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117B1 -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1117B1
KR100851117B1 KR1020060076227A KR20060076227A KR100851117B1 KR 100851117 B1 KR100851117 B1 KR 100851117B1 KR 1020060076227 A KR1020060076227 A KR 1020060076227A KR 20060076227 A KR20060076227 A KR 20060076227A KR 100851117 B1 KR100851117 B1 KR 100851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inter
schema
utility
acqu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615A (ko
Inventor
고이찌 아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76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11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1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1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정보 요청 또는 이벤트 등록을 이용하여 통신 채널을 통해 인쇄 장치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 유지하는 감시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 정보 처리 방법은, 유지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 방법을 감시부로부터 획득하는 획득 단계; 상기 획득된 취득 방법에 따라 상기 유지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 및 상기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가 표시를 행하게 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시스템, 스키마, 랭귀지 모니터

Description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명세서에 포함되어 일 부분을 구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하는 데 기여한다.
도 1은 인쇄 시스템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주변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정보 처리 장치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인쇄 시스템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감시부에 의해 행해지는 통지 서비스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감시부에 의해 행해지는 통지 서비스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스키마 정의에 따른 변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유틸리티에 의해 행해지는 프린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유틸리티에 의해 행해지는 프린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유틸리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유틸리티가 프린터에 탑재된 잉크의 정보 및 상태를 취득할 때 사용되는 스키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유틸리티가 프린터의 하드웨어의 정보를 취득할 때 사용되는 스키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유틸리티가 프린터의 급지부에 관련된 정보를 취득할 때 사용되는 스키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프린터의 정보가 열거될 때의 스키마 및 값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PC와 프린터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유틸리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유틸리티가 프린터의 급지부의 정보를 취득할 때 사용되는 스키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프린터의 정보가 열거될 때의 스키마 및 값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PC와 프린터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유틸리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상세 정보 다이얼로그 박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유틸리티가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취득할 때 사용되는 스키마를 나 타내는 도면.
도 25는 프린터의 정보가 열거될 때의 스키마 및 값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PC와 프린터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유틸리티에 의해 행해지는 프린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8은 다른 인쇄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또 다른 인쇄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
도 30은 유틸리티에 의해 행해지는 프린터의 정보를 획득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31은 종래예에 따라 프린터의 정보가 열거될 때 사용되는 스키마 및 값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종래예에 따라 유틸리티가 프린터의 정보를 취득할 때 사용되는 스키마의 공지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종래예에 따라 유틸리티가 프린터의 정보를 취득할 때 사용되는 스키마의 공지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PC(서버)
2: PC(클라이언트)
3: 프린터
4: 네트워크
5: 양면부
6: 제본기
9: USB
36: 랭귀지 모니터
본 발명은 주변 기기로부터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무실, 가정, 및 공공 시설에 프린터, 스캐너 등의 각종 주변 기기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이들 주변 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 및 타입의 유틸리티가 개발되어, 실제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되는 유틸리티로서, 인쇄 장치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잉크 카트리지에 관계되는 정보, 및 인쇄 장치에 입력된 인쇄 잡(job)의 상태를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브라우징할 수 있는 유틸리티가 알려져 있다.
한편,이들 주변 기기의 각종 정보 취득과 관련된 공지 기술로서, 예를 들면, 관리 정보 베이스(Management Information Base; MIB)의 RFC 1213에 규정되어 있는 관리 정보 베이스를 들 수 있다. 일본 특개평 10-074132호 공보에는, 이 MIB를 이용하여 인쇄 장치의 정보를 취득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각종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또 다른 공지의 기술이 있다. 예를 들면, Microsoft Developer Network (MSDN)의 웹사이트 "http://msdn.microsoft.com /library/default.asp" 에 공개되어 있는 비디 커뮤니케이션 스키마(Bidi Communications Schema; BCS) 를 들 수 있다. 또한,이하에서는 비디 커뮤니케이션 스키마는 비디 스키마로 언급되기도 한다.
도 31은 스키마를 사용하여 잉크의 정보 및 상태, 동작 상태, 하드웨어 정보, 급지부(paper feed unit)의 정보, 및 배지부(paper discharge unit)의 정보를 열거하는 데 사용되는 스키마 및 값을 나타내는 종래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스키마는 IBidiSpl::SendRecv() 함수를 호출하도록 유틸리티로부터 지정된다. 지정되는 스키마는 "¥Printer.InkInfo", "¥Printer.StatusInfo", "¥Printer.HardwareInfo", "¥Printer.InputBinsInfo", 및 "¥Printer.OutputBinsInfo" 를 포함한다.
다음,"Query"(Schema) 란에 있어서, 프린터 정보 및 프린터 상태를 나타내는 스키마 "Retrieve"(Schema)와 값 "Retrieve"(Value)가 세트로 반환된다.
도 31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프린터에는 블랙,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의 잉크들이 탑재되어 있고, 각 상태는 "잉크 가득참(Full)", "잉크 잔량 적음(Low)", "잉크 없음(Out)", 및 "잉크 가득참(Full)" 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각 잉크의 명칭은 "CI-B Black", "CI-C Cyan", "CI-M Magenta", 및 "CI-Y Yellow"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도 31은 동작 상태가 "온라인"이며 "대기" 모드에 있어서, 프린터에 탑재되어 있는 메모리의 사이즈가 2MB이고, 급지부로서 "ASF-1"으로 명명되는 자동 급지기가 프린터에 탑재되고, 배지부로서 "Tray-1"으로 명명되는 트레이가 프린터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틸리티는 스키마에 의해 기술되는 프린터상의 모든 상세 정보를 취득하도록, 스키마를 사용하여 각종 정보를 열거한다.
도 32는 유틸리티가 프린터로부터 잉크 관련 정보 및 잉크 상태를 취득할 때에 사용되는 종래예의 스키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스키마는, 유틸리티가 프린팅 및 프린트 스풀러 인터페이스들(이하, "PPSI" 로 언급되기도 함)을 통해 프린터로부터 잉크 관련 정보 및 잉크 상태를 취득할 때, Windows(등록상표)XP OS에서 사용되는 COM 인터페이스 "IBidiSpl" 의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함수 "IBidiSpl::SendRecv()" 의 호출 시의 인수들로서 지정된다.
도 32를 참조하면,"InkInfo"는 노드 타입 "Property"를 가지며, 잉크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InkInfo" 에 대한 풀 패스(full path)는 "¥Printer.InkInfo" 이다. "[Color]" 은 노드 타입 "Property"를 가지며, 색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Color]" 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InkInfo.[Color]" 이다. 허용된 값들은 블랙을 나타내는 "Black", 시안을 나타내는 "Cyan", 마젠타를 나타내는 "Magenta", 옐로우를 나타내는 "Yellow"이다.
블랙 잉크와 관련된 정보가 취득될 경우에는, "¥Printer.InkInfo.Black" 이 지정된다. "Installed"는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Boolean"을 가지 며, [Color] 잉크가 탑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Installed" 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InkInfo.[Color]:Installed" 이다. 허용된 값들은, [Color] 잉크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True" 및 [Color] 잉크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False" 이다.
"State" 는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String"을 가지며, [Color] 잉크의 잔량 상태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State" 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InkInfo.[Color]:State" 이다. 허용된 값들은 [Color] 잉크가 가득참을 나타내는 "Full", [Color] 잉크의 잔량이 적음을 나타내는 "Low", [Color] 잉크가 없음을 나타내는 "Out", 및 [Color] 잉크의 잔량 불명을 나타내는 "Unknown" 이다.
"Name" 은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String"을 가지며, [Color] 잉크의 명칭을 나타낸다. 스키마의 "Name" 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InkInfo.[Color]:Name" 이다.
허용된 값들은, 예컨대 도 32의 "예들" 에 나타낸 ASCII의 문자열들이다.
도 33은 유틸리티가 프린터로부터 배지부와 관련된 정보를 취득할 때 사용되는 종래예의 스키마를 나타낸다. 스키마는, 유틸리티가 프린팅 및 프린트 스풀러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프린터로부터 배지부와 관련된 정보를 취득할 때, Windows(등록상표) XP OS에서 사용되는 COM 인터페이스 "IBidiSpl" 의 API 함수"IBidiSpl::SendRecv()"의 호출 시에 인수들로서 지정된다.
도 33을 참조하면,"OutputBinsInfo" 는 노드 타입 "Property" 를 가지며, 배지부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OutputBinsInfo" 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OutputBinsInfo" 이다. "[Type]"은 노드 타입 "Property" 를 가지며, 배지부의 종류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Type]" 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OutputBinsInfo.[Type]" 이다. 허용된 값은 트레이를 나타내는 "Tray" 이다.
배지부인 트레이에 관한 정보가 취득되는 경우에는, "¥ Printer.OutputBinsInfo.Tray" 가 지정된다. "Installed" 는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Boolean" 을 가지며, [Type] 배지부가 탑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Installed" 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OutputBinsInfo. [Type]:Installed" 이다. 허용된 값들은 [Type] 배지부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True", 및 [Type] 배지부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False" 이다.
"Name" 은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String" 을 가지며, [Type] 배지부의 명칭을 나타낸다. 스키마의 "Name" 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OutputBinsInfo.[Type]:Name" 이다. 허용된 값들은, 예컨대 도 33의 "예들" 에 나타낸 바와 같은 ASCII의 문자열들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틸리티는 도 33에 정의된 스키마를 사용하여 배지부와 관련된 정보를 취득한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전술한 구조에서는, 예상치 않은 새로운 종류의 정보가 추가되는 경우, 상위부(유틸리티)의 재설계가 필요해진다. 즉, 새롭게 추가된 신규한 종류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예컨대 상위부(유틸리티)에 인스톨될 수 없다. 따라서,보다 유연하게 인쇄 장치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구 조가 요망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정보의 요청 또는 이벤트의 등록을 이용하여, 통신 채널을 통해 인쇄 장치로부터 정보를 요청하고 유지하는 감시부를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 정보 처리 방법은,상기 유지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 방법을 상기 감시부로부터 획득하는 획득 단계; 상기 획득된 취득 방법에 따라 상기 유지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 및 상기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를 표시부에 행하게 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이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단지 예로서 상술할 것이다. 이들 실시예들에 개시된 구성 요소들의 상대적인 구성, 기호의 표현들, 및 기호의 값들은, 구체적으로 다르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인쇄 시스템의 개략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인쇄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1)(이하, "PC(1)"이라 한다), 정보 처리 장치(2)(이하, PC(2)이라 한다), 및 프린터(3)가 소정의 통신 채널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접 속되어 있다. 또한,인쇄 시스템에는 주요한 소프트웨어 모듈이 제공되어 있다.
PC(1) 및 PC(2)는 통상의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와 동일한 하드웨어로 각각 구성되며, 소정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이하, "OS" 라 한다)이 인스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에서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indows(등록상표)XP가 인스톨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PC(1) 및 PC(2)는 이더넷(등록상표)에 의해 구성되는 네트워크(4)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쌍방향 통신의 수행이 가능해진다.
프린터(3)는 주변 기기의 대표적인 예이다. 도 1에서, 컬러 잉크젯 프린터가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한다)를 통해 PC(1)에 접속되어 있다.
랭귀지 모니터(36)(이하, "LM(36)"이라 한다)는 프린터(3)에 문의를 하고, 각종 명령들을 출력한다. 또한,LM(36)은 프린터(3)로부터 능동적으로 통지되어 오는 각종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에 의해, LM(36)은, 소정의 적절한 타이밍에서 사전에 프린터(3)에 이벤트를 등록하여 능동적인 통지를 실현한다.
양면부(5)는 프린터(3)의 옵션의 일례이다. 프린터(3)에는 자동 양면 인쇄를 행하도록 양면부(5)가 장착된다.
제본부(6)는 프린터(3)의 다른 옵션 예이다. 프린터(3)는 제본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본부(6)가 장착된다.
유틸리티(30)에는, LM(36)을 통해 인쇄 장치의 각종 정보를 취득하고 표시하 고, 또한/또는 인쇄 장치에 각종 명령을 출력하고, 또한/또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 및 출력하는 기능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유틸리티(30)는 다양한 용도를 위한 유틸리티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 있어서,주변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컬러 잉크젯 프린터가 언급되었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응용도 고려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그외의 주변 기기들이 존재한다. 즉, 본 실시예에는 복사기, 팩시밀리, 스캐너, 다기능 주변기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휴대 전화, 텔레비전, 및 광학 프로젝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설명>
도 2는 일반적인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를 참조하면, CPU(1204)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된다. CPU(1204)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120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CPU(1204)는 시스템 버스(1206)에 접속되는 각 디바이스(각 블록)을 제어한다. RAM(1201)은 CPU(1204)의 주 메모리 및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키보드(KBD) (1203)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지시 장치의 일례이다. 이와 관련하여,키보드(KBD) 외에도 또는 그 대안으로서 예컨대, 마우스, 액정 터치 패널 등도 적용될 수 있다. LCD(1205)는 표시 장치의 일례이다. LCD(1205)는 CPU(1204)의 제어하에 문자, 그래픽 화상, 정지 화상, 및 동화상을 표시한다. NB(1297)는 통신 제어부의 일례인 네트워크 보드이다. NB(1297)는 각종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제어 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각 흐름도의 각 단계에 관계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HDD(1202)에 기억된다. 프로그램 코드는 RAM(1201)에 판독되어 CPU(1204)에 의해 실행된다.
<주변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설명>
도 3은 주변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대표적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CPU(15)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된다. CPU(15)는 프린터(3)의 중앙 처리 장치로서, ROM(16)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CPU(15)는 시스템 버스를 통해 상호 접속되는 RAM(17), 통신부(18), 기록부(19) 등의 각 디바이스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ROM(16)은 불휘발성 기억 소자를 포함하는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장치 또는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플래시 메모리가 ROM(16)을 대용할 수도 있다.
또한,ROM(16), RAM(17), 및 기록부(19)에 대해, 이하 상술한다.
ROM(16)은 입력된 인쇄 데이터에 따라 프린터(3)가 기록(인쇄) 처리를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또한, ROM(16)은 PC(1)에 의한 상태의 요청 시, 상태의 정보를 송신하는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RAM(17)은, 예컨대 PC(1)으로부터 송신되는 인쇄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18)는 USB 인터페이스(9)용 통신 포트를 포함하며, USB에 기초한 통신을 제어한다.
기록부(recording unit)(19)는 기록 섹션(recording section) 및 전기 회로 로 구성된다. 기록 섹션은 잉크젯 방식의 기록 헤드, 각 컬러 잉크, 캐리지, 및 기록지 반송 기구를 포함한다. 전기 회로는, 기록 헤드가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용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ASIC을 포함한다. 기록부(19)는 RMA(17)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인쇄 데이터에 따라 기록을 행한다. 전술한 설명에서는,잉크젯 방식의 출력 엔진을 포함하는 주변 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다른 방식의 출력 엔진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사진 시스템 출력 엔진이나, 열 전사 시스템 출력 엔진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액정 구동 엔진도 적용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 있어서의 소프트웨어 모듈도의 설명>
도 4는, 정보 처리 장치인 PC(1)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블록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프린터 드라이버(50)는 OS상에서 동작하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에 따라 묘화 명령을 생성한다. 묘화 명령으로서는, 묘화 명령의 포맷이 프린터에 의해 복호되고 판독가능한 것이라면 각종 포맷들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묘화 명령은 비압축 이미지, 압축 이미지, 페이지 기술 언어, 또는 XML 데이터의 형식이 될 수 있다. 또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워드,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엑셀, 및 아도비 시스템사의 포토샵이 이용될 수 있다.
유틸리티(3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유틸리티(30)에 대해, 표준으로서 Windows(등록상표)XP OS가 제공되는 텍스트 에디터인 Notepad (Notepad.exe)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이하 후술하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틸리티(30)가 적용될 수 있다.
그래픽 디바이스 인터페이스(GDI)(31)는 OS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프린터 큐(printer queue)(32)는 스풀러(40)의 일부를 구성한다. 프린터 큐(32)는 인쇄 잡들을 큐잉한다. 프린터 큐(32) 내에 있는 인쇄 잡들은, OS에 의해 프린터 큐 폴더(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에 표시되어, 사용자는 인쇄 잡의 각종 상태들을 확인할 수 있다.
프린트 프로세서(33)는 인쇄 레이아웃을 변경하고 인쇄 화상의 특수 처리를 실행한다. 그래픽 드라이버(34)는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한 화상 처리의 코어부이다. 즉, 그래픽 드라이버(34)는 GDI(31)로부터 송신된 묘화 명령에 따라 인쇄용 화상 처리를 행하고, 인쇄 제어 명령을 작성한다. UI 모듈(35)은 프린터 드라이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어한다. LM(36)은 도 1을 참조하여 기술한 바와 같다. LM(36)은 데이터의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포트 모니터(37)는 LM(36)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적절한 포트에 대하여 송신하는 처리, 및 프린터(3)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클래스 드라이버(38)를 통해 수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클래스 드라이버(38)는 물리층에 가까운 제어 모듈이다. 클래스 드라이버(38)는, 예컨대 USB 프린터 클래스 드라이버에 상당한다. 클래스 드라이버(38)는 USB 포트들을 제어한다.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처리 흐름의 설명>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처리 흐름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5는, 예로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시스템에 있어서 프린터(3)에 양면부(5)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대한 처리 흐름을 나타낸다.
우선,프린터(3)에 양면부(5)가 장착된다(단계 S1). 프린터(3)는, 자신에게 제공된 판정부를 이용하여, 양면부(5)가 장착된 것을 판정한다(단계 S2).
한편,단계 S2의 판정과는 비동기적으로(즉, 임의의 타이밍에), PC(1)는 인쇄 장치의 각종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명령을,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린터(3)에 발행한다(단계 S3).
프린터(3)는 PC(1)로부터 발행된 요청 명령에 응답하여, 통신 매체를 통해 PC(1)에 대하여 프린터의 정보를 회신한다(단계 S4). LM(36)로부터 요청되는 정보는 프린터 정보 및 잡 정보를 포함한다. 프린터 정보는, 예컨대 프린터(3)에 장착되어 있는 잉크의 종류, 프린터(3)에 현재 인스톨되어 있는 옵션 정보, 프린터의 에러 상태, 및 전원 상태를 포함한다. 잡 정보는 프린터(3)에 입력된 인쇄 잡의 진행 상태를 포함한다.
LM(36)은 프린터(3)로부터 회신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정보를 해석한다. LM(36)은 해석 결과에 따라, 전회에 취득하고 저장한 정보에 변화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LM(36)은 그 변화 후의 상태 정보를 스키마 정의를 따라 스키마로 변환한다. 그 후,LM(36)은 변환된 정보를 기억부에 저장한다(단계 S5). 이 단계 S5에서의 처리는, 유틸리티로부터 발행된 변화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에 응답하는 형식으로, 그 정보를 변환하고 유지하는 처리에 상당한다. 여기서, "스키마"라는 용어는 일반적 으로 정의 언어를 이용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기술을 의미한다. 스키마는, 대표예로서 XML 스키마를 포함한다.
다음, 스키마로 변환된 정보가 LM(36)에 의해 저장된 후, LM(36)은 도 7의 단계 S24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키마의 루트의 통지를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에 발행한다(단계 S6). 통지는, 예컨대 OS를 통해서 행해진다.
이와 관련하여, 스키마의 루트는, LM(36)이 저장하는 스키마 데이터를 LM(36)이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가리킨다. 루트의 기술 방법으로서는, "¥" 마크를 이용하며 계층 구조가 지정되는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루트의 기술 방법으로서 저장되는 스키마 데이터의 어드레스나 포인터가 이용될 수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는 통지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통지가 발행되는 경우, 유틸리티(30)는 OS를 통해 통지의 인터럽션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한다(단계 S7).
다음, 유틸리티(30)는 도 9의 단계 S250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지된 스키마 루트를 취득한다. 여기서, 스키마 루트는 통지와 관련된 정보이다. 그 후,스키마는 COM 인터페이스 "IBidiSpl"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함수 "IBidiSpl::SendRecv()"의 호출 시에 인수로서 지정된다.
더 구체적으로,유틸리티(30)는 잉크의 정보 및 상태, 동작 상태, 하드웨어의 정보, 급지부의 정보, 배지부의 정보, 시스템의 정보, 및 장래에 새롭게 정의되는 미지의 정보를 열거하고 취득하기 위한 처리를 개시한다. 이 처리의 개시 후, 유틸리티(30)는 스키마를 이용하여 상세 정보에 대한 요청을 LM(36)에 발행한다(단 계 S8).
다음, 단계 S2603 및 단계 S2604에 나타낸 바와 같이, LM(36)의 "SendRecvBidiDataFromPort()" 함수 내에서,유틸리티(30)는 도 7의 단계 S2403에서의 스키마 정의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단계 S2602에서의 인수로서 규정되는 스키마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스키마 데이터를 취득(로딩)한다(단계 S9).
다음, 도 10의 단계 S2605에 나타낸 바와 같이, LM(36)은, LM(36)의 "SendRecvBidiDataFromPort()" 함수의 인수로서 단계 S9에서 취득되어 스키마 정의로 변환되는 상세 정보(스키마 데이터)를,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에 회신한다(단계 S10).
다음,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는 스키마 정의의 형태로 회신되는 상세 정보(스키마 데이터)를 취득하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보 표시용 데이터를 작성하고, 표시될 정보 표시용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습을 갱신한다(단계 S11).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 구성, 하드웨어 구성, 및 소프트웨어 구성 에 따라 수행되는 인쇄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처리를 기술할 것이다.
<감시부(LM(36))에 의한 통지 서비스 처리의 설명>
도 6은 랭귀지 모니터(LM(36))에 의해 수행되는 통지 서비스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OS가 기동되는 동안, LM(36)이 로딩되어 통지 서비스를 개시한다(단계 S2301). 다음, LM(36)은 통신 채널(USB 케이블)을 통해, 요청 명령(정보 요청) 또는 프린터(3)에 이벤트의 등록에 따라 프린터(3)로부터 회신되는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2302). 이 때 LM(36)이 프린터(3)에 발행하는 명령에 대해, 예를 들어, OS의 제조자에 따라 고유하게 정의되는 명령 사양을 따르는 명령이 적용될 수 있다. 다음,LM(36)은 취득된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2303). LM(36)은 이전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정보의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304).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LM(36)은 변화된 정보를 유틸리티(30)에 인수로서 송신한 후,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에의 통지 처리를 행한다(단계 S2305). 여기서 행해진 처리는 변화된 정보와 관련하여 행해지는 처리에 상당한다. 그리고,그 후, 소정 시간동안(예컨대, 5초 동안) 대기하고(단계 S2306), 처리는 단계 S2302로 복귀된다.
한편,단계 S2304에서,이전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정보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 S2306으로 진행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시간 대기한 후 단계 S2303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OS가 기동하고 있는 동안, LM(36)은 소정 간격에서 프린터(3)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 정보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에 통지를 발행하는 독자적인 통지 서비스를 수행하여, 프린터(3)의 상태 변화가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에 거의 실시간으로 통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랭귀지 모니터에 의해 행해지는 유틸리티로의 정보 통지의 상세처리 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에 의해, 스키마 루트에 의해 유틸리티로부터 스키마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요청에 대하여 응답할 수 있는 형식의 데이터가 유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의 단계 S2305에서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에의 통지 처리가 행해지는 경우,도 7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처리의 실행이 호출된다. 다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에의 통지 처리가 개시된다(단계 S2401). 다음, 도 6의 단계 S2305에서 인수로서 보내지는 변화된 정보는 스키마 정의에 따라 변환된다(단계 S2402). 다음,스키마 정의에 따라 변환된 모든 데이터가 저장된다(단계 S2403).
다음으로,변환된 스키마 데이터의 루트가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에 통지되고(단계 S2404), 처리는 복귀된다(단계 S2405). 스키마 루트는, 예컨대 "¥Printer.InkInfo", "¥Printer.StatusInfo", 또는 "¥Printer.HardwareInfo"로서 기술된다. 또한,스키마 루트는, 예컨대 "¥Printer.InputBinsInfo", "¥Printer.OutBinsInfo", "¥Printer.SystemInfo", 또는 "¥Printer.StatusInfo"로서 기술된다.
<랭귀지 모니터(LM(36))에 의해 행해지는 스키마 정의로의 변환 처리의 설명>
도 8은 스키마 정의에 따라 LM(36)에 의해 행해지는 정보의 변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의 단계 S2402에서 정보를 스키마 정의로 변환하는 처리가 실행되면,도 8의 단계 S1501이 호출된다.
다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LM(36)에 의해 행해지는, 정보를 스키마 정의로 변환하는 처리가 개시된다(단계 S1501). 그 후, LM(36)은, 프린터(3)가 도 6의 단계 S2303에서 취득하는 잉크의 정보 및 상태, 동작 상태, 하드웨어의 정보, 급지부의 정보, 및 배지부의 정보를 이 순서대로 확인한다(단계 S1502).
변경된 임의의 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단계 S1503), 변경된 정보는 스키마 정의로 변환된다(단계 S1504). 다음, 스키마 정의는 반환값으로서 설정되고(단계 S1505), 처리는 단계 S1502로 복귀한다. 단계 S1503에서,모든 정보가 확인되고, 더 이상 변환 처리를 실행할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설정값은 반환되고 처리는 도 7에 나타낸 흐름으로 복귀한다(단계 S1506).
<유틸리티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의 설명>
도 9는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에 의해 행해지는 프린터(3)의 정보의 취득 방법(스키마 루트)을 획득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유틸리티(30)가 기동하면(단계 S2501),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LM(36)에 의해 행해지는 통지 서비스의 통지 인터럽션의 수신이 허가된다(단계 S2502). 다음, 메인 윈도우가 표시된다(단계 S2503). 그 후, 메시지 루프가 작성되고, 메시지가 발행될 때까지(인터럽션이 발생할 때까지) 처리를 대기한다(단계 S2504).
도 7의 단계 S2404에서, LM(36)으로부터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에 송신되는 통지의 인터럽션이 발생하는 경우(단계 S2505), 유틸리티(30)는 통지된 스키마의 루트를 취득한다(단계 S2506).
그리고, 유틸리티(30)는 단계 S2506에서 취득되는 스키마의 루트에 기초하여, 정보의 취득 및 갱신의 처리를 행한다(단계 S2507).
단계 S2508에서는,단계 S2504에서 작성된 메시지 루프가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508). 메시지를 수신한 것으로 판정되면,수신된 메시지가 "종료" 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509). 수신된 메시지가 "종료" 의 메시지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에 의해 모든 처리를 종료하고 유틸리티(30)를 종료한다(단계 S2511).
한편,단계 S2509에서,수신된 메시지가 "종료" 메시지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각 메시지에 대응하는 처리가 행해진다(여기서는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단계 S2510). 다음, 단계 S2510 후, 처리는 단계 S2505로 복귀한다.
만약,단계 S2508에서,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처리는 단계 S2505로 복귀한다. 단계 S2505에서 통지의 인터럽션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처리는 단계 S2508로 복귀한다.
<통지에 따른 정보의 취득 및 갱신>
도 10은 통지에 따른 정보의 취득 및 갱신을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전술한 단계 S2507의 상세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는 통지에 따른 정보의 취득과 갱신을 위한 처리를 개시한다(단계 S2601).
다음, 처리는 도 7의 단계 S2404에서 LM(36)으로부터 통지된 루트를 인수로서 사용하여, COM 인터페이스 "IBidiSpl"의 API 함수 "IBidiSpl::SendRecv()"(스풀 러가 익스포트(export)하는 함수)를 호출한다.
구체적으로,잉크의 정보 및 상태, 동작 상태, 하드웨어의 정보, 급지부의 정보, 배지부의 정보, 시스템의 정보, 및 장래에 새롭게 정의되는 미지의 정보가 열거된다.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처리가 개시되면(단계 S2602), 프린팅 및 프린트 스풀러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LM(36)이 익스포트하는 "SendRecvBidiDataFromPort()" 함수가 스풀러(40)로부터 호출되어, 이 함수를 이용한 처리가 개시된다(단계 S2603).
다음, LM(36)의 "SendRecvBidiDataFromPort()" 함수 내에서,도 7의 단계 S2403에서 스키마 정의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단계 S2602에서 인수로서 지정되어 있는 스키마의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스키마가 취득(로딩)된다(단계 S2604).
다음, "SendRecvBidiDataFromPort()" 함수의 인수로서, 후술하는 도 16, 도 20,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키마 정의로 변환되는 상세 정보가 반환된다. 다음, LM(36)의 "SendRecvBidiDataFromPort()" 함수의 처리가 종료된다(단계 S2605).
다음,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는, "IBidiSpl::SendRecv()" 함수가 반환되는 경우, 인수로서, 후술하는 도 16, 도 20,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키마 정의의 형태로 반환되는 상세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2606). 다음,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는 도 11에 나타낸 정보 표시용 데이터의 작성을 행한다(단 계 S2607).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는 작성된 정보 표시용 데이터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도 12, 도 18,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정보 표시부(44) 및 프린터 정보 표시부(45)에 표시된 내용을 갱신한다(단계 S2608). 다음, 처리는 도 9에 나타낸 흐름으로 복귀한다(단계 S2609).
이러한 방식으로, 도 9의 단계 S2506에서, LM(36)으로부터 취득된 스키마의 루트를 인수로서 사용하고, 이 인수를 그대로 사용하여 LM(36)에 질의하여, 이 스키마 루트에서 지정된 상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즉,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는, 스키마의 내용이 알려지지 않은 미지의 스키마일지라도, 인수로서 다루어지는 스키마의 내용을 의식하지 않고서 그 스키마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틸리티(30)는, LM(36)로부터 반환된 정보를 이용하여, 잉크 정보 표시부(44) 및 프린터 정보 표시부(45)에 의한 표시 내용을 적절하고 정확하게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는 프린터(3)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경우라도 재설계될 필요가 없으며,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는 장래에도 계속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정보 표시 데이터의 작성 처리의 설명>
도 11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의 작성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의 단계 S2607에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의 작성 처리가 실행되면, 도 11의 단계 S1601이 호출된다.
우선,유틸리티(30)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의 작성 처리를 개시한다(단계 S1601). 다음, 유틸리티(30)는 잉크의 정보 및 상태, 동작 상태, 하드웨 어의 정보, 급지부의 정보, 및 배지부의 정보의 취득을 시도한다(단계 S1602).
다음, 유틸리티(30)가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단계 S1603), 정보는 반환값으로서 설정된 후(단계 S1604), 처리는 단계 S1602로 복귀한다. 단계 S1603에서,모든 정보가 완전히 취득되어 더 이상 취득될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설정된 반환값은 반환되고 처리는 도 10에 나타낸 흐름으로 복귀한다(단계 S1605).
<유틸리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습의 설명>
도 12는 유틸리티(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습을 나타낸다.
메인 윈도우(42)는 프린터 표시부(43), 잉크 정보 표시부(44), 및 프린터 정보 표시부(45)를 포함한다. 프린터 표시부(43)는, 유틸리티(30)와 통신가능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통신가능한 상태에 있는 프린터들을 모두 표시한다. 잉크 정보 표시부(44)는 각종 잉크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부분이다. 잉크 정보 표시부(44)는 프린터 표시부(43) 내의 그레이 박스로 프린터를 둘러싸서 포커싱되어 있는 프린터 내에 장착된 잉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3)에는 7가지 서로 다른 색의 잉크가 장착되어 있다. 즉, 프린터(3)에는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 포토 블랙(Photo Black), 포토 시안(Photo Cyan), 및 포토 마젠타(Photo Magenta)의 잉크들이 장착되어 있다.
도 12는 컬러 잉크들의 명칭이 각각 CI-B 블랙, CI-C 시안, CI-M 마젠타, CI-Y 옐로우, CI-PB 포토 블랙, CI-PC 포토 시안, 및 CI-PM 포토 마젠타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12는 잉크들의 상태가 각각 Full(잉크 가득참), Low(잉크 잔 량 적음), Out(잉크 잔량 없음), Full(잉크 가득참), Low(잉크 잔량 적음), Out(잉크 없음), Low(잉크 잔량 적음)인 것을 나타낸다.
프린터 정보 표시부(45)는 프린터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부분이다. 프린터 정보 표시부(45)는 프린터 표시부(43) 내에 도시된 그레이 박스로 프린터를 둘러싸서 포커싱되어 있는 프린터 내에 장착된 잉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3)에는 2MB 메모리 및 5GB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3)는 옵션으로서 "자동 양면부(Auto Duplex Unit)"라는 명칭의 양면 인쇄부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프린터(3)는 급지부로서 "ASF-1"로 명명되는 자동 급지기, "수동 트레이(Manual Tray)"로 명명되는 트레이, 및 "카세트-1(Cassette-1)" 으로 명명되는 카세트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프린터(3)는 "트레이-1(Tray-1)", "트레이-2(Tray-2)", 및 "트레이-3(Tray-3)"으로 명명되는 트레이들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프린터(3)는 "온라인" 상태에 있다.
도 12에 있어서, 프린터 정보 표시부(45)에는 XYZ사의 모델명 "kmmn"의 프린터(프린터(3))의 정보 및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프린터 표시부(43), 잉크 정보 표시부(44), 및 프린터 정보 표시부(45)의 각각의 레이아웃은 표시 내용에 따라 변경되도록 제어가능하다. 이에 의해,현재 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경우에 있어서 모든 내용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유틸리티는 XYZ사의 프린터만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틸리는 프린터 표시부(43)에 ABC사 및 DEF사 등의 타사의 프린터들도 표시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는, 사양이나 정보의 내용이 불분명한 타사 프린터의 상태 정보도 취득할 수 있다. 이것은, 그 프린터 또는 그 프린터를 제어하는 랭귀지 모니터가 BCS를 이용하여 PPSI를 통해 정보를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에 반환하는 기능을 가지는한, 그 프린터의 정보 및 상태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잉크 정보에 관계되는 스키마 정의>
도 13은 유틸리티(30)가 프린터 내에 장착된 잉크의 정보 및 상태를 취득할 때 사용되는 스키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스키마는, 유틸리티(30)가 프린팅 및 프린트 스풀러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LM(36)을 거쳐 프린터(3)로부터 잉크의 정보 및 상태를 취득할 때에, Windows(등록상표)XP OS에서 사용될 수 있는 COM 인터페이스 "IBidiSpl"의 API 함수 "IBidiSpl::SendRecv()"을 호출 시에 인수들로서 지정된다.
도 13은 도 32를 참조하여 기술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한다. 도 13에 있어서, 도 32에 기술된 내용과 상이한 내용은 점선 박스로 둘러싸여 있다. 도 13에 있어서,"InkInfo"는 노드 타입 "Property"를 가지며, 잉크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InkInfo"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InkInfo"이다. "[Color]"는 노드 타입 "Property"를 가지며, 색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Color]"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InkInfo.[Color]"이다. 허용된 값들은, 블랙을 나타내는 "Black", 시안을 나타내는 "Cyan", 마젠타를 나타내는 "Magenta", 옐로우를 나타내는 "Yellow", 포토 블랙을 나타내는 "PhotoBlack", 포토 시안을 나타내는 "PhotoCyan', 포토 마젠타를 나타내는 "PhotoMagenta", 레드를 나타내는 "Red", 그린을 나타내는 "Green", 블루를 나타내는 "Blue" 중 어느 하나이다.
블랙 잉크와 관련된 정보가 취득될 경우, "¥Printer.InkInfo.Black"이 지정된다. "Installed"는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Boolean"을 가지며, [Color] 잉크가 탑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Installed"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InkInfo.[Color]:Installed"이다. 허용된 값들은, [Color] 잉크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True", 및 [Color] 잉크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False"이다. "State"는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String"을 가지며, [Color] 잉크의 잔량 상태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State"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InkInfo.[Color]:State"이다. 허용된 값들은, [Color] 잉크가 가득참을 나타내는 "Full", [Color] 잉크의 잔량이 적음을 나타내는 "Low", [Color] 잉크가 없음을 나타내는 "Out", 및 [Color] 잉크의 잔량 불명을 나타내는 "Unknown"이다. "Name"은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String"을 가지며, [Color] 잉크의 명칭을 나타낸다. 스키마의 "Name"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InkInfo.[Color]:Name"이다. 허용된 값들은, 예컨대 도 13의 "예들"에 나타낸 바와 같은 ASCII 문자열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틸리티(30)는 도 13에 정의되어 있는 스키마를 사용하여, 프린터(3)에 탑재되어 있는 잉크의 정보 및 상태를 취득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도 32와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새로운 기능으로서, 포토 블랙, 포토 시안, 포토 마젠타, 레드, 그린, 블루 등의 새로운 잉크가 추가되어 있다.
<하드웨어 정보와 관련된 스키마 정의의 설명>
도 14는 유틸리티(30)가 프린터의 하드웨어 정보를 취득할 때 사용되는 스키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스키마는, 유틸리티(30)가 프린팅 및 프린트 스풀러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LM(36)을 거쳐 프린터(3)로부터 하드웨어 정보를 취득할 때에, Windows(등록상표)XP OS에서 사용될 수 있는 COM 인터페이스 "IBidiSpl"의 API 함수 "IBidiSpl::SendRecv()"을 호출할 시에 인수들로서 지정된다. 여기서, 종래의 유틸리티에 의해 표시될 수 없는 정보는 점선 박스로 둘러싸여 있다. 도 14의 점선 박스로 둘러싸인 부분은, 양면부가 옵션으로 새롭게 추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4에서,"HardwareInfo"는 노드 타입 "Property" 를 가지며,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HardwareInfo"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HardwareInfo "이다. 하드웨어의 정보가 취득될 경우, "¥Printer.HardwareInfo"가 지정된다. "Memory"는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Integer"를 가지며, 프린터에 탑재되어 있는 메모리의 사이즈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Memory"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HardwareInfo:Memory"이다. 허용된 값들은 메모리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수들(단위:MB)이다. 메모리 사이즈에 대한 정보가 취득될 경우, "¥Printer.HardwareInfo:Memory"가 지정된다. "HDD"는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Integer"를 가지며, 프린터에 탑재되어 있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사 이즈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HDD"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HardwareInfo: HDD"이다. 허용된 값들은 HDD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정수들(단위:GB)이다. HDD의 사이즈가 취득될 경우, "¥Printer.HardwareInfo:HDD"가 지정된다. "Option"은 노드 타입 "Property"를 가지며, 옵션의 종류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Option"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HardwareInfo.[Option]"이다. 양면 부의 정보가 취득될 경우, "¥Printer.HardwareInfo.DuplexUnit"이 지정된다. "Installed"는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Boolean"를 가지며, [Option] 타입의 옵션이 인스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Installed"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HardwareInfo.[Option]:Installed"이다. 허용된 값들은, [Option] 타입의 옵션이 인스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True", 및 [Option] 타입의 옵션이 인스톨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False"이다. "Name"은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String"을 가지며, [Option] 타입 옵션의 명칭을 나타낸다. 스키마의 "Name"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HardwareInfo.[Option]:Name "이다. 허용된 값들은, 예컨대 도 14의 "예들"에 나타낸 ASCII 문자열이다. 여기서, "Memory", "HDD", "Installed", 및 "Name"의 값들은 LM(36) 또는 프린터(3)로부터 유틸리티(30)에 반환되는 값들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틸리티(30)는 도 14에서 정의되어 있는 스키마를 사용하여, 프린터(3)의 하드웨어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프린터의 급지부와 관련된 스키마 정의의 설명>
도 15는 유틸리티(30)가 프린터 급지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때 사용되는 스키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스키마는, 유틸리티(30)가 프린팅 및 프린트 스풀러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LM(36)을 거쳐 프린터(3)로부터 급지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때에, Windows(등록상표)XP OS에서 사용될 수 있는 COM 인터페이스 "IBidiSpl"의 API 함수 "IBidiSpl::SendRecv()"을 호출할 시에 인수들로서 지정된다. 여기서,종래의 유틸리티에 의해 표시될 수 없는 정보는 점선 박스로 둘러싸여 있다. 도 15의 점선 박스로 둘러싸인 부분은, 새기능으로서 트레이, 카세트 등의 급지부가 새롭게 추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5에서,"InputBinsInfo"는 노드 타입 "Property"를 가지며, 급지부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InputBinsInfo"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InputBinsInfo"이다. "[Type]"은 노드 타입 "Property"를 가지며, 급지부의 종류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Type]"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InputBinsInfo.[Type]"이다. 허용된 값들은, 자동 급지기를 나타내는 "ASF", 트레이를 나타내는 "Tray", 카세트를 나타내는 "Cassette"이다. 자동 급지기의 급지부와 관련된 정보가 취득될 경우, "¥Printer.InputBinsInfo.ASF"가 지정된다. "Installed"는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Boolean"을 가지며, [Type]종의 급지부가 탑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Installed"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InputBinsInfo.[Type]:Installed"이다. 허용된 값들은, [Type]종의 급지부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True", [Type]종의 급지부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False"이다. "Name"은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String"을 가지며, [Type]종의 급지부의 명칭을 나타낸다. 스키마의 "Name"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InputBinsInfo.[Type]:Name"이 다. 허용된 값들은, 예컨대 도 15의 "예들"에 나타낸 ASCII 문자열이다. 여기서, "Installed" 및 "Name"의 값들은 LM(36) 또는 프린터(3)로부터 유틸리티(30)에 반환되는 값들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틸리티(30)는 도 15에 정의되어 있는 스키마를 사용하여, 프린터(3)에 탑재되어 있는 급지부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유틸리티에 의한 요청과 획득되는 스키마 루트 사이의 관계의 설명>
도 16은 전술한 스키마 정의에 의해, 잉크의 정보 및 상태, 동작 상태, 하드웨어의 정보, 급지부의 정보, 및 배지부의 정보가 열거될 때의 스키마 및 그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한다. 도 16에서, 도 31에서 설명된 내용과 상이한 내용은 점선 박스로 둘러싸여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유틸리티(30)를 사용하여 각 스키마 루트가 지정되고 "IBidiSpl::SendRecv()" 함수가 호출되면("Query"(schema) 란), 프린터(3)의 정보 및 상태를 나타내는 스키마(Retrieve(schema)) 및 값(Retrieve(Value))이 세트로 반환된다.
유틸리티(30)에 의해 지정되는 스키마 루트는, 예컨대 "¥Printer.InkInfo", "¥Printer.StatusInfo", "¥Printer.HardwareInfo", "¥Printer.InputBinsInfo", 및 "¥Printer.OutputBinsInfo" 로서 기술된다.
도 16의 예에서는, 프린터(3)에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 포토 블랙, 포토 시안, 및 포토 마젠타의 잉크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잉크들의 상태는 "잉크 가득참(Full)", "잉크 잔량 적음(Low)", "잉크 없음(Out)", "잉크 가득 참(Full)", "잉크 잔량 적음(Low)", "잉크 없음(Out)", 및 "잉크 잔량 적음(Low)"이다.
또한,도 16은 잉크의 명칭이 "CI-B Black", "CI-C Cyan", "CI-M Magenta", "CI-Y Yellow", "CI-PB Photo Black", "CI-PC Photo Cyan", 및 "CI-PM Photo Magenta"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도 16은 동작 상태가 "온라인" 이며 "대기" 모드인 것을 나타낸다. 탑재되어 있는 메모리의 사이즈는 2MB이며, 탑재되어 있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사이즈는 5GB이다. 또한, "자동 양면부"로 명명되는 양면부의 옵션이 인스톨되어 있다.
또한,도 16은 급지부로서 "ASF-1"로 명명되는 자동 급지기가 프린터에 장착되어 있으며, "Manual Tray"로 명명되는 트레이 및 "Cassette-1"로 명명되는 카세트도 장착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프린터에는 "Tray-1", "Tray-2", 및 "Tray-3"으로 명명되는 트레이들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틸리티(30)는 스키마를 사용하여 정보를 열거하고, 그 스키마에 의해 기술되는 프린터의 모든 상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11과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신규의 기능으로서 포토 블랙, 포토 시안, 포토 마젠타의 잉크들, 양면부의 옵션, 및 "Manual Tray"의 트레이와 "Cassette-1"의 카세트 등의 급지부가 추가되어 있다.
<프린터로부터 취득되는 정보의 구체예의 설명>
도 17은 PC(1)와 프린터(3)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PC(1)과 프린터(3)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이진 데이터이다. 그러나, 도 17에서는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 ASCII 문자 코드로 인코딩한 후의 텍스트 데이터로서 기술되어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PC(1)이 USB 인터페이스(9)를 통해 "PC로부터 발행되는 요청 명령"란의 명령을 프린터(3)에 발행하면,"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정보"란의 정보는 USB 인터페이스(9)을 통해 프린터(3)로부터 PC(1)에 반환된다. 도 17에서, "Ink;"는 잉크의 정보 및 상태를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여기서,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Color", "Model Name", 및 "State", "Black", "CI-B", "Full"; "Cyan", "Full", "CI-C", "Low"; "Magenta", "CI-M", "Out"; "Yellow", "CI-Y", "Full"; "PhotoBlack", "CI-PB", "Low"; "PhotoCyan", "CI-PC", "Out; 및, "PhotoMagenta", "CI-PM", "Low"의 순서로 기술되어 있다.
또한,"Memory;"는 메모리의 사이즈를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 size 2" (단위:MB)를 나타낸다.
또한,"HDD;"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사이즈를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5" (단위:GB)를 나타낸다. 또한, "Status;"는 동작 상태를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동작 상태로서 "온라인"을 나타낸다. "Option;"은 옵션을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장착되어 있는 옵션이 "자동 양면부"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InputBins;"는 급지부를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급지부의 정보가 "ASF-1", "Manual Tray", 및 "Cassette-1"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OutputBins;"는 배지부를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배지부가 "Tray-1", "Tray-2", 및 "Tray-3"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7은,포토 블랙, 포토 시안, 포토 마젠타의 잉크들, 양면부의 옵션, 및 "Manual Tray"의 트레이, "Cassette-1"의 카세트 등의 급지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2 실시예]
<유틸리티(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 모습>
도 1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유틸리티(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있어서, 메인 윈도우(42), 프린터 표시부(43), 잉크 정보 표시부(44), 및 프린터 정보 표시부(45)는 도 12의 것들과 동일하다.
도 18에 있어서, 프린터 표시부(43)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프린터를 표시한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 잉크 정보 표시부(44) 및 프린터 정보 표시부(45)는 DEF사의 모델명 "model-D" 인 프린터의 정보 및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잉크 정보 표시부(44)에 표시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EF사의 "model-D"에는 7가지 색의 잉크들, 즉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 포토 시안, 포토 마젠타, 및 레드 잉크들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도 18은 잉크들의 명칭이 각각 "DEF ink-b black", "DEF ink-c cyan", "DEF ink-m magenta", "DEF ink-y yellow", "DEF ink-pc photo  cyan", "DEF ink-pm photo magenta", "DEF ink-r red"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도 18은 컬러 잉크들의 상태가 각각 "Low(잉크 잔량 적음)", "Full(잉크 가득참)", "Full(잉크 가득참)", "Out(잉크 없음)", "Low(잉크 잔량 적음)", "Out(잉크 없음)", "Full(잉크 가득참)"인 것을 나타낸다.
프린터 정보 표시부(45)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EF사의 "model-D"는 10MB의 메모리, 20GB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duplex unit"으로 명명되는 양면부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model-D"는 급지부로서 "asf-A"로 명명되는 자동 급지기, "cassette-A" 및 "cassette-B"로 명명되는 카세트들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model-D"는 "tray-A", "tray-B", "tray-C", 및 "tray-D" 로 명명되는 트레이들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model-D"는 "온라인" 상태에 있다. 도 12와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EF사의 "model-D"는 XYZ사의 "kmmn"(프린터(3))에는 장착되지 않은 기능으로서, "auto book maker"로 명명되는 제본부가 새롭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린터가 새로운 기능을 구비한 경우에도,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는 그 새로운 기능에 따라 재설계될 필요는 없다.
도 19는 유틸리티(30)가 프린터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때 사용되는 스키마를 나타낸다. 이들 스키마는, 유틸리티(30)가 프린팅 및 프린트 스풀러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LM(36)을 거쳐 프린터(3)로부터 시스템의 정보를 취득할 때에 이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Windows(등록상표)XP OS에서 사용할 수 있는 COM 인터페이스 "IBidiSpl"의 API 함수 "IBidiSpl::SendRecv()"을 호출할 시에 인수들로서 지정된다.
도 19에 있어서,"SystemInfo"는 노드 타입 "Property"를 가지며, 시스템 정보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SystemInfo"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SystemInfo"다. 시스템의 정보가 취득될 경우, "¥Printer.SystemInfo"가 지정된다.
"[Component]"은 노드 타입 "Property"를 가지며, 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종류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Component]"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SystemInfo.[Component]"이다. 허용된 값은 제본부를 나타내는 "BookMaker"이다. 제본부와 관련된 정보가 취득될 경우, "¥Printer.SystemInfo.BookMaker"가 지정된다. "Installed"는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Boolean"을 가지며, [Component]종의 컴포넌트가 탑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Installed"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SystemInfo.[Component]:Installed"이다. 허용된 값들은 [Component]종의 컴포넌트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True", 및 [Component]종의 컴포넌트가탑재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False"이다.
"Name"은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String"을 가지며, [Component]종의 컴포넌트의 명칭을 나타낸다. 스키마의 "Name"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SystemInfo.[Component]:Name"이다. 허용된 값들은, 예컨대 도 19의 "예들"에 나타낸 ASCII 문자열들이다.
여기서, "Installed" 및 "Name"의 값들은 LM(36) 또는 프린터(3)로부터 유틸리티(30)에 반환되는 값들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틸리티(30)은 도 19에 정의되 어 있는 스키마를 사용하여, 프린터(3)의 시스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3∼도 15, 및 도 19에 정의되어 있는 스키마를 사용하여 잉크의 정보 및 상태, 동작 상태, 하드웨어의 정보, 급지부의 정보, 배지부의 정보, 및 시스템의 정보를 열거할 때의 스키마 및 그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31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한다. 도 20에서, 도 31 및 도 16에 기술된 스키마 정의와 상이한 스키마 정의는 점선 박스로 둘러싸여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유틸리티(30)로부터의 각 스키마의 루트는 지정되어 있으며, "IBidiSpl::SendRecv()" 함수가 호출된다. 스키마의 루트는, 예컨대 "¥Printer.InkInfo, "¥Printer.StatusInfo", "¥Printer.HardwareInfo", "¥Printer.InputBinsInfo", "¥Printer.OutputBinsInfo", 및 "¥Printer.SystemInfo"로서 기술된다.
다음, "Query"(Schema)란에 있어서, DEF사의 "model-D"의 정보 및 상태를 나타내는 스키마("Retrieve"(Schema))와 값("Retrieve"(Value))이 세트로 반환된다. 도 20에 나타낸 예는,DEF사의 "model-D"가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 포토 시안, 포토 마젠타, 및 레드 잉크들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도 20은 각 잉크의 잔량 상태가 각각 "Low(잉크 잔량 적음)", "Full(잉크 가득참)", "Full(잉크 가득참)", "Out(잉크 없음)", "Low(잉크 잔량 적음)", "Out(잉크 없음)", 및 "Full(잉크 가득참)"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도 20은 각 잉크의 명칭이 각각, "DEF ink-b black", "DEF ink-c cyan", "DEF ink-m magenta", "DEF  ink-y yellow", "DEF ink-pc photo cyan", "DEF ink-pm photo magenta", 및 "DEF ink-r red"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도 20은 동작 상태가 "온라인"이며 "대기" 모드인 것을 나타낸다. 탑재되어 있는 메모리의 사이즈는 10MB이며, 탑재되어 있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사이즈는 20GB이다. 또한, "duplex unit"으로 명명되는 양면부의 옵션이 인스톨되어 있다. 또한,도 20은 급지부로서 "asf-A"로 명명되는 자동 급지기와 "cassette-A" 및 "cassette-B"로 명명되는 카세트들을 나타낸다. 또한,"Tray-A", "Tray-B", "Tray-C", 및 "Tray-D"로 명명되는 트레이들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20은 "auto book maker"로 명명되는 제본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유틸리티(30)는 이러한 방식으로 스키마를 사용하여 정보를 열거하고, 그 스키마에 의해 기술되는 프린터의 모든 상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16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새로운 기능으로서 레드 잉크 및 제본부가 추가되어 있다.
도 21은 PC(1)와 프린터(3)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PC(1)와 프린터(3)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이진 데이터이다. 그러나, 도 21에서는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 데이터는 ASCII 문자 코드로 인코딩한 후의 텍스트 데이터로서 기술되어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PC(1)이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PC로부터 발행되는 요청 명령"란의 명령을 DEF사의 "model-D"에 발행하면,"프린터로부터 반환되는 정보"란의 정보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model-D"로부터 PC에 반환된다.
도 21에서, "ReqInk;"는 잉크의 정보 및 상태를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여기서,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각각, "Color", "Model Name", 및 "State", "Black", "ink-b", "Low"; "Cyan", "ink-c", "Full"; "Magenta", "ink-m", "Full"; "Yellow", "ink-y", "Out"; "PhotoCyan", "ink-pc", "Low"; "PhotoMagenta", "ink-pm", "Out"; 및 "Red", "ink-r", "Full"의 순서로 기술되어 있다.
또한,"ReqMemory;"는 메모리의 사이즈를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10" (단위:MB)을 나타낸다. 또한,"ReqHDD;"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사이즈를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20" (단위:GB)을 나타낸다.
또한, "ReqStatus;"는 동작 상태를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동작 상태로서 "온라인"을 나타낸다. "ReqOption;"은 옵션을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인스톨되어 있는 옵션이 "양면부"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ReqInputBins;"는 급지부를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급지부의 정보가 "asf-A", "Cassette-A", 및 "Cassette-B"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ReqOutputBins;"는 배지부를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배지부가 "Tray-A", "Tray-B", "Tray-C", 및 "Tray-D"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ReqSystem;"은 시스템을 요청하는 명령을 나타낸다. 프린터(3)로부터 반환되는 응답은 시스템(컴포넌트)이 "auto book maker"인 것을 나타낸다.
도 20에서는, 예컨대 "Retrieve(Schema)"가 "¥Printer.InkInfo.Black:Name"이고 "Retrieve(Value)"가 "DEF ink-b black"이도록 기술에 의해 잉크의 명칭이 반환된다.
이것은, "PC로부터 발행되는 요청 명령"이 "ReqInk;"이며 "프린터로부터 반환되는 정보"가 "AnsInk:black.ink-‥ink-r.Full;"이라는 정보에 기초한 DEF사의 랭귀지 모니터에 의한 처리에 따라 기술된다. 여기서, DEF사의 랭귀지 모니터는 "프린터로부터 반환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잉크의 명칭을 생성하고, 생성된 잉크의 명칭을 유틸리티(30)에 반환한다.
따라서, 랭귀지 모니터(LM(36))는 취득된 정보를 그대로 유틸리티(30)에 반환하지 않고 취득된 정보를 적절한 정보로 변환하여, 프린터(프린터(3))로부터 취득된 정보가 프린터 매니저(유틸리티(30))에 반환되도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2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유틸리티(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 실시예에서는, 도 22 및 도 18에 나타낸 유틸리티(30)의 프린터 정보 표시부(45)의 사양의 일부가 변경된다. 도 22에서, 메인 윈도우(42), 프린터 표시부(43), 및 잉크 정보 표시부(44)는 도 12 및 도 18에 나타낸 것들과 동일하다. 도 22에서, 프린터 표시부(43)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프린터를 표시하고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도 22에서, 잉크 정보 표시부(44) 및 프린터 정보 표시부(45)는 DEF사의 모델명 "model-D"를 갖는 프린터의 정보 및 상 태를 표시하고 있다.
프린터 정보 표시부(45) 내의 상태(Status:) 표시부에는,"Error"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것은 프린터로부터 에러를 나타내는 정보가 통지되도록 하기 위해 표시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8의 유틸리티(30)는, 에러를 나타내는 정보가 통지되는 경우, 도 18의 상태(Status:) 표시부에 도 22에 나타낸 바와 동일한 " Error"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도 22에서,상세 정보 표시 버튼(상세)(46)은 제3 실시예의 특징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선 박스로 둘러싸인 경고나 에러를 나타내는 새로운 스키마가 정의되는 경우에, 상태 표시부에 전부 표시될 수 없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세 정보 표시 버튼(46)은, 이러한 상태 표시부에 전부 표시될 수 없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나 상세 정보가 표시되기를 원하는 경우에 유효하게 되어 하이라이트된다. 상세 정보 표시 버튼(46)은 그외 경우들에는 동작불능으로 되고, 이러한 그외의 경우들에는 그레이 처리된다. 또한,경고나 에러를 나타내는 정보가 통지되는 경우, 상세 정보 표시 버튼(46)은 노란색이나 적색으로 점등시키거나 깜빡거리게 할 수 있다. 상세 정보 표시 버튼(46)이 유효하게 되어 눌러지면,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세 정보 다이얼로그 박스가 표시된다.
도 23은 상세 정보 다이얼로그 박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도 22에 나타낸 상세 정보 표시 버튼(46)이 눌러지면, 상세 정보 다이얼로그 박스(47)가 표시된다. 상세 정보 표시부(48)에는, 프린터의 동작 상태에 대 한 상세 정보가 표시된다. 상세 정보 표시부(48)에는, 도 24의 "Detail"의 정의의 "Examples:"에 기술된 정보가 표시된다. OK 버튼(49)이 눌러지면, 상세 정보 다이얼로그 박스는 폐쇄되고, 표시는 도 22에 나타낸 메인 윈도우(42)로 복귀한다.
도 24는 유틸리티(30)가 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취득할 때 사용되는 스키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스키마는, 유틸리티(30)가 프린팅 및 프린트 스풀러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LM(36)(랭귀지 모니터)을 거쳐 프린터(3)(프린터)로부터 동작 상태를 취득할 때에, Windows(등록상표)XP OS에서 사용될 수 있는 COM 인터페이스 "IBidiSpl"의 API 함수 "IBidiSpl::SendRecv()"을 호출할 시에 인수들로서 지정된다. 여기서, 종래의 유틸리티에 의해 표시될 수 없는 정보는 점선 박스로 둘러싸여 있다. 도 24는 도 7을 참조하여 기술되어 있는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고, 도 32에 나타낸 것과 상이한 내용은 점선 박스로 둘러싸여 있다.
도 24에서,"StatusInfo"는 노드 타입 "Property"를 가지며,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StatusInfo"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StatusInfo"이다. "[Type]"은 노드 타입 "Property"를 가지며, 동작 상태의 종류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Type]"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StatusInfo.[Type]"이다. 허용된 값들은 온라인 상태를 나타내는 "Online", 오프라인 상태를 나타내는 "Offline", 인쇄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Printing", 경고를 나타내는 "Warning", 및 에러를 나타내는 "Error" 이다. 온라인 상태에 있는 프린터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가 취득될 경우, "¥Printer.StatusInfo.Online" 이 지정된다.
"Detail"은 노드 타입 "Value" 및 데이터 타입 "String"을 가지며, [Type]종 의 동작 상태의 상세 정보를 나타낸다. 스키마의 "Detail"에 대한 풀 패스는 "¥Printer.StatusInfo.[Type]:Detail"이다. 허용된 값들은, 예컨대 도 24의 "예들" 에 나타낸 ASCII의 문자열이다. "Detail"의 값은 LM(36)(랭귀지 모니터) 또는 프린터(3)(프린터)로부터 유틸리티(30)에 반환되는 값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틸리티(30)는 도 24에 정의되어 있는 스키마를 사용하여, 프린터(3)(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취득할 수 있다.
도 25는 도 13∼도 15, 도 19, 및 도 24에 정의되어 있는 스키마를 사용하여, 잉크의 정보 및 상태, 동작 상태, 하드웨어의 정보, 급지부의 정보, 배지부의 정보, 및 시스템의 정보를 열거할 때의 스키마 및 그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31, 도 16, 및 도 20을 참조하여 기술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한다. 도 25에서, 도 20에 나타낸 것과 상이한 내용은 점선으로 둘러싸여 있다. 도 25를 참조하여, 도 20과 상이한 내용을 설명한다.
도 25를 참조하면,유틸리티(30)를 사용하여 "¥Printer.StatusInfo"의 스키마 루트가 지정되고 "IBidiSpl::SendRecv()"함수가 호출되면("Query"(Schema)란에서), DEF사의 "model-D"의 정보 및 상태를 나타내는 스키마(Retrieve (Schema))와 값(Retrieve(Value))이 세트로 반환된다. 도 25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온라인 상태이며 대기 모드인 "model-D"가 용지없음 에러 상태로 변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6은 PC와 프린터(3)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PC와 프린터(3)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이진 데이터이다. 그러나, 도 26 에는,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해, 상기 데이터는 ASCII 문자 코드로 인코딩한 후의 텍스트 데이터로서 기술되어 있다. 도 26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한다. 도 26에서, 도 21에 나타낸 것과 상이한 내용은 점선 박스로 둘러싸여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도 21과 상이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PC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PC로부터 발행되는 요청 명령"란의 명령을 DEF사의 "model-D"에 발행하면,"프린터로부터 반환되는 정보"란의 정보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model-D"로부터 PC에 반환된다. 이 정보에 관하여, "ReqStatus;"는 동작 상태 요청 명령을 나타내고, 상기 명령에 대한 응답은 용지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용지없음 에러를 나타낸다.
도 2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에 의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유틸리티(30)가 기동되면(단계 S3601), 도 6에 나타낸 LM(36)(랭귀지 모니터)에 의해 행해지는 통지 서비스의 인터럽션이 허가된다(단계 S3602). 다음, 유틸리티(30)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윈도우를 표시한 후(단계 S3603), 메시지 루프를 작성한다(단계 S3604). 단계 S3605에서,유틸리티(30)는 도 7의 단계 S2404에서 LM(36)(랭귀지 모니터)으로부터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로 보내진 통지에 대해 인터럽션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3605에서 통지의 인터럽션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유틸리티(30)는 통지된 스키마의 루트, 즉, 통지에 관한 정보를 취득해서 저장한다(단계 S3606). 다음,유틸리티(30)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통지에 따른 정보의 취 득및 갱신의 처리를 행한다(단계 S3607).
유틸리티(30)는 단계 S3604에서 작성된 메시지 루프가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608). 수신된 메시지가 "종료" 메시지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단계 S3609),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에 의한 모든 처리를 종료하고, 처리는 유틸리티(30)를 종료한다(단계 S3613).
단계 S3609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종료" 메시지가 아닌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유틸리티(30)는 단계 S3610에서 상세 정보 표시 버튼(46)이 눌러질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 단계는, LM(36)으로부터 취득될 스키마 루트(취득 방법)를 사용하여 LM(36)이 유지하는 정보를 유틸리티(30)가 취득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게 한다. 다음,상세 정보 표시 버튼(46)이 눌러진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단계 S3610), 단계 S3606에 저장되어 있는 "StatusInfo"의 스키마, "¥Printer. StatusInfo"가 로딩되고(단계 S3611), 그 후 처리는 단계 S3607로 진행한다.
단계 S3610에서,수신된 메시지가 상세 정보 표시 버튼(46)이 눌러진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 외의 메시지인 경우, 각 메시지에 대응하는 처리가 행해지고(여기에서는 처리의 상세 설명은 생략된다)(단계 S3612), 처리는 단계 S3605로 복귀한다.
단계 S3608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없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 S3605로 복귀한다. 단계 S3605에서 통지의 인터럽션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 S3608로 진행한다.
따라서, 상세 정보 표시 버튼(46)이 눌러진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 는 경우,즉 상세 정보 표시 버튼(46)이 눌러지는 경우, 유틸리티(30)는 LM(36)(랭귀지 모니터)로부터 프린터(3)(프린터)의 동작 상태를 취득한다. 이에 의해,프린터 매니저(유틸리티(30))는 LM(36)(랭귀지 모니터)으로부터 불필요한 정보의 취득을 시도하지 않는다. 즉, 유틸리티(30)는 "필요할 때에" 필요한 정보만을 적절히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인쇄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8은 다른 인쇄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다. 도 28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주변 장치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4)에, 네트워크-레디(network-ready) 프린터(7)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8에서, PC(2)에 사용되는 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는 네트워크-레디 프린터(7)의 정보 및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PC(1) 내의 LM(36)에 의해 행해질 수 있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처리의 일부는 이를 대체하여 네트워크-레디 프린터(7)에 의해 행해진다. 여기서, 이러한 처리의 일부는 프린터(7)의 펌웨어에 실장되어 처리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레디 프린터(7)를 제어하는 PC(2) 내의 랭귀지 모니터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지 서비스의 처리를 행하여 상기 처리의 일부를 행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관련된 처리의 일부를, LM(36)에 실장하지 않고 프린터의 펌웨어에 실장함으로써, 프린터는 LM(36)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처리의 일부를 행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9는 정보 처리 장치 및 주변 장치로 구성되는 주변 장치 제어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9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주변 장치 제어 시 스템이 네트워크(4)상에서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PC와 프린터만으로 구성되는 로컬 포트 접속 환경에서 실현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9에서,유틸리티(10)는 PC(1) 내에 인스톨된다. 유틸리티(10)는 PC(2) 내에 인스톨된 유틸리티(30)와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프린팅 및 프린트 스풀러 인터페이스들은 유틸리티(10)와 LM(36) 사이에 구성된다. 이 프린팅 및 프린트 스풀러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유틸리티(10)(프린터 매니저)와 LM(36)사이에서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데이터 통신이 행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유틸리티(30)가 프린터(3)에 탑재되어 있는 잉크의 정보 및 상태, 주변 장치의 동작 상태, 경고, 에러의 상태, 옵션의 인스톨 상태를 모니터 링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프린터에 관련된 임의의 정보를 취득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프린팅 및 프린트 스풀러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비디 커뮤니케이션 스키마(Bidi Communications Schema)를 이용하여 실현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MIB 및 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Universal Plug and Play; UPnP) 등 전술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프로토콜 등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현에 있어서는, 표준 사양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범용적인 시스템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프린터의 예로서 컬러 잉크젯 프린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모노크롬 LBP 등의 임의의 프린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서버 컴퓨터로서 퍼스널 컴퓨터가 상정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DVD 비디오 플레이어, 게임기, 셋탑(set top) 박스, 및 인터넷-레디 가전 등 전술한 것과 동일한 사용법으로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단말기를 이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한,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주변 장치의 예로서 프린터가 상정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는, 복사기, 팩시밀리,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및 이들의 복합 기능을 구비한 장치 등의 다른 주변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OS로서 Windows(등록상표) XP가 상정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는 임의의 OS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4)의 구성예로서 이더넷(등록상표)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네트워크는 다른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PC(1)와 프린터(3)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USB 인터페이스가 이용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더넷(등록상표), 무선 LAN, IEEE 1394 버스, 블루투쓰, IrDA, 병렬, 시리얼 등의 임의의 인터페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는,유틸리티(30)(프린터 매니저)가 스키마의 루트를 취득하는 타이밍은, 도 9의 단계 S2505 및 도 27의 단계 S3605에 도시한 바와 같이,하부측(LM(36) 및 프린터(3))으로부터의 통지에 기초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유틸리티(30)가 스키마의 루트를 획득하는 타이밍은 더욱 응용된 타이밍 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유틸리티(30) 내에 이벤트의 인터럽션의 발생을 허용하고, 유틸리티(30)가 주기적으로 LM(36) 또는 프린터(3)에, 취득할 루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조회를 발행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유틸리티(30)의 UI에 루트의 취득을 위한 버튼을 제공하고, 버튼이 눌러진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있는 경우에, 새롭게 취득해야 할 루트(취득 방법)의 존재가 유틸리티(30)로부터 LM(36) 또는 프린터(3)로 취득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도 3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유틸리티(30)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3006의 상세한 처리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0의 흐름도에 나타낸 단계들과 동일한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30의 흐름도를 상술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단계 S3001에서 프린터 매니저가 기동되면,단계 S3002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메인 윈도우가 표시된다. 그 후, 매 5초마다 인터럽션 이벤트의 처리가 개시된 후, 단계 S3004에서 메시지 루프가 작성된다.
다음으로,단계 S3005에서는, 인터럽션 이벤트가 발생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인터럽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단계 S3006에서 도 14에 나타낸 정보의 취득과 갱신이 행해진다. 단계 S3007에서는, 단계 S3004에서 작성된 메시지 루프가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다음, 단계 S3008에서는, 수신된 메시지가 "종료" 메시지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3008에서 수 신된 메시지가 "종료" 메시지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단계 S3010에서, 프린터 매니저에 의한 모든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단계 S3008에서,수신된 메시지가 "종료" 메시지 이외 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각 메시지에 대응하는 처리가 행해지고(단계 S3009), 그 후, 처리는 단계 S3005로 복귀한다. 단계 S3007에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S3005로 복귀한다. 단계 S3005에서 인터럽션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S3007로 진행한다.
[제5 실시예]
또한, 스키마 취득 방법인 루트가 취득되면, 그 루트는 파일에 기입되고, PC가 재부팅될 때 그 루트가 재사용될 수 있는 형식으로 저장되며, 그 후 프린터 매니저는 이 루트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유틸리티(30)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그외 실시예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하는 기억 매체를 갖는 시스템 또는 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CPU 또는 MPU)에 의해 상기 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하고 실행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상기 기억 매체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각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각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다.
이 경우,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되는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들을 실현하고, 이에 따라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상기 코드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한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를 공급하기 위한 기억 매체로서는, 예컨대 플렉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 메모리 카드, 및 ROM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들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주어진 지시에 기초하여,OS(오퍼레이팅 시스템)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함으로써도 실현될 수 있다.
또한,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기억 매체로부터 판독되는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부에 제공되는 메모리에 기입되는 경우, 기능 확장 보드나 기능 확장부에 제공되는 CPU 등이 실제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능을 실현한다.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는 모든 변경, 균등 구조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상치 않은 새로운 종류의 정보가 추가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보다 유연하게 인쇄 장치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정보 요청 또는 이벤트 등록을 이용하여 통신 채널을 통해 인쇄 장치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 유지하는 랭귀지 모니터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유지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 방법으로서 스키마의 루트(route of schema)를 상기 랭귀지 모니터로부터 획득하는 획득 단계;
    상기 획득된 스키마의 루트에 따라 상기 유지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 및
    상기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가 표시를 행하게 하는 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랭귀지 모니터는,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취득된 유지 정보를, 상기 스키마의 루트에 기초하는 획득 요청에 응답하는 형식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스키마의 루트에 따라 상기 유지된 정보를 취득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득 단계는, 상기 판정 단계에서 행해진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마의 루트는, 상기 랭귀지 모니터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취득된 정보에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랭귀지 모너터에 의해 능동적으로 통지되고 상기 획득 단계에서 획득되는 정보 처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마의 루트는 상기 변환되고 유지된 정보의 루트인 정보 처리 방법.
  6. 정보 요청 또는 이벤트 등록을 이용하여 통신 채널을 통해 인쇄 장치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 유지하는 랭귀지 모니터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유지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취득 방법으로서 스키마의 루트를 상기 랭귀지 모니터로부터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획득된 스키마의 루트에 따라 상기 유지된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 및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유지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가 표시를 행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랭귀지 모니터는,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취득된 유지 정보를, 상기 스키마의 루트에 기초하는 획득 요청에 응답하는 형식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정보를 유지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스키마의 루트에 따라 상기 유지된 정보를 취득할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취득부는, 상기 판정부에 의해 행해진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유지된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마의 루트는, 상기 랭귀지 모니터에 의해 상기 인쇄 장치로부터 취득된 정보에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랭귀지 모니터에 의해 능동적으로 통지되고 상기 획득부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마의 루트는, 상기 변환되고 유지된 정보의 루트인 정보 처리 장치.
KR1020060076227A 2005-08-12 2006-08-11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851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227A KR100851117B1 (ko) 2005-08-12 2006-08-11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34620 2005-08-12
JPJP-P-2006-00194350 2006-07-14
KR1020060076227A KR100851117B1 (ko) 2005-08-12 2006-08-11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615A KR20070019615A (ko) 2007-02-15
KR100851117B1 true KR100851117B1 (ko) 2008-08-08

Family

ID=4163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227A KR100851117B1 (ko) 2005-08-12 2006-08-11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11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1255A (ko) * 1987-12-26 1989-08-14 강진구 텍스트 단말과 팩시밀리 단말간의 상호 정보전송장치 및 방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1255A (ko) * 1987-12-26 1989-08-14 강진구 텍스트 단말과 팩시밀리 단말간의 상호 정보전송장치 및 방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615A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556B2 (en) Peripheral device control system, its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467326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ジョブチケット生成方法
JP4810318B2 (ja) ポートモニタプログラム、データ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記憶媒体
US81395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4541579B2 (ja) 印刷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印刷装置、データ提供方法及び記憶媒体
US9377972B2 (en) Host device,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of solving error of image forming appartus
JP5581738B2 (ja) 印刷を行うための方法、装置及び記録媒体
US20030231328A1 (en) Multiple printer driver
JP5047067B2 (ja) 情報処理装置、データ出力システム、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RU234632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US763340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09059364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データ記憶媒体及び方法
US20200356319A1 (en) Server system,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10838674B2 (en) Server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US7246153B2 (e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device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memory medium storing program
EP2175360A2 (en) Print control apparatus and printticket control method
KR100851117B1 (ko)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0330734A (ja) ネットワークプリント方法および該方法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プリントシステム
JP510079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65885B2 (ja) 印刷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ネットワーク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8155483A (ja) ネットワークプリンタ、ネットワークプリントシステムおよびプリンタドライバ
KR20230061655A (ko) 제공하는 기능에 따라서 모델 명칭을 변경
JP2011221889A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インストーラ、インストール方法、およびインストールプログラム
JP2009172828A (ja) 画像形成装置、データ転送方法、及びデータ転送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