이 강하면 휨현상이 발생하면서 더욱 심할 경우 적층된 토류판이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arth plate used in the conventional earthing constructi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arth plate stacked in multiple stag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the side surfaces of each earth plate are not supported by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earth pressure is strong, the earth plate is warped, and if it is more severe, the stacked earth plate collapses.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은, 토류판의 상부 측면에 위치한 연장면과 적층되는 토류판의 하부 측면에 위치한 연장면이 서로 견고하게 지탱하기 때문에, 토압에 대한 강성이 우수한 토류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eart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n earth plate having excellent stiffness against earth pressure because the extended surfac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earth plate and the extended surfac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acked earth plate firmly support each other.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은, 수직면과, 수직면의 양단에 각각 동일한 방향을 향해서 절곡되는 상부 및 하부면과, 상부면의 단부에는 수직면과 나란하게 절곡되는 상부 연장면과, 하부면의 단부에는 수직면과 나란하고 상부 연장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서 절곡되는 하부 연장면을 포함한다.The eart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surface, an upper and lower surface bent in the same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surface, an upper extension surface bent parallel to the vertical surface at the end of the upper surface, and a vertical surface at the end of the lower surface. It includes a lower extension surface that is parallel and bent toward the same direction as the upper extension surfac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은, 상부면과 상부 연장면의 외측으로 적층되는 토류판의 하부면과 하부 연장면이 포개지도록, 상부면의 최외측 거리가 하부면의 최내측 거리보다 짧은 거리를 갖는다.In addition, the eart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tance shorter than the innermost distance of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extended surface of the earth plate stack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extended surface overlap. .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은, 상부 연장면의 단부에는 상부 연장면과 이웃하게 절곡되는 상부 보강면을 더 포함하고, 하부 연장면의 단부에는 하부 연장면과 이웃하게 절곡되는 하부 보강면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art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upper reinforcing surface bent adjacent to the upper extension surface at an end of the upper extension surface, and a lower reinforcing surface bent adjacent to the lower extension surface at the end of the lower extension surface. Includ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은, 상부 연장면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연장면 구멍을 더 포함하고, 하부 연장면은 상부 연장면 구멍과 동일 선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연장면 구멍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eart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xtension surfac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upper extension surface hole, and the lower extension surfac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lower extension surface hole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upper extension surface hole. .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은, 상부 연장면 구멍과 하부 연장면 구멍은, 장공 형상으로 관통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eart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xtension surface hole and the lower extension surface hole are penetrated in a long hole shap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은, 상부 보강면은 상부 연장면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보강면 구멍을 더 포함하고, 하부 보강면은 하부 연장면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보강면 구멍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art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einforcing surfac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upper reinforcing surface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xtension surface hole, and the lower reinforcing surfac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xtension surface hole 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lower reinforcing surface hol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은, 상부 보강면 구멍과 하부 보강면 구멍은, 장공 형상으로 관통되어 있다.Further, in the eart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einforcing surface hole and the lower reinforcing surface hole are penetrated in a long hole shape.
본 고안에 의하면, 토류판이 다단으로 적층될 때 토류판의 상부 측면에 위치한 연장면과 적층되는 토류판의 하부 측면에 위치한 연장면이 서로 견고하게 지탱한다. 따라서 적층된 토류판은 토압에 대한 강성이 뛰어나 토류판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토류판을 이용한 기초공사를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arth plates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the extended surfac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earth plate and the extended surfac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acked earth plate firmly support each other. Therefore, the laminated earth plate has excellent stiffness against earth pressure, so that the earth plate can be prevented from collapsing, and the foundation work using the earth plate can be more safely operated.
또한, 다단으로 적층되는 토류판은 이웃한 토류판의 상부 및 하부 측면에 위치한 각각의 연장면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한다. 따라서 종래 토류판과 토류판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줄일 수 있어서 토류판의 시공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multi-layered earth plate, each extension surface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djacent earth plate is fastened with bolts and nut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ventional earth plate and the bracket supporting the earth plate, so that the construction and dismantling work of the earth plate is eas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이 H형강 말뚝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으로 적층되는 토류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art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art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etween H-beam piles.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coupling earth plates stack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eart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10)은, 길이재이고 건축의 기초공사인 터파기 공사에 이용되는 흙막이 공사를 할 때 사용한다. 토류판(10)은, 수직면(11)과 수직면(11)의 양단에 각각 동일 방향을 향해서 절곡되는 상부면(12) 및 하부면(13)을 포함한다. 상부면(12)은 수직면(11)의 양단 중 상부에서 절곡된 부분을 가리키며, 하부면(13)은 수직면(11)의 양단 중 상부에서 절곡된 부분을 가리킨다.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10)은, 수직면(11)과 상부면(12) 및 하부면(13)의 단면을 보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First,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다음으로, 상부 연장면(14)은 상부면(12)의 단부에서 수직면(11)과 나란하게 절곡되어 있다. 즉, 상부 연장면(14)은 상부면(12)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있고, 상부 연장면(14)과 수직면(11)은 상부면(12)의 거리만큼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부 연장면(15)은, 하부면(13)의 단부에서 수직면(11)과 나란하고 상부 연장면(14)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즉, 하부 연장면(15)은 하부면(13)의 단부에서 하부 방향을 향해서 절곡되고, 하부 연장면(15)과 수직면(11)은 하부면(13)의 거리만큼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Next, the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10)은, 상부면(12)의 최외측 거리가 하부면(13)의 최내측 거리보다 짧은 거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인 즉, 적층된 토류판(10)의 상부면(11)과 상부 연장면(14)에 다음으로 적층되는 토류판(10)의 하부면(13)과 하부 연장면(15)이 서로 포개진 상태로 적층된다. 따라서 다단으로 적층된 토류판(10)은 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서 강한 토압에도 견딜 수 있다.Earth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보강면(16)은 상부 연장면(14)의 단부에서 상부 연장면(14)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때, 상부 연장면(14)의 강성을 높이고 제작의 용이성을 위해 상부 보강면(16)의 높이는 상부 연장면(14)의 높이보다 낮게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보강면(17)은 하부 연장면(15)의 단부에서 하부 연장면(15)의 내측으로 절곡되고, 상부 보강면(16)과 동일한 이유로 하부 보강면(17)의 높이는 하부 연장면(15)의 높이보다 낮게 절곡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upper reinforcing
상기에서와 같이 상부 연장면(14)과 하부 연장면(15)은 내측으로 상부 보강면(16)과 하부 보강면(17)을 이중으로 접어서 압축과 휨강도를 보강해주기 때문에 적층된 토류판(10)이 토압에 의해 밀리면서 손상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층되는 토류판(10)의 상부면(12)과 하부면(13)이 밀착되면서 동시에 상부 연장면(14)과 하부 연장면(15)이 밀착되기 때문에 토류판(10)과 토류판(10) 사이의 틈으로 지하수가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연장면(14)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상부 연장면 구멍(14a)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상부 연장면 구멍(14a)은 길이재인 토류판(10)에 일정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부 보강면(16)이 상부 연장면(14)에 이중으로 접혀진 경우, 상부 보강면 구멍(16a)은 상부 연장면 구멍(14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 and 2, the
하부 연장면 구멍(15a)은, 상부 연장면 구멍(14a)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하부 연장면(15)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하부 연장면 구멍(15a)은 상부 연장면 구멍(14a)에 맞춰 2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부 보강면(17)이 하부 연장면(15)에 이중으로 접혀진 경우, 하부 보강면 구멍(17a)은 하부 연장면 구멍(15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lower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연장면 구멍(14a)과 하부 연장면 구멍(15a)과 상부 보강면 구멍(16a) 및 하부 보강면 구멍(17a)은 토류판(10)의 길이 방향이나 또는 높이 방향을 따라서 장공 형상으로 관통되어 있다. 즉, 각각의 구멍은 장공 구멍으로 관통되기 때문에 토류판(10)을 포개면서 적층할 때 높이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시공작업이 용이하다.Referring to FIG. 2, the upper
지금부터는,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의 시공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From now on, a brief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earth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H형강(30) 말뚝을 지하의 굴착할 곳에 약 1.5~2M 간격으로 심는다. 토류판(10)을 일정 간격으로 심은 H형강(30) 말뚝과 H형강(30) 말뚝 사이에 설치한다. 이때, 다단으로 적층되는 토류판(10)은 적층된 토류판(10)의 상부면(12)과 상부 연장면(14)에 다음으로 적층되는 토류판(10)의 하부면(13)과 하부 연장면(15)이 포개지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적층된 토류판(10)은, 토류판(10)의 상부면(12)에 적층되는 토류판(10)의 하부면(13)이 서로 밀착되고, 적층된 토류판(10)의 상부 연장면(14)에 적층되는 토류판(10)의 하부 연장면(15)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적층된다.5 and 6, the H-
다음으로, 적층된 토류판(10)의 상부 연장면 구멍(14a) 및 상부 보강면 구멍(16a)과, 다음으로 적층되는 토류판(10)의 하부 연장면 구멍(15a) 및 하부 보강면 구멍(17a)의 위치를 서로 맞춘다. 체결수단(20)인 볼트(21)를 각각의 구멍(14a, 15a, 16a, 17a)의 전면에서 밀어 넣고, 너트(22)를 각각의 구멍(14a, 15a, 16a, 17a)의 후면에 넣고 볼트(21)와 너트(22)를 체결한다. 그러면, 적층된 토류판(10)의 상부면(12)과 적층되는 토류판(10)의 하부면(13) 벌어지지 않도록 밀착되면서, 동시에 적층된 토류판(10)의 상부 연장면(14)에 다음으로 적층되는 토류판(10)의 하부 연장면(15)이 밀리지 않게 설치된다. Next, the upper
이와 같이 설치된 토류판(10)은 토사가 강하게 밀어도, H형강(30) 말뚝과 H형강(30) 말뚝 사이에 양단이 밀리지 않게 끼워져 있고, 다단으로 적층된 토류판(10)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누르고 있다. 또한, 적층된 토류판(10)의 상부 연장면(14)과 하부 연장면(15)이 체결수단(20)에 의해 밀이지 않게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다단으로 적층된 토류판(10)은 토압에 대한 강성이 뛰어나 토류판(10)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본 고안에 따른 토류판(10)은, 체결수단(20)에 의해 토류판(10)과 토류판(10)의 상부 연장면(14) 및 하부 연장면(15)이 고정되는 구조로써, 적층된 토류판(10)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브라켓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의 고정 작업을 간소화하기 때문에 토류판의 시공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다.The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only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modifications, or substitutions will be possible, and such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토류판 11 : 수직면
12 : 상부면 13 : 하부면
14 : 상부 연장면 14a : 상부 연장면 구멍
15 : 하부 연장면 15a : 하부 연장면 구멍
16 : 상부 보강면 16a : 상부 보강면 구멍
17 : 하부 보강면 17a : 하부 보강면 구멍
20 : 체결수단 21 : 볼트
22 : 너트 30 : H형강10: earth plate 11: vertical surface
12: upper surface 13: lower surface
14:
15:
16:
17:
20: fastening means 21: bolt
22: nut 30: H-beam
Claims (7)
상기 수직면의 양단에 각각 동일한 방향을 향해서 절곡되는 상부 및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의 단부에는 상기 수직면과 나란하게 절곡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연장면 구멍이 형성된 상부 연장면과,
상기 하부면의 단부에는 상기 수직면과 나란하고 상기 상부 연장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해서 절곡되고, 상기 상부 연장면 구멍과 동일 선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연장면 구멍이 형성된 하부 연장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상부 연장면의 외측으로 적층되는 토류판의 상기 하부면과 상기 하부 연장면이 포개지도록, 상기 상부면의 최외측 거리가 상기 하부면의 최내측 거리보다 짧은 거리를 갖는 토류판.With the vertical plane,
Upper and lower surfaces bent toward the same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surface, respectively,
An upper extension surface bent parallel to the vertical surface at an end of the upper surface, and at least one upper extension surface hole is formed;
An en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includes a lower extension surface in which at least one lower extension surface hole is formed parallel to the vertical surface and bent toward the same direction as the upper extension surface, and is formed on the same line as the upper extension surface hole,
An earth plate having an outermost distance of the upper surface shorter than an innermost distance of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extended surface of the earth plate stacked on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extended surface overlap.
상기 상부 연장면의 단부에는 상기 상부 연장면과 이웃하게 절곡되는 상부 보강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연장면의 단부에는 상기 하부 연장면과 이웃하게 절곡되는 하부 보강면을 더 포함하는 토류판.The method of claim 1,
An end portion of the upper extension surface further includes an upper reinforcing surface bent adjacent to the upper extension surface,
Earth plate further comprising a lower reinforcing surface bent adjacent to the lower extension surface at an end of the lower extension surface.
상기 상부 연장면 구멍과 상기 하부 연장면 구멍은, 장공 형상으로 관통된 토류판.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extension surface hole and the lower extension surface hole are passed through in a long hole shape.
상기 상부 보강면은 상기 상부 연장면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보강면 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보강면은 상기 하부 연장면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보강면 구멍을 더 포함하는 토류판.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reinforcing surfac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upper reinforcing surface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xtension surface hole,
The lower reinforcing surfac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lower reinforcing surface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xtension surface hole.
상기 상부 보강면 구멍과 상기 하부 보강면 구멍은, 장공 형상으로 관통된 토류판. The method of claim 6,
The upper reinforcing surface hole and the lower reinforcing surface hole are through the earth plate in a long hole sha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987U KR200492883Y1 (en) | 2018-05-08 | 2018-05-08 | Braced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1987U KR200492883Y1 (en) | 2018-05-08 | 2018-05-08 | Braced wal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845U KR20190002845U (en) | 2019-11-18 |
KR200492883Y1 true KR200492883Y1 (en) | 2020-12-28 |
Family
ID=6869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1987U KR200492883Y1 (en) | 2018-05-08 | 2018-05-08 | Braced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2883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1999B1 (en) * | 2020-09-04 | 2021-01-12 | 주식회사 데크맨 | Retaining plate, Installation jig for retaining plate, retaining plate construction method |
KR102504408B1 (en) * | 2022-04-05 | 2023-02-28 | 최명진 | Retaining temporary sidewall assemblie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6922Y1 (en) * | 2005-03-10 | 2005-06-16 | 주식회사 한일씨엔텍 | A Rock crushing protect panel using C-section steel |
KR100923728B1 (en) * | 2009-03-13 | 2009-10-27 | (주)예원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Drainage disposal equipment for institution to construction base sheet pil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6805U (en) * | 2010-06-01 | 2010-07-05 | 채민영 | Holding plate for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
-
2018
- 2018-05-08 KR KR2020180001987U patent/KR200492883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6922Y1 (en) * | 2005-03-10 | 2005-06-16 | 주식회사 한일씨엔텍 | A Rock crushing protect panel using C-section steel |
KR100923728B1 (en) * | 2009-03-13 | 2009-10-27 | (주)예원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Drainage disposal equipment for institution to construction base sheet pi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2845U (en) | 2019-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6162B1 (en) | Chair-type self-supported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ng method | |
KR100855098B1 (en) | Strut structure as temporary system using a vertical truss at the end and the method thereof | |
CN203654294U (en) | Foundation pit supporting structure used in reverse building method | |
KR100998253B1 (en) | Temporary Structure For Land-Side Protection Wall | |
KR101221970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Basement Structure without Temporary Structure | |
KR20200029079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E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reinforcing member and CIP construction method | |
KR100831332B1 (en) | Underground retaining wall for public work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KR101262357B1 (en) | Inclined Earth Retaining Structure Method | |
KR200492883Y1 (en) | Braced wall | |
KR101054696B1 (en) | Top-down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with slurry wall retained by slab diaphragm effect | |
KR101677236B1 (en) | Double-layered steel plate cutoff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utoff wall of temporary facility using the same | |
KR20100001516A (en) | Joint structure for connecting slant supporter and square steel strut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
KR102490872B1 (en)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ensile force of steel rod piles | |
KR200247053Y1 (en) | wale for construction method for defending earth using prestress | |
CN216739642U (en) | Lower through hole directional drilling working well | |
KR20100118482A (en) | To use reclamation steel perimeter beam and slab diaphragm effect in order for one side of the basement outer wall continuous construct was possible ,which the basemen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KR20070052197A (en) | Connecting structure of corner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
KR20200003568A (en) | Hanging type waling structure and fast construction method of pipe using thereof | |
KR101545713B1 (en) | Composite type cutoff wall of steel temporary fac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2195496B1 (en) | Pile for 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cast in place concrete pile with double I beam | |
KR100397958B1 (en) | The structure timbering of cut with separating wal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18825B1 (en) | Method of land-side protection wall using bracing | |
KR102194381B1 (en) | Pile for 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double I beam | |
KR101292671B1 (en) | Elevator pit construction method using vir method | |
KR100592397B1 (en) | storey spacing support ssoldier pile soil retaining w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