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858B1 -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858B1
KR100854858B1 KR1020070012443A KR20070012443A KR100854858B1 KR 100854858 B1 KR100854858 B1 KR 100854858B1 KR 1020070012443 A KR1020070012443 A KR 1020070012443A KR 20070012443 A KR20070012443 A KR 20070012443A KR 100854858 B1 KR100854858 B1 KR 100854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eam
billet
time
uni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810A (ko
Inventor
배지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858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81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labs; for bil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1/00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for heat trea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이 장시간 대기하여 휨이 발생하는 경우에 시간 설정에 의해 이동빔을 동작시켜 휨 발생을 억제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장치는,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빔 동작장치에 있어서,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이동빔의 상승을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설정부; 상기 시간 설정부로부터 설정된 시간정보를 전송받아,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된 이후에 이동빔의 상승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이동빔의 상승을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으로 하여금 빌릿을 상승시키게 하는 상승 동작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이동빔의 정지를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을 정지시키는 정지 동작부; 및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이동빔의 하강을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으로 하여금 빌릿을 하강시키게 하여 고정빔에 안착시키게 하는 하강 동작부;를 포함한다.
빌네트, 고정빔, 이동빔

Description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working moving beam by time setting}
도 1은 종래의 가열로 워킹빔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간 설정부 200 : 타이머부
300 : 상승 동작부 400 : 정지 동작부
500 : 하강 동작부 600 : 알람부
700 : 시간 기록부 800 : 빌릿
900 : 고정빔 1000 : 이동빔
본 발명은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이 장시간 대기하여 휨이 발생하는 경우에 시간 설정에 의해 이동빔을 동작시켜 휨 발생을 억제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광석으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 중에 앞 단계인 선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철·제선(製銑)이라 하고, 선철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강이라 한다.
철강제조는 용선(쇳물)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생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 냉각, 응고돼 연속적으로 슬래브나 블룸, 빌릿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기로 들어가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압연이란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 블룸, 빌릿 등을 회전하는 여러 개의 롤(Roll)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만드는 과정을 말하여 크게 열간 압연과 냉간 압연으로 구분한다.
연주기의 가열로에서 출력되는 빌릿은 위킹빔 장치에 의해 이송되어 빌릿을 압연기로 추출하는 장치인 빌릿추출롤러(디스차징 허스 롤러:Discharging Hearth Roller)로 들어간다. 그리고, 가열로는 압연하기 위한 좋은 온도로 울려주는 기능을 한다. 위킹빔 장치는 유압제어에 의해 빌릿을 1피치씩 이동시키는 설비이다. 위 킹빔 장치 상에는 80개의 빌릿이 안착되어 이송되는데, 워킹빔이 전진->상승->후진->하강하면 80번째 빌릿이 빌릿추출롤러(디스차징 허스 롤러)로 유입되고, 빌릿추출롤러는 빌릿에 부착된 로트(ROT)번호를 인식하여 빌릿을 카운트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열로 워킹빔 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빔 장치를 이용한 빌릿 이송과정은 운전실 조작패널(40)에 마련된 버튼(미도시)으로 선택된 자동 또는 수동 설정상태에 따라 수행된다. 자동운전방법의 경우에 PLC(10)에 의해 운전되고, 수동운전방법의 경우에 운전실의 운전자가 가열로 워킹빔 장치(20)의 동작을 촬영하는 CCTV(50)와 연결된 운전실 조작패널(40)의 모니터에서 빌릿의 이송상태를 판단하며 운전한다.
그러나, 자동 또는 수동 설정상태에 따라 수행되는 빌릿 이송과정을 통하여 빌릿의 이송상태를 판단하더라도, 압연라인의 설비 및 설비 외적인 문제로 인하여 빌릿이 장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는 빌릿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이 장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빌릿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빔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빔 동작장치에 있어서,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이동빔의 상승을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설정부; 상기 시간 설정부로부터 설정된 시간정보를 전송받아,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된 이후에 이동빔의 상승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이동빔의 상승을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으로 하여금 빌릿을 상승시키게 하는 상승 동작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이동빔의 정지를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을 정지시키는 정지 동작부; 및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이동빔의 하강을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으로 하여금 빌릿을 하강시키게 하여 고정빔에 안착시키게 하는 하강 동작부;를 포함하는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장치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빔 동작방법에 있어서,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시간 설정부가 이동빔의 상승을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제1단계; 타이머부가 상기 시간 설정부로부터 설정된 시간정보를 전송받아,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된 이후에 이동빔의 상승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체크하는 제2단계; 상승 동작부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이동빔의 상승을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으로 하여금 빌릿을 상승시키게 하는 제3단계; 정지 동작부가 이동빔의 상승 중에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정지 명령을 받아 이동빔이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한 후에 정지하게 하는 제4단계; 하강 동작부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이동빔의 하강을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으로 하여금 빌릿을 하강시키게 하여 고정빔에 안착시키게 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정지 동작부가 이동빔의 하강 중에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정지 명령을 받아 이동빔이 상승 전의 위치로 복귀한 후에 정지하게 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장치는, 시간 설정부(100), 타이머부(200), 상승 동작부(300), 정지 동작부(400), 하강 동작부(500), 알람부 (600) 및 시간 기록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설정부(100)는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이동빔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있는 빌릿을 상승시켜 휨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이동빔의 상승을 위한 시간을 설정한다.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을 상승시키는 이동빔이 상승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빌릿에 휨이 발생하여 장시간 동안 생산 휴지 상태가 생기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이동빔의 상승 동작을 시키기 위한 것인데, 시간 설정부(100)는 작업자의 입력에 의해 미리 시간이 설정된다.
타이머부(200)는 시간 설정부(100)로부터 설정된 시간정보를 전송받아,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된 이후에는 이동빔의 상승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체크한다. 그리고, 이동빔이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하여 정지하고, 상승한 경로와는 반대로 하강하면서 고정빔에 빌릿을 안착시킨 후에 상승하기 전의 위치로 복귀된 후에는, 타이머부(200)는 설정된 시간을 다시 체크한다. 만약, 시간 설정부(100)로부터 업데이트된 설정 시간정보를 전송받는다면, 타이머부(200)는 업데이 트된 설정 시간으로 시간을 체크한다.
상승 동작부(300)는 타이머부(200)로부터 이동빔의 상승을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으로 하여금 빌릿을 상승시키게 한다.
정지 동작부(400)는 타이머부(200)로부터 이동빔의 정지를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을 정지시킨다. 정지 동작부(400)는 이동빔의 상승 중에 타이머부(200)로부터 정지 명령을 받아 이동빔이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한 후에 정지하게 한다. 그리고, 정지 동작부(400)는 이동빔의 하강 중에 타이머부(200)로부터 정지 명령을 받아 이동빔이 상승 전의 위치로 복귀한 후에 정지하게 한다.
하강 동작부(500)는 타이머부(200)로부터 이동빔의 하강을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으로 하여금 빌릿을 하강시키게 하여 고정빔에 안착시키게 한다.
알람부(600)는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상기 타이머부(200)로부터 알람 명령을 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알람부(600)가 경고음을 발생함으로써, 이동빔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것을 작업자에게 알리게 되고, 작업자는 이에 관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조치를 취하여 이동빔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까지, 시간 설정에 의해 이동빔이 동작하게 된다.
시간 기록부(700)는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타이머부(200)로부터 시간 기록 명령을 받아 빌릿을 상승 및 하강시킨 시간을 기록한다. 작업자는 이동빔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을 알 수 있게 되어 작업에 참고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a와 같이,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800)이 고정빔(900)에 안착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대기하고 있는 경우에, 도 3b와 같이 이동빔(1000)이 고정빔(900)에 안착되어 있는 빌릿(800)을 상승시켜 이동빔(1000)이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한 후에 정지한다. 그리고, 이동빔(1000)으로 하여금 빌릿(800)을 하강시키게 하여 도 3a와 같이 고정빔(900)에 안착시키게 한다. 시간 설정에 의해 이동빔(1000)이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상승 및 하강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갖는다.
먼저,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이동빔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있는 빌릿을 상승시켜 휨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시간 설정부(100)가 이동빔의 상승을 위한 시간을 설정한다(S100).
이후, 타이머부(200)가 시간 설정부(100)로부터 설정된 시간정보를 전송받아,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된 이후에 이동빔의 상승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체크한다(S200). 이와 함께, 알람부가 타이머부(200)로부터 알람 명령을 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게 할 수 있고, 시간 기록부가 타이머부(200)로부터 시간 기록 명령을 받아 빌릿을 상승 및 하강시킨 시간을 기록하게 할 수 있다.
이후, 상승 동작부(300)는 타이머부(200)로부터 이동빔의 상승을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으로 하여금 빌릿을 상승시키게 한다(S300).
이후, 정지 동작부(400)가 이동빔의 상승 중에 타이머부(200)로부터 정지 명령을 받아 이동빔이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한 후에 정지하게 한다(S400).
이후, 하강 동작부(500)는 타이머부(200)로부터 이동빔의 하강을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으로 하여금 빌릿을 하강시키게 하여 고정빔에 안착시키게 한다(S500).
이후, 정지 동작부(400)가 이동빔의 하강 중에 타이머부(200)로부터 정지 명령을 받아 이동빔이 상승 전의 위치로 복귀한 후에 정지하게 한다(S60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은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이 장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빌릿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빔을 상승 및 하강시키게 함으로써, 빌릿의 휨 발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생산 휴지 시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빔 동작장치에 있어서,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이동빔의 상승을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설정부;
    상기 시간 설정부로부터 설정된 시간정보를 전송받아,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된 이후에 이동빔의 상승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체크하는 타이머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이동빔의 상승을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으로 하여금 빌릿을 상승시키게 하는 상승 동작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이동빔의 정지를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을 정지시키는 정지 동작부; 및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이동빔의 하강을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으로 하여금 빌릿을 하강시키게 하여 고정빔에 안착시키게 하는 하강 동작부;
    를 포함하는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알람 명령을 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타이머부로부터 시간 기록 명령을 받아 빌릿을 상승 및 하강시킨 시간을 기록하는 시간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장치.
  4. 가열로 내에 장입된 빌릿의 하강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빔 동작방법에 있어서,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시간 설정부가 이동빔의 상승을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제1단계;
    타이머부가 상기 시간 설정부로부터 설정된 시간정보를 전송받아,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된 이후에 이동빔의 상승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체크하는 제2단계;
    상승 동작부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이동빔의 상승을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으로 하여금 빌릿을 상승시키게 하는 제3단계;
    정지 동작부가 이동빔의 상승 중에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정지 명령을 받아 이동빔이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한 후에 정지하게 하는 제4단계;
    하강 동작부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이동빔의 하강을 위한 명령을 전송받아 이동빔으로 하여금 빌릿을 하강시키게 하여 고정빔에 안착시키게 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정지 동작부가 이동빔의 하강 중에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정지 명령을 받아 이동빔이 상승 전의 위치로 복귀한 후에 정지하게 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알람부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알람 명령을 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빌릿이 고정빔에 안착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대기하는 경우에, 시간 기록부가 상기 타이머부로부터 시간 기록 명령을 받아 빌릿을 상승 및 하강시킨 시간을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방법.
KR1020070012443A 2007-02-07 2007-02-07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 장치 및 방법 KR100854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443A KR100854858B1 (ko) 2007-02-07 2007-02-07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443A KR100854858B1 (ko) 2007-02-07 2007-02-07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810A KR20080073810A (ko) 2008-08-12
KR100854858B1 true KR100854858B1 (ko) 2008-08-28

Family

ID=39883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443A KR100854858B1 (ko) 2007-02-07 2007-02-07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3157A (zh) * 2014-06-09 2014-08-20 北京佰能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安全的加热炉自动装钢定位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618B1 (ko) * 2012-12-21 2014-03-11 주식회사 포스코 워킹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3241A (ja) * 1995-10-20 1997-05-02 Takigawa Kogyo Co Ltd 長尺材の曲がり検出方法
KR19980077467A (ko) * 1997-04-19 1998-11-16 신봉현 자동차용 도어의 임팩트 바 열처리장치
KR20000003750U (ko) * 1998-07-29 2000-02-25 이구택 선재코일 처짐방지장치
KR20020045861A (ko) * 2000-12-11 2002-06-20 최재관 전기세탁기용 방진댐퍼를 조립하는 자동화 설비의 지지바공급 및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3241A (ja) * 1995-10-20 1997-05-02 Takigawa Kogyo Co Ltd 長尺材の曲がり検出方法
KR19980077467A (ko) * 1997-04-19 1998-11-16 신봉현 자동차용 도어의 임팩트 바 열처리장치
KR20000003750U (ko) * 1998-07-29 2000-02-25 이구택 선재코일 처짐방지장치
KR20020045861A (ko) * 2000-12-11 2002-06-20 최재관 전기세탁기용 방진댐퍼를 조립하는 자동화 설비의 지지바공급 및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3157A (zh) * 2014-06-09 2014-08-20 北京佰能电气技术有限公司 一种安全的加热炉自动装钢定位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810A (ko) 2008-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4521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заготовки из металла
CN110929355B (zh) 一种连铸坯裂纹风险预测的方法及其应用
KR101257472B1 (ko) 슬래그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100854858B1 (ko) 시간 설정에 의한 이동빔 동작 장치 및 방법
KR101424437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20663B1 (ko) 가열로의 보상 운전 방법
CN111715703B (zh) 一种粗轧轧制过程中的带钢翘头平整装置及方法
KR100877053B1 (ko) 런-인 롤러 테이블의 모터 제어방법
CN105170932B (zh) 一种提高特厚板坯头坯表面质量的启车提拉速方法
CN108436046B (zh) 一种超大规格圆坯的立式连铸生产设备及方法
CN111715701A (zh) 一种用于带钢粗轧轧制过程中的压翘头装置及方法
KR101140851B1 (ko) 선박용 탑승장치
CN115803130A (zh) 感测金属铸造系统中的事件
KR101024587B1 (ko) 열간압연설비
CN112643006A (zh) 一种中包快换控制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5068687B2 (ja) 連続鋳造設備のガイドロール制御システム
KR101099682B1 (ko) 고로 출선구용 지지장치
KR100973906B1 (ko) 후판 유도장치
KR101024750B1 (ko) 런 아웃 롤러테이블의 리프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424475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22451B1 (ko) 워킹빔 장치의 빌릿 이상낙하 감지 방법
JP5484275B2 (ja) 軽圧下装置のロール交換装置と方法
KR102440768B1 (ko) 후강판 제조 장치 및 방법
JP5821632B2 (ja) 連続鋳造機のロール圧力制御方法
KR101433463B1 (ko) 열간압연 강판의 선단부 휨 방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