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182B1 -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182B1
KR100847182B1 KR1020067021858A KR20067021858A KR100847182B1 KR 100847182 B1 KR100847182 B1 KR 100847182B1 KR 1020067021858 A KR1020067021858 A KR 1020067021858A KR 20067021858 A KR20067021858 A KR 20067021858A KR 100847182 B1 KR100847182 B1 KR 100847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image
information
building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9094A (ko
Inventor
얼노우드 브루어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21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182B1/ko
Publication of KR20070069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복수의 촬영 장치가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촬영 장치는, 각 촬영 범위 내에서 건물의 주위를 각각 부분적으로 촬영하고, 각 촬영 범위 내에서의 촬영 정보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건물 내에 설치된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처리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의 위치 정보, 및 각 촬영 장치로부터의 화상 정보의 각각에 기초하여, 각 촬영 장치로부터의 화상 정보의 일부를 표시 화상 부분으로서 선택하고, 표시 화상 부분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칸 내에 투영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가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축물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는, 그 구조물 내의 중앙부분에 배치된다. 이것은, 외부의 전망을 확보하기 위한 창을 엘리베이터 칸에 설치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폐소 공포증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및/또는 무엇인가 볼 것을 승객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간의 외부 전망을 공급하는 가상 창을 추가할 수 있다. 해결 수단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배면벽에 설치된 컴퓨터 스크린 혹은 텔레비전 스크린이다. 최근, 엘리베이터 칸 영역 혹은 승강로 영역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까지 스크린의 두께가 얇아져 있으므로, 이것을 달성하는 것은 용이하다. 화상을 만들기 위하여, 복수의 카메라가 고층건축물의 정면에 고정되어 있다.
특개평7-81858호 공보(특허 제3484731호)에는, 외부의 화상을 만들기 위하여 2가지의 해결 수단이 기재되어 있다. 첫 번째 해결수단은, 엘리베이터에 동기(同期)하여 움직이는 정면에,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응하는 카메라를 1개씩 설치하는 것이다. 이것은, 고층 건축물에 있어서, 카메라가 엘리베이터와 동일한 빠른 스피 드로 건축물의 정면 전체를 따라 이동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카메라마다 분리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다.
두 번째 해결수단은,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범위의 절반 높이의 건물의 정면에 카메라를 고정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완전하게 대응하는 화상을 공급하기 위하여, 연직 방향에 대하여 카메라가 그 향하는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들 두 가지의 해결수단에는 이하와 같은 결점이 있다. 복수의 엘리베이터가 건물에 설치되면, 각각의 엘리베이터에는, 서로 분리한 카메라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복수의 카메라가 건물의 정면을 따라 움직이는 경우에는, 창 등과 중복되는 많은 가이드 시스템 등이 필요하게 된다.
또, 각 엘리베이터 칸에 각각 분리된 카메라 시스템은, 특히 보수점검을 필요로 하는 많은 기계적 구조부분이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않다.
또, 가이드 시스템에 의해 카메라를 움직이는 것은, 카메라의 진동을 피하기 위하여, 가이드 시스템이 완전히 직선으로 되어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카메라가 진동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내의 화상은, 카메라의 렌즈에 의해 확대되어, 마찬가지로 진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엘리베이터 칸의 움직임이 스크린의 움직임에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승객의 기분을 나쁘게 할지도 모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따른 화상을 엘리베이터 칸 내에 투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코스트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 보수 점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처리 유니트에서 처리를 행하기 전의 각 카메라의 화상과, 수정 후의 화상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도 1, 2는 본 시스템의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건물(1) 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강로(2)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2) 내에는, 구동장치인 권상기(卷上機)(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의 구동 쉬브(sheave)에는, 메인 로프(5)가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도시 생략)는, 메인 로프(5)에 의해 승강로(2)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은, 권상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2) 내를 승강한다. 즉, 많은 경우, 유리 혹은 창을 엘리베이터 칸(4)에 설치하더라도, 엘리베이터 칸(4) 내로부터 건물 밖의 주위를 바라볼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서, 스크린(3)이 엘리베이터 칸(4) 내에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3)은, 건물의 주위를 보이게 하기 위해서, 가상 창으로서 사용된다. 또, 스크린(3)의 두께는, 극히 얇으며, 빛의 전달, 반사 혹은 방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건물(1)의 정면(10)에는, 건물(1)의 주위를 각각 부분적으로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촬영 장치)(6)가 장착되어 있다. 각 카메라(6)는 정지하여 회동하지 않도록 건물(1)에 고정되어 있다. 각 카메라(6)는, 건물(1)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촬영 범위(7)가 서로 빗나가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카메라(6)는, 건물의 높이 전체에 걸쳐서, 서로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각 촬영 범위(7)의 일부는, 서로 이웃하는 촬영 범위(7)의 일부와 중복되어 있다. 또, 각 카메라(6)는, 건물(1)의 주위를 부분적으로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정보를 전기적인 화상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즉, 건물의 주위는, 건물(1)의 정면(10)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6)에 의해 전기적으로 포착되고 있다. 각 카메라(6)는, 건물 주위의 부분을 각각 촬영하고 있다. 각 카메라(6)에 의한 촬영 범위(7)는, 건물(1)의 주위 전체가 포착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카메라(6)의 촬영 범위와 부분적으로 중복되어 있다. 이론적으로는, 각 촬영 범위의 단부가 인접하는 카메라(6)의 촬영 범위의 단부에 일치하도록 건물(1)에 각 카메라(6)를 설치할 수 있다. 이를 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고가인 물리적인 조정이 카메라(6)에 대하여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정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각 카메라(6)는, 각 촬영 범위(7)를 중복함으로써 건물(1)의 정면(10)에 그다지 정확하지 않게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은, 처리 유니트(9)에 의해 나중에 전기적으로 행해진다.
각 카메라(6)에는, 각 카메라(6)로부터의 화상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 유니트(화상 처리 장치)(9)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처리 유니트(9)는, 유선 케이블(와이어)에 의해 구성된 정보 통신망(네트워크)(16)에 의해, 각 카메라(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처리 유니트(9)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도시 생략)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처리 유니트(9)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가 운전되고 있을 때, 엘리베이터 칸(4)의 현재 위치가 처리 유니트(9)에 상시 보내진다. 이 위치 정보는,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스크린(3) 상에 투영하는 표시 화상 부분(8)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로부터 건물(1) 주위로의 전망을 스크린(3) 상에 재현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위치 정보가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처리 유니트(9)로 상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4)에는, 스크린(3)에 화상을 투영하기 위한 프로젝터(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처리 유니트(9)는, 프로젝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처리 유니트(9)는, 유선 케이블(와이어)에 의해 구성된 링크(17)를 통하여, 프로젝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프로젝터는, 처리 유니트(9)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스크린(3)에 화상을 투영하도록 되어 있다.
처리 유니트(9)는, 각 카메라(6)로부터의 화상 정보 및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의 위치 정보의 각각에 근거하여, 화상 정보의 일부를 표시 화상 부분(8)으로서 선택하고, 표시 화상 부분(8)을 스크린(3)에 투영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처리 유니트(9)는, 각 화상 정보 중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와 동일 높이에 있어서의 일정 범위 내의 부분)을 표시 화상 부분(9)으로서 선택하고, 표시 화상 부분(8)에 대하여 수정한 후에, 수정 후의 표시 화상 부분(8)의 정보를 프로젝터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즉, 처리 유니트(9)는, 네트워크(16)를 통하여 각 카메라(6)로부터 모든 화상을 맨 처음 수집하고, 링크(17)를 통하여 스크린(3)에 투영되는 부분(8)을 선택한 후에, 그러고 나서 1개의 화상을 만들 수 있다.
프로젝터는 수정 후의 표시 화상 부분(8)의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린(3)에 화상을 투영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크린(3)에는,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로부터의 건물(1)의 주위 전망이 투영된다.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스크린(3) 위의 움직임은, 엘리베이터 칸(4)의 움직임에 완전히 동기하고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승객은, 시각에 들어오는 화상과, 엘리베이터 칸의 움직임에 의한 감각에 모순을 느껴, 기분이 나빠져 버릴지도 모른다.
이 동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각 카메라(6)는, 그들 화상이 약간 중복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카메라(6)에 대하여, 다른 카메라(6)에 일치시키도록 화상을 정열 및 회전시키기 위해서, 설치 위치에 따라 수정 벡터가 결정된다. 수정이 필요해지는 이유는, 각 카메라(6)의 물리적인 정열이 어렵고, 고가로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여, 모든 카메라(6)의 각 화상에 기초하여, 하나의 외부의 결합화상이 만들어진다. 즉, 처리 유니트(9)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실제의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한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에 근거하여, 각 카메라(6)로부터의 화상 정보 중으로부터 스크린(3)에 투영하는 화상을 선택한다. 처리 유니트(9)에서는, 선택된 화상 정보를 통합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또, 처리 유니트(9)는, 이 처리를 반복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크린(3)에 투영되는 화상이 엘리베이터 칸(4)의 이동에 따라 연속적으로 갱신된다.
즉,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따라, 1개 혹은 그 이상의 카메라의 화상이 선택된다. 그리고, 필요하면 각 화상이 결합되어,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와 일치하는 실제의 전망이 만들어진다. 이 전망은,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스크린(3)에 투영된다.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승객은 스크린(3)에 가까워져 있으므로, 고분해 요소 화상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은 또, 고분해 가능한 카메라를 필요로 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것은, 각 카메라(6)와 처리 유니트(9)와의 사이에서 다량의 데이터로 넘쳐 버리는 결과가 된다. 순조로운 움직임을 얻기 위해서, 매초 약 30의 화상이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스크린(3)에 공급될 필요가 있다.
도 2에서는, 처리 유니트(9)에 의해 처리를 실행하기 전의 각 카메라의 화상(11 ~ 14)과, 수정 후의 화상(15)을 나타내고 있다.
처리 유니트(9)에 있어서, 각 카메라(6)로부터 얻어진 화상(11 ~ 14)의 각각 의 위치 및 각도는, 예를 들면 카메라(6)의 장착 오차 등에 의해, 서로 다르다. 처리 유니트(9)는, 각 화상(11 ~ 14)의 일부가 서로 중복되도록, 각 화상(11 ~ 14)의 각각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처리 유니트(9)는, 각 화상(11 ~ 14)에 대한 회동 및 이동을 선택적으로 행함으로써, 각 화상(11 ~ 14)을 정열시키고(즉, 각 화상(11 ~ 14)에 대하여 수정하여), 각 화상(11 ~ 14)을 수정 후의 1개의 통합 화상(15)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 또, 처리 유니트(9)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통합 화상(15)의 일부를 표시 화상 부분(8)으로서 선택하고, 표시 화상 부분(8)의 정보를 프로젝터에 보내도록 되어 있다.
즉, 각 카메라(6)가 건물의 정면(10)에 설치되어 있을 때는, 도에 있는 바와 같이, 각 화상(11 ~ 14)이 적어도 중복되는 것이 필요하다. 고의는 아니나, 화상(13)의 근소한 회동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처리 유니트(9)는, 1개의 통합된 화상(15)을 만들 수 있도록, 각각의 화상(11 ~ 14)을 이동시키고, 및/또는 회동시킨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에서는, 각 카메라(6)가 복수의 촬영 범위(7) 내에서 건물(1)의 주위를 각각 부분적으로 촬영하고, 각 촬영 범위(7) 내에서의 화상 정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 검출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고, 처리 유니트(9)가 화상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표시 화상 부분(8)을 선택하며, 표시 화상 부분(8)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스크린(3)에 투영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각 카메라(6)를 건물(1)에 대하여 변위시키지 않고, 건물(1)의 주위에 대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화상을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스크린(3)에 투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카메라(6)의 건물(1)로의 장착에 걸리는 수고를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각 카메라(6)를 예를 들면 CCD나 CMOS 센서와 같은 일반적으로 많이 제조되고 있는 염가의 카메라로 할 수 있어, 코스트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각 카메라(6)의 장착 구조가 간단해지므로, 보수 점검 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건물 정면의 미감 문제도 저감할 수 있어, 외관을 망치지 않고, 각 카메라(6)를 건물(1)에 설치할 수 있다.
또, 각 촬영 범위(7)의 일부는, 서로 이웃하는 촬영 범위(7)의 일부와 중복되어 있으므로, 각 카메라(6)의 장착 오차에 의해 촬영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건물(1) 주위의 연속적인 촬영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각 카메라(6)에 의한 화상 정보는, 전기적으로 처리 가능한 정보이므로, 화상 정보의 처리를 용이하게 또한 보다 빠르게 행할 수 있다.
또, 처리 유니트(9)는, 표시 화상 부분(8)을 선택하기 전에, 각 카메라(6)로부터의 화상 정보의 전부를 취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화상 정보를 각 카메라(6)에서 기억할 필요가 없어, 각 카메라(6)의 구조를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4) 내에는, 표시 화상 부분(8)을 투영하기 위한 스크린(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화상을 보다 선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처리 유니트(9)는, 표시 화상 부분(8)을 선택하기 전에, 각 카메라(6)로부터의 화상 정보의 전부를 취득하도록 되어 있으나, 엘리베 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표시 화상 부분(8)만을 각 카메라(6)로부터 취득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즉, 처리 유니트(9)는, 복수의 카메라(6)의 어느 것인가가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것을 검출하고, 네트워크(16)를 통하여 이들 화상만을 모으고, 링크(17)를 통하여 스크린(3)상에 투영되는 부분(8)을 만들기 위해서, 이들 화상만을 처리하는 것이다.
이 경우, 각 카메라(6)에는, 각각의 촬영 범위(7) 내에서 촬영한 화상 정보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기억부가 설치된다. 각 카메라(6)의 기억부에 저장된 화상 정보 중, 처리 유니트(9)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선택된 부분이 표시 화상 부분(8)으로서 처리 유니트(9)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즉, 몇 개인가의 화상 처리가 각 카메라(6) 및 처리 유니트(9)에서 분산되어 행해진다. 이것은, 각 카메라(6)가 이미 전(前)처리를 행하여 화상을 압축하고 있고, 요구에 따라 처리 유니트(9)에 그것을 보내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에 의해, 처리 유니트(9)에서의 정보량을 적게 할 수 있어 처리 유니트(9)의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건물(1)의 주위에 대한 표시 화상 부분(8)만이 처리 유니트(9)의 처리에 의해 스크린(3)에 투영되도록 되어 있으나, 표시 화상 부분(8)에 중첩 가능한 중첩 화상 데이터의 화상을 표시 화상 부분(8)에 중복하여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스크린(3)에 투영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처리 유니트(9)는, 중첩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부(메모리)를 가지며, 표시 화상 부분(8)에 중첩 화상 데이터의 화상을 중첩하여 엘리베이터 칸(4) 내의 스크린(3)에 투영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중첩 화상 데이터의 화상은, 건물(1) 주위와 다른 부가적인 화상으로 된다.
이에 의해, 사생활 침해 방지를 위하여, 처리 유니트(9)가 몇 개인가의 가상 벽 혹은 투영 화상을 투과하는 빔을 엘리베이터 칸(4) 내에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최하층의 승강장의 근방에서는 화상 위에서 부가된(중복된) 벽에 의해, 전망이 가상적으로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부가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외계의 일부가 되도록 현실 세계의 화상에 광고하는 것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방법은, 광고를 항상 변경하고, 및/또는, 외부의 장소에 광고를 부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스크린(3)에 투영되는 화상이 처리 유니트(9)의 처리에 의해 연속적으로 갱신되고, 화상의 조작을 엘리베이터 칸(4) 내에서 행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4) 내에 투영되는 화상을 엘리베이터 칸(4) 내에 투영되는 화상을 엘리베이터 칸(4) 내에서의 조작에 의해 변경 가능한 변경용 조작 장치를 엘리베이터 칸(4) 내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처리 유니트(9)는, 변경용 조작 장치의 조작에 의한 정보에 근거하여, 엘리베이터 칸(4) 내에 투영하기 위한 화상의 변경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변경용 조작 장치의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승객이 화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혹은 승객이 흥미가 있는 장소를 확대할 수 있도록, 이 시스템을 승객이 조작할 수 있다.
또, 건물의 주위를 투영하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현재의 플로어, 광고, 기온 및 습도와 같은 외부의 일기예보 등을 투영하는데도 스크린(3)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2) 내를 승강하는 1개의 엘리베이터 칸(4)에만 대하여, 건물(1) 주위의 화상이 엘리베이터 칸(4) 내에 투영되도록 되어 있으나, 복수대의 엘리베이터가 건물(1)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하여, 건물(1)의 주위의 화상이 엘리베이터 칸 내에 투영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각 엘리베이터의 승강로에는, 각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각각 독립하여 검출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가 설치된다. 또, 처리 유니트(9)는, 각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 화상 정보(8)를 선택하고, 대응하는 각 표시화상 정보(8)를 각 엘리베이터 칸에 각각 보내도록 되어 있다. 즉, 각 엘리베이터 칸 내에는, 각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따른 화상이 투영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엘리베이터가 건물(1)에 설치된 경우라도, 공통의 처리 유니트(9)의 처리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칸에 대응하는 화상을 각 엘리베이터 칸 내에 투영할 수 있어, 화상 처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각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대응하는 화상을 각 엘리베이터 칸 내에 각각 투영하기 때문에, 처리 유니트(9)가 공통의 각 카메라(6)로부터의 화상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엘리베이터 군에 대하여 1개의 카메라 시스템만으로 충분해지며, 복수의 카메라를 각 엘리베이터에 대응시켜서 건물(1)에 장착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카메라의 대수를 삼각 할 수 있어, 코스트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즉, 처리 유니트(9)가 건물(1)의 주위 전체를 재현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부분(8)을 선택할 수 있으며, 1개의 엘리베이터가 아닌 다수의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의 각각에 대하여, 각 엘리베이터 칸(4)의 위치에 일치하는 건물(1)의 주위를 투영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네트워크(16) 및 링크(17)는, 와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나, 각 카메라(6), 처리 유니트(9) 및 프로젝터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무선 접속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 및 균형추가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0)

  1. 건물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건물의 주위를 복수의 촬영 범위로 나누어 각각 부분적으로 촬영하여, 각 상기 촬영 범위 내에서의 화상 정보를 각각 출력하는 복수의 촬영 장치,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된 승강로 내를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칸,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의 상기 위치 정보, 및 각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의 상기 화상 정보의 각각에 근거하여, 상기 화상 정보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을 표시 화상 부분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표시 화상 부분에 대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 투영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각 상기 촬영 범위의 일부는, 서로 중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정보는, 전기적으로 처리 가능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화상 부분을 산출하고, 상기 표시 화상 부분만을 각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취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표시 화상 부분을 선택하기 전에, 각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의 상기 화상 정보 전부를 취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는, 상기 표시 화상 부분을 투영하기 위한 스크린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표시 화상 부분에 중첩 가능한 중첩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부를 가지며, 상기 표시 화상 부분에 상기 중첩 화상 데이터의 화상을 중첩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 투영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 화상 데이터의 화상은, 상기 건물의 주위와 다른 부가적인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는, 상기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 투영되는 화상을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서의 조작에 의해 변경 가능한 변경용 조작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 내에는, 복수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승강되도록 되어 있고,
    복수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가 각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각각 독립하여 검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화상 정보, 및 각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의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 정보의 일부를 상기 표시 화상 부분으로서 각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대응하여 각각 선택하고, 각 상기 표시 화상 부분에 대하여 각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 투영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20067021858A 2006-10-20 2005-01-20 엘리베이터 KR100847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1858A KR100847182B1 (ko) 2006-10-20 2005-01-20 엘리베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1858A KR100847182B1 (ko) 2006-10-20 2005-01-20 엘리베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094A KR20070069094A (ko) 2007-07-02
KR100847182B1 true KR100847182B1 (ko) 2008-07-17

Family

ID=3850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858A KR100847182B1 (ko) 2006-10-20 2005-01-20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559A (ko) * 2019-05-09 2020-11-19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엘리베이터 디스플레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139B1 (ko) * 2014-12-29 2016-02-12 윤일식 엘리베이터 홀의 카메라의 비디오데이터 전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9580A (ja) * 1988-01-11 1989-07-17 Toshiba Corp 液晶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H06211450A (ja) * 1992-11-24 1994-08-02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H0781858A (ja) * 1993-09-17 1995-03-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映像情報システム
JPH09194167A (ja) * 1996-01-19 1997-07-29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9580A (ja) * 1988-01-11 1989-07-17 Toshiba Corp 液晶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H06211450A (ja) * 1992-11-24 1994-08-02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H0781858A (ja) * 1993-09-17 1995-03-2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用映像情報システム
JPH09194167A (ja) * 1996-01-19 1997-07-29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559A (ko) * 2019-05-09 2020-11-19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엘리베이터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29660B1 (ko) * 2019-05-09 2021-03-19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엘리베이터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094A (ko) 2007-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9791B (zh) 电梯远程点检系统
US20230174343A1 (en) Image analytics for elevator maintenance
WO2004106857A1 (ja) ステレオ光学モジュール及びステレオカメラ
CA2523171C (en) Lift installation with information representation on a shaft door
US9628688B2 (en) Security camera having a body orientation sensor and method of use
KR20170000608U (ko) 레일 이동형 감시 카메라 장치
JP6780808B2 (ja) エレベーターの昇降路の内部の状態を提示する機能を備えた点検装置
KR100847182B1 (ko) 엘리베이터
EP1838605A1 (en) Elevator
CN110304512A (zh) 电梯显示屏实现监控的方法及系统
JP2019199341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内表示装置とエレベータのかご室内表示装置据付方法
CN110304514A (zh) 电梯消防联动方法及系统
US9840258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vehicle operator conduct
CN210214503U (zh) 全景观光电梯
JP5210251B2 (ja) エレベーターの風景映像表示装置
CN112189339B (zh) 自动扶梯的图像监视系统
JP2012006760A (ja) エレベータの情報表示装置
JP2021092667A (ja)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方法及び記憶媒体
JP2021037869A (ja) 曇検知装置
JP2002374524A (ja) フェールセーフ機能を有するステレオ式車外監視装置
JPH1093955A (ja) エレベータの画像遠隔監視装置
CN110304511B (zh) 电梯实现全景观光的方法及系统
JP7375105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210214504U (zh) 观光电梯
WO2022185513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落下物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