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767B1 - 접철식 행어 - Google Patents

접철식 행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767B1
KR100842767B1 KR1020070020764A KR20070020764A KR100842767B1 KR 100842767 B1 KR100842767 B1 KR 100842767B1 KR 1020070020764 A KR1020070020764 A KR 1020070020764A KR 20070020764 A KR20070020764 A KR 20070020764A KR 100842767 B1 KR100842767 B1 KR 100842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der member
holder
brace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만
Original Assignee
박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만 filed Critical 박종만
Priority to KR1020070020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7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1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ymbol bearing or form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65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on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91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modul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단이 힌지점(h)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2); 상기 힌지점(h)을 포함하는 지주(4); 일단은 상기 지주(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부재(2)에 연결되는 버팀대(6)로 구성되는 행어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와 상기 지주(4)의 접철구조로서; 상기 지주(4)에 끼워져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고, 스커트부(8a)에 둘레를 따라 1개 이상 마련되는 절개홈(10)에 의해 내경이 좁혀질 수 있으며, 상기 스커트부(8a) 외면에 테이퍼부(8b)가 형성되는 홀더부재(8); 상기 홀더부재(8)의 외측에 그와 일체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핀끼움공(18)을 가지는 브래킷(14); 상기 홀더부재(8)의 외측에 끼워지는 링부재(20); 일단은 상기 링부재(20)와 일체가 된 상태에서 고정핀(1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상기 홀더부재(8)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버팀대(6)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행어를 개시한다.
행어, 빨래건조대, 선반, 접철식

Description

접철식 행어{foldable hang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어의 주요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사용상태 설명하기 위한 위와 같은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홀더부재(8)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부착용 행어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6는 종래 빨래건조대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받침부재 4 ; 지주
6 ; 버팀대 8 ; 홀더부재
8b ; 테이퍼부 14 ; 브래킷
16 ; 고정핀 20 ; 링부재
22 ; 링크부재
본 발명은 행어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이 어느 기준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형 요소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접펴지거나 펼쳐져 고정되도록 하는 접철식 행어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접철식 빨래건조대 또는 그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선반 또는 행어(hanger)이다. 이하에서는 빨래건조대에 적용되는 사례를 대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빨래건조대가 도 6의 측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빨래건조대(이하, "건조대"라 함)는, 시옷(∧)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는 지주(100); 빨래를 널기 위한 것으로서, 날개를 펼치거나 접듯 양쪽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 연결되는 받침판(102); 그 받침판(102)이 소정 각도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받침판(102)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지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버팀대(104)를 포함한다. 여기서 받침판(102)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받침살(106)을 가진다.
건조대를 설치할 경우 사용자는 버팀대(104)를 들어 올린후 어느 하나의 받침살(106)에 걸어 놓는 방식으로 받침판(102)을 펼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받침살(106) 간의 간격은 불가피하게 이격되어 있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받침판(102)을 설치할 수 있는 각도는 극히 한정되어 있다. 즉, 설치된 받침살(106)의 개수에 대응되는 몇개의 각도만으로 받침판(102)을 고정시킬 수 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버팀대(104)를 고정시키기 위해 실제로 사용되는 받침살(106)은 1~2개로 한정되게 된다. 받침살(106)은 통상 그 직경이 작아 강도면에서 취약하다. 그러므로, 받침살(106)은 버팀대(104)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장기간 받게 되면 피로에 의해 휘거나 꺽여지는 경우가 많았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단이 어느 기준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형 부재를, 상기 기준점이 설치되는 기준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펼쳐 고정되도록 하는 접철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임의의 각도로 용이하게 받침판을 펼쳐 설치할 수 있는 빨래건조대와 같은 접철식 행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일단이 힌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 상기 힌지점을 포함하는 지주; 일단은 상기 지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부재에 연결되는 버팀대로 구성되는 행어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지주의 접철구조로서;
상기 지주에 끼워져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고, 스커트부에 둘레를 따라 1개 이상 마련되는 절개홈에 의해 내경이 좁혀질 수 있으며 상기 스커트부 외면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홀더부재; 상기 홀더부재의 외측에 그와 일체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핀끼움공을 가지는 브래킷; 상기 홀더부재의 외측에 끼워지되 상기 테이퍼부를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링부재; 일단은 상기 링부재와 일체가 된 상태 에서 상기 핀끼움공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상기 홀더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버팀대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행어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행어의 접철구조의 구성요소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이 건조대에 적용되는 경우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홀더부재의 배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핵심사항인 접철구조는, 일단이 힌지점(h)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2); 상기 힌지점(h)을 포함하는 지주(4); 일단은 상기 지주(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부재(2)에 연결되는 버팀대(6)를 기본적 구성요소로 하는 행어(hanger)에 적용된다. 여기서 행어는 포괄적 의미로 사용되며 물건을 올려 놓기 위한 선반, 소정의 물건을 매달기 위한 수단, 빨래를 건조시키기 위해 거치시키기 위한 빨래건조대를 모두 포함한다. 그러므로 받침부재(2)는 하나의 봉 또는 틀체가 될 수 있다. 지주(4)는 벽체에 고정 설치되는 형식 또는 시옷(∧)자 형상으로 설치되는 형식(도 2 참조, 빨래건조대의 경우)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대개의 경우 지주(4)는 수직방향에 유사하게 설치되고, 그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받침부재(2)는 수평방향에 유사하게 설치된다.
관체 형태의 홀더부재(8)는 파이프 형상의 지주(2)의 외주로 끼워져 그의 길 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홀더부재(8)의 스커트부(8a, 아래 부분)에는 버팀대(6)가 연결되는 방향으로 절개홈(10)이 나있다. 이 절개홈(10)에 의해 홀더부재의 스커트부(8a) 측벽은 절개홈(10)의 끝선을 고정점으로 하여 앞뒤로 약간씩 휠 수 있게 되어 있다(도 4 참조). 이로써 스커트부(8a)의 외부로부터 압착하는 힘이 주어질 때 홀더부재의 스커트부(8a)는 측벽의 움직임에 의해 면적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즉, 홀더부재(8)는 오므라들거나 벌려짐으로써 선택적으로 지주(2)의 외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홀더부재의 스커트부(8a)에는 아래방향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테이퍼부(8b)가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브래킷(14)이 홀더부재(8)의 외측에 그와 일체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브래킷(14)에는 고정핀(16)을 끼우기 위한 핀끼움공(18)이 타공되어 있다.
사각 형태의 링부재(20)는 홀더부재(8)의 외부로 끼워진다. 링부재(20)는 테이퍼부(8b)에 의해 홀더부재(8)로부터 아래방향으로 빠질 수 없는 크기를 가진다. 링부재(20)와 홀더부재(8)의 관계는 마치 쐐기와 같이 상호 밀착하여 결합될 수 있는 형국이다.
링크부재(22)는 링부재(20)로 하여금 핀끼움공(18)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홀더부재의 테이퍼부(8b)에 밀착하여 끼워지거나 빠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링크부재(22)의 일단은 상기 링부재(20)와 일체가 된 상태에서 상기 핀끼움공(1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상기 홀더부재(8)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버팀대(6)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부재(22)와 링부재(20)는 측면에서 볼때 니은(ㄴ) 형상을 가진다(도 2 내지 도 3 참조). 이 양자는 외력에 의해서도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도록 강한 강성을 유지하여야 할 것이다. 강성의 유지를 위해 양자의 형상은 도시된 것과 다르게 변형될 수 있다.
링크부재(22)는 고정핀(16)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홀더부재(8)의 스커트부(8a)를 압착하여 그의 단면적을 축소시키게 된다.
링크부재(22)의 일단은 링부재(20)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은 버팀대(6)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링크부재(22)의 타단에는 버팀대(6)를 끼우기 위한 버팀대연결공(24)이 마련된다. 버팀대(6)의 타단부는 받침부재(2)의 특정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도 2 참조).
위와 같은 접철구조에 의한 동작상태를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지주(4)를 기준으로 하여 받침부재(2)를 임의의 각도로 유동시킬 수 있는 상태(unlocking)를 도시하며, 도 3은 받침부재(2)를 특정 각도로 펼친 상태에서 고정시킨 상태(locking)를 도시한다.
도 2는 버팀대(6)와 지주(4)가 거의 평행을 이루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링부재(20)가 홀더부재의 테이퍼부(8b)를 압박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홀더부재(8)는 지주(4)를 따라 자재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화살표(A1) 방향으로 버팀대(6)를 밀어 올리게 되면, 링크부재(22)가 고정핀(16)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링크부재(22)가 회동하면 링부재(20) 역시 고정핀(16)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도 3의 상태가 된다.
도 3은 링부재(20)가 회전하여 홀더부재(8)의 테이퍼부(8b)에 쐐기처럼 끼워지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링부재(20)는 홀더부재(8)의 스커트부(8a)의 외벽을 압박하여 홀더부재(8)로 하여금 지주(4)에 밀착되게끔 한다. 이 상태에서 받침부재(2)에 아래방향으로 하중(W)이 가해지게 되면, 링크부재(22)의 회전력은 그 하중에 비례하여 점차 커지게 되고, 따라서 링부재(20)가 홀더부재(8)를 오므리고자 하는 힘 또한 점차 커지게 된다. 따라서 큰 하중(W)이 받침부재(2)에 가해져도 본 접철구조에 의한 행어의 내하중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게 된다.
도 3의 상태에서 다시금 받침부재(2)를 접고자 할 때에는, 버팀대(6)를 화살표(A2) 방향으로 젖혀 링부재(20)가 홀더부재(8)의 테이퍼부(8b)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즉, 도 2의 상태로 한 후) 홀더부재(8)를 손으로 잡고 지주(4)를 따라 하강시키면 된다. 이에 의해 임의의 각도로 받침부재(2)를 설치할 수 있는 접철구조가 제공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적용예를 도시하는 측면 구성도이다. 지주(4')는 천장과 바닥에 고정되는 기둥형식의 파이프일 수 있다. 받침부재(2')는 판재 또는 파이프 등이 될 수 있다. 버팀대(6')의 기능과 홀더부재(8')를 포함한 기타 구성요소는 전 실시예를 통해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도시 및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링부재(20)의 작용면을 요철면으로 하여 홀더부재(8)와의 마찰접촉을 공고히 할 수도 있을 것이며, 홀더부재(8) 내면에 고무재질의 부싱을 덧대어 마찰력을 상승시킬 수도 있겠다.
홀더부재(8)의 형상 또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때로는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덧붙일 수도 있을 것이다.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행어용 접철구조는 여러모로 활용될 수 있다. 중량물을 올려놓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매달기 위한 구조물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이 대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접철식 선반과 빨래건조대 또는 도 5의 천장 설치용 행어가 될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단이 힌지점(h)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 상기 제1 힌지점을 포함하는 지주; 일단은 상기 지주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부재에 연결되는 버팀대로 구성되는 행어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설치 각도를 사용자 편이에 따라 자재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받침부재의 설치 속도 및 편이성이 극히 향상되는 접철식 행어가 제공된다.

Claims (1)

  1. 일단이 힌지점(h)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2); 상기 힌지점(h)을 포함하는 지주(4); 일단은 상기 지주(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부재(2)에 연결되는 버팀대(6)로 구성되는 행어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와 상기 지주(4)의 접철구조로서;
    상기 지주(4)에 끼워져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고, 스커트부(8a)에 둘레를 따라 1개 이상 마련되는 절개홈(10)에 의해 내경이 좁혀질 수 있으며, 상기 스커트부(8a) 외면에 테이퍼부(8b)가 형성되는 홀더부재(8); 상기 홀더부재(8)의 외측에 그와 일체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핀끼움공(18)을 가지는 브래킷(14); 상기 홀더부재(8)의 외측에 끼워지되 상기 테이퍼부(8b)를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링부재(20); 일단은 상기 링부재(20)와 일체가 된 상태에서 상기 핀끼움공(18)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핀(1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상기 홀더부재(8)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버팀대(6)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행어.
KR1020070020764A 2007-03-02 2007-03-02 접철식 행어 KR100842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764A KR100842767B1 (ko) 2007-03-02 2007-03-02 접철식 행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764A KR100842767B1 (ko) 2007-03-02 2007-03-02 접철식 행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767B1 true KR100842767B1 (ko) 2008-07-01

Family

ID=3982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764A KR100842767B1 (ko) 2007-03-02 2007-03-02 접철식 행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55B1 (ko) * 2010-05-24 2010-09-07 김미량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접이식 빨래 건조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5996A (ja) 1994-03-24 1995-10-09 Sookoo Kk 日用品・物干し具スタンド用の摺動固定自在のストッパ及び、このストッパを用いた日用品・物干し具スタンド
KR200307490Y1 (ko) 2002-08-23 2003-03-26 주식회사 알루스 벽면 부착형 행거의 높이 조절장치
KR100717589B1 (ko) 2007-02-27 2007-05-15 박종만 접철식 행어
KR100732607B1 (ko) 2007-03-02 2007-06-27 이정숙 절첩식 빨래 건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5996A (ja) 1994-03-24 1995-10-09 Sookoo Kk 日用品・物干し具スタンド用の摺動固定自在のストッパ及び、このストッパを用いた日用品・物干し具スタンド
KR200307490Y1 (ko) 2002-08-23 2003-03-26 주식회사 알루스 벽면 부착형 행거의 높이 조절장치
KR100717589B1 (ko) 2007-02-27 2007-05-15 박종만 접철식 행어
KR100732607B1 (ko) 2007-03-02 2007-06-27 이정숙 절첩식 빨래 건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55B1 (ko) * 2010-05-24 2010-09-07 김미량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접이식 빨래 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589B1 (ko) 접철식 행어
KR100960813B1 (ko) 접철식 빨래건조대
US20080121598A1 (en) Towel holder
CA2658999A1 (en) A stool with telescopic legs
KR101048379B1 (ko)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접혀지는 빨래 건조대
CN201379273Y (zh) 便捷式横杆和置物架
CN110801140B (zh) 一种可收纳的便携式衣架
KR100842767B1 (ko) 접철식 행어
KR20180136173A (ko) 접이식 옷걸이
CN105768809A (zh) 一种可调节角度的衣架
KR101176288B1 (ko) 각도 조절 및 힌지 고정수단을 갖는 선반형 빨래 건조대
KR200453110Y1 (ko) 벽면 설치형 빨래 건조 조립체
KR200307537Y1 (ko) 벽면 부착형 행거의 걸이대 각도 조절구조
KR101976072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390393Y1 (ko) 접철식 빨래 건조대용 파이프 연결구
KR100656733B1 (ko) 빨래 건조대의 접철 연결 구조
KR101066142B1 (ko) 접철식 행거
KR100864955B1 (ko) 파라솔용 연결장치
KR20090010005U (ko) 행거봉 거치구
CN217419065U (zh) 一种多功能晾架及晾衣机
JP6055143B1 (ja) ハンガー
JP3169664U (ja) ハンガーの構造
KR20090003383U (ko) 착탈식 걸이대 및 이를 장착한 빨래 건조대
JP2005046586A (ja) 折り畳み式ハンガー掛け
KR200409827Y1 (ko) 빨래 건조대의 접철 연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