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384B1 - 아이피브이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이피브이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384B1
KR100844384B1 KR1020060119457A KR20060119457A KR100844384B1 KR 100844384 B1 KR100844384 B1 KR 100844384B1 KR 1020060119457 A KR1020060119457 A KR 1020060119457A KR 20060119457 A KR20060119457 A KR 20060119457A KR 100844384 B1 KR100844384 B1 KR 100844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ipv6
administrative
cent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9179A (ko
Inventor
이재영
김창환
김정호
이원석
조규흔
Original Assignee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정보사회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한국정보사회진흥원 filed Critical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9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384B1/ko
Publication of KR2008004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59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 add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청센터와 자치센터로 구성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본청센터는 ATM 스위치, 영상전송 서버, DVR 서버, 무인당직 서버, VoIPv6 교환기, VoIPv6 서비스부로 구성하고, 자치센터는 스위치, 스위치 허브,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무인당직 클라이언트,VoIPv6 서비스부, 긴급화상 민원서비스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기존의 네트워크 회선 사용을 최대화하여 주간에는 '행정방송 + VoIP' 서비스로 활용하고 야간과 휴일에는 '무인당직 + VoIP' 시스템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VoIP 서비스는 주간에 행정전화와 일반전화 용도로 사용하도록 하고 야간과 휴일에는 긴급 화상 민원과 무인당직 출동을 위한 전화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Figure R1020060119457
IPv6, VoIP, 행정 통합 서비스, 스위치, 영상전송, DVR

Description

아이피브이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for adminstration combination service by IPv6}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적용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영상전송 서비스를 위한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영상전송 서비스를 위한 다른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무인당직 서비스를 위한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무인당직 서비스를 위한 다른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를 위한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를 위한 다른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본청센터
110 : ATM 스위치
120 : 스위치 허브
130 : 영상전송 서버
140 : DVR 서버
150 : 무인당직 서버
160 : VoIPv6 교환기
161 : 미디어 게이트웨이
162 : 교환기
170 : VoIPv6 서비스부
191 : 해안 카메라
192 : 의회 카메라
200 : 자치센터
210 : 스위치
211 : 2계층 스위치
212 : 3계층 스위치
220 : 스위치 허브
230 :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231 : IP 영상전송 TV
240 : 무인당직 클라이언트
241 : 무인당직 카메라
242 : 현장 민원지원 화상 서버
243 : 실시간 관제 네트워크 카메라
244 : 관제 사이렌 및 경광등
245 : 침입 및 이상 감지 센서
246 : 센서 감시 정보 수신기
260 : VoIPv6 서비스부
270 : 긴급화상 민원서비스부
281 : 행정 업무 단말
300 : 외부센터
310 : 통신사 중앙노드
311 : ATM 스위치
320 : 통신사 지사 센터
321 : ATM 스위치
322 : ATM 스위치
본 발명은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네트 워크 회선 사용을 최대화하여 주간에는 '행정방송 +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로 활용하고 야간과 휴일에는 '무인당직 + VoIP' 시스템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VoIP 서비스는 주간에 행정전화와 일반전화 용도로 사용하도록 하고 야간과 휴일에는 긴급 화상 민원과 무인당직 출동을 위한 전화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행정 서비스란 행정기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 고객생활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서비스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서비스 이행기준과 내용, 제공방법, 절차, 잘못된 상황에 대한 시정 및 보상조치 등을 정해 공표하고 이의 실현을 고객들에게 문서로서 약속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에는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에 기반한 인터넷을 활용하였다.
여기서 IP(Internet Protocol)는 인터넷상의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인터넷상의 각 컴퓨터, 즉 호스트들은 다른 컴퓨터와 구별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유한 주소를 갖는다.
종래의 행정 서비스를 위해 사용하는 IP 주소는 버전4(IPv4)로서, 네 도막으로 나눠진 최대 12자리의 번호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210.113.39.224」이다. 32비트로 이뤄진 IPv4는 최대 약 40억 개의 서로 다른 주소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사용자 수요를 감안할 때, 현재 사용되고 있는 IPv4 체계로는 계속해서 요구되는 인터넷 어드레스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다.
또한 종래의 IPv4에 기반한 행정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행정 방송만을 사용하거나 부분적으로 IPv4에 기반한 VoIP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 뿐이고, 통합적인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지는 못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네트워크 회선 사용을 최대화하여 주간에는 '행정방송 + VoIP' 서비스로 활용하고 야간과 휴일에는 '무인당직 + VoIP' 시스템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VoIP 서비스는 주간에 행정전화와 일반전화 용도로 사용하도록 하고 야간과 휴일에는 긴급 화상 민원과 무인당직 출동을 위한 전화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공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차세대 주소체계인 IPv6을 적용하여 IPv4/IPv6 듀얼 환경에서도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공공기관의 무인경비 시스템을 공공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 운영/관리 할 수 있도록 기존의 시스템을 통합한 "IP기반의 무인당직 + 방송 + VoIP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을 연동하여 카메라가 설치된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주변이나 공공행사 진행시 녹화된 동영상을 DVR 시스템과 연동하여 행정방송 시스템을 통해 민원인이나 관련자들에게 실시간 방송 또는 VoD 방송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청센터와 자치센터로 구성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청센터는, 상기 자치센터와 연결되어 IPv4와 IPv6에 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와; 상기 ATM 스위치와 IPv6으로 연결된 스위치 허브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영상전송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전송 서버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여 실시간 또는 VoD 영상전송을 수행하는 DVR 서버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서버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VoIPv6을 통한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VoIPv6 교환기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개별 전화에 개별 IP를 부여하여 VoIPv6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6 서비스부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치센터는, 상기 본청센터의 상기 ATM 스위치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 허브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IPv6으로 연결되고, 영상전송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IPv6으로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클라이언트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IPv6으로 연결되고, VoIPv6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6 서비스부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IPv6으로 연결되고, 화상을 통한 민원처리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긴급화상 민원서비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청센터(100)와 자치센터(200)로 구성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청센터(100)는, 상기 자치센터(200)와 연결되어 IPv4와 IPv6에 의한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 전송 방식)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110)와; 상기 ATM 스위치(110)와 IPv6으로 연결된 스위치 허브(120)와; 상기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영상전송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전송 서버(130)와; 상기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여 실시간 또는 VoD(Video on Demand, 주문형 비디오) 영상전송을 수행하는 DVR(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서버(140)와; 상기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서버(150)와; 상기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VoIPv6을 통한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VoIPv6 교환기(160)와; 상기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개별 전화에 개별 IP를 부여하여 VoIPv6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6 서비스부(170)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치센터(200)는, 상기 본청센터(100)의 상기 ATM 스위치(110)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210)와; 상기 스위치(210)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 허브(220)와; 상기 스위치 허브(220)와 IPv6으로 연결되고, 영상전송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230)와; 상기 스위치 허 브(220)와 IPv6으로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와; 상기 스위치 허브(220)와 IPv6으로 연결되고, VoIPv6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6 서비스부(260)와; 상기 스위치 허브(220)와 IPv6으로 연결되고, 화상을 통한 민원처리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긴급화상 민원서비스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적용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본청센터(100)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된 외부센터(30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센터(300)는, 상기 본청센터(100)의 ATM 스위치(110)와 ATM 스위치(322)를 통해 연결되고, 통신사 중앙 노드(310)와 ATM 스위치(321)를 통해 연결된 통신사 지사센터(320)와; 상기 통신사 지사센터(320)와 ATM 스위치(311)를 통해 연결된 통신사 중앙 노드(3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230)는, 실시간 또는 VoD 방식에 의한 영상처리를 수행하고, 의회방송 및 시정방송에 대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며, 해안가 및 시범사업 소개를 포함한 행정 통합 서비스의 소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는, 유무선 센서에 의한 감시를 수행하고, 행정업무의 비근무시간에 실시간 민원지원을 위한 자동화 처리를 수행하며, 실시간으로 카메라 감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VoIPv6 서비스부(260)는, IPv6 기반의 VoIP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상통화 및 일반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SMS(Short Message Service, 단문 메시지 서비 스)를 포함한 부가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영상전송 서비스를 위한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시,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여 실시간 또는 VoD 영상전송을 수행하는 DVR 서버(140)와; 상기 DVR 서버(140)와 연결되고, 영상전송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전송 서버(130)와; 본청센터(100) 내에 위치하고, 상기 영상전송 서버(130)와 연결되고, 자치센터(200)의 2계층 스위치(211)와 IPv4 및 IPv6에 기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110)와; 상기 본청센터(100)의 상기 ATM 스위치(110)와 IPv4 및 IPv6에 기반한 연결을 수행하고, 2계층에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2계층 스위치(211)와; 상기 2계층 스위치(211)와 연결되고, 영상전송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영상전송 서비스를 위한 다른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청센터(100)와 자치센터(200)를 구비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시, 상기 본청센터(100)는, 상기 자치센터(200)와 IPv4와 IPv6에 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110)와; 상기 ATM 스위치(110)와 IPv6으로 연결된 스위치 허브(120)와; 상기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 여 실시간 또는 VoD 영상전송을 수행하는 DVR 서버(140)와; 상기 DVR 서버(140)를 통해 상기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실시간 영상을 전송하거나 편집된 영상을 전송하는 영상전송 서버(130)와; 상기 스위치 허브(120) 및 상기 DVR 서버(140)와 연결되고 해안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해안 카메라(191)와; 상기 영상전송 서버(130)와 연결되고, 의회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의회 카메라(19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치센터(200)는, 상기 본청센터(100)의 상기 ATM 스위치(110)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2계층에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2계층 스위치(211)와; 상기 2계층 스위치(211)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 허브(220)와; 상기 스위치 허브(220)와 IPv6으로 연결되고, 영상전송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230)와;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230)와 연결되어 전송된 IP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IP 영상전송 TV(231)와; 상기 스위치 허브(220)와 IPv4로 연결되고,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행정 업무 단말(281);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무인당직 서비스를 위한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무인당직 서비스 제공시,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여 실시간 또는 VoD 영상전송을 수행하는 DVR 서버(140)와; 상기 DVR 서버(140)와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서버(150)와; 본청센터(100) 내에 위치하고, 상기 무인당직 서버(150)와 연결되며, 자치센터(200)의 2계층 스위치(211) 와 IPv4 및 IPv6에 기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110)와; 상기 본청센터(100)의 상기 ATM 스위치(110)와 IPv4 및 IPv6에 기반한 연결을 수행하고, 2계층에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2계층 스위치(211)와; 상기 2계층 스위치(211)와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와; 상기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와 연결되고, 무인당직에 필요한 영상촬영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카메라(24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무인당직 서비스를 위한 다른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청센터(100)와 자치센터(200)를 구비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무인당직 서비스 제공시, 상기 본청센터(100)는, 상기 자치센터(200)와 IPv4와 IPv6에 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110)와; 상기 ATM 스위치(110)와 IPv6으로 연결된 스위치 허브(120)와; 상기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여 실시간 또는 VoD 영상전송을 수행하는 DVR 서버(140)와; 상기 DVR 서버(140)를 통해 상기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서버(150)와; 상기 스위치 허브(120) 및 상기 무인당직 서버(150)와 연결되고 VoIPv6에 의한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VoIPv6 교환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치센터(200)는, 상기 본청센터(100)의 상기 ATM 스위치(110)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2계층에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2계층 스위치(211)와; 상기 2계층 스위치(211)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 허브(220)와; 상기 스위 치 허브(220)와 IPv6으로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와; 상기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와 연결되고, 현장 민원지원을 위한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현장 민원지원 화상 서버(242)와; 상기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와 연결되고, 실시간 관제를 위한 영상촬영을 수행하는 실시간 관제 네트워크 카메라(243)와; 상기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와 연결되는 관제 사이렌 및 경광등(244)과; 상기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와 연결되고, 칩임 및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침입 및 이상 감지 센서(245)와; 상기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와 연결되고, 상기 침입 및 이상 감지 센서(245)로부터 센서 감시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 감지 정보 수신기(246)와; 상기 스위치 허브(220)와 IPv4로 연결되고,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행정 업무 단말(281);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를 위한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VoIP 서비스 제공시, 개별 전화에 개별 IP를 부여하여 VoIPv6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6 서비스부(170)와; 상기 VoIPv6 서비스부(170)와 연결되고, VoIPv6에 기반한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VoIPv6 교환기(160)와; 본청센터(100) 내에 위치하고, 상기 VoIP 교환기(160)와 연결되며, 자치센터(200)의 2계층 스위치(211)와 IPv4 및 IPv6에 기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110)와; 상기 본청센터(100)의 상기 ATM 스위치(110)와 IPv4 및 IPv6에 기반한 연결을 수행하고, 3계층에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3계층 스위치(212)와; 상기 3계층 스위치(212)와 연결되고, VoIPv6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6 서비스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를 위한 다른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청센터(100)와 자치센터(200)를 구비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VoIP 서비스 제공시, 상기 본청센터(100)는, 상기 자치센터(200)와 IPv4와 IPv6에 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110)와; 상기 ATM 스위치(110)와 IPv6으로 연결된 스위치 허브(120)와; 상기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VoIPv6을 통한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VoIPv6 교환기(160)와; 상기 VoIPv6 교환기(160)와 연결되고, 미디어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161)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161)와 연결되고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162)와; 상기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개별 전화에 개별 IP를 부여하여 VoIPv6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6 서비스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치센터(200)는, 상기 본청센터(100)의 상기 ATM 스위치(110)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3계층에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3계층 스위치(212)와; 상기 3계층 스위치(212)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 허브(220)와; 상기 스위치 허브(220)와 IPv6으로 연결되고, VoIPv6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6 서비스부(260)와; 상기 스위치 허브(220)와 IPv4로 연결되고,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행정 업무 단말(281);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기존의 네트워크 회선 사용을 최대화하여 주간에는 '행정방송 + VoIP' 서비스로 활용하고 야간과 휴일에는 '무인당직 + VoIP' 시스템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VoIP 서비스는 주간에 행정전화와 일반전화 용도로 사용하도록 하고 야간과 휴일에는 긴급 화상 민원과 무인당직 출동을 위한 전화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공공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적용을 목적으로 개발된 시스템이다. 그래서 차세대 주소체계인 IPv6을 적용하여 IPv4/IPv6 듀얼 환경에서도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공공기관의 무인경비 시스템을 공공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 운영/관리 할 수 있도록 기존의 시스템을 통합한 "IP기반의 무인당직 + 방송 + VoIP 통합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네트워크 회선 사용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제안되었으며, 이는 주간에는 '행정방송 + VoIP' 서비스로 활용하고, 야간과 휴일에는 '무인당직 + VoIP' 시스템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VoIP 서비스는 주간에 행정전화와 일반전화 용도로 쓰이며, 야간과 휴일에는 긴급 화상 민원과 무인당직 출동을 위한 전화시스템으로 활용하며, 기존의 PSTN 망을 연동하거나 아니며 IP 전화시스템 자체로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을 연동하여 카메라가 설치된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주변이나 공공행사 진행시 녹화된 동영상을 DVR 시스템과 연동하여 행정방송 시스템을 통해 민원인이나 관련자들에게 실시간 방송 또는 VoD 방송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할 경우 예산 절감 효과 및 공공시설의 보안성을 강화 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게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 본청센터(100)의 서버 시스템 : 방송, 무인당직, DVR 등으로 통합 구성
- 자치센터(200)의 클라이언트 시스템 : 센서 컨트롤 및 방송 수신 등으로 통합 구성
-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 : 카메라 및 카메라 제어 등으로 구성
- 교환(Internet Protocol - Private Branch Exchange, IP-PBX) 시스템 : 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PBX(Private Branch Exchange) 등으로 통합 구성
그래서 각각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본청센터(100)의 서버 시스템(행정 통합 서버)
영상전송 서버(130) : 다양한 방송 컨텐츠 및 실시간 영상 전송, 방송 소스 인코딩(화질), 방송 송출 화면 포맷 선택 및 미리보기 등을 수행한다.
DVR 서버(140) : 네트워크 카메라 영상, 방송 컨텐츠, 실시간 영상 정보 등을 저장한다.
무인당직 서버(150) : 하위국인 자체센터(200)의 STB(Set Top Box, 셋탑 박스) 상태 확인, 센서 정보, 침입정보, 세부 구성 정보, 이상 유무 확인 등을 수행한다.
- 자치센터(200)의 클라이언트 시스템(행정 통합 STB)
영상전송 클라이언트(230) : 방송 수신, TV 제어(on/off) 등을 수행한다.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 : 센서 정보 수집 및 제어, 경광등 제어, 센서등 제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정보 수집 및 제어, 키패드 정보 수집 및 제어 등을 수행한다.
-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
카메라 : 카메라 정보 수신, 모션 캡쳐 등을 수행한다.
카메라 제어 모듈 : 카메라 팬틸트 제어, 네트워크 연결, 카메라 제어 등을 수행한다.
- 교환(IP-PBX) 시스템 : 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PBX 등으로 통합 구성
교환기 모듈 : 전화번호 정보 입력, 음성/영상 연동, PSTN 연동, 네트워크 연동 등을 수행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 모듈 : 아날로그 PBX 연동, 네트워크 연동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VoIP는 인터넷을 통해 통화할 수 있는 통신기술로서, 기존부터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통신용 패킷망을 인터넷폰에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VoIP는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화하여 일반 전화망에서의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서비스 기술이다. 케이블을 통하여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확장성도 뛰어나며 기존 전화에 비하여 요금도 훨씬 저렴하다. 프로토콜은 음성/동화상/데이터통신의 단말 규정인 H.323과 서비스 제어점인 SIP(Service Control Point), 인터넷 전화에서 전화망과 IP망을 접속하는 VoIP 게이트웨이 기능을 IP 네트워크상에서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인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통화 호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인 MEGACO(MEdia GAteway COntrol)가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VoIP 장비는 2003년 현재 대부분 H.323으로 되어 있다. 세계기술표준은 VoIP를 비롯해 VoFR(Voice over Frame Relay), VoATM(Voice over Asynchronous Transfer Mode) 등이 있다. 구축하는 방법은 다이얼 패드 처럼 단순히 컴퓨터만 있으면 되는 경우도 있고, 전문 네트워크 장비회사에서 판매하는 IP 전화기나 전용라우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IPv6은 IPv4에 이어 개발된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체계의 차세대 버전이다. 이러한 IPv6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IP 주소체계인 IPv4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IP 주소체계로서,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의 공식규격으로, 차세대 인터넷통신규약이라는 뜻에서 IPng(IP next generation)라고 도 한다.
IPv6이 IPv4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IPv4는 32비트 주소체계에 42억 개의 주소수를 가지고 있고, A/B/C/D 클래스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등급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로 주소를 할당한다. 반면 IPv6은 128비트의 주소체계로 3.4*1038 개의 주소수를 가지고 있고, 주소도 CIDR를 기반으로 계층적으로 할당한다. 주소 유형은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애니캐스트의 3가지이다.
IPv6의 가장 큰 장점은 IP 주소의 길이가 128비트로 늘어났다는 점이다. 이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인터넷 사용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그밖에 1) 네트워크 속도의 증가, 2) 특정한 패킷 인식을 통한 높은 품질의 서비스 제공, 3) 헤더 확장을 통한 패킷 출처 인증과 데이터 무결성 및 비밀의 보장 등도 대표적인 장점으로 꼽힌다.
또한 IPv6의 주소 구문은 IPv4의 129.232.123.123과 같은 12자리 숫자가 아니라, 이진수 형식으로 표시된다. 즉 00100001110110101001000…11010 등 128비트로 표시되고, 128비트 주소는 다시 16비트(0010000111011010) 단위로 나누어진다. 또한 16비트 블록은 16진수로 변환되고, 21DA:00D3:0000:2F3B:02AA:00FF:FE28:9C5A 와 같이 쌍점(콜론)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21DA:D3:0:2F3B:2AA:FF:FE28:9C5A 처럼 0을 없애고 더 단순하게 주소를 만들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블록마다 하나의 숫자는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한 블록에 0만 있을 때는 하나는 남겨 두어야 한다. 주소 공간을 늘려 망 확장성이 더욱 향상된 IP 주소 체계로, 휴대폰이나 전자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IPv6을 적용하여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에 따라 32비트 IPv4 주소 뿐만 아니라 무한의 128비트 IPv6 주소체계를 적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품질제어, 보안, 자동 네트워킹 등의 부가기능의 제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로 구성하여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및 적용이 용이하다.
그리고 영상전송 서비스는 자치단체에 설치되는 자치센터(200)의 다양한 컨텐츠를 자치단체의 하부 자치구로 실시간 또는 VoD 영상 전송을 수행하는 것이고, 무인관제 서비스는 기존의 사설 무인관제 시스템과 무인당직 개념을 결합하여 IPv6에 기반한 무인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VoIP 서비스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기반의 행정전화를 IPv6 기반의 행정전화로 전환하여 영상 및 음성 전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여기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청센터(100)와 자치센터(200)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청센터(100)는 ATM 스위치(110), 스위치 허브(120), 영상전송 서버(130), DVR 서버(140), 무인당직 서버(150), VoIPv6 교환기(160), VoIPv6 서비스 부(170)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ATM 스위치(110)는 자치센터(200)와 연결되어 IPv4와 IPv6에 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고, 본청센터(100) 내의 스위치 허브(120)와 IPv6에 의한 스위칭을 수행한다.
또한 스위치 허브(120)는 ATM 스위치(110)와 IPv6으로 연결되고, 영상전송 서버(130), DVR 서버(140), 무인당직 서버(150), VoIPv6 교환기(160), VoIPv6 서비스부(170) 등과의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전송 서버(130)는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영상전송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DVR 서버(140)는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여 실시간 또는 VoD 영상전송을 수행한다.
또한 무인당직 서버(150)는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VoIPv6 교환기(IP-PBX)(160)는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VoIPv6을 통한 교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VoIPv6은 IPv6 주소체계를 지원하기 때문에 보안성과 서비스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이 보장된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구현하고, 무한대 인터넷주소 자원을 통해 고객 맞춤형태의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VoIPv6 서비스부(170)는 스위치 허브(120)와 연결되고, 개별 전화에 개별 IP를 부여하여 VoIPv6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자치센터(200)는 스위치(210), 스위치 허브(220), 영상전송 클라이언트(230),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 VoIPv6 서비스부(260), 긴급화상 민원서비스부(270)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스위치(210)는 본청센터(100)의 ATM 스위치(110)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고, 자치센터(210) 내의 스위치 허브(220)와 연결된다.
또한 스위치 허브(220)는 스위치(210)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고, 영상전송 클라이언트(230),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 VoIPv6 서비스부(260), 긴급화상 민원서비스부(270) 등과의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영상전송 클라이언트(230),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 VoIPv6 서비스부(260), 긴급화상 민원서비스부(270) 등은 하나의 셋탑 박스로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영상전송 클라이언트(230)는 스위치 허브(220)와 IPv6으로 연결되고, 영상전송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영상전송 클라이언트(230)는 실시간 또는 VoD 방식에 의한 영상처리를 수행하고, 의회방송 및 시정방송에 대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며, 해안가 및 시범사업 소개를 포함한 행정 통합 서비스의 소개를 수행한다.
또한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는 스위치 허브(220)와 IPv6으로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는 유무선 센서에 의한 감시를 수행하고, 행정업무의 비근무시간에 실시간 민원지원을 위한 자동화 처리를 수행하며, 실시간으로 카메라 감시를 수행한다.
또한 VoIPv6 서비스부(260)는 스위치 허브(220)와 IPv6으로 연결되고, VoIPv6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VoIPv6 서비스부(260)는 IPv6 기반의 VoIP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상통화 및 일반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SMS를 포함한 부가서비스를 지원한다.
또한 긴급화상 민원서비스부(270)는 스위치 허브(220)와 IPv6으로 연결되고, 화상을 통한 민원처리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영상전송 서비스, 무인관제 서비스, VoI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적용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그래서 외부센터(30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센터(300)는 통신사 중앙 노드(310), 통신사 지사센터(3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사 중앙 노드(310)는 통신사 지사센터(320)와 ATM 스위치(311)를 통해 연결되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통신사 지사센터(320)는 본청센터(100)의 ATM 스위치(110)와 ATM 스위치(322)를 통해 연결되고, 통신사 중앙 노드(310)와 ATM 스위치(321)를 통해 연결되어 통신사 중앙 노드(310)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가 본청센터(100)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지방자치단체(예를 들면, 시청)의 민원실을 대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수행하는 PC를 IPv6 네트워크와 연동시켜 지방자치단체의 IPv6 의회방송과 시정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지난 IPv6 시범사업 컨텐츠 소개, IPv6 시범사업 컨텐츠를 소개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읍면동 사무소와 사업소에 IPv6 의회방송 및 시정방송 IP 기반 영상전송 시스템을 설치하여 사무소를 방문하는 민원인과 근무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다.
또한 IPv6 기반 무인당직 시스템을 통해 IPv4 기반의 행정업무 트래픽과 구별하여 시범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주간의 의회방송 및 시정방송을 통해 IPv6 트래픽을 유발하고 야간과 주말 근무자가 없는 시간대를 통해 센서 데이터와 카메라 정보를 지방자치단체의 무인당직 관리 센터에 전송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이상 징후 발생시 자치센터(200)의 모니터를 통해 인지하고 유관기관(경찰서 또는 사설경비업체 등)을 통해 1차적으로 출동 확인하고 2차적으로 담당자를 호출하여 확인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또한 자치센터(100)의 키폰시스템과 연동 또는 별도의 VoIPv6 화상폰을 제공하여 관내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상폰의 경우 회선 대역폭에 따라 화상 상태가 안 좋을 수 있으므로 회선의 대역폭과 행정업무상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품질을 조절하여 서비스한다.
또한 자치센터(200)에서 서비스하는 단말의 경우 다양하고 많은 사람들이 체험할 수 있도록 민원실과 무인당직 관제센터, 의회 회의장 등에 설치해서 IPv6 서비스의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업무용으로도 쓸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자치센터(200)의 경우 일정 개수(예를 들면, 3 ~ 5대)의 화상폰을 설치 하여 서비스하도록 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에 백본 IPv6을 구성한다.
이러한 지방자치단체의 백본 라우터 구성은 IPv6 적용이 가능한 라우터인 ATM 스위치(110)를 사용한다. 또한 이 ATM 스위치(110)를 KOREN(KOrea advanced REsearch Network, 초고속선도망)과 같은 통신사 중앙 노드(310)와 연동하여 IPv6 적용을 위한 IPv6 주소와 IPv6을 연결시켜서 IPv4/IPv6 듀얼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서비스 백본을 구성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읍면동 사무소를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자치센터(200)의 라우터인 스위치(210)는 IPv6을 지원할 수 있는 구조이지만 ATM 메트로(Metro) 구축시 라우터를 구성하지 않고 2계층(Layer 2) 스위치를 가지고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다. ATM 메트로 구성시 자치센터(200)의 장비는 특별한 조치없이 IPv6 및 IPv4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현재 공공기관의 VPN(Virtual Private Network service, 가상 사설망 서비스) 장비의 IPv6 지원이 불가능하므로 IPv4와 IPv6 트래픽을 분리하여 서비스할 수 있도록 망을 자치센터(200)의 내부망을 이중화하여 구성하고, 이때 2계층(Layer 2) 스위치를 이중화한다. 또한 읍면동 사무소의 연결 회선은 모두 행정망으로 최대한 행정업무에 부하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계/구성한다.
또한 시청 민원실의 IPv6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시청 민원실의 단말기는 IPv6 주소 부여가 가능한 Windows XP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인터넷 연결 구간에 IPv6을 적용하여 IPv4/IPv6 듀얼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영상전송 서비스를 위한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그래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서는 DVR 서버(140), 영상전송 서버(130), 본청센터(100) 내의 ATM 스위치(110), 자치센터(200) 내의 2계층 스위치(211), 영상전송 클라이언트(230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기존 행정망(Real-Network)에 다양한 행전 컨텐츠를 지방자치단체의 각 하부 단위의 사무소 또는 민원인과 실시간으로 영상전송 서비스 컨텐츠를 공유하여 정보를 격차를 줄이고 다양한 방송분야 등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실시간 및 VoD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의회, 시청, 행정, 교육, 그리고 안내 방송 분야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되며, 유사시에는 재난대응방송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와 IPv4/IPv6의 듀얼 시스템으로 구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영상전송 서비스를 위한 다른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그래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본청센터(100)에 ATM 스위치(110), 스위치 허브(120), DVR 서버(1340), 영상전송 서버(130), 해안 카메라(191), 의회 카메라(192) 등을 설치하고, 자치센터(200)에 2계층 스위치(211), 스위치 허브(2220), 영상전송 클라이언트(230), IP 영상전 송 TV(231), 행정 업무 단말(281) 등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청센터(100) 측에 편집 및 송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래서 기존의 의회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폐쇄 회로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과 연동하여 신규 편집 및 송출시스템을 연결 구성한다. 또한 편집 및 송출 시스템은 IPv4/IPv6 주소 설정이 모두 가능한 Windows 2003 서버 이상을 사용하거나 Windows XP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또한 실시간 방송시 자치센터(200)에서 보이는 지연 시간(delay time)은 3초 이내로 솔루션을 개발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편집 및 송출시스템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즉, 원격지 IP 기반 영상전송 시스템 On/Off 제어, 입력채널 제어, 방송 스케줄 관리, 생방송 중계 및 자막 편집, 녹화방송 및 원격 화면 관리, 일대다 방송 전송 등이다.
또한 자치센터(200)의 읍면동 사무소에는 IP 기반 영상전송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는 임베디드 PC 기반의 IP 기반 영상전송 시스템과 PDP(Plasma Display Panel,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LCDTV(Liquid Crystal Display Television)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한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Windows XP 운영체제를 바탕으로 한 임베디드 시스템이다. 또한 IPv4/IPv6 주소 부여하여 원격 편집 및 송출시스템이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무인당직 서비스를 위한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무인당직 서비스 제공을 위해 DVR 서 버(140), 무인당직 서버(150), ATM 스위치(110), 2계층 스위치(211),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 무인당직 카메라(241)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기존 행정망(Real-Network)에 기존의 사설 무인당직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던 정보를 유휴 행정망을 활용하여 본청센터(100)에서 카메라를 통해 바로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당직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무인당직 서비스는 유/무선 센서를 적용한 침입탐지, 야간 및 휴일의 실시간 민원대응,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방범 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무인당직 서비스를 위한 다른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그래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무인당직 서비스 제공시, 본청센터(100)에 ATM 스위치(110), 스위치 허브(120), DVR 서버(140), 무인당직 서버(150), VoIPv6 교환기(160) 등을 구축하고, 자치센터(200)에 2계층 스위치(211), 스위치 허브(220),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 현장 민원지원 화상 서버(242), 실시간 관제 네트워크 카메라(243), 관제 사이렌 및 경광등(244), 침입 및 이상 감지 센서(245), 센서 감시 정보 수신기(246), 행정 업무 단말 등을 구축한다.
또한 무인당직 서비스를 위해 본청센터(100)에 관제센터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는데, 관제센터의 시스템은 무인당직 시스템의 영상을 녹화할 수 있는 DVR 서버(140), 영상 제어 및 읍면동 사무소의 무인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관제 서버 인 무인당직 서버(150) 등으로 구성한다.
또한 DVR 서버(140)에 IPv6 주소를 부여할 수 있도록 리눅스, Windows XP 이상의 운영체제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또한 관제 서버인 무인당직 서버(150)에 IPv6 주소를 부여할 수 있도록 역시 리눅스 또는 Windows XP 이상의 운영체제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무인당직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기본 기능은 다음과 같다. 즉, 옥외 적외선 센서 및 실내 열센서를 이용한 침입 및 움직임 감지, 침입 감지에 따른 자동 전등 제어(On/Off), 침입 감지에 따른 자동 경광등 제어 및 사이렌 제어, 침입감지 센서에 의한 자동 호출(SMS 통보) 등이다.
또한 자치센터(200)의 읍면동 사무소 등에 구축하는 무인당직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또한 읍면동의 사무소의 무인당직 클라이언트(240)는 센서와 카메라, 센서 제어 및 영상전송 클라이언트(230) 등을 포괄하도록 구성하며, 센서 제어와 영상전송을 위한 시스템은 단일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IPv6 주소 부여를 위해 운영체제는 Windows XP 기반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구성한다.
또한 옥외용 센서 구성은 출입이 가능한 구역(현관, 후문, 외벽 등)에 대해 움직임 감지 센서(적외선)를 설치하여 침입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센서와 센서 제어 시스템간의 연결은 시리얼 방식을 이용하여 컨트롤박스를 통해 서버에 연결 구성한다. 주요 침입이 용이한 구간에 옥외용 카메라를 설치하여 침입에 대한 영상정보를 센터에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옥내용 센서는 인체의 파장을 이용한 움직임 감지 센서를 주요구간(창문, 현관, 후문, 주요 문서 보관실 등)에 설치하여 만약의 침입에 대한 주요 시설 보호를 위해 구성한다.
또한 침입 상황 발생시 센터에 침입 상황을 알리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버 시스템은 센서 컨트롤 박스에 연결된 각종 센서와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 박스와 연결하여 구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를 위한 일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VoIP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VoIPv6 서비스부(170), VoIPv6 교환기(160), ATM 스위치(110), 3계층 스위치(212), VoIPv6 서비스부(26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PSTN 전화 시스템을 행정망을 활용하여 IP 전화 시스템으로 전환 및 제공하며, 개별 전화에 개별 IP를 부여하여 관리하고, 회선 비용의 간소화를 추구하기 위한 응용 솔루션을 구축한다.
이에 따라 읍면동 사무소의 개별 키폰 및 회선 비용을 축소시킬 수 있게 되며, 영상/음성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VoIP 서비스를 위한 다른 구성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그래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VoIP 서비스 제공시, 본청센 터(100)는, 본청센터(100)에는 ATM 스위치(110), 스위치 허브(120), VoIPv6 교환기(IP-PBX)(160), 미디어 게이트웨이(161), 교환기(PBX)(162), VoIPv6 서비스부(170) 등으로 구성하고, 자치센터(200)는 3계층 스위치(212), 스위치 허브(220), VoIPv6 서비스부(260), 행정 업무 단말(281) 등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본청센터(100) 내의 IP-PBX 장비인 VoIPv6 교환기(160)를 통해 관내 IPv6 지원 VoIP를 구축하고 시외구간에 대해서는 기존 PSTN을 통해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VoIPv6 서비스부(170)에 의한 VoIPv6 화상폰의 설치 위치는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고 체험할 수 있는 민원실과 무인당직 관제센터, 의회 회의장, 통신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자치센터(200)에서의 VoIPv6 서비스는 읍면동 사무소를 대상으로 서비스할 수 있으며, VoIPv6 화상폰을 이용한다. 또한 자치센터(200)의 기존 전화기인 행정 업무 단말(281)을 대체하는 식이 아니라 병행해서 쓰는 방식이며 신규 번호와 내선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래서 자치센터(200)에서 본청센터(100)로 통화할 경우에는 VoIPv6 방식을 사용하고, 외부와 통화할 경우에는 PSTN을 통한 통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존의 네트워크 회선 사용을 최대화하여 주간에는 '행정방송 + VoIP' 서비스로 활용하고 야간과 휴일에는 '무인당직 + VoIP' 시스템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VoIP 서비스는 주간에 행정전화와 일반전화 용도로 사용하도록 하고 야간과 휴일에는 긴급 화상 민원과 무인당직 출동을 위한 전화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기존의 네트워크 회선 사용을 최대화하여 주간에는 '행정방송 + VoIP' 서비스로 활용하고 야간과 휴일에는 '무인당직 + VoIP' 시스템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VoIP 서비스는 주간에 행정전화와 일반전화 용도로 사용하도록 하고 야간과 휴일에는 긴급 화상 민원과 무인당직 출동을 위한 전화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공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차세대 주소체계인 IPv6을 적용하여 IPv4/IPv6 듀얼 환경에서도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공공기관의 무인경비 시스템을 공공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 운영/관리 할 수 있도록 기존의 시스템을 통합한 "IP기반의 무인당직 + 방송 + VoIP 통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카메라 시스템을 연동하여 카메라가 설치된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주변이나 공공행사 진행시 녹화된 동영상을 DVR 시스템과 연동하여 행정방송 시스템을 통해 민원인이나 관련자들에게 실시간 방송 또는 VoD 방송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Claims (12)

  1. 본청센터와 자치센터로 구성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청센터는,
    상기 자치센터와 연결되어 IPv4와 IPv6에 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와;
    상기 ATM 스위치와 IPv6으로 연결된 스위치 허브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영상전송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전송 서버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여 실시간 또는 VoD 영상전송을 수행하는 DVR 서버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서버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VoIPv6을 통한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VoIPv6 교환기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개별 전화에 개별 IP를 부여하여 VoIPv6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6 서비스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치센터는,
    상기 본청센터의 상기 ATM 스위치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 허브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IPv6으로 연결되고, 영상전송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IPv6으로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클라이언트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IPv6으로 연결되고, VoIPv6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6 서비스부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IPv6으로 연결되고, 화상을 통한 민원처리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긴급화상 민원서비스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본청센터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된 외부센터;
    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센터는,
    상기 본청센터의 ATM 스위치와 ATM 스위치를 통해 연결되고, 통신사 중앙 노 드와 ATM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통신사 지사센터와;
    상기 통신사 지사센터와 ATM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 통신사 중앙 노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는,
    실시간 또는 VoD 방식에 의한 영상처리를 수행하고, 의회방송 및 시정방송에 대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며, 해안가 및 시범사업 소개를 포함한 행정 통합 서비스의 소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인당직 클라이언트는,
    유무선 센서에 의한 감시를 수행하고, 행정업무의 비근무시간에 실시간 민원지원을 위한 자동화 처리를 수행하며, 실시간으로 카메라 감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VoIPv6 서비스부는,
    IPv6 기반의 VoIP 서비스를 제공하고, 화상통화 및 일반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SMS를 포함한 부가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시,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여 실시간 또는 VoD 영상전송을 수행하는 DVR 서버와;
    상기 DVR 서버와 연결되고, 영상전송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전송 서버와;
    본청센터 내에 위치하고, 상기 영상전송 서버와 연결되고, 자치센터의 2계층 스위치와 IPv4 및 IPv6에 기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와;
    상기 본청센터의 상기 ATM 스위치와 IPv4 및 IPv6에 기반한 연결을 수행하고, 2계층에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2계층 스위치와;
    상기 2계층 스위치와 연결되고, 영상전송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본청센터와 자치센터를 구비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영상전송 서비스 제공시,
    상기 본청센터는,
    상기 자치센터와 IPv4와 IPv6에 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와;
    상기 ATM 스위치와 IPv6으로 연결된 스위치 허브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여 실시간 또는 VoD 영상전송을 수행하는 DVR 서버와;
    상기 DVR 서버를 통해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실시간 영상을 전송하거나 편집된 영상을 전송하는 영상전송 서버와;
    상기 스위치 허브 및 상기 DVR 서버와 연결되고 해안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해안 카메라와;
    상기 영상전송 서버와 연결되고, 의회의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의회 카메라;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치센터는,
    상기 본청센터의 상기 ATM 스위치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2계층에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2계층 스위치와;
    상기 2계층 스위치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 허브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IPv6으로 연결되고, 영상전송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전송 클라이언트와;
    상기 영상전송 클라이언트와 연결되어 전송된 IP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IP 영상전송 TV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IPv4로 연결되고,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행정 업무 단말;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무인당직 서비스 제공시,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여 실시간 또는 VoD 영상전송을 수행하는 DVR 서버와;
    상기 DVR 서버와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서버와;
    본청센터 내에 위치하고, 상기 무인당직 서버와 연결되며, 자치센터의 2계층 스위치와 IPv4 및 IPv6에 기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와;
    상기 본청센터의 상기 ATM 스위치와 IPv4 및 IPv6에 기반한 연결을 수행하고, 2계층에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2계층 스위치와;
    상기 2계층 스위치와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클라이언트와;
    상기 무인당직 클라이언트와 연결되고, 무인당직에 필요한 영상촬영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카메라;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본청센터와 자치센터를 구비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무인당직 서비스 제공시,
    상기 본청센터는,
    상기 자치센터와 IPv4와 IPv6에 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와;
    상기 ATM 스위치와 IPv6으로 연결된 스위치 허브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방송 컨텐츠를 저장하여 실시간 또는 VoD 영상전송을 수행하는 DVR 서버와;
    상기 DVR 서버를 통해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서버와;
    상기 스위치 허브 및 상기 무인당직 서버와 연결되고 VoIPv6에 의한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VoIPv6 교환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치센터는,
    상기 본청센터의 상기 ATM 스위치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2계층에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2계층 스위치와;
    상기 2계층 스위치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 허브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IPv6으로 연결되고, 무인관제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당직 클라이언트와;
    상기 무인당직 클라이언트와 연결되고, 현장 민원지원을 위한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현장 민원지원 화상 서버와;
    상기 무인당직 클라이언트와 연결되고, 실시간 관제를 위한 영상촬영을 수행하는 실시간 관제 네트워크 카메라와;
    상기 무인당직 클라이언트와 연결되는 관제 사이렌 및 경광등과;
    상기 무인당직 클라이언트와 연결되고, 칩임 및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침입 및 이상 감지 센서와;
    상기 무인당직 클라이언트와 연결되고, 상기 침입 및 이상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감시 정보를 수신하는 센서 감지 정보 수신기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IPv4로 연결되고,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행정 업무 단말;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VoIP 서비스 제공시,
    개별 전화에 개별 IP를 부여하여 VoIPv6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6 서비스부와;
    상기 VoIPv6 서비스부와 연결되고, VoIPv6에 기반한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VoIPv6 교환기와;
    본청센터 내에 위치하고, 상기 VoIP 교환기와 연결되며, 자치센터의 2계층 스위치와 IPv4 및 IPv6에 기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와;
    상기 본청센터의 상기 ATM 스위치와 IPv4 및 IPv6에 기반한 연결을 수행하고, 3계층에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3계층 스위치와;
    상기 3계층 스위치와 연결되고, VoIPv6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6 서비스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본청센터와 자치센터를 구비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VoIP 서비스 제공시,
    상기 본청센터는,
    상기 자치센터와 IPv4와 IPv6에 의한 ATM 스위칭을 수행하는 ATM 스위치와;
    상기 ATM 스위치와 IPv6으로 연결된 스위치 허브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VoIPv6을 통한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VoIPv6 교환기와;
    상기 VoIPv6 교환기와 연결되고, 미디어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연결되고 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교환기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고, 개별 전화에 개별 IP를 부여하여 VoIPv6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6 서비스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자치센터는,
    상기 본청센터의 상기 ATM 스위치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3계층에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3계층 스위치와;
    상기 3계층 스위치와 IPv4 및 IPv6으로 연결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 허브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IPv6으로 연결되고, VoIPv6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v6 서비스부와;
    상기 스위치 허브와 IPv4로 연결되고,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행정 업무 단말;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v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60119457A 2006-11-30 2006-11-30 아이피브이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844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457A KR100844384B1 (ko) 2006-11-30 2006-11-30 아이피브이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457A KR100844384B1 (ko) 2006-11-30 2006-11-30 아이피브이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179A KR20080049179A (ko) 2008-06-04
KR100844384B1 true KR100844384B1 (ko) 2008-07-07

Family

ID=39804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457A KR100844384B1 (ko) 2006-11-30 2006-11-30 아이피브이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3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179A (ko) * 2000-11-20 2002-05-25 방재근 주민자치센터를 이용한 지역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30092322A (ko) * 2002-05-29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IPv4/IPv6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65131A (ko) * 2003-12-24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v6 호스트 장치, 동적 터널링 인터페이스(DTI)장치, IPv6 in IPv6 터널링 수행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179A (ko) * 2000-11-20 2002-05-25 방재근 주민자치센터를 이용한 지역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30092322A (ko) * 2002-05-29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IPv4/IPv6 통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65131A (ko) * 2003-12-24 2005-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v6 호스트 장치, 동적 터널링 인터페이스(DTI)장치, IPv6 in IPv6 터널링 수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179A (ko) 200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036B1 (ko) 뉴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8711197B2 (en) Surveill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mesh network
US10529204B2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security systems
US9497111B2 (en) 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s of network accessing equipment
EP2676432B1 (en) Remote controlled studio camera system
CN110545405B (zh) 一种基于视联网的视频传输方法及系统
CN110493554B (zh) 一种发言终端的切换方法及系统
CN112396815A (zh) 网络移动终端紧急救援智能报警定位系统及其使用方法
CN113014885B (zh) 一种铁路视频资源互联汇聚系统及方法
CN109246135B (zh) 一种流媒体数据的获取方法和系统
CN111147789B (zh) 一种音视频流录制的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0099240B (zh) 一种视频会议的控制方法和装置
CN109963108B (zh) 一种一对多对讲的方法和装置
WO2007035109A1 (en) Method for gatekeeper streaming
CN109544879B (zh) 一种报警数据的处理方法和系统
CN109963123B (zh) 一种摄像头的控制方法和装置
CN110012316B (zh) 一种视联网业务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0844384B1 (ko) 아이피브이6을 이용한 행정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0072072B (zh) 一种数据上报及显示的方法及装置
KR100869150B1 (ko) 네트워크 비디오 서버 시스템
CN110650311B (zh) 一种指挥调度方法、系统及装置
CN107404591B (zh) 智能门铃监控方法和装置
CN111479127A (zh) 数据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1741828A (zh) 一种基于域控制服务器的声像综合控制系统
CN111131749A (zh) 一种视频会议的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