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366B1 -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366B1
KR100848366B1 KR1020060064558A KR20060064558A KR100848366B1 KR 100848366 B1 KR100848366 B1 KR 100848366B1 KR 1020060064558 A KR1020060064558 A KR 1020060064558A KR 20060064558 A KR20060064558 A KR 20060064558A KR 100848366 B1 KR100848366 B1 KR 100848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rvice
toll
caller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782A (ko
Inventor
김채용
조장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성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성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성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060064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366B1/ko
Publication of KR2008000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08Metering calls to called party, i.e. B-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종래의 유무선통신시스템 상에서 일반 유무선전화기를 상대로 콜렉트콜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의 교환기"와 "종래의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의 수신자 측 교환기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일반 유무선전화기(발신자 측)에서 수신자부담방식으로 단축번호에 의해 발신자의 인증과정이나 수신자의 승낙과정을 거치지 않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후, 통신이 종료되면 그에 따른 과금을 하도록 함으로서,
수신자 측의 단축번호서비스 회원가입자들에게는, 발신자 측의 모든 일반 유무선전화기 가입자들에게 다양한 컨텐츠 상품 및 서비스를 자신의 부담으로 신속하고 저렴하게 제공하여 광고 및 판촉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이용하는 발신자 측의 모든 일반 유무선전화기 가입자들에게는, 수신자의 부담으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자에게 접속하여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상품이나 서비스에 보다 빠르고 쉽게 접근하여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단축번호, 수신자부담, 확장, 프로토콜,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교환기, 전화기, 단말기, 콜렉트콜, 인증서버, 과금서버

Description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An expansion service system for short dial/callectcall and the method thereof }
도1은 종래의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종래의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 시스템의 흐름도
도3은 종래의 수신자부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4는 종래의 수신자부담 서비스 시스템의 흐름도
도5는 본원발명에 의한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의 구성도
도6은 본원발명에 의한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의 개선된 구성도
도7은 본원발명에 의한 통신프로토콜 예시도
도8은 본원발명에 사용되는 회원관리 테이블 예시도
도9는 본원발명에 의한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부
110 : 발신자 측 유무선단말기 120 : 발신자 측 교환기
130, 320 : 공중통신망
140 : 수신자 측 교환기 150 : 콜렉트콜교환기
160 : 과금시스템 170 : 단축번호시스템
200 : 수신자 그룹
211 ~ 21n :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
221 ~ 22n : 수신자 측 유무선전화기
300 : 유무선전화기로 콜렉트콜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 통신부
310 :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 330 :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교환기
340 : 인증서버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본원발명은 "종래의 유무선통신시스템 상에서 일반 유무선전화기를 상대로 콜렉트콜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의 교환기"와 "종래의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의 수신자 측 교환기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일반 유무선전화기(발신자 측)에서 수신자부담방식으로 단축번호에 의해 발신자의 인증과정이나 수신자의 승낙과정을 거치지 않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후, 통신이 종료되면 그에 따른 과금을 하도록 함으로서,
수신자 측의 단축번호서비스 회원가입자들에게는, 발신자 측의 모든 일반 유무선전화기 가입자들에게 다양한 컨텐츠 상품 및 서비스를 자신의 부담으로 신속하 고 저렴하게 제공하여 광고 및 판촉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이용하는 발신자 측의 모든 일반 유무선전화기 가입자들에게는, 수신자의 부담으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자에게 접속하여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상품이나 서비스에 보다 빠르고 쉽게 접근하여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의 기능을 콜렉트콜 기반의 단말기에서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 일반 유무선전화기까지 확장한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기술적 배경>
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통신수요가 급속히 확장되면서 많은 통신사업자들이 경쟁적으로 통신서비스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한정된 통신시장에 다양한 통신사업자들이 참여하여 각각 자사의 고객 유치를 위해 치열하게 경쟁함에 있어서, 그 성패는 누가 보다 양질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느냐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그러나 통신기반기술이 확보된 현재의 시점에서 볼 때, 각 통신사업자들이 제공하고 있는 각종 통신서비스는 큰 틀에 있어서는 대체로 동일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통신사업자 별로 크게 차별화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통신사업자들로부터 통신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고객들은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통신서비스상품을 선택할 때에 인터넷 등을 통해 대단히 많은 정보를 확보한 상태에서 아주 세밀한 부분까지 일일이 대비하여 상품의 질을 평가한 다음, 최종적으로 사용할 상품을 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고객에 의한 통신상품의 선택은 통신 상품의 특성상 곧 바로 통신사업자의 선택으로 귀결되어지게 된다.
경우에 따라 통신사업자의 입장에서 볼 때 아주 사소해 보이는 문제들도 그 상품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크게 불편을 주는 경우가 많으며, 고객들이 통신상품을 결정할 때에는 바로 그와 같은 불편을 개선한 상품을 선택하게 된다.
또한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고객들이 결정하는 통신상품은 곧바로 통신사업자의 선택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현재의 통신사업자들은 상기와 같은 고객 불편사항을 타 경쟁사업자들보다 먼저 찾아내어 그 문제를 개선한 통신서비스상품을 경쟁적으로 제공함으로서 고객의 마음을 자극하여 큰 폭의 매출 증대를 시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위와 같이 고객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개발하여 널리 보급되고 있는 통신서비스상품들 중의 하나가 바로 수신자에게 통신료를 부담하게 하는 수신자부담방식의 통신서비스(일명 콜렉트콜서비스)와, 발신자가 다이얼링할 수 있는 회수를 가능한 한 줄여줌으로서 빠르고 편리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이다.
<종래의 기술 1>
위와 같은 통신 시장의 변화 추이에 맞추어 본 출원인은 다양한 통신서비스 기술을 개발하여 보급하여 왔으며, 그와 같은 기술의 하나로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개발하여 출원(출원번호 10-2006-0026890호)한 바 있다.
상기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은 기존에 실시되고 있던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에 별도의 단축번호서버를 수신자 측의 교환기의 콜렉트콜 교환기에 추가로 구축하고, 이를 통해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수신자 측의 회원가입자들에게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수신자 측의 단축번호서비스 회원가입자들에게는, 고객들에게 다양한 컨텐츠 상품 및 서비스를 자신의 부담으로 신속하고 저렴하게 제공하여 광고 및 판촉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이용하는 일반가입자(고객)들에게는, 단축번호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자의 부담으로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상품이나 서비스에 보다 빠르고 쉽게 접근하여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을 두고 있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 1의 문제점>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 1은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단축번호시스 템으로서, 콜렉트콜 전용전화기나 콜렉트콜 플랫폼이 탑재되어 있는 특정단말기에 콜렉트콜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다수의 전화가입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가정용 유선전화기, 개인용 휴대폰 등과 같이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일반 유무선전화기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은 그 사용상의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동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대상이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는 단말기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서비스상품의 보급을 일반 유무선전화기까지 확대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종래의 기술 2>
한편,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일반 유무선전화기에서도 수신자부담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또 다른 기술이 도3 및 도4와 같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는 도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발신자 측 유무선 전화기에서 공중통신망을 통해 수신자부담통신사업자 교환기로 수신자부담방식으로 통화요청을 하면 수신자부담통신사업자교환기는 이를 수신자와 연결하고 발신자 인증 및 수신자 승낙 과정을 거쳐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 다음, 통화가 종료되고 나면 그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 서비스는 입대군인이나 청소년, 그리고 해외 유학생이나 해외 여행객 등 과 같이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발신자가 통신요금을 부담하기 곤란한 경우에 매우 요긴하게 사용되는 편리한 통신방식으로서 현재 아주 널리 보급되어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 2의 문제점>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 2는 발신자가 통화를 하고자 할 때, 도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교환기를 다이얼링하여 호출하고 난 후,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교환기로부터 송출되는 메시지에 따라 수신자부담 통화를 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버튼을 누른 다음, 이어서 수신자 측의 발신자 인증과정과 수신자의 통화 승낙과정을 거쳐야만 비로소 통화가 가능해진다.
즉 발신자는 매우 많은 횟수의 다이얼링을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해야만 하 뿐만 아니라, 발신자 인증 및 수신자 승낙 과정을 거치기 위해 불필요한 시간을 그다지 유쾌하지 않은 기분으로 소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상기 종래의 기술 1에서와 같이 수신자의 필요에 의해서 수신자의 부담으로 발신자가 전화를 전화해 오도록 유도해야만 하는 수신자의 입장(회원가입자의 입장)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가 대단히 치명적인 약점이 되지 않을 수 없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유무선통신시스템 상에서 일반 유무선전화기를 상대로 콜렉트콜서비 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의 교환기"와 "종래의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의 수신자 측 교환기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일반 유무선전화기(발신자 측)에서 수신자부담방식으로 단축번호에 의해 발신자의 인증과정이나 수신자의 승낙과정을 거치지 않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후, 통신이 종료되면 그에 따른 과금을 하도록 함으로서,
수신자 측의 단축번호서비스 회원가입자들에게는, 발신자 측의 모든 일반 유무선전화기 가입자들에게 다양한 컨텐츠 상품 및 서비스를 자신의 부담으로 신속하고 저렴하게 제공하여 광고 및 판촉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이용하는 발신자 측의 모든 일반 유무선전화기 가입자들에게는, 수신자의 부담으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이용하여 수신자에게 접속하여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상품이나 서비스에 보다 빠르고 쉽게 접근하여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구성을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본원발명에 의한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6은 본원발명에 의한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중 중복된 구성을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서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한 구성도이다.
먼저 본원발명의 구성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선 크게,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부(100)"와;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 유무선전화기 통신부(300)"와;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부(100) 및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 유무선전화기 통신부(300) 모두에 적용되는 수신자그룹(2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의 보다 상세한 구성은,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발신자측 교환기(120)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발신자 측 유무선단말기(110)와;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동 기능을 기반으로 하여 발신자측의 요청에 따라 발신자 측 유무선단말기(110)를 공중통신망(130)으로 연결하여 주는 발신자 측 교환기(120)와;
발신자 측 교환기(120)와 수신자 측 교환기(140)를 상호 연결하여 통신을 중계하는 공중통신망(130)과;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동 기능을 기반으로 하여 공중통신망(130)을 통해 연결된 발신자 측 유무선단말기(110) 또는 수신자부담사업자통신망교환기(330)을 통해 연결된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를 콜렉트콜 교환기(150)로 연결하여 주는 수신자 측 교환기(140)와;
수신자 측 교환기(140)를 통해 발신자 측 유무선단말기(110) 또는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의 서비스 요청을 접수하고, 단축번호서비스시스템(170)을 검색하여, 발신자 측 유무선단말기(110) 또는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가 통신하기를 희망하는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210)가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 수신된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210)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연결하여 주는 콜렉트콜 교환기(150)와;
콜렉트콜 교환기(150)를 통해 발신자 측 유무선단말기(110) 또는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와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210)간에 통신이 종료되면 제공된 서비스에 대해 과금을 하는 과금시스템(160)과;
콜렉트콜교환기(150)의 요청에 따라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210)의 회원가입 인증을 수행하고,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210)의 전화번호를 콜렉트콜교환기(150)로 제공하는 단축번호시스템(170)과;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시스템"의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210)와;
공중통신망과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 교환기를 통해 수신자 측 유무선전화기(220)와 수신자부담방식으로 통화를 할 수 있는, 일반 가정용 유선전화기 혹은 휴대폰 등과 같은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와;
발신자 측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를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 교환기(330)로 연결해 주는 공중통신망(320)과;
상기 공중통신망(320)을 통해 연결되어진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의 서 비스 요청의 내용을 확인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수신자부담 방식으로 수신자 측 유무선전화기(220)를 호출하여 양측의 통화를 중개하거나, 동 신호를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는 수신자 측 교환기(140)로 전송하여 단축번호에 의해 수신자부담방식으로 수신자 측단말기(210)를 호출하여 양측의 통화를 중계하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교환기(330)와;
상기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 교환기(330)의 요청에 따라 발신자 인증 및 수신자 승낙 기능을 수행하는 인증서버(340)와;
상기 통화의 진행상황을 감시한 후, 통화가 종료되면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하는 과금시스템(350)과;
상기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 교환기(330)의 호출에 따라 통신망이 연결되면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와 통신을 수행하는 수신자 측 유무선전화기(2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콜렉트콜 기반의 공중통신망(130)과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는 공중통신망(320)은 설명의 편의상 분리시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동일한 기간통신사업자에 의해 운용되는 한 종류의 통신망이다.
또한 상기 콜렉트콜 기반의 수신자 측 단말기(210)는 실제로는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 유무선전화기(220)와 더불어 일군의 수신자그룹(200)을 이루어,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 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교환기(33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분리하여 수신자 측 단말기(210)로 표현한 것은 이들 그룹은 수신자의 필요에 따라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 시스템의 회원으로 가입한 후, 동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받고 있는 그룹이기 때문에 이를 보다 분명히 설명하기 위해서이다.
또 상기 단축번호서비스시스템(170)은 내부에 단축번호서버, DBMS, 단축번호관리프로그램 등을 구비한 구성을 포괄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상기 세부구성은 이미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상기 종래의 기술 1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의 동작과정을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원발명에서 통신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다음과 같은 3가지 방식이 된다.
첫째는 발신자 측 유무선단말기(110)에서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210)로 이어지는 종래의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이용한 통신방식이고,
둘째는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에서 수신자 측 유무선전화기(210)로 이어지는 종래의 수신자부담 방식의 통신방식이며,
셋째는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에서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210)로 이어지는 본원발명에 의한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이용한 통신방식이다.
상기한 3가지 통신방법 중 첫 번째와 두 번째의 통신방식은 종래의 기술에서 이미 구현되고 있는 통신방식으로서, 종래의 기술적 구성이 본원발명의 구성에 그대로 포함되어 적용되는 것이므로, 본원발명에서도 종래의 방식과 대체로 동일하게 수행되게 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2가지 방식의 통신과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원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바로 상기 3번째 통신방식인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의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는 일반 유무선전화기에서 단축번호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신자부담으로 통화를 할 수 있기 위해서는(본원발명이 구현될 수 있기 위해서는) 먼저 다음 조건이 성립되어야 한다.
첫째, 상기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를 소지한 발신자가 송신한 호신호가 종래의 수신자부담방식의 통신서비스(상기 2번째 통신방식)를 요청하는 것인지, 아니면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상기 3번째 통신방식)를 요청하는 것인지를 상기 수신자부담용통신망사업자 교환기(330)가 확인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마련되어 있어야만 한다.
둘째, 상기 수신자부담용통신망사업자 교환기(330)를 통해 수신된 상기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의 호신호가 종래의 수신자부담방식의 통신서비스(상기 2번째 통신방식)를 요청하는 것인지, 아니면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상기 3번째 통신방식)를 요청하는 것인지를 상기 수신자 측 교환기(140)가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부(100)와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 유무선전화기 통신부(300) 간에 송수신되는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인식하기 위한 부호에 통일성이 유지되어야만 한다.
도 7은 이를 위해서 마련된 통신 프로토콜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프로토콜은 고정불변의 것은 아니고 각 통신사별로 독자적 판단에 의해 결정될 사안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규칙에 따라 통신이 수행될 경우, 수신자부담방식통신망사업자교환기는 호출번호(예를 들면, 1682, 1633, 1677 등 중의 하나)에 의해 동 신호가 수신자부담 방식의 통신서비스 요청임을 1차로 확인할 수 있고,
이어지는 통신방식에 대한 신호(예를 들면, #, *, 혹은 임의의 다른 부호)에 의해 그 서비스의 구체적인 내용이 종래의 수신자부담방식의 통신서비스를 요청인지, 아니면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인지를 2차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본원발명에 의한 상기 3번째 통신방식인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를 소지한 발신자가 수신자부담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통신사업자교환기(330)의 전화번호를 먼저 선택하여 다이얼링한다.
예를 들면, 1682, 1633, 1677 등이 된다.
이어서 공중통신망(320)을 통해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교환기(330)가 연결되고 착신음이 떨어지면 발신자는 곧 바로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를 조작하여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하는 버튼(*)을 누르고 이어서 미리 알고 있는 단축번호를 다이얼링 한다.
여기에서 단축서비스를 요청하는 버튼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수신자부담통신사업자가 미리 선택하여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 면, #이나 *버튼이 될 수도 있고, 특정한 숫자 버튼이 될 수도 있다.
이는 오직 수신자부담통신사업자가 결정할 선택의 문제로서 수신자부담통신사업자교환기(330)가 이를 인식할 수 있기만 하면 된다.
다만, 이 경우 종래의 수신자부담통신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와는 반드시 다르게 선정하여 중복을 피하도록 하여야 한다.
확장된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 요청이 오면 수신자부담통신사업자교환기(330)는 발신자 측 전화번호를 인증서버(340)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한다.
인증서버(340)의 인증결과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이면, 콜렉트콜기반의 수신자 측 교환기(140)를 호출하고 확장된 콜렉트콜기반의 수신자부담통신서비스임을 알린 후, 이후 수신되는 단축번호를 전송하고 통신의 진행상황을 감시한다.
여기에서 수신된 신호가 만일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가 아니면 종래의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교환기(330)로부터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와 함께 단축번호를 수신한 콜렉트콜기반의 수신자 측 교환기(140)는 수신된 신호의 동기화과정을 거쳐 동 신호를 콜랙트콜 교환기(15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부터 수행되는 확장된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는 종래의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와 사실상 동일한 서비스로 된다.
다시 말해서 이후부터는 종래의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와 본원발명에 의한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가 특별히 구분되지 않고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다만,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앞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확장된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예를 들면, *신호)를 기존의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 요청 신호와 반드시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만일 불가피한 사정으로 인해 이를 일치 시킬 수 없다면 확장된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가 기존의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와 동일한 것이라는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토콜을 생성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기존의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 시스템에서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 요청 신호를 #로 하고, 일반 콜렉트콜 서비스제공을 요청하는 신호를 *로 하고 있다면,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330)로부터 수신된 확장된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가 *로 요청될 경우, 콜렉트콜교환기(150)는 이를 확장된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로 인식하지 않고 일반콜렉트콜서비스로 인지하여 이후 수신되는 단축번호를 수신자의 일반 전화번호로 인식함으로서 오류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위에서 일반콜렉트콜서비스라 함은 종래의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시스템에서 수신자가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회원으로 가입되지 않은 자일 경우, 이 사실을 발신자 측에 고지하고 일반적인 콜렉트콜 방식으로 전환하여 발신자가 수신자의 모든 전화번호를 입력해 주도록 요청한 다음, 단축번호 없이 단 순히 콜렉트콜 방식으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종래의 기술이 게재된 명세서에 상세히 공개된 바 있다.
이어서 상기 콜렉트콜 서비스요청을 수신한 콜렉트콜 교환기(150)는 먼저 서비스신청 식별자를 인지하고, 계속해서 상기 인지된 식별자가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신청 식별자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식별자가 단축번호서비스 식별자가 아니면(예를 들어 *가 아닌 다른 신호이면) 종래의 콜렉트콜 서비스 제공과정을 거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식별자가 단축번호서비스 식별자이면(예를 들어 *신호이면) 단축번호서버시스템(170)에 가입자의 수신자 전화번호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한다.
상기 콜렉트콜 교환기(150)로부터 가입자의 수신자 전화번호 요청이 오면 단축번호 서버시스템(170)은 내부에 있는 DBMS(미도시)를 검색하여, 미리 입력되어 있는 당해 가입자의 수신자 측 단말기(210)의 전화번호와 회원등급 등과 같은 가입자의 정보를 콜렉트콜 교환기(150)로 제공한다.
여기에서 단축번호서버시스템(170)에 저장되어 있는 회원등급 등에 관한 정보테이블은 도7과 같이 구성된다. 위 테이블에서 회원등급은 수신자와의 계약조건 등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의 내용 또는 과금조건을 다르게 적용하기 위해 사업자가 고객별로 부여하는 고객관리 등급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종래의 기술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단축번호서버시스템(170)으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회원등급 등 가입자의 정보를 수신한 콜렉트콜 교환기(150)는 수신자부담통신망 사업자교환기(330)를 통해 수신자 측 유무선전화기를 호출하고 통신회선을 연결한 다음,
통화의 종료 여부를 감시한다.
이어서 발신자/수신자의 통화가 종료되면, 가입자 정보와 함께 통화정보를 과금시스템(160)으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정보를 수신한 과금시스템(160)은 단축번호서비스 제공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여 수신자의 계정에 저장한 다음,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 제공 상황을 종료한다.
이어서 이를 감시하고 있던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교환기(330)는 최종적인 통화 종료를 확인한 다음, 통화정보를 과금시스템(350)으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정보를 수신한 과금시스템(350)은 수신자부담통신서비스를 제공한 데 따른 과금을 산출하여 수신자의 계정에 저장한 후, 일반 유무선전화기를 상대로 콜렉트콜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의 교환기의 단축번호서비스 제공 상황을 종료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 유무선전화기에서 콜렉트콜 기반의 유무선단말기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 사업자"와 "발신자 부담 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를 별개의 사업자로 보아 이를 분리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편, 각각 별도의 인증서버나 과금시스템을 갖추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 사업자"와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를 통합하여 이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일부 중복된 요소를 부분적으로 통합하여 단순화할 수 있다.
도6은 바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 사업자"와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가 통합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경우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의 인증서버나 과금시스템은 콜렉트콜기반의 인증서버나 과금시스템에 통합하여 구성함으로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시스템을 통합하여 구성할 경우,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가 별도의 인증을 하거나 과금을 하는 번거로운 절차가 생략될 수 있어 편리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에 의하면,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 않는 일반적인 유무선전화기에서,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시스템의 수신자 측 단말기로 전화를 할 경우, 통화요금을 수신자가 부담하고 발신자에게 단축번호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수신자 측의 단축번호서비스 회원가입자들에게는, "종래의 유무선통신시스템 상에서 일반 유무선전화기를 상대로 콜렉트콜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의 유무선전화기 가입자(고객)들에게까지 다양한 컨텐츠 상품 및 서비스를 자신의 부담으로 신속하고 저렴하게 제공하여 광고 및 판촉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이용하는 "종래의 유무선통신시스템 상에서 일반 유무선전화기를 상대로 콜렉트콜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의 유무선전화기 가입자(고객)들에게는, 수신자의 부담으로 단축번호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상품이나 서비스에 보다 빠르고 쉽게 접근하여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즉 종래의 콜렉트콜 기반의 유무선 단말기에 한정되던 서비스를 "종래의 유무선통신시스템 상에서 일반 유무선전화기를 상대로 콜렉트콜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의 유무선 전화기에까지 확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통신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켜 통시사업자의 매출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8)

  1.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부(100)"와;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 유무선전화기 통신부(300)"와;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부(100) 및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 유무선전화기 통신부(300) 모두에 적용되는 수신자그룹(2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부(100)는,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발신자 측 교환기(120)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발신자 측 유무선단말기(110)와;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동 기능을 기반으로 하여 발신자 측의 요청에 따라 발신자 측 유무선단말기(110)를 공중통신망(130)으로 연결하여 주는 발신자 측 교환기(120)와;
    발신자 측 교환기(120)와 수신자측 교환기(140)를 상호 연결하여 통신을 중개하는 공중통신망(130)과;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동 기능을 기반으로 하여 공중통신망(130)을 통해 연결된 발신자 측 유무선단말기(110) 또는 수신자부담사업자통신망교환기(330)을 통해 연결된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를 콜렉트콜 교환기(150)로 연결하여 주는 수신자 측 교환기(140)와;
    수신자 측 교환기(140)를 통해 발신자 측 유무선단말기(110) 또는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의 서비스 요청을 접수하고, 단축번호서비스시스템(170)을 검색하여, 발신자 측 유무선단말기(110) 또는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가 통신하기를 희망하는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210)가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한 다음, 수신된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210)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연결하여 주는 콜렉트콜 교환기(150)와;
    콜렉트콜 교환기(150)를 통해 발신자 측 유무선단말기(110) 또는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와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210)간에 통신이 종료되면 제공된 서비스에 대해 과금을 하는 과금시스템(160)과;
    콜렉크콜교환기(150)의 요청에 따라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210)의 회원가입 인증을 수행하고, 단축번호에 상응하는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210)의 전화번호를 콜렉트콜교환기(150)로 제공하는 단축번호시스템(17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 유무선전화기 통신부(300)는,
    공중통신망과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 교환기를 통해 수신자 측 유무선전화기(220)와,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으로 통화를 할 수 있는 발신자 측의 일반 유무선전화기(310)와;
    발신자 측의 요청에 따라 상기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를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 교환기(330)로 연결해 주는 공중통신망(320)과;
    상기 공중통신망(320)을 통해 연결되어진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의 서비스 요청의 내용을 확인하고, 상기 발신자 측의 요청에 따라 수신자부담 방식으로 수신자 측 유무선전화기(220)를 호출하여 양측의 통화를 중개하거나, 동 신호를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는 수신자 측 교환기(140)로 전송하여 단축번호에 의해 수신자부담방식으로 수신자 측 단말기(210)를 호출하여 양측의 통화를 중개하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교환기(330)와;
    상기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 교환기(330)의 요청에 따라 발신자 인증 및 수신자 승낙 기능을 수행하는 인증서버(340)와;
    상기 통화의 진행상황을 감시한 후, 통화가 종료되면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하는 과금시스템(3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부담방식의 통신체계를 근간으로 하여 수신자부담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반 유무선전화기 통신부(300)의 인증서버(340) 및 과금시스템(350)은,
    상기 콜렉트콜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부(100)의 과금시스템(160) 및 단축번호시스템(170)으로;
    통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그룹(200)은,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시스템"의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수신자 측 유무선단말기(210)와;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 교환기(330)의 호출에 따라 통신망이 연결되면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310)와 통신을 수행하는 수신자 측 유무선전화기(2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6. 발신자 측 유무선전화기에서 확장된 콜렉트콜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 요청을 해 오면, 수신자부담통신사업자교환기는 발신자 측 전화번호를 인증서버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인증서버의 인증결과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이면, 콜렉트콜기반의 수신자측교환기를 호출하고 확장된 콜렉트콜기반의 수신자부담통신서비스임을 알린 후, 이후 수신되는 단축번호를 전송하고 통신의 진행상황을 감시하는 단계와;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교환기로부터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와 함께 단축번호를 수신한 콜렉트콜기반의 수신자측교환기는 수신된 신호의 동기화과정을 거쳐 동 신호를 콜랙트콜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콜렉트콜 서비스요청을 수신한 콜렉트콜 교환기는 먼저 서비스신청 식별자를 인지하고, 계속해서 상기 인지된 식별자가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신청 식별자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식별자가 단축번호서비스 식별자이면 단축번호서버시스템에 가입자의 수신자 전화번호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콜렉트콜 교환기로부터 가입자의 수신자 전화번호 요청이 오면 단축번호 서버시스템은 내부에 있는 DBMS를 검색하여, 미리 입력되어 있는 당해 가입자의 수신자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회원등급 등과 같은 가입자의 정보를 콜렉트콜 교환기로 제공하는 단계와;
    단축번호서버시스템으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회원등급 등 가입자의 정보를 수신한 콜렉트콜 교환기는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교환 기를 통해 수신자측 유무선전화기를 호출하고 통신회선을 연결한 다음, 통화의 종료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와;
    발신자/수신자의 통화가 종료되면, 가입자 정보와 함께 통화정보를 과금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정보를 수신한 과금시스템은 단축번호서비스 제공에 따른 과금을 산출하여 수신자의 계정에 저장한 다음,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 제공 상황을 종료하는 단계와;
    이를 감시하고 있던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교환기는 최종적인 통화 종료를 확인한 다음, 통화정보를 과금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정보를 수신한 과금시스템은 수신자부담통신서비스를 제공한 데 따른 과금을 산출하여 수신자의 계정에 저장한 후, 수신자부담통신망사업자의 단축번호서비스 제공 상황을 종료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의 운용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증서버의 인증결과 확장된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요청하는 신호가 아니면,
    종래의 수신자부담서비스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동하여 종래의 방식에 따라 수신자부담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의 운용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가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신청 식별자 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 상기 식별자가 단축번호서비스 식별자가 아니면,
    종래의 콜렉트콜 서비스 제공과정을 거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060064558A 2006-07-10 2006-07-10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848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558A KR100848366B1 (ko) 2006-07-10 2006-07-10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558A KR100848366B1 (ko) 2006-07-10 2006-07-10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782A KR20080005782A (ko) 2008-01-15
KR100848366B1 true KR100848366B1 (ko) 2008-07-24

Family

ID=3921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558A KR100848366B1 (ko) 2006-07-10 2006-07-10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3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414A (ko) * 2000-11-14 2002-05-21 구자홍 수신자 요금부담 전화서비스의 자동전환방법
KR20050059497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데이콤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에 단축 다이얼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KR20050082882A (ko) * 2004-02-20 2005-08-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등록된 발신자에 대한 수신자 요금 부담 서비스 제공방법
KR20060029914A (ko) * 2004-10-04 2006-04-07 신용균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 다기능 전화기 및 이것을 이용한수신자 부담 전화번호 검색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414A (ko) * 2000-11-14 2002-05-21 구자홍 수신자 요금부담 전화서비스의 자동전환방법
KR20050059497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데이콤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에 단축 다이얼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KR20050082882A (ko) * 2004-02-20 2005-08-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등록된 발신자에 대한 수신자 요금 부담 서비스 제공방법
KR20060029914A (ko) * 2004-10-04 2006-04-07 신용균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 다기능 전화기 및 이것을 이용한수신자 부담 전화번호 검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782A (ko) 200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43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telephone calls between mobile and cordless modes
US6301342B1 (en) Method relating to telephone communications including the transmission of advertising messages
US74897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s advertising
US6373933B1 (en) Method for implementing transaction-based billing for telephone services
US20040249649A1 (en) Payment method and system for telecommunications
CN1863252B (zh) 为用户增加特殊用途号码的方法及系统
CN101146266A (zh) 为用户增加特殊用途号码的方法及系统
EP129086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vertising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EP1173970B1 (en) Call charge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1501550B1 (ko) 국제 로밍 방법
KR101089709B1 (ko) 호 연결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휴대 단말기의 통신 회선을 연결할 수 있는 호 연결 장치 및 그 방법
US20070105537A1 (en) Network support for remote caller ID information
RU2335862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стоимости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услуг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KR100848366B1 (ko)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200701909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wireless intelligent services
WO2005112492A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ring back tones and thereof
KR20000030902A (ko) 웹폰 사용 시 발신음 및 착신음을 이용한 광고방법
JPH0730667A (ja) 通信回線の代行接続方式
KR20080110475A (ko) 대표전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표전화 구현방법
KR100833299B1 (ko) 로밍시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100757351B1 (ko)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 및 단축번호서비스 제공방법
JP2001309088A (ja) 着信課金方法及び着信課金システム
KR101381000B1 (ko) 패킷 호에 대한 수신자부담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0577919B1 (ko) 전화 발신 중 링백톤 대체음을 이용하여 다른 부가서비스의 음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19803B1 (ko) 국제 로밍 서비스에서의 통화 연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