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912B1 - 탑 다운 방식의 커튼 및 커튼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탑 다운 방식의 커튼 및 커튼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912B1
KR100851912B1 KR1020070042582A KR20070042582A KR100851912B1 KR 100851912 B1 KR100851912 B1 KR 100851912B1 KR 1020070042582 A KR1020070042582 A KR 1020070042582A KR 20070042582 A KR20070042582 A KR 20070042582A KR 100851912 B1 KR100851912 B1 KR 100851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motor
head rail
rotating rod
screw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1480A (ko
Inventor
박원서
Original Assignee
테크노게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크노게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테크노게이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21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1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47H5/06Devices with screw-threads on rods or spi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5/00Devices for drawing draperies, curtains, or the like
    • A47H5/02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curtains
    • A47H5/032Devices with guiding means and draw cords
    • A47H5/0325Devices with guiding means and draw cords 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al drive, detecting or controlling mean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길이가 큰 커튼 막을 원활히 개폐시키며, 개폐 동작 시에 소음이 작은 톱다운 방식의 커튼 및 커튼 구동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작동 줄을 헤드 레일에 설치된 모터에 의하여 권취하거나 풀어줌으로써 커튼 막을 상하로 개폐시키는 탑다운 방식의 전동식 커튼에 있어서; 상기 헤드 레일의 내부에 상기 헤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봉; 일측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나사봉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치합부를 갖는 삽입공이 형성된 회전봉; 상기 커튼막의 하단부와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봉이 회전될 때 회전방향에 따라서 권취되거나 풀려지는 작동줄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70042582
탑 다운방식, 전동식 커튼, 헤드 레일, 모터

Description

탑 다운 방식의 커튼 및 커튼 구동장치{curtain of top down style and driving apparatus therefor}
도 1은 종래의 탑 다운 방식의 전동 커튼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나사봉이 회전봉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제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커튼이 상, 하로 이동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 및 커튼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하여 커튼 막을 따라 설치되는 작동줄을 감거나 풀도록 하여 커튼 막을 상, 하로 개폐시키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 및 커튼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탑 다운 방식의 전동식 커튼의 일반적인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헤드 레일(1)에는 주름진 커튼 막(8)의 상부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커튼 막(8)에는 작동줄(9)이 커튼 막(8)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어 작동줄(9)의 총길이가 줄어들게 되면 커튼 막(8)이 올려지게 되고, 총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커튼 막(8)이 내려지게 된다.
헤드 레일(1)의 양측부에는 헤드 레일(1)을 벽에 고정시키는 브라켓(2), (3)이 설치되고, 헤드 레일(1) 내부에는 헤드 레일(1)에 고정된 실린더 타입의 모터(7)가 설치되며, 모터(7)의 회전축(4)은 헤드 레일(1) 양단부의 브라켓(2), (3)에 의하여 회전 지지된다.
또한 헤드 레일(1)의 내부에는 중심에 나사공이 형성된 콘(5)이 고정 설치되며, 콘(5)의 나사공에는 회전축(4)에 의하여 회전되어 나사공 내에 삽입되는 삽입길이가 가변되도록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나사봉(6)이 설치된다.
또한, 헤드 레일(1)에는 두 개의 관통공(10), (11)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줄(9)의 시단(12)은 콘(5)에 설치되며, 종단(13)은 나사봉(6)에 설치되어 시단(12)으로부터 출발한 작동줄(9)은 관통공(11)을 통과하여 커튼 막(8)의 외주면을 따라 일주한 후에 관통공(10)을 통과하여 나사봉(6)의 회전에 의하여 외주면을 따라 권취되어 종단(13)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탑 다운 방식의 커튼은 모터(7)의 회전에 의하여 나사봉(6)이 회전되며, 콘(5)에 삽입되는 나사봉(10)의 외주면의 나사산을 따라서 권취 됨으로써 작동줄(9)이 커튼 막(8)의 하단부는 상승되어 개방되고, 모터(7)가 반대로 회전하게 되면, 콘(5)에 삽입된 나사봉(6)이 빠지게 되면서 작동줄(9)이 풀어지게 되고, 따라 서 커튼 막(8)이 하향되어 폐쇄된다.
이러한 구조의 탑 다운 방식의 전동식 커튼은 필수적으로 콘(5)과 콘(5)에 삽입되어 왕복되는 나사봉(6)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많이 들어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동구조를 갖는 톱 다운 방식의 전동식 커튼에서는 나사봉(6)이 콘(5)에 삽입되어 이동되면서 작동줄(9)을 권취하기 때문에 콘(5)에 삽입되는 부분의 나사봉(6)에는 작동줄(9)이 권취될 수 없다. 따라서 나사봉(6)과 콘(5)의 설치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장치가 대형화 되며, 나사봉(6)에 권취되는 작동줄(9)의 길이가 제한되게 되어 상 하강 폭이 큰 대형 커튼을 개폐시키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 나사봉(6)이 콘에 회전 삽입되고, 나사봉(6)은 단순히 회전축(4)에 의하여 지지되며 회전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한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상 하강 폭이 큰 커튼 막을 소형의 장치로 동작시키며, 동작시에 소음이 작은 톱 다운 방식의 전동식 커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줄들이 권취되거나 풀림으로써 커튼 막이 상하로 개폐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의 구 동장치에 있어서: 모터가 설치되는 헤드 레일; 상기 헤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봉; 일측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나사봉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치합부를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동줄이 권취되는 권취부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나사봉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봉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줄은 2개이며, 상기 권취부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모터와 상기 회전봉은 제동부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봉에 전달하되, 상기 회전봉이 상기 커튼의 커튼막의 자중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봉의 양측부에는 상기 권취부의 직경보다 큰 원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돌출부는 상기 헤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 판에 회전 지지되도록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작동줄중 하나의 시점은 상기 권취부에 형성되며, 종점은 상기 커튼의 커튼 막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시점은 상기 권취부에 형성되며 종점은 상기 커튼 막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커튼 막의 하단을 상 하로 이동시켜 개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작동줄들이 권취되거나 풀림으로써 커튼 막이 상하로 개폐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제1모터와 제2모터가 설치되는 헤드 레일; 상기 헤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호 이격 설치된 제1나사봉과 제2나사봉; 일측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봉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치합부를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동줄들이 권취되는 권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제1나사봉을 따라 이동하는 제1회전봉; 일측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2나사봉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치합부를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동줄들이 권취되는 권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제2나사봉을 따라 이동하는 제2회전봉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모터가 설치되는 헤드 레일; 상기 헤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봉; 일측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나사봉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치합부를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2개의 작동줄이 권취되는 권취부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나사봉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봉; 상기 작동줄중 하나가 일측 하부에 종점을 갖으며, 다른 하나가 타측 하부에 종점을 갖게 되어 상기 작동줄들이 권취되거나 풀림으로써 상하폭이 가변되는 커튼 막을 포함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벽에 설치되는 헤드 레일; 상하 폭이 가변되는 커튼 막; 상기 헤드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커튼 막의 상단을 제1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권취되거나 풀리는 작동줄에 의하여 상, 하 이동시키는 상단 이동장치; 상기 헤드레일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커튼 막의 하단을 제2모터의 회 전력에 의하여 권취되거나 풀리는 작동줄에 의하여 상, 하 이동시키는 하단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나사봉이 회전봉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 헤드 레일(1)은 양측부의 브라켓(2), (3)에 의하여 벽에 설치된다. 또한, 헤드 레일(1)에는 상부가 헤드레일(1)에 고정되며, 주름이져 상하로 개폐되는 탑다운 방식의 커튼 막(20)이 설치되고, 커튼 막(20)의 테두리 내측을 따라서 작동줄(21)이 설치되어 있어 작동줄(21)의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듬에 따라서 커튼 막(20)의 주름이 펴지거나 좁혀지게 되어 상, 하로 개폐된다.
또한, 헤드 레일(1)의 내부에는 나사봉 지지구(22)가 설치되고, 나사봉 지지구(22)에는 헤드 레일(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나사봉(23)의 일단이 고정 설치된다. 또한, 나사봉(2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나사봉(23)은 회전봉(25)의 중심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된다. 삽입공의 내주면에는 회전봉(25)이 회전할 때, 나사봉(23)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봉(23)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치합부를 구비한다. 즉, 회전봉(25)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나사봉(23)이 회전봉(25)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길이가 증가하게 되고,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나사봉(23)이 회전봉(25)에 삽입되는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회전봉(25)의 양측에는 헤드 레일(1)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가이드판(24)과 제2 가이드판(26)이 설치되며, 회전봉(25)은 제1 가이드판(24), 제2 가이드판(26)에 대하여 회전지지된다.
또한, 제동부(27)는 모터(28)에 결합되어 있으며, 제2 가이드판(26)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회전봉(25)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축 삽입공(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 삽입공(142)에는 제동부(27)로부터 돌출되는 회전축(141)이 삽입된다. 또한 제동부(27)와 모터(28) 사이에는 제3 가이드판(29)이 설치되며, 모터(28)가 구동되면 제동부(27)와 회전봉(25)에 삽입된 회전축(141)이 회전하게 되어 결국 회전봉(25)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회전봉(25)에는 작동줄(21)의 시단(31)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시단(31)으로부터 출발되는 작동줄(21)은 회전봉(25)에 권취된 후 헤드 레일(1)의 관통공(30)을 통과한 후 커튼 막(2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 후 헤드 레일(1)에 설치된 종단점(32)에 고정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레일(1)은 상면(101)과 상면(101)으로부터 절곡된 양측면(102), (103)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설되는 안내 레일(104), (104'), (105), (105')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면의 내측에는 나사봉 지지구(22)가 설치된다. 나사봉 지지구(22)는 상면 내측에 볼트(123), (124)와 너트(123'), (124')에 의하여 체결되는 수평부(121)와 수평부(121)로부터 절곡되고,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을 통과한 나사봉(23)이 너트(125)에 의하여 체결되어 지지되는 수직부(122)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봉(25)의 중심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공(13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회전봉(25)이 회전됨에 따라서 삽입공(131)에 삽입된 나사봉(23)의 삽입길이가 가변된다. 이때, 삽입공(1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삽입공(131)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형성되거나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봉(25)의 양측단의 내측으로 원형 돌출부(132), (133)가 형성되며, 원형 돌출부(132), (133)가 제1 가이드판(24)과 제2 가이드판(26)에 삽입되어 회전 지지된다.
제1 가이드판(24)은 두 개의 가이드 편(241), (242)으로 이루어며, 가이드 편(241), (242)은 내부에 원형 돌출부(132)가 회전 지지되도록 안착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에는 회전봉(25)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볼트, 너트(243)에 의하여 결합된다. 가이드 편(241), (242)의 내부에 원형 돌출부(132)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게 됨으로써 회전봉(25)이 회전하여 나사봉(23)을 따라서 이동하면, 원형 돌출부(132)는 제1 가이드판(24)을 밀게 되어 결국 가이드 판(24)은 헤드 레일(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1 가이드판(24)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모서리가 모따기 되어 있고, 모따기된 측부는 헤드 레일(1)의 안내 레일(104), (104'), (105), (105')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여 회전봉(25)이 이동할 때 제1 가이드판(24)이 안내 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회전봉(25)이 진동을 일으키지 않고, 부드럽게 이동한다.
또한, 회전봉(25)의 일측단으로부터 시작된 삽입공(131)은 일정 길이 만큼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동부(27)와 연결된 다각형상의 회전축(141)이 삽입될 수 있는 회전축 삽입공(142)이 회전축(141)의 다각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봉(25)의 외주면은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줄이 권취되는 부분에는 알루미늄 금속으로 피복되며, 회전축 삽입공(142)에 삽입되는 회전축(141)은 회전봉(25)의 외주면으로부터 체결되는 나사(143)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회전봉(25)의 일측 단부의 내측에는 제2 가이드판(26)에 의하여 회전지지되는 원형 돌출부(133)가 형성된다. 제2 가이드 판(26)의 형상은 제1 가이드판(24)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형 돌출부(133)가 제2 가이드판(26)내에서 회전지지되며, 회전봉(25)이 회전하며 이동함에 따라서 제2 가이드판(26)을 밀게되어 결국 제2 가이드 판(26)은 헤드 레일(1)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모터(28)가 회전함에 따라서 제동부(27)의 회전축(141)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141)은 회전축 삽입공(142)에 삽입되어 나사(143)에 의하여 회전봉(25)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봉(25)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모터(28)와 제동부(27)는 제3 가이드판(29)에 의하여 결합되게 되고, 제3 가이드판(29)의 양측부는 다른 가이드판과 같이 안내 레일(104), (104'), (105), (105')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여 모터(28)와 제동부(27)가 진동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가이드 한다. 제동부(27)는 모터(28)의 회전력을 회전봉(25)에 전달하지만, 회전봉(25)에 걸리는 커튼 막(8)의 자중에 의하여 회전봉(25)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로 특허출원 10-2004-0099419(전동식 커튼)에 기 공지된 기술로써 도 7과 같이 제동부(27)의 중심에 설치된 회전축(141)은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된다.
제동부(27)는 원형의 환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레이크 하우징(900)내에 설치되는 내측 걸림판(800)과 외측 걸림판(500), 내측 걸림판(800)과 외측 걸림판(500) 사이에 설치되는 가동 스프링(700), 내측 걸림판(800)과 외측 걸림판, 가동스프링(700)이 브레이크 하우징(900)내에서 돌출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모터(28)에 결착되는 고정판(400)으로 이루어진다.
모터(28)의 회전축은 외측 걸림판(500)의 회전축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축이 정, 역회전할 때, 걸림부들이 형성된 외측 걸림판(500)은 정, 역회전하게 되고, 외측 걸림판(500)의 걸림부들은 가동 스프링(700)의 종단부에 형성된 절곡부들을 밀어 가동 스프링(700)의 외경을 축소시키면서 정, 역회전시킴으로써 브레이크 하우징(900)과 가동 스프링(700)이 마찰없이 회전하게 되고, 가동 스프링(700)의 절곡부들은 내측 걸림판(800)의 걸림부들에 밀착되어 가동 스프링(700)이 정, 역회전하게 되면, 가동 스프링(700)은 내측 걸림판(800)의 걸림부들을 밀어 내측걸림판(800)을 회전시킨다. 내측 걸림판(800)의 중심에는 회전축(141)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801)이 형성되어져 있어, 삽입공(801)에는 회전축(141)이 삽입되고, 내측 걸림판(800)이 회전함에 따라서 회전축(141)이 회전하게 되어 결국 회전봉(25)이 회전된다.
만일 모터가 정지된 상태에서 커튼 막(20)의 자중에 의하여 내려가는 힘에 의하여 회전봉(25)이 회전을 하게 되면, 회전축(141)이 회전되어 내측 걸림판(800)이 회전된다. 내측 걸림판(800)이 회전되면 가동 스프링(700)의 직경이 커지기 때문에 가동 스프링(700)이 브레이크 하우징(900)의 원통내측에 마찰되기 때문에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어 회전봉(25)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커튼 막(20)의 자중에 의하여 커튼이 내려가는 현상을 방지한다.
삭제
모터(28)가 일 방향으로 동작을 하게 되면 회전축(141)이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축(141)이 회전을 하게 되면 회전봉(25)이 나사봉(2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을 하게 된다. 나사봉(23)을 중심으로 회전봉(25)이 회전을 하게 되면 나사봉(23)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봉(25)이 도 4의 a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회전봉(25)이 a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가이드판(24), 제2 가이드판(26)이 이동하게 되고, 회전봉(25)과 회전축(141)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동부(27), 모터(28)가 제3 가이드 판(29)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이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봉(25)의 외주면에는 회전봉의 회전에 의하여 작동줄(21)이 권취됨으로써 커튼 막(20)의 하단부는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모터(28)가 반대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141)이 반대로 회전함으로써 회전봉(25)은 도 4의 b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회전봉(25)의 외주면에 권취된 작동줄(21)이 풀리게 된다. 따라서, 커튼 막(20)의 하단부는 아래로 하향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는 작동줄(21)에 의하여 커튼 막(20)이 상, 하 개폐될 때 좌, 우 측의 불균형을 초래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봉(25)의 작동줄이 권취되는 권취부(251)의 좌 우 양 쪽에 두 개의 작동줄(211), (215)이 설치되는 점을 제외하면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회전봉(25)의 좌측에는 작동줄(211)이 권취되고, 우측에는 작동줄(215)이 권취된다. 회전봉(25)에서 작동줄이 권취되는 권취부(251)의 좌측 단부에는 작동줄(211)의 시점(212)이 형성되며, 커튼 막(20)의 좌측 하단에는 작동줄(211)의 종점(213)이 형성되며, 시점(212)으로 출발되는 작동줄(211)은 회전봉(25)의 권취부(251)에 권취된 후 헤드 레일(1)의 관통공(214)을 통과하여 커튼 막의 좌측 테두리를 따라서 설치되어 종점(213)에서 종단된다.
또한, 권취부(251)의 우측에는 작동줄(215)의 시점(216)이 형성되며, 커튼 막(20)의 우측 하단에는 작동줄(215)의 종점(217)이 형성되며, 시점(216)으로 출발되는 작동줄(215)은 권취부(251)를 따라서 권취된 후 헤드 레일(1)의 관통공(218)을 통과하여 커튼 막의 우측 테두리를 따라서 설치되어 종점(217)에서 종단된다.
이때 종점(213)과 종점(217)이 연결된 경우에도 동일한 작동결과가 나타나며, 작동줄(211)과 작동줄(215)은 권취부(215)에 동일한 방향으로 권취되어야 풀릴 때 같이 풀리고, 감길 때 같이 감긴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작동줄(211), (215)이 설치된 경우에 회전봉(25)이 회전하게 되면 커튼 막(20)의 좌 우측에 설치된 작동줄(211), (215)이 동시에 풀리거나 감기게 되어 커튼 막(20)의 좌 우측을 동시에 개폐시키기 때문에 균형을 맞춰서 개폐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커튼 막의 상단이 헤드레일(1)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 하로 개폐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제3실시예는 커튼 막의 상단을 상 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하단 또한 상 하 이동시키면서 커튼막의 상 하단을 동시에 개폐시킨다.
아파트 저층의 경우 커튼막의 하단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상단을 개방시킬 필요가 발생하고, 필요에 따라서 커튼막의 중간부분을 중심으로 상, 하단을 개방시킬 경우가 발생한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커튼막의 상단이 헤드레일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에 충족시킬 수 없고, 제3실시예는 커튼 막(300)의 상, 하단을 하단 이동장치(100)와 상단 이동장치(200)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며, 커튼 막(300)의 개폐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벽체에 설치되는 헤드레일(1)의 내부의 좌측에는 하단 이동장치(100)가 설치되고, 우측에는 상단 이동장치(200)가 설치된다. 하단 이동장치(100)와 상단 이동장치(200)의 구성은 제2실시예의 작동줄을 권취하거나 풀기위한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
하단 이동장치(100)의 회전봉의 권취부(101)에는 두 개의 작동줄(102), (103)이 동일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다. 작동줄(102)은 권취부(101)의 좌측에 시점(104)을 갖으며, 권취부(101)에 권취된 후 헤드 레일(1)의 관통공(105)을 관통하여 커튼 막(300)의 좌측 테두리를 따라서 하향하여 종점(106)에서 종단된다. 또한, 작동줄(103)은 권취부(101)의 작동줄(102)이 권취되는 부분의 우측에 형성된 시점(107)을 갖으며, 권취부(101)에 권취된 후 헤드레일(1)의 관통공(108)을 관통하여 커튼 막(300)의 우측 테두리를 따라서 하향하여 종점(109)에서 종단된다.
상단 이동장치(200)의 회전봉의 권취부(201)에는 두 개의 작동줄(202), (203)이 동일 방향으로 권취되어 있다. 작동줄(202)은 권취부(201)의 좌측에 시점(204)을 갖으며, 권취부(201)에 권취된 후 헤드 레일(1)의 관통공(205)을 관통하여 커튼 막(300)의 좌측 상단에 형성되는 종점(206)에서 종단된다. 또한, 작동줄(203)은 권취부(201)의 작동줄(202)이 권취되는 부분의 우측에 형성된 시점(207)을 갖으며, 권취부(201)에 권취된 후 헤드레일(1)의 관통공(208)을 관통하여 커튼 막(300)의 우측 상단에 형성되는 종점(209)에서 종단된다.
이때, 종점(106), (109)들을 서로 연결하고, 종점(206), (209)들을 서로 연결하고, 연결선이 커튼 막(300)에서 상 하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단 이동장치(100)의 모터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단 이동장치(200)의 모터를 작동줄(202), (203)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튼 막(300)의 하단은 고정된 위치에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단이 하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커튼 막(300)에 주름이 잡히면서 상부가 개방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상단 이동장치(200)의 모터를 작동줄(202), (203)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튼 막(300)의 주름이 펴지면서 개방된 상부를 다시 폐쇄하게 된다.
또한, 상단 이동장치(200)의 모터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하단 이동장치(100)의 모터를 작동줄(102), (103)이 풀리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면, 커튼 막(300)의 상단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 체 주름이 펴지면서 하단이 하향 이동되어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를 작동줄(102), (103)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면, 커튼 막(300)의 상단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 체 작동줄(102), (103)이 권취되면서 종점(106), (107)을 상향 이동시키기 때문에 커튼 막(300)이 주름지면서 하부가 개방된다.
또한, 하단 이동장치(100)와 상단 이동장치(200)의 모터를 적절히 동작시켜 사 커튼 막(300) 자체가 상, 하향 이동시키면서 상단, 하단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의 해결과제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1) 종래에 권취되는 부분과 콘에 삽입되는 부분이 동일하여 권취길이가 제한되는 문제점을 나사봉을 따라 회전봉의 중심이 삽입되도록하고, 회전봉의 외주면에 작동줄이 권취도록 함으로써 권취되는 작동줄의 권취회수에 제한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동줄의 이동길이를 크게 할 수 있어 대형의 커튼 막을 소형의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2) 또한, 본 발명에서 회전봉 및 회전봉을 이동시키는 모터를 가이드 수단에 의하여 헤드 레일의 내부를 진동없이 미끄러지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작게하는 효과가 있다.
(3) 또한, 본 발명에서 커튼 막의 양측을 동시에 개폐시킴으로써 양측의 불균형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4)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같이, 커튼 막의 하단을 개폐시킬 뿐 만 아니라 커튼 막을 상, 하 이동시키거나, 상단을 개폐시키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5) 또한, 본 발명에서 회전봉이 브레이크 장치에 의하여 제동되므로 커튼 막이 대형인 경우에 커튼 막의 자중에 의하여 회전봉이 회전되어 정상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줄들이 권취되거나 풀림으로써 커튼 막이 상하로 개폐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모터가 설치되는 헤드 레일;
    상기 헤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봉;
    일측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나사봉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치합부를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동줄이 권취되는 권취부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나사봉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줄은 2개이며, 상기 권취부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의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회전봉은 제동부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봉에 전달하되, 상기 회전봉이 상기 커튼의 커튼막의 자중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의 구동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의 양측부에는 상기 권취부의 직경보다 큰 원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돌출부는 상기 헤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 판에 회전 지지되도록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의 구동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줄중 하나의 시점은 상기 권취부에 형성되며, 종점은 상기 커튼의 커튼 막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시점은 상기 권취부에 형성되며 종점은 상기 커튼 막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커튼 막의 하단을 상 하로 이동시켜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의 구동장치.
  6. 작동줄들이 권취되거나 풀림으로써 커튼 막이 상하로 개폐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의 구동장치에 있어서:
    제1모터와 제2모터가 설치되는 헤드 레일;
    상기 헤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호 이격 설치된 제1나사봉과 제2나사봉;
    일측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봉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치합부를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동줄들이 권취되는 권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제1나사봉을 따라 이동하는 제1회전봉;
    일측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2나사봉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치합부를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동줄들이 권취되는 권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제2나사봉을 따라 이동하는 제2회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의 구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봉, 제2회전봉의 권취부에 권취되는 작동줄은 2개이며, 상기 작동줄은 권취부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의 구동장치.
  8. 모터가 설치되는 헤드 레일;
    상기 헤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봉;
    일측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나사봉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치합부를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2개의 작동줄이 권취되는 권취부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나사봉을 따라 이동하는 회전봉;
    상기 작동줄중 하나가 일측 하부에 종점을 갖으며, 다른 하나가 타측 하부에 종점을 갖게 되어 상기 작동줄들이 권취되거나 풀림으로써 상하폭이 가변되는 커튼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줄들은 상기 권취부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회전봉은 제동부에 의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동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봉에 전달하되, 상기 회전봉이 상기 커튼의 커튼막의 자중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의 양측부에는 상기 권취부의 직경보다 큰 원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 돌출부는 상기 헤드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 판에 회전 지지되도록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줄중 하나의 시점은 상기 권취부에 형성되며, 종점은 상기 커튼의 커튼 막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시점은 상기 권취부에 형성되며 종점은 상기 커튼 막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커튼 막의 하단을 상 하로 이동시켜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
  13. 벽에 설치되는 헤드 레일;
    상하 폭이 가변되는 커튼 막;
    상기 헤드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커튼 막의 상단을 제1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권취되거나 풀리는 작동줄에 의하여 상, 하 이동시키는 상단 이동장치;
    상기 헤드레일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커튼 막의 하단을 제2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권취되거나 풀리는 작동줄에 의하여 상, 하 이동시키는 하단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이동장치는
    상기 헤드레일에 설치되는 제1모터;
    상기 헤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호 이격 설치된 제1나사봉;
    일측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봉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치합부를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동줄들이 권취되는 권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제1나사봉을 따라 이동하는 제1회전봉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이동장치는
    상기 헤드레일에 설치되는 제2모터;
    상기 헤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호 이격 설치된 제2나사봉;
    일측 중심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내주면에 상기 제2나사봉의 나사산과 치합되는 치합부를 갖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작동줄들이 권취되는 권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상기 제2나사봉을 따라 이동하는 제2회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봉, 제2회전봉의 권취부에 권취되는 작동줄은 2개이며, 상기 작동줄은 권취부에 동일 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봉의 권취부의 작동줄 중 하나의 시점은 상기 제1회전봉의 권취부에 형성되며, 종점은 상기 커튼의 커튼 막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시점은 상기 제1회전봉의 권취부에 형성되며 종점은 상기 커튼 막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커튼 막의 하단을 상 하로 이동시켜 개폐시키고,
    상기 제2회전봉의 권취부의 작동줄 중 하나의 시점은 상기 제2회전봉의 권취부에 형성되며, 종점은 상기 커튼의 커튼 막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시점은 상기 제2회전봉의 권취부에 형성되며 종점은 상기 커튼 막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커튼 막의 상단을 상 하로 이동시켜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다운 방식의 커튼.
KR1020070042582A 2006-09-04 2007-05-02 탑 다운 방식의 커튼 및 커튼 구동장치 KR100851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84808 2006-09-04
KR1020060084808 2006-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480A KR20080021480A (ko) 2008-03-07
KR100851912B1 true KR100851912B1 (ko) 2008-08-13

Family

ID=3939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582A KR100851912B1 (ko) 2006-09-04 2007-05-02 탑 다운 방식의 커튼 및 커튼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0335A (zh) * 2018-10-18 2019-02-15 合肥吴亦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模式功能的窗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02A (ja) 1997-07-23 1999-02-09 Tachikawa Blind Mfg Co Ltd 横引きプリーツカーテンのコード巻取装置
KR200383952Y1 (ko) 2005-02-24 2005-05-10 김영호 전동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KR200390894Y1 (ko) 2005-04-19 2005-07-28 허창기 로만쉐이드형 커튼의 승강장치
KR20060060364A (ko) * 2004-11-30 2006-06-05 테크노게이트 주식회사 전동식 커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902A (ja) 1997-07-23 1999-02-09 Tachikawa Blind Mfg Co Ltd 横引きプリーツカーテンのコード巻取装置
KR20060060364A (ko) * 2004-11-30 2006-06-05 테크노게이트 주식회사 전동식 커튼
KR200383952Y1 (ko) 2005-02-24 2005-05-10 김영호 전동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KR200390894Y1 (ko) 2005-04-19 2005-07-28 허창기 로만쉐이드형 커튼의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1480A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947B1 (ko) 롤러 차양막 클러치 제어
KR100905665B1 (ko) 롤블라인드용 권취롤장치
AU2005203064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US20080202709A1 (en) Single cord drive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JP5209052B2 (ja) 自動上昇式の窓覆い
KR20190007521A (ko) 이동가능한 레일의 제어
TWI564468B (zh) 窗簾及其致動系統
TW201712211A (zh) 用於窗戶遮蓋物之偏斜調整機構
US20200370367A1 (en) Clutch Module For A Hoist Device And The Hoist Device Using The Same
KR200445370Y1 (ko) 사면설치용 차양장치
WO2006059840A1 (en) Electric roll screen machine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KR100851912B1 (ko) 탑 다운 방식의 커튼 및 커튼 구동장치
KR101517334B1 (ko) 건물 개방부를 가리는 커버링을 조작 구동하는 스프링 모터와 드레그 브레이크
KR20110011573U (ko) 허니컴 쉐이드
JP6050911B1 (ja) オーバードア開閉装置
CN106193974B (zh) 百叶窗的升降装置
KR101103887B1 (ko) 전동 브라인드
JP3875146B2 (ja) 巻き取り式シャッター装置の騒音抑制装置
KR101958020B1 (ko) 롤 블라인드용 권취장치
KR200215957Y1 (ko) 롤러 블라인드
KR20090033540A (ko) 블라인드 승강용 와이어 권취장치
JP6727694B2 (ja) 遮蔽装置
JP2020172787A (ja) ブラインド及び操作コード巻取装置
KR200363365Y1 (ko)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