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351B1 -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 및 단축번호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 및 단축번호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351B1
KR100757351B1 KR1020060026890A KR20060026890A KR100757351B1 KR 100757351 B1 KR100757351 B1 KR 100757351B1 KR 1020060026890 A KR1020060026890 A KR 1020060026890A KR 20060026890 A KR20060026890 A KR 20060026890A KR 100757351 B1 KR100757351 B1 KR 100757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ubscriber
call
collect call
speed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채용
조장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성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성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성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060026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08Metering calls to called party, i.e. B-party charged for the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콜렉트콜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실시되고 있는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에 별도의 단축번호서버를 수신자측의 교환기의 콜렉트콜 교환기에 추가로 구축하고 이를 통해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수신자측의 회원가입자들에게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수신자측의 단축번호서비스 회원가입자들에게는, 고객들에게 다양한 컨텐츠 상품 및 서비스를 자신의 부담으로 신속하고 저렴하게 제공하여 광고 및 판촉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이용하는 일반가입자(고객)들에게는, 수신자의 부담으로 단축번호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상품이나 서비스에 보다 빠르고 쉽게 접근하여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단축번호, 콜렉트콜, 발신자측 단말기, 수신자측 단말기, 콜렉트콜 교환기, 공중전화망, 부가서비스, 단축번호서버, 단축번호관리프로그램

Description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 및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방법 { A short dialing service system of callectcall and the method thereof }
도1은 한국통신에서 제공하는 부가통신서비스의 리스트
도2a는 종래의 유무선통신망의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의 구성도
도2b는 종래의 VoIP기반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의 구성도
도3a는 종래의 일반적인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3b는 종래의 VoIP기반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4는 종래의 콜렉트콜 서비스 시 다이얼링하는 번호의 구성도
도5는 종래의 콜렉트콜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단축다이얼 시스템 구성도
도6은 종래의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다이얼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7은 종래의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다이얼 시스템의 개념도
도8은 종래의 무료전화서비스 시 다이얼링하는 번호의 구성도
도9는 본원발명에 의한 유무선통신망에서의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시스템의 구성도
도10은 본원발명에 의한 VoIP망에서의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시스템의 구성도
도11은 본원발명에 의한 콜렉트콜 단축번호 회원가입 흐름도
도12는 본원발명에 의한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에서의 단축번호 테이블 예시도
도13은 본원발명에 의한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에서의 전체적인 동작 흐름도
도14는 본원발명의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에서의 통신회선 연결 흐름도
도15는 본원발명의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의 활용 상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발신자측 단말기 200 : 발신자측 교환기
300 : 공중전화망 400 : 수신자측 교환기
410 : 콜렉트콜 교환기
500 : 수신자측 단말기 600 : 과금시스템
700 : 단축번호서비시스템 710 : 단축번호서버
720 : DBMS 730 : 단축번호관리프로그램
800 : 인터넷
<발명의 기술적 배경>
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통신수요가 급속히 확장되고 있다.
또한 통신수요의 확장에 효율적으로 부응하기 위해 통신서비스 시장에 경쟁체제가 도입되면서 많은 통신사업자들이 경쟁적으로 통신서비스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한편, 한정된 통신시장에 다양한 통신사업자들이 참여하면서 이들 통신서비스 사업자간에는 고객의 유치·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경쟁체제에서 매출의 증대는 결국 누가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느냐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따라 통신사업자들에게는 보다 양질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상대적 우위를 확보하거나 선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현재 고객들이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통신사업자를 선택할 때에는 대체로 다음과 같은 3가지 관점에서 통신서비스의 질을 판단하여 선택하게 된다.
①통신품질의 신속·정확성, ②통신요금의 저렴성, ③통신부가서비스의 다양·편의성이 그것이다.
상기 통신품질의 신속·정확성은 과거 국가(체신부)에서 통신시스템을 직접 관리하던 체제로부터 현재 국가기간통신사업자(한국통신)의 관리체제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동안 국가의 중요한 국책사업 등으로 지정되면서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통신인프라를 구축해온 까닭에 이미 상당한 수준의 품질을 갖춘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반 조건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신요금의 저렴성은 최근 브이오아이피(VoIP : 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음성정보제공 서비스가 개발되어 보급됨으로서 이미 각 통신사가 상당한 수준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VoIP란 지금까지 공중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이루어지던 음성정보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서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공중전화망에서 제공되던 음성정보를 인터넷 프로토콜(IP : Internet Protocol)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 다음, 상기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기술을 말하는 것이다. 이처럼 VoIP를 이용할 경우, 기존의 공중전화망에 의한 음성통화과 비교하여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는 점과, 다자간 동시통화가 가능하다는 점, 뿐만 아니라 통신당사자간에 수수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도 음성정보의 범위에서 벗어나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 등 많은 장점이 있어 현재 각 통신사에서 앞 다투어 이 시스템을 도입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위와 같은 결과에 따라 통신품질의 신속정확성과 통신요금의 저렴성은 각 통신사별로 거의 대등한 수준을 유지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각 통신사별로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통신사의 최종적인 경쟁력은 어느 통신사가 얼마나 더 편리하고 매력적인 부가통신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느냐 하는데 따라 결정되고 있다.
바로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각 통신사들은 고객들에게 보다 높은 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부가통신서비스 상품을 경쟁적으로 개발하여 출시하고 있고, 그와 같은 부가통신서비스의 개발은 다시 새로운 통신수요를 이루며 통신기술의 개발을 촉진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의 내용은 감수성이 예민한 현대의 고객(특히 통신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젊은이)들에게는 통신사를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판단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통신사의 입장에서는 고객을 유인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상기한 부가서비스의 종류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십여 가지의 상품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도1은 한국통신(KT)에서 제공하고 있는 부가서비스의 리스트를 발췌한 것이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원발명은 상기한 다양한 부가통신서비스 중 콜렉트콜서비스와 단축번호(다이얼) 서비스 그리고 무료전화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즉, 본원발명은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실시되고 있는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에 별도의 단축번호 서버를 수신자측 교환기의 콜렉트콜 교환기에 추가로 구축하고 이를 통해 단축번호서비스를 받기를 희망하는 수신자측 회원가입자들에게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특정한 수신자측 단축번호서비스 회원가입자들에게는, 불특정한 다수의 고객들에게 다양한 컨텐츠 상품 및 서비스를 자신의 부담으로 신속하고 저렴하게 제공하여 광고 및 판촉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를 이용하는 불특정 다수의 발신자측 일반가입자들에게는 수신자의 부담으로 단축번호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상품이나 서비스에 보다 빠르고 쉽게 접근하여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본원발명과 관련이 있는 종래의 기술을 상기 다양한 부가통신서비스 중 콜렉트콜서비스 ,단축번호(다이얼) 서비스, 무료전화서비스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종래의 기술 1>
현재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는 콜렉트콜서비스는 도2a, 2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2a는 일반 유선전화 및 무선전화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콜렉트콜서비스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2b는 VoIP를 기반으로 하는 콜렉트콜서비스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은 콜렉트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공통적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자의 수신승인 과정을 거쳐서 발신자의 신원(목소리)을 확인한 다음 최종적으로 수신자가 수신을 승낙하여야만 비로소 통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신자부담 통화서비스는 통신사들이 사용자(발신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개발된 기술이다. 이는 돈을 상시 휴대하지 않는 학생이나 군인 그리고 해외 유학생, 긴급한 용무를 가진 해외여행자, 소비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었다.
<종래의 기술 1의 문제점>
그러나 수신자에게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고객인 발신자를 오래 기다리게 하는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수신자에게 발신자의 목소리를 확인시켜 주는 과정은 고객의 입장에 있는 발신자의 입장에서 볼 때, 매우 불쾌한 기분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자가 수익자의 입장에 있을 경우(유학생이나 군인, 해외여행자 등)에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근래 들어 산업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현대의 기업들은 적극적이고 공세적인 방법으로 기업을 홍보하거나 상품의 판매를 촉진하고 있고 이를 위해 상품의 판매 전후에 보다 철저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자신(수신자측)의 부담으로 고객들의 전화를 유도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고객들의 전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통화료를 수신자가 부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발신자가 유쾌한 기분으로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더 나아가 발신자가 보다 빠르고 쉽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 고객의 통화를 적극적으로 유치할 필요가 있는 수신자(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자들)의 입장에서 볼 때에 수신자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화를 해온 발신자(고객)를 오래 기다리게 하거나, 발신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등의 불쾌감을 주어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아주 큰 문제가 된다.
더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콜렉트콜 서비스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가 콜렉트콜서비스 신청번호와 함께 콜렉트콜 방식으로 호출되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지역번호를 포함해서 모두 눌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최근과 같이 전화번호가 길어진 상태에서 전호번호 외에 콜렉트콜 서비스신청번호까지 모두 다이얼링한다는 것은 고객들에게는 대단히 큰 부담을 준다.
바로 위와 같은 다이얼링 부담은 고객들이 콜렉트콜서비스의 이용을 기피하는 원인이 되어 콜렉트콜서비스의 활용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 2>
또 단축번호서비스는 위 종래기술1에서 적시한 문제와 같은 다이얼링의 횟수가 많아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단축번호서비스는 발신자가 단축다이얼을 전화기 자체 내에 등록하여 두고 필요할 경우 단축번호를 선택하여 통신을 하는 것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자가 발신자측 교환기의 고객관리서버에 단축번호를 등록한 후 필요할 경우 이를 호출하여 통신을 하는 것이 있다.
이 서비스는 발신자측에서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미리 등록하여 두고 해당 전화번호를 호출하고자 할 경우 단축번호를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소수의 특정한 전화번호를 자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긴요한 서비스이다.
<종래의 기술 2의 문제점>
그러나 위와 같은 단축번호서비스는 도6에서와 같이 가입자가 주로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미리 등록하여 두고 해당 전화번호를 호출할 경우 단축다이얼을 사용하여 간편히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발신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한 전화번호 에 전화를 걸 경우 반복하여 긴 전화번호를 일일이 누르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단축다이얼 서비스는 도7에서와 같이 특정한 가입자가 자신이 선택하여 등록한 특정한 수신자에게 전화를 할 경우에만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불특정한 다수의 고객이 특정한 수신자측 단말기로 전화를 할 경우에는 모든 고객이 여전히 모든 전화번호를 일일이 눌러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의 기술 3>
또한 상기 콜렉트콜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로서 무료전화서비스가 시행되고 있다. 이는 발신자가 무료전화서비스를 선택하고(무료전화서비스 번호를 누르고)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누르면, 상기 종래기술1에서 설명한 콜렉트콜서비스의 제공과정에서 수신자 인증과정을 생략하고 해당 번호로 바로 연결되도록 하고 수신자에게 통화요금을 부담하도록 함으로서 불특정 다수가 특정한 전화번호로 수신자 부담으로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3의 문제점>
그러나 이 서비스는 자신이 소유한 전화기와는 별도로 무료전화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전화를 다시 신청하여 배정받아야 하므로 사용자는 전화를 이중으로 중복하여 소유해야만 하는 부담이 있다. 이는 가입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전화기의 사용공간의 중복의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한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불특정 다수의 고객이 전화를 할 경우에도 도8에서와 같이 무료전화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번호(예를 들어 080)와 함께 해당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모두 눌러야만 하기 때문에 다이얼링 횟수가 많아지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원발명은,
기존에 실시되고 있는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에 별도의 단축번호 서버를 수신자측 교환기의 콜렉트콜 교환기에 추가로 구축하고 이를 통해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수신자측 회원가입자들에게 단축번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수신자측의 단축번호서비스 회원가입자들이 고객들에게는, 다양한 컨텐츠 상품 및 서비스를 자신의 부담으로 신속하고 저렴하게 고객들에게 제공하여 광고 및 판촉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는 수신자의 부담으로 단축번호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컨텐츠 상품이나 서비스에 보다 빠르고 쉽게 접근하여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간통신사업자에게는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의 가동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 도록 된,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 및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의 하드웨어적 구성을 도9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원발명에 의한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의 구성은, 도9에서와 같이,
발신자측 교환기(200)에는 다수의 발신자측 단말기(100)가 연결되어 있고, 수신자측 교환기(400)에는 콜렉트콜 교환기(41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콜렉트콜 교환기(410)에는 다수의 수신자측 단말기(500) 및 과금시스템(600) 그리고 단축번호서비스시스템(70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발신자측 교환기(200)와 상기 수신자측 교환기(400)는 공중전화망(30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신자측 교환기(200)에 연결된 발신자측 단말기(100)는 콜렉트콜 서비스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발신자측 단말기(100)로서, 유선전화기 및 무선전화기가 모두 포함된다.
또한 상기 발신자측 교환기(200)와 수신자측 교환기(400)를 상호 연결하는 공중전화망(300)은 유선통신망과 무선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는 전화망이다.
또 상기 수신자측 단말기(500)는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한 모든 전화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과금시스템(600)은 콜렉트콜서비스 및 콜렉트콜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과금을 산출하여 청구하고 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축번호서비스시스템(700)은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수신자측 회원가입자를 등록·관리하는 한편, 콜렉트콜 교환기(410)로부터 단축번호서비스 회원가입자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확인한 다음, 회원가입자일 경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회원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콜렉트콜 교환기(410)로 제공하며, 통화의 상태를 감시하다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시간을 기록하고 그 결과를 과금시스템(600)으로 전달하여 과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발신자측 교환기(200)와 콜렉트콜 교환기(410)는 블록도에서는 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별도의 블록으로 도시하여 표현하였으나 실제로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과금시스템(600) 역시 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별도의 블록으로 도시하여 표현하였으나 실제로는 수신자측 교환기(400)의 과금시스템(도시되지 않음)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9 및 도10의 점선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단축번호서비스시스템(700)은 다시,
단축번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축번호 서버(710)와, 단축번호 운용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DBMS(720)와, 상기 단축번호 서버(710)에 탑재되어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 관리하는 단축번호관리프로그램(730)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축번호서버(710)의 일단은 콜렉트콜 교환기(410)로 연결되어 상호 정보를 교환하고, 타단은 DBMS(720)로 연결되어 단축번호 서버(710)의 운용프로그램 지원 및 데이터 관리를 행하게 된다.
상기 도9는 유무선통신망의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 상에서 본원발명에 의한 단축번호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 본원발명은 VoIP를 기반으로 하는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에서도 유무선통신망에서와 같이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10은 VoIP를 기반으로 하는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에서 본원발명에 의한 단축번호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설명하면,
VoIP를 기반으로 하는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에서 본원발명에 의한 단축번호서비스시스템(700)의 전체적인 구성은 유무선통신망의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의 구성과 유사하다.
다만, VoIP를 기반으로 하는 콜렉트콜 서비스시스템은 발신자측 교환기(200) 및 전화망과 수신자측 교환기(400) 및 전화망 사이에 인터넷(800)을 개재시키고, VoIP망에 의해 이들을 상호 연결한다는 차이점과, 상기 VoIP 망을 통해 발신자측 인터넷 전화기와 수신자측 인터넷 전화기가 일반 공중전화망(300)을 통하지 않고 바로 연결된다는 차이만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유무선통신망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필요할 경우 VoIP망을 보충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원발명이 구현하기 위해서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서버는 기존의 수신자 그룹에서 골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 는 수신자(회원)의 신청을 받아 그들에게 각자 고유한 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DB에 저장해야만 한다.
이 과정을 도11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수신자측 가입자가 회원가입신청을 하면,(A-1단계)
단축번호서버(710)는 가입에 필요한 조건을 제시하고 가입희망자의 동의를 구한다.(A-2단계)
가입희망자가 가입조건에 동의하지 않으면 상황을 종료하고, 가입조건에 동의하면 회원관리 및 과금 등에 필요한 기재사항과 함께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수신자 단말기 번호의 기재를 요구한다.(A-3, A-4단계)
이어서 가입희망자가 필요기재사항을 기재하고 희망하는 수신자단말기의 전화번호의 기재를 완료하면,(A-5단계)
콜렉트콜 단축번호 서버(710)는 우선 가입조건 등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회원등급을 결정하고,(A-6단계)
이어서 가입희망자의 회원가입을 승인한 다음,(A-7단계)
가입자(회원)에게 고유한 단축번호를 제공한 후,(A-8단계)
상기 단축번호를 DBMS(720)에 등재하고,(A-9단계)
가입자에게 가입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한 다음,(A-10단계)
상황을 종료한다.
상기 단축번호 및 필요 기재사항은 이후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 및 과금시 활용하게 된다.
위에서 가입자의 회원의 자격에 대해 특별한 제한은 없고, 다만 공중전화망(300)에 연결될 수 있는 전화를 가지고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회원을 모집하는 절차나 방법도 아무런 제한이 없으며, 단지 어떠한 형태로든 공중전화망(300)에 연결되어 있는 단축번호서버(710)에 의해 DBMS(720)에 등록될 수 있기만 하면 충분하다.
또 상기 회원등급은 가입희망자의 예상 통화량, 가입희망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내용 등에 따라 각기 다른 별도의 요금체계를 부과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통화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컨텐츠의 내용이 비교적 단순한 상품의 경우에는 저가격 체계를 유지하고 통화량이 적고 컨텐츠의 내용이 목잡한 상품의 경우에는 고가격을 부과하여 상품의 가치를 차별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단축번호의 관리테이블을 예시하면 도1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단축번호는 단축번호서비스사업자가 회원에게 부여하는 고유번호로서, 이는 단축번호서버(710)를 관리하는 단축번호서비스사업자에게는 회원(가입자)의 관리번호로도 활용된다.
가입자(회원)는 이 번호를 자신의 전화번호와 함께 명함 혹은 홈페이지 등에 기재하여 고객들에게 알리게 되고, 고객들은 이 번호를 보고 단축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빠르게 전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고객들이 전화를 하게 될 경우, 단축번호로 대체되는 전화번호는 (국가번호 + 지역번호 + 국번호 + 단말기의 고유번호) 중에서 사업자가 미리 정하는 기준에 따라 설정된다.
예를 들어 단축번호서비스의 제공 범위가 국내 전지역에 해당될 경우 국가번호는 단축번호에 포함되지 않게 되며, 특정 지역 내에 국한해서 이루어지게 될 경우 지역번호도 제외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단축번호의 가입회원수도 적어지게 될 것이므로 당연히 단축번호의 길이(자릿수)도 짧아지게 될 것이다.
반면에 본원발명에 의한 단축번호서비스를 VoIP망을 이용하여 전 세계로 확장할 경우 단축번호에 의해 대체되는 전화번호에는 국가번호도 포함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단축번호의 가입회원수도 당연히 늘어나게 될 것이므로 단축번호의 길이(자릿수)는 그만큼 길어지게 될 것이다.
본원발명에서 예시한 단축번호서비스 가입회원수는 최대 9,999명으로 예상하여 단축번호의 길이(자릿수)를 4자리로 하였지만, 이 자릿수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단축서비스의 적용 범위 및 회원의 규모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되게 된다.
또한 단말기의 종류는 수신자측 단말기(500)가 가입하고 있는 통신시스템의 종류를 의미하는 것이고, 회원등급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약조건 및 사용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요금체계를 부과하기 위하여 구분하는 것이다.
상기 회원등급과 단말기의 종류는 이후 국가번호 및 지역번호와 함께 과금 산출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단축번호 관리테이블이 완성되면 동 테이블에 의해서 단축번호 서비스가 제공되고 제공된 서비스에 해당하는 과금이 산출되어 수신자에게 부과되게 된다.
이어서 발신자측으로부터 단축번호서비스의 신청이 있을 경우, 이를 판단하여 최종적인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하기까지의 과정을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발신자가 발신자 단말기(일반전화, 휴대폰, VoIP통신이 가능한 컴퓨터용 전화 등)를 이용하여 콜렉트콜 단축번호 서비스 신청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예를 들면, * 혹은 #, 아니면 특정한 번호 등을 미리 정할 수 있다)와 수신자측 단말기(500)의 단축 번호가 포함된 콜렉트콜 서비스 신청신호를 전송하게 되면,(P-1단계)
상기 콜렉트콜 서비스 신청신호는 발신측 교환기, 공중전화망(300), 수신측 교환기(VoIP의 경우 여기에 인터넷이 더 포함된다)를 거쳐 콜랙트콜 교환기로 전송 된다.(P-2단계)
(여기에서 콜렉트콜 단축번호 서비스 식별자를 *신호, 일반 콜렉트콜 서비스 식별자를 #신호라고 가정하면,)
상기 콜렉트콜 서비스요청을 수신한 콜렉트콜 교환기(410)는 먼저 서비스신청 식별자를 인지한다.(P-3단계)
이어서 상기 인지된 식별자가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신청 식별자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P-4단계)
상기 식별자가 단축번호서비스 식별자가 아니면(예를 들어 #신호이면) 종래의 콜렉트콜 서비스 제공과정을 거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P-12단계)
그러나 식별자가 단축번호서비스 식별자이면(예를 들어 *신호이면) 단축번호서버에 가입자의 수신자 전화번호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한다.(P-5단계)
상기 콜렉트콜 교환기(410)로부터 가입자의 수신자 전화번호 요청이 오면 단축번호 서버(710)는 DBMS(720)를 검색하여,(P-6단계)
해당 가입자의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회원등급 등과 같은 가입자의 정보를 콜렉트콜 교환기(410)로 제공한다.(P-7단계)
단축번호서버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회원등급 등 가입자의 정보를 수신한 콜렉트콜 교환기(410)는 공중전화망(300)을 통해 수신자 단말기(일반전화, 휴대폰 등)를 호출하고 통신회선을 연결한 다음,(P-8단계)
통화의 종료 여부를 감시한다.(P-9단계)
이어서 발신자/수신자의 통화가 종료되면, 가입자 정보와 함께 통화정보를 과금시스템(600)으로 전송하고,(P-10단계)
상기 통화정보를 수신한 과금시스템(600)은 과금을 산출하여 수신자의 계정에 저장하고,(P-11단계)
상황을 종료한다.
도14는 상기 도13의 과정 중에서 단축번호서비스 요청시점부터 통화회선 연결까지의 과정을 시공간으로 표시한 것으로서, 이에 따르면 발신자 인증과정을 생략한 채, 일일이 수신자측 단말기(500)의 전화번호를 누르지 않더라도 간단히 단축번호를 누르는 것에 의해 수신자측 단말기(500)와 통화회선을 연결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도15는 본원발명이 VoIP망에서 적용되어 각종 컨텐츠 상품을 제공하는 사례를 개략적인 그림으로 나타낸 상황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원발명에 의하면,
발신자는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일일이 다이얼링하지 않더라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신자 단말기로 연결되어 빠르게 통화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일반 콜렉트콜 서비스 제공과정 중에서 수신자의 승인이나 발신자 확인 과정을 생략함으로서 수신자에게 콜렉트콜 서비스신청임을 알리는 안내문을 방송하는 시간과 수신자가 발신자의 음성을 듣고 신원을 확인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발신자의 인증과정을 거치지 않음으로서 발신자 인증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쾌감을 고객에게 주지 않으면서도,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콜렉트콜 단축번호 서비스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발신자측 교환기(200)에는 다수의 발신자측 단말기(100)가 연결되고, 수신자측 교환기(400)에는 콜렉트콜 교환기(410)를 거쳐 다수의 수신자측 단말기(500)가 연결되며, 상기 발신자측 교환기(200)와 상기 수신자측 교환기(400)는 공중전화망(30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된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측 교환기(400)와 다수의 수신자측 단말기(500) 사이에 연결된 콜렉트콜 교환기(410)에는 수신자측의 단축번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축번호 서버(710)와, 수신자측의 단축번호 운용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DBMS(720)와, 상기 단축번호 서버(710)에 탑재되어 수신자측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 관리하는 단축번호관리프로그램(730)을 포함하는 단축번호서비스시스템(700)과;
    수신자측 회원가입자 정보와 함께 통화정보를 수신하여 과금을 산출하여 수신자 계정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과금시스템(600)을 각각 연결하여 구성하되,
    상기 단축번호서비스시스템(700)은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수신자측 회원가입자를 등록·관리하는 한편, 상기 콜렉트콜 교환기(410)로부터 수신자측 단축번호서비스 회원가입자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이 있을 경우 이를 확인한 다음, 수신자측 단축번호서비스 회원가입자일 경우 단축번호에 해당하는 회원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상기 콜렉트콜 교환기(410)로 제공하며, 통화의 상태를 감시하다 통화가 종료되면 통화시간을 기록하고 그 결과를 과금시스템(600)으로 전달하여 과금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에 의해 콜렉트콜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단축번호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 회원가입을 관리하는 방법은,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수신자측 가입자가 회원가입신청을 하는 단계와;
    수신자측 교환기(400)에 콜렉트콜 교환기(410)를 거쳐 연결된 단축번호서버(710)에서는 가입에 필요한 조건을 제시하고 수신자측 가입희망자의 동의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자측 가입희망자가 가입조건에 동의하지 않으면 상황을 종료하고, 가입조건에 동의하면 회원관리 및 과금에 필요한 기재사항과 함께 단축번호서비스를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수신자 단말기 번호의 기재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자측 가입희망자가 필요기재사항을 기재하고 희망하는 수신자단말기의 전화번호의 기재를 완료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번호 서버(710)에서는 우선 가입조건을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회원등급을 결정하고, 수신자측 가입희망자의 회원가입을 승인한 후
    상기 수신자측 가입자(회원)에게 고유 단축번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고유 단축번호를 DBMS(720)에 등재하고, 상기 수신자측 가입자에게 가입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출한 다음 상황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방법.
  5. 삭제
  6.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콜렉트콜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단축번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발신자가 발신자측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콜렉트콜 단축번호 서비스 신청임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와 수신자측 단말기(500)의 단축 번호가 포함된 콜렉트콜 서비스 신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콜렉트콜 서비스 신청신호는 발신측 교환기(200), 공중전화망(300), 수신자측 교환기(400)를 순차적으로 거쳐 콜랙트콜 교환기(410)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콜렉트콜 서비스요청을 수신한 콜렉트콜 교환기(410)는 서비스신청 식별자를 인지하고, 상기 인지된 식별자가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신청 식별자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자가 단축번호서비스 식별자가 아니면 통상의 콜렉트콜 서비스 제공과정을 거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식별자가 단축번호서비스 식별자이면 단축번호서버(710)에 수신자측 가입자의 수신자 전화번호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콜렉트콜 교환기(410)로부터 수신자측 가입자의 수신자 전화번호 요청이 오면 상기 단축번호 서버(710)는 DBMS(720)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와;
    해당 수신자측 가입자의 수신자측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회원등급에 따른 가입자의 정보를 상기 콜렉트콜 교환기(410)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단축번호서버(710)로부터 해당 수신자측 가입자의 수신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와 회원등급에 따른 가입자의 정보를 수신한 상기 콜렉트콜 교환기(410)는 공중전화망(300)을 통해 수신자측 단말기(500)를 호출하고 통신회선을 연결한 후 통화의 종료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와;
    발신자/수신자의 통화가 종료되면, 수신자측 가입자 정보와 함께 통화정보를 과금시스템(600)으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정보를 수신한 과금시스템(600)은 과금을 산출하여 수신자의 계정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60026890A 2006-03-24 2006-03-24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 및 단축번호서비스 제공방법 KR100757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890A KR100757351B1 (ko) 2006-03-24 2006-03-24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 및 단축번호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890A KR100757351B1 (ko) 2006-03-24 2006-03-24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 및 단축번호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7351B1 true KR100757351B1 (ko) 2007-09-11

Family

ID=38737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890A KR100757351B1 (ko) 2006-03-24 2006-03-24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 및 단축번호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3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414A (ko) * 2000-11-14 2002-05-21 구자홍 수신자 요금부담 전화서비스의 자동전환방법
KR20050056759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데이콤 개인형 단축 다이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50059497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데이콤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에 단축 다이얼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KR20050082882A (ko) * 2004-02-20 2005-08-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등록된 발신자에 대한 수신자 요금 부담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414A (ko) * 2000-11-14 2002-05-21 구자홍 수신자 요금부담 전화서비스의 자동전환방법
KR20050056759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데이콤 개인형 단축 다이얼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50059497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데이콤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에 단축 다이얼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KR20050082882A (ko) * 2004-02-20 2005-08-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등록된 발신자에 대한 수신자 요금 부담 서비스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49649A1 (en) Payment method and system for telecommunications
US20010051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s advertising
US20060177029A1 (en) Virtual multi-line telephone service
CN1203708C (zh) 在通信终端中开展业务的方法和装置
JP2003189013A (ja) 携帯電話の利用契約システムと通信方法
KR100560439B1 (ko)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EP129086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vertising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20050013423A1 (en)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provisions to exceed usage limit
JP2008543191A (ja) 回線交換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複数のユーザ間の呼を処理する方法、及び当該方法とともに用いるための通信端末装置
JP2004096249A (ja)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コールバック通話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ならびにコールバック通話システム
RU2335862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стоимости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услуг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KR100757351B1 (ko) 콜렉트콜서비스 기반의 단축번호 서비스시스템 및 단축번호서비스 제공방법
KR1006519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설정 방법
US8737973B1 (en) Enhanced voice calling using smart phone services
JP2003348239A (ja) 電話交換接続システムおよび電話交換接続方法
WO20070438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video message in w-cdma network
KR20020013350A (ko)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방법
JP4485764B2 (ja) Ip網を利用した通信サービスの課金方法
CN100499724C (zh) 一种主叫绑定预付费用户呼叫方法
KR100848366B1 (ko) 확장된 수신자부담 단축번호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271228A (zh) 通信系统的预付费记帐方法
KR20000030636A (ko) 이동전화의 착신 링음을 이용한 광고방법
JP2006173682A (ja) 通信回線接続装置および通信回線接続システム
JP4798540B2 (ja) 通話料金分配システム、携帯電話、通話料金計算サーバ、通話料金分配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23690B1 (ko) 통화 연결음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