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784B1 - 배수판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배수판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784B1
KR100843784B1 KR1020070024310A KR20070024310A KR100843784B1 KR 100843784 B1 KR100843784 B1 KR 100843784B1 KR 1020070024310 A KR1020070024310 A KR 1020070024310A KR 20070024310 A KR20070024310 A KR 20070024310A KR 100843784 B1 KR100843784 B1 KR 100843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llar
support
cross
concrete
sectiona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옥
Original Assignee
박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옥 filed Critical 박영옥
Priority to KR102007002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6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corrosion by soil o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 있어서, 평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로 콘크리트가 유출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수판; 및 상기 평판의 타측 표면 넓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형 구조의 누름철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결합 구조는 배수판이 바닥콘크리트 상에 설치된 후, 누름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바닥콘크리트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상태에서, 별도의 높이 조절 없이 상기 배수판의 지지기둥이 상기 바닥콘크리트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배수판이 들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수판, 지지기둥, 개구부, 보강지지부

Description

배수판 결합 구조{Drain Board With A Basement Floor Construction}
도 1a는 종래 배수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 배수판이 시공된 지하층 바닥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 구조가 시공된 지하층 바닥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보강망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저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9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수판 12: 평판
14: 지지기둥 16, 16': 개구부
17, 17', 17'', 17''': 보강망 18: 중앙기둥부
20: 보강지지부 22: 외주면부
24: 내주면부 30: 누름철망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층 바닥면 하부에 설치되는 배수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하구조물 시공시,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구체콘크리트 상에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배수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 또는 건축물을 신축하게 되면 지하구조물의 시공이 필수로 수반되며, 대부분 이러한 지하구조물에는 지상 건축물의 연면적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하여 지하주차장으로 시공되어 이용되고 있으므로, 지하층의 바닥시공시 차량의 하중에 대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는 견고한 지하층 바닥시공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지층 깊이 굴착이 이루어질 경우 굴착 된 지층에는 지하수에 대한 내압이 낮아져 주위로부터 지하수가 유입되어 지하층 바닥으로 침투될 수 있으므로 이를 적절하게 배수 처리해주기 위한 배수시공이 수반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하층 바닥시공과 배수시공을 동시에 만족시켜주기 위하여 누름콘크리트의 하부에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수판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상기 배수판은 내방수용으로 지하구조물에 침투하는 지하수의 처리를 위하여 구체콘크리트의 상부면과 누름콘크리트 사이에 설치되어, 지하층의 습기, 결로 및 누수를 방지하고, 상기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수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수로를 통하여 집수정으로 집수된 지하수는 펌프에 의하여 외부로 펌핑 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배수판은 지하구조물, 지하시설물, 지하주차장 등에 침투하는 지하수와 결로수의 처리를 위하여 설치되어 불완전한 지하방수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해주고, 이중슬라브 공법 대체시 지하 터파기 및 잔토처리량을 감소시켜 공사기간 및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종래 배수판이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는 종래 배수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 배수판이 시공된 지하층 바닥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 배수판(100)은 지층(2) 상면에 굴토마감면(3)이 형성되고, 그 위에 버림콘크리트(4)가 타설되고, 그 상부에 바닥콘크리트(5)가 타설되고, 다시 그 위에 누름콘크리트(6)가 타설되는 공정을 거쳐서 지하층 바닥면이 시공될 때, 상기 바닥콘크리트(5)의 상부면과 누름콘크리트(6)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수판(100)에 의해 지하층 바닥면의 습기, 결로 및 누수가 방지되게 된다.
이러한 배수판(100)은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평판(110)과 상기 평판(110)의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기둥(120)이 상기 다수개의 구멍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지지기둥(120)의 내부로는 평판(1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구멍 내부로 누름콘크리트(6)가 채워지게 된다.
이처럼 바닥콘크리트(5)의 상면에 상기 배수판(100)를 설치하고, 그 위에 상기 누름콘크리트(6)를 타설함으로써, 지하수가 상기 배수판(100) 하부의 공간을 통해 집수정(7)으로 모이게 되며, 집수정(7)에 모인 지하수는 펌프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되어, 지하층의 습기, 결로 및 누수가 방지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배수판(100)의 하부공간이 배수로 역할을 하게 되고, 집수정(7)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지하층의 지하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배수판(100)은 상부에 누름콘크리트(6)를 타설했을 때, 상기 배수판(100)의 지지기둥(120)이 상기 바닥콘크리트(5)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내부에 누름콘크리트(6)가 채워지거나 또는, 상기 바닥콘크리트(5)가 고르지 못해 상기 배수판(100)이 들뜨게 설치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지하주차장의 바닥시공을 행하게 되면, 차량의 운행 및 주차시 바닥면에 하중이 가해져 상기 지지기둥(120)이 들뜬 부분의 누름콘크리트(6)에 크랙이 발생되어 지하구조물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판이 바닥콘크리트 상에 설치된 후, 누름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바닥콘크리트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배수판의 지지기둥이 상기 바닥콘크리트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배수판이 들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배수판 결합 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콘크리트에 설치된 배수판을 작업자가 밟 아도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배수판 결합 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 있어서, 평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로 콘크리트가 유출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수판; 및 상기 평판의 타측 표면 넓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형 구조의 누름철망;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 전체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보강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강지지부는 외주면부 및 내주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부는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 있어서, 평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로 콘크리트가 유출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수판; 및 상기 평판의 타측 표면 넓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형 구조의 누름철망;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 전체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보강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강지지부는 외주면부 및 내주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의 내주면부는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 있어서, 평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로 콘크리트가 유출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수판; 및 상기 평판의 타측 표면 넓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형 구조의 누름철망;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 전체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보강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강지지부는 외주면부 및 내주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외주면부는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주면부는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 있어서, 평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로 콘크리트가 유출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수판; 및 상기 평판의 타측 표면 넓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형 구조의 누름철망;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 전체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보강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기둥의 측방에서 바라보는 상기 보강지지부의 일측 단면 형상은 상기 지지기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 있어서, 평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로 콘크리트가 유출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수판; 및 상기 평판의 타측 표면 넓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형 구조의 누름철망;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 전체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보강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기둥의 측방에서 바라보는 상기 보강지지부의 일측 단면 형상은 상기 지지기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 결합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 구조가 시공된 지하층 바닥면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결합 구조는 배수판(10) 및 누름철망(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수판(10)은 지하 지층(2)의 굴토마감면(3)에 버림콘크리트(4)가 타설되고, 그 상부에 바닥콘크리트(5)가 타설되고, 다시 그 위에 누름콘크리트(6)가 타설되는 공정을 거쳐서 지하층 바닥면이 시공될 때, 상기 바닥콘크리트(5)의 상부면과 누름콘크리트(6) 사이에 설치되어, 지하구조물에 침투하는 지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판(12)과 상기 평판(12)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누름콘크리트(6)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둥(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평판(12)에는 다수 개의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 개의 구멍과 상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평판(12)의 일측 즉, 하측으로 지지기둥(14)이 돌출 연장 형성 및 정렬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콘크리트(5) 위에 배수판(10)의 지지기둥(14)이 위치되고, 배수판(10)의 평판(12) 위에 누름콘크리트(6)가 타설되며 이때, 평판(12)의 상기 구멍을 통하여 지지기둥(14) 내부로 누름콘크리트(6)가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지하구조물에 침투하는 지하수가 평판(12)에 형성된 일 지지기둥(14)과 타 지지기둥(1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즉, 배수로(25)를 통해 집수정(7)으로 모이게 되고, 집수정(7)으로 모인 지하수는 펌프 등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지지기둥(14)은 원통형, 다각형 또는 원추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기둥(14) 하단부에는 지지기둥(14) 내부로 채워지는 누름콘크리트(6)가 유출되도록 개구부(16)가 형성된다. 그리고 다른 일부의 지지기둥(14)은 하방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내측면과 밑면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개구부(16)는 지지기둥(14)의 들뜬 상태를 메우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바닥콘크리트(5)의 상부면에 배수판(10)이 설치될 때, 바닥콘크리트(5)의 상부면이 고르지 않은 관계로, 지지기둥(14)이 상기 바닥콘크리트(5)의 상부면에 밀착 위치되지 않고, 들뜬 상태에서 설치되곤 한다. 이런 상태에서 배수판(10)의 상부에 누름콘크리트(6)가 타설되게 되면, 차량의 운행 및 주차시 지하층 바닥면에 하중이 가해져, 지지기둥(14)이 들뜬 부분의 누름콘크리트(6)에 크랙이 발생되어 지하구조물이 취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배수판(10)의 상부에 누름콘크리트(6)가 타설될 때, 지지기둥(14)의 하단이 개방되도록 개구부(16)를 형성시키고, 상기 개구부(16)를 통하여 누름콘크리트(6)가 유출되도록 하여, 개구부(16)를 통해 하방 유입된 누름콘크리트(6)가 지지기둥(14)의 들뜬 상태를 메우도록 함으로써, 지지기둥(14)이 상기 바닥콘크리트(5)의 상부면에 밀착 위치되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누름콘크리트(6)에 크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구부(16)의 크기 및 형상은 바닥콘크리트(5)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기 도 4a 내지 도 4d를 통해 몇 가지 개구부(16)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기둥(14)이 누름콘크리트(6)의 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기둥(14)의 하단부에는 보강지지부(20: 도 6a 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도 6a 내지 도 6e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누름철망(30)은 작업자가 작업을 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판(10)을 밟고 다니거나 배수판(10)의 상부에 누름콘크리트(6)가 타설될 때, 배수판(10)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배수판(10) 평판(12)의 상부표면 넓이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격자형 구조의 철망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철망(30)이 상기 배수판(10)의 상면에 덮어지게 되면, 누름철망(30)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판(10)이 하방으로 눌러지면서, 상기 누름콘크리트(6) 내에 묻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바닥콘크리트(5) 상에 상기 배수판(10)이 설치되고, 그 위에 상기 누름철망(30)을 올려놓아서, 상기 누름철망(30)의 자중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배수판(10)이 상기 바닥콘크리트(5)에 밀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판(10) 및 누름철망(30)의 상부에 누름콘크리트(6)가 타설되어 지하층의 바닥면이 형성되게 된다.
이처럼 배수판(10)의 상부에 덮어지는 누름철망(30)에 의하여 작업자가 배수판(10)을 밟고 다니면서 작업을 하거나 또는, 상기 배수판(10) 위에 누름콘크리 트(6)를 타설하여도 변형되지 않는 견고한 배수판(10)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개구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배수판 결합 구조를 바닥콘크리트와 누름콘크리트 사이에 개재시켜 배수로(25)를 형성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 구조의 측단면도로서, 평판(12) 및 지지기둥(14)을 갖는 배수판(10) 및 배수판(10)의 상측에 위치되는 누름철망(30)을 포함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서 배수판(10)의 지지기둥(14)에 구비되는 개구부(16)를 포함한다.
개구부(16)는 지지기둥(14)의 하단부 전체가 개방되도록 천공되어 형성되며, 그 크기는 후술하는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의 개구부(16': 도 4c 도시)의 크기보다 비교적 큰 크기로서, 이는, 배수판(10)의 상부에 누름콘크리트(6)가 타설될 때, 누름콘크리트(6)가 개구부(16)를 통하여 지지기둥(14)의 하단부로 용이하게 유출되기 위함이다.
이처럼 누름콘크리트(6)가 지지기둥(14)의 하단부로 용이하게 유출되면, 바닥콘크리트(5)의 상태가 비교적 고르지 못하여 지지기둥(14)의 들뜬 부분이 큰 경우, 누름콘크리트(6)가 지지기둥(14)의 들뜬 부분에 더욱 용이하게 메워지는 장점이 있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평판(12) 및 지지기둥(14)을 갖는 배수판(10)과, 상기 배수판(10)의 상측에 위치되는 누름철망(30)을 포함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는 배수판(10)의 개구부(16)에 보강망(17)이 더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개구부(16)의 크기에 대응되는 망 형태로 형성되는 보강망(17)이 개구부(16)에 설치되어, 개구부(16)를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배수판(10)의 상부에 누름콘크리트(6)가 타설될 때, 보강망(17)의 망 사이 사이에 형성된 구멍으로 누름콘크리트(6)가 유출되며, 이때, 보강망(17)으로 인하여 누름콘크리트(6)의 과도한 유출이 방지된다.
이처럼 상기 제 2 실시예의 배수판(10)에는 개구부(16)를 커버하도록 보강망(17)이 설치되어 있어서, 배수판(10)의 상부에 누름콘크리트(6)가 타설될 때, 개구부(16)를 통하여 유출되는 누름콘크리트(6)의 양이 그만큼 적어지게 되므로, 지지기둥(14)의 들뜬 부분의 크기에 비하여 누름콘크리트(6)가 과도하게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보강망(17)이 견고한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여, 개구부(16)의 개방된 구조로 인하여 변형이 잘 되도록 형성된 배수판(10)이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더라도 잘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보강망의 형상은 바닥콘크리트(5)의 상태 또는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기 도 5a 내지 도 5d를 통해 몇 가지 보강망의 예를 설명하기 로 한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평판(12) 및 지지기둥(14)을 갖는 배수판(10)과, 상기 배수판(10)의 상측에 위치되는 누름철망(30)을 포함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는 배수판(10)의 개구부(16')가 상기 제 1 실시예의 개구부(16)보다 누름콘크리트(6)의 유출이 덜 되도록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개구부(16')는 지지기둥(14)의 하단부의 단면적 보다 작은 통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누름콘크리트(6)의 유출이 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개구부(16')의 크기가 상기 제 1 실시예의 개구부(16)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수판(10)의 상부에 누름콘크리트(6)가 타설될 때, 개구부(16')를 통하여 유출되는 누름콘크리트(6)의 양이 그만큼 적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 3 실시예의 개구부(16')를 갖는 배수판(10)은 지지기둥(14)의 들뜬 부분이 작게 형성되는 경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실시예에 비하여 비교적 평평한 바닥콘크리트(5)의 상부에 지지기둥(14)이 위치하게 되면, 지지기둥(14)의 들뜬 부분이 작게 형성되는데, 이런 경우, 개구부(16')를 통하여 유출되는 누름콘크리트(6)의 양도 적어야 상기 들뜬 부분에 대응 및 메워지게 된다. 따라서 지지기둥(14)의 들뜬 부분이 작게 형성되는 시공 현장에는 그 현장에 대응되는 제 3 실시예의 개구부(16')를 갖는 배수판(10)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 구조의 측단면도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평판(12) 및 지지기둥(14)을 갖는 배수판(10)과, 상기 배수판(10)의 상측에 위치되는 누름철망(30)을 포함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는 상기 제 3 실시예의 개구부(16')의 가장자리에서 중앙기둥부(18)가 연장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3 실시예의 배수판 결합 구조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중앙기둥부(18)는 지지기둥(14)이 누름콘크리트(6)의 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기둥(14)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구부(16')의 가장자리에서 그 수직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기둥(14)이 누름콘크리트(6)의 하중을 지지할 때, 개구부(16')의 개방된 구조에 의해 일부 저하된 지지력이 상기 중앙기둥부(18)로 인하여 향상됨으로써, 지지기둥(14)이 보다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고, 견고한 지하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의한 보강망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저면도로서, 바닥콘크리트(5 : 도 4b 도시)의 상태 또는, 망의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는 보강망(17)의 몇 가지 예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보강망(17)이 하기의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다.
먼저, 도 5a의 보강망(17)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격자형의 사각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누름콘크리트(6: 도 4b 도시)의 과도한 유출을 방지 및 배수판(10: 도 4b 도시)이 잘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5b는 보강망(17')이 다수 개의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 5a의 보강망(17)보다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미려함을 느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5c는 보강망(17'')이 다수 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 5a 또는 상기 도 5b의 보강망(17)보다 각지도록 형성되므로, 재질에 따라 보다 견고하도록 구성되어, 개구부(16: 도 4b 도시)의 개방된 구조로 인하여 변형이 잘 되도록 형성된 배수판(10: 도 4b 도시)이 잘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c의 보강망(17'')은 상기 도 5a의 보강망(17)에 비하여 보다 촘촘하게 형성되므로, 누름콘크리트(6: 도 4b 도시)의 유출이 적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d의 보강망(17''')은 상기 도 5c의 보강망(17'')보다 각지도록 다수 개의 육각형으로 이루어지는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 5c의 보강망(17'')보다 더 견고하게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배수판(10: 도 4b 도시)이 더욱 안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배수판에 구비되는 보강지지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도 6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 구조의 측단면도로서, 상기 제 5 실시예의 배수판 결합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평판(12) 및 지지기둥(14)을 갖는 배수판(10)과, 상기 배수판(10)의 상측에 위치되는 누름철망(30)을 포함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서 보강지지부(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배수판 결합 구조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보강지지부(20)는 지지기둥(14)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누름콘크리트(6)가 유입되는 지지기둥(14)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내주면부(24) 및 배수로(25)가 형성되도록 한 지지기둥(14)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부(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주면부(22)는 그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보강지지부(20)가 지지기둥(14)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보강지지부(20)가 지지기둥(14)보다 넓은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지지기둥(14)의 하단부를 보강시킴으로써, 지지기둥(14)이 누름콘크리트(6)를 지지할 때, 보강지지부(20)로 인하여, 누름콘크리트(6)의 하중이 어느 한곳으로 몰리지 않고 지지기둥(14)의 여러 부위로 분산되도록 하여, 지지기둥(14)이 보다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고, 보다 견고한 지하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지기둥(14) 내부로 유입된 누름콘크리트(6)가 개구부(16)를 통하여 유출 및 지지기둥(14)의 들뜬 부분에 메워지게 되면서, 보강지지부(20)의 저면으로 누름콘크리트(6)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저면의 단면적 또한 지지기둥(14)보다 넓은 단면적으로 구성되므로, 누름콘크리트(6)에 보강지지부(20)가 견고하게 위치하게 되고, 지지기둥(14)이 보다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 6 실시예의 배수판 결합 구조는 상기 제 5 실시예의 평판(12) 및 지지기둥(14)을 갖는 배수판(10)과, 상기 배수판(10)의 상측에 위치되는 누름철망(30)을 포함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서 보강지지부(20)의 형태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5 실시예의 배수판 결합 구조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 6 실시예의 보강지지부(20)는 지지기둥(14)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누름콘크리트(6)가 유입되는 지지기둥(14)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내주면부(24) 및 배수로(25)가 형성되도록 한 지지기둥(14)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부(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주면부(24)는 그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보강지지부(20)가 지지기둥(14)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 및 지지기둥(14)의 하단부를 보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보강지지부(20)로 인하여, 지지기둥(14)이 누름콘크리트(6)를 지지할 때, 누름콘크리트(6)의 하중이 어느 한곳으로 몰리지 않고 지지기둥(14)의 여러 부위로 분산됨으로써, 지지기둥(14)이 보다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고, 보다 견고한 지하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지지기둥(14) 내부로 유입된 누름콘크리트(6)가 개구부(16)를 통하여 유출 및 지지기둥(14)의 들뜬 부분에 메워지게 될 때, 보강지지부(20)의 내주면부(24)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만큼의 개구부(16)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어, 개구부(16)를 통하여 유출되는 누름콘크리트(6)의 양이 상기 제 5 실시예보다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6 실시예의 배수판 결합 구조는 상기 제 5 실시예에 비하여 비교적 평평한 바닥콘크리트(5)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7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제 7 실시예의 배수판 결합 구조는 상기 제 5 실시예의 평판(12) 및 지지기둥(14)을 갖는 배수판(10)과, 상기 배수판(10)의 상측에 위치되는 누름철망(30)을 포함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서 외주면부(22)가 돌출 형성된 보강지지부(20)의 그 내주면부(24)도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제 7 실시예의 보강지지부(20)의 형상이 상기 제 5 실시예의 보강지지부(20) 및 상기 제 6 실시예의 보강지지부(20)의 특징을 모두 갖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효과 또한, 상기 제 5 실시예의 보강지지부(20) 및 상기 제 6 실 시예의 보강지지부(20)의 특징을 모두 갖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 7 실시예의 보강지지부(20)는 지지기둥(14)보다 넓은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지지기둥(14)의 하단부를 보강시키게 되며 이때, 보강지지부(20)로 인하여 누름콘크리트(6)의 하중이 어느 한곳으로 몰리지 않고 지지기둥(14)의 여러 부위로 분산되며, 돌출 형성된 보강지지부(20)의 내주면부(24) 만큼 개구부(16)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어, 개구부(16)를 통하여 유출되는 누름콘크리트(6)의 양 또한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7 실시예의 보강지지부(20)를 갖는 배수판 결합 구조는 상기 제 5 실시예에 비하여, 지지하여야 할 누름콘크리트(6)의 하중이 크면서, 비교적 평평한 바닥콘크리트(5)의 상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7 실시예에 의한 보강지지부(20)의 그 외주면부(22) 및 내주면부(24)는 돌출되어 그 하방으로 갈수록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당연하고, 시공 현장에 따라, 하기 도 6d 및 도 6e의 보강지지부(20)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8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제 8 실시예의 배수판 결합 구조는 상기 제 7 실시예의 평판(12) 및 지지기둥(14)을 갖는 배수판(10)과, 상기 배수판(10)의 상측에 위치되는 누름철망(30)을 포함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서 보강지지부(20)의 형태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보강지지부(20)는 그 외주면부(22) 및 내주면부(24)가 사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기둥(14)의 측방에서 바라보는 상기 보강지지부(20)의 일측 단면은 상기 지지기둥(14)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보강지지부(20)가 사각 형상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면, 보강지지부(20)의 저면이 지지기둥(14)의 들뜬 부분에 메워지는 누름콘크리트(6)에 위치될 때, 상기 저면의 단면적이 지지기둥(14)보다 넓은 단면적으로 구성되어, 누름콘크리트(6)에 보강지지부(20)가 견고하게 위치하게 되므로, 지지기둥(14)이 더욱 견고하게 지하층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9 실시예에 의한 배수판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e를 참조하면, 상기 제 9 실시예의 배수판 결합 구조는 상기 제 7 실시예의 평판(12) 및 지지기둥(14)을 갖는 배수판(10)과, 상기 배수판(10)의 상측에 위치되는 누름철망(30)을 포함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서 보강지지부(20)의 형태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즉, 보강지지부(20)는 그 외주면부(22) 및 내주면부(24)가 반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기둥(14)의 측방에서 바라보는 상기 보강지지부(20)의 일측 단면 형상은 상기 지지기둥(14)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보강지지부(20)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면, 배수판(10)의 지지기둥(14) 내부로 누름콘크리트(6)가 타설될 때, 지지기둥(14)의 개구부(16)를 통하여 유출되는 누름콘크리트(6)가 원형의 라운드진 보강지지부(20)를 타고 용이하게 유출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 7 실시예 또는 상기 제 8 실시예에 비하여, 바닥콘크리트(5)의 상태가 비교적 고르지 못하여 지지기둥(14)의 들뜬 부분이 큰 경우, 상기 제 9 실시예의 보강지지부(20)를 사용함으로써, 누름콘크리트(6)가 지지기둥(14)의 들뜬 부분에 더욱 용이하게 메워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결합 구조는 배수판이 바닥콘크리트 상에 설치된 후, 누름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바닥콘크리트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은 상태에서, 별도의 높이 조절 없이 상기 배수판의 지지기둥이 상기 바닥콘크리트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배수판이 들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수판 결합 구조는 바닥콘크리트에 설치된 배수판을 작업자가 밟아도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 있어서,
    평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로 콘크리트가 유출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수판; 및
    상기 평판의 타측 표면 넓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형 구조의 누름철망;
    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 전체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보강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강지지부는 외주면부 및 내주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부는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
  8.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 있어서,
    평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로 콘크리트가 유출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수판; 및
    상기 평판의 타측 표면 넓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형 구조의 누름철망;
    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 전체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보강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강지지부는 외주면부 및 내주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의 내주면부는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
  9.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 있어서,
    평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로 콘크리트가 유출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수판; 및
    상기 평판의 타측 표면 넓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형 구조의 누름철망;
    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 전체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보강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강지지부는 외주면부 및 내주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외주면부는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주면부는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
  10.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 있어서,
    평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로 콘크리트가 유출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수판; 및
    상기 평판의 타측 표면 넓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형 구조의 누름철망;
    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 전체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보강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기둥의 측방에서 바라보는 상기 보강지지부의 일측 단면 형상은 상기 지지기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
  11.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결합 구조에 있어서,
    평판의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지지기둥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로 콘크리트가 유출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수판; 및
    상기 평판의 타측 표면 넓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그 상부에 배치되는 격자형 구조의 누름철망;
    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 전체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보강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기둥의 측방에서 바라보는 상기 보강지지부의 일측 단면 형상은 상기 지지기둥의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판 결합 구조.
KR1020070024310A 2007-03-13 2007-03-13 배수판 결합 구조 KR100843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310A KR100843784B1 (ko) 2007-03-13 2007-03-13 배수판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310A KR100843784B1 (ko) 2007-03-13 2007-03-13 배수판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3784B1 true KR100843784B1 (ko) 2008-07-03

Family

ID=3982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310A KR100843784B1 (ko) 2007-03-13 2007-03-13 배수판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281B1 (ko) * 2012-04-16 2014-05-19 홍종화 단열배수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509Y1 (ko) 2005-02-23 2005-05-04 엄기형 결로방지용 배수판
KR20050110305A (ko) * 2004-05-18 2005-11-23 엄기형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지하층 바닥시공방법
KR200422102Y1 (ko) * 2006-04-21 2006-07-24 박인구 토목공사의 지하수 배수용 배수판
KR200431560Y1 (ko) * 2006-09-07 2006-11-23 박옥교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결합구조
KR200436480Y1 (ko) 2006-10-19 2007-08-27 박옥교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결합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305A (ko) * 2004-05-18 2005-11-23 엄기형 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지하층 바닥시공방법
KR200383509Y1 (ko) 2005-02-23 2005-05-04 엄기형 결로방지용 배수판
KR200422102Y1 (ko) * 2006-04-21 2006-07-24 박인구 토목공사의 지하수 배수용 배수판
KR200431560Y1 (ko) * 2006-09-07 2006-11-23 박옥교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결합구조
KR200436480Y1 (ko) 2006-10-19 2007-08-27 박옥교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결합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281B1 (ko) * 2012-04-16 2014-05-19 홍종화 단열배수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3398B1 (ko) 셀구조의 격자형 구조체를 이용한 터널구조물의 라이닝구조
KR100905432B1 (ko) 집수정 결합구조
KR200431560Y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결합구조
KR100843784B1 (ko) 배수판 결합 구조
KR100679480B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KR100734047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설치 공정
KR200291960Y1 (ko) 금속재 집수정
KR101495997B1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KR200433220Y1 (ko) 집수정 구조체
JP7163661B2 (ja) サクション基礎構造体
KR100489336B1 (ko) 강재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
KR200436480Y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결합 구조체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JP5271720B2 (ja) 土間廻り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789216B1 (ko) 네일건을 사용하여 시공되는 배수판결합구조 및 이를이용한 배수판시공방법
KR200436636Y1 (ko) 누름철망이 구비되는 배수판결합 구조체
KR100326868B1 (ko) 배수판 및 배수판을 이용한 건물 지하 배수방법
JP2007092293A (ja) マンホール管の埋設構造
KR20200131800A (ko)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KR20200122081A (ko) 주차장의 누름콘크리트 들뜸방지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7218072A (ja) マンホール
KR100766850B1 (ko) 바닥콘크리트층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집수정 구조체 설치공정
KR20080045597A (ko)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KR20080074057A (ko) 이중 합성벽체 집수정 구조체
CN220598645U (zh) 基坑边坡支护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