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493B1 -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493B1
KR100844493B1 KR1020070002780A KR20070002780A KR100844493B1 KR 100844493 B1 KR100844493 B1 KR 100844493B1 KR 1020070002780 A KR1020070002780 A KR 1020070002780A KR 20070002780 A KR20070002780 A KR 20070002780A KR 100844493 B1 KR100844493 B1 KR 10084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angle
rotation
detecting
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화
류정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493B1/ko
Priority to US11/972,358 priority patent/US2008016526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판형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몸체의 일 측면을 관통하는 편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연결되는 판형의 제2 몸체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는 것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및 상기 회전각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하는 몸체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조작 장치를 제공하고, 이에 따른 조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회전에 따른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 힌지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및 장치{Method of manipulating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2 몸체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제2 몸체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회전의 감지에 따른 기능과의 매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회전 가능한 몸체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 그 몸체의 회전을 통해 휴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 단말기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휴대폰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시청 기능(예컨대 DMB나 DVB와 같은 이동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 사진 촬영 기능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 기능의 다양화와 함께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위한 메뉴와 각 메뉴에 따른 다양한 콘텐츠(예컨대, DMB의 다양한 채널 등)를 제공하 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는 그 메뉴 및 콘텐츠의 선택을 위하여 방향키를 반복해서 여러 번 누르는 행위를 거쳐야만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부가 기능으로 카메라 기능 중 프리뷰 모드에서 피사체의 구도를 잡기 위해 미세한 조절이 요구되는 메뉴가 많으나,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키 등으로는 이를 수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몸체의 회전에 따라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조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목록 또는 기능 선택 시 그들의 상한과 하한의 선택 범위가 큰 경우, 휴대 단말기의 회전에 따라 그 선택을 위한 이동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조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한 조절이 필요한 메뉴인 경우, 휴대 단말기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의 직관에 의해 메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조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조작 장치는, 판형의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몸체의 일 측면을 관통하는 편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연결되는 판형의 제2 몸체;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회전각을 선형적으로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및 상기 회전각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각과 더불어 키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회전한 몸체의 회전 방향을 더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회전한 몸체의 처음 위치에서 나중 위치의 변위를 상기 회전각으로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감지부는 회전각을 감지하여 정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감지부는 회전각을 선형적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은, 판형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몸체의 일 측면을 관통하는 편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연결되는 판형의 제2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에 있어서, 특정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휴대 단말기 특정 기능에 대응되도록 회전각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각과 더불어 선택적으로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키 입력 및 회전각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각을 감지하는 과정은 회전 방향을 더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각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회전한 몸체의 처음 위치에서 나중 위치의 변위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각을 감지하는 것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에 대응되도록 일정 범위의 수로 정규화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은, 판형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몸체의 일 측면을 관통하는 편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연결되는 판형의 제2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시청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회전한 몸체의 회전각 및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키 입력이 위 방향키인 경우 상기 회전각에 따라 채널이 증가되고, 상기 키 입력이 아래 방향인 경우 상기 회전각에 따라 채널이 감소되도록 방송 채널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각은 상기 디지털 방송의 채널 수에 대응하도록 정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키 입력이 위 방향키인 경우, 상기 회전각에 따라 채널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키 입력이 아래 방향키인 경우, 상기 회전각에 따라 채널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이 리셋 키인 경우, 채널을 처음 채널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은, 판형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몸체의 일 측면을 관통하는 편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연결되는 판형의 제2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기능의 프리뷰 화면 모드에서 상기 몸체의 어느 하나 이상의 몸체의 회전각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각 및 회전 방향에 따라 프리뷰 화면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각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의 렌즈의 배율에 선형적으로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각 및 회전 방향에 따라 프리뷰 화면을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회전 방향이 앞인 경우, 상기 회전각에 따라 프리뷰 화면을 줌 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회전 방향이 뒤인 경우, 상기 회전각에 따라 프리뷰 화면을 줌 아웃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은, 판형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몸체의 일 측면을 관통하는 편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연결되는 판형의 제2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조작 방법에 있어서, 메인 메뉴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에 커서를 위치시켜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회전한 몸체의 회전각 및 방향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각 및 방향키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커서가 이동한 메뉴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방향키가 위 방향인 경우, 회전각에 따라 커서를 위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방향키가 아래 방향인 경우, 회전각에 따라 커서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키가 왼쪽 방향인 경우, 회전각에 따라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키가 오른쪽 방향인 경우, 회전각에 따라 커서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활성화된 메뉴의 선택 키 입력 감지 시, 상기 메뉴를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정상상태"라는 용어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체결된 상태를 의미하고, "회전상태"라는 용어는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제2 몸체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제2 몸체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제1 몸체(102)와 제2 몸체(104)가 연결된 바형(bar type)의 휴대 단말기로서, 제1 몸체(102)와 제2 몸체(104)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모듈(1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몸체(102)는 그 전면과 후면에 각각 표시부(120, 130)와 스피커(181, 191)를 구비한다. 제2 몸체(104)는 그 전면과 후면에 각각 입력부(140, 150)와 마이크(183, 193)를 구비한다. 그리고 힌지 모듈(106)은 제1 몸체(102)와 제2 몸체(104)의 마주보는 양측면의 일측에 수직으로 관통하게 설치되어 제1 및 제2 몸체(102, 104)가 힌지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몸체(102)의 양면 표시부(120, 1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 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면에 장착된 제1 표시부(120)는 후면에 장착된 제2 표시부(130)보다 상대적으로 화면 크기가 크고 해상도가 우수하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120)는 대형 QVGA(quarter video graphics array) LCD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표시부(130)는 소형 QCIF(quarter common intermediate format) LCD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면 표시부(120, 130)가 동일한 크기와 해상도를 가지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과 후면은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구분한 것이다.
제1 표시부(120)는 멀티미디어 기능의 수행화면을 표시하는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표시부(130)는 통신 기능과 같은 일반적 기능의 수행화면을 표시하는 통신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화면을 표시할 때, 제1 표시부(120)는 도 1과 같이 가로 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표시부(130)는 도 2와 같이 세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면 표시부(120, 130)가 반드시 이러한 모드 구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면 표시부(120, 130)의 화면은 동시에 켜지지 않도록 제어된다. 다시 말해, 한쪽 표시부가 켜지면 반대쪽 표시부는 꺼지도록 제어된다.
제1 몸체(102)의 양면 스피커(181, 191)는 제1 표시부(120)와 동일면에 설치되는 제1 스피커(181)와, 제2 표시부(130)와 동일면에 설치되는 제2 스피커(19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양면 스피커(181, 191)는 제2 몸체(104)에서 먼 쪽에 설치된다.
제2 몸체(104)의 양면 입력부(140, 150)는, 휴대 단말기(100)가 정상상태일 때, 전면에 설치된 제1 입력부(140)와, 후면에 설치된 제2 입력부(150)를 구비하며, 측면에도 다수개의 입력 버튼으로 구성된 제 3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부(140)는 터치패드(touchpad)이고, 제2 입력부(145)는 키패드(keypad)이다. 제1 입력부(140)의 터치패드는 예컨대 모두 12개의 터치 버튼으로 구성된다. 터치 버튼은 4방향 버튼, 메뉴 버튼, 취소 버튼, 확인 버튼, 사업자전용 버튼 등이다. 제2 입력부(150)의 키패드는 예컨대 3ㅧ4 문자숫자키, 4방향 검색키, 각종 기능키로 구성된다.
제2 몸체(104)의 양면 마이크(183, 193)는 제1 입력부(140)와 동일면에 설치되는 제1 마이크(183)와, 제2 입력부(150)와 동일면에 설치되는 제2 마이크(1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양면 마이크(183, 193)는 제1 몸체(102)에서 먼 쪽에 설치된다.
그리고 힌지 모듈(106)은 제1 몸체(102)와 제2 몸체(104)가 접하는 경계면에 각각 결합된다. 힌지 모듈(106)의 구동원은 제1 몸체(102) 또는 제2 몸체(104)의 회전 동작을 수동,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수동 또는 반자동인 경우, 힌지 모듈(106)은 제1 몸체(102)에 대해서 제2 몸체(104)가 일정 각도로 회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일정 각도는 0 도, 30 도 내지 45 도, 180 도일 수 있다. 여기서, 0 도는 정상상태를 의미하고, 나머지는 회전상태를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는 정상상태를 나타내고, 도 3 및 도 4는 회전상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술한 회전 상태를 유지하 는 일정 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자동인 경우는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서 제1 몸체(102)에 대해서 제2 몸체(104)가 회전되면, 힌지 모듈(106)은 그 회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몸체(102, 104)가 정상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힌지 모듈(106)의 반대편에 로킹 모듈(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도 1 및 도 2의 정상상태에서 도 3 및 도 4의 회전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물론 반대로 회전상태에서 정상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제1 및 제2 표시부(120, 130), 제1 및 제2 입력부(140, 150), 저장부(160), 회전 감지부(170), 디지털 방송 수신부(180) 카메라부(190) 및 RF통신부(200)을 구비한다.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하나 또는 두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으로 구성된다. 제어부(110)가 두 개의 칩으로 이루어질 경우, 그 중 하나는 멀티미디어 전용 제어 칩이다. 특히, 제어부(110)는 양면 스피커와 양면 마이크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및 제2 표시부(120, 130)는 각각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 및 기능 수행과 관련된 각종 영상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제1 및 제2 표시부(120, 130)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되어 영상 정보를 표시한다.
제1 및 제2 입력부(140, 150)는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저장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회전 감지부(170)는 제1 몸체(102)와 제2 몸체(104)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전송한다. 여기서, 회전은 회전각 및 회전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회전 감지부(170)는 회전각 및 회전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100)는 제1 몸체(102) 또는 제2 몸체(104)가 체결된 상태에서 해제되어 회전하는 경우, 회전각 및 회전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여 그 회전 각 및 방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실행은 키 입력과 더불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몸체(102) 또는 제2 몸체(104)의 체결 및 해제 상태를 감지하며, 힌지 모듈의 회전각 및 회전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다. 회전 감지부(170)는 이러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회전각, 회전 방향, 체결 및 해제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1 몸체(102) 및 제2 몸체(104)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재 활성화된 표시부를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1 몸체(102)를 지지하고 제2 몸체(104)를 회전시킴이 바람직하다. 이하로는 특별한 설명이 없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몸체(102, 104)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가 회전하는 것을 통칭하여 '몸체의 회전' 또는 '회전'이라고 하기로 한다.
디지털방송수신부(180)는 디지털 방송수신기가 될 수 있으며, DMB(digital media broadcas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미디어 플로(medial FLO) 등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지털방송수신부(180)는 내부에 튜너, 복조기 및 복호기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튜너, 복조기로만 구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복호 기능은 제어부(110)가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부(190)는 센서 및 영상 처리 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센서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영상 처리 기능은 제어부(110)가 수행할 수 있다.
RF 통신부(200)는 RF 송신 및 수신기, 모뎀(MODEM), 코덱(CODEC)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RF 송신 및 수신기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제어부(100)가 모뎀 및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로는 상기한 구성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회전에 따른 기능과의 매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회전의 감지에 따른 기능과의 매핑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1 몸체(102)에 대해서 제2 몸체(104)가 회전하는 것을 통해 입력 기능을 수행한다. 즉, 몸체의 회전이 입력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에 따른 입력 기능의 몇 가지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서 제1 몸체(102)에 대해서 제2 몸체(104)가 회전하면, 회전 감지부(170)는 회전각의 특정 범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감지한 내용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회전 감지부(170)는 회전각을 감지하여 회전 상태를 각 구간(A, B, C 및 D) 별로 구분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일정 범위의 회전각을 각 구간 별로 구분하는 것을 정규화(normalized)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특히 이러한 정규화된 회전각은, 도 7a의 그래프와 같이, 계단 함수(step fuction)에 따라 특정 기능과 매핑(mapping)된다. 예컨대, 회전각은 4개의 인덱스(index)를 가지는 메뉴에 매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회전각의 범위에 따라 4 단계의 입력 기능을 수행하여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기능은 선택할 인덱스가 많은 경우에 유용하다. 예컨대, 디지털 방송의 서비스 채널의 수가 100 가지인 경우, 사용자는 회전을 통해 넓은 범위의 채널을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각의 정규화에 따른 입력 기능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하기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서 제1 몸체(102)에 대해서 제2 몸체(104)가 회전하면, 회전 감지부(170)는 회전각을 선형(linear)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감지한 내용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회전 감지부(170)는 회전 상태를 도 7b의 그래프와 같이, 선형적으로 특정 기능과 매핑(mapping)할 수 있다. 특히, 회전 감지부(170)는 미세한 조절이 필요한 성질의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의 줌 인/아웃 등의 배율 조정, 화면 밝기 조정, 빛에 대한 감도, 조리개의 넓이 등의 미세한 조절에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각의 선형성에 따른 입력 기능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하기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두 가지 실시 예에서는 채결 상태를 기준으로 회전 상태로 변한 후에 회전각을 감지하는 것처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회전각을 감지함에 있어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회전 감지부(170)가 회전각을 감지하는 것은 어느 하나의 몸체가 회전하면 처음 위치에서 나중 위치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감지부(170)는 필요한 경우 회전각 및 회전 방향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채널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디지털 방송의 서비스 채널의 수와 같이 조절하고 자 하는 것이 특정수로 정해져있는 경우, 서비스 채널의 수에 대응하여 회전각을 정규화(normalized)한다. 이러한 정규화는 도 7a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회전각에 따른 채널의 증감을 계단 함수(step fuction)와 같이 매핑(mapping)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의 서비스 채널의 수를 60개라고 가정하고, 하나의 채널당 3도를 할당하였다고 가정하면, 몸체가 1도 또는 2도 회전하면 채널은 증가하지 않으며, 3도 이상 회전하였을 때, 비로소 채널이 하나 증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S801 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재생 중에 있다. 디지털 방송의 재생은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메뉴를 선택하면 소정의 로딩 시간을 거쳐 바로 재생됨이 일반적이며, 단축키를 사용하였을 때도 이와 같다. 여기서, 사용자는 현재 10번 채널을 시청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방향키를 누르고, 몸체를 회전시키면, 제어부(110)는 S803 단계에서 회전감지부(170)를 통해 회전각을 감지하고, S805 단계에서 방향키의 방향을 감지한다. 이때, 회전각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몸체를 회전시키지 않고 리셋(reset)키를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S813 단계에서 이를 감지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의 감지 결과 아래 방향키이면, 제어부(110)는 S807 단계에서 회전각에 대응하여 채널을 감소시켜, S811 단계에서 감소된 채널의 방송을 제1 표시부(120)를 통해 재생한다. 여기서, 몸체가 10도 회전하였다고 가정하면, 7번 채널을 재생한다. 한편, S805 단계에서의 감지 결과 위 방향키이면, 제어부(110)는 S809 단계에서 회전각에 대응하여 채널을 증가시켜, S811 단계에서 감소된 채널의 방송을 제1 표시부(120)를 통해 재생한다. 여기서, 몸체가 20도 회전하였다고 가정하면, 16번 채널을 재생한다.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 시청 중에 리셋 키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S813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815 단계에서 1번 채널로 변경하고, S811 단계로 진행하여 1번 채널을 방송한다. 여기서 리셋 키는 사용하지 않는 어느 하나의 키를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리셋 키의 할당은 디지털 방송의 서비스 채널의 수가 많은 경우 낮은 번호의 채널로 되돌리는 작업을 빨리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회전각을 정규화하여 회전각에 대응하는 채널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채널의 검색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몸체가 회전하고, 좌 또는 우 방향키를 감지하여, 디지털 방송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하로는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에서 몸체의 회전을 이용하여 줌 인/아웃(Zoom in/out)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메라의 줌인 등의 기능은 앞선 실시 예에서의 채널의 수와는 달리 정규화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또한, 줌인 등은 사용자가 주관에 따라 미세한 조 절을 원하므로, 도 7b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회전각에 따라 카메라 기능의 렌즈의 배율에 선형(linear)적으로 대응하도록 그 줌인 등을 그대로 화면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회전각에 따라 선형성을 갖도록 줌인 등을 실행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 모드에 있다고 가정한다. 카메라 모드의 진입은 메뉴의 여러 단계를 거치거나, 단축키를 사용하여 진입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S901 단계에서 제1 표시부(120)를 통해 프리뷰(preview) 화면을 표시한다. 프리뷰 화면에서 사용자는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대한 구도를 잡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사체에 대한 구도를 잡기 위하여 줌 인/아웃 등의 기능을 주로 사용한다.
이때,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몸체가 회전하면, 제어부(110)는 S903 단계에서 회전감지부(17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S905 단계에서 회전감지부(170)를 통해 회전 방향이 앞인지 뒤인지 감지한다. S905 단계의 감지 결과 회전의 방향이 앞이면, 제어부(110)는 S907 단계에서 회전각만큼 줌 인하여, 이를 반영한 화면을 S901 단계의 프리뷰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S905 단계의 감지 결과 회전의 방향이 뒤이면, 제어부(110)는 S909 단계에서 회전각만큼 줌 아웃하여, 이를 반영한 화면을 S901 단계의 프리뷰 화면에 표시한다. S903 내지 S909 단계에서 사용자는 몸체를 앞 또는 뒤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 인/아웃을 통해 프리뷰 화면의 구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한 조절이나, 직관적인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S903 단계에서 회전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110)는 S911 단계로 진행한다. 즉, 사용자가 프리뷰 화면에서 촬영키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10)는 S911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913 단계에서 카메라부(190)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10)는 S915 단계에서 촬영한 영상을 제1 표시부(120)를 통해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고 싶은 경우 저장키를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S917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919 단계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줌 인/아웃 등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을 화면 밝기 조정, 조리개 크기 조정 등의 미세한 조절이 필요한 성질의 것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로는 메인 메뉴 화면에서 몸체의 회전 및 방향 키 입력을 통해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S1001 단계에서 메인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메인 메뉴 화면은 메뉴의 최상위 뎁스(depth)에 해당하는 화면이다. 메인 메뉴 화면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최근에 선택한 메뉴에 커서가 위치하며 커서가 위치한 곳이 활성화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방향키가 입력되고 몸체가 회전하면, 제어부(110)는 S1003 단계에서 회전 감지부(17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S1005 단계에 서 방향키 및 회전각에 따라 커서를 이동시킨다. 이어서, 제어부(110)는 S1007 단계에서 커서가 위치한 곳의 메뉴를 활성화시킨다.
만일, S1003 단계에서 위 방향키를 감지하면, 제어부(110)는 S1005 단계에서 커서를 위 방향으로 회전각에 따라 이동시킨다. 한편, S1003 단계에서 아래 방향키를 감지하면, 제어부(110)는 S1005 단계에서 커서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각에 따라 이동시킨다. 한편, S1003 단계에서 좌 방향키를 감지하면, 제어부(110)는 S1005 단계에서 커서를 좌 방향으로 회전각에 따라 이동시킨다. 한편, S1003 단계에서 우 방향키를 감지하면, 제어부(110)는 S1005 단계에서 커서를 우 방향으로 회전각만큼 이동시킨다. 여기서, 회전각은 도 6a 및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정규화하여 감지하고, 커서의 이동도 이에 따라 행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S1003 및 S1005 단계의 과정을 통해 소망하는 메뉴를 활성화시킨 후에 선택키 또는 확인 키 등을 이용하여 해당 메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활성화된 메뉴를 선택하는 선택 키 등의 입력이 있으면, 제어부(110)는 S1009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S1011 단계에서 선택한 메뉴를 실행시킨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몸체의 회전에 따라 그 휴대 단말기의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특정 목록 또는 기능 선택 시, 그 상한과 하한의 선택 범위가 큰 경우, 몸체의 회전을 통해 그 선택을 위한 이동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미세한 조절이 필요한 메뉴인 경우, 몸체의 회전을 통한 사용자의 직관에 의해 메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여 사용을 늘리는 이점이 있다.

Claims (26)

  1. 휴대 단말기 조작 장치에 있어서,
    판형의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몸체의 일 측면을 관통하는 편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연결되는 판형의 제2 몸체;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회전각을 선형적으로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및
    상기 회전각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각과 더불어 키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회전한 몸체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감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회전한 몸체의 처음 위치에서 나중 위치의 변위를 상기 회전각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감지부는
    회전각을 감지하여 정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장치.
  6. 삭제
  7. 판형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몸체의 일 측면을 관통하는 편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연결되는 판형의 제2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에 있어서,
    특정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에 선형적으로 대응되도록 회전각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각과 더불어 선택적으로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키 입력 및 회전각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을 감지하는 과정은,
    회전 방향을 더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회전한 몸체의 처음 위치에서 나중 위치의 변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을 감지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특정 기능에 대응되도록 일정 범위의 수로 정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11. 삭제
  12. 판형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몸체의 일 측면을 관통하는 편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연결되는 판형의 제2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시청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회전한 몸체의 회전각 및 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키 입력이 위 방향키인 경우 상기 회전각에 따라 채널이 증가되고, 상기 키 입력이 아래 방향키인 경우 상기 회전각에 따라 채널이 감소되도록 방송 채널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은
    상기 디지털 방송의 채널 수에 대응하도록 정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키 입력이 리셋 키인 경우,
    채널을 처음 채널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17. 판형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몸체의 일 측면을 관통하는 편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연결되는 판형의 제2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기능의 프리뷰 화면 모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회전한 몸체의 회전각 및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각 및 회전 방향에 따라 프리뷰 화면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의 렌즈의 배율에 선형적으로 대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과정은,
    상기 회전 방향이 앞인 경우 상기 회전각에 따라 프리뷰 화면을 줌 인시키고, 상기 회전 방향이 뒤인 경우 상기 회전각에 따라 프리뷰 화면을 줌 아웃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20. 삭제
  21. 판형의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향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몸체의 일 측면을 관통하는 편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연결되는 판형의 제2 몸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에 있어서,
    메인 메뉴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에 커서를 위치시켜 활성화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회전한 몸체의 회전각 및 방향키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방향키가 위 방향인 경우 상기 회전각에 따라 커서를 위로 이동시키고, 상기 방향키가 아래 방향인 경우 회전각에 따라 커서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커서가 이동한 메뉴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22. 삭제
  23. 삭제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방향키가 왼쪽 방향인 경우 회전각에 따라 커서를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방향키가 오른쪽 방향인 경우 회전각에 따라 커서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25. 삭제
  26.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된 메뉴의 선택 키 입력 감지 시, 상기 메뉴를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KR1020070002780A 2007-01-10 2007-01-10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및 장치 KR10084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780A KR100844493B1 (ko) 2007-01-10 2007-01-10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및 장치
US11/972,358 US20080165269A1 (en) 2007-01-10 2008-01-10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780A KR100844493B1 (ko) 2007-01-10 2007-01-10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493B1 true KR100844493B1 (ko) 2008-07-08

Family

ID=3959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780A KR100844493B1 (ko) 2007-01-10 2007-01-10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165269A1 (ko)
KR (1) KR100844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776B1 (ko) * 2009-01-09 2015-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히는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JP4783470B1 (ja) * 2010-05-21 2011-09-28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8888100B2 (en) 2011-11-16 2014-11-18 Mattel, Inc. Electronic toy
US20140340300A1 (en) * 2013-05-17 2014-11-20 Rolocule Games Privat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using handheld device as wireless controller
KR102355935B1 (ko) * 2015-02-27 2022-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입력에 기반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DE112017001625B4 (de) * 2016-03-31 2021-06-24 Fujifilm Corporation Digitalkamera und Anzeigeverfahren für die Digitalkamer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427A (ko) * 2004-07-09 200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화면 자동 전환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화면 자동전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8272B1 (en) * 2000-04-28 2003-12-02 Motorola, Inc.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3244293A (ja) * 2002-02-14 2003-08-29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JP2004128909A (ja) * 2002-10-03 2004-04-22 Hitachi Ltd 携帯端末
US6839576B2 (en) * 2002-12-30 2005-01-04 Motorola, Inc. Multiple axis hinge assembly
KR100504143B1 (ko) * 2003-01-11 2005-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각도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4312476A (ja) * 2003-04-09 2004-11-04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KR100617681B1 (ko) * 2003-04-15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키 장치 사용 방법
KR100550907B1 (ko) * 2004-09-02 2006-02-1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의 렌즈 이송장치
US7808477B2 (en) * 2005-01-04 2010-10-05 Microsoft Corporation Scroll disc input apparatus for a data processing device
KR100566184B1 (ko) * 2005-04-22 2006-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이동통신단말기
KR100829111B1 (ko) * 2006-11-27 200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19880B1 (ko) * 2006-12-01 2008-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기능 실행 방법
KR100778024B1 (ko) * 2006-12-28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표시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양면 스피커와양면 마이크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427A (ko) * 2004-07-09 200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 화면 자동 전환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화면 자동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65269A1 (en)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2066B2 (en) Electronic device using auxiliary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782509B1 (ko) 이중 모드 양면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그표시부의 화면전환 방법
EP2237140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56537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844493B1 (ko) 휴대 단말기 조작 방법 및 장치
US20070085759A1 (en) Method for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s and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the same
US201100632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TWI418200B (zh) 行動式終端機與其螢幕顯示方法
KR100981200B1 (ko) 움직임 센서를 장착한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KR20100043476A (ko)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93327A (ko) 3개의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의 데이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2003131650A (ja) ポータブル・デジタル・デバイス
KR2012003429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KR2010013277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동작 입력 방법
KR100917527B1 (ko)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방법
US201101023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having object display dial
KR101398171B1 (ko) 이동 단말기
KR20100045434A (ko) 제스쳐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US8547361B2 (en) Input method and system using optical pointer for electronic device
JP3706701B2 (ja) 操作装置
JP5311084B2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情報選択方法
KR10153770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6303714A (ja) 携帯型画像表示機器及び画像表示装置を有するカメラ
KR20070037549A (ko) 다기능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입력방법
JP3157187U (ja) 電子機器用の一次元タッチパッ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