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236B1 -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 Google Patents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2236B1
KR100842236B1 KR1020070119647A KR20070119647A KR100842236B1 KR 100842236 B1 KR100842236 B1 KR 100842236B1 KR 1020070119647 A KR1020070119647 A KR 1020070119647A KR 20070119647 A KR20070119647 A KR 20070119647A KR 100842236 B1 KR100842236 B1 KR 100842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ylinder
panel
display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카
Priority to KR102007011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7Displays with power supply provided by solar cells or photoce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65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on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적을 최대화하여 이용하는 다목적 차량에 관한 것으로, 측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차량 내부의 유압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실린더에 의해 전후 및 상하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고 후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방한 상태에서 실린더를 구동하는 동작에 따라 측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즈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이를 활용하여 각종 도로상황에 따라 위급 상황시 도로의 차단 및 교통 안내를 하거나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태양광을 이용하는 태양전지 집전판을 마련하여 태양전지를 충전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보조 발전기와 함께 축전지를 충전하여 차량에 장착된 라이트와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전지 집진 면적을 극대화하여 이용하는 다목적 차량을 제공함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아우트리거(Out Rigger), 하이브리드(Hybrid), 동력인출장치(PTO: Power Take Off), 태양전지, 가변 디스플레이 패널, 다목적 차량, 유압시스템, 실린더, 각도 조절.

Description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THE MULTI FUNCTION CAR WHICH HAS A VARIABLE FORM SCREEN}
본 발명은 표면적을 최대화하여 이용하는 다목적 차량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측면과 후면에 교통상황에 따른 도로 차단 안내, 교통 안내표지 및 광고 등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되어 있고, 차량의 상부에는 태양에너지 집진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집전판이 장착어있는 다목적 차량에 관한 것이다.
즉, 광고 및 교통안내 표지등의 광고용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된 차량, 유압 시스템을 이용하여 가변 크기 디스플레이 패널,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이를 차량의 보조 전력으로 사용하는 기술분야 및 이에 응용되는 하이브리드 개념이 본 발명의 기술 분야라 할 것이다.
종래의 도로 교통 상황 통제를 위한 안내, 공연이나 광고 및 홍보를 위한 패널을 장착하여 운행되는 차량에 있어, 이와 같은 가변크기 패널을 이용하는 시스템은 전무한 실정이며, 상기 패널이 장착된 차량은 대부분 컨테이너를 탑재하는 대형 트럭으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컨테이너 측면 일측에 패널을 장착하거나 대형 패널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고정시키고 외부에 별도의 패널을 장착하는 시스템 이었다. 이로 인해 대형 패널을 사용하고자 하는 차량은 외부 부착과 고정으로 인해 트럭으로서의 활용이 제한되는 실정이었다.
또한, 종래의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차량은 태양광을 통하여 집광된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동력을 얻는데 사용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차량의 상부를 집전판으로 제작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된 집전판을 장착하고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는 단결정 실리콘 등의 소자로 태양광을 모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이를 차량구동을 위한 동력으로 사용하는 것이 연구되고 있으나, 태양전지 자동차의 성능은 가솔린 자동차에 훨씬 못 미치는 단계이며, 고성능 소자나 집광 시스템 개발 및 비가 오거나 흐린 날에도 달릴 수 있는 축전 기술 개발과 경량화와 비용절감 등의 문제가 있어 차량의 구동을 위한 동력으로의 사용한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고 도로 교통 상황 통제를 위한 안내, 공연이나 광고 및 홍보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하여 운행되는 차량에 있어 내부에 상기 패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발전설비를 탑재하고 있는 것으로, 차량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동력과는 별도의 발전설비를 구동하여야 함으로 전력소모가 심하고 장시간 영상을 송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동작시키기 위하여 보다 대형화된 발전설비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즉, 도로 교통 상황 통제를 위한 안내나 광고의 효과를 배가하기 위하여 더욱 넓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차량에 장착되는 패널의 크 기와 발전설비의 한계로 이를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배경기술에 기반하는 종래의 차량은 측면에 장착되는 도로 교통 상황 통제를 위한 안내 및 광고 내지 홍보를 위한 영상 송출용 디스플레이 패널이 차량의 규모에 따라 장착할 수 있는 크기가 고정되어 있고, 이를 차량에 일체형으로 고정하여 이동함으로써, 필요에 따른 화면 비율의 조절이나,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교체해야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별도의 보조 디스플레이 패널을 추가로 장착하거나 설치하는 경우 이를 탑재하기 위한 내부공간의 협소 문제와 전력공급을 위한 설비시설 증설에 따른 차량 공간활용의 효율을 저하시켜 전체적인 차량의 관리 효용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태양전지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다목적 차량은 태양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집전판이 차량 상단에 고정되어 있어, 태양의 방향과 입사각의 변화 및 계절과 위도에 따르는 태양광의 효율적인 집광이 곤란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즉, 태양광을 이용한 집전판은 집전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태양열판의 경우는 정면으로 받는 위치와 각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경우 태양 최 근접위도를 고려하여 남향으로 35도에서 60도 각도로 설치하고 태양광의 경우도 방위별 경사각도에 따른 태양광 에너지 강도 측정실험을 통하여 태양광시스템 최적이용에 적합한 최대 태양광을 받을 수 있는 경사각도를 산출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정형 집전판을 가지는 종래의 태양전지 차량은 이를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크기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가변적인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태양전지와 차량의 동력, 즉 하이브리드 개념에 의해 구동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 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차량의 상부에 마련되는 집전판의 경사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집전판 및 이를 구현하는 태양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태양광을 통한 집전효율을 높이기 위한 가변적인 조절부가 구비되고 필요에 따라 복수의 집전판을 배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집전효율이 뛰어나며 차량의 운행시 이를 접을 수 있어 장치 이동에 안정감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디스플레이 패널과 집전판 및 아우트리거를 구동하는 유압시스템과 실린더 장치 및 그에 따른 동력 전달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변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도로 교통 상황 통제를 위한 안내 또는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태양광을 통한 태양전지를 충전 및 사용하여 에너지 효율성이 뛰어난 것으로 이는 도로공사 등으로 차량 및 인원의 이동을 통제 유도할 때 기존 바리케이드나 삼각대 등을 사용 하는 대신 평소에는 다목적 차량으로 사용하고, 필요시 도로사정과 송출되는 영상을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송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면적을 조정하여 가시효과를 증대시킴으로써, 사고예방 및 홍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표면적을 최대화하여 이용하는 다목적 차량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구체적인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a는 다목적 차량의 이동시 패널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1)은 하부 차체 프레임에 안전장치의 일종으로 유압펌프(B6) 와 실린더(B8)로 구성되어 차량의 전복과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아우트리거(2)가 전후방 좌우에 4개가 마련되고, 차량(1)의 상부로는 캐리어(17)가 장착되며,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캐리어(17)는 내측으로 수납되는 장비를 고정하거나 보호할 수 있도록 외주면을 따라 가드 프레임(5)이 형성되며, 상기 가드 프레임(5)의 하단으로 캐리어(17)에 장착되는 복수의 라이트(4)가 마련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차량 측면에는 광고나 홍보를 위한 대형 영상 송출용 디스플레이 주 패널(3)이 마련되며, 이는 경우에 따라 영상을 송출하지 않고 단순히 이미지 샷을 위한 안내용 스크린으로 대체되는 것이 가능하며, 차량의 후면에도 측면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보조 패널(8)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a는 상술된 도 1에 있어서 측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주 패널(3) 을 제거한 차량(1) 내부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1)의 내부에는 별도의 수직 실린더(6)와 수평 실린더(7)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직 실린더(6)의 피스톤 로드(33)가 실린더 몸체로 인입될 때 그에 따라 수평 실린더(7)는 수직 실린더(6)를 따라 하강하고, 수평 실린더(7)의 피스톤 로드가 실린더 몸체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수직 실린더(6)는 수평 실린더(7)의 피스톤 로드의 진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직 실린더(6)가 연결된 차량 하부에는 레일(29')이 마련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수직 실린더(6)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수평 실린더(7)는 지지턱(12)을 따라 마련된 레일(29")을 통하여 수직 실린더(6)의 승ㆍ하강 동작에 맞춰 상승 및 하강 동작을 개시하게 되는 것이다.
즉, 수직 실린더(6)와 수평 실린더(7)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면적을 확대하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동작함에 있어, 서로 연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린더의 연동은,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별도의 프레임을 마련하여 각각의 실린더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대한 실시 예는 도 8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유압제어장치(19)에 마련되는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나, 별도의 전자장치를 부가하기 않고도 수평 실린더(7)와 수직 실린더(6)를 서로 인접시키고 인접된 양 몸체를 따라 연장되는 레일을 형성하며, 상기 수직 실린더(6)에 마련된 피스톤 로드 선단과 수평 실린더(7) 몸체 를 체결하고 또한 수평 실린더(7)에 마련된 피스톤 로드 선단은 수직 실린더(6) 몸체에 체결하여 수직 실린더(6)의 피스톤 로드 선단을 하강하는 경우 수직 실린더(6) 몸체나 지지턱(12)에 마련된 레일(29")을 따라 인접된 수평 실린더(7)의 몸체가 하강 이동하게 되며, 이는 수직 실린더(6)의 피스톤 로드 선단을 하강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수직 실린더(6) 몸체에 인접된 수평 실린더(7)가 상기 레일(29")을 따라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주 패널(3)은 배면으로 수직 고정구(14)에 의해 수직 실린더(6)의 피스톤 로드 선단과 체결되어 있으며, 또한 수평 고정구(13)에 의해서도 수평 실린더(7)의 피스톤 로드 선단과 체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수평 실린더(7)와 수직 실린더(6)에 의해 전후 및 상하로의 동작에 따라 수평 고정구(13)와 수직 고정구(14)를 통하여 체결된 디스플레이 주 패널(3) 과 디스플레이 보조 패널(8)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수직 실린더(6)에 의해 상승 및 하강을 하는 수평 실린더(7)는 피스톤 로드를 인출하여 로드에 걸려있는 디스플레이 주 패널(3)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평 실린더(7)의 끝단에 차량 하부 프레임(22)에 고정된 지지턱(12)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내부에는 차량(1)에 구비된 라이트(4)와 상기 유압제어장치(19)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전원 공급장치(18)가 마련되고, 차량 하부에는 아우트리거(2) 를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를 제어하는 유압제어장치(19)가 배설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구조는 이하 도면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4는 다목적 차량의 고정시 패널 형태와 상기 패널 형태에 대한 내부 실린더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1 및 도 2a에서는 차량의 이동을 위한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 주 패널(3)만을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나 도 3a 및 도 3b는 아우트리거(2)를 구동하여 지면에 차량을 지지하고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보조 패널(8)을 차량 측면으로 개방하여 디스플레이 주 패널(3)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보조 패널(8)을 개방하여 디스플레이 주 패널(3)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킨 후, 도 4에서와 같이 수직 실린더(6)의 하강 동작과 수평 실린더(7)의 인출 동작을 통하여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주 패널(3)과 보조 패널(8)의 방향을 차량을 기준으로 전방 하향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를 차량의 운전석과 타이어 부분까지 전면으로 확대시킨 것이다.
이는 단순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향이나 위치만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 송출을 위한 화면 비율을 변경하고,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를 증대시킨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보조 패널(8)이 주 패널(3)와 시그널 동기화나 연동할 수 있도록 케이블 입ㆍ출력 단자 등에 의한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거래계의 기술적 구성을 따르는 것으로 그와 같은 부분에 대한 상세 기술은 동일하다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차량(1)의 후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보조 패널(8)을 일측이 접철식으로 고정된 차량의 후방 도어와 같이 디스플레이 주 패널(3)과 인접되는 일 측으로 고정한 후 타 측은 필요에 따라 고정 및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타 측을 일 측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개방하게 되면 차량 측면의 디스플레이 주 패널(3)과 동일 평면상에 보조 패널(8)이 위치하게 되고, 이렇게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주 패널(3)과 보조 패널(8)을 서로 고정한 후, 디스플레이 주 패널(3)을 이동시키는 수직 실린더(6)와 수평 실린더(7)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주 패널(3)과 보조 패널(8)이 전후 및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차량의 태양 전지 작동부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차량의 상부에 태양광을 이용하기 위한 복수의 태양전지(A1)가 배열된 집전판(9)이 마련되며, 상기 집전판(9)에 마련되는 태양전지(A1)는 높은 순도의 실리콘 단결정을 소재로 하는 결정형이나 비결정성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실리콘 알갱이를 소재로 하여 단가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며, 갈륨비소 및 갈륨안티몬의 이중 층 집광형 탠덤 광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차량(1) 상부에 마련되는 집전판(9)은 일 측이 차량(1)과 힌지(15) 등에 의해 고정되고 배면으로 경사 실린더(10)와 또 다른 힌지(16)로 체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경사 실린더(10)는 끝단이 유동할 수 있도록 체결되고 그 선단이 힌지(16)를 통하여 집전판(9)과 체결되어 있는 것으로,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피스톤 로드가 인출되면 상기 집전판(9)의 일 측은 차량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승하면 서 집전판(9)이 경사지게 구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사각은 실린더 피스톤 로드의 인출길이에 따라 그 각도 범위가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차량(1)의 상부에는 상기 경사 실린더(10)와 집전판(9) 외에 외장 케이스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차량(1) 측면에서 영상을 송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함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라이트(4)가 탑재되어 방전이나 외부의 누전을 차단하고 기능성을 부가할 수 있는 마이컴 등의 센서들이 내장될 수 있으며, 집전판(9)을 상기 외장 케이스(11)의 상부에서 힌지 등으로 고정하여 집전판(9)의 저면부에 태양광을 집전할 수 없는 사각지대를 해결할 수 있는 구조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차량의 태양 전지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차량(1)의 상부에 위치하는 집전판(9)의 태양전지(A1)로부터 태양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변환되면 이는 차량(1) 내부에 마련된 보조 발전장치(18)로 이동되며, 상기 보조 발전 장치(18)는 태양전지(A1)로부터 수집되는 전기 에너지를 태양전지(A1)가 주어진 조건에서 최대 전력을 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전력조절장치(A2)와, 상기 전력조절장치(A2)를 통하여 태양전지(A1)에서 생산된 직류(DC) 전기를 교류(AC)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인버터(A3)와, 장마철이나 태풍 등의 영향으로 비교적 장기간 태양전지(A1)가 작동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는 보조 발전기(A5)와, 상기 보조 발전기(A5)를 통하여 생성된 전력을 축전지(A7)로 저장하기 위한 충전기(A6)와, 상기 전력조절장치(A2) 및 충전기(A6)로부터 낮에 생산된 전기를 밤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기(A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태양전지(A1)와 보조 발전기(A5) 및 축전지(A7)를 통하여 생성 및 저장된 전기는 필요에 따라 라이트(4)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아우트리거(2)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제어장치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차량의 동력 전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차량의 엔진 구동에 따라 생성된 동력은 변속기를 통하여 동력인출장치(PTO)(B3)에 전달되며 이는 차량 미션에 장착되어 동력을 인출하게 되고 인출된 동력은 구동축(P/SHAFT)(B10)을 통하여 유압제어장치(19)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유압제어장치(19)는 유압을 높이는 유압펌프(B6)와, 상기 유압펌프(B6)에 의해 승압된 유압으로 제어를 필요로 하는 수평 실린더(7) 나 수직 실린더(6) 및 경사 실린더(10) 등의 실린더(B8)를 비롯한 아우트리거(2)를 구동하는 각각의 장치에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밸브(B7)와, 상기 방향조절밸브(B7)를 통하여 실린더(B8)에 공급 및 배출되는 유압을 저장하는 오일탱크(B9)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압제어장치(19)는 동력인출장치(B3)를 통하여 구동되는 시스템뿐만 아니라 도 6에서와 같이 생산된 전기를 가지는 축전지 배터리(B5)를 통하여 별도의 모터(B4)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유압펌프(B6)를 구동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는 동력원으로 엔진과 전기 모터를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개념이 적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정지시에는 엔진을 멈춰 쓸데없는 에너지 소비 및 소음을 줄이고, 전기모터로 구동하다가 엔진 시동에 따라 엔진에 의한 동력원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서 전기모터의 출력만큼 엔진의 배기량을 줄여서 연료소비를 줄이거나 친환경 에너지인 태양광을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이고 반영구적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 은 수직 실린더와 수평 실린더의 실린더 구조를 도시한 일 실시 예시도로서, 이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차량(1)의 내부를 절개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하로 동작하는 수직 실린더(6)와 전후로 동작하는 수평 실린더(7)가 유압제어장치(19) 컨트롤러의 전달 신호에 따라 동시에 동작하거나 순차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양 실린더(6)(7)와 연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3)(8) 간의 결합구조를 살피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1)의 하부 프레임(22)의 평면 일 측에 수직 실린더(6)의 몸체가 고정되고, 고정된 몸체에 연장되어 상하로 유동하는 피스톤 로드(33)가 마련되며 상기 로드(33)의 선단에는 로드(33)가 체결되는 힌지(3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31)는 독립적인 지지 프레임(28)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28)의 좌ㆍ우측 단에는 수직 장방의 바(bar)로 이루어진 이송 프레임(28')이 체결되며 상기 양측 이송 프레임(28')의 바깥면 상하로 베어링이나 롤러 형태의 외부 접촉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송 부재(34)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 부재(34)는 차량(1) 하부 프레임(22)과 결합하는 고정프레임(30)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9)에 체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수직 실린더(6)의 로드(33)가 상승하면 상기 로드(33)의 선단에 힌지(31)와 연결된 지지 프레임(28)이 따라 상승 이동하게 되고, 이는 지지 프레임(28)의 좌우측에 구비된 이송 프레임(28')의 이송부재(34)가 고정프레임(30)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29)을 통하여 이동하면서 가능케 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 프레임(28)은 전방으로 상단에 이송 레일이 마련된 수평 장방의 바로 이루어진 복수의 롤러 프레임(27)(27')이 마련되며 일 측 롤러 프레임(27')의 상부와 타 측 롤러 프레임(27")의 하부에는 양측 롤러 프레임(27')(27")을 따라 디스플레이 주 패널(3)에 고정된 복수의 이송 롤러(25)(26)가 수평 상으로 마련되어 롤링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하 실린더(6)의 상승 동작에 따라 지지 프레임(28)과 결합된 롤러 프레임(27')(27")이 상승하게 되면 그 사이에 위치하는 상하 롤러(26)를 밀게 되어 디스플레이 주 패널(3)이 상승하게 되며, 상하 실린더(6)의 하강 동작에 따라 지지 프레임(28)과 결합된 롤러 프레임(27')(27")이 상승하게 되면 그 사이에 위치하는 상하 롤러(25)를 밀게 되어 디스플레이 주 패널(3)이 상승하게 된다.
이는 디스플레이 보조 패널(8)이 이송되어 롤러 프레임(27')(27")의 사이에 들어오게 되면 동일한 원리에 의해 주 패널(3)과 함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주 패널(3)에는 상기 상하 롤러(25)(26) 뿐만 아 니라 전후 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복수의 전후 롤러(23)(24)가 마련되며, 이는 롤러 프레임(27)(27')의 상단에 마련된 이송 레일을 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평 실린더(7)는 몸체가 지지 프레임(28)에 고정되고 전후로 이동하는 로드의 선단은 디스플레이 주 패널(3)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수평 실린더(7) 로드가 실린더 내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면 선단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주 패널(3)이 그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전후 롤러(23)(24)에 의해 중량이 패널의 중량이 지지되고, 또한 부드러운 슬라이딩 동작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은 수직 실린더(6)와 수평 실린더(7)의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8)이 전후 및 상하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토퍼(20)(21)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토퍼(21)는 전후 롤러(23)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롤러 프레임(27)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롤러 프레임(27)에 걸리도록 그와 인접하는 디스플레이 패널(3) 상부에 스토퍼(20)를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근래 고정용 홍보탑의 수요가 축소됨에 따라 유동인구의 흐름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이동 및 영상 송출 가능한 다목적 차량을 개선한 것으로, 도로 교통 상황 통제를 위한 안내, 광고 및 홍보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송출되는 영상의 출력 비율을 반영하여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것이다.
즉, 차량 주차 후 장비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 차량 후방으로 접철된 추가 디스플레이 패널이 마련되어 접철된 패널을 개방하고 유압시스템의 실린더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후 및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응집할 수 있도록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비하는 태양전지 시스템을 구비하여 친환경적이고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차량 관리 및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차량의 산업상 이용 가능성은 매우 뛰어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일실시 예로 차량의 상부에 위치하는 집전판의 구조와 가변 패널에 연동하는 유압시스템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이와 같은 위치나 형태에 국한하지 아니하고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 장착되기 위하여 그 형태를 변형하여 제공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활용분야의 다양화와 용어에 대한 문헌상 표현의 대체 및 확장으로 균등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목적 및 효과를 가지는 동일 기술사상은 본원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차량의 이동시 패널 형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a는 도 1에 의한 패널 형태에 대한 내부 실린더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b는 도 2a의 다른 실시 예로 차량에 가드프레임을 장착 도시한 참고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차량의 확대한 패널 구동을 개시한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차량의 확대한 패널 구동을 완료한 측면도.
도 4는 도 3b에 의한 패널 형태에 대한 내부 실린더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차량의 태양 전지 작동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차량의 태양 전지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차량의 동력 전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직ㆍ수평 실린더 구조를 도시한 일 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차량 2. 아우트리거 3. 주 패널
4. 라이트 5. 가드 프레임 6. 수직 실린더
7. 수평실린더 8. 보조 패널 9. 집전판
10. 경사 실린더 11. 외장 케이스 12. 지지 턱
13. 수평 고정구 14. 수직 고정구 15, 16. 힌지
17. 캐리어 18. 보조발전장치 19. 유압제어장치
20, 21. 스토퍼 22. 하부 프레임 23, 24. 전후 롤러
25. 26. 상하 롤러 27, 27'. 롤러 프레임 28. 지지 프레임
28' 이송 프레임 29. 가이드 레일 30. 고정 프레임
31, 32. 힌지 33. 로드 34. 이송 부재

Claims (13)

  1. 디스플레이 표면적을 최대화하여 이용하는 다목적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측면과 후방에 영상송출을 위해 설치된 상호 연결된 디스플레이 주 패널(3) 및 보조 패널(8)과;
    차량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주 패널(3)의 배면과 체결되어 디스플레이 주 패널(3) 과 보조 패널(8)의 전후 및 상하로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수평 실린더(7) 및 수직 실린더(6)와;
    차량의 상부에 마련되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집전판(9)과;
    상기 집전판(9)의 배면과 체결되어 집전판(9)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경사 실린더(10)와;
    차량 정지시 전복 및 진동 방지를 위하여 사방에 마련되는 아우트리거(2)와;
    차량의 내부에 마련되어 태양전지와 보조 발전기를 사용하는 보조 발전장치(18)와;
    상기 수직 실린더(6), 수평 실린더(7) 및 경사 실린더(10) 및 아우트리거(2)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제어장치(19);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주 패널(3)과 보조 패널(8)은 상호 연결 구조를 가지며, 주 패널(3)에 연결된 수직 실린더(6), 수평 실린더(7)의 작동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주 패널(3)과 보조 패널(8)의 위치가 전후 및 상하로 이동되어, 안내 또는 광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실린더(7)는 실린더 로드를 인출하여 로드에 걸려있는 디스플레이 주 패널(3)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평 실린더(7)의 끝단에 지지턱(12)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압제어장치(19)는 유압을 높이는 유압펌프(B6)와;
    상기 유압펌프(B6)에 의해 승압된 유압으로 아우트리거(2)와 실린더(B8) 장치에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조정장치가 포함된 방향조절밸브(B7)와 ;
    상기 방향조절밸브(B7)를 통하여 전달된 실린더(B8)에 유압을 조절하기 위한 오일탱크(B9);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압제어장치(19)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동력원이 차량 엔진에 의한 동력인출장치(PTO)와, 태양전지 및 보조 발전기에 의한 전기 모터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7. 청구항 1에 있어서;
    보조발전장치는 태양전지(A1)로부터 수집되는 전기 에너지를 최대 전력을 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전력조절장치(A2)와;
    상기 전력조절장치(A2)를 통하여 태양전지(A1)에서 생산된 직류(DC) 전기를 교류(AC)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인버터(A3)와;
    장마철이나 태풍 등의 영향으로 비교적 장기간 태양전지(A1)가 작동할 수 없 는 경우를 대비하는 보조 발전기(A5)와;
    낮에 생산된 전기를 밤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기(A7);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1)의 상부에는 캐리어(17)가 구비되는 것과; 상기 캐리어의 측면으로 복수의 라이트(4)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9. 디스플레이 표면적을 최대화하여 이용하는 다목적 차량에 있어서;
    수직 실린더(6)는 차량(1) 하부 프레임(22)에 몸체가 고정되고, 피스톤 로드(33)의 선단은 고정 틀 형태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28)에 고정되며,
    수평 실린더(7)는 지지 프레임(28)과 고정된 수평 상 장방형 바 타입의 롤러 프레임에 몸체가 고정되고, 피스톤 로드의 선단은 디스플레이 패널 내측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이송 부재(34)를 마련하며, 하부 프레임(22)과 고정된 고정 프레임(30)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11. 청구항 9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에 마련된 롤러 프레임의 하단과 하측에 마련된 롤러 프레임의 상단에는 수직 실린더의 상승 및 하강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하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하 롤러(25)(26)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수직 실린더(6)와 수평 실린더(7)의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8)이 전후 및 상하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별도의 스토퍼(20)(2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수평 실린더(7)의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 전후로 이송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후 롤러(23)(24)가 마련되는 것과;
    상기 전후 롤러(23)(24)는 롤러 프레임(27)(27')에 안착되어 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KR1020070119647A 2007-11-22 2007-11-22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KR100842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647A KR100842236B1 (ko) 2007-11-22 2007-11-22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647A KR100842236B1 (ko) 2007-11-22 2007-11-22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2236B1 true KR100842236B1 (ko) 2008-06-30

Family

ID=3977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647A KR100842236B1 (ko) 2007-11-22 2007-11-22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22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1085U (ko) * 1988-06-13 1989-12-27
KR100356809B1 (ko) 1999-12-21 2002-10-18 주식회사 인풍 광고차
KR20040009767A (ko) * 2002-07-25 2004-01-31 주식회사 대한전광 차량용 광고 장치
JP2004053804A (ja) 2002-07-18 2004-02-19 Yano Special Vehicle Manufacturing Corp 移動式大型表示装置
JP2004151629A (ja) 2002-11-01 2004-05-27 Akinori Moriyama 移動体発光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1085U (ko) * 1988-06-13 1989-12-27
KR100356809B1 (ko) 1999-12-21 2002-10-18 주식회사 인풍 광고차
JP2004053804A (ja) 2002-07-18 2004-02-19 Yano Special Vehicle Manufacturing Corp 移動式大型表示装置
KR20040009767A (ko) * 2002-07-25 2004-01-31 주식회사 대한전광 차량용 광고 장치
JP2004151629A (ja) 2002-11-01 2004-05-27 Akinori Moriyama 移動体発光表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24031A (zh) 电动运载工具充电系统和向电动运载工具充电站供电的方法
CN201800612U (zh) 大型车载混合发电站
CN101020420A (zh) 车用太阳能电池板层式自动伸缩装置
CN110641297A (zh) 一种全动态无线充电的智慧型高速公路
CN109823165A (zh) 一种具有防尘功能的发电效率高的太阳能汽车
CN101882895B (zh) 塔式光伏跟踪发电系统
CN109367396A (zh) 一种农用太阳能发电车
CN204163445U (zh) 一种可调节角度太阳能汽车车棚
CN201035923Y (zh) 车式太阳能显示装置
CN207794682U (zh) 一种用于公交站台的自适应挡雨棚
KR100842236B1 (ko) 면적 가변형 다목적 차량
CN205422066U (zh) 一种多功能太阳能车库
KR20100062486A (ko)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을 이용한 도로용 전원 공급시스템
CN106400711A (zh) 一种联合发电减速带
CN105464421A (zh) 一种多功能太阳能车库
CN205988771U (zh) 井下采场破碎台车
CN103850491A (zh) 一种节能环保型路边停车装置
CN204943300U (zh) 一种并网储能型太阳能照明与充电一体化路灯
CN108843068A (zh) 一种节能型充电车桩及其控制系统
CN210234667U (zh) 一种电动汽车太阳能充电装置
CN202085247U (zh) 大型车载屏幕视频播放车
CN211396825U (zh) 一种具有太阳能充电装置的电动车充电车棚
CN109067329B (zh) 一种移动箱式光伏储能充电集成装置
CN210640724U (zh) 一种风光互补、压电技术一体化道路减速装置
KR101189716B1 (ko) 차량 하중을 이용한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