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682B1 -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682B1
KR100841682B1 KR1020070014835A KR20070014835A KR100841682B1 KR 100841682 B1 KR100841682 B1 KR 100841682B1 KR 1020070014835 A KR1020070014835 A KR 1020070014835A KR 20070014835 A KR20070014835 A KR 20070014835A KR 100841682 B1 KR100841682 B1 KR 100841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d
crane
cluster
quay
sh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환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14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68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을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은, 선적지시서로부터 선박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장치장의 야드맵으로부터 야드 클러스터를 생성하여 초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초기 데이터 생성단계와; 메타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초기 데이터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선박 클러스터와 야드 클러스터를 바탕으로 각 안벽크레인에 할당되는 선박 클러스터의 작업순서와, 선택된 선박 클러스터와 관련된 야드 클러스터의 작업순서를 결정하여 양적하 작업 계획에 대한 초기해(initial solution)를 생성하는 해의 생성단계와; 상기 해의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초기해로부터 2-opt 방법을 사용하여 해를 개선하는 해의 개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야드크레인의 간섭을 고려하여 안벽크레인의 총처리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벽크레인 양적하 작업 계획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안벽크레인, 일정계획, 양적하 작업 계획, 야드크레인, 클러스터

Description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Method for Generating Loading and Unloading Schedule of Quay Cra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해 컨테이너 터미널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선적지시서에 기재된 선박 베이의 양적하배치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크레인 양적하 계획 산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4는 도 1의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의 제 1단계를 실시하기 위해 특정 선박베이에 할당된 컨테이너 배치 구성 및 선박 클러스터 생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의 제 1단계를 실시하기 위해 특정 장치장 블록에 대한 야드맵과 야드 클러스터 생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에서 생성된 선박 클러스터와 도 5에서 생성된 야드 클러스터를 이용하여 초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 중 제 2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8은 도 7의 제 2단계 중 야드크레인 간의 간섭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예 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1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 중 제 3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에 의해 최종 산출된 안벽크레인 양적하 계획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선박 2 : 장치장 블록
yb : 야드베이 QC : 안벽크레인
YC : 야드크레인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을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의 베이에 컨테이너를 적하(loading) 또는 양하(unloading)시키는 다수의 안벽크레인들의 양적하 작업 계획을 산출함에 있어서, 안벽크레인의 총처리시간(makespan)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안벽크레인 작업 순서를 구하기 위한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는 물동량을 크게 증가 시켰으며, 이로 인해 항만간에 선사 및 화물 유치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항만 경 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서 컨테이너 터미널의 작업 생산성은 컨테이너 터미널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컨테이너 터미널의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은 본선작업의 생산성을 높여 선박의 체류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본선작업은 크게 선박에 실려있는 컨테이너를 지정된 터미널의 장치장에 하역하는 양하 작업(Unloading)과, 반대로 야드에 저장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선박에 싣는 적하 작업(Loading)으로 나눌 수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양하 작업 및 적하 작업을 통칭하여 양적하 작업이라 한다. 양하 작업은 컨테이너를 지정된 영역에 하역 되어진 순서대로 쌓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양하 작업은 장비의 이동과 재취급, 컨테이너의 무게에 대한 고려가 없기 때문에 컨테이터 크레인들의 작업이 쉽고, 빠르게 진행된다. 하지만, 적하 작업은 이와는 반대로 장비의 이동이 많으며, 재취급과 선박에서의 무게분포, 컨테이너 크레인들의 작업편의성 등을 고려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계획과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모된다. 따라서 적하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전체 본선작업시간의 단축에 많은 영향을 준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의 컨테이너 적하 작업 및 양하 작업은 안벽크레인(quay crane)에 의해 수행되고, 컨테이너 터미널의 장치장(yard)에서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작업은 야드크레인(yard crane)에 의해 수행된다.
근래들어 터미널에서의 작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자동화된 안벽크레인들과 야드크레인들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자동화된 안벽크레인과 야드크레인을 선박 정박지와 장치장 블록에 다수대씩 운영함으로써 작업 생 산성 향상을 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야드크레인과 안벽크레인이 다수대가 있는 경우에는 한대가 있는 경우보다 운영상의 복잡함 때문에 양적하 계획은 더욱 중요하다. 왜냐하면, 선박 또는 장치장에서 안벽크레인과 야드크레인들이 다수개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안벽크레인들과 야드크레인들이 컨테이너를 양적하하는 작업 도중 상호 간섭되거나 충돌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양적하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이러한 간섭이나 충돌을 배제하면서 작업 효율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양적하 계획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다수의 안벽크레인과 야드크레인들이 동시에 양적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고려하여 작업 계획을 산출하는 방법이 전무한 실정으로, 양적하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안벽크레인과 야드크레인을 고려하여 양적하 작업시 안벽크레인들과 야드크레인들 간의 간섭을 줄이고, 양적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적지시서로부터 선박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장치장의 야드맵으로부터 야드 클러스터를 생성하여 초기 데이터 를 생성하는 초기 데이터 생성단계와; 메타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초기 데이터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선박 클러스터와 야드 클러스터를 바탕으로 각 안벽크레인에 할당되는 선박 클러스터의 작업순서와, 선택된 선박 클러스터와 관련된 야드 클러스터의 작업순서를 결정하여 양적하 작업 계획에 대한 초기해(initial solution)를 생성하는 해의 생성단계와; 상기 해의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초기해로부터 2-opt 방법을 사용하여 해를 개선하는 해의 개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야드크레인의 간섭을 고려하여 안벽크레인의 총처리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벽크레인 양적하 작업 계획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컨테이너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선박(1)이 정박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안벽크레인(QC)들이 배치되고, 양적하될 컨테이너들이 저장된 장치장 블록(2)(yard)에 복수개의 야드크레인(YC)들이 배치된다.
상기 장치장 블록(2)은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복수개의 야드베이(yb)(yard bay)로 이루어지며, 각 야드베이(yb)에는 동일한 속성, 예컨대 양하 또는 적하, 목적항, 크기 등이 동일한 속성을 갖는 컨테이너들이 적재된다.
그리고, 상기 선박(1)에는 선상(deck)과 선창(hold)에 복수개의 선박 베이가 존재한다.
도 2는 선적지시서에 명시된 선박 베이들에 대한 양적하 배치도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다수의 안벽크레인(QC)에 대한 양적하 작업 계획은 이러한 선적지시서의 양적하 배치도를 바탕으로 작성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은, 크게 선적지시서로부터 선박 클러스터(cluster)를 생성하고, 장치장의 야드맵으로부터 야드 클러스터를 생성하여 초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단계(S1)('초기 데이터 생성단계'라고도 함)와; 상기 제 1단계(S1)에서 생성된 선박 클러스터와 야드 클러스터를 바탕으로, 각 안벽크레인(QC)에 할당되는 선박 클러스터의 작업순서와 선택된 선박클러스터와 관련된 야드 클러스터의 작업순서를 결정하여 양적하 작업 계획에 대한 초기해(initial solution)를 생성하는 제 2단계(S2)('해의 생성단계'라고도 함)와; 상기 제 2단계(S2)에서 생성된 초기해로부터 2-opt 방법을 사용하여 해를 개선하는 제 3단계(S3)('해의 개선단계'라고도 함)로 이루어진다.
먼저, 초기 데이터 생성단계인 제 1단계(S1)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선박의 13번 베이의 선창(hold)과 선상(deck)에는 서로 다른 목적지의 컨테이너들이 모여 있다. 선상에는 목적지가 NGB(적하, 20ft)인 컨테이너들과 목적지가 KHH(적하, 20ft)인 컨테이너들이 적하될 예정이다. 이러한 컨테이너들을 생성기준(이 실시예에서 선적 위치와 목적항)에 따라 두 개의 선박 클러스터(1번, 2번)로 생성할 수 있다. 선창에 있는 컨테이너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두 개의 선박 클러스터(3번, 4번)로 생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박의 각 베이에 대한 선박 클러스터를 생성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를 들어, 장치장 블록 1C의 1번 야드베이(1BAY)와 2번 야드베이(2BAY)에 각각 목적항 KHH(적하, 20ft)인 컨테이너들이 있고, 3번 야드베이(3BAY)와 4번 야드베이(4BAY)에 각각 목적항 NGB(적하, 20ft)인 컨테이너들이 있으며, 6번 야드베이(6BAY)에 목적항 HAM(적하, 20ft)인 컨테이너들이 있다.
따라서, 1번 야드베이(1BAY)에 목적항 KHH(적하, 20ft)인 컨테이너들이 하나의 클러스터(1번)로 생성되며, 2번 야드베이(2BAY)에 목적항 KHH(적하, 20ft)인 컨테이너들이 또 하나의 클러스터(2번)로 생성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3번 야드베이(3BAY)의 컨테이너들은 3번 클러스터로 생성되며, 4번 야드베이(4BAY)의 컨테이너들은 4번 클러스터로, 6번 야드베이(6BAY)의 컨테이너들은 5번 클러스터로 각각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생성된 선박 클러스터와 야드 클러스터를 바탕으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박 클러스터에 야드 클러스터를 할당할 수 있다. 1번 선박클러스터는 24개의 컨테이너들로 구성되어 있고, 그룹정보 A를 가지고 있다. 동일한 그룹정보를 가지는 야드 클러스터는 장치장 블록 1C의 3번 야드베이의 3번 야드클러스터와 4번 야드베이의 4번 야드클러스터가 있다. 따라서 선박클러스터 1번에 포함된 컨테이너수를 만족시켜주기 위해서 야드 클러스터 3번에서 18개의 컨테이너가 선택이 되고, 야드 클러스터 4번에서 컨테이너 6개가 선택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모든 선박 클러스터에 야드 클러스터들이 할당된다.
상기와 같이 선박 클러스터에 대한 야드 클러스터의 할당이 생성되면, 메타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의 생성단계(Construction Phase)인 제 2단계(S2)와 해의 개선단계(Improving Phase)인 제 3단계(S3)를 차례로 수행한다. 메타 휴리스틱 알고리즘에서 종료조건으로 MTI(Maximum Total of Iteration)인 최대반복수행횟수와, MNI(Maximum Number of Improvement)인 최대개선반복횟수를 사용한다. MTI는 전체알고리즘의 전체반복수행횟수를 의미하고, MNI는 해의 개선이 없을 때까지 반복 수행되는 횟수를 의미한다.
제 2단계(S2)인 해의 생성단계에서는 해를 생성해 나감에 있어 해의 요소들을 하나씩 추가해나가는 방법을 사용하며, 생성된 후보목록집합을 RCL(Restricted Candidate List)이라고 한다. 그리고, 가능한 작업을 결정할 때 그리디함수(greedy function)를 이용한다. 제 3단계(S3)인 해의 개선단계에서는 지역적탐색(local search)을 통하여 더 이상 해의 개선이 없을 때까지 반복하여 해를 개선시킨다. 이러한 제 2단계(S2)와 제 3단계(S3)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 2단계(S2)는 크게 7개의 단계(제 2-1단계 내지 제 2-7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 2-1단계(S21)에서는 안벽크레인(QC)을 선택하는 단계로, 안벽크레인(QC) 중에서 최소 총처리시간(makespan)을 가지는 안벽크레인을 선택한다. 만약 총처리시간(makespan)이 동일한 경우 임의적으로 안벽크레인(QC)이 선택된다.
다음으로, 제 2-2단계(S22)에서는 선택된 안벽크레인(QC)이 작업할 수 있는 선박 클러스터 후보목록을 도출한다. 작업의 선후행관계 및 안벽크레인(QC)의 간섭 등 제약조건에 해당하는 선박 클러스터들을 후보목록에서 제거한다.
제 2-3단계(S23)에서는 후보목록에서 남겨진 선박 클러스터들중에서 안벽크레인(QC)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선택가능확률값을 각 선박 클러스터에 부여한다.
제 2-4단계(S24)에서는 하나의 선박 클러스터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난수를 발생시켜 안벽크레인(QC)이 작업할 하나의 선박 클러스터를 후보목록에서 선택하고, 안벽크레인(QC)의 작업완료시간을 추정한다.
제 2-5단계(S25)에서는 선택된 선박 클러스터의 그룹정보에 따라 장치장 블록에서 야드크레인(YC)의 작업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즉, 야드크레인(YC)이 작업할 야드 클러스터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 제 2-5단계(S25)는 모두 4개의 서브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 1 서브단계(S25-1)에서는 상기 제 2-4단계(S24)에서 선택된 선박 클러스터의 그룹정보와 동일한 야드 클러스터들의 후보목록을 작성한다.
그리고, 제 2 서브단계(S25-2)에서는 생성된 작업목록의 야드 클러스터들 중에서 현재 야드크레인(YC)의 위치와 가장 거리가 짧은 야드 클러스터를 선택한다. 그러나 주변 야드베이에 위치한 야드클러스터(YC)들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작업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벽크레인(QC)의 작업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 만일 야드크레인(YC)들 간의 간섭이 발생할 경우 다음과 같은 해결 전략을 적용한다.
야드크레인(YC)과의 간섭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다음 작업의 가장 가까운 야드베이에서 기다리는 대기전략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대기전략은 간섭을 피할 수 없을 경우에만 적용되는 유휴시간(idle time)이 발생하여 안벽크레인의 작업시간에 영향을 준다.
제 3서브단계(S25-3)는 선박 클러스터가 요구한 컨테이너수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선택된 야드크레인(YC)의 현재위치를 선택된 야드 클러스터의 위치로 설정한다. 선택된 야드 클러스터에 포함된 컨테이너수는 요구된 선박 클러스터의 컨테이너수를 만족시켜야 한다. 만약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제 4서브단계(S25-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선택된 야드클러스터를 후보목록에서 제거하고 요구된 선박 클러스터의 남은 컨테이너수를 조정한후 제 2서브단계(S25-2)로 되돌아 간다.
제 4서브단계(S25-4)는 장치장(yard)의 현황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즉, 선택된 야드 클러스터의 처리시간, 이동시간 등의 정보들을 해당 장치장 블록과 야드베이(yb)에 기록한다. 이 정보는 다음 야드 클러스터를 선택할 때 간섭여부에 적용된다. 그리고 야드 크레인의 작업완료시간을 갱신하고 제 2-6단계(S26)를 진행한다.
제 2-6단계(S26)는 안벽크레인(QC)의 작업완료시간을 조정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단계에서 결정된 안벽크레인(QC)의 작업완료시간과 야드크레인(YC)의 작업완료시간을 비교하여 큰 작업완료시간을 안벽크레인의 총처리시간(makespan)으로 결정한다.
제 2-7단계(S27)에서는 잔여 선박 클러스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할 당해야 할 선박 클러스터가 존재하면 제 2-1단계(S2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고 모든 선박 클러스터들이 할당 되었으면 해의 생성단계(S2)를 종료하고 해의 개선단계(S3)로 진행한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의 개선단계(S3)는 상기 제 2단계(S2)에서 생성된 해로부터 지역적 탐색법을 사용하여 해를 개선시키는 단계로, 모두 4개의 단계로 구성된다.
제 3-1단계(S31)는 안벽크레인(QC)의 변수인 k를 0으로 초기화시키는 단계이다.
제 3-2단계(S32)는 첫번째 안벽크레인을 선택하는 단계로, k의 값을 1상승 시킨다. 그리고 만약 k가 총 안벽크레인수보다 크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k번째 안벽크레인을 선택한다.
제 3-3단계(S33)는 임의의 선박 클러스터 작업순서 변경 및 야드 클러스터 작업순서 재할당을 하는 단계이다. 선택된 k번째 안벽크레인(QC)에 할당된 선박 클러스터들 중에서 두 개의 선박 클러스터를 임의로 선택하여 작업순서를 바꾼다(2-opt 방법). 이 때 k번째 야드크레인(YC)에 할당된 야드 클러스터들의 작업순서도 바꿔 줘야 한다. 즉, k번째 야드크레인에 할당된 모든 야드 클러스터들을 대상으로 해의 생성단계(S2)의 제 2-5단계부터 제 2-7단계까지의 과정을 거쳐 안벽크레인(QC)의 작업완료시간을 계산한다.
제 3-4단계(S34)는 개선되는 쌍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선박클러스터의 작업순서를 바꿀 수 있는 쌍 중에서 가장 개선이 많은 두 선박 클러스터의 순서를 변경하고 더 이상 개선되는 선박 클러스터의 쌍을 찾을 수 없을 때까지 제 3-3단계(S33)를 반복한다. 더 이상 개선되는 선박클러스터의 쌍이 없으면 상기 제 3-2단계(S32)로 간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성된 선박 클러스터와 야드 클러스터를 바탕으로 메타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야드크레인(YC)의 간섭이 고려된 안벽크레인(QC)의 양적하 작업 계획을 산출하도록 하여, 도 10에 예시된 것과 같이 안벽크레인과 야드크레인의 작업순서를 결정하고 안벽크레인(QC)의 총처리시간(makespan)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을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야드크레인의 간섭을 고려하여 안벽크레인의 총처리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벽크레인 양적하 작업 계획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선적지시서로부터 선박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장치장의 야드맵으로부터 야드 클러스터를 생성하여 초기 데이터를 생성하는 초기 데이터 생성단계와;
    메타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초기 데이터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선박 클러스터와 야드 클러스터를 바탕으로 각 안벽크레인에 할당되는 선박 클러스터의 작업순서와, 선택된 선박 클러스터와 관련된 야드 클러스터의 작업순서를 결정하여 양적하 작업 계획에 대한 초기해(initial solution)를 생성하는 해의 생성단계와;
    상기 해의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초기해로부터 2-opt 방법을 사용하여 해를 개선하는 해의 개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의 생성단계는,
    최소 총처리시간(makespan)을 가지는 안벽크레인을 선택하는 2-1단계와;
    선택된 안벽크레인이 작업할 수 있도록 여러 제약조건에 만족하는 선박 클러스터 작업후보목록을 도출하는 제 2-2단계와;
    상기 도출된 작업후보목록의 각 선박 클러스터에 안벽크레인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선택가능확률값을 부여하는 제 2-3단계와;
    난수를 발생시켜 하나의 선박 클러스터를 선택하고 안벽크레인의 작업완료시 간을 추정하는 제 2-4단계와;
    선택된 선박 클러스터의 그룹정보에 따라 장치장에서의 야드크레인의 작업순서와 작업완료시간을 추정하는 제 2-5단계와;
    안벽크레인의 작업완료시간을 조정하는 제 2-6단계와;
    잔여 선박 클러스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여 존재하면 상기 제 2-1단계를 진행하고, 잔역 선박 클러스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해의 생성단계를 종료하고 해의 개선단계로 진행하는 제 2-7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
  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5단계는,
    상기 제 2-4단계에서 선택된 선박 클러스터와 동일한 그룹정보를 가진 야드크레인의 작업후보목록을 생성하는 제 1서브단계와;
    생성된 작업목록의 야드 클러스터들과 이들과 인접한 야드 클러스터들 간의 간섭을 고려하여 현재 야드크레인의 위치와 가장 거리가 짧은 하나의 야드클러스터를 선택하는 제 2서브단계와;
    선택된 야드 클러스터에 포함된 컨테이너수가 선박 클러스터가 요구한 컨테이너수를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만족시키지 못하면 하기의 제 4서브단계로 진행하고 만족하면 선택된 야드 클러스터를 후보목록에서 제거하고 요구된 선박클러스터의 남은 컨테이너수를 조정한 후 상기 제 2서브단계로 진행하는 제 3서브단계와;
    다른 야드 클러스터가 작업할 경우의 간섭여부를 확인할 때 적용하기 위해 장치장의 작업현황정보를 해당 장치장과 야드베이에 기록하고 야드크레인의 총처리시간(makespan)을 갱신하고 제 2-6단계를 진행하는 제 4서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해의 개선단계는,
    안벽크레인을 선택하는 변수 k를 0으로 초기화하는 제 3-1단계와;
    상기 k 값을 1씩 증가시키고 만일 k가 총 안벽크레인수보다 크면 해의 개선단계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k번째 안벽크레인을 선택하는 제 3-2단계와;
    2-opt 방법을 이용하여 선택된 k번째 안벽크레인에 할당된 선박 클러스터들 중에서 두 개의 선박 클러스터를 임의로 선택하여 작업순서를 바꾸고, 이에 해당하는 야드클러스터를 재할당하여 안벽크레인의 총처리시간(makespan)을 계산하는 제 3-3단계와;
    개선되는 선박 클러스터의 쌍을 찾을 수 없을 때까지 상기 제 3-3단계를 반복 진행하고, 더 이상 개선되는 선박클러스터의 쌍이 없으면 상기 제 3-2단계를 진행하는 제 3-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
KR1020070014835A 2007-02-13 2007-02-13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41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835A KR100841682B1 (ko) 2007-02-13 2007-02-13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835A KR100841682B1 (ko) 2007-02-13 2007-02-13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682B1 true KR100841682B1 (ko) 2008-06-26

Family

ID=3977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8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1682B1 (ko) 2007-02-13 2007-02-13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68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0016A (ko) 2013-12-13 2015-06-24 (주)토탈소프트뱅크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4951A (ko) 2014-12-19 2016-06-29 (주)토탈소프트뱅크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중복 배정 시스템
KR101679826B1 (ko) 2013-12-05 2016-11-25 (주)토탈소프트뱅크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
CN111859806A (zh) * 2020-07-22 2020-10-30 大连陆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面向智能船舶的液舱配载方法及系统
WO2021145579A1 (ko) * 2020-01-16 2021-07-22 (주)토탈소프트뱅크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5320789A (zh) * 2022-08-12 2022-11-11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45度装船的新型船舶装载方法
CN117893117A (zh) * 2024-03-18 2024-04-16 唐山港集团港机船舶维修有限公司 装船物料作业量计算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668A (ja) 1996-12-06 1998-06-23 Ohbayashi Corp 垂直・水平搬送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H10167666A (ja) * 1996-12-10 1998-06-23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レーンの荷役経路設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316396A (ja) 1997-05-21 1998-12-02 Yazaki Corp フォークリフト運行管理装置
JP2001097668A (ja) 1999-09-27 2001-04-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積付位置測定装置
JP2003300692A (ja) 2002-02-08 2003-10-21 Mitsubishi Heavy Ind Ltd 吊荷旋回制御装置及び吊荷旋回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7668A (ja) 1996-12-06 1998-06-23 Ohbayashi Corp 垂直・水平搬送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H10167666A (ja) * 1996-12-10 1998-06-23 Mitsubishi Heavy Ind Ltd クレーンの荷役経路設定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316396A (ja) 1997-05-21 1998-12-02 Yazaki Corp フォークリフト運行管理装置
JP2001097668A (ja) 1999-09-27 2001-04-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ンテナ積付位置測定装置
JP2003300692A (ja) 2002-02-08 2003-10-21 Mitsubishi Heavy Ind Ltd 吊荷旋回制御装置及び吊荷旋回制御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826B1 (ko) 2013-12-05 2016-11-25 (주)토탈소프트뱅크 컨테이너 터미널 내 복수 장비의 작업흐름 관리방법
KR20150070016A (ko) 2013-12-13 2015-06-24 (주)토탈소프트뱅크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스케줄 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4951A (ko) 2014-12-19 2016-06-29 (주)토탈소프트뱅크 컨테이너 터미널 내 장비들의 중복 배정 시스템
WO2021145579A1 (ko) * 2020-01-16 2021-07-22 (주)토탈소프트뱅크 화물 선적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1859806A (zh) * 2020-07-22 2020-10-30 大连陆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面向智能船舶的液舱配载方法及系统
CN111859806B (zh) * 2020-07-22 2023-10-27 大连陆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面向智能船舶的液舱配载方法及系统
CN115320789A (zh) * 2022-08-12 2022-11-11 青岛港国际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45度装船的新型船舶装载方法
CN117893117A (zh) * 2024-03-18 2024-04-16 唐山港集团港机船舶维修有限公司 装船物料作业量计算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7893117B (zh) * 2024-03-18 2024-06-04 唐山港集团港机船舶维修有限公司 装船物料作业量计算方法、装置、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e et al. An optimization model for the container pre-marshalling problem
Goodchild et al. Double-cycling strategies for container ships and their effect on ship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s
KR100841682B1 (ko) 안벽크레인의 양적하 작업 계획 산출 방법
Chen et al. A tabu search algorithm for the integrated scheduling problem of container handling systems in a maritime terminal
Kang et al. Stowage planning in maritime container transportation
Expósito-Izquierdo et al. Pre-marshalling problem: Heuristic solution method and instances generator
Imai et al. Multi-objective simultaneous stowage and load planning for a container ship with container rehandle in yard stacks
Yu et al. Storage space allocation models for inbound containers in an automatic container terminal
Vis et al. Sequencing two cooperating automated stacking cranes in a container terminal
Nishimura et al. Container storage and transshipment marine terminals
CN101329579B (zh) 用于优化箱区中集装箱的方法和系统
Imai et al. The containership loading problem
Parreno-Torres et al. Solution strategies for a multiport container ship stowage problem
KR20090115274A (ko)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
Lee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resource cycle strategies on operating and environmental impact in container terminals
Fan et al. Stowage planning of large containership with tradeoff between crane workload balance and ship stability
Beens et al. Scheduling cranes at an indented berth
Chao et al. Minimizing overstowage in master bay plans of large container ships
Hansen et al. A shortest path heuristic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stowage plans in roll-on roll-off liner shipping
Liu et al. Randomized algorithm with tabu search for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large containership stowage plans
WO2019101742A1 (en) A method of containership allocation-based stowage planning
Huang et al. A bounded two-level dynamic programming algorithm for quay crane scheduling in container terminals
Rahsed et al. A rule-based greedy algorithm to solve stowage planning problem
JP4410515B2 (ja) コンテナヤードの荷役システム
Bian et al. Optimization on the container loading sequence based on hybrid dynamic program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