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7098B1 -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연결구의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연결구의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098B1
KR100847098B1 KR1020080023541A KR20080023541A KR100847098B1 KR 100847098 B1 KR100847098 B1 KR 100847098B1 KR 1020080023541 A KR1020080023541 A KR 1020080023541A KR 20080023541 A KR20080023541 A KR 20080023541A KR 100847098 B1 KR100847098 B1 KR 100847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mold
outer mold
side outer
inn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산업
김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산업, 김수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산업
Priority to KR1020080023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28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having an axis of sym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4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6Removing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24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는, 내주면에 합성수지관의 일측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일측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삽입홈의 양측에 일측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합성수지관 삽입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변측외부금형과, 가변측외부금형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합성수지관의 타측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타측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삽입홈의 양측에 일측결합홈과 일치되도록 타측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측외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삽입홈과 타측삽입홈에 연속하여 내측으로 합성수지가 주입되도록 성형공간을 가지며, 합성수지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금형과; 가변측외부금형의 일측결합홈 내측으로 관통된 채 가변측외부금형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결축과, 연결축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은 일측결합홈에 끼워지고 타측은 타측은 타측결합홈에 끼워지는 사각가이드와, 사각가이드에 연결된 채 내측으로 내부금형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금형고정케이스로 구성된 내부금형이동장치와; 내부금형삽입홀에 끼워진 채 설치되어 있고, 일측 외주면에 합성수지관이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내부금형과; 내부금형의 후단에 연결된 채 설치되어 있고, 내부금형을 합성수지관이 이동하는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축방향이동장치와; 합성수지 주입시 내부금형에 끼워진 합성수지관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고정측외부금형의 전방에 설치되어, 합성수지관의 일측을 고정한 채 축방향이동장치측으로 합성수지관을 밀도록 구성된 밀림방지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의 여러 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내부금형과 고정요철부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의 위치를 고정시키지 않고 단순한 구조의 내부금형과, 밀림방지장치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합성수지관 연결구 성형 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내부금형이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어 내부금형의 부품 파손이나 노령화로 인한 불량 연결구가 생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밀림방지장치가 합성수지관이 밀리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종래의 방식에 비해 합성수지관이 밀리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합성수지관, 연결구, 밀림, 방지

Description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방법{FORNG DEVICE FOR PLASTIC PIPE CONNECTOR AND FORMING METHOD OF PLASTIC PIPE CONNECTOR USING IT}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끝단에 액상의 합성수지를 공급하여 연결구가 합성수지관에 연결구를 일체로 형성하는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기술로, 다수 개의 내부금형과, 속금형, 중앙금형으로 구성되어 속금형과 중앙금형이 이동함에 따라 내부금형이 오므라들거나 팽창함으로써 외부금형과 함께 합성수지관을 고정시킨 후 수지를 부어 연결구를 합성수지관에 일체로 형성하도록 한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416408호)가 공개된 바 있다.
위와 같은 기술은 내부금형에 합성수지관이 끼여진 상태에서 내부금형이 확장하여 합성수지관을 외부금형 측으로 밀어주고, 외부금형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요철부가 합성수지관을 고정하여 고압으로 합성수지가 공급될 때 합성수지관이 밀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특히, 속금형에 형성된 레일홈을 따라 중앙금형과 내부금형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데, 레일홈에 이물질이 낄 경우 내부금형이 설정된 거리보다 더 많이 벌어지게 되거나, 내부금형이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구 제조 과정에서 합성수지관이 내부금형에 끼여진 상태에서 내부금형이 팽창하는 공정 및 수축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전체 성형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도 있었다.
아울러, 내부금형 및 고정요철부에 의한 합성수지관의 고정 방식은 합성수지관의 수직 방향으로 응력을 가져 합성수지관의 밀림을 방지하는 것으로 수평 방향의 압력이 발생할 때 합성수지관의 밀림을 방지하지 못하게 되어 합성수지관이 뒤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 방법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금형의 내측에 위치하는 금형을 하나의 일체로 된 금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내부 금형에서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하여 불량율을 감소시키려는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내부금형과 달리 내부금형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과정 없이 내부금형은 단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성형 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또한, 합성수지관의 일측에 합성수지관의 진행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밀림방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이 수평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밀림 방지 기능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 장치는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주면에 합성수지관의 일측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일측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삽입홈의 양측에 일측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합성수지관 삽입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변측외부금형과, 가변측외부금형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합성수지관의 타측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타측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삽입홈의 양측에 일측결합홈과 일치되 도록 타측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측외부금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삽입홈과 타측삽입홈에 연속하여 내측으로 합성수지가 주입되도록 성형공간을 가지며, 합성수지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금형과; 가변측외부금형의 일측결합홈 내측으로 관통된 채 가변측외부금형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결축과, 연결축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은 일측결합홈에 끼워지고 타측은 타측은 타측결합홈에 끼워지는 사각가이드와, 사각가이드에 연결된 채 내측으로 내부금형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금형고정케이스로 구성된 내부금형이동장치와; 내부금형삽입홀에 끼워진 채 설치되어 있고, 일측 외주면에 합성수지관이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내부금형과; 내부금형의 후단에 연결된 채 설치되어 있고, 내부금형을 합성수지관이 이동하는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축방향이동장치와; 합성수지 주입시 내부금형에 끼워진 합성수지관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고정측외부금형의 전방에 설치되어, 합성수지관의 일측을 고정한 채 축방향이동장치측으로 합성수지관을 밀도록 구성된 밀림방지장치;로 구성된다.
이때, 밀림방지장치와 외부금형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합성수지관을 지탱하면서 합성수지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재;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내부금형의 선단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합성수지관이 원할히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변측외부금형의 일측삽입홈과 고정측외부금형의 타측삽입홈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설치되어 내부금형에 끼워진 합성수지관을 내부금형 측으로 밀도록 구성된 합성수지관세팅장치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 방법은, 상기의 성형 장치를 이용하여,
축방향이동장치를 작동시켜 내부금형을 가변측외부금형과 고정측외부금형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내부금형이동장치를 작동시켜 내부금형을 가변측외부금형과 고정측외부금형 사이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준비단계와; 내부금형의 외주면에 합성수지관 일측을 끼워 넣는 합성수지관 결합단계; 일측결합홈과 타측결합홈에 사각가이드가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가변측외부금형을 고정측외부금형 측으로 이동시키는 금형결합단계; 밀림방지장치로 합성수지관의 일측을 고정한 채 축방향이동장치측으로 합성수지관을 밀면서 주입구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성형공간에 합성수지가 채워져 연결구를 형성하는 연결구성형단계와; 밀림방지장치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가변측외부금형을 고정측외부금형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내부금형이동장치를 작동시켜 연결구가 내부금형에 끼워진 채 가변측외부금형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축방향이동장치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성형된 연결구를 탈형하는 탈형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외부금형의 내측에 위치하는 금형을 하나의 일체로 된 금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내부 금형에서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하여 불량율이 줄 어든다.
아울러, 종래의 내부금형과 달리 내부금형이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과정 없이 내부금형은 단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성형 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합성수지관의 일측에 합성수지관의 진행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밀림방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이 수평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밀림 방지 기능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성형 장치의 구성요소인 외부금형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측외부금형(2)과 고정측외부금형(2')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변측외부금형(2)은 내주면에 합성수지관(15)의 일측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일측삽입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삽입홈(14)의 양측에 일측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드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15) 삽입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가변측외부금형(2)의 이동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22)에 고정된 실린더(23)와 실린더로드(24)가 일측에 연결됨으로써 이동 가능하며, 이때 원할한 이동 을 위해 하부에 레일을 설치할 수 있으며, 도면과 같이 가변측외부금형(2)에 가이드봉(3)을 설치하고, 고정측외부금형(2')에 가이드봉(3)이 삽입되는 가이드봉삽입홀(6)을 형성하여 가변측외부금형(2)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고정측외부금형(2')은 가변측외부금형(2)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합성수지관(15)의 타측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타측삽입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또, 타측삽입홈(14')의 양측에 일측결합홈(12)과 일치되도록 타측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부금형은 가변측외부금형(2)과 고정측외부금형(2')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일측삽입홈(14)과 타측삽입홈(14')에 연속하여 성형공간(5)이 형성되어 있으며, 성형공간(5)에는 내측으로 합성수지가 주입되도록 주입구가 가변측외부금형(2) 또는 고정측외부금형(2')의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 성형 장치의 구성요소인 내부금형이동장치는, 연결축(11, 11'), 사각가이드(10, 10'), 내부금형고정케이스(26)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축(11, 11')은 가변측외부금형(2)의 일측결합홈(12) 내측으로 관통된 채 가변측외부금형(2)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연결축(11, 11')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가변측외부금형(2)의 내부에는 연결축(11, 11')이 삽입되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연결축(11, 11')의 끝단에는 가변측외부금형(2) 또는 선반(22)에 고정된 실린더(23)와, 실린더(23)로부터 이동하는 실리더로드가 연결됨으로써 실린더(23)의 작동에 의해 연결축(11, 11')이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연결축(11, 11')을 실린더로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사각가이드(10, 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11, 11')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은 가변측외부금형(2)의 일측결합홈(12)에 끼워지고, 타측은 고정측외부금형(2')의 타측결합홈(12')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이 모두 일측결합홈(12)과 타측결합홈(12')에 완전히 끼워진 상태는 가변측외부금형(2)과 고정측외부금형(2')이 서로 맞닿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부금형고정케이스(26)는 양측의 사각가이드(10,10')에 연결된 채 내측으로 내부금형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내부금형(4)이 내부금형삽입홀에 끼워진 채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 성형 장치의 구성요소인 내부금형(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금형삽입홀에 끼워진 채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합성수지관(15)이 끼워지도록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금형(4)의 형상은 형성되는 관연결구의 형상에 따라 도시된 것처럼 순차적으로 단을 지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내부금형(4)은 후술하는 축방향이동장치에 고정된 채 전후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내부금형(4)은 종래의 금형과는 달리 오므라들거나 팽창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관(15)이 끼워진 상태에서 합성수지가 부어질 때 외부금형과의 사이로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야 된다.
이는 곧 합성수지관(15)이 끼워질 때 뻑뻑한 상태가 되고, 합성수지관(15)이 휘어지거나 일정한 두께를 갖지 않을 경우 수작업으로 합성수지관(15)을 끼우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금형(4)의 끝단을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최초 합성수지관(15)을 쉽게 끼울수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금형(4)의 끝단을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내부금형(4)은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구(16) 형성을 위해 일측이 다단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합성수지관(15)이 끼워질 때 합성수지관(15)은 도시된 첫번째 단까지 밀착된다.
본 발명 성형 장치의 구성요소인 축방향이동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금형(4)의 후단에 일측이 연결되어 내부금형(4)을 합성수지관(15) 이동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내부금형고정케이스(26)의 뒷면에 위치하는 연결대(13)와, 연결대(13)에 고정되어 있는 플레이트(7)와, 플레이트(7)에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8), 실린더(8)에 일측이 삽입되어 이동하되 플레이트(7)와 연결대(13)를 관통한 채 내 부금형(4)에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로드(9)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7)와 연결대(13) 간의 고정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면 된다.
이러한 구성은 실린더(8)의 동작에 의해 실린더로드(9)가 내부금형(4)을 왕복 이동시켜 내부금형(4)이 외부금형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바깥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플레이트(7)와 연결대(13)에는 실린더로드(9)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홀이 천공되어 있는 구조라 할 것이다.
이때, 플레이트(7)와 연결대(13)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제거하고, 연결대(13)를 내부금형고정케이스(26)에 고정하여 내부금형(4)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연결대(13)에도 내부금형(4)을 밖으로 빼내기 쉽도록 홀의 크기를 내부금형(4)의 직경만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 성형 장치의 구성요소인 밀림방지장치는 합성수지 주입시 내부금형(4)에 끼워진 합성수지관(15)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측외부금형(2')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합성수지관(15)의 일측을 고정한 채 축방향이동장치측으로 합성수지관(15)을 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측외부금형(2')의 전방측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선반(17), 선반(17)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18)와, 실린 더(18)로부터 수평 이동하는 실린더로드(19), 실린더로드(19)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압착판(20)으로 간단한 구조의 밀림방지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합성수지를 성형공간(5)에 주입하는 동안 밀림방지장치의 실린더(18)를 작동시켜 압착판이 합성수지를 밀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합성수지관(15)이 수평 방향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밀림방지장치는 실린더(18)와 실린더로드(19)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파이프와 내부파이프를 구비한 뒤 내부파이프가 외부파이프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하도록 구성한 뒤 외부파이프의 일측에 구동축을 구비하고, 구동축과 연결된 레버를 준비한 뒤 일측이 내부파이프에 고정되고 타측이 구동축에 감기는 감김부재를 구비하여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내부파이프가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밀림방지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구동축에 레버를 설치하는 대신 모터를 연결하여 모터의 회전에 따라 내부파이프가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합성수지관(15) 부분의 길이에 따라 밀림방지장치와 고정측외부금형(2')의 사이에 가이드부재(21)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도시된 가이드부재(21)는 합성수지관(15)을 지탱하면서 합성수지관(15)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Y'자 형태로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가이드부재(21)의 형태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처럼 가이드부재(21)를 설치하게 되면 설명한 것처럼 합성수지관(15)을 지 지하면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는 합성수지관(15)의 길이가 길 때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측외부금형(2)이 고정측외부금형(2') 측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금형이동장치는 가변측외부금형(2)으로부터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축방향이동장치는 내부금형(4)을 합성수지관(15) 이동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밀림방지장치는 합성수지관(15)을 외부금형 측 수평방향으로 밀어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측외부금형(2)의 일측삽입홈(14)과 고정측외부금형(2')의 타측삽입홈(14')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설치되어 내부금형(4)에 끼워진 합성수지관(15)을 내부금형(4) 측으로 밀도록 구성된 합성수지관세팅장치(25)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를 통해 합성수지관세팅장치(25)를 살펴보면, 가변측외부금형(2)의 일측삽입홈(14)과 고정측외부금형(2')의 타측삽입홈(14')에 서로 대칭되는 위치가 천공되어 있고, 일측삽입홈(14)과 타측삽입홈(14')에 스프링고정브라켓이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고정브라켓의 양측에는 스프링(25a)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에 의해 중앙 방향을 향해 밀리도록 이동부재(25b)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이동부재(25b)에 고무판(25c)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스프링고정브라켓은 선택적으로 제외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은 합성수지관세팅장치(25)가 합성수지관(15)을 중앙 측으로 밀도록 구성되어 있어 합성수지관(15)의 위치를 세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관(15)의 크기에 미차가 있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합성수지관(15)을 중앙에 위치시켜 연결구를 성형할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방법에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준비단계
축방향이동장치를 작동시켜 내부금형(4)을 가변측외부금형(2)과 고정측외부금형(2')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내부금형이동장치를 작동시켜 내부금형(4)을 가변측외부금형(2)과 고정측외부금형(2') 사이의 중앙에 위치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축방향이동장치의 실린더(8)를 작동시켜 플레이트(7)와 연결대(13)를 관통한 채 내부금형(4)의 일측에 연결된 실린더로드(9)를 합성수지관(15)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내부금형(4)이 가변측외부금형(2)과 고정측외부금형(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그런 다음 내부금형이동장치의 연결축(11, 11')을 가변측외부금형(2)으로부 터 돌출 이동시켜 연결축(11, 11')에 연결된 사각가이드(10, 10')와 내부금형고정케이스(26)을 가변측외부금형(2)으로부터 고정측외부금형(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축방향이동장치의 실린더로드(9)에 의해 내부금형고정케이스(26)와 연결되어 있는 내부금형(4)을 가변측외부금형(2)과 고정측외부금형(2') 사이의 중앙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2. 합성수지관 결합단계
내부금형(4)의 외주면에 합성수지관(15) 일측을 끼워 넣는데 밀어넣는 방식은 수작업으로 직접 밀어넣거나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밀어넣을 수도 있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내부금형(4)은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어 보다 쉽게 밀어넣는 것이 좋으며, 밀어넣는 거리는 내부금형(4)에 형성되어 있는 첫번째 단까지 밀착되도록 밀어넣는다.
3. 금형결합단계
일측결합홈(12)과 타측결합홈(12')에 사각가이드(10, 10')가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가변측외부금형(2)을 고정측외부금형(2') 측으로 이동시킨다.
합성수지관(15)을 내부금형(4) 외주면에 끼워 넣으면 가변측외부금형(2)과 고정측외부금형(2')이 합성수지관(15)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가변측외부금형(2)의 이동을 위해 설치된 실린더(23)를 작동시키게 되면 선반(22)으로부터 가변측외부금형(2)이 고정측외부금형(2')을 향해 이동 하게 된다.
이때, 사각가이드(10, 10')가 타측결합홈(12')에 끼워진 상태까지 일차 이동하게 되며, 그 다음 가변측외부금형(2)으로부터 돌출된 연결축(11, 11')이 서서히 가변측외부금형(2)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가변측외부금형(2)이 고정측외부금형(2')을 향해 이차 이동하여 결국 일측결합홈(12)에 사각가이드(10, 10')가 완전히 삽입되어 가변측외부금형(2)과 고정측외부금형(2')이 서로 맞닿은 상태가 된다.
이때, 연결축(11, 11')이 실린더로드에 의해 연결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된 경우 실린더의 압력을 서서히 해제하여 가변측외부금형(2)이 원할하게 고정측외부금형(2') 측으로 이동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상태는 합성수지관(15)의 외주면이 일측삽입홈(14)과 타측삽입홈(14')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4. 연결구성형단계
밀림방지장치로 합성수지관(15)의 일측을 고정한 채 축방향이동장치측으로 합성수지관(15)을 밀면서 주입구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성형공간(5)에 합성수지가 채워져 연결구(16)를 형성한다.
합성수지관(15)의 외주면이 외부금형의 일측삽입홈(14)과 타측삽입홈(14')에 밀착되고, 내주면이 내부금형(4)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면 도시된 밀림방지장치를 작동시켜 합성수지관(15)을 밀어준다.
이때, 합성수지관 결합단계에서 합성수지관(15)이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경 우 합성수지관(15)을 충분히 밀어주게 된다.
그런 다음 주입구를 통해 합성수지를 성형공간(5)에 공급한 후 냉각시키면 연결구(16)가 형성되는 것이다.
5. 탈형단계
밀림방지장치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가변측외부금형(2)을 고정측외부금형(2')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내부금형이동장치를 작동시켜 연결구(16)가 내부금형(4)에 끼워진 채 가변측외부금형(2)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축방향이동장치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성형된 연결구(16)를 탈형한다.
이러한 과정은 상술한 각 과정에서 이루어진 동작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합성수지관 성형 방법은 종래의 합성수지관 성형 방법에 비해 훨씬 간단한 공정으로 진행되며, 합성수지관(15)이 수평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여 불량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성형 장치 및 성형 방법은 수도관, 보일러 배관, 소방 배관, 통신 배관 등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각종 관 연결구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 방법에 있어 준비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 방법에 있어 합성수지관 결합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 방법에 있어 금형 결합단계를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 방법에 있어 연결구성형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 방법에 있어 탈형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연결구 성형장치에 있어 축방향이동장치를 도시한 단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성형장치 2 : 가변측외부금형
2' : 고정측외부금형 3: 가이드봉
4 : 내부금형 5 : 성형공간
6 : 가이드봉삽입홀 7 : 플레이트
8 : 실린더 9 : 실린더로드
10, 10' : 사각가이드 11, 11' : 연결축
12 : 일측결합홈 12' : 타측결합홈
13 : 연결대 14 : 일측삽입홈
14' : 타측삽입홈 15 : 합성수지관
16 : 연결구 17 : 선반
18 : 실린더 19 : 실린더로드
20 : 압착판 21 : 가이드부재
22 : 선반 23 : 실린더
24 : 실린더로드 25 : 합성수지관세팅장치
25a : 스프링 25b : 이동부재
25c : 고무판 26 : 내부금형고정케이스

Claims (5)

  1.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에 있어서,
    내주면에 합성수지관(15)의 일측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일측삽입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삽입홈(14)의 양측에 일측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합성수지관(15) 삽입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변측외부금형(2)과, 가변측외부금형(2)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합성수지관(15)의 타측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타측삽입홈(14')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삽입홈(14')의 양측에 일측결합홈(12)과 일치되도록 타측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측외부금형(2')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삽입홈(14)과 타측삽입홈(14')에 연속하여 내측으로 합성수지가 주입되도록 성형공간(5)을 가지며, 합성수지가 주입되는 주입구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금형과;
    상기 가변측외부금형(2)의 일측결합홈(12) 내측으로 관통된 채 가변측외부금형(2)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연결축(11, 11')과, 연결축(11, 11')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은 일측결합홈(12)에 끼워지고 타측은 타측결합홈(12')에 끼워지는 사각가이드(10, 10')와, 사각가이드(10,10')에 연결된 채 내측으로 내부금형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내부금형고정케이스(26)로 구성된 내부금형이동장치와;
    상기 내부금형삽입홀에 끼워진 채 설치되어 있고, 일측 외주면에 합성수지관(15)이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내부금형(4)과;
    상기 내부금형(4)의 후단에 연결된 채 설치되어 있고, 내부금형(4)을 합성수지관(15)이 이동하는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축방향이동장치와;
    합성수지 주입시 내부금형(4)에 끼워진 합성수지관(15)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고정측외부금형(2')의 전방에 설치되어, 합성수지관(15)의 일측을 고정한 채 축방향이동장치측으로 합성수지관(15)을 밀도록 구성된 밀림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밀림방지장치와 외부금형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합성수지관(15)을 지탱하면서 합성수지관(15)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부재;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금형(4)의 선단은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측외부금형(2)의 일측삽입홈(14)과 고정측외부금형(2')의 타측삽입홈(14')에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설치되어 내부금형(4)에 끼워진 합성수지관(15)을 내부금형(4) 측으로 밀도록 구성된 합성수지관세팅장치(25)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5.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방법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축방향이동장치를 작동시켜 내부금형(4)을 가변측외부금형(2)과 고정측외부금형(2')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내부금형이동장치를 작동시켜 내부금형(4)을 가변측외부금형(2)과 고정측외부금형(2') 사이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준비단계와;
    내부금형(4)의 외주면에 합성수지관(15) 일측을 끼워 넣는 합성수지관 결합단계;
    일측결합홈(12)과 타측결합홈(12')에 사각가이드(10, 10')가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가변측외부금형(2)을 고정측외부금형(2') 측으로 이동시키는 금형결합단계;
    밀림방지장치로 합성수지관(15)의 일측을 고정한 채 축방향이동장치 측으로 합성수지관(15)을 밀면서 주입구로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성형공간(5)에 합성수지가 채워져 연결구(16)를 형성하는 연결구성형단계와;
    밀림방지장치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가변측외부금형(2)을 고정측외부금형(2')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내부금형이동장치를 작동시켜 연결구(16)가 내부금형(4)에 끼워진 채 가변측외부금형(2)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축방향이동장치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성형된 연결구(16)를 탈형하는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방법.
KR1020080023541A 2008-03-13 2008-03-13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연결구의 성형방법 KR100847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541A KR100847098B1 (ko) 2008-03-13 2008-03-13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연결구의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541A KR100847098B1 (ko) 2008-03-13 2008-03-13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연결구의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098B1 true KR100847098B1 (ko) 2008-07-18

Family

ID=3982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541A KR100847098B1 (ko) 2008-03-13 2008-03-13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연결구의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600B1 (ko) 2008-11-19 2009-05-14 미래화학 주식회사 파이프 삽입 일체형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408B1 (ko) * 2003-08-21 2004-01-31 미래화학 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408B1 (ko) * 2003-08-21 2004-01-31 미래화학 주식회사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600B1 (ko) 2008-11-19 2009-05-14 미래화학 주식회사 파이프 삽입 일체형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171885A (ja) 管継手の製造方法
JP5792893B2 (ja) 注射器容器を製造するための成形型組立体および方法
JP2010514598A (ja) セラミックフェルールブランクの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KR100847098B1 (ko) 합성수지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연결구의 성형방법
CN105729737A (zh) 模具装置以及树脂成型方法
KR100944249B1 (ko) 중공원통형 사출물 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물의 제조방법
CN209920334U (zh) 轮胎硫化模具
JP2006346995A (ja) 枠体付き窓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5887596B2 (ja) 操作ノブの成形用金型
KR200363044Y1 (ko) 사출품 인출기의 인서트 지그
JP5244426B2 (ja) 表皮材インサート成形装置および成形方法
WO2008014009A3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se
KR102426683B1 (ko) 화장실용 칸막이 사출 장치 및 방법
CN219727053U (zh) 一种复合材料汽车件大滑块抽芯机构
CN113459782A (zh) 流体单元和制造流体单元的方法
CN216579041U (zh) 一种血液透析器模具
JP2010538875A (ja) 挿入コネクタ部材におけるシール取付方法
CN113843986A (zh) 一种血液透析器模具
CN219445904U (zh) 具有预埋螺丝定位功能的注塑模具
KR100956874B1 (ko) 파이프연결구를 파이프의 외측에 성형하는 장치
JP6565196B2 (ja) 管継手の製造方法
CN102470567A (zh) 铸造组件的装置与方法
JP3417303B2 (ja) グロメットの成形装置並びにそれに使用する金型
US20240051205A1 (en) A mold tool for injection molding
JP5689644B2 (ja) 部品一体成形合成樹脂製品の製造方法及び当該方法用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