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813B1 - 음원 실행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음원 실행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813B1
KR100844813B1 KR1020060085513A KR20060085513A KR100844813B1 KR 100844813 B1 KR100844813 B1 KR 100844813B1 KR 1020060085513 A KR1020060085513 A KR 1020060085513A KR 20060085513 A KR20060085513 A KR 20060085513A KR 100844813 B1 KR100844813 B1 KR 100844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rver
sour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2280A (ko
Inventor
송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813B1/ko
Publication of KR20080022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2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 실행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다양한 포맷을 음원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들 중 특정 포맷을 갖는 음원의 실행을 요청하기 위한 입력부, 네트워크를 통해 음원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입력부에 의해 실행 요청된 상기 음원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가능하지 않은 음원인 경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음원 서버에 자동 접속되도록 하고, 실행 요청된 음원과 대응되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가능한 포맷의 음원 파일이 음원 서버에 존재하는 경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음원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음원 서버, 이동통신단말기, 음원 데이터

Description

음원 실행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METHOD OF EXECUTING A MUSIC FILE AND MOBILE COMMUNICATIONT TERMINAL THER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로 음원 데이터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가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음원 서버가 음원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통신 단말기
122: 이동망 124: PSTN
132: 이동교환국 134: 단문서비스 센터
140: 인터넷 네트워크 150: 인터넷서버
160: 음원 서버 170: 서비스 센터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원 실행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사용자의 서비스 지원 욕구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업체 또는 통신제조업체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들의 개인적인 취향을 최대한 고려하여 새로운 디자인과 성능을 가지는 새로운 모델의 이동통신단말기들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욕구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외형(Form)은 패션 트렌드(trend)에 따라 소형화, 슬림화와 같은 디자인으로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 기능은 실제 내부에 구비된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더불어 새로운 게임 기능 추가,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여 다수의 사용자와의 게임을 시도하는 온라인 게임, 온라인 TV 시청과 같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지원에 따른 다양한 기술이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 기능 중에서 mp3 기능과 같은 음악 서비스기능은 기본적인 서비스 욕구에 대응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악 지원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그리고, 더 나은 기능에 따른 서비스 욕구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라 할 수 있다.
이에, 이동통신단말기에 서비스를 지원하는 통신 서비스 업체 및 부가 서비스 업체들은 음원 데이터 보급에 따른 다양한 사업 방안들을 제안하고 있다. 일 예로, 온라인 상으로 음악 상점을 제안하고, 자사 또는 타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재생 가능한 음원을 손쉽게 제공하는 방법들이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특정 음원을 실행시키려고 할 때, 해당 음원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되지 않는 경우, '지원하지 않는 형식'이라는 메시지를 표시하면서 실행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지원되지 않는 음원으로 인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는 음악 서비스 지원에 따른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감수해야 하는 실정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특정 포맷의 음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 음원 실행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특정 음원의 실행을 요청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특정 음원의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통신망을 통해 음원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는 음원 서버에 자동 접속하는 무선 송수신부; 상기 음원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특정 포맷의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기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선택된 특정 포맷을 갖는 음원 데이터를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하여 다운로드 받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상기 특정 포맷을 갖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전송 방법은 특정 포맷을 가지는 음원의 실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음원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음원일 경우,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음원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는 음원 서버에 자동 접속하는 단계; 상기 음원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된 특정 포맷 음원에 대응하는 다수의 음원 데이터들을 제공받고, 상기 다수의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특정 음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상기 음원 서버로부터 자동으로 다운로드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전송 방법은 상기 음원 서버로부터 제공된 다수의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요청된 특정 포맷의 음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정 음원의 존재 여부에 따른 상태를 서비스 센터에 자동으로 보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로 음원 데이터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원 전송 시스템은 음원 데이터 제작업자 또는 멀티미디어 방송에 따라 방송용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에 의해 제작되거나, 인터넷 서비스 업체를 통해 제작된 다수의 음원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음원 서버(160)를 포함한다.
또한, 통상의 유선통신접속네트워크(일 예로, 공중전화망,PSTN)(124)를 이용하거나, 무선통신접속에 따른 인터넷(140)을 통해 상기 음원 서버(16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서버(150)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타 이동통신단말 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자원 할당 및 호 제어를 수행하는 무선통신접속네트워크(예를 들면,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TS)이나,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BSC))로 구성된 이동망(122)과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교환국(132)을 이용하여 상기 음원 서버(160)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100)와, 상기 무선통신접속네트워크(122)를 통해 상기 음원 서버(160)의 음원 데이터를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거나, 해당 음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과 같은 상태를 서비스 센터(170)에 보고하는 단문 서비스 센터(13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음원 서버(160)는 다수의 음원 데이터 서비스 업체 및 통신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해 제작된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인터넷서버(150)를 통해 제작된 다수의 음원 데이터들을 변환 및 압축하여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음원 서버(160)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접속에 따라 해당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를 압축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하여금 요청된 음원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음원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음색으로 구성되며, 상기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는 복수 개의 패킷에 분할하여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인터넷(140)과, 상기 인터넷(140)과 연결된 인터넷 서버(150)를 통해 상기 음원 서버(160)에 접속이 가능하다. 상기 인터넷 서버(150)를 통해 음원 서버(160)와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즉,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상기 음원 서버(160)에 접속하고, 해당 음원을 검색하고 다운로딩 할 수 있다.
통신접속네트워크(120)는 이동망(기지국(BTS))(122)과 상위 네트워크인 이동 교환국(MSC)(132)을 포함하며, 이동통신단말기(100)간 무선 통신 경로를 설정하거나, 공중교환전화망(PSTN)(124)과 이동교환국(MSC)(132)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경로를 설정한다.
상기 단문 서비스 센터(134)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요청한 특정 음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단문 메시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전송하거나, 또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됨을 서비스 센터(170)에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단문 서비스 센터(134)는 상기 음원 서버(160)와 접속 가능하며, 상기 음원 서버가 상기 요청된 특정 음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상기 서비스 센터(170)에 직접적으로 보고할 수도 있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각각 상기 음원 서버(160)에 접속하여 상기 음원 데이터를 실시간 샘플 플레이를 수행하거나, 또는 별도의 키 입력없이 상기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들을 다운로딩 받아 임시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듀플렉서(101), 송신부(102), 수신부(103), 오디오부(104), 제어부(105), 입력부(106), 메모리(107), 표시부(108), 음원데이터 인터페이스부(109), 및 음원데이터 변환부(110)를 포함한다.
듀플렉서(101)는 안테나(ANT)를 통해 통신접속네트워크(120)와 통신을 수행 하여 송신부(102)로부터의 신호가 안테나(ANT)를 통해 상기 통신접속네트워크(120) 내의 기지국(BTS, 도시하지 않음)으로 송신되도록 하고, 안테나(ANT)를 통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가 수신부(103)로 수신되도록 한다.
즉, 송신부(102)와 수신부(103)는 무선 처리부로 하나의 칩으로 구성가능하다. 상기 송신부(102)와 수신부(103)는 제어부(105)에 의해 제어되며, 듀플렉서(101)를 통해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오디오부(104)는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제어되며,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부(103)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SPK)에 음성신호로 송출한다.
입력부(106)는 숫자키, 문자키, 음원 데이터 실행키(음원 데이터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단축키)와 같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표시부(108)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특정 음원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 소정의 키입력이 존재하는 경우, 이에 해당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05)로 출력한다.
메모리(107)는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들이 저장되고, 프로그램 수행중에 입, 출력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 즉,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 내에 기 저장된 음원 데이터들과, 또는 음원 서버(160)를 통해 자동으로 다운로딩된 음원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108)는 제어부(105)에 의해 제어되며, 입력부(106)에서 발생되는 키입력 신호 및 제어부(105)로부터의 음원 데이터 또는 실행되는 음원 데이터, 실행 가능한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를 포함한 각종 정보신호를 디스플레이한다.
음원데이터 인터페이스부(109)는 음원 서버(160)로부터 다운로딩된 특정 음원 데이터들을 제어부(105)의 제어에 의해 정해진 형태에 따라 메모리(107)에 저장하거나, 메모리(107)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들을 독출하여 실행하도록 연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음원데이터 인터페이스부(109)는 특정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 리스트를 임시 저장하여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08)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즉, 음원 서버(160)로부터 다운로딩되어 메모리(107)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출력하여 실행한다.
음원데이터 변환부(110)는 다른 확장자 명을 가지는 음원 데이터를 'MP3'와 같은 확장자를 가지는 음원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제어부(105)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음원데이터 인터페이스부(109)를 통하여 수신한 음원 데이터가 음원데이터 변환부(110)에서 다른 확장자를 가지는 음원데이터로 변환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음원데이터 인터페이스부(109)로부터 특정 음원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메모리(107)에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해당 특정 음원을 독출하거나,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가 음원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음원을 실행시킬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망 또는 PSTN를 통해, 지원하는 동일한 음원을 음원 서버에서 검색하여 다운로딩 가능하다.
먼저, 단계 S201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1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음원들을 확인하고, 실행시키고자 하는 특정 음원을 선택한다. 이어서, 단계 S203에서 사용자는 실행 버튼을 누름으로써 선택된 음원을 실행한다.
단계 S205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실행 요청된 음원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한다. 선택된 음원이 실행됨을 확인하면, 단계 S207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해당 음원을 플레이한다.
반면에, 상기 선택된 음원이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지원하지 않는 음원인 경우, 지원하는 동일한 음원을 찾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해 음원 서버(160)에 접속한다(S209).
보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음악 파일이 실행 불가능함을 인지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별도의 키 입력없이(사용자로 하여금 부가적으로 키를 누르거나, 상기 음원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특정 키를 누르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동망 또는 PSTN망을 통해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음원 서버(160)에 자동 접속한다. 상기 음원 서버(160)는 다수의 음원 데이터들 및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 서버이다.
단계 S211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대응하는 음원을 찾는 방법은 문자 매칭 방법 또는 유사한 음원들을 선택 가능할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접속에 따라 대응하는 음원 서버(160)는 다수의 음원 데이터들을 독출한다. 음원 서버(160)로부터 독출된 음원 데이터들은 리스트 형태로 또는 단문 메시지 형태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자동으로 다운로딩된다.
즉, 본 발명에서 음원 서버(160)는 상기 요청된 음원 데이터에 대응하는 다수의 음원 데이터들을 리스트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로 하여금 선택된 음악 파일을 실행하도록 다수의 음원 데이터 리스트를 제공한다.
그 후, 다운로딩된 음원 데이터 리스트에서 원하는 음원 데이터를 확인한다. 일 예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mp3 포맷만을 지원하는 단말 장치인 경우, 음원 서버(160)는 mp3 파일을 확장자로 가지는 파일들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한다. 즉, 음원 서버(16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요청한 특정 음원에 대응하여, 지원 가능한 포맷의 파일들을 리스트 형태로 다운로드 제공 가능하다. 또한 지원 가능한 포맷의 파일들의 리스트는 다른 음원 소스 또는 다른 카테코리(일 예로, 발라드, 락, 디스코와 같은 음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리스트로 제공 가능하다.
단계 S213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원하는 음원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즉, 대응하는 음원이 있으면, 단계 S215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해당 음원 데이터가 자동으로 다운로드된다. 그 후,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별도의 키 입력없이 선택된 음원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즉, 단계 S217단계에서 상기 다운로딩된 음원 데이터는 자동 실행된다.
반면에, 상기 단계 S213에서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없으면, 단계 S219로 진행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0)는 선택된 음악 파일을 실행할 수 없음을 서비스 센터에 자동 등록한다. 이와 달리, 상기 음원 서버(160)가 상기 대응되는 음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상기 서비스 센터(170)에 보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센터(170)에 자동 등록된 상태는 단문 메시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통보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문제점 등록이 이루어진 결과의 일 예로, "음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이 서비스 센터에 보고되었습니다."와 같은 단문 메시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음원을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해 준다. 즉, 음원 서버(160)는 기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음원 데이터 리스트 형태 중에서 특정 음원 포맷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다운로딩 제공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로 하여금 별도의 키 입력없이 해당 음원을 지원하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의 사용자 편리성을 만족시킨다. 또한, 존재하지 않는 음원에 대한 오류 보고를 자동적으로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리성을 최대로 유지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음원 서버가 음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301에서 음원 서버(160)는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접속이 이루어짐을 인지한다.
단계 S303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음원 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존재함을 확인하면, 단계 S305에서 음원 서버(160)는 자신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음원 데이터들을 검색한다. 이때, 음원 서버(160)는 기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음원 데이터들을 특정 음원 포맷을 지원하는 리스트 형태로 구별하여 저장 가능하다.
일 예로, 음원 서버(160)는 mp3 포맷, ogg 포맷과 같이 상이한 파일 확장자 별로 그룹화하여 음원 데이터를 구별하여 저장 가능하다. 또한, 음원 서버(160)는 음원 데이터들이 생성된 날짜별, 곡명별, 가수별, 앨범별, 또는 사용된 음색(음악 소스)별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성하여 카테고리 별로 저장 가능하다.
단계 S307에서 음원 서버(160)는 상기 다수의 음원 데이터들 중에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의해 요청된 즉,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이 지원 가능한 음원 포맷의 음원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들을 리스트 형태로 다운로딩 시킨다. 즉, 음원 서버(160)는 요청된 상기 음원 데이터를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자동 다운로드하여 전송한다.
그 후, 상기 전송된 음원 데이터 리스트 중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의해 특정 음원 데이터가 선택되었는지 확인한다.
단계 S309에서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 또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의해 요청된 전송하고자 하는 타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확인한다. 단계 S311에서 상기 확인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화 번호로 상기 음원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면에, 특정 음원 데이터가 선택되지 않음을 확인한 음원 서버(160)는, 이러한 상태를 서비스 센터(170)에 보고한다. 즉, 음원 서버(160)는 상기 이동통신단 말기(100)가 요청한 특정 음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을 서비스 센터(170)에 보고한다. 이 때, 음원 서버(16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로 해당 음원이 존재하지 않음을 별도의 문자 메시지를 통해 통보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는 별도의 키 입력이 없이 지원 가능한 포맷의 특정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므로, 별도의 키 입력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서비스 이용의 편리성을 가진다. 또한, 해당 음원이 존재하지 않음을 서비스 센터에 자동 오류 보고하게 되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 분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음원 서버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특정 음원 데이터를 전송하고, 재생 가능하도록 하게 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부가 서비스 특히 음악 서비스에 따른 욕구를 충족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음원 서버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의 별도의 키 입력없이 자동으 로 요청된 음원 데이터를 전송함에 따라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편리성을 제공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요청된 특정 음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러한 상태를 서비스 센터에 자동 보고함으로, 사용자에 의해 별도의 보고 절차를 수행하지 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는 곧 별도의 메시지 작성 또는 키 입력을 수행하지 않음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 시간을 증대시키는 전력 소모 측면에서도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다양한 포맷의 음원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들 중 특정 포맷을 갖는 음원의 실행을 요청하기 위한 입력부;
    네트워크를 통해 음원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실행 요청된 상기 음원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가능하지 않은 음원인 경우,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음원 서버에 자동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실행 요청된 음원과 대응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가능한 포맷의 음원 파일이 상기 음원 서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음원 파일을 다운로드한 후, 자동으로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음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상기 음원 파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원 실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포맷의 음원의 실행이 요청되는 단계;
    상기 입력부로부터 실행 요청된 상기 음원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가능하지 않은 음원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외부 음원 서버에 자동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실행 요청된 음원과 대응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지원가능한 포맷의 음원 파일이 상기 외부 음원 서버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외부 음원 서버로부터 상기 음원 파일을 다운로드받은 후, 자동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원 실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음원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음원 파일 중에서 요청된 특정 포맷의 음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특정 포맷의 음원이 존재하지 않음을 서비스 센터에 자동으로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원 실행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포맷은 이동통신단말기가 지원 가능한 음원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음원 실행 방법.
KR1020060085513A 2006-09-06 2006-09-06 음원 실행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0844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513A KR100844813B1 (ko) 2006-09-06 2006-09-06 음원 실행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513A KR100844813B1 (ko) 2006-09-06 2006-09-06 음원 실행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280A KR20080022280A (ko) 2008-03-11
KR100844813B1 true KR100844813B1 (ko) 2008-07-09

Family

ID=39396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513A KR100844813B1 (ko) 2006-09-06 2006-09-06 음원 실행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8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020A (ja) * 1999-08-20 2001-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装置
KR20010079376A (ko) * 2001-07-10 2001-08-22 이동걸 벨소리 통합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방법
KR20060049084A (ko) * 2004-10-21 2006-05-18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음악 제공 시스템, 멜로디 재생 제어 서버, 음악 제공 방법및 음악 제공용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020A (ja) * 1999-08-20 2001-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装置
KR20010079376A (ko) * 2001-07-10 2001-08-22 이동걸 벨소리 통합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방법
KR20060049084A (ko) * 2004-10-21 2006-05-18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음악 제공 시스템, 멜로디 재생 제어 서버, 음악 제공 방법및 음악 제공용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2280A (ko) 2008-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1599B2 (en) Method and device with intelligent media management
US80782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ssages in an idle state of mobile terminal, driving an application for an idle state in a mobile terminal and providing idle state contents for a mobile terminal
WO200608069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laying and updating multimedia content and method of playing the same
CN101755439A (zh) 移动终端和程序
KR20100014821A (ko) 음악 인식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0712228B1 (ko)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dmb/이동통신망 연동 플랫폼과,그를 이용한 dmb/이동통신망 통합 수신 단말 및 그 방법
JP2005530455A (ja) ユーザが通信デバイス電話会議中に一時保留状態にある間での補助情報伝送
RU2411664C2 (ru) Идентификация вещательных каналов
JP5135042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端末
KR100844813B1 (ko) 음원 실행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2206426B1 (ko) 사용자 기기의 도움말 제공 방법 및 그에 관한 장치
US20080234007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backgroud picture during communication
KR100846101B1 (ko) 실시간 drm 컨텐츠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휴대 단말기
US20090285132A1 (en) Computer system having handsfree function of internet phone
KR100819681B1 (ko) 문자열 입력을 통한 기능 제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MX2007011060A (es) Sistema y metodo de sonido de fondo como elemento de interfaz de usuario.
KR100726079B1 (ko) 휴대폰에서 정보수집 서비스 방법
KR100680041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85635B1 (ko) 통신망을 통한 내부 기능 제어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KR20040103069A (ko) 콘텐츠 제공 서버의 무선 콘텐츠 다운로드 서비스 방법,무선 콘텐츠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콘텐츠 다운로드 서비스방법
JP2005300863A (ja) 移動体通信端末及びカラオケシステム
KR100540215B1 (ko) 버튼별 음원재생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별 음원재생 방법
KR100611116B1 (ko) 방송 중에 재생되는 음원을 컨텐츠 서비스 음원으로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4086705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データ作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データ作成方法
JP4657647B2 (ja) 移動体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