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163B1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163B1
KR100853163B1 KR1020060113081A KR20060113081A KR100853163B1 KR 100853163 B1 KR100853163 B1 KR 100853163B1 KR 1020060113081 A KR1020060113081 A KR 1020060113081A KR 20060113081 A KR20060113081 A KR 20060113081A KR 100853163 B1 KR100853163 B1 KR 100853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elements
guide member
ima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725A (ko
Inventor
고이치 마츠오
아키히로 나카무라
이사오 이와구치
도모히코 후카와
사토시 후쿠이
고조 야마자키
슈지 기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2Sensors therefor direct reading, e.g. contactless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3Sensing or illuminating at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5Illu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tern recognition, e.g. using gra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Abstract

촬상 장치는 대상물을 조명하고, 대상물의 반사광으로부터 대상물을 촬상한다. 이미지 센서를 탑재한 회로 기판에, 이미지 센서의 주위 위치에 복수의 발광 소자들을 탑재한다. 이 복수의 발광 소자의 광을 링형 도광 부재로 촬상 범위에 유도하여 조명한다. 이에 따라, 동일 기판에 수광계와 발광계를 탑재하여 소형화할 수 있게됨과 동시에, 촬상 범위에 거의 균일한 광을 조명할 수 있다. 또한, 링형 도광 부재를 이용하여, 광학 유닛을 링 안에 수용하므로,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 장치{IMAGE CAPTU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촬상 장치의 분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회로 기판의 부품 배치도.
도 4는 도 2의 발광 소자와 광검출기 소자의 관계 설명도.
도 5는 도 2의 분해 부품의 조립도.
도 6은 도 1의 외장 부품의 구성도.
도 7은 도 2의 조립체의 어셈블리 구성도.
도 8은 도 1의 촬상 장치의 외관도.
도 9는 도 1의 조명계의 설명도.
도 10은 도 9의 도광 부재와 발광 소자의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발광 소자의 발광 강도 분포와 도광 부재의 하단부의 관계도.
도 12는 도 10의 도광 부재의 제1 동작 설명도.
도 13은 도 10의 도광 부재의 제2 동작 설명도.
도 14는 도 10의 도광 부재의 제3 동작 설명도.
도 15는 도 10의 도광 부재에 의한 광강도 분포도.
도 16은 도 1의 촬상 장치를 위한 제어 회로의 블록도.
도 17은 도 16의 제어 회로의 촬상 처리 흐름도.
도 18은 도 16의 구성에 의한 거리 측정 동작의 설명도.
도 19는 종래의 손바닥 촬상 장치의 설명도.
도 20은 종래의 손바닥 촬상 장치의 원리 설명도.
도 21은 종래의 손바닥 인증 기술의 설명도.
도 22는 종래의 손바닥 인증 기술의 다른 설명도.
도 23은 종래의 촬상 장치의 조명 구성의 설명도.
도 24는 종래의 촬상 장치의 구성도.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06년 3월 3일 출원된 우선권 일본 특허 출원 제2006-057493호로부터의 우선권의 이익에 기초하고 이를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이 여기서 참조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발광 소자의 광을 대상물로 유도하고, 조사하며, 촬상하기 위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발광 소자의 광으로 대상물의 미리 결정된 범위를 균일하게 조사하여 촬상하기 위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상물에 균일한 광을 조사하여, 대상물의 미리 결정된 범위를 촬상하는 촬상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촬상 장치의 촬상 화상을 이용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에서는 특히, 선명한 화상이 요구된다.
예컨대, 최근의 바이오매트릭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개인이 구별될 수 있는 생체의 특징, 예컨대 수족의 지문, 눈의 망막, 얼굴, 혈관을 인식할 수 있는 인간 몸체의 생체를 검출하는 개인 인증 장치가 여러 가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손바닥과 손가락의 혈관, 피부 패턴은 이로부터 비교적 대량의 개인 특징 데이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인증의 신뢰성에 적합하다. 또한, 혈관(정맥)의 패턴은 태아의 때부터 일생 변하지 않고, 예외없이 사람들 간에 동일한 패턴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개인 인증에 적합하다. 도 19 내지 도 22는 종래의 혈관 이미지 인증 기술의 설명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록 또는 인증 시에, 이용자는 촬상 장치(100)에 손바닥(110)을 가까이 한다. 촬상 장치(100)는 근적외선을 발광하여 손바닥(110)을 조사한다. 촬상 장치(100)는 손바닥(110)으로부터 반사된 근적외선을 센서로 수신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맥에 흐르는 적혈구 중의 헤모글로빈은 산소를 잃고 있다. 이 헤모글로빈(환원 헤모글로빈)은 760 nm 파장의 부근의 근적외선을 흡수한다. 이 때문에, 손바닥에 근적외선이 조사되면, 정맥이 있는 부분에 반사가 감소된다. 따라서, 반사한 근적외선의 강도로 정맥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는 우선, 자신의 손바닥의 정맥 화상 데이터를 도 19의 촬상 장치(100)를 이용하여, 서버나 카드에 등록한다. 다음으로, 개 인 인증하기 위해 이용자는 자신의 손바닥의 정맥 화상 데이터를 도 19의 촬상 장치(100)를 이용하여 판독하게 한다.
이용자의 ID에서 인출된 정맥 등록 화상과, 판독된 정맥 대조 화상의 정맥의 패턴을 대조하여 개인 인증한다. 예컨대, 도 21과 같은 등록 화상과 대조 화상의 정맥 패턴의 대조에서는 그 사람이 본인이라고 인증한다. 한편, 도 22와 같이 등록 화상과 대조 화상의 정맥 패턴의 대조에서는, 그 사람이 본인이라고 인증하지 않는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62826호, 도 2 내지 도 9).
이러한 생체 인증 등에는, 대상물(생체 인증에서는, 인간의 몸의 일부)을 비접촉으로 촬상해야 한다. 이 때문에, 촬상 장치(100)는 어떤 촬상 범위(거리 및 면적)에 있어서, 균일한 광강도를 생성하는 광을 방사하고, 그 촬상 범위의 반사광을 센서로 수광하며, 전기 신호로서, 촬상 신호를 출력한다.
도 23 및 도 24는 종래의 촬상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중앙에 촬상 유닛(120)을, 그 주위에 복수의 발광 소자(130-1∼130-8)를 포함한다. 도 23의 점선은 이 복수의 발광 소자(130-1∼130-8) 중 개개의 발광 소자의 균일한 강도의 광의 범위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촬상 유닛(120)의 주위에 복수(여기서는 8개)의 점광원을 배치함으로써, 촬상 유닛(120)의 촬상 범위에 균일 강도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촬상 유닛(120)은 CMOS 센서 등의 광전 변환 유닛(122)과, 렌즈 등의 광학계(124)를 갖는다. 면 광검출기 소자인 광전 변환 소자는 미리 결정된 수광 면적을 가지므로, 이 광전 변환 소자의 수광면에 촬상 범위의 반사광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미리 결정된 광학 거리가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어안(fisheye) 렌즈 등의 렌즈(124)를 광전 변환 유닛(122)과 대상물 사이에 설치하여, 미리 결정된 촬상 범위의 이미지를 광전 변환 소자(122)의 수광면에 투영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통상적으로, 각 점 광원 소자(130-1∼130-8)에서 미리 결정된 촬상 범위를 분담하여 대상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도 23과 같이, 점 광원 소자(130-1∼130-8)를 서로 분리하여 배치한다. 또한 미리 결정된 광강도의 균일광을 촬상 범위에 부여하므로, 도 24와 같이, 광전 변환 소자(122)보다, 대상물에 근접하여 점 광원 소자(130-1 내지 130-8)를 배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었다(WO 2004/088588, 도 1 및 도 6).
이 종래의 촬상 장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점 광원 소자(130-1∼130-8)를 서로 분리하여 배치하고, 또한 도 24와 같이, 광전 변환 소자(122)보다 대상물에 근접하여 배치한다. 따라서,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곤란하다. 또한, 장치에 촬상 장치를 내장하기에 제한이 있다.
또한, 도 24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점 광원 소자(130-1∼130-8)와 광전 변환 센서(122)가, 장치의 높이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점 광원 소자(130-1∼130-8)를 탑재하는 프린트 기판(132)과, 광전 변환 센서(122)를 탑재하는 프린트 회로 기판(126)을 따로따로 설치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최저한이라도 프린트 기판이 2장 필요해지고, 비용 절감의 장해 가 되고 있었다. 또한, 프린트 기판이 2장이므로,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더 곤란하 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물에 대해, 광범위의 조명을 행하고, 또한 소형으로 구성하기 위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물에 대해, 광범위의 조명을 행하고, 양호한 촬상을 실현하며, 또한 저가격화하기 위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상물에 대해, 광범위의 조명을 행하여도, 제조가 용이하고, 저가격을 실현하기 위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을 조명하여 상기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촬상하는 촬상 장치는, 상기 반사광을 수광하는 이미지 센서를 탑재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이미지 센서 주위의 위치에 탑재된 복수의 발광 소자;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의 광을 유도하여, 상기 촬상 범위를 조명하는 링형 도광 부재; 및 상기 링형 도광 부재의 링 내에 수용되어, 상기 조명된 촬상 범위의 대상물의 반사광을 상기 이미지 센서로 유도하기 위한 광학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상기 이미지 센서 주위의 원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상기 회로 기판에 탑재되고,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원에 대응한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링형 도광 부재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사이에 상기 발광 소자의 광을 확산하는 확산판을 설치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 사이에, 상기 발광 소자의 광을 모니터하는 광검출기 소자를 상기 회로 기판에 설치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 기판에 탑재되어 상기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용 발광 소자를 추가로 설치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적외광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로 구성되며, 적어도 상기 광학 유닛의 입사면에 가시광을 차단하는 광학 필터를 설치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제1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제1 파장과 다른 제2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이미지 센서 주위의 원을 따라, 상기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제2 발광 소자가 교대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각 제2 발광 소자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의 광을 모니터하는 광검출기 소자를 상기 회로 기판에 설치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발광 소자의 광을 도입하기 위한 하단부와, 상기 촬상 범위에 광을 출사하기 위한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상단부로 상기 발광 소자의 광을 유도하는 도광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검출기 소자는 상기 발광 소자의 발광광 중 상기 도광 부재의 하부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위치에 설치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 주위의 원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상기 회로 기판에 탑재된 복수의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개별의 복수의 확산 부재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 측정용 발광 소자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이미지로부터, 촬상 범위의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상기 회로 기판상의 위치에 탑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리 측정용 발광 소자는 상기 발광 소자의 외측의 위치에, 상기 회로 기판에 탑재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생체의 일부를 촬상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를 탑재한 회로 기판에, 이미지 센서 주위의 위치에 복수의 발광 소자를 탑재하고, 이 복수의 발광 소자의 광을, 링형 도광 부재로 촬상 범위로 유도한다. 따라서, 동일 기판에 수광계와 발광계 모두를 탑재하여,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촬상 범위에 거의 균일한 광을 조명할 수 있다. 또한, 링형 도광 부재를 이용했으므로, 광학 유닛을 링 내에 수용할 수 있어, 보다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범위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실시예의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촬상 장치의 구성, 조명 기구, 화상 처리 구성, 다른 실시예의 순으로 챠트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촬상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촬상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촬상 장치의 분해 구성도, 도 3은 도 1, 도 2의 기판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발광 소자와 광검출기 소자의 동작 설명도, 도 5는 도 2의 구성을 조립한 경우의 구성도, 도 6은 도 1의 외부 케이스의 구성도, 도 7은 도 2의 조립체를 외부 케이스에 수용한 경우의 구성도, 도 8은 도 1의 촬상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1의 구성을 설명하기 전에, 도 2 내지 도 7에 의해, 도 1의 각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기판(20)의 중앙에는, CMOS 이미지 센서 등의 이미지 센서(30)와 편광판(32)이 설치된다. 카메라 기판(20)의 이미지 센서(30) 주위에 복수의 발광 소자(22, 24)와 광검출기 소자(26)가 탑재된다.
도 3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카메라 기판(20)의 중앙에 이미지 센서(30)가 탑재되고, 이미지 센서(30) 위에, 편광판(32)이 접착된다. 카메라 기판(20)의 이미지 센서(30) 주위의 원을 따라, 복수의 발광 소자(22, 24)와 광검출기 소자(26)가 탑재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제1 발광 소자(LED)(22)와 제2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제2 발광 소자(LED)(24)가, 이미지 센서(30)의 각 변에, 각각 2개 설치된다. 즉, 제1 발광 소자(LED)(22)와 제2 발광 소자(LED)(24)는 이미지 센서(30) 주위에 각각 8개 설치된다.
이 제1 발광 소자(22)와 제2 발광 소자(24) 사이에, 광검출기 소자(포토다이 오드)(26)가 설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광검출기 소자(26)는 제1 발광 소자(22)와 제2 발광 소자(24)의 광[후술하는 편광판(44)에서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제1 발광 소자(22)와 제2 발광 소자(24)의 APC(자동 파워 제어)를 행하기 위해 설치된다.
제1 발광 소자(22)는 전술의 종래 기술에서 개시한 근적외선을 발광하고, 제2 발광 소자(24)는 그와 파장이 다른 광을 발광한다. 이 제1 발광 소자(22)와 제2 발광 소자(24)는 개별의 타이밍으로 발광 구동된다. 파장이 다른 양 발광 소자(22, 24)에 의한 조명에 의해 2개의 촬상을 이용하여, 목적으로 하는 대상물의 패턴(여기에서, 혈관 이미지)의 인식을 용이하게 한다.
이 예에서는, 개별의 타이밍에서 발광되는 제1, 제2 발광 소자(22, 24)의 각각의 자동 파워 제어를 독립적으로 행하기 위해, 하나의 광검출기 소자(26)가 제1, 제2 발광 소자(22, 24)의 광을 수광하도록, 제1, 제2 발광 소자(22, 2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APC 제어를 위한 광검출기 소자의 수를 감소할 수 있다.
나아가서, 카메라 기판(20)의 네 코너에는, 대상물과의 거리를 계측하기 위한 4개의 거리 계측용 발광 소자(52)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4개의 거리 계측용 발광 소자(52)는 카메라 기판(20)의 대각선상에 배치되고, 또한 각각 발광 소자(52) 간의 각 거리가 가장 멀어지도록 대각선상의 가장 먼 지점에 배치된다. 이 4개의 거리 계측용 발광 소자(52)에 의한 측정 거리로부터, 대상물(여기서는, 손바닥)의 기울기를 검출한다.
요약하면, 1장의 카메라 기판(20)에는 대상물의 촬상을 위한 조명계(22, 24, 26)와, 촬상계(30, 32)가 설치되고, 또한 거리 계측계(52)도 설치된다.
도 2로 되돌아가서, 카메라 기판(20)의 발광 소자(22, 24)의 상부 방향에서, 4장의 확산판(44)과 4장의 편광판(42)이 설치된다. 이 확산판(44)과 편광판(42)은 카메라 기판(20)의 4측에 부착되는 편광/확산 판 탑재 테이블(46)에 접착된다. 확산판(44) 각각은 제1, 제2 발광 소자(22, 24)의 지향성이 있는 발광 분포를 어느 정도 확산한다. 각 편광판(42)은 제1, 제2 발광 소자(22, 24)의 자연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한다.
이 4장의 편광판(42)의 상부 방향에는, 링형 도광 부재(10)가 설치된다. 도광 부재(10)는 예컨대, 수지로 형성되고, 또한 카메라 기판(20)의 제1, 제2 발광 소자(22, 24)의 광을 상부 방향으로 유도하여, 대상물에 균일광을 조사한다. 도광 부재(10)는 카메라 기판(20)의 발광 소자(22, 24)의 배치에 맞추어 링 형상을 가진다. 이 도광 부재(10)는 도 9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제2 발광 소자(22, 24)의 광을 상부 방향으로 유도하여, 대상물에 균일광을 조사한다.
또한, 카메라 기판(20)의 거의 중앙의 이미지 센서(30) 위에, 또한 링형 도광 부재(10) 내에, 광학 유닛(34)이 카메라 기판(20)에 부착된다. 광학 유닛(34)은 집광 렌즈 등의 렌즈 광학계로 구성된다.
이 카메라 기판(20)의 거리 측정용 발광 소자(52)에는 애퍼처(aperture)(50)가 탑재된다. 애퍼처(50)는 거리 측정용 발광 소자(52)의 광이 대상물 방향으로 향하도록, 다른 방향에의 광의 확산을 차폐한다.
카메라 기판(20)에서는, 별도로 제어 기판(60)이 설치된다. 제어 기판(60)은 외부와 접속하기 위한 것이며, 외부 커넥터(62)와, 카메라 기판(20)과의 연결을 위한 카메라 커넥터(64)를 갖는다. 이 제어 기판(60)은 카메라 기판(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카메라 커넥터(64)를 사용하여 카메라 기판(20)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외부 커넥터(62)의 사용을 위해 홀더 커버(68)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카메라 기판(20)에 이미지 센서(30), 발광 소자(22, 24), 광검출기 소자(26), 거리 측정용 발광 소자(52)를 탑재한다. 그 후, 이 카메라 기판(20) 상에, 확산/편광 판 탑재 테이블(46), 확산판(44), 편광판(42), 애퍼처(50), 광학 유닛(34), 도광 부재(10)를 탑재하여, 카메라 부분을 조립한다. 이 카메라 부분에, 제어 기판(60)을 부착한다. 도 5는 그 카메라 부분과 제어 기판의 부착 후의 유닛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시광 차단 필터판(76), 후드(78), 홀더 어셈블리(70), 외장 케이스(74)를 준비한다. 그리고, 도 5의 부착 유닛을, 도 6의 홀더 어셈블리(70)에 부착하고, 또한 도 2의 홀더 커버(68)를 홀더 어셈블리(70)에 부착함으로써, 도 7의 구성을 조립한다.
이 도 7의 구성을, 도 6의 외장 케이스(74)에 수용하고, 또한 후드(78)를 부착한 가시광 차단 필터판(76)을 외장 케이스(74)의 상부에 부착하여, 도 8의 촬상 장치를 구성한다. 이 가시광 차단 필터판(76)은 외부로부터 이미지 센서(30)로 들어가지 않도록 가시광 성분을 차단한다. 또한, 후드(78)는 도 1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촬상 범위 외의 광이 광학 유닛(34)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도광 부재(10)로부터 누출되는 광이, 광학 유닛(34)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도 8의 완성체(1)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기판(20)에, 이미지 센서(30), 발광 소자(22, 24), 굉검출기 소자(26), 거리 측정용 발광 소자(52)를 탑재하고 있다. 즉, 하나의 기판에 조명계와 촬상계를 포함하는 기본 구성을 탑재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탑재 기판만이 충분하여,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또한, 발광 소자(22, 24)의 상부에 링 형 도광 부재(10)을 설치하여, 발광 소자(22, 24)의 광을 가시광 필터(76)로 유도하고 있다. 상기 도광 부재(10)는 발광 소자(22, 24)의 광을 분광하여 가시광 필터(76)로 출사한다. 이 때문에, 발광 소자(22, 24)를 이미지 센서(30)에 근접하여 설치하고, 또한 동일 기판(20)에 설치하여 소형화할 수 있게됨과 동시에, 대상물에 균일한 광을 조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하는 역삼각형의 사선 부분을 카메라의 촬상 범위라고 하면, 이 촬상 범위에 균일한 광을 조명할 수 있다.
또한, 도광 부재(10)는 링형이므로, 링(10) 내에, 광학 유닛(34)을 수용할 수 있고, 한층 더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후드(78)는 미리 결정된 촬상 범위(도 1의 사선 부분) 외의 광이 광학 유닛(34)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도광 부재(10)로부터 누출되는 광이 광학 유닛(34)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도광 부재(10)와 발광 소자(22, 24)를 이미지 센서(30), 광학 유닛(34)에 근접하여 설치하여도 촬상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카메라 기판(20)에 거리 측정용 발광 소자(52)를 설치했으므로, 거 리 측정용 카메라 유닛을 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제어 기판(60)이 카메라 기판(20)의 하부에 접속되고, 또한 제어 기판(60)의 외부 커넥터(62)에 외부 케이블(2)이 접속된다.
조명 기구
다음으로, 도광 부재를 포함하는 조명 기구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광 부재의 동작 설명도, 도 10은 도 9의 조명 기구의 상세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도광 부재의 사다리꼴 절취부의 설명도, 도 12 내지 도 14는 도 10의 도광 부재의 도광 및 확산 동작의 설명도, 도 15는 조명에 의한 휘도 분포도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기호로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 부재(10)는 점 광원인 발광 소자(22, 24)의 광을 3분할하도록, 가시광 차단 필터(76)로 유도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광 부재(10)로부터는 기본적으로, 광학 유닛(34) 방향으로의 광(A3), 도광 부재(10)의 길이 방향의 광(A2), 광학 유닛(34)과 반대 방향의 광(A1)이 출력된다. 이 도광 부재(10)를 설치함으로써, 각 하나의 점광원(22, 24)은 가시광 필터(76) 근방에서는 3개의 점 광원이 존재하는 것 처럼 행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 부재(10)는 상부 경사면(14)과, 2개의 측면(10-1, 10-2)과, 하부 사다리꼴 홈(12)을 포함한다. 하부 사다리꼴부(12)는 편광판(42), 확산판(44)을 통해 발광 소자(22, 24)에 대향하여 위치되어, 발광 소자(22, 24)로부터의 광을 받는다. 또한, 상부 경사면(14)은 광학 유닛(34)측이 더 높은 경사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22, 24)로부터 발광 강도 분포(B)는 상부 방향을 향해 긴(강한) 원호형을 갖는다. 즉, 발광 소자(22, 24)의 광 출력 방향(소자의 수직 방향)의 광성분(B1)의 강도가 그 양측 방향에 대한 광성분(B2, B3)의 강도보다 강하다. 도광 부재(10)의 사다리꼴 형상 홈(12)은 출사측에서, 도 9와 같이, 기본적으로 광이 3개의 점광원이라고 간주될 수 있도록, 이 강도 분포(B)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광 부재(10) 내에서의 반사에 의해 3개의 점 광원으로서 기능하도록, 사다리꼴 형상 홈(12)은 광성분(B1)을 도입하는 평탄 부분(12b)과, 그 양측의 광성분(B2, B3)을 도입하기 위해 이 광성분(B2, B3)의 방향에 따른 기울기를 갖는 한 쌍의 경사면 부분(12a, 12c)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사다리꼴 형상홈(12)의 형상에 의해, 점광원(22, 24)의 광을 3개의 광으로 가상으로 분할하는 작용을 완수한다.
또한, 이 평탄 부분(12b)과 경사면 부분(12a, 12c)의 각 길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광 부재(10)의 출사광에 의해, 미리 결정된 영역의 광강도가 거의 균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최대의 광성분(B1)의 최대 강도를 받는 평탄 부분(12b)의 길이가 광성분(B1)의 광 강도보다 약한 광성분(B2, B3)의 광강도를 받는 경사면 부분(12a, 12c)의 각 길이보다 짧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광강도 분포에 따라 분할되는 광량을 조정하고 있다.
이 동작을, 도 12 내지 도 14에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 광 소자(22, 24)의 발광 강도 분포(B)의 좌측 성분(B2)은 도광 부재(10)의 좌측 경사면 부분(12a)에서 도광 부재(10)의 좌측면(10-2)으로 입사한다. 입사광은 좌측면(10-2)에서 반사하고, 도광 부재(10)의 우측면(10-1)으로 향한다. 그리고, 우측면(10-1)을 향한 광은 우측면(10-1)에서 반사하고, 다시, 좌측면(10-2)으로 향한다. 광은 좌측면(10-2)에서 반사되어, 상부 경사면(14)에 거의 수직으로 입사하여, 촬상 범위의 최외부로 출사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22, 24)의 발광 강도 분포(B)의 중앙의 성분(B1)은 도광 부재(10)의 중앙 평탄 부분(12b)으로부터 도광 부재(10)로 입사한다. 다음, 광은 상부 경사면(14)에 비스듬히 입사하여, 촬상 범위의 최내부로 출사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 소자(22, 24)의 발광 강도 분포(B)의 우측의 성분(B3)은 도광 부재(10)의 우측 경사면 부분(12c)으로부터 도광 부재(10)의 우측면(10-1)으로 입사한다. 입사광은 우측면(10-1)에서 반사하고, 도광 부재(10)의 좌측면(10-2)으로 향한다. 그리고, 좌측면(10-2)을 향한 광은 좌측면(10-2)으로 반사하여 상부 경사면(14)에 거의 수직으로 입사하며, 촬상 범위의 최내부와 최외부 사이로 출사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합성하면, 도 10과 같은 광로도가 획득된다. 즉, 도광 부재(10)는 점 광원(22, 24)의 점 발광을 사다리꼴 형상 홈(12)에서 3개로 분할한다. 각각의 분할된 광을 도광 부재(10) 내의 측면의 반사를 이용하여, 도광 부재(10)의 출사측에서, 3개의 점광원이 존재하는 것과 같이 행해지도록 출사한다.
이 경우에, 도 1의 촬상 범위(사선)를 고려하여, 도광 부재(10)의 상부 경사면(14)에서 출사 방향을 조정한다. 또한, 촬상 범위에서 거의 균일한 광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도 11에서 설명한 발광 소자(22, 24)의 발광 강도 분포(B)를 고려하여, 도광 부재(10)의 사다리꼴 형상 홈(12)의 평탄 부분(12b), 경사면 부분(12a, 12c)의 길이, 즉, 입사폭 또는 입사량을 조정한다.
여기서는, 거의 균일한 광강도를 얻기 위해, 도 11로 설명한 발광 소자(22, 24)의 발광 강도 분포(B)가 중앙의 광강도가 더 강하고, 그 주위가 광강도가 더 약하므로, 사다리꼴 형상 홈(12)의 평탄 부분(12b)의 길이를 경사면 부분(12a, 12c)의 각 길이보다 짧게 설정된다. 따라서, 강한 광강도를 갖는 광 부분은 평탄 부분(12b) 뿐만 아니라, 경사면 부분(12a, 12c)에도 입사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광 부재(10)의 사다리꼴 형상의 홈(12)과 상부 경사면(14)과, 도광 부재(10)의 반사를 이용하여, 반사광이나 직진광을 촬상 범위에 거의 균일한 광강도를 얻도록 확산하고, 출사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의 촬상 장치의 촬상 범위와 광강도의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의 횡축은 위치이며, 종축은 광강도이다. 구체적으로는, 위치는 이미지 센서(30)의 도트 위치이며, 여기에서는, 폭 640 도트의 이미지 센서(30)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의 촬상 범위(사선부)의 상부가 편평한 부분에, 실험용의 종이(무지의 백지)를 두고 균일한 반사를 생성함으로써, 이미지 센서(30)의 각 도트의 출력 레벨값을 측정했다. 출력 레벨값은 무지의 백지이므로 광강도에 대응한다.
이 실험예에서는, 이미지 센서(30)의 중앙의 약 310 도트의 폭으로, 거의 균 일한 광강도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310 도트 폭의 최대 레벨은 '190'이고, 최소 레벨은 '160'이며, 중간값 '175'에 대해 ±15%의 범위이고, 오차는 ±10% 이하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30)의 촬상 범위(V)에 대해, 광강도가 균일한 범위는 V1로 나타내어진다. 촬상 범위는 V이지만, 이 범위(V1)의 화상으로부터, 촬상 대상물의 특히 중요한 특징을 추출함으로써 정밀도가 높은 특징 추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V1 이외의 범위의 화상은 레벨 보정에 의해 레벨을 맞추어, 중요도가 낮은 특징 추출에 사용할 수 있다.
화상 처리 구성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촬상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7은 상기 촬상 처리 장치의 촬상 처리의 흐름도이다. 또한, 도 18은 거리 측정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의 구동/처리계는 제1 발광 소자(22)를 구동하는 제1 조명 LED 구동부(94)와, 제2 발광 소자(24)를 구동하는 제2 조명 LED 구동부(96)와, 거리 계측용 발광 소자(52)를 구동하는 거리-측정 LED 구동부(98)와, 이미지 센서(30)의 각 화소의 아날로그 출력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92)와, 마이크로콘트롤러(90)를 포함한다.
제1, 제2 조명 LED 구동부(94, 96)는 각각 발광 기간에, 도 4에 설명한 바와 같이, 광검출기 소자(26)에서 수광한 광강도에 따라, APC(자동 파워 제어)를 행한 다. 마이크로콘트롤러(MCU)(90)는 MPU(마이크로프로세서)와, ROM(리드-온리 메모리)과,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을 포함하고, 거리 산출(90A), 자세 판별(90B), 셔터 제어(90C), 및 화상 처리(90D)를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도 17을 참조하여, MCU(90)의 촬상 처리를 설명한다.
(S10) MCU(90)은 거리-측정용 발광 소자(LED)(52)를 거리-측정 LED 구동부(98)를 통해 구동한다. 이에 따라, 도 2, 도 3에서 설명한 4개의 거리-측정용 발광 소자(52)가 발광한다. 이미지 센서(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범위의 화상을 촬상한다. 여기서, 조명 발광 소자(22, 24)를 구동하지 않으므로, 이미지 센서(30)에서는 거리-측정용 발광 소자(52)의 발광광에 대응하는 촬상 범위 내의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만이 수광된다. 도 18에 이미지 센서(30)의 이미지(30A) 내에서의 각 거리-측정용 발광 소자(52)의 발광광에 대응하는 촬상 범위 내의 대상물로부터 수신된 반사광(52A, 52B, 52C, 52D)의 위치를 도시한다. 이 위치는 대상물(예컨대, 손바닥)의 기울기에 의해 어긋난다.
(S12)다음으로,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92)에 의해, 이미지 센서(30)의 이미지(30A)의 각 아날로그 수광량이 디지털값으로 변환된 후, MCU(90)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MCU(90)은 메모리의 이미지 데이터를 서치하고, 이 반사광(52A, 52B, 52C, 52D)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 때에, 도 3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거리-측정용 발광 소자(52)가 이미지(촬상 범위)의 중심으로부터 대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18의 점선과 같이 직선 상에 서치함으로써, 직선 상의 화소 휘도로부터 4점의 위치를 검 출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52)는 대각선 상에 가장 먼 지점에 충분한 거리를 가지고 배치되므로, 이미지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먼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MCU(90)은 이 4점의 위치로부터, 삼각 측량의 방법에 의해, 대상물과의 거리와 기울기를 검출한다. 즉, 이미지 센서(30)의 중심에서의 위치에 의해, 각 4점에서의 거리를 계산하고, 4점의 거리의 차로, 기울기(4방향)를 검출할 수 있다.
(S14) MCU(90)은 촬상 대상물까지의 거리가 적절(촬상 범위 내의 미리 결정된 초점거리로 위치됨)한지를 판정한다. MCU(90)은 촬상 대상물까지의 거리가 적절하지 않으면, 도시하지 않은 디스플레이부에 유도 메시지를 표시한다. 예컨대, "대상물(손바닥)을 가까이 하여 주십시오" 또는 "대상물(손바닥)을 멀리하여 주십시오"라고 하는 유도 메시지를 표시한다.
(S16) MCU(90)은 거리가 적절하다면, 촬상 대상물의 기울기가 적절한지를 판정한다. 예컨대, 대상물의 평면 부분(손바닥 등)을 촬상하는 경우에는, 기울기가 허용된 범위 내인지를 판정한다. MCU(90)은 촬상 대상물의 기울기가 적절하지 않으면, 도시하지 않은 디스플레이부에 유도 메시지를 표시한다. 예컨대, 대상물이 손바닥인 경우에는, "손을 펼쳐 주십시오" 등의 유도 메시지를 표시한다.
(S18) MCU(90)은 기울기가 적절하면, 제1 조명 LED 구동부(94)에 발광 지시를 한다. 따라서, 발광 소자(22)를 발광하여, 대상물에 조사한다. 후속하여, MCU(90)은 이미지 센서(30)의 도시하지 않은 전자 셔터를 구동하여, 촬상 범위의 이미지를 촬상한다. 다음, MCU(90)는 A/D 변환기(92)를 통해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MCU(90)은 제2 조명 LED 구동부(96)에 발광 지시를 부여한다. 제2 발광 소자(24)를 발광하고, 제2 파장의 광을 대상물에 조사한다.
그리고, MCU(90)은 이미지 센서(30)의 도시하지 않은 전자 셔터를 구동하여, 이미지 센서(30)로 촬상 범위의 이미지를 촬상한다. 다음, MCU(90)은 A/D 변환기(92)를 통해 제2 파장의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MCU(90)은 제1 파장과 제2 파장의 이미지 간의 이미지 차로부터, 특징 추출에 방해가 되는 노이즈를 제거하여, 특징이 선명한 하나의 이미지를 얻는다. 따라서, 이 이미지로부터 특징을 추출한다. 예컨대, 전술의 혈관 상의 추출에서는, 이미지로부터 혈관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와 같이, 촬상 대상이 초점거리에 있는지나, 기울기를 검출하기 위해 이미지 센서(30)를 거리 측정용 광검출기부용으로도 이용한다. 따라서, 거리 측정 기구에서, 거리-측정용 발광 소자(52)를 설치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즉, 거리 측정용 광검출기 소자를 특별히 설치하지 않더라도 충분하다. 이것은 비용 절감에 기여함과 동시에, 설치 부품수도 저감할 수 있어 소형화에 기여한다.
또한, 4개의 거리-측정용 발광 소자(52)가 이미지(촬상 범위)의 중심으로부터 대각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메모리의 이미지 데이터를 도 18의 점선과 같이 서치함으로써 4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따라서 검출 처리가 용이하다. 또한, 거리-측정용 발광 소자(52)가 충분한 거리로 대각선 상에 가장 먼 지점에 배치되므로, 소형화하더라도, 이미지 내에서 중심으로부터 먼 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기울기 검출을 정확히 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
전술의 실시예에서는, 촬상 대상물을 손바닥으로 설명하여, 촬상 대상의 화상 처리를 정맥 패턴 인증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손의 피부 패턴, 손등의 혈관 이미지나, 손가락의 혈관 이미지, 얼굴, 홍채 등의 특징을 포함하는 생체의 다른 특징을 사용하는 다른 생체 인증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 인증의 응용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응용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로서, 발광 소자를 2개의 주파수의 발광 소자로 설명했지만, 1개의 주파수의 것이라도 좋다. 거리-측정용 발광 소자의 수도 4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라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기 설명에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이러한 변형들 모두를 배제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하여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미지 센서를 탑재한 회로 기판에 이미지 센서 주위의 위치에 복수의 발광 소자를 탑재하고, 이 복수의 발광 소자의 광을, 링형 도광 부재로, 촬상 범위로 유도하여 조명하므로, 동일 기판에 수광계와 발광계를 탑재하여, 소형화할 수 있게됨과 동시에, 촬상 범위에 거의 균일한 광을 조명할 수 있다. 또한, 링형 도광 부재를 이용했으므로, 광학 유닛을 링 내에 수용할 수 있고, 보다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대상물에 광을 조사(illuminate)하고 상기 대상물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대상물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로서,
    상기 반사광을 수광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탑재한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 상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주위 위치에 탑재된 복수의 발광 소자들;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로부터 발광된 광을 유도하고, 촬상 범위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링형 도광 부재(ring-shaped light guide member);
    상기 링형 도광 부재의 링 내에 수용되며, 상기 촬상 범위에서의 광이 조사된 상기 대상물로부터의 반사광을 상기 이미지 센서로 유도하기 위한 광학 유닛; 및
    적어도 상기 광학 유닛의 입사면 상에 설치되며, 가시광을 차단하는 광학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은 적외광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들로 구성되는 것인, 촬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은 상기 이미지 센서 주위의 원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상기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되고,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원에 대응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촬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도광 부재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 소자의 광을 확산하기 위한 확산판을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상의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 각각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 소자들의 광을 모니터하기 위한 광 검출기 소자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된 거리 측정용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은,
    제1 파장의 광을 발광하기 위한 제1 발광 소자들; 및
    상기 제1 파장과 상이한 제2 파장의 광을 발광하는 제2 발광 소자들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 소자들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들은 상기 회로 기판 상의 상기 이미지 센서 주위의 원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는 것인 촬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상의 상기 각 제1 발광 소자와 상기 각 제2 발광 소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들의 광을 모니터하기 위한 광 검출기 소자들을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발광 소자들의 광을 도입하기 위한 하단부;
    상기 촬상 범위로 광을 출력하기 위한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기 상단부로 상기 발광 소자들의 광을 유도하기 위한 도광부
    를 포함하는 것인 촬상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기 소자는 상기 발광 소자들로부터 발광된 광 중 상기 도광 부재의 하부에서의 반사광을 수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인 촬상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상기 이미지 센서 주위의 원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상기 회로 기판에 탑재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에 대응하여, 복수의 개별 확산 부재들로 구성된 것인 촬상 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용 발광 소자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화상으로부터, 촬상 범위 내의 대상물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는 위치에서 상기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되는 것인 촬상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측정용 발광 소자는 상기 발광 소자들의 외측 위치에서 상기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되는 것인 촬상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생체의 일부를 촬상하는 것인 촬상 장치.
KR1020060113081A 2006-03-03 2006-11-16 촬상 장치 KR1008531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7493 2006-03-03
JP2006057493A JP4745084B2 (ja) 2006-03-03 2006-03-03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725A KR20070090725A (ko) 2007-09-06
KR100853163B1 true KR100853163B1 (ko) 2008-08-20

Family

ID=3762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081A KR100853163B1 (ko) 2006-03-03 2006-11-16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78259B2 (ko)
EP (1) EP1830305B1 (ko)
JP (1) JP4745084B2 (ko)
KR (1) KR100853163B1 (ko)
CN (1) CN100533463C (ko)
DE (1) DE60200600975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5352B1 (en) * 2007-03-28 2012-09-11 Azimuth, Inc. Photographic fingerprint collection and imaging system
JP4957514B2 (ja) * 2007-11-12 2012-06-20 富士通株式会社 ガイド装置、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ガイド方法
JP5292821B2 (ja) * 2008-01-16 2013-09-18 ソニー株式会社 静脈画像取得装置および静脈画像取得方法
ES2329328B1 (es) * 2008-05-23 2010-08-30 Hanscan Ip B.V. Procedimiento y escaner biometrico para identificar a una persona.
KR101274294B1 (ko) 2009-01-30 2013-06-13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인증 장치, 촬상 장치, 인증 방법, 및 인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S2345598B8 (es) * 2009-03-24 2013-02-12 Hanscan Ip B.V. Escaner biometrico tridimensional
DE102009003765A1 (de) * 2009-04-08 2010-10-14 Eurodelta Gmbh Vorrichtung zur Erfassung biometrischer Merkmale
US8245877B2 (en) * 2009-07-22 2012-08-21 Gotohti.Com Inc. Dispenser with palm reader
CN103444165B (zh) 2011-03-15 2017-09-08 富士通先端科技株式会社 摄像装置和摄像方法
CN103136503A (zh) * 2011-11-28 2013-06-05 常熟安智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掌静脉电子病历系统
CN102621775B (zh) * 2012-03-29 2014-04-16 北京慧眼智行科技有限公司 成像照明装置及光学辨识设备
CN104838391B (zh) 2012-10-31 2019-04-09 恩图鲁斯特咨询卡有限公司 机器视觉验证
CN103002192B (zh) * 2012-12-10 2015-05-20 威海华菱光电股份有限公司 图像识别装置及图像读取装置
JP6075069B2 (ja) * 2013-01-15 2017-02-08 富士通株式会社 生体情報撮像装置及び生体認証装置ならびに生体情報撮像装置の製造方法
CN105072998B (zh) 2013-04-01 2018-06-22 富士通先端科技株式会社 手掌静脉摄像装置
EP3006998B1 (en) 2013-06-05 2017-12-06 Fujitsu Frontech Limited Image pickup apparatus
US9582034B2 (en) * 2013-11-29 2017-02-28 Motiv, Inc. Wearable computing device
JP6144367B2 (ja) * 2014-01-31 2017-06-07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認証装置
US20150302609A1 (en) * 2014-04-16 2015-10-22 GE Lighting Solu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tral enhancement using machine vision for color/object recognition
KR20160023441A (ko) * 2014-08-22 2016-03-0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발광소자가 구비된 카메라와, 이를 이용한 피부 촬영 방법 및 피부 상태 측정 방법
TWI571227B (zh) * 2015-02-13 2017-02-21 晉弘科技股份有限公司 可攜式醫療影像擷取裝置
KR102383653B1 (ko) * 2015-06-16 2022-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CN105701454A (zh) * 2016-01-06 2016-06-22 深圳市亚略特生物识别科技有限公司 静脉身份验证设备及电子系统
HUP1600669A2 (en) * 2016-12-14 2018-06-28 Handinscan Zrt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and disinfection quality control
EP3372163A4 (en) * 2016-12-23 2019-07-10 Obschestvo S Ogranichennoi Otvetstvennostyu "Nauchnoissledovatelsky Tsentr "Prosoftsistemy" IMAGE CAPTURE DEVICE FOR THE VEINS OF PALM
CN107145886B (zh) 2017-05-03 2020-01-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光学指纹采集方法及相关产品
JPWO2020196196A1 (ko) * 2019-03-26 2020-10-01
US11592598B1 (en) * 2019-05-20 2023-02-28 Perry J. Sheppard Virtual lens optical system
TWI702397B (zh) * 2019-05-29 2020-08-21 麗寶大數據股份有限公司 螢光顯微成像裝置
JP7331519B2 (ja) * 2019-07-23 2023-08-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その画像読取装置を用いる硬貨認識装置、及び、硬貨取扱装置
CN111160253A (zh) * 2019-12-30 2020-05-15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生物识别模组、可穿戴设备及移动终端
JP2022068055A (ja) * 2020-10-21 2022-05-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生体認証装置および生体認証方法
CN112241720A (zh) * 2020-10-27 2021-01-19 上海掌腾信息科技有限公司 针对手掌倾斜情形实现掌静脉识别装置进行掌静脉图像自适应提取处理的方法
CN112379567B (zh) * 2021-01-15 2021-04-20 北京经纬恒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成像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431A (ko) * 2003-01-07 2004-07-14 삼성전기주식회사 Led가 일체화된 휴대 단말기용 촬상소자 모듈
JP2004354702A (ja) * 2003-05-29 2004-12-16 Casio Comput Co Ltd 発光部付き撮像装置、発光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8523B1 (en) * 1988-08-31 2004-02-10 Intermec Ip Corp. System for reading optical indicia
US5214712A (en) * 1990-09-11 1993-05-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ttern inspection system for inspecting defect of land pattern for through-hole on printed board
US5335288A (en) * 1992-02-10 1994-08-02 Faulkner Keith W Apparatus and method for biometric identification
JP3106986B2 (ja) * 1996-05-02 2000-11-06 株式会社パトライト Led照明器
JP3118503B2 (ja) * 1996-07-08 2000-12-18 シーシーエス株式会社 照明装置
TW402856B (en) * 1996-12-26 2000-08-21 Palite Corp LED illuminator
US6236747B1 (en) 1997-02-26 2001-05-22 Acuity Imag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image subtraction for ball and bumped grid array inspection
JPH11253398A (ja) * 1998-03-16 1999-09-21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内視鏡装置
JP3571211B2 (ja) 1998-04-23 2004-09-29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光学式読取装置
JP4163822B2 (ja) 1999-09-08 2008-10-0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紙葉類用の蛍光検出装置
JP2001344631A (ja) 2000-05-31 2001-12-14 Nippon Conlux Co Ltd 硬貨識別方法および装置
US6685000B2 (en) * 2000-05-19 2004-02-03 Kabushiki Kaisha Nippon Conlux Coin discrimination method and device
JP2002056348A (ja) 2000-08-07 2002-02-20 Tohken Co Ltd オートフォーカス機能を有する手持ち式読取装置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並び距離計測方法
JP2003233805A (ja) * 2001-12-04 2003-08-22 Canon Inc 画像入力装置
JP3878023B2 (ja) * 2002-02-01 2007-02-07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三次元計測装置
JP4387643B2 (ja) * 2002-07-31 2009-12-16 富士通株式会社 個人認識機能付き処理装置
JP2004086553A (ja) 2002-08-27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学素子および読取装置
JP4297876B2 (ja) * 2003-03-28 2009-07-15 富士通株式会社 撮影装置、光源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874778B2 (ja) 2003-03-28 2007-01-31 富士通株式会社 撮影装置
US7823783B2 (en) * 2003-10-24 2010-11-02 Cognex Technology And Investment Corporation Light pipe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
JP2005277877A (ja) 2004-03-25 2005-10-06 Noritsu Koki Co Ltd スキャナの光源ユニット
JP4546169B2 (ja) * 2004-06-28 2010-09-15 富士通株式会社 手のひら認証用撮像装置
JP4657668B2 (ja) * 2004-10-08 2011-03-23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装置
JP4515850B2 (ja) * 2004-07-30 2010-08-04 富士通株式会社 生体認証装置の誘導画面制御方法、生体認証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507728B2 (ja) 2004-07-12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虹彩認証用撮像装置、及び虹彩認証用撮像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431A (ko) * 2003-01-07 2004-07-14 삼성전기주식회사 Led가 일체화된 휴대 단말기용 촬상소자 모듈
JP2004354702A (ja) * 2003-05-29 2004-12-16 Casio Comput Co Ltd 発光部付き撮像装置、発光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0305B1 (en) 2009-10-14
CN101030245A (zh) 2007-09-05
US20070206098A1 (en) 2007-09-06
KR20070090725A (ko) 2007-09-06
DE602006009756D1 (de) 2009-11-26
JP2007229360A (ja) 2007-09-13
US7978259B2 (en) 2011-07-12
EP1830305A1 (en) 2007-09-05
CN100533463C (zh) 2009-08-26
JP4745084B2 (ja)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163B1 (ko) 촬상 장치
KR100919041B1 (ko) 거리 측정 기능을 갖는 촬상 장치
KR100864272B1 (ko) 도광체, 조명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촬상 장치
KR100859762B1 (ko) 촬상 장치
KR100849918B1 (ko) 촬상 장치
JP4566930B2 (ja) 撮像装置
JP4708232B2 (ja) 撮像装置
KR100908860B1 (ko) 촬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