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095B1 - 선호색 재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호색 재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095B1
KR100843095B1 KR1020060127296A KR20060127296A KR100843095B1 KR 100843095 B1 KR100843095 B1 KR 100843095B1 KR 1020060127296 A KR1020060127296 A KR 1020060127296A KR 20060127296 A KR20060127296 A KR 20060127296A KR 100843095 B1 KR100843095 B1 KR 100843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conversion
input image
area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4766A (ko
Inventor
곽영신
홍지영
남건우
박두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7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095B1/ko
Priority to US11/837,879 priority patent/US8254673B2/en
Publication of KR20080054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4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58Reduction of colour to a range of reproducible colours, e.g. to ink- reproducible colour gam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호색 재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색 재현 장치는 입력 영상의 색 분포를 분석하는 색 분포 분석 모듈과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주요색을 추출하는 주요색 추출 모듈과, 상기 입력 영상 내에서의 상기 추출된 주요색 분포를 기초로 하여 색공간 내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변환 영역을 결정하는 변환 영역 판단 모듈 및 상기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색 중에서 상기 결정된 변환 영역에 속하는 색을 변환시키는 색 변환 모듈을 포함한다.
선호색, 색역

Description

선호색 재현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a preferred color}
도 1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색 재현 장치를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색 재현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영상을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변환 영역을 색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변환 영역을 색처리하는 또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호색 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호색 재현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환 영역 판단을 위해 사용하는 강조색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00: 선호색 재현 장치
310: 색 분포 분석 모듈
320: 주요색 추출 모듈
330: 변환 영역 판단 모듈
340: 색 변환 모듈
350: 파라미터 저장 모듈
360: 디스플레이 모듈
본 발명은 선호색 재현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 영상의 색 분포를 분석하여 색공간 내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특정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특정 영역에 속하는 색을 다른 색으로 변환시키는 선호색 재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영상 중 특정한 색을 더욱 강조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색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색변환 방법을 도 1에 도시된 그래프를 이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영상 의 색분포를 분석한다. 이 때, 분석된 색분포 결과는 YCbCr 색공간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과 같은 그래프에 대한 정보를 이미 갖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 1에서는 YCbCr 색공간 내의 특정 영역인 A 영역(120)과 B 영역(130)이 도시되어 있는데, 만일 상기 분석된 색분포 결과, 입력된 영상을 구성하는 임의의 화소에 대한 색 정보가 A 영역(120) 또는 B 영역(130)에 속하는 경우, 해당하는 화소의 색 정보는 이미 설정된 다른 색, 즉 선호색으로 변환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색공간내에서 하나의 영역에 대해서만 색변환을 수행하여 최종으로 원하는 색, 즉 선호색으로 변환하였으므로, 만일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색공간 내에 복수의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영역에 속하는 색을 모두 변환하기 위해서는 순차적으로 A 영역에 속하는 화소의 색정보를 변환시킨 후, B 영역에 속하는 화소의 색정보를 변환시키는 방법을 취하였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A 영역과 B 영역이 겹치는 부분(140)이 발생하는 경우, 겹친 부분에 속하는 화소는 의도하지 않았던 색으로 변환되어 결국 출력 영상에 왜곡이 발생하거나 화질의 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나의 색 공간내에서 특정한 선호색으로 변환하고자 하는 색 영역(예를 들어, 도 1에서의 A 영역과 B 영역이 여기에 해당하고, 이와 같은 색 영역을 이하에서는 '변환 영역'이라 칭하기로 한다)이 서로 겹치더라도, 변환 영역에 속하는 색을 선호색으로 변환하려고 하는 경우, 출력 영상의 왜곡이나 화질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출력된 영상에 대하여 만족감을 느끼게 하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색 공간내에 복수의 변환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서로 겹치는 변환 영역이 존재하더라도 출력 영상에서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입력된 영상의 색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색 재현 장치는 입력 영상의 색 분포를 분석하는 색 분포 분석 모듈과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주요색을 추출하는 주요색 추출 모듈과, 상기 입력 영상 내에서의 상기 추출된 주요색 분포를 기초로 하여 색공간 내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변환 영역을 결정하는 변환 영역 판단 모듈 및 상기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색 중에서 상기 결정된 변환 영역에 속하는 색을 변환시키는 색 변환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색 재현 방법은 입력 영상의 색 분포를 분석하여 주요색을 추출하는 (a) 단계와, 상기 추출된 주요색의 분포를 기초로 하여 색공간 내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변환 영역을 결정하는 (b) 단계 및 상기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색 중에서 상기 결정된 변환 영역에 속하는 색을 변환시키는 (c)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호색 재현 방법은 입력 영상의 색 분포를 분석하여 주요색을 추출하는 (a) 단계와, 상기 추출된 주요색이 상기 입력 영상 내에서 일정 부분 이상을 차지하는지 검사하는 (b) 단계와, 상기 (b) 단계에서 일정 부분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강조색에 대한 변환 영역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기억색에 대한 변환 영역을 선택하는 (c) 단계 및 상기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색 중에서 상기 선택된 변환 영역에 속하는 색을 변환시키는 (d)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선호색 재현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 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예를 들어 YCbCr 색공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역(210) 내부에는 3개의 변환 영역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A 영역(220)과 B 영역(230)은 입력 영상에서의 주요색 유무에 따라 배타적으로 선택이 되거나(즉, 선택이 되더라도 A 영역과 B 영역에 동시에 선택되지는 않는다), 두 변환 영역이 모두 선택되더라도 두 변환 영역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어느 하나의 변환 영역만이 선택된다.
따라서, A 영역(220)과 B 영역(230)이 서로 겹치는 부분(250)에서는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한 색처리만이 수행되기 때문에 출력 영상에서의 왜곡이나 화질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만일,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임의의 화소에 대한 색 정보가 A 영역(220), B 영역(230) 그리고 C 영역(240)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속한다면, 해당하는 변환 영역에 대한 색처리가 수행되며, 특히 A 영역(220)과 B 영역(230)이 서로 겹치는 부분(250)에 속한다면, A 영역(220)과 B 영역(230) 중 선택된 변환 영역에 대한 색처리가 수행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호색 재현 장치를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호색 재현 장치(300)는 색 분포 분석 모듈(310), 주요색 추출 모듈(320), 변환 영역 판단 모듈(330), 색 변환 모듈(340), 파라미터 저장 모듈(350)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360)을 포함한다.
색 분포 분석 모듈(310)은 입력 영상을 일정한 구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역에 속하는 화소에 대한 색 정보를 분석한다.
주요색 추출 모듈(320)은 색 분포 분석 모듈(310)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각각의 구역을 대표하는 주요색을 추출한다.
변환 영역 판단 모듈(330)은 입력 영상에서 상기 추출된 주요색의 분포를 검사하여 어떠한 변환 영역을 선택할 지를 판단한다.
색 변환 모듈(340)은 상기 선택된 변환 영역에 속하는 화소들에 대하여 이미 설정되었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선호색으로 변환한다.
파라미터 저장 모듈(350)은 색 변환시 필요한 각종 파라미터를 저정하고, 디스플레이 모듈(360)은 색 변환 모듈(340)에 의해 변환된 영상을 출력한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각 모듈들간의 동작을 도 4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색 분포 분석 모듈(310)이 입력된 영상에 대한 색 분포를 분석하는데(S410), 분석 방법은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할 수 있다.
즉, 색 분포 분석 모듈(310)은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 영상을 일정한 격자 모양으로 나누어 다수의 셀(cell)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각각의 셀(cell)에 대하여 주요색을 추출하기 위한 화소 분포를 분석한다.
예컨대, 첫번째 셀이 20*20 = 400개의 화소로 이루어져 있고, 하나의 화소에 대한 색 정보가 0에서 255사이의 임의의 수로 표현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00개의 화소에 대한 색정보를 임의의 레벨(여기에서는 6개의 레벨)로 나누어 진 각 구간에 표시함으로써, 하나의 셀에 포함된 화소들에 대한 색정보 히스토그램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색정보 히스토그램을 통해 화소 분포를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즉, 색정보를 얻기 위하여 입력 영상이 RGB 영상이 경우 LCH(Lightness, Chroma, Hue) 영상으로 변환시킨 후, H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주요색 추출 모듈(320)에 의해 각각의 셀을 대표하는 주요색을 추출하는데(S420), 이를 도 5c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도 5c에 도시된 각 셀에서의 숫자는 도 5b에 도시된 레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첫번째 셀에 대한 색정보 히스토그램이 도 5b와 같은 경우에, 제6레벨 구간에 가장 많은 화소가 속하고 있으므로, 도 5c에 도시된 첫번째 셀에는 제6레벨을 나타내는 '6'이라는 숫자가 표시되는 것이다.
이 때, 제6레벨에 대응하는 색이 첫번째 셀에 대한 주요색(dominant color)이 되며, 각각의 레벨에 대응하는 색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여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모든 셀에 대하여 각각의 셀에 대한 주요색을 추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변환 영역 판단 모듈(330)은 추출된 주요색이 입력 영상 내에서 일정 부분 이상을 차지하는지 여부, 예컨대 입력 영상 내에서 N%이상의 연속된 영역을 차지하는 주요색이 있는지를 검사한다(S430).
예를 들어, 도 5c와 같은 테이블을 이용하면 하나의 입력 영상 내에서 제1 레벨과 제6레벨에 해당하는 셀이 어느 정도의 비율로 존재하는지, 즉, 입력 영상 내에서 제1 레벨과 제6레벨에 해당하는 셀의 면적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이를 그래프 형태로 표현하면 도 5d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5d에서, 제1 주요색(510)은 제1레벨에 대응하는 색을, 제2 주요색(520)은 제6레벨에 대응하는 색을 나타낸다.
만일, S430 단계에서 추출된 주요색이 입력 영상 내에서 이미 설정된 비율 이상을 차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색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거나, 이미 설정된 기본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기본 변환은 색공간 내의 특정 영역에 속하는 입력 영상의 화소를 이미 설정된 다른 색으로 변환하는 것을 말하여, 종래의 선호색 재현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별도의 색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S430 단계에서 추출된 주요색이 입력 영상 내에서 이미 설정된 비율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변환 영역 판단 모듈(330)이 추출된 주요색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이미 설정된 변환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40), 만일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별도의 색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하거나, 이미 설정된 기본 변환을 수행하게 된다. 도 4에서는 별도의 색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종료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만일, S440 단계에서, 추출된 주요색이 이미 설정된 변환 영역에 포함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색 변환 모듈(340)에 의해 변환 영역에 대한 입력 영상의 색처리가 수행된다(S450).
이 때, 변환 영역에 대한 입력 영상의 색처리 수행 방법에 대해서는 도 6a, 도 6b 및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변환 영역을 색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혹은 타원, 다각형) 모양으로 정의된 특정 색역(610) 내에 존재하는 입력 화소들의 색 정보값을 목표색(630)을 향해 이동하도록 변환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92394951-pat00001
여기에서, s는 0과 1사이의 상수를 나타내고, 색변환을 위한 파라미터로서 파라미터 저장 모듈(350)에 기저장될 수 있다.
이 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역 경계면과 목표색(630)에서는 색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 사이의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입력 색(620)에서 변환된 색(625)으로의 색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변환 영역을 색처리하는 또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각형(혹은 타원, 다각형) 모양으로 정의된 특정 색역(710) 내에 존재하는 입력 화소들의 색 정보값을 특정 벡터 방향, 예컨대, 기준색(720)에서 목표색(725)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92394951-pat00002
여기에서,
Figure 112006092394951-pat00003
는 입력색(730)을 나타내고,
Figure 112006092394951-pat00004
는 변환된 색(735)을 나타낸다.
이 때, 색역 경계에서는 색변환이 없도록 하여 자연스러운 색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와 같은 방법들외에도 변환 영역을 색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4-0053500호(2004.6.24. 공개)에 개시된 내용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람 눈에 민감한 피부(skin), 잔디(grass), 하늘(sky)과 같이 기억색(memory color) 및 강한 빨간 색(strong red color)나 강한 노란 색(strong yellow color)과 같은 강조색(accent color)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색으로 변환시키는 기술은 디스플레이 화질 향상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억색이나 강조색 모두 선호색으로 재현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나 기억색은 조금이라도 색재현이 잘못되었을 경우 사용자들에게 현저한 화질 저하로 느껴지는 반면, 빨간 색이나 노란 색과 같은 강조색들의 경우에는 화면 대부분을 그 특정 색을 가진 객체(object)가 있을 경우 선호색 재현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그런데,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환시키고자 하는 기억색이나 강조색들의 분포 영역이 서로 겹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을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입력 영상의 주를 이루는 주요색(dominant color)를 찾아낸 후 화면의 대부분을 강조색이 차지할 경우 강조색 변환을, 그 이외의 경우에는 기억색 변환을 시키도록 하는 방법으로 겹침 영역에 의한 문제를 할 수 있는바, 구체적인 방법에 도 9에 도시되고 있다.
우선, 색 분포 분석 모듈(310)이 입력된 영상에 대한 색 분포를 분석하고(S910), 주요색 추출 모듈(320)이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주요색을 추출한 후(S920), 변환 영역 판단 모듈(330)은 추출된 주요색이 입력 영상 내에서 일정 부분 이상을 차지하는지 여부, 예컨대 입력 영상 내에서 N%이상의 연속된 영역을 차지하는 주요색이 있는지를 검사한다(S930).
이 때, S910 내지 S930 사이의 구체적인 동작은 앞서 설명한 S410 내지 S430 에서 설명한 방법을 참조할 수 있다.
만일, S930 단계에서 추출된 주요색이 입력 영상 내에서 이미 설정된 비율 이상을 차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색 변환 모듈(340)에 의해 기억색의 변환 영역에 대한 색처리가 수행된다(S940).
그리고, S930 단계에서 추출된 주요색이 입력 영상 내에서 이미 설정된 비율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에, 변환 영역 판단 모듈(330)은 추출된 주요색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빨간 색 변환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950), 만일 포 함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색 변환 모듈(340)에 의해 빨간 색 변환 영역에 대한 색처리가 수행된다(S960).
또한, S950 단계에서 추출된 주요색이 빨간 색 변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변환 영역 판단 모듈(330)은 추출된 주요색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노란 색 변환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970), 만일 포함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색 변환 모듈(340)에 의해 노란 색 변환 영역에 대한 색처리가 수행된다(S980).
만일, S970 단계에서 추출된 주요색이 노란 색 변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입력 영상에 대하여 별도의 색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디스플레이 모듈(360)을 통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 때, 기억색 변환 영역, 빨간 색 변환 영역 또는 노란 색 변환 영역에 대한 색처리 방법은 앞서 S45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변환 영역 판단 모듈(330)에서 변환 영역 판단을 사용하는 강조색 영역은 도 1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채도가 높은 색들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피부(skin)이나 잔디(grass)와 같은 기억색들이 강조색으로 잘못 판단되는 경우를 최소화하며 채도가 비교적 높은 강조색이 들어올 경우에만 선호색 변환을 하여 색변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 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을 따르게 되면 색 공간내에 선호색을 얻기 위한 복수의 변환 영역이 서로 겹쳐지게 되더라도 출력된 영상이 왜곡되거나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입력 영상의 색 분포를 분석하는 색 분포 분석 모듈;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주요색을 추출하는 주요색 추출 모듈;
    상기 추출된 주요색의 상기 입력 영상 내에서의 분포를 기초로 하여 색공간 내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변환 영역을 결정하는 변환 영역 판단 모듈; 및
    상기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색 중에서 상기 결정된 변환 영역에 속하는 색을 변환시키는 색 변환 모듈을 포함하는 선호색 재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색은 상기 입력 영상의 분할된 영역을 대표하는 색인, 선호색 재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영역 판단 모듈은 상기 추출된 주요색의 면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색공간 내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변환 영역을 결정하는, 선호색 재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 변환 모듈은 상기 결정된 변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입력 화소들의 색 정보값을 목표색을 향해 이동하도록 변환시키는, 선호색 재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영역의 경계면과 상기 목표색에서는 색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 사이의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색변환이 이루어지는, 선호색 재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 변환 모듈은 상기 결정된 변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입력 화소들의 색 정보값을 기준색에서 목표색으로의 벡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선호색 재현 장치.
  7. 입력 영상의 색 분포를 분석하여 주요색을 추출하는 (a) 단계;
    상기 추출된 주요색의 상기 입력 영상 내에서의 분포를 기초로 하여 색공간 내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변환 영역을 결정하는 (b) 단계; 및
    상기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색 중에서 상기 결정된 변환 영역에 속하는 색을 변환시키는 (c) 단계를 포함하는 선호색 재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색은 상기 입력 영상의 분할된 영역을 대표하는 색인, 선호색 재현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추출된 주요색의 면적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색공간 내에서 처리하고자 하는 변환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인, 선호색 재현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결정된 변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입력 화소들의 색 정보값을 목표색을 향해 이동하도록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호색 재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영역의 경계면과 상기 목표색에서는 색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 사이의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색변환이 이루어지는, 선호색 재현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결정된 변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입력 화소들의 색 정보값을 기준색에서 목표색으로의 벡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호색 재현 방법.
  13. 입력 영상의 색 분포를 분석하여 주요색을 추출하는 (a) 단계;
    상기 추출된 주요색이 상기 입력 영상 내에서 일정 부분 이상을 차지하는지 검사하는 (b) 단계;
    상기 (b) 단계에서 일정 부분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강조색에 대한 변환 영역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기억색에 대한 변환 영역을 선택하는 (c) 단계; 및
    상기 입력 영상을 구성하는 색 중에서 상기 선택된 변환 영역에 속하는 색을 변환시키는 (d) 단계를 포함하는 선호색 재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추출된 주요색의 면적 정보를 기초로 하는, 선호색 재현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강조색은 빨간 색 또는 노란 색 중 어느 하나인, 선호색 재현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색에 대한 변환 영역과 상기 강조색에 대한 변환 영역은 일부 영역이 겹쳐지는, 선호색 재현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선택된 변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입력 화소들의 색 정보값을 목표색을 향해 이동하도록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호색 재현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영역의 경계면과 상기 목표색에서는 색변환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 사이의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색변환이 이루어지는, 선호색 재현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선택된 변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입력 화소들의 색 정보값을 기준색에서 목표색으로의 벡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호색 재현 방법.
KR1020060127296A 2006-12-13 2006-12-13 선호색 재현 장치 및 방법 KR100843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296A KR100843095B1 (ko) 2006-12-13 2006-12-13 선호색 재현 장치 및 방법
US11/837,879 US8254673B2 (en) 2006-12-13 2007-08-13 Apparatus and method of color converting a dominant col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296A KR100843095B1 (ko) 2006-12-13 2006-12-13 선호색 재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766A KR20080054766A (ko) 2008-06-19
KR100843095B1 true KR100843095B1 (ko) 2008-07-03

Family

ID=3952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296A KR100843095B1 (ko) 2006-12-13 2006-12-13 선호색 재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54673B2 (ko)
KR (1) KR100843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0153B2 (en) * 2012-02-07 2013-12-03 Zencolo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normalization and codification of colors for dynamic analysis
CN105580006B (zh) * 2013-02-07 2017-03-08 禅色公司 基于颜色进行识别、搜索和匹配产品的系统和方法
BR122022001646B1 (pt) 2014-03-04 2023-03-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ositivo de memória ou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método e sistema de computador
US10182241B2 (en) * 2014-03-04 2019-01-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coding strategies for adaptive switching of color spaces, color sampling rates and/or bit depths
BR112016021529B1 (pt) 2014-03-27 2023-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ositivo de computação, método e meio legível por computador para ajuste de quantização/escalada e quantização/escalada inversa ao alternar áreas de cor
CN106416238A (zh) 2014-05-29 2017-02-15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图像处理的方法和装置
US10687069B2 (en) 2014-10-08 2020-06-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justments to encoding and decoding when switching color spaces
KR20170045521A (ko) * 2015-10-19 2017-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15312B1 (ko) 2017-10-30 2022-07-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색 변환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색 변환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3911A (ja) * 2000-02-14 2001-08-17 I-Chips Technology Inc カラー画像処理方法及びカラー画像処理装置
JP2002044469A (ja) 2000-07-21 2002-02-08 Noritsu Koki Co Ltd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0830B2 (ja) 1996-08-30 2006-03-01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における色補正装置
JPH10301948A (ja) 1997-04-25 1998-11-1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画像および映像検索方法
KR100266588B1 (ko) 1997-12-09 2000-09-15 구자홍 기호색 보상방법
JPH11250222A (ja) * 1998-02-27 1999-09-17 Canon Inc 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3506958B2 (ja) 1998-09-10 2004-03-1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記録媒体
KR100450793B1 (ko) 2001-01-20 200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역 분할된 영상의 영역 특징치 정합에 기초한객체추출장치 및 그 방법
TWI231701B (en) * 2001-06-14 200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utomatic tone correction device, automatic tone correction method, and tone correction program recording medium
KR200262557Y1 (ko) 2001-11-12 2002-03-18 (주)웰파인 음성변조가 가능한 송수화 장치
JP4094346B2 (ja) 2002-06-12 2008-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装置、撮像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4118442A (ja) * 2002-09-25 2004-04-15 Nec Corp 画像色補正装置、画像色補正方法ならびに画像色補正用プログラム
KR100543698B1 (ko) 2002-12-14 200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신호의 피부색 재현 장치 및 방법
KR100714395B1 (ko) 2005-02-22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영상의 색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색변환 장치 및 그방법
US7953273B2 (en) * 2006-07-26 2011-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ying arrangement of colors
US7809185B2 (en) * 2006-09-21 2010-10-05 Microsoft Corporation Extracting dominant colors from images using classification techniques
KR200453500Y1 (ko) 2010-11-22 2011-05-09 주인회 너트 검사기가 구비된 스프링 너트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3911A (ja) * 2000-02-14 2001-08-17 I-Chips Technology Inc カラー画像処理方法及びカラー画像処理装置
JP2002044469A (ja) 2000-07-21 2002-02-08 Noritsu Koki Co Ltd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44929A1 (en) 2008-06-19
KR20080054766A (ko) 2008-06-19
US8254673B2 (en)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095B1 (ko) 선호색 재현 장치 및 방법
KR100791380B1 (ko) 보색 대비를 이용하여 영상을 향상하는 방법 및 장치
US8244056B2 (en) Image contrast enhanc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060001928A1 (en) Image data processing of color image
KR100843088B1 (ko) 광색역 공간의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US979269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6028381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CN109949248B (zh) 修改车辆在图像中的颜色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9965881B2 (en) Method for generating image and image generation system
JPH104215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
JP2006332908A (ja) カラー画像表示装置、カラー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4853560B2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462171B2 (en) Saturation contrast image enhancement
JP2022022878A (ja)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6372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083516B2 (en) Method for segmenting a color image and digital microscope
KR102160247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0187722A (ja) 画像処理パラメータの決定方法およびその処理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631100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1011134B2 (en)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encoded with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readable by computer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hich can enhance zes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5227651B2 (ja) 映像変換装置、映像変換方法および映像変換プログラム
JP5035646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069599B2 (ja) 映像変換装置、映像変換方法および映像変換プログラム
JP2008312177A (ja) 映像階調変換装置、映像階調変換方法、映像階調変換プログラム
JP526780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