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844B1 -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844B1
KR100854844B1 KR1020070033456A KR20070033456A KR100854844B1 KR 100854844 B1 KR100854844 B1 KR 100854844B1 KR 1020070033456 A KR1020070033456 A KR 1020070033456A KR 20070033456 A KR20070033456 A KR 20070033456A KR 100854844 B1 KR100854844 B1 KR 100854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rotation
refriger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3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844B1/ko
Priority to US12/062,244 priority patent/US815225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의 일측과 접하는 케이스의 일측에 충격을 완화하는 접촉부재가 구비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200)의 배면에 장착되며, 식품수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400); 상기 케이스(400)의 양측면 사이에 제공되며 상하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축결합되어, 상기 케이스(40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500);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4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500)의 회동완료시 접촉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접촉부재(482);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소음감소 및 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바스켓, 커버, 회동

Description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 A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2a 및 도 2b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바스켓의 개폐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이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의 개폐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냉장고 본체 120. 저장공간
140. 베리어 200. 냉장고 도어
300. 도어 바스켓 400. 케이스
420. 케이스 하면부 440. 케이스 후면부
460. 케이스 측면부 462. 회동돌기
464. 구속단 480. 지지부
482. 접촉부재 500. 커버
520. 커버 상면부 540. 커버 전면부
542. 손잡이 560. 측면부
562. 회동홀 564. 간섭돌기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의 일측과 접하는 케이스의 일측에 충격을 완화하는 접촉부재가 구비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을 냉각하여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의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 및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는 다양한 음식물들을 최적의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서랍과 선반 및 바스켓 등이 구비된다. 따라서, 이들 서랍과 선반 및 바스켓에 의해 상기 냉장고 내부 및 도어의 저장공간이 구획되고 적합한 음식물들의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치즈와 버터와 같은 식품들은 저온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냉기에 너무 노출될 경우 과도하게 냉각되어 품질이 떨어지거나, 수분이 증발되어 변색 또는 부폐될 수 있어 일정한 저장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공간에 보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 별도의 저장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구성을 도면을 통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바스켓의 개폐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2)의 냉장실도어(4) 최상단에는 치즈 버터와 같은 유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바스켓 형상의 유제품 보관고(6)가 구비된다.
상기 유제품 보관고(6)는 대략 4분의 1 원기둥 모양의 도어(8)를 힌지(8a, 8b)에 의해 냉장실도어(4) 바스켓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상기 도어(8)의 손잡이(10)를 이용해 도어(8)를 상방향으로 밀어올리는 경우 상기 도어(8)가 도 2b에서와 같이 개방되어 상기 유제품 보관고(6) 내부에 치즈 혹은 버터 등의 유제품을 집어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유제품 보관고(6)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8)의 회동시 상기 도어(8)의 단부가 상기 유제품 보관고(6)와 부딪혀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이 완료된다.
즉, 플라스틱 소재의 도어(8) 및 유제품 보관고(6)는 상기 도어(8)를 열고 닫는 과정 중에 필연적으로 서로 부딪히게 되며, 상기 도어(8)의 전단과 후단 전체가 상기 유제품 보관고(6)와 부딪히게 됨으로써 상당한 충격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함은 물론 플라스틱 소재의 도어(8)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의 일측과 접하는 케이스의 일측에 충격을 완화하는 접촉부재가 구비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의 일측에 간섭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상기 커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간섭돌기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구속단이 더 형성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은,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며, 식품수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 사이에 제공되며 상하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축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회동완료시 접촉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접촉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커버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상기 접촉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커버의 회전중심의 후상방에는 돌출 형성되는 간섭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는 상기 커버의 회동시 상기 간섭돌기와 접하여 상기 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구속단이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은,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방과 전방이 개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사이에 상하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상기 커버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커버의 회동시 상기 케이스의 양측과 접하여 상기 커버의 회동을 구속하는 간섭돌기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의 양측 후단에는 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간섭돌기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구속단이 더 형성된다.
상기 간섭돌기는 상기 커버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커버의 개방을 위한 회동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내부의 후단 양측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후단과 선택적으로 접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는 고무 또는 스폰지 소재로 형성된 접촉부재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은, 음식물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 케이스의 하면 양측에 구비되며,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접하여 상기 커버의 회동시 충격을 완화하는 접촉부재; 상기 커버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회동시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 선택적으로 걸림구속되는 간섭돌기;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는 상기 간섭돌기와 접하도록 연장되는 구속단이 형성되고, 상기 구속단은 상기 커버의 회전중심보다 후방에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의 하면 양측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시 발생하는 충격완화 및 소음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이 채용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공간(120)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냉장고 본체(1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내측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베리어(1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베리어(140)는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저장공간(120)을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구획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 본체(100)는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구된 전면에는 한쌍의 냉장고 도어(200)가 구비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200)는 상기 냉장고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되며,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냉장고 본체(100) 내측의 저장공간(120)과 상기 냉장고 도어(200)의 배면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다수개의 서랍과 선반 및 바스켓이 구비된다.
즉,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냉장고 본체(100)의 내측에는 상기 저장공간(120)을 상하 다수개의 칸으로 구획하는 다수개의 선반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에서 별도의 독립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서랍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시 냉장고 도어(200)의 배면에는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바스켓이 구비되며, 상기 바스켓에는 병 또는 캔과 같은 길이가 긴 용기에 저장된 식품이 저장된다.
한편, 상기 냉장고 도어(200)의 배면 가장 상부에는 유제품과 같은 독립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수납공간이 필요한 식품이 저장되는 도어 바스켓(300)이 제공된다. 상기 도어 바스켓(300)은 상기 도어 바스켓(300)의 일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도어 바스켓(300) 내부의 수납공간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도어 바스켓(300) 내부에 보관되는 식품은 과도한 냉기로부터 보호됨은 물론 수분의 증발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도어 바스켓(300)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도어 바스켓(300)은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400)와 상기 케이스(4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5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400)는 상기 도어 바스켓(300)의 수납공간을 형성함은 물론 상기 도어 바스켓(300)이 상기 냉장고 도어(200)의 배면과 접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면과 상면 전체 및 후면 일부가 개구된 개략적인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는 케이스 하면부(420)와 케이스 측면부(460) 그리고 케이스 후면부(44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 하면부(420)는 상기 케이스(400)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하면부(420)의 좌우 양 측단에는 케이스 측면부(460)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는 상기 케이스(400)의 좌우 양 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 하면부(420)의 좌우 양측단에서 수직하게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반부에서 후반부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의 후단이 상기 냉장고 도어(200)의 배면과 접하여 상기 도어 바스켓(300)이 상기 냉장고 도어(200)와 밀착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의 후단 상부의 일측부터 하단까지는 전방으로 다소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함몰되는 형상은 상기 케이스(400) 측면부의 내측과 외측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의 외측 후단은 상기 도어 바스켓(300)이 장착되는 냉장고 도어(200)의 배면 즉, 도어라이너의 형상과 대응하게 형성되며, 상기 도어 바스켓(300)의 장착시 상기 도어라이너와 형합하여 상기 냉장고 도어(200)의 배면 형상과 상기 도어 바스켓(300)의 측면이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의 내측 후단은 대략 중앙부가 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대략 'ㄷ'자 형상의 구속단(46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구속단(464)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커버(500)의 간섭돌기(564)와 선택적으로 접 하여 상기 커버(500)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섭돌기(564)와 접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구속단(464)은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의 외측 후단보다 더 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400)의 외측에서는 노출되지 않으며, 측면에서 볼 때 외측으로 소정깊이만큼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단(464)은 아래에서 설명할 회동돌기(462)의 위치보다는 다소 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구속단(464)의 형상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구속단(464)의 하단은 상기 케이스 후면부(44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케이스 하면부(420)와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구속단(464)의 전단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단(464)의 상단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상방으로 만곡되어 형성된다.
물론 상기 구속단(464)은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별도의 리브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에도 아래에서 설명할 간섭돌기(564)와 선택적으로 접하여 상기 커버(50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의 하부는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의 상부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냉장고 도어(200)의 배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의 내측 대략 중앙부에는 회동돌기(462)가 형 성된다. 상기 회동돌기(462)는 상기 케이스(400)에 장착되는 상기 커버(500)의 회동을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회동홀(562)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회동돌기(462)는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의 내측면에서 수직하게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500)의 장착시 회동홀(562)에 삽입된다.
상기 케이스 후면부(440)는 상기 케이스(400)의 후면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 하면부(420)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후면부(440)의 좌우 양 측단은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의 후단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 후면부(440)의 높이는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의 구속단(464)의 하측 하단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도어 바스켓(300)의 후면 상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400)는 상기 냉장고 도어(200)의 배면과 밀착되며, 이때 상기 케이스 후면부(440)가 상기 냉장고 도어(200)와 밀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케이스(400)의 개구된 후방이 상기 냉장고 도어(2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400)의 내측 후반부 양측에는 지지부(48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480)는 상기 커버(500)의 회동시 상기 커버(500)의 일측과 접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 하면부(420)와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 그리고 상기 케이스 후면부(440)가 서로 접하여 형성되는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480)는 상기 케이스 하면부(420)의 후방 좌우측 모서리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측면부(460)와 상기 케이스 후면부(440)에도 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480)는 상기 케이스 하면부(420)의 상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상방으로 돌출되며, 대략 상기 케이스 후면부(440)의 중간 정도의 높이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480)의 상면은 상기 커버(500)의 단부와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커버(500)의 단부와 접하는 상기 지지부(480)의 상면에는 접촉부재(482)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재(482)는 상기 커버(500)의 일단과의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무, 스폰지, 스티로폼 등과 같은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400)에 장착되는 상기 커버(500)는 상기 케이스(400)의 개구된 면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400)의 케이스 측면부(460)의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400)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400)의 개구된 상면과 전면을 완전하게 차폐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500)는 회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400)의 개구된 면들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커버(50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400)의 내측에 수납된 식품들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500)는 커버 상면부(520)와 커버 전면부(540) 그리고 커버 측면부(560)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 상면부(520)는 상기 커버(500)의 상면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대 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40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하면부(42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상면부(520)의 전단에는 커버 전면부(54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전면부(540)는 상기 케이스(400)의 전면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 상면부(520)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400)의 개구된 전면을 완전하게 차폐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 전면부(540)의 하단부에는 손잡이(542)가 더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542)는 상기 커버(500)의 회동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파지를 위한 별도의 부재가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커버 상면부(520)와 상기 커버 전면부(540)에 각각 접하는 양측에는 커버 측면부(56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 측면부(560)는 상기 케이스(400)의 좌우 양측면의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 상면부(520) 좌우 양 측단에서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커버 측면부(560)는 상기 커버 상면부(520)에서 상기 케이스 후면부(440)의 상단의 높이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커버 전면부(540)의 길이보다는 다소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측면부(560)의 대략 중앙부 하측에는 회동홀(562)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홀(562)은 상기 케이스(400)의 회동돌기(462)가 삽입되어 상기 커버(5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회동돌기(462)의 위 치와 대응하는 상기 커버 측면부(56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대응하는 크기로 천공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 측면부(560)의 대략 중앙부에서 다소 후측(도 5 에서 좌측)으로 치우친 일측에는 간섭돌기(564)가 형성된다. 상기 간섭돌기(564)는 상기 커버(500)의 회동시 상기 구속단(464)의 일측과 접하여 상기 커버(500)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상기 커버 측면부(560)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간섭돌기(564)는 상기 커버(5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상기 회동홀(562)을 중심으로 상기 커버(500)의 개방시 회동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500)의 개방시에는 상기 간섭돌기(564)와 상기 구속단(464)에 의해 회동이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커버(500)를 닫게 될 때에는 상기 커버(500)의 회동이 완료되는 지점에서 상기 간섭돌기(564)와 구속단(464)이 접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간섭돌기(564)는 상기 회동홀(562)보다 후상방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커버(500)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구속단(464)의 상부 모서리와 접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간섭돌기(564)는 상기 커버(500)가 닫힌 상태일 때 상기 구속단(464)과 접하며, 상기 커버(500)를 회동시켜 개방하게 되면, 상기 구속단(464)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간섭돌기(564)의 둘레면을 따라서 함몰부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간섭돌기(564)의 둘레면을 따라 함몰된 것으로, 상기 구속단(464)의 단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구속단(464)의 단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간섭돌기(564)의 함몰부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구속단(464)과 간섭돌기(564)가 보다 안정적으로 서로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의 개폐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6a 를 참고로 하여 상기 커버(500)가 닫힌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커버(500)는 상기 케이스(400)의 전면과 상면을 차폐하여 상기 케이스(400)의 내측 즉, 상기 도어 바스켓(300)의 수납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즉, 상기 커버(5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 전면부(540)의 하단이 상기 케이스 하면부(420)의 전단과 인접하게 되고, 상기 커버(500)의 간섭돌기(564)는 상기 케이스(400)의 구속단(464) 상측 모서리와 접한 상태가 된다.
상기 간섭돌기(564)와 구속단(464)이 접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 전면부(540)와 상기 케이스 하면부(420) 사이에 미세한 간격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는 상기 커버(500)를 닫기 위한 회동조작시 상기 커버(500)와 케이스(400)가 직접 부딪히지 않고 상기 간섭돌기(564)와 구속단(464)이 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버(50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고 본체(100) 내부의 냉기가 직접적으로 상 기 도어 바스켓(30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없게 되어 상기 도어 바스켓(300)의 저장환경이 치즈 및 버터와 같은 유제품이 저장되기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5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400) 내측에 보관을 위한 식품을 넣거나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500)를 들어올려 상기 도어 바스켓(300)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500)를 들어올리는 조작에 의해 상기 커버(500)는 상기 회동돌기(462)를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커버(50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커버(500)의 간섭돌기(564)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커버(500)를 반시계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케이스(400)의 내측이 개방되어 상기 도어 바스켓(300)의 내부 공간이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도 6b 를 참고로 하여 상기 커버(500)가 열린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커버(500)는 도 6a 의 상태에서 대략 90°가량 회동하게 되어 상기 케이스(400)의 전면 즉, 상기 도어 바스켓(300)이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 바스켓(300)의 수납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커버(500)가 도 6a 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커버 상면부(520)의 후단은 하방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케이스(400)에 구비된 상기 지지부(480)와 지속적으로 가까워지게 된다.
상기 커버(500)가 지속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커버 상면부(520)의 후단은 상기 지지부(480)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480)의 상면에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상기 접촉부재(482)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 상면부(520)와 접촉부재(482)의 접촉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상기 커버(500)는 상기 접촉부재(482)와 접하는 것에 의해 시계방향 회전이 구속되어 더 이상 회동하지 않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400)의 전면이 완전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버 전면부(540)는 상기 케이스(400)의 상면을 차폐하게 되며, 상기 도어 바스켓(300)의 수납공간을 개방하기 위한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도어 바스켓(300)의 수납공간이 완전하게 개방되면, 사용자는 상기 수납공간에 보관된 식품을 꺼내거나, 보관이 필요한 식품을 넣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500)를 다시 닫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500)의 손잡이(542)를 파지한 채로 상기 커버(500)를 내려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야 하며, 상기 커버(500)가 완전하게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도 6a 에서와 같은 상태가 되어 상기 도어 바스켓(300)의 수납공간을 완전하게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500)는 상기 커버(500)의 간섭돌기(564)와 상기 케이스(400)의 구속단(464)이 서로 접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버(500)의 회전이 종료될 수 있게 되며, 상기 간섭돌기(564)는 상기 커버(500)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동돌기(462)로부터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간섭돌기(564)와 구속단(464)은 큰 충격 없이 서로 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데,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바스켓에서는 상기 접촉부재(482)가 상기 지지부(480)의 상면에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커버(500)와 케이스(400)의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만족한다면, 상기 커버(500)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커버 전면부(540)와 접촉하는 상기 케이스 하면부(420)의 전단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에서는, 커버의 회동시 접하게 되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접촉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커버의 개방시 상기 커버와 접촉부재가 서로 접하여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회동시 상기 커버 전면부와 상기 케이스 하면부가 접하기 전에 상기 커버의 간섭돌기와 상기 케이스의 구속단이 서로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간섭돌기는 상기 커버의 회전중심인 회전돌기로부터 비교적 가까운 위치로 상기 커버 전면부에 비해 회동반경이 현저하게 작게 된다.
즉, 상기 간섭돌기위 회동속도는 상기 커버 전면부보다 느려지게 되며, 이는 곧 상기 커버와 케이스의 접촉시 전달되는 충격이 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의 개폐시 상기 커버와 케이스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소 음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감성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 실수 등으로 상기 커버의 회동시 과도한 힘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커버와 케이스에 전달되는 충격이 다소 완화될 수 있게 되며, 특히 충격에 약한 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삭제
  2.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며, 식품수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 사이에 제공되며 상하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축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
    상기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커버의 일측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지지부;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제공되어, 상기 커버의 회동 완료시 접촉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회전중심의 후상방에는 돌출 형성되는 간섭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는 상기 커버의 회동시 상기 간섭돌기와 접하여 상기 커버의 회동을 제한하는 구속단이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4.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방과 전방이 개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서로 축결합되는 회동홀과 회동돌기에 의해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회전중심이 되는 상기 회동홀 또는 상기 회동돌기로부터 떨어진 상기 커버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회동시 상기 케이스의 양측과 선택적으로 접하여 상기 커버의 회동을 구속하는 간섭돌기가 포함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양측 후단에는 상기 커버의 회전 중심의 후상방까지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간섭돌기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구속단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돌기는 상기 커버의 회전 중심에서 상기 커버의 개방을 위한 회동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후단과 선택적으로 접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는 고무 또는 스폰지 소재로 형성된 접촉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33456A 2007-04-04 2007-04-04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KR100854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456A KR100854844B1 (ko) 2007-04-04 2007-04-04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US12/062,244 US8152257B2 (en) 2007-04-04 2008-04-03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456A KR100854844B1 (ko) 2007-04-04 2007-04-04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844B1 true KR100854844B1 (ko) 2008-08-27

Family

ID=3982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456A KR100854844B1 (ko) 2007-04-04 2007-04-04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52257B2 (ko)
KR (1) KR1008548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822A1 (ko) * 2022-08-11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807B1 (ko) * 2007-04-24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KR100875427B1 (ko) * 2007-07-27 2008-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캔 수납장치
IT1403467B1 (it) * 2010-12-16 2013-10-17 Whirlpool Co Scomparto richiudibile per frigorifero
US8616665B2 (en) * 2011-05-24 2013-12-31 Whirlpool Corporation Door bin for a domestic refrigerator
KR20140019906A (ko) * 2012-08-06 2014-02-1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738425B2 (en) * 2014-11-10 2017-08-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refrigerator door, and a refrigerator door bin with a two-piece lid
US10458696B1 (en) * 2018-04-04 2019-10-29 Whirlpool Corporation Opening system for a storage bin assembly
CN112244494B (zh) * 2020-10-31 2021-12-21 瑞昌市兴海王子家具有限公司 一种带有网络连接功能的办公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738A (ko) * 1997-05-17 1998-12-05 윤종용 대형 냉장고의 홈바 커버 소음 방지 구조
KR20020057675A (ko) * 2001-01-03 2002-07-12 윤종용 냉장고
KR20040004953A (ko) * 2002-07-08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선반의 커버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50959A (en) * 1917-04-30 1917-12-25 Condensite Company Of America Article composed partly of rubber.
US3484891A (en) * 1965-10-23 1969-12-23 William E Borgen Doorstop device
US4186978A (en) * 1978-07-17 1980-02-05 Whirlpool Corporation Tilt down receptacle for refrigerator door
US5289616A (en) * 1992-09-08 1994-03-01 Yoshihiko Taniyama Hinge with motion limiting mechanism
US6074030A (en) * 1996-11-18 2000-06-13 Amana Company, L.P. Quiet compartment door
US5931554A (en) * 1997-08-29 1999-08-03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door stop
US6295697B1 (en) * 1999-07-30 2001-10-02 Triangle Brass Manufacturing Co. Vandal-resistant wall-bumper
US20020117947A1 (en) * 2001-02-23 2002-08-29 Chun-Jung Cheng Toolbox module
US6905183B2 (en) * 2001-07-16 2005-06-14 Maytag Corporation Tilt-out door buckets for refrigerators or freezers
US6742855B2 (en) * 2001-11-30 2004-06-01 General Electric Company Freezer tip out bin
US7111914B2 (en) * 2003-03-12 2006-09-26 Maytag Corporation Tilt-out and pick-off basket assembly for a refrigerator door
KR100953977B1 (ko) * 2003-10-04 201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도어바스켓
KR20100118435A (ko) * 2009-04-28 2010-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가드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3738A (ko) * 1997-05-17 1998-12-05 윤종용 대형 냉장고의 홈바 커버 소음 방지 구조
KR20020057675A (ko) * 2001-01-03 2002-07-12 윤종용 냉장고
KR20040004953A (ko) * 2002-07-08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선반의 커버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822A1 (ko) * 2022-08-11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52257B2 (en) 2012-04-10
US20080246381A1 (en) 200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844B1 (ko)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KR102500293B1 (ko) 냉장고
US20060150661A1 (en) Refrigerator
US10495373B2 (en) Refrigerator
KR100854807B1 (ko)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US20090033191A1 (en) Refrigerator
KR20100008104A (ko) 냉장고용 야채박스 및 그를 구비한 냉장고
KR102517410B1 (ko) 냉장고
JP7173850B2 (ja) 冷蔵庫
KR101446346B1 (ko)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
JP5312399B2 (ja) 冷蔵庫
KR101055736B1 (ko) 김치냉장고
JP6396015B2 (ja) 冷蔵庫
JP6767615B2 (ja) 冷蔵庫
KR101342175B1 (ko) 냉장고 선반
JP5276383B2 (ja) 冷蔵庫及び冷蔵庫用小物ケース
JP7012873B2 (ja) 冷蔵庫
JP2012032068A (ja) 冷蔵庫
KR20220022196A (ko) 냉장고
US9222721B2 (en) Clean water filter assembly of refrigerator
KR102485761B1 (ko) 냉장고
JP6072633B2 (ja) 冷蔵庫
JP2008151409A (ja) 冷蔵庫
KR100828048B1 (ko)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
JP5404566B2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