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895B1 - 이동단말기 및 그 자원 공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자원 공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0895B1
KR100850895B1 KR20060088090A KR20060088090A KR100850895B1 KR 100850895 B1 KR100850895 B1 KR 100850895B1 KR 20060088090 A KR20060088090 A KR 20060088090A KR 20060088090 A KR20060088090 A KR 20060088090A KR 100850895 B1 KR100850895 B1 KR 100850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pecific service
device management
servic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8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936A (ko
Inventor
타네모치 무니스와미
오다요쓰 수닐 파란가트
시리쉬 트리푸라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088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895B1/ko
Publication of KR20080023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89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버에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단계와,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서비스의 종류, 특정 서비스의 허용여부 또는 단말기의 사용가능 상태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트리 구조로 표시되는 정보 제공단계 및 단말기가 특정 서비스를 허용하는 경우에 단말기와 통신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공유방법을 제공한다.
이동통신단말기, 자원공유, 장치 관리, 프로토콜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자원 공유방법{Wireless terminal and method sharing resource for the sam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의 개념도이다.
도2는 도1의 장치 관리 서버가 저장하여 관리하는 서비스 트리의 일예이다.
도3은 도1의 장치 관리 서버가 저장하여 관리하여 그룹 트리의 일예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5a 내지 도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공유 방법의 서비스 진행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2, 14: 클라이언트 단말기 16: 장치 관리 서버
20: 이동통신단말기 22: 제어부
23: 메모리 24: 입력부
26: 표시부 28: 오디오처리부
30: 송수신부
본 발명은 다른 단말기의 자원을 활용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자원 공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 통신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었다. 이동단말기가 널리 사용되면서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단말기가 많아졌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동일한 기능 중 일부가 제공되지 않거나 서비스 중 일부가 불가능한 다른 종류의 단말기도 많았다.
특정 기능 또는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이동통신단말기는 동일한 기능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자원을 사용하여 특정 기능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필요성이 컸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단말기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자원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버에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단계와,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서비스의 종류, 특정 서비스의 허용여부 또는 단말기의 사용가능 상태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정보를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트리 구조로 표시되는 정보 제공단계 및 단말기가 특정 서비스를 허용하는 경우에 단말기와 통신하여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자원 공유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특정 서비스는 데이터 저장, 데이터 백업, 데이터 처리, 카메라 촬영, 이동방송 수신, 라디오수신, 오디오 또는 비디오 처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단말기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의 종류, 특정 서비스의 허용여부 또는 단말기의 사용가능 상태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단말기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의 종류, 특정 서비스의 허용여부 또는 단말기의 사용가능 상태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송수신부를 통해 서버에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고,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단말기의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와 통신하여 단말기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때, 특정 서비스는 데이터 저장, 데이터 백업, 데이터 처리, 카메라 촬영, 이동방송 수신, 라디오수신, 오디오 또는 비디오 처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의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10)는 다양 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2, 14)와, 장치 관리 서버(16), 이들을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통신망(18)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12, 14)는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단말기(12, 14)는 모든 기능과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비록, 클라이언트 단말기(12, 14)는 모든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성능이 다른 단말기와 비교하여 떨어질 수도 있다. 이 클라이언트 단말기(12, 14)는 장치 관리 서버(16)를 통해 사용가능하거나 공유가능한 자원들을 공개(publish)하고 다른 단말기에 사용을 허용한다. 반대로 이 클라이언트 단말기(12, 14)는 장치 관리 서버(16)를 통해 사용가능하거나 공유가능한 자원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장치 관리 서버(16)는 클라이언트 단말기(12, 14)에게 장치 관리 명령을 내리고 클라이언트 단말기(12, 14)는 주어진 명령을 수행한다.
장치 관리 서버(16)는 장치 관리 명령을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12, 14)에 설치된 응용 서비스의 파라미터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새로운 파라미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단말기(12, 14) 내부의 정보를 읽어낼 수 있으며, 응용 소프트웨어를 장치에 설치하고, 그것들의 실행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응용체계(OS)를 다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되는 장치 관리 프로토콜은 단말기(12, 14)의 자원을 장치 관리 서버(16)가 원격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프로토콜이다. 한편, 장치 관리 프로토콜을 통해 관리할 수 있는 자원을 관리 객체(Management Object)라고 한다. 장치 관 리 프로토콜을 통해 추가된 장치 관리 자원들 또는 서비스들은 이 관리 객체(MO)의 일부분에 포함된다.
도2는 장치 관리 서버가 저장하여 관리하는 서비스 트리의 일예이다.
장치 관리 서버(16)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2, 14)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의 종류, 그 특정 서비스의 허용여부, 사용가능 상태를 서비스 트리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도2를 참조하면, 장치 관리 서버(16)는 사용자명이 "리차드"인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특정 서비스의 종류,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 폰북용 백업, 카메라, FM 라디오, MP3 플레이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장치 관리 서버(16)는 각종 서비스의 허용여부를 "Allowed" 또는 "Not allowed" 형식으로 저장하고 있다. 또한, 장치 관리 서버(16)는 각종 서비스의 사용가능 상태를 "Enable" 또는 "Disable" 형식으로 저장하고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사용자명이 "리차드"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데이터 저장 및 폰북용 백업이 허용되며, 카메라 및 FM 라디오, MP3 플레이어는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명이 "리차드"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폰북용 백업이 허용되나 현재 사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사용자명이 리차드인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데이터 저장에 사용할 수 있다.
도3은 장치 관리 서버가 저장하여 관리하여 그룹 트리의 일예이다.
도3을 참조하면, 장치 관리 서버(16)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들과 각 단말기들의 사용가능 상태를 그룹 트리로 저장하여 관리한다. 즉, 장치 관리 서버(16)는 그룹명 "로얄" 그룹에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예를 들어 사용자명이 "리차드", "엘렌", "강"인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을 그룹 트리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
또한, 장치 관리 서버(16)는 그룹에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사용가능 상태를 "Enable" 또는 "Disable" 형식으로 저장하고 있다. 도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치 관리 서버(16)는 그룹명 "로얄" 그룹에 속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들 중 사용자명이 "리차드"와 "강"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사용가능하며, 사용자명이 "엘렌"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사용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2와 도3을 종합하여 참조하면, 예를 들어 그룹명 "로얄"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명이 "엘렌"과 "강"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장치 관리 서버(16)를 이용하여 사용자명이 "리차드"인 클라이언드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0)는 도1에서 설명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2, 14) 중 하나의 일예이다. 이 이동통신단말기(20)는 도1의 통신망(18) 중 무선통신망을 통해 장치 관리 서버(16)와 무선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로얄"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명이 "리차드", "엘렌" 및 "강"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음성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인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2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장치 관리 프로토콜은 이동통신단말기(20)의 자원을 장치 관리 서버(16)가 원격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하는 OMA(Open Mobile Alliance) 장치 관리 프로토콜이다.
한편, 장치 관리 서버(16)과 이동통신단말기(20) 간의 장치 관리 명령과 결과는 원격으로 XML에 기반한 마크업 언어인 SyncML 메시지를 HTTP, WSP, OBEX 등의 프로토콜을 통해 서로 전송된다. 또한, 장치 관리 트리라는 장치 관리 프로토콜만의 파일 시스템을 정의하고 각 노드를 URI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20)는 장치 관리 서버(16)에게 있어서 하나의 DM 트리로 나타난다. 아울러, 이동통신단말기(20)가 제공하는 자원들 또는 서비스들도 하나의 DM 트리로 나타난다.
이 이동통신단말기(20)는 제어부(22), 메모리부(23), 입력부(24), 표시부(26), 오디오처리부(28) 및 송수신부(30)를 포함한다.
제어부(22)는 전화통화,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 등의 이동통신단말기(20)의 각종 기능을 처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2)는 장치 관리 서버(16)으로부터 제공된 장치 관련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제어하며, 장치 관련 명령에 따른 결과를 장치 관리 서버(16)에 제공하는 것을 제어한다.
제어부(22)는 장치 관리 프로토콜을 통해 각종 서비스들의 기능 또는 능력을 퍼블리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2에 도시한 사용자명이 "리차드"인 이동통신단말기(20)가 도2에 도시된 서비스 트리에 폰북용 백업이 허용되나 메모리 용량이 부족하여 사용불가능하였으나, 메모리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불필요한 데이 터를 삭제하여 사용가능하게 되었을 때 폰북용 백업이 사용가능함을 장치 관리 서버(16)에 퍼블리쉬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명이 "리차드"인 이동통신단단말기(20)가 폰북용 백업이 사용가능함을 퍼블리쉬하면, 장치 관리 서버(16)는 변경된 서비스의 사용가능 여부를 서비스 트리에 업데이트한다.
다른 예로, 이동통신단말기(20)가 제한된 지역에 놓여져 있어 FM 라디오 수신 또는 카메라 촬영, 레코딩일 허용되지 않았거나 사용불가능하였다가 제한된 지역을 벗어나면, 이동통신단말기(20)는 이 변경된 정보를 장치 관리 서버(16)에 퍼블리쉬하고, 장치 관리 서버(16)는 변경된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트리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메모리(23)는 제어부(2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제어부(22)의 워킹 메모리(working momory)로 제공된다. 메모리(23)는 RAM 메모리, 플레쉬 메모리와 심카드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메모리(23)는 무선통신망(18)을 통해 장치 관리 서버(16)에 로그인할 수 있는 인증정보 또는 로그인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메모리(23)는 장치 관리 프로토콜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3)는 OMA 장치 관리 프로토콜을 실행하는 장치 관리 엔진 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22)는 메모리(23)에 저장된 이 장치 관리 엔진을 이용하여 장치 관리 서버(16)와 OMA 장치 관리 프로토콜로 통신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는 송수신부(30)를 통해 장치 관리 서버(16)에 특정 서비스 를 제공한 단말기의 검색을 요청하고, 장치 관리 서버(16)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한 타 단말기의 정보를 제공받아 타 단말기와 통신하여 단말기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타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는 데이터 저장, 데이터 백업, 데이터 처리, 카메라 촬영, 이동방송 수신, 라디오수신, 오디오/비디오 처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입력부(24)는 주변장치나 사용자와 소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특히, 입력부(24)는 다수의 키버튼이 형성된 키패드나 각종 방향키들이 형성된 네비게이션키, 회전량에 따라 입력이 선택되는 조그장치, 음성인식장치가 내장된 음성입력장치 등 일 수 있다.
입력부(24)는 장치 관리 서버(16)에 로그인하거나 장치 관리 서버(16)와 통신하여 다른 단말기의 자원을 공유하는데 필요한 각종 입력동작을 수행한다.
표시부(26)는 제어부(22)나 메모리(23), 입력부(24)의 각종 처리 및 제어동작, 각종 화상 등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6)는 장치 관리 서버(16)에 저장된 다른 단말기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의 종류, 그 특정 서비스의 허용여부, 사용가능 상태를 서비스 트리 형태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26)에 표시된 서비스 트리를 보고 입력부(24)를 이용하여 서비스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6)는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기들과 각 단말기들의 사용가능 상태를 그룹 트리 형태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26)에 표시된 그룹 트리를 보고 입력부(24)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28)는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를 이용하여 전화통화 또는 음성 녹음에 사용된다. 특히, 오디오처리부(28)는 공유되어 사용가능한 타 단말기에 음성정보를 제공하거나 타 단말기의 음성정보를 이용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송수신부(30)는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송수신부(30)는 베이스밴드 처리장치를 통해 제어부(22)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RF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처리장치를 통해 제어부(22)에 제공한다.
송수신부(30)는 장치 관리 서버(16)으로부터 제공된 장치 관련 명령을 수신하여 제어부(22)에 제공하고, 장치 관련 명령에 따른 결과를 장치 관리 서버(16)에 송신한다.
또한 송수신부(30)는 이동통신 기지국을 통하거나, 블루투스나 무선랜, 적외선 통신 등 근거리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타 단말기에 데이터나 정보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도5a 내지 도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공유 방법의 서비스 진행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공유 방법은 도1에 도시한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자원들을 서로 공유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장치 관리 서버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장치 관리 서버(16)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어떠한 종류 및 형식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도1에 도시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2, 14)일 수도 있으며, 도4에 도시한 이동통신단말기일 수 있다.
도5a 내지 도5d에서는 도1과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원공유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12, 14) 사이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 또는 기능 등의 자원은 위에서 설명한 데이터 저장, 폰북용 백업, 카라메, FM 라디오 수신, MP3 플레이어 등 다양하나 도5a 내지 도5d에서는 데이터 저장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5a를 참조하면, 사용자명이 "리차드"인 클라이언트 단말기(12)는 장치 관리 서버(16)에 개인적인 데이터를 백업할 백업용 공간을 요청한다.
도5b를 참조하면, 장치 관리 서버(16)는 도3의 그룹 트리 및 도2의 서비스 트리를 검색하여 사용자명이 "리차드"인 클라이언트 단말기(12)가 속하는 그룹의 클라이언트 단말기 중 데이터 저장 서비스를 허용하며 사용가능한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검색한다.
도5c를 참조하면, 장치 관리 서버(16)은 데이터 저장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예를 들어 사용자명이 "강"인 클라이언트 단말기(14)를 확인하고, 사용자명이 "강"인 클라이언트 단말기(14)에게 저장공간의 사용가능 여부와 근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쿼리한다.
도5d를 참조하면, 사용자명이 "강"인 클라이언트 단말기(14)가 데이터 저장 서비스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명이 "리차드"인 클라이언트 단말기(12) 와 "강"인 클라이언트 단말기(14) 사이 통신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 실시예에서, 장치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클라이언트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장치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자원을 공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장치 관리 포로토콜에 의해 단말기를 원격으로 관리하지 않는 서버라도 단말기의 특정 서비스 요청에 따라 다른 단말기의 허락을 얻어 다른 단말기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예를 들어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자원으로 공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유선통신망을 통해 이 유선통신망에 연결된 유선 단말기도 유선 또는 무선의 단말기의 자원을 공유할 수도 있다.
위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데이터 저장 등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단말기가 유선통신망에 연결된 프린터기를 공유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프린터기 자체가 장치 관리 서버의 객체로 등록되어 있거나 프린터기의 호스트 컴퓨터가 객체로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위 실시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들 중 우선권을 부여하지 않고 자원을 공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단말기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단말기에 우선권을 부여하고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른 단말기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단말기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버에 상기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는 요청단계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종류, 상기 특정 서비스의 허용여부 또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가능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트리 구조로 표시되는 정보 제공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특정 서비스를 허용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 제공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공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비스는 데이터 저장, 데이터 백업, 데이터 처리, 카메라 촬영, 이동방송 수신, 라디오수신, 오디오 또는 비디오 처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공유방법.
  3. 삭제
  4. 삭제
  5. 서버로부터 단말기가 제공하는 특정 서비스의 종류, 상기 특정 서비스의 허용여부 또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가능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단말기가 제공하는 상기 특정 서비스의 종류, 상기 특정 서비스의 허용여부 또는 상기 단말기의 사용가능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트리 구조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에 상기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특정 서비스를 제공할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비스는 데이터 저장, 데이터 백업, 데이터 처리, 카메라 촬영, 이동방송 수신, 라디오수신, 오디오 또는 비디오 처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삭제
  8. 삭제
KR20060088090A 2006-09-12 2006-09-12 이동단말기 및 그 자원 공유방법 KR100850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88090A KR100850895B1 (ko) 2006-09-12 2006-09-12 이동단말기 및 그 자원 공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88090A KR100850895B1 (ko) 2006-09-12 2006-09-12 이동단말기 및 그 자원 공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936A KR20080023936A (ko) 2008-03-17
KR100850895B1 true KR100850895B1 (ko) 2008-08-07

Family

ID=39412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88090A KR100850895B1 (ko) 2006-09-12 2006-09-12 이동단말기 및 그 자원 공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08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778B1 (ko) * 2007-11-06 2010-09-10 전자부품연구원 자율 리소스 공유를 위한 리소스 컴포저 및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421A (ko) * 2004-08-31 2004-09-18 김환철 이동 단말간 및 이동 단말과 고정 단말간의 멀티미디어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이동 단말 장치 및 자원 공유 기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421A (ko) * 2004-08-31 2004-09-18 김환철 이동 단말간 및 이동 단말과 고정 단말간의 멀티미디어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이동 단말 장치 및 자원 공유 기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936A (ko) 2008-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8654B2 (ja) モバイル通信デバイスのためのアイデンティティ情報を受信する方法、モバイル通信デバイスのためのアイデンティティ情報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モバイル通信デバイス
JP6273585B2 (ja) ジェネリックモバイルデバイスカスタマイズフレームワーク
US86761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nditioning mobile devices for network and other operations
US10880711B1 (en) Electronic subscriber identity module (eSIM) management platform
EP3609155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information sharing
WO2019119544A1 (zh) 嵌入式sim卡的数据访问的方法和设备
US11716612B1 (en) Bootstrap electronic subscriber identity module configuration
CN105916134A (zh) 用于选择引导eSIM的方法和装置
EP2638712B1 (en) Context-based dynamic policy system for mobile devices and supporting network infrastructure
CN103688564A (zh) 针对网络节点的自动接入
CN101204112A (zh) 用于在多模式通信系统中进行系统选择的系统、终端、网络实体、方法和计算机程序
CN104092723A (zh) 文件下载方法、装置及系统
CN102868593A (zh) 信息获取方法及终端
US962856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fficient discovery of devices in a peer-to-peer network
US9015791B2 (en) Method of managing web application policy using smart card, and web server and mobile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same
JP2012517040A (ja) クラウドコンピューティング環境において仮想化されたデータを送信する方法
EP3370401B1 (en) Data-updating system, remote setting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data
CN101339565A (zh) 与敌对系统共享的文件
KR20080070391A (ko)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0505930C (zh) 服务等级控制系统、服务等级控制服务器以及终端设备
KR20220057719A (ko) 캐리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85089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자원 공유방법
JP2009303144A (ja) 通信端末、管理サーバ、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JP5304473B2 (ja) 携帯端末装置の機能設定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情報端末機器、機能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130612A1 (ja) サーバ装置、通信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