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616B1 -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616B1
KR100853616B1 KR1020070141390A KR20070141390A KR100853616B1 KR 100853616 B1 KR100853616 B1 KR 100853616B1 KR 1020070141390 A KR1020070141390 A KR 1020070141390A KR 20070141390 A KR20070141390 A KR 20070141390A KR 100853616 B1 KR100853616 B1 KR 100853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color
adhesive
color contrast
ye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언택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41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616B1/ko
Priority to PCT/KR2008/007768 priority patent/WO2009084900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A01M1/145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4Arrangements connected with buildings, doors, window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대비 효과를 이용하여 총채벌레에 대한 유인력을 향상시킨 점착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서는 종래 단일 색상으로 제조된 점착트랩을 개선하여 총채벌레가 선호하는 색깔 및 모양을 갖는 중앙 트랩부와 상기 트랩부 색깔에 대한 보색으로 구성된 배경부를 갖는 점착트랩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점착트랩은 배경부 넓이가 200∼900 ㎠ 이고, 트랩부와 배경부의 비율이 1:5∼1:10일 때, 종래 점착트랩보다 21배 이상의 높은 유인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점착트랩을 시설하우스 재배지 2 ㎡ 당 1∼5개 설치하여 총채벌레를 방제하면 인축 및 환경 독성이 없어 친환경적이고, 농약 살포횟수를 줄여도 총채벌레 밀도를 경제적 피해허용수준 이하로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어 결과적으로 농가소득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점착트랩, 총채벌레, 방제, 유인력, 색대비

Description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방법 {Sticky Card with Color Contrast and Insect Control Using it}
본 발명은 종래의 점착트랩의 모양을 변경하고 색대비를 크게하는 검정색 배경색을 넣어 총채벌레의 유인력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점착트랩에 관한 것으로, 총채벌레는 발단된 겹눈을 가지고 있어 기주식물의 화학물질뿐만 아니라 시각적 정보에 대해서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서 종래의 사각형 점착트랩의 모양을 총채벌레가 가장 잘 유인이 되는 원형으로 바꾸고 주위에 검정색 배경을 사용하여 색대비를 증가시켜 총채벌레의 유인력을 향상시킨 것이다.
총채벌레류, 온실가루이류, 파리류는 채소와 화훼 작물의 세계적으로 중요한 해충이다. 이들은 직접적인 섭식에 의한 피해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병원성 곰팡이, 세균 및 바이러스를 매개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1993년 제주에서 발견된 후 전국적으로 확산된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는 딸기, 고추, 오이 등의 농작물과 국화, 장미, 거베라, 카네이션 등의 화훼류에서 그 피해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이관석 등 2001. J. Asia-Pacific Entomol. 4: 115-122.). 또한, 총채벌레는 식물 바이러스인 Tospovirus의 매개하여 미국과 유 럽에서 더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에 Tospovirus 매개 개체군의 존재가 확인되었다(정재아 등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학술발표회. 152p).
상기 총채벌레의 주요 방제법으로는 살충제 처리에 의한 화학적 방제가 일반적이나 환경 오염과 저항성 출현 등의 문제로 사용량 감소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애꽃노린재, 포식성 응애, 선충 등의 천적을 이용한 방제가 시도되고는 있지만 총채벌레의 빠른 증식율과 낮은 경제적 피해허용수준 등으로 만족할 만한 방제 수준을 얻기 어려운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황색점착트랩(또는 노란색끈끈이판, Yellow Sticky Card)은 작물 위에 설치하여 비산하는 총채벌레 성충을 포획하는 것으로 총채벌레의 방제보다 주로 총채벌레 개체군 밀도변동 조사를 위해 많이 이용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2005-0478513호에서는 유인력을 높이기 위하여 성페로몬제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황색점착트랩에 대하여 공지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황색점착트랩의 색깔, 크기, 설치 위치에 따른 총채벌레의 유인력에 대한 연구가 많이 있었으나 그의 유인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트랩 모양의 개선이나 새로운 디자인의 적용에 관한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Cho 등(1995. J. Entomol. Sci. 30: 176-190)은 평면형의 끈끈이판 보다는 기둥형이나 컵모양의 점착트랩이 더 효과가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Chen등(2004. Environ. Entomol. 33: 1416-1420)은 점착트랩에 총채벌레가 잘 유인되는 파장의 빛을 발하는 장치를 점착트랩에 설치하여 유인력을 증가시키고자 하였으며, 국내 공개특허 제2007-0118333 호에서는 형광램프를 이용하여 야행성 곤충을 유인, 퇴치하는 방법이 공지되어있다.
종래 점착트랩은 유인력이 약하여 방제보다는 주로 해충의 개체군 밀도변동을 조사하기 위해 이용되어졌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점착트랩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유인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인축 및 환경에 무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해충을 방제할 수 있도록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히 딸기, 오이, 토마토와, 고추와 같은 과채류 작물에서의 초기 총채벌레 개체군 방제를 통해 과실의 정상적인 착과 및 성장을 도와 생산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총채벌레 방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총채벌레와 같은 곤충은 척추동물과 같이 복잡하고 발달된 겹눈(compound eye)를 가지고 있지만(Giurfa and Menzel 1997. Curr. Opin. Neurobiol. 7: 505-513), 그들의 시각정보에 대한 반응에 대한 연구가 화학물질에 대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는 사실(Prokopy and Owens 1983. Annu. Rev. Entomol. 28: 337-364)에 착안하여 종래의 황색점착트랩을 변형하여 총채벌레가 좋아하는 모양를 결정하고 그 모양의 색대비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배경색을 넣어 총채벌레를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황색점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방제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해충 유인색으로 이루어진 원형의 중앙 트랩부(20)와; 상기 트랩부(20)의 색에 대한 보색으로 이루어진 주변의 배경부(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랩부(20)와 배경부(10)의 넓이 비율이 1:5∼1:10인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이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 방 제방법은 인축 및 환경에 대한 독성이 적어 안전하여 환경친화적인 방제법으로, 채소 및 화훼류 작물에서 총채벌레 개체군의 밀도 변동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밀도억제를 통해 살충제 사용을 줄여 방제 비용을 절감하고 작물의 생산력을 증대시켜 농민의 소득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은 단일색깔로 제조되었던 종래 점착트랩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중앙 트랩부와 이들 주위에 색대비 효과가 높은 배경부를 배치하여 총채벌레 유인력을 높인 점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을 이용해서 방제할 수 있는 총채벌레로는 총채벌레 외에도 온실가루이류, 파리류 등의 다른 유시류 총채벌레도 유살할 수 있는데, 특히 최근에 참외와 같은 박과류(Cucurbitaceae) 시설 작물에서 극심한 피해를 주고 있는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나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는 황색에 유인이 가장 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하우스 내에서 추가적인 해충방제가 가능할 것이다.
또, 곤충은 그들의 종에 따라 생물학적 특성에 있어서 차이가 나고 각기 다른 선호성을 가지고 있음을 감안하여 트랩의 색깔, 모양, 크기, 대비정도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해충의 종류에 따라 맞춤형의 트랩을 제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황색점착트랩이 작물의 상부에 주로 설치되어 비산하는 총채벌레 성충의 경우에만 포획할 수 있지만(Davidson et al. 2006. J. Insect Physiol. 52: 729-736.), 본 발명에 의한 색대비를 이용한 황색점착트랩은 원형의 전경으로 보다 능동적으로 비산행동을 유발하여 총채벌레의 포획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황색점착트랩에 비해 단위 면적당 유살할 수 있는 총채벌레 수가 많아 적은 수의 단위면적당 트랩 설치 수를 줄여 경제적인 비용 절감을 제공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트랩부 (20)
본 발명에서는 곤충이 발달된 겹눈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각적 정보에 대해서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대상 총채벌레의 유인력을 높일 수 있도록 트랩부(20)의 색깔 및 모양을 다르게 변형하여 제작하고, 이들 각각의 유인력을 실험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점착트랩의 트랩부의 색깔로는 통상적으로 총채벌레 유인력이 높다고 알려진 흰색, 황색, 빨강색, 파랑색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총채벌레에 대해 유인력이 높다고 알려진 흰색과 황색이 사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예비실험에서 유인력이 좀 더 높게 나타난 황색을 트랩부(20) 색깔로 결정하였다. 또한, 트랩부(20)에 해충 유인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상 해충의 성페로몬제, 파라-아니스알데히드(ρ-anisaldehyde) 및 니코틴산에틸(ethyl nicotinate) 등의 통상적으로 알려진 유인물질을 첨가하여 유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랩부(20)의 색깔 및 유인물질에 유인된 해충을 포획하여 살충시킬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끈끈이 점착조성물을 도포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을 제조한다.
유인력 실험은 30(L)×30(W)×30(H) 크기의 아크릴상자에 강낭콩 한 주를 심은 화분을 넣고 총채벌레 암컷 성충 50마리를 방사하여 새로운 환경에 적응시키고, 2시간 후 점착트랩을 복수 설치(choice test, 선택실험) 및 단독 설치(no-choice test, 비선택실험)하고, 1 주일간 각 트랩에 유인된 총채벌레 수를 조사하였으며, 각 시험별로 5회 반복 실험하였다. 선택실험의 결과는 paired t-test로 비선택실험의 결과는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a = 0.05).
실시예 1
통상적으로 곤충 유인력이 높다고 알려진 점착트랩의 모양을 다이아몬드형, 원형, 삼각형, 역삼각형, 반원형 및 사각형으로 제작하여 각각의 총채벌레 유인력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선택실험과 비선택실험 모두에서 원형 점착트랩에서 가장 많은 수의 총채벌레가 포획되었다.
배경부
상기 실시예 1에서 가장 유인력이 우수하게 나타난 점착트랩에 다양한 색깔 및 모양으로 배경부(10)를 제작하고, 각각의 유인력을 실험하였다. 배경부(10)의 색깔은 상기 트랩부(20)의 색깔에 대한 색대비 효과가 높은 검정색, 녹색, 주황색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황색에 대한 보색으로서 색대비 효과가 높은 검정색을 선택하여 실험하였다. 본 발명에서 보색이라 함은 특정 단일색깔로 한정하지 않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색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중앙 황색 트랩부에 대한 보색 배경부로는 검정색 이외에도 검정색에 가까운 짙은 붉은색, 짙은 파랑색 등과 같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색깔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배경부(10)의 모양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설치가 용이하고 색대비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넓이 200∼900 ㎠인 사각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가장 유인력이 우수했던 황색 원형 트랩부(20)에 검정색, 파랑색, 녹색 및 황색의 배경부(10)를 갖도록 점착트랩을 제작하였으며, 선택실험과 비선택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황색의 보색인 검정색에서 가장 높은 유인력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파랑색, 녹색, 황색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총채벌레는 색대비가 클수록 유인력이 높아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배경부 (10) : 트랩부 (20)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총채벌레 유인력이 우수한 검정색 배경부(10)와 황색원형의 트랩부(20)을 갖는 점착트랩을 제작함에 있어서, 배경부는 사용상 편리함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15×15 ㎠인 사각형으로 제작하고 트랩부(20)의 넓이는 색대비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1:2, 1:3.5 및 1:7.5로 각각 제작하여 선택실험 및 비선택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트랩부(20):배경부(10)의 넓이 비율이 1:7.5 일때 단위면적당 유인된 총채벌레 수가 현저히 많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상기 트랩부(20)와 배경부(10)의 바람직한 넓이 비율은 1:5∼1:10이다.
방제 실험
상기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은 시각정보에 의해 유인되는 총채벌레의 유인력을 실험하기 위하여 시설하우스 재배지 2 ㎡ 당 1∼5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였으며, 대조구로는 종래의 직사각형 황색점착트랩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도 4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최적의 모양 및 색깔로 제작된 점착트랩으로, 배경부(10)는 15×15 ㎠인 검정색 사각형이고, 트랩부(20)는 반지름 3.1 인 황색 원형으로 제작되었다. 총채벌레 유인효과를 실제 딸기하우스에서 2회(2007년 4월 18일과 5월 12일) 검증하였다. 경북 안동시 송천동 소재의 딸기하우스(74×7.5 ㎡)를 35개의 구(plots)로 나누고 그 중 20개의 시험구를 임의로 선정하여 도 4의 새로 제작한 트랩과 종래의 직사각형의 점착트랩을 서로 마주보 게(1m 간격) 설치한 후 3일 후에 수거해서 각 트랩에 유인된 총채벌레의 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07년 4월 18일에 실시한 실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이 종래의 단일 황색으로 구성된 사각점착트랩에 비해 21배 많은 총채벌레를 유인하였으며, 5월 12일 실험에서는 2.3배 많은 총채벌레가 유인되었다.
도 1은 트랩부(20)의 모양에 따른 총채벌레 유인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는 배경부(10)의 색깔에 따른 총채벌레 유인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은 트랩부(20) : 배경부(10)의 넓이 비율에 따른 총채벌레 유인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황색 트랩부(20)와 검정색 배경부(10)의 넓이 비율이 1대 7.5인 점착트랩의 모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의 실제 딸기하우스내 유인력 비교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9)

  1. 해충 유인색으로 이루어진 원형의 중앙 트랩부(20)와; 상기 트랩부(20)의 색에 대한 보색으로 이루어진 주변의 배경부(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트랩부(20)와 배경부(10)의 넓이 비율이 1:5∼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20)의 색이 빨강색; 파랑색; 흰색 및 황색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20)의 색이 황색이고, 배경부(10)의 색이 황색에 대한 보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4. 삭제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부(10)의 넓이가 200∼9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6.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트랩에 대상 해충의 유인물질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인물질은 대상 해충의 성페로몬제; 파라-아니스알데히드(ρ-anisaldehyde) 및 니코틴산에틸(ethyl nicotinat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8. 황색 원형의 중앙 트랩부와; 검정색 사각형의 주변 배경부(10);로 이루어지고,
    상기 트랩부(20)와 배경부(10)의 넓이 비율이 1:5∼1:10 이며,
    상기 배경부(10)의 넓이가 200∼900 ㎠ 인 점착트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채벌레류, 온실가루이류 및 파리류를 포함하는 해충의 방제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점착트랩을 시설하우스 재배지 2 ㎡ 당 1∼5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의 방제방법.
KR1020070141390A 2007-12-31 2007-12-31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방법 KR100853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390A KR100853616B1 (ko) 2007-12-31 2007-12-31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방법
PCT/KR2008/007768 WO2009084900A2 (en) 2007-12-31 2008-12-30 Sticky trap using color contrast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sect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390A KR100853616B1 (ko) 2007-12-31 2007-12-31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616B1 true KR100853616B1 (ko) 2008-08-22

Family

ID=3987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390A KR100853616B1 (ko) 2007-12-31 2007-12-31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53616B1 (ko)
WO (1) WO2009084900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027B1 (ko) 2010-06-04 2012-06-27 대한민국 곤충 선호색상 판별장치
KR200465982Y1 (ko) * 2010-11-19 2013-04-03 주식회사 흙살림 친환경 곤충 포획기구
KR101760080B1 (ko) * 2015-04-07 2017-07-20 전라남도(농업기술원장) 토양 해충 방제용 트랩과 이를 이용한 토양 해충 방제 방법
KR101823248B1 (ko) * 2016-07-05 2018-01-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방제용 끈끈이트랩
CN110476919A (zh) * 2019-08-16 2019-11-22 武威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用于温室白粉虱诱捕的彩色背景粘虫板及其制作方法
KR20220093527A (ko)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에이디 담배가루이 포획용 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7868A1 (en) * 2011-06-15 2012-12-20 Ecolab Usa Inc. Flying insect attraction station
US10292379B2 (en) * 2011-06-15 2019-05-21 Ecolab Usa Inc. Flying insect attraction station
US10051851B2 (en) * 2011-09-20 2018-08-21 Hamamats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ttraction device, insect-capturing apparatus and insect-capturing method
CN107926893A (zh) * 2017-11-29 2018-04-20 山东省果树研究所 一种提高诱集果蝇效果的靶环式粘虫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754A (ja) * 1998-06-26 2000-01-11 Cats Inc 粘着トラップ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8260A1 (de) * 1990-03-15 1991-09-19 Bayer Ag Koeder fuer stubenfliegen
KR100699323B1 (ko) * 2005-09-28 2007-03-23 장석익 포충용 도포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754A (ja) * 1998-06-26 2000-01-11 Cats Inc 粘着トラップ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027B1 (ko) 2010-06-04 2012-06-27 대한민국 곤충 선호색상 판별장치
KR200465982Y1 (ko) * 2010-11-19 2013-04-03 주식회사 흙살림 친환경 곤충 포획기구
KR101760080B1 (ko) * 2015-04-07 2017-07-20 전라남도(농업기술원장) 토양 해충 방제용 트랩과 이를 이용한 토양 해충 방제 방법
KR101823248B1 (ko) * 2016-07-05 2018-01-2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충방제용 끈끈이트랩
CN110476919A (zh) * 2019-08-16 2019-11-22 武威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用于温室白粉虱诱捕的彩色背景粘虫板及其制作方法
KR20220093527A (ko)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에이디 담배가루이 포획용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84900A3 (en) 2009-09-24
WO2009084900A2 (en)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616B1 (ko) 색대비를 이용한 점착트랩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방법
Ryckewaert et al. Fruit flies (Diptera: Tephritidae) on vegetable crops in Reunion Island (Indian Ocean): state of knowledge, control+ methods and prospects for management
Alyokhin et al. Visual and olfactory stimuli and fruit maturity affect trap captures of oriental fruit flies (Diptera: Tephritidae)
Weinzierl et al. Insect attractants and traps
MXPA05001033A (es) Barrera, alojamiento y metodo para proteger cultivos que incluyen una pantalla que refleja la luz.
Harbi et al. Use of a synthetic kairomone to control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Thysanoptera; Thripidae) in protected pepper crops in Tunisia
Soomro et al. Performance of Ferrolure+ pheromone in the red palm weevil, Rhynchophorus ferrugineus (Coleoptera: Dryophthoridae) management in date palm growing areas of Sindh, Pakistan
Bajaj et al. Preference of Bactrocera spp. to methyl eugenol based different coloured traps
Mainali et al. Evaluation of chrysanthemum flower model trap to attract two Frankliniella thrips (Thysanoptera: Thripidae)
Weintraub Physical control: an important tool in pest management programs
Flint et al. Understanding semiochemicals with emphasis on insect sex pheromones in integrated pest management programs
Lee et al. Push-pull strategy for control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in a tomato greenhouse
Soomro et al. Impact of trapping density on the performance of aggregation pheromone against Rhynchophorus ferrugineus (Coleoptera: Dryophthoridae)
Al-Khatri Date palm pests and their control
Aziz Red palm weevil, Rhynchophorus ferrugineus, a significant threat to date palm tree, global invasions, consequences, and management techniques
US20230240290A1 (en) Use of (z)-3-hexenyl esters and method for protecting plants against pests
Ben-Yakir et al. Attraction of pests.
Dhouibi et al. Effect of Trap Size and Pheromone Capsule Types on the Trapping Efficacy for the Red Palm Weevil (Rhynchophorus Ferrugineus)
Mohammed et al. Temporal presence of adults red palm weevil Rhynchophorus ferrugineus Oliv. in Safwan-Basra Governorate south of Iraq
Naganna et al. Effective trap density for mass trapping of fruit flies, Bactrocera dorsalis (Hendel) and Bactrocera zonata (Saunders) in mango
KR101102113B1 (ko) 친환경적인 녹지공간 병·해충관리 시스템 및 방법
DAvD et al. 7 Attraction of Pests
JP2006180805A (ja) 害虫の殺虫方法及び装置
Van Kruistum et al. Towards a system of non-chemical flower thrips control in strawberry production
Mizell Stink bug management using trap crops in organic far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