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996B1 -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996B1
KR100848996B1 KR1020067024829A KR20067024829A KR100848996B1 KR 100848996 B1 KR100848996 B1 KR 100848996B1 KR 1020067024829 A KR1020067024829 A KR 1020067024829A KR 20067024829 A KR20067024829 A KR 20067024829A KR 100848996 B1 KR100848996 B1 KR 100848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elevator
fire
laye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542A (ko
Inventor
키요지 카와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2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996B1/ko
Publication of KR20070024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은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한 화재 감지기와 엘리베이터와의 위치 관계를 구하고, 위치 관계로부터 피난 운전 시간을 계산하는 피난 시간 산출 수단과,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화재 발생층을 특정하는 화재층 특정 수단과, 잔류자의 수를 각 계층에 대응시켜서 입력하기 위한 잔류자 수 입력 수단과, 피난 시간 산출 수단, 화재층 특정 수단 및 잔류자 수 입력 수단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피난 운전 시간내의 피난 운전에 의해 잔류자를 피난층으로 운반할 때의 피난 운전 스케줄을 각 계층에 대하여 책정하는 스케줄 책정 수단과,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SYSTEM FOR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AND METHOD OF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본 발명은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건물내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피난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재 경보기의 작동 검출시부터 소정의 운전 제어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의 동안에 화재 경보기 작동층과 미리 정해진 퇴피층에만, 엘리베이터 칸이 정지 가능하게 되도록 엘리베이터를 운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 시스템에서는 소정의 운전 조건이 만족된 후에는 엘리베이터 칸이 퇴피층으로 되돌려져 정지되게 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소 58-52171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관제 운전 시스템에서는 화재 경보기 작동층 이외의 다른 층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퇴피층으로 운반할 수 없기 때문에, 잔류자를 퇴피층에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에, 건물내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효율적으로 구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및 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은 복수의 계층을 갖는 건물내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화재 검출 동작을 행했을 때에,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전에 의해 건물내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피난층으로 운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으로서,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한 화재 감지기와 엘리베이터와의 위치 관계를 구하고, 이 위치 관계로부터 피난 운전 시간을 산출하는 피난 시간 산출 수단,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화재 발생층을 특정하는 화재층 특정 수단, 잔류자의 수를 각 계층에 대응시켜서 입력하기 위한 잔류자 수 입력 수단, 피난 시간 산출 수단, 화재층 특정 수단 및 잔류자 수 입력 수단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피난 운전 시간내의 피난 운전에 의해 잔류자를 피난층으로 운반할 때의 피난 운전 스케줄을 각 계층에 대해 책정하는 스케줄 책정 수단,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화재 관제 운전 시스템 이 적용된 건물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건물을 나타내는 주요부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표시부에 표시되는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낸 표시부에 표시되는 피난 운전 스케줄 내용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도 4의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8은 도 4의 구출 순서 책정 수단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9는 도 4의 처리부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0은 도 4의 처리부에 의해 책정된 피난 운전 스케줄에 대한 표시부의 표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1은 관제 운전시에 있어서의 피난 운전 여부의 판단을 행할 때의 도 4의 처리부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2는 피난 운전시에 있어서의 운전 계속 가부의 판단을 행할 때의 도 4의 처리부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3은 열차 방식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도 4의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4는 택시 방식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도 4의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5는 이상 발생에 대한 도 4의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전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이 적용된 건물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계층을 갖는 건물(1)에는 저층 뱅크의 엘리베이터(2), 중층 뱅크의 엘리베이터(3) 및 고층 뱅크의 엘리베이터(4)가 설치되어 있다. 건물(1)은 지하실(도시 생략)을 갖는 지상 30층 건물의 고층건축물이다. 저층 뱅크의 엘리베이터(2)는 1 ~ 10층의 각 계층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5)을 갖고 있다. 중층 뱅크의 엘리베이터(3)는 1층 및 10 ~ 20층의 각 계층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6)을 갖고 있다. 고층 뱅크의 엘리베이터(4)는 1층 및 20 ~ 30층의 각 계층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7)을 갖고 있다. 또, 10층 및 20층은 환승층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건물(1)을 나타내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또,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2 ~ 도 4에 있어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도 1에 나타내는 저층 뱅크의 엘리베이터(2) 및 중층 뱅크의 엘리베이터(3)를 생략하고 있다. 또, 이하, 엘리베이터(4)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겠으나, 엘리베이터(2, 3)의 구성 및 동작도 엘리베이터(4)와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건물(1)에는 승강로(8)와, 승강로(8)의 상부에 배치된 기계실(9)(도 2 및 도 4)과, 수평면내에 있어서 승강로(8)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각 계층 사이를 이동하기 위한 한 쌍의 비상 계단(10)(도 3)이 설치되어 있다.
각 계층(2층 ~ 30층)에는 격벽(11)에 의해 서로 구획된 복수의 방(12)과, 엘리베이터(4)에 인접하는 승강장(15)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15)은 일부의 방(12)과 인접하여 격벽(14)에 의해 이들 방(12)으로 나뉘어져 있다. 격벽(11, 14)에는 화재시의 연소 등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문(1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지상 1층은 화재 대책이 특별히 이루어진 계층으로서 화재시에 피난하기 위한 피난층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환승층을 피난층으로 해도 된다.
고층 뱅크의 엘리베이터(4)는 수평 방향에 대해 서로 나란히 배치된 제 1 엘리베이터호기(17a) ~ 제 4 엘리베이터호기(17d)(복수 대의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를 갖고 있다(도 3 및 도 4). 각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는 기계실(9)내에 설치된 권상기(18)와, 권상기(18)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8)내를 승강되는 엘리베 이터 칸(7) 및 균형추(19)를 갖고 있다. 각 권상기(18)의 구동 쉬브(20)에는 엘리베이터 칸(7) 및 균형추(19)를 매다는 메인 로프(21)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7) 및 균형추(19)는 구동 쉬브(20)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8)내를 승강된다.
각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에는 각 계층의 승강장(15)과 승강로(8)내를 연통하는 복수의 승강장 출입구(22)와, 각 승강장 출입구(22)를 개폐하는 승강장의 문(23)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7)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4)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4)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문(25)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7)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문(25)을 구동하는 도어 구동 장치(도시 생략)가 탑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7)이 각 계층에 착상되어 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문(25)이 도어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장의 문(23)과 함께 이동되고, 승강장 출입구(22)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4)가 개폐된다. 또한, 승강장(15)과 엘리베이터 칸(7)내를 연통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는 승강장 출입구(22) 및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4)를 갖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는 승강장의 문(23) 및 엘리베이터 칸의 문(25)을 갖고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7)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이 완료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28)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7)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7)내의 중량을 검출하기 위한 저울 장치(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엘리베이터 칸(7)내에는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30) 및 엘리베이터 칸내 경보 장치(31)가 설치되어 있다(도 2).
각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30)에는 행선지층을 지정하기 위한 복수의 행선지층 버튼(32)과,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문 개방 버튼(33)(조작 버튼) 및 문 폐쇄 버튼(조작 버튼)(34)이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30)내에는 뚜껑을 열음으로써 조작 가능한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내 경보 장치(31)는 엘리베이터 칸(7)내에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표시 수단)(36)와, 엘리베이터 칸(7)내에의 정보를 음성에 의해 알리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내 스피커(37)를 갖고 있다(도 2). 또한, 승강로(8)내에는 각 엘리베이터 칸(7)이 각 승차장(15)에 착상한 것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스위치(38)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9)내에는 엘리베이터(4)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엘리베이터 제어 수단)(39)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는 각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의 운전을 통괄하여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는 각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의 권상기(18), 도어 구동 장치, 도어 스위치(28), 저울 장치(29), 엘리베이터 칸 조작반(30), 엘리베이터 칸내 경보 장치(31)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스위치(38)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승강로(8)내의 꼭대기부 및 기계실(9)내에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내 화재 감지기(40)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승강장(15) 및 각 방(12)에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건물내 화재 감지기(41)가 설치되어 있다.
각 승강장(15)에는 승강장 경보 장치로서의 승강장 스피커(42)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스피커(42)는 각 승강장(15)에의 정보를 음성에 의해 알리게 되어 있 다.
건물(1)의 지하실에는 방재에 관한 설비 기기의 감시 및 제어를 집중적으로 행하기 위한 방재 센터(중앙 관리실)(45)가 설치되어 있다(도 2 및 도 4). 방재 센터(45)에는 건물(1)에 있어서의 화재의 발생 유무를 감시하는 방재 관리반(46)과, 방재 관리반(46)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2 ~ 4)의 운전을 감시하는 엘리베이터 관리반(47)과, 방재 관리반(46)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방송 설비(48)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관리반(47)으로서는 예를 들면 PC 등이 이용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 중에서, 엘리베이터 관리반(47)의 운전 관리에 대한 설명은 엘리베이터(2 ~ 4) 어느 것에 대해서도 동일하므로, 엘리베이터(4)에 대한 운전 관리에만 대해서 행한다.
방송 설비(48)는 방재 센터(45)에서 취득한 정보를 각 승강장(15)에 제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방재 센터(45)에서의 정보는 각 승강장 스피커(42)를 통하여 각 승강장(15)에 통지된다.
방재 관리반(46)에는 건물(1)내에 있어서의 각 엘리베이터내 화재 감지기(40) 및 각 건물내 화재 감지기(41)의 위치의 정보가 화재 감지기 위치 정보로서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 방재 관리반(46)에는 각 엘리베이터내 화재 감지기(40) 및 각 건물내 화재 감지기(41)의 각각의 화재 검출 동작의 유무 정보가 화재 감지기 동작 정보로서 시리얼 통신에 의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방재 관리반(46)은 화재층 특정 수단(49) 및 피난 시간 산출 수단(50)을 갖고 있다.
화재층 특정 수단(49)은 화재 감지기 위치 정보 및 화재 감지기 동작 정보에 근거하여 화재 발생의 유무를 판정하는 동시에, 화재 발생층을 특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화재층 특정 수단(49)은 각 화재 감지기(4O, 41)의 적어도 하나가 화재 검출 동작을 행했을 때에 건물(1)내에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각 화재 감지기(4O, 41)의 어느 쪽 화재 검출 동작도 방재 관리반(46)에 입력되어 있지 않을 때에 건물(1)내의 화재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하게 되어 있다. 또, 화재층 특정 수단(49)은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한 화재 감지기(40, 41)가 설치되어 있는 계층을 화재 발생층으로서 특정하게 되어 있다.
피난 시간 산출 수단(50)은 화재 감지기 위치 정보 및 화재 감지기 동작 정보에 근거하여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한 화재 감지기와 엘리베이터(4)와의 위치 관계를 구하고, 이 위치 관계로부터 피난 운전 시간을 구하게 되어 있다. 즉, 피난 시간 산출 수단(50)은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한 건물내 화재 감지기(41)의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4)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구하고, 이 거리에 근거하여 피난 운전 시간을 산출하게 되어 있다. 또, 피난 시간 산출 수단(50)은 각 건물내 화재 감지기(41)간에 있어서의 화재 검출 동작의 시간차, 즉 화염의 전반 시간(불기운)을 구하고, 구한 전반 시간에 근거하여 피난 운전 시간을 산출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피난 운전 시간이란, 화재 발생시에 건물(1)내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피난층에 운반하기 위해 엘리베이터(4)의 운전이 가능한 시간이다. 또한, 피난 시간 산출 수단(50)은 엘리베이터내 화재 감지기(40)의 화재 검출 동작이 방재 관리반(46)에 입력되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4)내에서의 화재이기 때문에 피난 운전 시간을 제로로 산출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관리반(47)에는 방재 관리반(46)으로부터 화재 발생층의 정보, 피난 운전 시간의 정보, 화재 감지기 위치 정보 및 화재 감지기 동작 정보가 시리얼 통신에 의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관리반(47)에는 엘리베이터(4)의 사양 정보 및 잔류자가 존재하는 각 계층에 대해 우선 순위를 붙이기 위한 구출 순서 알고리즘의 정보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엘리베이터(4)의 사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호기의 수(이 예에서는 제 1 ~ 제 4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의 4대), 정격 속도(이 예에서는 300m/min), 각 엘리베이터 칸(7)의 정원(이 예에서는 24명), 엘리베이터 칸(7)의 정지 가능층(이 예에서는 1층 및 20 ~ 30층) 등이 이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관리반(47)에는 엘리베이터(4)의 관제 운전의 적용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관제 스위치(51)와,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의 적용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피난 운전 관제 스위치(52)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4)의 관제 운전이란, 엘리베이터 관리반(47)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의 제어를 관리 제한함으로써 행하는 엘리베이터(4)의 운전이다. 또,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 이란, 건물(1)내의 잔류자를 피난층에 운반하기 위해 행하는 엘리베이터(4)의 관제 운전이다. 또한,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은 모든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7)을 일제히 승강시키는 열차 방식 운전 모드와,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호기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7)만을 승강시키는 택시 방식 운전 모드와의 사이에서 완전히 교체되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관리반(47)은 건물(1)내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를 잔류자 정보로 서 각 계층에 대응시켜서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잔류자 입력 수단)(53)과, 방재 관리반(46),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7) 및 입력부(53)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에 의해 잔류자를 피난층에 운반할 때의 피난 운전 스케줄을 각 계층에 대해 책정하는 처리부(스케줄 책정 수단)(54)와,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부(표시 수단)(55)를 갖고 있다. 입력부(53)로서는 예를 들면 키보드에 의한 조작 입력 장치 등이 사용된다. 또, 표시부(55)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 사용된다.
또, 엘리베이터 관리반(47) 및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서는 시리얼 통신에 의해 쌍방향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관리반(47)에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로부터 각 저울 장치(29)에 의한 중량 정보와, 피난 운전시에 있어서의 각 엘리베이터 칸(7)의 피난층에의 착상 회수의 정보와,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의 조작에 의한 피난 운전 정보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는 엘리베이터 관리반(47)으로부터 관제 스위치(51) 및 피난 운전 관제 스위치(52)에 의한 피난 운전 적용 정보와, 열차 방식 운전 모드 및 택시 방식 운전 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정보와,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
처리부(54)는 운전 모드 선택 수단(56), 구출 회수 산출 수단(57), 구출 순서 책정 수단(58), 대기 시간 산출 수단(59) 및 판정 수단(60)을 갖고 있다.
운전 모드 선택 수단(56)은 잔류자 정보에 근거하여 열차 방식 운전 모드 및 택시 방식 운전 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어 있다. 즉, 운전 모드 선택 수 단(57)은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가 엘리베이터 칸(7)의 정원의 1.1배(통상, 엘리베이터 칸(7)은 정원의 110% 미만까지 승차 가능)보다 적을 때에는 택시 방식 운전 모드를 선택하고,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가 엘리베이터 칸(7)의 정원의 1.1배 이상일 때는 열차 방식 운전 모드를 선택하게 되어 있다.
구출 회수 산출 수단(57)은 잔류자 정보 및 운전 모드 선택 수단(56)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잔류자를 구출하기 위해 필요한 구출 회수(엘리베이터 칸(7)이 각 계층에 착상(着床)하는 회수)를 산출하게 되어 있다. 즉, 구출 회수 산출 수단(57)은 운전 모드 선택 수단(56)에 의해 열차 방식 운전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를 모든 엘리베이터 칸(7)의 정원 합계의 1.1배로 나눔으로써, 각 계층에 대한 구출 회수를 구하게 되어 있다. 또, 구출 회수 산출 수단(57)은 운전 모드 선택 수단(56)에 의해 택시 방식 운전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계층에 대한 구출 회수를 모두 1회로 하도록 되어 있다.
구출 순서 책정 수단(58)은 화재 발생층의 정보에 근거하여 구출 순서 알고리즘에 의해 정의되는 방법에 의해 각 계층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게 되어 있다. 즉, 구출 순서 책정 수단(58)은 화재 발생층과 각 계층과의 위치 관계로부터 각 계층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게 되어 있다. 또, 구출 순서 책정 수단(58)은 엘리베이터내 화재 감지기(40)가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하고 있을 때는 구출 순서의 책정을 정지하게 되어 있다.
대기 시간 산출 수단(59)은 구출 회수 산출 수단(57) 및 구출 순서 책정 수단(58)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각 계층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을 구하게 되어 있다. 즉, 대기 시간 산출 수단(59)은 각 계층에 대한 구출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우선 순위가 높은 계층으로부터 순서대로 가산해감으로써, 각 계층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을 산출하게 되어 있다.
판정 수단(60)은 피난 운전 시간의 정보, 구출 순서 책정 수단(58) 및 대기 시간 산출 수단(59)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각 계층에 대하여 잔류자를 구출하는 구출 대상층과 잔류자의 구출을 금지하는 구출 금지층을 판정하게 되어 있다. 즉, 판정 수단(60)은 대기 시간이 피난 운전 시간 이내인 계층을 구출 대상층으로 하고, 대기 시간이 피난 운전 시간보다 긴 계층을 구출 금지층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출 금지층은 비상 계단(10)에 의해 피난을 행하는 계단 피난 대상층으로 된다.
처리부(54)는 잔류자 정보의 입력부(5)에 의한 재차의 입력에 의해 잔류자 정보를 갱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처리부(54)는 저울 장치(29)에 의한 중량 정보 및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회수의 정보에 근거하여 피난층에 운반된 잔류자의 수를 구하고, 구한 잔류자의 수에 근거하여 잔류자 정보를 갱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처리부(54)는 피난층에의 착상 회수의 정보에 근거하여 구출 회수를 갱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처리부(54)는 피난층에의 착상 회수의 정보에 근거하여 대기 시간을 갱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처리부(54)는 입력부(53)로부터의 잔류자 정보 및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갱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표시부(55) 및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는 처리부(54)에 의해 갱 신된 최신의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표시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표시부(55)에 표시되는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표시부(55)에 표시되는 피난 운전 스케줄 내용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5에는 화재 발생층이 25층에 특정되고, 피난 운전 시간이 22분으로 산출되었을 때의 피난 운전 스케줄 내용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에는 화재 발생층이 29층에 특정되고, 피난 운전 시간이 22분으로 산출되었을 때의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55)는 처리부(54)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구출 순서, 잔류자의 수, 구출 회수, 대기 시간 및 구출의 완료의 유무를 각 구출 대상층에 대하여 표시하게 되어 있다. 또, 표시부(55)는 화재 발생층, 피난층, 운전 모드 및 피난 운전 시간을 표시하고, 각 구출 금지층에 대해서는 계단 피난 대상층으로서 표시하게 되어 있다. 즉, 피난 운전 스케줄에는 각 구출 대상층에 대한 구출 순서, 잔류자의 수, 구출 회수, 대기 시간, 구출 완료의 유무, 화재 발생층, 피난층, 운전 모드, 피난 운전 시간 및 계단 피난 대상층의 각각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고층 뱅크에서의 각 계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저층 뱅크 엘리베이터(2) 및 중층 뱅크 엘리베이터(3)에 있어서의 피난 운전은 피난 운전 시간의 범위내에서 각 뱅크의 최상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아래의 계층으로 피난 운전이 행해진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는 피난 운전시에는 처리부(54)에 의해 책정된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4)의 운전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는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각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에 표시하는 동시에,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엘리베이터 칸내 스피커(37)에 의해 알리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는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의 조작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 중 어느 하나를 지령 호기로서 특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는 열차 방식 운전 모드일 때에는 지령 호기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7)내의 문 폐쇄 버튼(34)의 조작에 근거하여 모든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의 운전을 제어하고, 택시 방식 운전 모드일 때에는 지령 호기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7)내의 문 개폐 버튼(33) 및 문 폐쇄 버튼(34)의 조작에 근거하여 지령 호기의 운전만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는 피난 운전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7)의 구출 대상층에의 착상이 완료하고, 또한 지령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7)내에 설치된 문 개방 버튼(33) 및 문 폐쇄 버튼(34)의 조작이 실시되었을 때에만,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 및 문 폐쇄 동작을 행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는 열차 방식 운전 모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7)이 구출 대상층에 착상 되어 있을 때는 지령 호기의 문 개방 버튼(33)의 조작에 근거하여 지령 호기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을 행하고, 이 문 폐쇄 동작이 완료한 후에, 지령 호기를 제외한 다른 엘리베이터 호기의 엘리베 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을 행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는 열차 방식 운전 모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7)이 구출 대상층에 착상되어 있을 때에는 지령 호기의 문 폐쇄 버튼(34)의 조작에 근거하여 지령 호기를 제외한 다른 엘리베이터 호기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을 행하고, 이 문 폐쇄 동작이 완료한 후에, 지령 호기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을 행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는 피난 운전시에 정전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배터리(축전(蓄電) 장치)에 의한 전력 공급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피난 운전시에 있어서, 정전이 발생한 경우 및 엘리베이터내 화재 감지기(40)가 화재 검출 동작을 행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는 화재 발생층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가장 가까운 층(엘리베이터 칸(7)이 착상 가능한 가장 가까운 계층)에 착상시키도록 엘리베이터(4)의 운전을 제어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4의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재 감지기(40, 41)의 어느 한 쪽이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하면(S1), 화재 발생층 및 피난 운전 시간이 방재 관리반(46)에 의해 특정된다(S2).
또, 관제 스위치(51)가 조작되면(S3), 엘리베이터(4)의 운전은 엘리베이터 관리반(47)에 의한 통상의 관제 운전으로 된다. 이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7)이 피난층에 이동되고, 피난층에 정지된다(S4).
이 후, 잔류자의 수가 입력부(53)에 입력되면(S5), 화재 발생층, 피난 운전 시간 및 잔류자 수의 각각의 정보에 근거하여 피난 운전 스케줄의 책정여부가 처리부(54)에 의해 판정된다(S6). 피난 운전 스케줄의 책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피난 운전 스케줄이 처리부(54)에 의해 책정되고,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이 표시부(55)에 표시된다(S7). 이 후, 피난 운전 관제 스위치(52)가 조작되면(S8)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이 허가되고, 엘리베이터(4)는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피난 운전된다(S9).
피난 운전 스케줄의 책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피난 운전 스케줄은 책정되지 않고, 각 엘리베이터 칸(7)의 피난층에서의 정지가 계속된다(S10).
다음으로, 피난 운전에 있어서의 구출 순서의 책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4의 구출 순서 책정 수단(58)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구출 순서 책정 수단(58)은 엘리베이터내 화재 감지기(40)가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S11). 엘리베이터내 화재 감지기(40)가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각 계층에 대한 구출 순서의 책정은 행하지 않는다(S12).
엘리베이터내 화재 감지기(40)가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각 엘리베이터 칸(7)의 피난층에의 착상이 관제 운전에 의해 완료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3). 엘리베이터 칸(7)의 피난층에의 착상이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7)의 피 난층에의 착상 완료의 유무를 반복해서 판정한다.
엘리베이터 칸(7)의 피난층에의 착상이 완료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을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으로서 구출 가능층으로부터 제외한다(S14). 이 후, 엘리베이터의 사양에 근거하여 화재 발생층의 위쪽에 계층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5). 화재 발생층의 위쪽에 계층이 있는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 위에 인접하는 계층(화재 바로 아래층)을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제 1 구출 가능층으로 하고, 이하 제 1 구출 가능층보다 위의 계층이 될수록 우선 순위를 낮게 하도록 하여 각 구출 가능층의 구출 순서를 결정한다(S16).
화재 발생층의 위쪽에 계층이 없는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 아래에 인접하는 계층(화재 발생 바로 아래층)을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제 1 구출 가능층으로 하고, 이하 제 1 구출 가능층보다 아래의 계층이 될수록 우선 순위를 낮게 하도록 하여 각 구출 가능층의 구출 순서를 결정한다(S17).
다음으로, 피난 운전 스케줄의 책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4의 처리부(54)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처리부(54)에서는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의 정보인 잔류자 정보가 입력부(53)에 의해 입력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21). 입력부(53)에의 잔류자 정보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잔류자 정보의 입력이 있을 때까지 잔류자 정보의 입력 유무가 반복해서 판정된다.
입력부(53)에의 잔류자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방재 관리반(46)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피난 운전 시간이 제로인지의 여부가 처리 부(54)에 의해 판정된다(S22). 피난 운전 시간이 제로인 경우에는 처리부(54)에 의한 피난 운전 스케줄의 책정은 행하지 않는다(S23).
피난 운전 시간이 제로가 아닌 경우에는 구출 순서의 책정이 구출 순서 책정 수단(58)에 의해 실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S24). 구출 순서의 책정이 실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처리부(54)에 의한 피난 운전 스케줄의 책정은 행하지 않는다(S23).
구출 순서의 책정이 실시된 경우, 각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가 엘리베이터 칸(7)의 정원의 1.1배보다 적은지 아닌지가 운전 모드 선택 수단(56)에 의해 판정된다(S25). 모든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가 엘리베이터 칸(7)의 정원의 1.1배보다 적은 경우에는 택시 방식 운전 모드가 선택된다(S26). 또, 각 구출 가능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가 엘리베이터 칸(7)의 정원의 1.1배 이상인 경우에는 열차 방식 운전 모드가 선택된다(S27).
택시 방식 운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 각 구출 가능층에의 구출 회수는 구출 회수 산출 수단(57)에 의해 모두 1회로 된다(S28). 이 후, 각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이 대기 시간 산출 수단(59)에 의해 산출된다(S29). 제 1 구출 가능층의 대기 시간 T는 이하의 식(1)으로 주어진다.
T1 = Toc + T1gr + Tto ㆍㆍㆍ (1)
여기서, T는 피난층에 있어서의 문 폐쇄 동작 시간, T1gr는 피난층으로부터 제 1 구출 가능층까지의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 시간, Tto는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문 개폐 동작 시간이다.
또, 제 n 구출 대상층의 대기 시간 Tn(n는 2 이상의 정수)은 이하의 식(2)으로 주어진다.
Tn = Tn -1 + Ttt + Ttc + Tnbr + Too + Tot + Toc + Tngr + Tto ㆍㆍㆍ (2)
여기서, Tn -1은 제 (n-1) 구출 가능층의 대기 시간, Ttt는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문 개방 시간, Ttc는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문 폐쇄 동작 시간, Tnbr은 제 n 구출 가능층으로부터 피난층까지의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 시간, Too는 피난층에 있어서의 문 개방 동작 시간, Tot는 피난층에 있어서의 문 개방 대기 시간, Tngr은 피난층으로부터 제 n 구출 가능층까지의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 시간이다.
열차 방식 운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각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에 근거하여 각 구출 가능층에의 구출 회수가 구출 회수 산출 수단(57)에 의해 산출된다(S30). 제 n 구출 가능층(n은 1 이상의 정수)에의 구출 회수 Nn은 이하의 식 (3)으로 주어진다.
Nn = Rn / P ㆍㆍㆍ (3)
여기서, Rn은 제 n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 P는 각 엘리베이터 칸(7)의 정원의 합계의 1.1배의 값이다. 또, 나뉘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는 소수점 이하를 올려서 Nn으로 한다.
이 후, 각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이 대기 시간 산출 수단(59)에 의해 산출된다(S31). 제 1 구출 가능층에의 구출 회수가 1회인 경우, 제 1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 T1은 상기의 식(1)으로 주어진다. 또, 제 1 ~ 제 n 구출 가능층(n은 2 이상의 정수)에의 구출 회수가 모두 1 회인 경우, 제 n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 Tn은 상기의 식(2)으로 주어진다.
또, 제 1 구출 가능층에의 구출 회수가 N1회(N1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제 1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 T1은 이하의 식(4)으로 주어진다.
T1 = N1 × (T1gr+Tto+Ttt+Ttc+T1br+Too+Tot+Toc)ㆍㆍㆍ(4)
또한, 제 n 구출 가능층(n은 2 이상의 정수)에의 구출 회수가 Nn회(Nn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제 n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 Tn은 이하의 식(5)으로 주어진다.
Tn = Tn -1 + Nn × (T1gr + Tto + Ttt + Ttc + T1br + Too + Tot + Toc)ㆍㆍㆍ(5)
이 후, 대기 시간 산출 수단(59)에 의해 산출된 대기 시간 Tn과, 피난 운전 시간 Tp를 비교함으로써, 각 구출 가능층에 대하여 구출 대상층 및 계단 피난 대상층 중 어느 쪽으로 할지가 판정 수단(60)에 의해 판정된다(S32). 즉, 각 구출 가능층은 대기 시간이 피난 운전 시간 Tp 이내인 경우에 구출 대상층으로 되고, 대기 시 간이 피난 운전 시간 Tp보다 긴 경우에 계단 피난 대상층으로 된다. 예를 들면, 제 3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 T3이 16분 이고, 제 4 구출 가능층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 T4가 22분 이며, 피난 운전 시간 Tp가 20분일 때에는 제 1 ~ 제 3 구출 가능층이 구출 대상층으로 되어 우선 순위가 제 4 구출 가능층 이하인 계층이 계단 피난 대상층으로 된다. 또, 모든 구출 가능층이 계단 피난 대상층으로 된 경우에는 피난 운전 스케줄의 책정이 정지된다.
또한, 처리부(54)에서는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의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각 구출 대상층에 대해 구출 완료의 유무가 판정된다(S33). 즉, 구출 회수 산출 수단(57)에 의해 산출된 구출 대상층에 대한 구출 회수와, 구출 대상층으로부터의 엘리베이터 칸(7)이 피난층에 착상된 회수가 동일할 때에 구출 완료로 판정되고, 다를 때에 구출 미완료로 판정된다. 또, 처리부(54)에서는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의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잔류자의 수, 구출 회수 및 대기 시간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시 갱신된다.
다음으로, 피난 운전 스케줄의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도 4의 처리부(54)에 의해 책정된 피난 운전 스케줄에 대한 표시부(55)의 표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처리부(54)에서는 피난 운전 스케줄의 책정이 완료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35). 피난 운전 스케줄의 책정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피난 운전이 불가능하다는 취지가 처리부(54)에 의해 표시부(55)에 표시된다(S36).
피난 운전 스케줄의 책정이 완료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재 발생층, 피난층, 운전 모드 및 피난 운전 시간이 처리부(54)에 의해 표시부(55)에 각각 표시된다(S37). 이 후, 구출 순서, 구출 대상층, 잔류자의 수, 구출 회수, 대기 시간, 구출 완료의 유무 및 계단 피난 대상층이 처리부(54)에 의해 표시부(55)에 각각 표시된다(S38).
또한, 피난 운전 스케줄의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에의 표시도 동일한 동작에 의해 실시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의 행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때의 판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관제 운전시에 있어서의 피난 운전 여부의 판단을 행할 때의 도 4의 처리부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피난 운전 스케줄을 표시부(55)에 표시했는지의 여부가 처리부(54)에 의해 판정된다(S41). 표시부(55)에의 표시를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이 불허가로 된다(S42).
표시부(55)에의 표시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피난 운전 관제 스위치(52)의 조작이 실시되었는지 아닌지가 처리부(54)에 의해 판정된다(S43). 피난 운전 관제 스위치(52)의 조작을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이 불허가로 된다(S42).
피난 운전 관제 스위치(52)의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이 허가되어(S44)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가 엘리베이터 관리반(47)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전송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 계속의 여부를 판정할 때의 판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피난 운전시에 있어서의 운전 계속 여부의 판단을 행할 때의 도 4의 처리부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방재 관리반(46)으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엘리베이터내 화재 감지기(40)가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처리부(54)에 의해 판정된다(S45). 화재 검출 동작이 실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의 허가가 정지된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의 계속이 금지된다(S46).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피난 운전 시간의 경과 유무가 처리부(54)에 의해 판정된다(S47). 피난 운전 시간이 경과해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의 허가가 정지되고, 피난 운전의 계속이 금지된다(S46). 피난 운전 시간 내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의 허가가 유지되고, 피난 운전이 계속된다(S48).
다음으로, 열차 방식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열차 방식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도 4의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엘리베이터 관리반(47)에 의한 피난 운전의 허가가 실시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판정된다(S51). 피난 운전의 허가가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상의 엘리베이터(4)의 관제 운전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모든 엘리베이터 칸(7)이 피난층에 강제적으로 이동되고, 각 엘리베이터 칸(7)의 피난층에서 의 정지가 계속된다.
피난 운전이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든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에 있어서, 통상의 관제 운전에 의해 피난층에 이미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7)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이 행해지고, 각 엘리베이터 칸(7)은 각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상태를 유지한 채로 피난층에 대기한다(S52).
이 후,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에 있어서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의 조작이 실시되었는지 아닌지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판정된다(S53).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의 조작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의 조작 유무의 판정이 반복해서 실시된다.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에 있어서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의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는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의 조작이 실시된 엘리베이터호기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지령 호기로 된다. 이에 의해, 피난 운전에 의한 각 엘리베이터 칸(7)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S54).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에서는 모든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력이 통상보다 강하게 되어 도어 센서의 동작이 무효로 된다. 또, 지령 호기를 제외한 다른 엘리베이터호기의 문 개방 버튼의 조작이 무효로 된다(S55).
이 후,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 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시된다(S56).
이 후, 지령 호기에 있어서의 문 폐쇄 버튼(34)의 조작이 계속해서 실시되면(계속 눌려짐), 모든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이 행해진다(S57). 이 후, 문 폐쇄 동작이 완료하면, 자동 등록된 구출 대상층에 각 엘리베이터 칸(7)이 일제히 이동된다(S58).
각 엘리베이터 칸(7)이 구출 대상층에 착상된 후, 지령 호기의 문 개방 버튼(33)의 조작이 계속해서 실시되면(계속 눌려짐), 우선 지령 호기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만이 행해지고, 그 문 개방 동작이 완료한 후에, 지령 호기 이외의 다른 엘리베이터 호기의 문 개방 동작이 행해진다(S59). 이 후, 각 엘리베이터 칸(7)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상태를 유지한 채로 구출 대상층에 대기한다.
이 후, 지령 호기의 문 폐쇄 버튼(34)의 조작이 계속해서 실시되면(계속 눌려짐), 우선 다른 엘리베이터 호기의 문 폐쇄 동작만이 행해지고, 그 문 폐쇄 동작이 완료한 후에 지령 호기의 문 폐쇄 동작이 행해진다(S60). 이 후, 모든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의 문 폐쇄 동작이 완료하면, 각 엘리베이터 칸(7)이 일제히 피난층에 이동된다(S61). 이 후, 각 엘리베이터 칸(7)이 피난층에 착상되면, 모든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이 행해지고, 각 엘리베이터 칸(7)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상태를 유지한 채로 피난층에 대기한다(S62).
이 후,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필요와 불필요가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판정된다(S63). 피난 운전 스케줄 의 정보에 근거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으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미종료인 경우에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미종료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시되고(S56), 그 후의 피난 운전이 재차 실시된다.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모두 종료해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은 종료한다(S64).
다음으로, 택시 방식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택시 방식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도 4의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엘리베이터 관리반(47)에 의한 피난 운전 스케줄의 책정 및 피난 운전 관제 스위치(52)에 의한 피난 운전 허가의 조작이 완료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판정된다(S71). 피난 운전 스케줄의 책정 및 피난 운전 허가의 조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완료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통상의 엘리베이터(4)의 관제 운전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모든 엘리베이터 칸(7)이 피난층에 강제적으로 이동되고, 각 엘리베이터 칸(7)의 피난층에서의 정지가 계속된다.
피난 운전 스케줄의 책정 및 피난 운전 허가의 조작의 모두가 완료하고 있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일부 엘리베이터호기(특정 호기)에 있어서만, 통상의 관제 운전에 의해 피난층에 이미 대기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칸(7)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이 행해지고, 이 엘리베이터호기의 엘리베이터 칸(7)만이 문 개방 상태를 유지한 채로 피난층에 대기한다(S72). 또한, 이 예에서는 제 1 엘리베이터호기(17a)가 특정 호기로 되어 있다.
이 후, 제 1 엘리베이터호기(17a)에 있어서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의 조작이 실시되었는지 아닌지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판정된다(S73).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의 조작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의 조작 유무의 판정이 반복해서 실시된다.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의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는 제 1 엘리베이터호기(17a)가 지령 호기로 되고, 제 1 엘리베이터호기(17a)에 있어서 피난 운전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7)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S74).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에서는 제 1 엘리베이터호기(17a)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력이 통상보다 강하게 되어 도어 센서의 동작이 무효로 된다(S75).
이 후,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자동적으로 실시된다(S76).
이 후, 제 1 엘리베이터호기(17a)에서는 문 폐쇄 버튼(34)이 조작되고 그 조작이 계속되면(계속 눌려짐),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이 행해진다(S77). 이 후, 문 폐쇄 동작이 완료하면, 제 1 엘리베이터호기(17a)의 엘리베이터 칸(7)만이 자동 등록된 구출 대상층에 이동된다(S78).
엘리베이터 칸(7)이 구출 대상층에 착상된 후, 지령 호기인 제 1 엘리베이터호기(17a)의 문 개방 버튼(33)의 조작이 계속해서 실시되면(계속 눌려짐), 제 1 엘리베이터호기(17a)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이 행해지고, 엘리베이터 칸(7)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상태를 유지한 채로 구출 대상층에 대기한다(S79).
이 후, 제 1 엘리베이터호기(17a)에서는 문 폐쇄 버튼(34)이 조작되고 그 조작이 계속되면(계속 눌려짐),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이 행해진다(S80). 이 후, 문 폐쇄 동작이 완료하면, 엘리베이터 칸(7)이 피난층에 이동된다(S81). 이 후, 엘리베이터 칸(7)이 피난층에 착상되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이 행해지고, 엘리베이터 칸(7)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상태를 유지한 채로 피난층에 대기한다(S82).
이 후,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필요와 불필요가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판정된다(S83).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미종료인 경우에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미종료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자동으로 실시되고(S76), 그 후의 피난 운전이 재차 실시된다.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모두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은 종료한다(S84).
다음으로, 건물(1)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방재 센터(45)의 통괄 방화 책임자(도시 생략)는 각 화재 감지기(40, 41)의 화재 검출 동작의 유무를 방재 관리반(46)에 의해 상시 감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건물(1)의 25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통괄 방화 책임자가 건물내 화재 감지기(41)의 화재 검출 동작을 발견했을 경우, 통괄 방화 책임자는 엘리베이터(4)의 운전을 관제 운전 으로 하는 취지를 방송 설비(48)에 의해 각 승강장(15)에 방송하고, 그 후에 관제 스위치(51)을 조작한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관리반(47)에 의한 통상의 관제 운전이 엘리베이터(2 ~ 4)에 대해 실시되고, 각 엘리베이터 칸(5 ~ 7)이 피난층에 강제적으로 이동된다.
또, 방재 관리반(46)에서는 각 화재 감지기(4O, 41)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피난 운전 시간이 산출된다. 이에 의해, 표시부(55)에는 피난 운전 시간이 표시된다. 피난 운전 시간이 제로인 경우에는 피난 운전 스케줄은 책정되지 않고, 통괄 방화 책임자는 피난 계단(10)에 의해 피난하는 지시를 방송 설비(48)에 의해 각 승강장(15)에 방송한다.
피난 운전 시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통괄 방화 책임자는 각 계층에 배치된 계층마다 방화 책임자(65)(도 4)와의 사이에서 휴대 전화 등에 의한 연락을 행하고,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이 후, 통괄 방화 책임자는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를 엘리베이터 관리반(47)에 입력한다. 이에 의해, 표시부(55) 및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에는 피난 운전 스케줄이 표시된다.
이 후, 통괄 방화 책임자는 피난 운전 통지(피난 유도 사인)를 방송 설비(48)에 의해 각 승강장(15)에 방송한다. 피난 운전 통지로서는 예를 들면 피난 운전에 의한 각 계층에의 엘리베이터 칸의 착상 유무, 각 구출 대상층에서의 대기 시간, 피난 운전의 운전 상황, 화재의 진행 상황, 계단 피난 대상층에서의 비상 계단(10)에 의한 피난 지시에 대한 통지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괄 방화 책임자는 피난 운전 스케줄의 확인을 행한 후에, 구출 대상층으로서 들어져 있는 계층인 승강장(15)에는 엘리베이터(4)를 피난을 위해 사용 가능한 것이나 예상 대기 시간, 피난시의 주의 등을 방송 설비(48)에 의해 방송하고, 계단 피난 대상층으로서 들어져 있는 계층인 승강장(15)에는 엘리베이터(4)를 피난을 위해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나 비상 계단(10)을 사용하여 피난하는 것 등을 방송 설비(48)에 의해 방송한다. 또, 상황에 따라, 화재 감지기의 화재 검출 동작으로부터 화재의 진행 상황도 각 승강장(15)에 방송한다.
이 후, 통괄 방화 책임자는 피난 운전 관제 스위치(52)를 조작한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2 ~ 4)는 표시부(55) 및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에 표시된 운전 모드에서 피난 운전된다. 피난 운전은 운전 오퍼레이터인 운전수(66), 또는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운전 오퍼레이터인 유도원(67)에 의한 조작에 의해 실시된다.
피난 운전의 운전 모드가 처리부(54)에 의해 열차 방식 운전 모드로 되어 있을 때에는 운전 오퍼레이터는 피난층에서 대기하고 있는 각 엘리베이터 칸(7)의 어느 하나에 올라타고, 올라탄 엘리베이터 칸(7)내의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를 조작한다.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의 조작에 의해 운전 오퍼레이터가 탄 엘리베이터 칸(7)에 대한 엘리베이터 호기가 지령 호기로 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7)내의 운전수(66)는 문 폐쇄 버튼(34)을 계속 누른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이 행해지고, 구출 대상층에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문 폐쇄 동작이 완료한 후, 모든 엘리베이터 칸(7)이 구출 대상층으로 이동되어 각 엘리베이터 칸(7)이 구출 대상층에 착상된다. 이 후, 운전수(66)가 문 개폐 버튼(33)을 계속 누르면, 지령 호기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이 행해지고, 이 문 개방 동작이 완료한 후에 지령 호기를 제외한 다른 엘리베이터 호기의 문 개방 동작이 행해진다.
이 후, 운전수(66) 또는 유도원(67)은 구출 대상층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각 엘리베이터 칸(7)내에 유도한다. 이 후, 잔류자의 엘리베이터 칸(7)내에의 유도가 완료한 것을 확인한 후, 엘리베이터 칸(7)내의 운전수(66)가 문 폐쇄 버튼(34)을 계속 누른다. 이에 의해, 지령 호기 이외의 다른 엘리베이터호기의 문 폐쇄 동작이 행해지고, 이 문 폐쇄 동작의 완료 후, 지령 호기의 문 폐쇄 동작이 행해진다. 모든 엘리베이터 호기의 문 폐쇄 동작이 완료하면, 모든 엘리베이터 칸(7)이 피난층으로 이동된다.
각 엘리베이터 칸(7)이 피난층에 착상되면, 모든 엘리베이터 호기의 문 개방 동작이 자동적으로 실시되고, 각 엘리베이터 칸(7)내의 잔류자가 피난층의 승강장으로 유도된다.
이 후, 운전 오퍼레이터는 피난 운전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피난 운전을 상기의 순서로 반복해서 행하고, 각 구출 대상층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피난층에 유도한다.
피난 운전의 운전 모드가 처리부(54)에 의해 택시 방식 운전 모드로 되어 있을 때는 미리 설정된 엘리베이터 호기(특정 호기)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출입구만 의 문 개방 동작이 행해진다. 이 후, 운전 오퍼레이터가 엘리베이터 칸(7)내에 탑승하여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를 조작한다. 이에 의해, 운전 오퍼레이터가 탑승한 특정 호기가 지령 호기로 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7)내의 운전수(66)가 문 폐쇄 버튼(34)을 계속 누른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이 실시되어 구출 대상층에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문 폐쇄 동작이 완료하면, 특정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7)만이 구출 대상층에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칸(7)이 구출 대상층에 착상된 후, 운전수(66)가 문 개방 버튼(33)을 계속 누르면 , 엘리베이터 칸(7)이 착상된 엘리베이터 출입구만의 문 개방 동작이 행해진다. 이 후, 유도원(67)은 구출 대상층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엘리베이터 칸(7)내에 유도한다. 이 후, 잔류자의 엘리베이터 칸(7)내에의 유도가 완료한 것을 유도원(67)이 확인한 후, 엘리베이터 칸(7)내의 운전수(66)가 문 폐쇄 버튼(34)을 계속 누른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이 행해지고, 문 폐쇄 동작의 완료 후 잔류자를 태운 엘리베이터 칸(7)이 피난층으로 이동된다.
엘리베이터 칸(7)이 피난층에 착상되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이 자동적으로 행해지고, 엘리베이터 칸(7)내의 잔류자가 피난층의 승강장으로 유도된다.
이 후, 운전 오퍼레이터는 피난 운전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피난 운전을 상기의 순서로 반복해서 행하고, 각 구출 대상층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피난층에 유도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시에 이상이 발생했을 때의 피난 운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이상 발생에 대한 도 4의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전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정전 발생에 의해 엘리베이터(4)에의 급전이 정지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판정된다(S91). 정전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7)이 이동중인지의 여부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판정된다(S92).
정전 발생시에 엘리베이터 칸(7)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7)은 배터리에 의한 급전에 의해 저속으로 이동되어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된다(S93). 정전 발생시에 엘리베이터 칸(7)이 구출 대상층 또는 피난층에 착상되어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7)은 이동하지 않고 계속해서 착상된다(S94). 이 후,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이 행해지고, 문 개방 상태인 채로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이 강제적으로 해제된다(S95).
정전이 발생하지 않고 엘리베이터(4)에의 급전이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관리반(47)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내 화재 감지기(40)가 화재 검출 동작을 행했는지의 여부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판정된다(S96).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7)이 이동중인지의 여부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판정된다(S97).
엘리베이터내 화재 감지기(40)의 동작시에 엘리베이터 칸(7)이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7)은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가 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되어 착상된다(S98). 엘리베이터내 화재 감지기(40)의 동작시에 엘리베이터 칸(7)이 구출 대상층 또는 피난층에 착상되어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7)은 이동하지 않고 계속해서 착상된다(S99). 이 후,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이 행해지고, 문 개방 상태인 채로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이 강제적으로 해제된다(S100).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에서는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한 화재 감지기(40, 41)와 엘리베이터(4)와의 위치 관계에 의해 피난 운전 시간을 산출하고, 피난 운전 시간, 화재 발생층 및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에 근거하여 피난 운전 시간내의 피난 운전에 의해 잔류자를 피난층에 운반할 때의 피난 운전 스케줄을 각 계층에 대해 책정하고, 피난 운전 스케줄을 표시부(55)에 표시하도록 하였으므로, 화재 감지기가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한 후라도, 엘리베이터의 운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가능한 피난 운전 시간내에 잔류자를 피난층에 운반할 수 있다. 또,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함으로써, 건물(1)내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효율적으로 구출할 수 있다. 또한,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 표시에 의해, 피난 운전에 의한 구출 계획을 건물(1)내에 있어서의 잔류자에게도 알릴 수 있고, 특정 계층이나 비상 계단(10)으로의 잔류자의 집중 등의 패닉 상태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4)의 피난 운전은 모든 엘리베이터호기(17a ~ 17d)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7)을 일제히 승강시키는 열차 방식 운전 모드와, 일부의 엘리베이터호기인 제 1 엘리베이터호기(17a)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7)만을 승강시키 는 택시 방식 운전 모드와의 사이에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처리부(54)는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에 근거하여 열차 방식 운전 모드 및 택시 방식 운전 모드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운전 모드 선택 수단(56)을 갖고 있으므로,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에 따른 피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 처리부(54)는 각 계층에 대한 구출 회수를 산출하는 구출 회수 산출 수단(57)과, 각 계층에 대한 우선 순위를 책정하는 구출 순서 책정 수단(58)과, 각 계층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대기 시간 산출 수단(59)과, 잔류자를 구출하는 구출 대상층과 잔류자의 구출을 금지하는 구출 금지층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60)을 갖고, 구출 대상층에 대한 잔류자의 수, 구출 회수 및 대기 시간이 포함되도록 피난 운전 스케줄을 책정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피난 운전이 실시되기 전 및 피난 운전 중에, 구출 대상층과 구출 금지층(계단 피난 대상층)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특정 계층이나 비상 계단(10)에의 잔류자의 집중 등의 패닉 상태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7)내에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호기 중 어느 하나를 지령 호기로서 특정하기 위한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가 설치되어 있으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는 열차 방식 운전 모드일 때에는 지령 호기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7)내의 조작 버튼의 조작에 근거하여 모든 엘리베이터 호기의 운전을 제어하고, 택시 방식 운전 모드일 때에는 지령 호기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7)내의 조작구의 조작에 근거하여 일부의 엘리베이터 호기(특정 호기)의 운전만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를 조 작하지 않는 한, 잔류자에 의한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실수로 피난 운전이 실시되는 것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지령 호기에 있어서의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서만 피난 운전을 행할 수 있으므로, 운전 오퍼레이터의 인원수를 줄일 수 있다.
또, 지령 호기에 있어서의 문 폐쇄 버튼의 조작에 의해, 지령 호기를 제외한 다른 엘리베이터 호기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이 행해지고, 이 문 폐쇄 동작의 완료 후, 지령 호기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다른 엘리베이터 호기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이 완료했을 때에, 운전 오퍼레이터가 예를 들면 다른 엘리베이터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7)을 놓친 잔류자가 존재하는지 등의 확인을 행할 수 있고, 구출 대상층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보다 확실히 피난층으로 구출할 수 있다.
또, 피난 운전시에, 구출 대상층에 엘리베이터 칸(7)이 착상했을 때에는 엘리베이터 칸(7)내에 설치된 문 개방 버튼(33)이 조작되었을 때에만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운전 오퍼레이터의 피난 유도의 준비가 갖추어진 다음, 문 개방 동작을 행할 수 있고, 구출 대상층의 잔류자를 보다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7)내에는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표시하는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7)내에 있어서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고, 운전 오퍼레이터에 의한 잔류자의 피난층으로의 유도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는 피난 운전 관제 스위치(52)의 조작에 의해 피난 운전의 적용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만,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건물(1)내의 상황에 따라 피난 운전의 적용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처리부(54)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피난층에 운반된 잔류자의 수를 구하고, 구한 잔류자의 수에 근거하여 피난 운전 스케줄을 갱신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피난 운전이 개시된 후에 있어서도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를 파악할 수 있다.
또, 각 계층에는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알리기 위한 승강장 스피커(4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에 대하여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알릴 수 있다. 이에 의해, 특정 계층이나 비상 계단(10)으로의 잔류자의 집중 등의 패닉 상태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에 있어서,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표시부(55)에 표시하고,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각 계층에 알린 후에 표시부(55)에 표시된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전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건물(1)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피난 운전을 행하기 전에,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잔류자에게 알릴 수 있고, 잔류자가 패닉을 일으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건물(1)내의 잔류자를 효율적으로 구출할 수 있다.
또, 피난 운전 스케줄은 화재 발생층을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으로 하고, 구 출 순서 책정 제외층보다 위쪽에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 위에 인접하는 화재 바로 위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의 계층으로 피난 운전을 행하고,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보다 아래쪽에만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의 아래에 인접하는 화재 바로 아래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아래의 계층으로 피난 운전을 행하게 되어 있으므로, 피난 운전시에 화재에 의한 풍압 등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건물(1)내의 잔류자를 더욱 효율적으로 구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계층마다 방화 책임자에 의해 파악된 잔류자의 수가 인위적 조작에 의해 입력부(53)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지만,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 장치를 각 계층의 승강장(15)에 설치하고, 각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구해진 잔류자의 수가 처리부(54)에 입력되도록 해도 된다. 즉, 촬영 장치를 잔류자 수 입력 수단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를 처리부(54)에 자동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층마다 방화 책임자에 의한 인위적 오인을 없앨 수 있고, 처리부(54)에 입력되는 잔류자의 수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재적자의 수를 입력부(53)로부터 처리부(54)에 미리 등록해 두고, 등록되어 있는 재적자의 수를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로 하고, 처리부(54)에 의해 피난 운전 스케줄을 책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외래자가 적은 사무소 빌딩 등의 경우는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잔류자의 위치 및 수를 파악하여 처리부(54)에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 형태 2.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건물(1)에는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를 계측하는 잔류자 입력 수단으로서의 재관자 관리 시스템(71)이 설치되어 있다. 재관자 관리 시스템(71)은 건물(1)에 있어서의 재관자가 휴대하는 개인 인증 발신 장치와 각 계층의 승강장(15)에 설치된 복수의 개인 인증 수신 장치를 갖고 있다.
개인 인증 발신 장치에는 예를 들면 재관자의 행선지층, 재관자의 특성 정보(정상인 또는 신체장애자) 등의 개인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다. 개인 인증 발신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비접촉 태그 부착 키, 비접촉 태그 부착 카드, 비접촉 태그 부착 휴대 전화 등이 이용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건물(1)의 재적자는 개인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된 개인 인증 발신 장치를 휴대하고 있다. 또, 외부로부터의 방문자가 건물(1)에 입관하는 경우에는 건물(1)내로의 입관시에 방문자가 휴대하는 개인 인증 발신 장치에 개인 인증 정보의 등록을 행하게 되어 있다.
각 개인 인증 수신 장치는 개인 인증 발신 장치로부터의 개인 인증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재관자 관리 시스템(71)은 각 개인 인증 수신 장치가 수신한 개인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를 구하도록 되어 있다. 처리부(54)에는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의 정보가 재관자 관리 시스 템(71)으로부터 시리얼 통신에 의해 입력되게 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면,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를 재관자 관리 시스템(71)으로부터 처리부(54)에 자동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층마다 방화 책임자에 의한 인위적 오인을 없앨 수 있고, 처리부(54)에 입력되는 잔류자의 수를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화재 발생층만이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으로 되어 있으나,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바로 아래층, 또는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바로 위층을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으로 해도 되며, 화재 발생층, 화재 바로 위층 및 화재 바로 아래층을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으로 해도 된다. 또, 화재 발생층으로부터 위쪽으로의 연소 속도가 아래쪽에 비해 빠르기 때문에, 화재 발생층과, 화재 바로 위층과, 화재 바로 위층의 위에 인접하는 계층을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피난 운전시에 화재에 의한 풍압 등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고, 건물(1)내의 잔류자를 효율적으로 구출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보다 위쪽에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화재 바로 위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의 계층으로 피난 운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을 피하여 최상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아래의 계층으로 피난 운전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피난 운전시에 화재에 의한 풍압 등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고, 건물(1)내의 잔류자를 효율적으로 구출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보다 아래쪽에만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의 아래에 인접하는 계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아래의 계층으로 피난 운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을 피하여 최하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의 계층으로 피난 운전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피난 운전시에 화재에 의한 풍압 등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고, 건물(1)내의 잔류자를 효율적으로 구출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처리부(54)가 엘리베이터 관리반(47)에 설치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47) 또는 방재 관리반(46)에 처리부(54)를 탑재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피난 운전 스케줄을 책정할 수 있고, 화재 발생시에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택시 방식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피난 운전은 1대의 엘리베이터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7)만을 승강시키게 되어 있으나, 2대 이상의 엘리베이터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7)을 승강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열차 방식 운전 모드와 택시 방식 운전 모드와의 사이에 피난 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열차 방식 운전 모드의 피난 운전만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각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에 따른 피난 운전을 행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관리반(47)의 표시부(55) 및 각 엘리베이터 칸(7)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에 피난 운전 스케줄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나, 각 계층의 승강장(15)에 승강장 표시 장치를 표시 수단으 로서 설치하고, 각 승강장 표시장치에도 피난 운전 스케줄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승강장 표시 장치는 엘리베이터 관리반(4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로부터 출력된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이 표시된다.
또, 운전 오퍼레이터가 휴대하는 휴대 PC의 표시 화면에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는 엘리베이터 관리반(47)으로부터 휴대 PC에 라디오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전송된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피난 운전 관제 스위치(52)가 엘리베이터 관리반(47)에 설치되고, 피난 운전 관제 스위치(52)의 수동에 의한 조작에 의해 피난 운전 적용의 유무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나, 피난 운전 적용의 유무에 대한 선택을 처리부(54)에 의해 자동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피난 운전 스케줄의 책정이 완료하고,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에 구출 대상층이 존재할 때에, 처리부(54)에 의해 피난 운전을 적용하는 것으로 판정된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의 조작에 의해 지령 호기의 특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지령 호기를 미리 설정해 두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피난 운전시에 지령 호기가 자동적으로 특정되고,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35)의 조작에 의한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피난 운전시에 있어서 구출 대상층에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의 제어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7)내의 행선지층 버튼(32)의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더라도,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36)나 휴대 PC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에 따라 운전 오퍼레이터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을 행할 수 있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피난 운전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 동작이 문 개방 버튼(33) 및 문 폐쇄 버튼(34)의 조작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 동작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의 제어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각 계층에 엘리베이터 칸이 착상되었을 때에,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이 자동적으로 실시되어 문 개방 동작이 완료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문 폐쇄 동작이 행해지도록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39)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제어된다. 이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전을 전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건물내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피난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복수의 계층을 갖는 건물내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화재 검출 동작을 행했을 때에, 상기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전에 의해 상기 건물내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피난층으로 운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화재 검출 동작을 행한 상기 화재 감지기와 상기 엘리베이터와의 위치 관계를 구하고, 상기 위치 관계로부터 피난 운전 시간을 산출하는 피난 시간 산출 수단,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화재 발생층을 특정하는 화재층 특정 수단,
    상기 잔류자의 수를 각 상기 계층에 대응시켜서 입력하기 위한 잔류자 수 입력 수단,
    상기 피난 시간 산출 수단, 상기 화재층 특정 수단 및 상기 잔류자 수 입력 수단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피난 운전 시간내의 상기 피난 운전에 의해 상기 잔류자를 상기 피난층에 운반할 때의 피난 운전 스케줄을 각 상기 계층에 대하여 책정하는 스케줄 책정 수단,
    상기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
    상기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건물내를 승강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을 포함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호기를 갖고,
    상기 피난 운전은 모든 상기 엘리베이터 호기에 있어서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일제히 승강시키는 열차 방식 운전 모드와, 일부의 상기 엘리베이터 호기에 있어서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만을 승강시키는 택시 방식 운전 모드와의 사이에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스케줄 책정 수단은 각 상기 계층에 있어서의 상기 잔류자의 수에 근거하여 상기 열차 방식 운전 모드 및 상기 택시 방식 운전 모드의 선택을 행하는 운전 모드 선택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책정 수단은 상기 운전 모드 선택 수단으로부터의 정보 및 각 상기 계층에 있어서의 잔류자 수에 근거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각 상기 계층에 착상(着床)되는 구출 회수를 산출하는 구출 회수 산출 수단과,
    상기 화재층 특정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각 상기 계층에 대한 우 선 순위를 책정하는 구출 순서 책정 수단과,
    상기 구출 회수 산출 수단 및 상기 구출 순서 책정 수단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각 상기 계층에 있어서의 대기 시간을 산출하는 대기 시간 산출 수단과,
    상기 피난 시간 산출 수단, 상기 구출 순서 책정 수단 및 상기 대기 시간 산출 수단의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각 상기 계층으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피난 운전 시간과 상기 대기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각 상기 계층에 대하여 상기 잔류자를 구출하는 상기 구출 대상층과 상기 잔류자의 구출을 금지하는 구출 금지층을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추가로 갖고,
    상기 스케줄 책정 수단은 상기 구출 대상층에 대한 상기 잔류자의 수, 상기 구출 회수 및 상기 대기 시간이 적어도 포함되도록 상기 피난 운전 스케줄을 책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각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에는 각 상기 엘리베이터 호기 중 어느 하나를 지령 호기로서 특정하기 위한 피난 운전 엘리베이터 칸내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은 상기 열차 방식 운전 모드일 때에는 상기 지령 호기에 있어서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의 조작 버튼의 조작에 근거하여 모든 상기 엘리베이터 호기의 운전을 제어하고, 상기 택시 방식 운전 모드일 때에는 상기 지령 호기에 있어서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의 조작 버튼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지 령 호기를 포함하는 상기 일부의 엘리베이터 호기의 운전만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은 상기 열차 방식 운전 모드일 때에 상기 지령 호기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지령 호기를 제외한 다른 엘리베이터 호기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을 행하고, 상기 다른 엘리베이터 호기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이 완료한 후에, 상기 지령 호기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폐쇄 동작을 행하게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은 상기 계층에 엘리베이터 칸이 착상했을 때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내에 설치된 조작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에만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문 개방 동작을 행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내 표시 장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운전의 적용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피난 운전 관제 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은 상기 피난 운전 관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피난 운전의 적용이 선택되어 있을 때에만, 상기 피난 운전 스케줄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칸내의 중량을 검출하는 저울 장치를 갖고,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은 상기 저울 장치에 의해 검출된 중량의 정보를 상기 스케줄 책정 수단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케줄 책정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피난층에 운반된 상기 잔류자의 수를 구하고, 구한 상기 잔류자의 수에 근거하여 상기 피난 운전 스케줄을 갱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각 상기 계층에는 상기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알리기 위한 승강장 통지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11. 복수의 계층을 갖는 건물내에 설치된 화재 감지기가 화재 검출 동작을 행했을 때에, 상기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전에 의해 상기 건물내에 있어서의 잔류자를 피난층에 운반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난 운전을 행할 때의 피난 운전 스케줄을 책정하는 단계,
    상기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피난 운전을 행하기 전에, 상기 피난 운전 스케줄의 내용을 각 상기 계층에 알리는 단계, 및
    상기 피난 운전 스케줄의 각 상기 계층으로의 통지를 행한 후에,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상기 피난 운전 스케줄에 근거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피난 운전을 행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운전 스케줄은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된 화재 발생층을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으로 하고, 상기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보다 위쪽에 상기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화재 발생층 위에 인접하는 화재 바로 위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위의 상기 계층으로 상기 피난 운전을 행하고, 상기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보다 아래쪽에만 상기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의 아래에 인접하는 상기 계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아래의 상기 계층으로 상기 피난 운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 운전 스케줄은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된 화재 발생층을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으로 하고, 상기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보다 위쪽에 상기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최상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아래의 상기 계층으로 상기에 상기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을 피해서 상기 피난 운전을 행하고, 상기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보다 아래쪽에만 상기 계층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출 순서 책정 제외층의 아래에 인접하는 상기 계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아래의 상기 계층으로 상기 피난 운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
KR1020067024829A 2006-11-27 2005-02-14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 KR100848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4829A KR100848996B1 (ko) 2006-11-27 2005-02-14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4829A KR100848996B1 (ko) 2006-11-27 2005-02-14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542A KR20070024542A (ko) 2007-03-02
KR100848996B1 true KR100848996B1 (ko) 2008-07-30

Family

ID=3809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829A KR100848996B1 (ko) 2006-11-27 2005-02-14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9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7358B2 (ja) * 2013-09-17 2017-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6028A (en) * 1976-08-23 1978-03-10 Nissan Motor Co Ltd Clutch-off control means for automatic clutch
JPS5382070A (en) * 1976-12-28 1978-07-20 Iwasaki Electric Co Ltd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JPS5424783A (en) * 1977-07-19 1979-02-24 Nobuo Koyama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back of slaughtered animal
JPH082861A (ja) * 1994-06-22 1996-01-09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非常用エレベータの戸の制御装置
JPH1053379A (ja) * 1996-08-09 1998-02-2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オペレーション制御装置
WO2004101418A1 (ja) * 2003-05-14 2004-11-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火災管制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6028A (en) * 1976-08-23 1978-03-10 Nissan Motor Co Ltd Clutch-off control means for automatic clutch
JPS5382070A (en) * 1976-12-28 1978-07-20 Iwasaki Electric Co Ltd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JPS5424783A (en) * 1977-07-19 1979-02-24 Nobuo Koyama Method and apparatus for dividing back of slaughtered animal
JPH082861A (ja) * 1994-06-22 1996-01-09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非常用エレベータの戸の制御装置
JPH1053379A (ja) * 1996-08-09 1998-02-24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オペレーション制御装置
WO2004101418A1 (ja) * 2003-05-14 2004-11-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火災管制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542A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6867B2 (ja) エレベータの火災時管制運転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の火災時管制運転方法
KR100989268B1 (ko)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KR100896872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법
KR101203357B1 (ko)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KR20110095965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04203623A (ja) 建物の人の緊急避難方法およびシステム、および前記システムを用いた既存の建物の近代化方法
KR20130043673A (ko) 엘리베이터의 모니터 제어 장치
CN114728758B (zh) 电梯控制系统和电梯控制方法
JP2005280906A (ja) 携帯端末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080056239A (ko)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장치
KR20100051112A (ko) 더블 덱 엘리베이터의 피난 지원 시스템
JP2011256006A (ja) リモート操作によるかご操作システム及びそのかご操作方法
CN114040883B (zh) 移动辅助装置的点检指示装置
KR10156272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5931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58678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48996B1 (ko) 엘리베이터의 화재시 관제 운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의화재시 관제 운전 방법
JP2013103774A (ja) エレベータ
JP7378258B2 (ja) 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アウト連絡支援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ピットアウト連絡支援システム
WO2022059097A1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連絡システム
JP642967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19142698A (ja) エレベータ
JP5637617B2 (ja) エレベータの避難運転システム
WO2022059096A1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連絡システム
JP200818942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