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605B1 -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605B1
KR100846605B1 KR1020070031964A KR20070031964A KR100846605B1 KR 100846605 B1 KR100846605 B1 KR 100846605B1 KR 1020070031964 A KR1020070031964 A KR 1020070031964A KR 20070031964 A KR20070031964 A KR 20070031964A KR 100846605 B1 KR100846605 B1 KR 100846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emission display
field emission
display panel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689A (ko
Inventor
조덕구
최덕현
이철호
강문석
이지원
김춘숙
전동협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1/835,987 priority Critical patent/US7701454B2/en
Publication of KR2008001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0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arc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7/00Modulating pulses with a continuously-variable modulating signal
    • H03K7/08Duration or width modulation ; Duty cycle mod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6Handl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s [EMI], covering emitted as well as received electromagnetic radi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3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input amplifying stage being one or more operational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장치를 포함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구동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가 이상 전류 검출부 및 방전 회로를 포함한다. 이상 전류 검출부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 전압의 부극성 단자와 공통 접지 라인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설정 상한 값보다 크면, 아크-전류 검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방전 회로는, 이상 전류 검출부로부터 아크-전류 검출 신호가 발생되면,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판과 양극 전압의 부극성 단자 사이를 단락시킨다.

Description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n emission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각 부에 공급되는 전위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원 공급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류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직류/직류 변환부들 각각의 내부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승압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4의 이상 전류 검출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이상 전압 검출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논리-합 회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1은 도 4의 방전 회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2는 도 8 내지 9의 회로도들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 12...프레임 메모리,
15...제어 소자, 17...주사 구동부,
18...데이터 구동부, 19...전원 공급부,
2...앞쪽 패널, 21...앞쪽 기판,
22...양극판, FR11,...,FBnm...형광 셀들,
3...뒤쪽 패널, 31...뒤쪽 기판,
CR1,...,CBm...캐소드 전극 라인들, ER11,...,EBnm...전자 방출원들,
33...제1 절연층, G1,...,Gn...게이트 전극 라인들,
35...제2 절연층, 36...포커싱 전극판,
HR11,...,HBnm...관통구들, 401,...,404...스페이스 바아들,
40...논리-합 회로, 46...승압부,
47...이상 전압 검출부, 48...이상 전류 검출부,
49...방전 회로.
본 발명은,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구동 장치를 포함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된 선행 기술로는 2003년 미국 특허출원 공개 번호 제122,118호(명칭 : FED driving method)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본적으로 전자 방출원들, 데이터 전극 라인들, 주사 전극 라인들, 형광 셀들, 및 양극판을 포함한다. 주사 전극 라인들은 데이터 전극 라인들과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양극판에는 전자 방출원들로부터의 전자들이 상기 형광 셀들로 이동하도록 전위가 인가된다.
상기와 같은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 특성에 의하면, 양극판과 다른 전극 사이에 아크(arc) 방전이 발생될 확률이 높다. 아크(arc) 방전의 발생 원인으로는, 진공도 저하, 전극들 사이의 불순물 등에 의한 절연 파괴, 및 유전체에 충전된 전하들의 방전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아크(arc) 방전이 발생될 경우, 전자 방출원들이 손상되거나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인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크(arc) 방전에 대처할만한 효과적인 보호 회로를 가지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크(arc) 방전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적인 보호 회로를 구비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를 포함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가 이상 전류 검출부 및 방전 회 로를 포함한다.
상기 이상 전류 검출부는,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 전압의 부극성 단자와 공통 접지 라인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설정 상한 값보다 크면, 아크-전류 검출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방전 회로는, 상기 이상 전류 검출부로부터 상기 아크-전류 검출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판과 상기 양극 전압의 부극성 단자 사이를 단락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상기 양극 전압의 부극성 단자와 공통 접지 라인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값으로써 아크(arc) 방전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아크(arc) 방전의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아크(arc) 방전이 발생된 경우에는 급격한 양극 전류가 흐름을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아크(arc) 방전이 발생된 경우, 상기 이상 전류 검출부에 의하여 신속히 상기 아크-전류 검출 신호가 발생될 수 있고, 상기 방전 회로에 의하여 양극 전압의 인가가 신속히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극 전압의 부극성 단자와 공통 접지 라인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저항기가 필요하므로, 아크(arc) 방전에 의한 초기 전류를 억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아크(arc) 방전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적인 보호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전원 공급부(19)로부터 각 부에 공급되는 전위들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 및 이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이 구동 장치는 전원 공급부(19), 주사 구동부(17), 데이터 구동부(18), 프레임 메모리(12), 및 제어 소자(15)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9)는, 프레임 메모리(12)에 시스템 접지 전위(VSG) 및 동작 전위(V12H)를 인가하고, 제어 소자(15)에 상기 시스템 접지 전위(VSG) 및 동작 전위(V15H)를 인가하며, 주사 구동부(17)에 상기 시스템 접지 전위(VSG) 및 동작 전위(V17H)를 인가하고, 데이터 구동부(18)에 동작 전위(V18H) 및 상기 시스템 접지 전위(VSG)를 인가하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양극판(도 2의 22)에 양극 전위(VAH)를 인가하고,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포커싱 전극판(36)에 포커싱 전위(VFH)를 인가한다.
주사 구동부(17)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주사 전극 라인들로서의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을 구동한다. 데이터 구동부(18)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데이터 전극 라인들로서의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을 구동한다. 프레임 메모리(12)에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제어 소자(15)는, 단일 집적 회로 소자 예를 들어,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로 형성되고,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입력 영상 신호들(SIM)을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키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12)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면서, 계조 디스플레이를 위한 펄스폭 변조 데이터 및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둘째, 제어 소자(15)는 발생된 펄스폭 변조 데이터 및 타이밍 제어 신호들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18)에 펄스폭 변조 데이터(SDD) 및 타이밍 제어 신호들(SDT)을 제공하고, 주사 구동부(17)에 타이밍 제어 신호들(SS)을 제공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은 앞쪽 패널(2)과 뒤쪽 패널(3)이 스페이스 바아(space bar)들(401,...,404)에 의하여 지지된다. 여기에서, 도 2에 도시된 스페이스 바아들(401,...,404) 외에도 다수의 스페이스 바아들이 포커싱 전극판(36) 위에 존재한다.
뒤쪽 패널(3)은 뒤쪽 기판(31),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 전자 방출원들(ER11,...,EBnm), 제1 절연층(33),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 제2 절연층(35), 및 포커싱 전극판(36)을 포함한다.
데이터 신호들이 인가되는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은 전자 방출원들(ER11,...,EBn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절연층(33), 게이트 전극 라인 들(G1,...,Gn), 제2 절연층(35), 및 포커싱 전극판(36)에는 전자 방출원들(ER11,...,EBnm)에 대응하는 관통구들(HR11,...,HBnm)이 형성된다. 따라서, 주사 신호들이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라인들(G1,...,Gn)에서, 캐소드 전극 라인들(CR1,...,CBm)과 교차되는 영역에 관통구들(HR11,...,HBnm)이 형성된다. 포커싱 전극판(36)에는 포커싱 전위(도 4의 VFH)가 인가된다.
앞쪽 패널(2)은 앞쪽 투명 기판(21), 양극판(22), 및 형광 셀들(FR11,...,FBnm)을 포함한다. 형광 셀들(FR11,...,FBnm)은 포커싱 전극판(36)의 관통구들(HR11,...,HBnm)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양극판(22)에는 전자 방출원들(ER11,...,EBnm)로부터의 전자들이 형광 셀들로 이동하도록 1 내지 4 킬로볼트(KV)의 높은 정극성 전위(도 4의 VAF)가 인가된다.
도 4는 도 1의 전원 공급부(19)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전원 공급부(19)는 전자파장애(EMI) 필터(41), 역률 보상부(42), 정류부(43), 주 제어부(44), 전압 검출부(45), 승압부(46), 이상 전류 검출부(48), 방전 회로(49), 이상 전압 검출부(47), 및 논리-합 회로(40)를 포함한다.
전자파장애(EMI) 필터(41)는 전원 전압(VACIN) 예를 들어 220 볼트(V)의 교류 전압에 포함된 전자파장애(EMI) 노이즈를 차단한다. 역률 보상부(42)는 입력 교류 전력의 역률을 보상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절감한다. 정류부(43)는 역률 보상 부(42)로부터의 교류 전압(VAC)을 정류하면서 각 부에서 필요한 전원 전압들(V12H 내지 VPH)을 발생시킨다. 승압부(46)는 정류부(43)로부터의 제1 전압(VPH)을 승압하여 양극 전압(VA +)을 발생시킨다.
전압 검출부(45)는 역률 보상부(42)에 입력된 전압을 검출하여 그 결과를 주 제어부(44)에 입력시킨다.
주 제어부(44)는, 전압 검출부(95)로부터의 검출 전압, 및 논리-합 회로(40)로부터의 아크(arc) 발생 신호(SDI)에 따라, 정류부(43)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SSH)를 발생시킨다.
이상 전류 검출부(48)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도 1의 11)의 양극 전압(VAH)의 부극성 단자(VA -)와 공통 접지 라인(VAL)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설정 상한 값보다 크면, 아크-전류 검출 신호(SCE)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 논리-합 회로(40)로부터 아크(arc) 발생 신호(SDI)가 출력되어, 방전 회로(49)가 동작한다. 이에 따라, 방전 회로(49)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판(도 2의 22)과 양극 전압의 부극성 단자(VA -) 사이를 단락시킨다. 이상 전류 검출부(48), 논리-합 회로(40), 및 방전 회로(49)의 내부 구성은 도 8, 10, 및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와 같이 양극 전압(VAH)의 부극성 단자(VA -)와 공통 접지 라인(VAL)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값으로써 아크(arc) 방전의 발생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아크(arc) 방전의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아크(arc) 방전이 발생된 경우에는 급격한 양극 전류가 흐름을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도 1의 11)에서 아크(arc) 방전이 발생된 경우, 이상 전류 검출부(48)에 의하여 신속히 아크-전류 검출 신호(SCE)가 발생될 수 있고, 방전 회로(49)에 의하여 양극 전압의 인가가 신속히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양극 전압(VAH)의 부극성 단자(VA -)와 공통 접지 라인(VAL)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저항기(도 8의 R1)가 필요하므로, 아크(arc) 방전에 의한 초기 전류를 억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아크(arc) 방전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적인 보호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상 전압 검출부(47)에서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양극 전압의 정극성 단자(VA +)와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양극판(도 2의 22) 사이에 인덕터(도 9의 I1)가 연결되고, 인덕터(I1) 양단의 전압 차이가 설정 상한 값보다 크면 아크-전압 검출 신호(SVE)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아크(arc) 방전에 대처할 수 있는 보호 회로의 기능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아크(arc) 방전이 발생됨에 의하여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 널(11)의 양극판(도 2의 22)의 전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경우, 인덕터(I1)의 작용에 의하여 양극 전압의 정극성 단자(VA +)의 전위가 급격히 낮아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내부가 보호받을 수 있다.
이상 전압 검출부(47)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물론, 논리-합 회로(40)는, 이상 전류 검출부(48)로부터의 아크-전류 검출 신호(SCE) 또는 이상 전압 검출부(47)로부터의 아크-전압 검출 신호(SVE)가 발생되면, 아크 발생 신호(SDI)를 출력하여 방전 회로(49)를 동작시킨다.
도 5는 도 4의 정류부(43)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5에서 도 4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도 4의 정류부(43)는 릴레이(57), 교류/직류 변환부(58), 및 제1 내지 제6 직류/직류 변환부들(51 내지 56)을 포함한다.
릴레이(57)는 주 제어부(44)의 제어에 따라 교류 전원(VAC)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한다. 교류/직류 변환부(58)는 릴레이(57)로부터의 입력 교류 전위를 직류 전위(VDCIN)로 변환시킨다.
제6 직류/직류 변환부들(51 내지 56) 각각은, 교류/직류 변환부(58)로부터의 직류 전위(VDCIN)를 변환시켜서, 시스템 접지 전위(VSG) 및 동작 전위들(V12H, V15H, V17H, V18H, VFH)을 발생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전위(VPH)는 승압부(46)로 인 가된다.
도 6은 도 5의 직류/직류 변환부들(51 내지 56) 각각의 내부 회로를 보여준다. 도 6에서 도 4 및 5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도 5의 직류/직류 변환부들(51 내지 56) 각각은, 스위칭 소자들(TR11,TR12), 교류 발생용 캐페시터(C11), 트랜스포머(61), 정류부(D11 + D12 + C12), 및 스위칭 제어기(513)를 포함한다.
교류 발생용 캐페시터(C11)와 스위칭 소자들(TR11,TR12)은 교류/직류 변환부(58)로부터의 직류 전압(VDCIN)을 스위칭하여 교류 전위로 변환시킨다. 이에 따라 트랜스포머(61)는 스위칭 소자들(TR11,TR12)의 동작에 의하여 발생된 교류 전압을 변환시킨다.
정류부(D11 + D12 + C12)는 트랜스포머(61)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 전압을 구동 전위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스위칭 제어기(513)는 스위칭 소자들(TR11,TR12)을 주기적으로 온(On) 및 오프(Off)시키되, 정류부(D11 + D12 + C12)로부터의 출력 전압에 반비례하도록 스위칭 소자들(TR11,TR12)의 온(On) 시간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정류부(D11 + D12 + C12)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승압부(46)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7에서 도 4 및 5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4, 5, 및 7을 참조하면, 도 4의 승압부(46)는, 스위칭 소자 들(TR71,TR72), 교류 발생용 캐페시터(C71), 트랜스포머(73), 정류부(D71 + D72 + C72), 및 스위칭 제어기(463)를 포함한다.
교류 발생용 캐페시터(C71)와 스위칭 소자들(TR71,TR72)은 정류부(43)로부터의 제1 직류 전압(VPH)을 스위칭하여 교류 전압으로 변환시킨다. 이에 따라 트랜스포머(73)는 스위칭 소자들(TR71,TR72)의 동작에 의하여 발생된 교류 전압을 변환시킨다.
정류부(D71 + D72 + C72)는 트랜스포머(73)에 의하여 변환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인 양극 전압(VA +와 VA -의 전위차)으로 변환시킨다.
스위칭 제어기(463)는 스위칭 소자들(TR71,TR72)을 주기적으로 온(On) 및 오프(Off)시키되, 정류부(D71 + D72 + C72)로부터의 양극 전압(VA +와 VA -의 전위차)에 반비례하도록 스위칭 소자들(TR71,TR72)의 온(On) 시간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정류부(D71 + D72 + C72)로부터의 양극 전압(VA +와 VA -의 전위차)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이상 전류 검출부(48)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8에서 도 4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2는 도 8 내지 9의 회로도들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 5, 8, 및 12를 참조하면, 도 4의 이상 전류 검출부(48)는 제1 저항기(R1), 증폭부(81), 및 비교기(82)를 포함한다.
제1 저항기(R1)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 전압의 부극성 단자 (VA-)와 공통 접지 라인(VAL) 사이에 연결된다.
제1 연산 증폭기(OP1)를 포함한 증폭부(81)는 제1 저항기(R1)의 양단에 강하된 전압을 증폭한다.
제1 연산 증폭기(OP1)를 포함한 비교기(82)는 증폭부(81)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설정 기준 전압(VREF)보다 높으면 상기 아크-전류 검출 신호(SCE)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이상 전류 검출부(48)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도 1의 11)의 양극 전압(VA +와 VA -의 전위차)의 부극성 단자(VA -)와 공통 접지 라인(VAL)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설정 상한 값보다 크면, 아크-전류 검출 신호(SCE)를 발생시킨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양극 전압(VAH)의 부극성 단자(VA -)와 공통 접지 라인(VAL)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값으로써 아크(arc) 방전의 발생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아크(arc) 방전의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아크(arc) 방전이 발생된 경우에는 급격한 양극 전류가 흐름을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도 1의 11)에서 아크(arc) 방전이 발생된 경우, 이상 전류 검출부(48)에 의하여 신속히 아크-전류 검출 신호(SCE)가 발생될 수 있고, 방전 회로(49)에 의하여 양극 전압의 인가가 신속히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양극 전압(VAH)의 부극성 단자(VA -)와 공통 접지 라인(VAL)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저항기(도 8의 R1)가 필요하므로, 아크(arc) 방전에 의한 초기 전류를 억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아크(arc) 방전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적인 보호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이상 전압 검출부(47)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9에서 도 4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4, 9, 및 12를 참조하면, 도 4의 이상 전압 검출부(47)는 인덕터(I1), 양단 전압 검출부(91), 및 비교기(92)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던 바와 같이, 인덕터(도 9의 I1)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양극 전압의 정극성 단자(VA +)와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양극판(도 2의 22) 사이에 연결된다.
양단 전압 검출부(91)는, 저항기들(R3,R4,R5)을 사용하여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 전압의 정극성 단자의 전압(VA +)을 검출하고,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판의 전압(VAH)을 검출한다.
비교기(92)는 전압 검출부(91)로부터의 두 전압들의 차이(VA +-VAH)가 설정 상한 값보다 크면 아크-전압 검출 신호(SVE)를 발생시킨다. 물론, 아크(arc) 방전이 일어날 경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판의 전압(VAH)이 강하됨에 따라 전압 검출부(91)로부터의 두 전압들의 차이(VA +-VAH)가 커진다.
이에 따라, 이상 전압 검출부(47)는 인덕터(I1) 양단의 전압 차이가 설정 상한 값보다 크면 아크-전압 검출 신호(SVE)를 발생시킨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이상 전압 검출부(47)에 의하면 아크(arc) 방전에 대처할 수 있는 보호 회로의 기능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아크(arc) 방전이 발생됨에 의하여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11)의 양극판(도 2의 22)의 전위가 급격히 낮아지는 경우, 인덕터(I1)의 작용에 의하여 양극 전압의 정극성 단자(VA +)의 전위가 급격히 낮아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부의 내부가 보호받을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논리-합 회로(40)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10에서 도 4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4, 10, 및 12를 참조하면, 도 4의 논리-합 회로(40)는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들(D101,D102)과 신호-레벨 조정용 저항기들(R101,R10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논리-합 회로(40)는, 이상 전류 검출부(48)로부터의 아크-전류 검출 신호(SCE) 또는 이상 전압 검출부(47)로부터의 아크-전압 검출 신호(SVE)가 발생되면, 아크 발생 신호(SDI)를 출력하여 방전 회로(49)를 동작시킨다.
도 11은 도 4의 방전 회로(49)의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11에서 도 4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대상을 가리킨다. 도 11에서 참조 부호 V12는 12 볼트(V)의 직류 공급 전위를 가리킨다. 도 4, 11, 및 12를 참조하면, 도 4의 방전 회로(49)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111), 제1 내지 제3 트랜스포머들(112 내지 114), 저항기들(R111 내지 R116), 제1 내지 제3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F111 내지 F113), 및 제1 내지 제3 캐페시터들(C111 내지 C113)을 포함한다.
실리콘 제어 정류기(111)는 논리-합 회로(40)로부터 아크-전압 검출 신호(SVE)가 발생되면 턴-온(turns on)된다.
제1 내지 제3 트랜스포머들(112 내지 114) 각각에서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111)가 턴-온(turns on)됨에 따라 1차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고 2차측 코일 양단에 전압이 유기된다.
저항기들(R111 내지 R116)은 전류와 전압의 레벨을 조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제1 내지 제3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F111 내지 F113)은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판(VAH의 전위)과 시스템 접지 전위단(VSG의 전위)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제1 내지 제3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F111 내지 F113)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트랜스포머들(112 내지 114) 각각의 2차측 코일 양단에서, 저항기들(R111 내지 R116)을 통하여 제1 내지 제3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F111 내지 F113) 각각의 게 이트와 소오스가 연결된다.
제1 내지 제3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들(F111 내지 F113)은, 트랜스포머들(112 내지 114) 각각의 2차측 코일 양단에 전압이 유기됨에 따라 턴-온(turns on)되어,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판(VAH의 전위)과 시스템 접지 전위단(VSG의 전위) 사이를 단락시킨다. 여기에서, 제1 내지 제3 캐페시터들(C111 내지 C113)은 빠른 전류 흐름을 유도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양극 전압의 부극성 단자와 공통 접지 라인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값으로써 아크(arc) 방전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아크(arc) 방전의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아크(arc) 방전이 발생된 경우에는 급격한 양극 전류가 흐름을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아크(arc) 방전이 발생된 경우, 이상 전류 검출부에 의하여 신속히 아크-전류 검출 신호가 발생될 수 있고, 방전 회로에 의하여 양극 전압의 인가가 신속히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극 전압의 부극성 단자와 공통 접지 라인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측정하기 위하여 저항기가 필요하므로, 아크(arc) 방전에 의한 초기 전류를 억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아크(arc) 방전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적인 보호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변형 및 개량될 수 있다.

Claims (7)

  1.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를 포함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가,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 전압의 부극성 단자와 공통 접지 라인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설정 상한 값보다 크면, 아크-전류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상 전류 검출부; 및
    상기 이상 전류 검출부로부터 상기 아크-전류 검출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판과 상기 양극 전압의 부극성 단자 사이를 단락시키는 방전 회로를 포함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전류 검출부가,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 전압의 부극성 단자와 공통 접지 라인 사이에 연결된 제1 저항기,
    상기 제1 저항기의 양단에 강하된 전압을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로부터의 출력 전압이 설정 기준 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아크-전류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교기를 포함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회로가,
    상기 이상 전류 검출부로부터 상기 아크-전류 검출 신호가 발생되면 턴-온(turns on)되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
    상기 실리콘 제어 정류기가 턴-온(turns on)됨에 따라 1차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고 2차측 코일 양단에 전압이 유기되는 적어도 한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 양단에 전압이 유기됨에 따라 턴-온(turns on)되어,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판과 시스템 접지 전위단 사이를 단락시키는 적어도 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회로에서,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판과 상기 시스템 접지 전위단 사이에 복수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들이 직렬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트랜지스터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트랜스포머들 각각의 2차측 코일 양단에 상기 복수의 트랜지스터들 각각의 게이트와 소오스가 연결되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가,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 전압의 정극성 단자와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판 사이에 인덕터가 연결되고, 상기 인덕터 양단의 전압 차이가 설정 상한 값보다 크면 아크-전압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이상 전압 검출부; 및
    상기 이상 전류 검출부로부터의 아크-전류 검출 신호 또는 상기 이상 전압 검출부로부터의 아크-전압 검출 신호가 발생되면, 아크 발생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방전 회로를 동작시키는 논리-합 회로를 더 포함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전압 검출부가,
    상기 인덕터;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 전압의 정극성 단자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판의 전압을 검출하는 양단 전압 검출부; 및
    상기 양단 전압 검출부로부터의 두 전압들의 차이가 상기 설정 상한 값보다 크면 상기 아크-전압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교기를 포함한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전압 검출부의 상기 비교기에서,
    상기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극판의 전압이 강하됨에 따라 상기 양단 전압 검출부로부터의 두 전압들의 차이가 커지는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031964A 2006-08-09 2007-03-30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46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35,987 US7701454B2 (en) 2006-08-09 2007-08-08 Field emission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678206P 2006-08-09 2006-08-09
US60/836,782 2006-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689A KR20080013689A (ko) 2008-02-13
KR100846605B1 true KR100846605B1 (ko) 2008-07-16

Family

ID=3934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964A KR100846605B1 (ko) 2006-08-09 2007-03-30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091B1 (ko) * 2021-12-14 2023-03-29 한국전기연구원 전계 방출형 엑스선원 전원 공급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1366A (ja) * 1994-12-16 1996-07-02 Sharp Corp ソースドライバ回路
KR100357270B1 (ko) 1998-05-01 2002-10-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440540B1 (ko) 1996-08-16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워-오프 방전 회로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1366A (ja) * 1994-12-16 1996-07-02 Sharp Corp ソースドライバ回路
KR100440540B1 (ko) 1996-08-16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워-오프 방전 회로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357270B1 (ko) 1998-05-01 2002-10-1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689A (ko)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38750A1 (en) Driving apparatus of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US740572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RU2616773C2 (ru) Градиентная система питания mri с добавленным накопителем энергии
EP1862879B1 (en) High voltage linear regulator for an electron tube
US20090034145A1 (en) DC Type Ionizer
US20090237000A1 (en) Pdp driving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US6617800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702644B1 (ko) 방전 램프 발광 장치
JP2005010779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システムの高効率電源供給装置及びその設計方法
KR100846605B1 (ko)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20173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装置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US6839216B2 (en) Solenoid driving device
US7701454B2 (en) Field emission display apparatus
US20070188415A1 (en) Apparatus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US20090160355A1 (e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CN115437203A (zh) 投影设备及其光源的驱动方法
WO2018229853A1 (ja) パルス電源装置
US20080136744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Power Supply Module
KR20080024321A (ko) 전원 공급 장치, 전원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이의 스탠바이 전압 생성 방법
KR100224084B1 (ko) 음극선관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의 수평출력 트랜지스타의 보호용 회로
JP3656911B2 (ja) 電源回路
KR20070000240A (ko) 램프 구동장치
JP2005221656A (ja) 容量性負荷駆動装置、及びそれを搭載す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JP2008123772A (ja) 真空装置
US20070247396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