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736B1 -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 - Google Patents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736B1
KR100854736B1 KR1020070088796A KR20070088796A KR100854736B1 KR 100854736 B1 KR100854736 B1 KR 100854736B1 KR 1020070088796 A KR1020070088796 A KR 1020070088796A KR 20070088796 A KR20070088796 A KR 20070088796A KR 100854736 B1 KR100854736 B1 KR 10085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mold
fixing block
hot water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희주
Original Assignee
한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희주 filed Critical 한희주
Priority to KR1020070088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수지 제품의 성형을 위하여 사용하는 몰드의 온도를 최적화함으로써 양호한 성형물을 얻을 수 있도록 온수를 공급, 배출하기 위한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도가 약한 모재에 헬리코일 등 추가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모재와 호스 체결 수단과의 강한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호스 체결 수단으로 시중품인 호스 니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암나사부가 형성된 통공으로 주름관이 돌출되도록 이탈방지용 브라켓이 형성된 니플고정블록을 몰드의 성형시에 일체로 성형하도록 함과 아울러, 돌출된 주름관의 둘레에 적정 갯수의 오링을 배치하고, 니플고정블록의 암나사부에 호스니플의 숫나사부가 결합되도록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별도의 콘넥터를 제작하지 않고 시중품인 호스 니플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번거로운 작업공정이 제거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몰드와 호스 체결 수단인 호스 니플과의 결착 상태가 매우 견고하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몰드 온수 니플

Description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Warm Water Supply Nipple Mounting Structure Constitution for Mold}
본 발명은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수지 제품의 성형을 위하여 사용하는 몰드의 온도를 최적화함으로써 양호한 성형물을 얻을 수 있도록 온수를 공급, 배출하기 위한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양호한 성형물을 얻기 위하여 금형의 내부에 온수가 순환되도록 도 1, 2로 도시한 바와 같은 주름관(1)을 알루미늄재로 된 몰드 성형시에 매설하여 표면 상방에 주름관(1)이 적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돌출된 주름관(1)에 복수개의 오링(2)을 끼우며, 그 주위의 몰드에 탭을 형성하고 이에 2중 헬리코일 볼트(3)를 삽입 고정한다. 아울러, 호스(4)를 끼울 수 있는 경사단턱(5)을 가진 돌출관(6)과 하방에 프렌지(7)를 형성하며, 프렌지(7)에는 2중 헬리코일 볼트(3)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8)을 형성하여서 된 콘넥터(9)를 별도로 제작하고, 이러한 콘넥터(9)의 프렌지(7)의 체결공(8)과 2중 헬리코일 볼트(3)간을 체결볼트(10)로 체결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일측 돌출관(6)에 결합된 호스(4)에는 히터 등 가열 수단으로 가열된 온수가 주입되어 몰드 내부에 설치된 주름관(1)을 통과하면서 주위로 온수의 열이 전달되는 것이고, 타측 돌출관(6)에 결합된 호스(4)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용 발명은 콘넥터(9)를 시중품으로 대체할 수 없고 반드시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구조이어서 제작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콘넥터(9)는 금속 가공품으로 사용과정에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롬 도금을 실시하게 되는 바, 니플 관체 내부에는 도금이 불완전하게 되고 이부분의 부식으로 인하여 녹물이 발생하여 주름관 내부를 오염시킴에 따라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는 알루미늄재 몰드에 탭을 다수개 내야하고, 이에 다수개의 2중 헬리코일 볼트(3)를 삽입 고정하여 강도가 약한 모재에 다수개의 체결볼트에 의한 강한 나사 체결이 가능하도록 콘넥터(9)를 체결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제작 공정이 번거롭게 되는 것이므로 작업성이 저조하게 되었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도가 약한 모재에 헬리코일 등 추가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모재와 호스 체결 수단과의 강한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호스 체결 수단으로 시중품인 호스 니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암나사부가 형성된 통공으로 주름관이 돌출되도록 이탈방지용 브라켓이 형성된 니플고정블록을 몰드의 성형시에 일체로 성형하도록 함과 아울러, 돌출된 주름관의 둘레에 적정갯수의 오링을 배치하고, 니플고정블록의 암나사부에 호스니플의 숫나사부가 결합되도록 체결하여서 된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호스 체결 수단을 몰드와 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콘넥터를 제작하지 않고 시중품인 호스 니플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완성된 알루미늄재 몰드에 콘넥터와의 체결을 위하여 다수개의 탭을 형성하고, 이에 헬리코일을 설치하는 번거로운 작업공정이 제거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몰드의 성형시에 이탈방지용 브라켓이 형성된 니플고정블록을 매설하여서 된 것이므로, 호스 체결 수단인 호스 니플과의 결착 상태가 매우 견 고하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몰드를 제작하기 위한 주조 상태를 도 3으로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형의 캐비티(100) 내부에 본 발명에 의한 니플 고정 블록(101)을 넣고 그 중심의 암나사부(102)에 주형 외부에 삽입시킨 고정용숫나사(103)를 체결하여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알루미늄 용탕을 주입하여 주조하고, 냉각시켜 탈형하게 되면 도 4와 도 5로 보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몰드가 얻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몰드의 구조를 살펴보면 몰드 내부에서 온수가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주름관(104)을 매설하고, 그 양단이 표면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알루미늄재 몰드를 성형하되, 알루미늄재 몰드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니플 고정 블록(101)이 매설되어 있어 중앙의 암나사부(102) 중심으로 주름관(104)이 돌출되도록 되어 있고, 몰드 내측에 매설되는 이탈방지용 브라켓(105)은 여타 부분보다 큰 규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니플 고정 블록(101)은 이탈방지용 브라켓(105)이 연결간(106)보다 규격이 크므로, 몰드에 견고하게 매설된 상태에서 강한 외력이 가하여 지더라도 외부로 이탈됨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견고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니플 고정 블록(101)의 중심에 형성된 암나사부(102)로 돌출된 주름 관(104)의 바깥 둘레에 복수개의 오링(200)을 끼우며, 이러한 오링(200)의 규격은 차후 결합된 시중품인 호스 니플(201)의 규격을 감안하여 적절한 내, 외경을 지닌 것으로 하고, 온수의 온도가 높은 점을 감안하여 실리콘 고무 등 내열성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호스 니플(201)의 숫나사부(202)가 니플 고정 블록(101)의 암나사부(102)와 체결되도록 하면, 호스 니플(201)이 니플 고정 블록(101)에 결착됨과 아울러, 호스 니플(201)의 내측 둘레면과 주름관(104)의 오링(200)이 밀착된 상태로 되고, 암, 숫나사부( 102, 202)의 밀착된 결합 상태에 의하여 완전한 기밀 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온수 호스(204)를 일측 호스 니플(201)의 경사단턱(203)부분에 결합한 다음 온수를 주입하고, 다른 온수 호스(204)를 타측 호스 니플(201)의 경사단턱(203) 부분에 결합하며, 이들 온수 호스(204)에 온수를 주입하고 배출시키는 과정으로 주름관(104)으로 온수가 순환하게 되고 그 결과 몰드가 주름관(104)의 온수에 의하여 전도되는 열로 가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몰드의 온도가 일정 수준으로 상승되면 이에 합성수지를 넣고 발포, 성형함으로써 목적하는 발포 성형물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그 제작과정에서 주형에 니플 고정 블록(101)을 넣어 고정시키고 몰드를 성형하게 되면 니플 고정 블록(101)이 몰드에 일체화되어 설치되므로 일체의 가공, 조립 공정을 거치지 않고 설치가능하며, 이와 같이 하여 고정된 니플 고정 블록(101)의 암나사부(102)에 호스 니플(201)의 숫나사부(202)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견고한 상태로 호스 체결 수단이 조립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시중에서 쉽게 염가로 구득이 용이한 호스 니플(201)은 그 재질이 황동으로 된 것이어서, 부식의 우려가 전혀 없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 4, 5에 이탈방지용 브라켓(105)으로 길이가 짧은 볼트를 니플 고정 블록(101)에 용접하여 사용한 예를 보였으나, 이러한 이탈방지용 브라켓(105)은 기타 다른 형태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니플 고정 블록(101)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가공이 용이한 원형으로 할 수도 있으며, 기타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오링(200)을 사용하여 주름관(104)의 온수가 외부로 유출됨을 차단하고 있으나, 주름관(104)과 호스 니플(201) 사이의 공간에 실리콘 코킹재 등을 주입하여 채워 줌으로써, 동일한 밀봉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를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의 조립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의 몰드 성형을 위한 상태를 예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를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의 조립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니플 고정 블록 102: 암나사부
103: 고정용숫나사 104: 주름관
105: 이탈방지용 브라켓 106: 연결간
107: 통공 200: 오링
201: 호스 니플 202: 숫나사부
203: 경사단턱 204: 온수 호스

Claims (5)

  1. 암나사부(102)가 형성된 통공(107)으로 주름관(104)이 돌출되도록 이탈방지용 브라켓(105)이 형성된 니플 고정 블록(101)을 몰드에 매설하여 일체로 성형하고, 니플 고정 블록(101)의 암나사부(102)에 호스 니플(201)의 숫나사부(202)가 결합되도록 체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돌출된 주름관(104)의 둘레에 적정갯수의 오링(200)을 배치하여 호스 니플(201)의 내부 둘레벽에 밀착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이탈방지용 브라켓(105)은 연결간(106) 보다 큰 규격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니플 고정 블록(101)은 직사각 형태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니플 고정 블록(101)은 원판 형태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
KR1020070088796A 2007-09-03 2007-09-03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 KR100854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796A KR100854736B1 (ko) 2007-09-03 2007-09-03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796A KR100854736B1 (ko) 2007-09-03 2007-09-03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736B1 true KR100854736B1 (ko) 2008-08-27

Family

ID=3987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796A KR100854736B1 (ko) 2007-09-03 2007-09-03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7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937U (ko) * 1998-09-21 1998-12-05 김태용 개량 니플.
KR20000010443A (ko) * 1998-07-31 2000-02-15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암석시편 전단 지지장치
KR20010027809A (ko) * 1999-09-16 2001-04-06 이상호 다이캐스팅용 슬리이브의 자동 윤활 장치
KR200349668Y1 (ko) 2004-02-19 2004-05-08 (주)프리미어 코리아 냉각호스 연결용 커플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443A (ko) * 1998-07-31 2000-02-15 김윤규, 정주영, 심옥진, 정몽헌 암석시편 전단 지지장치
KR19980068937U (ko) * 1998-09-21 1998-12-05 김태용 개량 니플.
KR20010027809A (ko) * 1999-09-16 2001-04-06 이상호 다이캐스팅용 슬리이브의 자동 윤활 장치
KR200349668Y1 (ko) 2004-02-19 2004-05-08 (주)프리미어 코리아 냉각호스 연결용 커플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813B1 (ko) 수도꼭지 연결배관
CN101358678B (zh) 塑料管件接头
TW201808579A (zh) 樹脂製管接頭的製造方法
KR100854736B1 (ko) 몰드용 온수 공급 니플 장착 구조체
JP2013124676A (ja) 配管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562611A (zh) 用于连接聚丙烯管道和金属管道的管道配件
KR101538586B1 (ko) 일체사출형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0805689B1 (ko)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ppr)또는폴리부틸렌(pb)을 원료로 하는 보일러 중계관
CN101898400B (zh) 喷管装置
KR101794742B1 (ko) 냉온수혼합 수전 및 그 생산방법
JP2012137147A (ja) 分岐サドル継手、およびインサート部材
CN201255287Y (zh) 塑料管件接头
JP3725419B2 (ja) プラスチック管接続端末の製造方法
KR200479422Y1 (ko) 인서트 사출용 인서트너트
KR20110103061A (ko) 플랜지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제조방법
KR100851675B1 (ko) 하수관 연결구용 수밀 연결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231736B1 (ko) 합성수지 밸브의 이종소켓 체결장치
KR100948782B1 (ko) 압륜을 이용한 접속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배관의 결합구조
CN103867821A (zh) 一种用于给排水管件的密封结构
CN204300598U (zh) 自补偿热力管
CN202972272U (zh) 用于给排水管件的密封结构
KR200249604Y1 (ko)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구조
KR100390170B1 (ko) 냉온수기의 온수통 연결 구조
KR100755920B1 (ko) 관 이음구 라이닝방법 및 그 장치
JPS6268709A (ja) 防食管継手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