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911B1 - 조리 기기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911B1
KR100848911B1 KR1020070012608A KR20070012608A KR100848911B1 KR 100848911 B1 KR100848911 B1 KR 100848911B1 KR 1020070012608 A KR1020070012608 A KR 1020070012608A KR 20070012608 A KR20070012608 A KR 20070012608A KR 100848911 B1 KR100848911 B1 KR 100848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burners
guide member
cook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백승조
김형준
박병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9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3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being movable or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 등의 발열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이용하여 음식을 가열할 수 있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 등에 빌트인되어 사용되는 조리 기기의 크기는 한정되기 때문에, 상기 조리 기기에 장착되는 버너의 수는 한정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많은 종류 및 많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상기 조리 기기에 장착된 한정된 수의 버너 만으로는 부족할 때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조리 기기에 많은 수의 버너가 장착되어야 하는데, 이 경우 조리 기기의 폭과 너비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리 기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종래보다 많은 수의 버너를 장착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
조리 기기, 제1 버너, 제2 버너, 제3 버너, 안내 부재

Description

조리 기기{Cook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리 기기에 장착되는 고정 버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조리 기기에 장착되는 확장 버너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안내 부재가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에서 제2 버너의 이동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안내 부재가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에서 제2 버너의 이동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신축 가능한 링크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도;
도 7은 관절을 가진 링크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도;
도 8은 안내 부재가 부드럽게 구부러지는 예에서 제2 버너의 이동을 나타낸 개략도; 그리고
도 9는 안내 부재가 미끄럼 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예에서 제2 버너의 이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1 버너 200: 제2 버너
300: 제3 버너 410: 힌지
420: 링크 430: 연결부
441: 제1 안내 부재 443: 제2 안내 부재
C: 쿡탑 d: 도어
O: 오븐 P: 컨트롤 패널
본 발명은 히터 등의 발열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이용하여 음식을 가열할 수 있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로는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 오븐(oven), 그리고 쿡탑(cooktop) 등 다양한 제품들이 있다. 상기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파를 밀폐된 조리실 내에 조사하여 상기 조리실 내에 수납된 음식물의 물분자를 진동시킴으로써 음식물을 가열하고, 상기 오븐은 히터를 이용하여 밀폐된 조리실을 가열함으로써 조리실 내에 수납된 음식물을 가열한다. 상기 쿡탑은 일반적으로 그 상면에 올려진 그릇을 버너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상기 그릇에 담겨진 음식물을 가열한다.
위 조리기기들 중 상기 쿡탑은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부엌의 조리대에 빌트인(built-in)되어 주 조리 기기로서 사용되며, 상기 전자레인지 및 오븐 등은 찬장이나 조리대에 설치되어 보조 조리 기기로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쿡탑의 열원으로는 일반적으로 가스 또는 전기를 사용하는 버너가 사용된다. 상기 쿡탑의 상부에는 서로 다른 출력을 가진 다수의 버너가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리를 원하는 음식물의 양과 종류에 상응하는 버너에 음식물이 담긴 조리 용기를 올려놓고 해당 버너를 작동시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상기 쿡탑의 크기는 한정되므로, 상기 쿡탑의 상부에 장착되는 버너의 수는 한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많은 종류 및 많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상기 쿡탑에 장착된 한정된 수의 버너 만으로는 부족할 때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쿡탑에 장착된 버너의 수가 많아야 하는데, 쿡탑에 많은 수의 버너를 장착하는 경우 쿡탑의 폭과 너비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리 기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종래보다 많은 수의 버너를 장착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버너;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버너가 서로 겹치게 배치되거나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면상 발열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음식이나 그릇이 올려지는 글래스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프린트되며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하는 저항 패턴; 그리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저항 패턴을 복개하여 절연시키는 절연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위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그 일측에 구비되는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버너를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버너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부드럽게 구부러지면서 상기 제1 및 제2 버너의 상대 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1 버너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2 버너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가진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크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는 적어도 하나의 관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어느 하나에 길게 형성된 제1 안내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안내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너가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포개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제2 안내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안내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버너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긴 수평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버너가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어느 하나를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서는, 케이스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버너; 상기 고정 버너의 위에 겹치게 배치되거나 상기 케이스의 옆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고정 버너 옆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게 제공된 확장 버너; 그리고 상기 확장 버너가 상기 고정 버너에 대해 상대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 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 버너는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확장 버너는 어느 하나의 고정 버너 위에 배치되었을 때 그 상면이 다른 고정 버너의 상면과 같은 높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는 다수의 버너가 구비된 쿡탑(C)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쿡탑(C)의 아래에 배치된 도어(d)에 의해 개폐되는 오븐(O)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븐(O)에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히터뿐만 아니라 상기 오븐(O)의 조리실 내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그네트론도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부엌의 조리대에 빌트인(built-in)되어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의 부호 (P)는 조리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이다.
상기 쿡탑(C)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가 장착된다. 상기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치게, 즉 포개지게 배치될 수 있고, 도 4, 도 5, 도 8,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대해 또는 상기 조리 기기에 대해 상대 운동 가능한데, 이러한 상대 운동은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된다.
도 1에는 상기 제1 버너(100)가 상기 쿡탑(C)에 고정되고, 상기 제2 버너(200)가 상기 쿡탑(C)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예에 국한하여 설명할 것이다.
상기 제2 버너(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버너(100) 위에 포개지게 배치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버너(100)의 옆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조리를 위해 적은 수의 버너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2 버너(200)를 상기 제1 버너(100)의 위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많은 수의 버너가 필요한 경우에는 제2 버너(200)를 이동시켜 상기 제1 버너(100)의 옆에 나란하게 배치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쿡탑(C)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는 일반적으로 싱크대 및 조리대에 빌트인되게 설치되므로, 상기 제1 버너(100)의 옆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기 제2 버너(200)는 상기 싱크대 및 조리대 상면에 올려져 지지된다. 만약, 상기 제2 버너(200)가 상기 제1 버너(100)의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었을 때 상기 싱크대 및 조리대에 의해 지지될 수 없다면, 별도의 바(bar)나 지지대를 사용하여 상기 제2 버너(200)를 지지하면 될 것이다.
위와 같이 두 개의 버너가 포개어지거나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면, 조리 기기의 폭과 너비, 즉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많은 수의 버너를 조리 기기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적은 수의 버너를 사용하여 조리하거나 많은 수의 버너를 한꺼번에 사용하여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아래에 배치된 버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버너(200)의 일측, 예를 들어 하부에는 패드(2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260)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버너(200)가 상기 제1 버너(100) 위에 올려졌을 때 상기 제1 버너(100)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 버너(200)에 의해 상기 제1 버너(100)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조리 기기, 즉 쿡탑(C)에 고정된 상기 제1 버너(100)의 옆에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버너(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버너(300)는 상기 제1 버너(100)의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조리 기기, 즉 쿡탑(C)의 상부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너(100)와 제3 버너(300)는 조리 기기에 고정되므로 고정 버너라고 부를 수 있으며, 상기 제2 버너(200)는 버너의 수 를 늘릴 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확장 버너라고 부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확장 버너, 즉 제2 버너(200)는 다수의 고정 버너 중 제1 버너(100) 위에 포개지게 배치되거나 상기 조리 기기의 케이스 옆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고정 버너 중 제1 버너(100) 옆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 버너가 상기 고정 버너 중 어느 하나, 즉 제1 버너(100)의 위에 배치된 경우, 상기 확장 버너의 상면은 상기 고정 버너 중 다른 하나, 즉 상기 제3 버너(30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상기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 그리고 상기 제3 버너(300)에는 각각 하나씩의 단위 버너가 구비될 수도 있겠지만, 여러 개의 단위 버너가 구비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6에는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 및 제3 버너(300)에 각각 두 개씩의 단위 버너가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각 단위 버너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버너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상기 제3 버너(300)에 설치된 단위 버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에 장착되는 고정 버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제3 버너(300)의 단위 버너로 사용될 수 있는 버너의 구조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3 버너(300)의 상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 플레이트(310)가 구비된다.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310)는 세라믹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사용자가 조리해야할 음식물을 정확한 위치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알려주는 지 시선 등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아래쪽을 볼 수 있도록 투명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310)의 아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단위 버너가 적어도 하나 구비된다. 참고로, 도 1에는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310)의 아래에 두 개의 단위 버너가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각 단위 버너는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그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310)의 아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320)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320)는 예를 들어 탄소 히터(carbon hea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소 히터는,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밀폐된 석영관의 중앙부에 탄소로 이루어진 저항 발열체가 위치해 있으며, 밀폐되도록 마감된 양 단부가 금속편 등의 연결부에 의해 외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석영관의 내부는 진공이거나 불활성 기체로 채워져 있어 탄소로 이루어진 저항 발열체가 고온으로 발열할 때 산화되는 현상을 방지해준다. 위와 같이 구성된 상기 히터(320)의 발열부, 즉 저항 발열체를 밀폐하는 석영관 부분은 원형 또는 말굽형(Ω)으로 절곡되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310)의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히터(320)의 아래에는 상기 히터(320)를 둘러싸서 상기 히터(320)에서 발생한 빛과 열을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310)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330)이 배치된다. 상기 반사판(33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며, 높은 내열 성능 및 열 반사 성능을 제공하도록 특수 가공될 수 있다.
상기 히터(320)와 상기 반사판(330)의 사이에는 히터 서포터(350)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 서포터(350)는 상기 히터(320)의 발열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히터(320)의 발열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히터(320)의 위치를 유지시켜 준다.
상기 반사판(330)의 아래에는 상기 반사판(330)의 바닥면과 측면을 둘러싸는 베이스 플레이트(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는 상기 버너의 케이스 역할과 함께 상기 반사판(330)에서 전달되어온 열이 조리기기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해준다.
상기 히터(320)의 양 단부는, 외부의 전기 단자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반사판(330)과 베이스 플레이트(340)를 관통한 후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의 측면에는 히터(320)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써모스탯(thermostat)(360)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써모스탯(360)의 작동 바아(361)는 상기 반사판(330)을 관통한 후 상기 반사판(330)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320)가 과열되면 상기 작동 바아(361)가 써모스탯(360)을 작동시키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히터(320)로의 전기 공급이 중단되어 과열에 의한 히터(32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의 버너는 높은 출력과 고효율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 제3 버너(300)의 단위 버너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도 2의 버너는 고정 버너인 제1 버너(100)의 단위 버너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나, 무게가 무겁고 그 높이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서로 포개지게 배치될 수 있는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의 단위 버너로 사용하는 것은 적절 하지 않을 수 있으며, 확장 버너인 제2 버너(200)의 단위 버너로는 가볍고 두께가 얇은 것이 사용되는 것이 보다 나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상기 제2 버너(200)는 그 무게와 두께가 얇은 면상 발열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면상 발열 히터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면상 발열 히터의 상면에는 글래스 플레이트(210)가 구비된다.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버너(300)의 글래스 플레이트(310)와 함께 상기 조리 기기, 예를 들어 쿡탑(C)의 상면을 형성한다.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210)의 위에는 조리시 음식이나 그릇이 올려지며, 그 하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 패턴(220)이 인쇄된다. 상기 저항 패턴(220)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210)의 하면 전체에 인쇄되거나 특정 형상을 가지면서 넓은 면적을 커버하도록 인쇄된다. 인쇄된 저항 패턴(220)에는 전원 단자(230)가 연결되며, 상기 전원 단자(230)를 통해 전기가 인가되면 상기 저항 패턴(220)이 발열하게 된다.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210)의 아래에는 상기 저항 패턴(220)을 복개하도록 절연층(2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 패턴(220)의 발열시 발생하는 열은 상기 절연층(240)으로 전달되기보다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210)로 전달되며, 이에 의해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210)의 위에 올려진 음식이나 그릇이 가열된다.
상기 면상 발열 히터에는 하우징(250)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하우 징(2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240)을 복개하도록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210)의 아래에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250)의 상단은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210)의 가장 자리를 감싸서 보호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위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면상 발열 히터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면상 발열 히터는 위에 설명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되고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발열하도록 구성되면 족하다.
상기 제1 버너(100)와 상기 제2 버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한 면상 발열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상기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가 서로 포개지게 배치되더라도 그 높이가 높지 않으므로 조리 기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확장 버너, 즉 상기 제2 버너(200)를 매우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에서 상기 제2 버너(200)의 운동을 안내하는 상기 안내 부재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안내 부재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 4는 안내 부재가 힌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에서 제2 버너의 이동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안내 부재가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예에서 제2 버너의 이동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신축 가능한 링크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도; 도 7은 관절을 가진 링크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도; 도 8은 안내 부재가 부드럽게 구부러지는 예에서 제2 버너의 이동을 나타낸 개략도; 그리고 도 9는 안내 부재가 미끄럼 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 예에서 제2 버너의 이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상기 안내 부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힌지(410)는 상기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4의 예의 경우, 상기 제1 버너(100)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버너(200)가 상기 힌지(410)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평소에는 도 4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를 포개어 사용하고, 많은 수의 버너가 필요한 경우에는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제2 버너(200)를 회전시켜 상기 제1 버너(100) 옆에 나란히 배치한 후 사용하면 된다.
상기 제2 버너(200)는 상기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이 바뀌게 된다. 따라서, 적어도 한 쌍의 면상 발열 히터를 상기 제2 버너(20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노출되게 장착한다면, 상기 제2 버너(200)는 제1 버너(100) 위에 위치해 있을 때나 상기 제2 버너(200) 옆에 나란히 위치된 때 모두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는 달리, 상기 제2 버너(200)는 위 두 위치 중 어느 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에서는 상기 힌지(410)가 상기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구조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상기 힌지(410)가 상기 제2 버너(200)와 상기 조리 기기의 캐비닛 등 다른 부분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 을 것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 버너(200)는 상기 힌지(41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버너(100) 위에 포개지게 배치되거나 상기 제1 버너(100)의 옆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 부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버너(100)와 상기 제2 버너(200)를 연결하는 링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크(420)는 상기 제1 버너(1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단부, 그리고 상기 제2 버너(20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가진다.
상기 링크(420)는 하나의 마디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버너(200)의 이동 시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상대 거리는 변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420)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그 길이가 가변 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링크(4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디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마디에는 링크(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롯(421)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마디에는 상기 슬롯(421)에 끼워져 상기 링크(420)의 신축 시 상기 슬롯(421)을 따라 이동하는 돌기(423)가 형성된다.
상기 링크(420)는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관절(4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링크(420)는 적어도 두 개의 마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 마디는 회전 가능한 상기 관절(425)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면, 상기 제2 버너(200)의 이동이 보다 자유로워질 수 있으며, 상기 링크(420)의 길이 또한 상기 관절(425)을 중심으로 인접한 두 개의 마디가 서로 접 히거나 펼쳐지면서 신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버너(200)는 도 5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버너(100)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링크(420)는 회전 및 신축하면서 상기 제2 버너(200)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제2 버너(200)가 이동을 완료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두 개의 고정 버너, 즉 제1 버너(100)와 제3 버너(300) 뿐만 아니라 확장 버너, 즉 제2 버너(200)에 장착된 모든 단위 버너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링크(420)는 위의 구조에 국한되지만은 않으며,상기 제2 버너(2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면 족하다. 그리고, 위와는 달리, 상기 링크(420)는 상기 제2 버너(200)와 상기 조리 기기의 캐비닛 등의 다른 부분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를 연결하는 유연한 연결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럽게 구부러지면서 상기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의 상대 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30)는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버너(200)는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기 연결부(430)는 상기 제1 버너(100)와 상기 조리 기기의 캐비닛 등의 다른 부품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2 버너(200)가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버너(100)에는 제1 안내 부재(441)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안내 부재(441)는 예를 들어 레일이나 안내 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버너(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 버너(200)에는 상기 제1 버너(100)의 제1 안내 부재(441)에 결합되는 제2 안내 부재(443)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안내 부재(443)는 예를 들어 가이드 바(bar)나 롤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버너(100)와 상기 제2 버너(200)가 상호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서로 포개지거나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안내해 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안내 부재(441)는 예를 들어 긴 수평부와 절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부는 상기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상기 제2 버너(200)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수평부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1 버너(100)와 제2 버너(200)가 펼쳐져 나란히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를 따라 이동한 상기 제2 버너(200)를 아래쪽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1 안내 부재(441)와 상기 제2 안내 부재(443)는 위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 상기 제1 안내 부재(441)가 상기 제2 버너(200)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안내 부재(443)가 상기 제1 버너(100)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 안내 부재(441)와 제2 안내 부재(44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버너(200)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조리 기기의 캐비 닛 등의 다른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확장 버너를 고정 버너 위에 포개어 사용하거나 고정 버너 옆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조리 기기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도 많은 수의 버너를 조리 기기에 탑재할 수 있으며, 다양하고 많은 양의 요리를 한꺼번에 해야 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확장 버너와 고정 버너를 판상 발열 히터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 버너의 높이 및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다수의 버너가 탑재된 조리 기기의 크기를 컴팩트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제1 및 제2 버너;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버너가 서로 겹치게 배치되거나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너가 서로 겹치거나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모두에 조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면상 발열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음식이나 그릇이 올려지는 글래스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하면에 프린트되며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하는 저항 패턴; 그리고
    상기 글래스 플레이트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저항 패턴을 복개하여 절연시키는 절연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 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위에 배치되는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그 일측에 구비되는 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 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버너를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 기기.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1 버너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2 버너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가진 신축가능한 링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 기기.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적어도 하나의 관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리 기기.
  10. 제1 및 제2 버너;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버너가 서로 겹치게 배치되거나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어느 하나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어느 하나에 길게 형성된 제1 안내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안내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버너가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포개지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제2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안내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버너가 서로 포개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긴 수평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버너가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버너 중 어느 하나를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너가 서로 겹치거나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모두에 조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1. 삭제
  12. 삭제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버너는 다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확장 버너는 어느 하나의 고정 버너 위에 배치되었을 때 그 상면이 다른 고정 버너의 상면과 같은 높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KR1020070012608A 2007-02-07 2007-02-07 조리 기기 KR100848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608A KR100848911B1 (ko) 2007-02-07 2007-02-07 조리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608A KR100848911B1 (ko) 2007-02-07 2007-02-07 조리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8911B1 true KR100848911B1 (ko) 2008-07-29

Family

ID=3982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608A KR100848911B1 (ko) 2007-02-07 2007-02-07 조리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9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8530A (zh) * 2021-07-07 2021-11-05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暖菜桌及其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850U (ko) * 1993-12-14 1995-07-24 이명관 2중 버너를 갖는 절첩식 가스곤로
KR20050071414A (ko) * 2002-08-08 2005-07-07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조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850U (ko) * 1993-12-14 1995-07-24 이명관 2중 버너를 갖는 절첩식 가스곤로
KR20050071414A (ko) * 2002-08-08 2005-07-07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가열 조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98530A (zh) * 2021-07-07 2021-11-05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暖菜桌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6080B2 (en) Cooker
KR102070777B1 (ko) 오븐 레인지
EP1083773A2 (en) Radiant electric heater for a microwave oven
KR100848911B1 (ko) 조리 기기
KR20080073860A (ko) 조리 기기용 히터 서포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리 기기
KR101702660B1 (ko) 조리기기
US9900935B2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 products
US8939067B2 (en) Cooker
KR100777294B1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조립방법
US3700856A (en) Hinged surface heating unit system
KR20100064643A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KR100863044B1 (ko) 조리 기기
KR100589768B1 (ko) 발열체가 내장된 도어를 구비한 전기오븐
KR100550479B1 (ko) 가열 조리기
KR100863045B1 (ko) 조리 기기
KR100999767B1 (ko) 가열조리기기
CN113271827A (zh) 烹饪设备
KR100697458B1 (ko) 전면유리형 오븐도어
CN220327324U (zh) 一种防冷凝水装置的烹饪器具
KR101192351B1 (ko) 조리기기
KR101171313B1 (ko) 조리 기기용 히터 서포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리 기기
WO2004091260A1 (ja) 高周波加熱装置
KR10068866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백가드부 장착구조
JP2024048645A (ja) 加熱調理器
KR19990027731A (ko) 오븐 기능의 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