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530B1 - 변기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530B1
KR100841530B1 KR1020070040495A KR20070040495A KR100841530B1 KR 100841530 B1 KR100841530 B1 KR 100841530B1 KR 1020070040495 A KR1020070040495 A KR 1020070040495A KR 20070040495 A KR20070040495 A KR 20070040495A KR 100841530 B1 KR100841530 B1 KR 100841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nozzle
toilet
bidet
steam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선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0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스팀을 이용 변기를 강력하게 살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변기 살균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변기 살균장치는, 비데가 장착된 변기 살균장치로서, 상기 비데의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발생수단 및, 상기 스팀발생수단과 연계되면서 상기 비데 몸체를 통하여 변기 내부에 스팀을 분출시키도록 제공된 스팀 노즐수단을 포함하여 스팀으로 변기 내부를 살균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변기에 장착된 비데의 내부에서 발생시킨 고온의 스팀을 변기 내부에서 분출시키어 변기 내부를 고온 살균함으로써, 강력하게 변기 내부를 살균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살균도 원하는 시간에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변기를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R1020070040495
변기, 비데, 변기 살균장치, 스팀발생수단, 스팀 노즐수단

Description

변기 살균장치{Apparatus For Sterilizing Toilet Bowl}
도 1은 비데를 갖춘 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살균장치가 설치되는 변기와 비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살균장치를 갖는 비데가 부착된 변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변기 살균장치의 다른 스팀발생수단의 작동을단계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기 살균장치에서 스팀 노즐수단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변기 살균장치 10.... 스팀발생수단
12.... 물 공급라인 14.... 스팀공급라인
16.... 스팀발생탱크 18.... 가열수단
20.... 열 차단커버 22,24.... 전기 작동식 개폐밸브
26,28.... 기계 작동식 개폐밸브 30.... 스팀 노즐수단
32.... 노즐바디 34.... 스팀 분출구멍
36.... 노즐팁 38.... 스프링
40.... 보조노즐팁 48.... 판스프링
50.... 제어부 52.... 조작부
54....조작개시버튼 56.... 타이머
100.... 변기 200.... 비데
210.... 세정노즐 220.... 비데 몸체
230.... 좌판 240.... 덮개
250.... 세정수 탱크
본 발명은 변기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에 장착된 비데의 내부에서 발생시킨 고온의 스팀을 변기 내부에서 분출시키어 변기 내부를 고온 살균함으로써, 강력하게 변기 내부를 살균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살균도 원하는 시간에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변기를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변기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의 양변기 즉, 수세식변기(이하, '변기'라 총칭함)의 청결 유지는 세정제를 저수조(도 1의 110 참조)에 넣고 이를 용해시키어 배수시 변기 내부를 세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브러쉬(솔)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직접 변기 내부를 세척하여 변기의 청결을 유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정제를 이용하는 경우, 통상 세정제는 고체상태의 덩어리로서 저수조 내부에 넣어지기 때문에, 저수조 내부에서 물에 빨리 용해되어 장시간 사용하는 것이 어렵고, 따라서 자주 세정제를 저수조에 넣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불편하다.
또한, 사용상 변기를 연속적으로 2회 이상 배수시키는 경우, 세정제가 저수조내에서 충분히 용해되지 않은 상태에서 변기로 공급되므로 세정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다음, 사용자가 직접 변기 내부를 세척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변기 내부를 간단한 조작만으로서 언제든지 살균시키되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그 세정 및 살균성이 우수한 변기 살균장치를 제안하게 되었다.
한편, 근래에는 배변 후 뒤처리를 청결하게 하기 위한 비데(bidet)가 장착된 변기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예컨대, 통상 알려진 비데(200)를 장착한 변기(100)를 도 1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비데(200)는, 세정수(수돗물)를 사용자의 항문이나 질 측으로 분사되게 하는 세정 노즐(210)과 상기 노즐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급수라인이 비데 몸 체(220)에 구비되고, 이와 같은 비데 몸체(220)에는 변기(100)에 놓이는 좌판(230)과 좌판을 덮는 덮개(2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비데의 몸체에 급수라인이 연결되어 물을 저장하는 세정수탱크(250)가 구비되고, 탱크에 히터코일을 설치하여 온수를 비데 자체에서 생산하여 세정수로 공급하는 비데가 사용되고 있다. 미설명 부호 11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수조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비데 몸체 내에 스팀발생수단을 설치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스팀을 별도의 스팀분출노즐을 이용 변기 내부를 살균 세정하여 변기의 살균이 확실하게 구현되도록 한 본 발명의 변기 살균장치를 제안하게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스팀을 이용한 변기 살균장치가 실질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 측면은, 변기에 장착된 비데의 내부에서 발생시킨 고온의 스팀을 변기 내부에서 분출시키어 변기 내부를 고온 살균함으로써, 강력하게 변기 내부를 살균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살균도 원하는 시간에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변기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비데가 장착된 변기 살균장치로서, 상기 비데의 몸체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발생수단; 및,
상기 스팀발생수단과 연계되면서 상기 비데 몸체를 통하여 변기 내부에 스팀을 분출시키도록 제공된 스팀 노즐수단;
을 포함하여 스팀으로 변기 내부를 살균토록 구성된 변기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발생수단은, 비데 몸체 내에 구비된 세정수탱크에 연결된 물 공급라인이 입측에 연결되고, 상기 스팀 노즐수단과 연결되는 스팀공급라인이 출측에 연결되어 유입된 세정수가 스팀으로 가열되는 스팀발생탱크 및, 상기 스팀발생탱크에 연계되면서 탱크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발생탱크의 입측 및 출측에는 상기 각각의 물 공급 및 스팀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전기 작동식 개폐밸브 또는 기계 작동식 개폐밸브들이 구비되고, 상기 스팀발생탱크의 외곽에는 열차단 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팀발생탱크 입,출측의 기계 작동식 개폐밸브는, 스팀발생탱크의 입측 및 출측에 연계된 스프링으로 스팀발생탱크의 물 유입구와 스팀 배출구를 수압과 스팀압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팀 노즐수단은, 상기 비데 몸체에 변기 내부를 향하여 장착되고 스팀발생수단과 스팀공급라인으로 연결되는 노즐바디 및, 상기 노즐바디의 내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팀 분출구멍들이 구비된 노즐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즐바디의 내부 공간에 상기 노즐팁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되 선단부에는 스프링이 개재되어 노즐바디에 공급되는 스팀압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노즐팁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팁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팀 분출 영역을 확대토록 제공된 보조노즐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노즐팁은 상기 노즐바디에서 전,후진 이동하는 노즐팁의 양측에 단부가 피봇되되 상기 노즐팁과 판스프링으로 연결되어 노즐팁의 전,후진시 전개 및 겹쳐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비데 몸체 내에 배치된 기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히터코일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비데 조작부에 설치된 노즐살균 개시버튼과 상기 버튼 조작시 가열수단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에는 비데 몸체와 연계된 좌판에 구비된 착좌센서 및 비데에 구비된 덮개의 닫힘을 감지하는 덮개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어 변기 살균시 스팀의 외부 분출을 차단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물 공급라인과 스팀공급라인에는 상기 비데 몸체내 기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개폐 제어밸브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이하에서는 변기 및, 변기에 장착된 비데 관련 구성요소는 각각 100 및 200 단위의 도면부호로 설명하고, 본 발명의 변기 살균장치(1)와 관련된 구성요소는 10단위의 도면부호로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기 살균장치(1)가 구비되는 변기(100)에 장착된 비데(200)를 살펴보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전달하는 급수라인(252)이 세정수탱크(250)에 연결되고, 상기 세정수탱크(250)에는 세정수 공급라인(254)을 통하여 사용자의 항문이나 질(여성)을 세정하는 세정노즐(210)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세정수 공급라인(254)에는 'T'자형 연결구(256)이 연결되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스팀발생수단(10)의 물 공급라인(12)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수 공급라인(254)에는 세정수 공급을 제어하는 개폐용 제어밸브(254a)가 구비되고, 이와 같은 제어밸브(254a)는 비데(200) 몸체(220) 내에 구비된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세정수의 세정노즐 공급과 스팀발생수단(10) 공급이 조정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 수도관과 연결되는 급수라인(252)에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가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정노즐(210)은 세정수 공급라인(254)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세정수를 사용자의 항문이나 질에 분사시키어 세정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비데(200)의 몸체(220)에 구비된 덮개(240)는 구동박스(242)와 연계되어 사람이 조작하지 않는 자동 개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덮개 자동 개폐형 비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12003호, 제2004-0010466호 등에서 개시되고 있는데, 도 3과 같이 비데 몸체(220)측에 덮개(240)와 연계된 구동박스(242)를 제공하되, 상기 구동박스에는 기어 연동 구조로 기어의 회동으로 상기 비데 덮개(240)의 자동 개폐가 수행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데 좌판(230)에는 알려진 착좌센서(58)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좌판상에 앉아 있는 지를 판단하고, 사용자가 좌판에서 멀어지면 사람이 없다고 판단하여 덮개(240)의 구동박스(242)(에 구비된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기 제어부(50)를 통하여 덮개의 작동 개폐가 수행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자동 개폐형 덮개(240)를 갖는 비데(200)는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변기 살균장치(1)는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고온의 스팀을 사용하 기 때문에, 스팀 분출에 따른 화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어도 덮개 자동 개폐형 비데(200)에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본 발명의 변기 살균장치(1)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크게 상기 비데의 몸체(220)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발생수단(10) 및, 상기 스팀발생수단(10)과 연계되면서 상기 비데몸체를 통하여 변기 내부에 스팀을 분출시키도록 제공된 스팀 노즐수단(30)을 포함하여 스팀으로 변기 내부를 살균토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데 몸체(220)내 세정수탱크(250)에도 히터코일(미도시)을 설치하여 탱크내 세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의 세정시 어느 정도 가열된 온수를 세정노즐(210)을 통하여 분출하도록 하기는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보다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때,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팀발생수단(10)은, 비데 몸체(220)내에 구비된 세정수탱크(250)에 연결된 물 공급라인(12)이 입측에 연결되고, 상기 스팀 노즐수단(30)에 연결되는 스팀공급라인(14)이 출측에 연결되어 내부 유입된 물이 스팀으로 가열되는 스팀발생탱크(16) 및, 상기 스팀발생탱크(16)에 연계되면서 탱크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1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수단(18)은 통상 전기 제어되는 히터코일로 제공되는데, 이와 같은 히터코일의 가열수단(18)은 비데 몸체(120) 내에 구비된 기기 제어부(50)(예를 들어 통상 장치 제어용의 'PL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과 같이, 상기 제어부(50)에는 비데 조작부(52)에 설치된 노즐살균 개시버튼(54)과 상기 버튼 조작시 가열수단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56)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52)의 살균 개시버튼(54)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50)는 연결된 타이머(56)의 설정 시간만큼, 상기 스팀발생수단(10)의 전기적으로 연결된 가열수단(18) 즉, 히터코일을 가동시킨다.
이때, 세정수탱크(250)에서 물 공급라인(12)을 통하여 개폐 제어밸브(12a)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50)에 의하여 세정수(도 4b의 W)는 스팀발생탱크(16)의 내부에 공급하면, 가열수단에 의하여 스팀발생탱크(16)내에서 가열되면서 스팀으로 기화된다.
다음, 이와 같이 발생한 스팀(도 4c,d의 S)은 도 3과 같이, 비데 몸체(220)의 세정노즐(210) 근방에 배치되는 본 발명의 살균장치의 스팀 노즐수단(30)에 스팀공급라인(14)을 통하여 공급된다.
이때, 상기 스팀 공급라인(14)에는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개폐용 제어밸브(14a)가 구비되어 스팀의 스팀 노즐수단 공급이 제어된다.
따라서, 스팀발생수단(10)에서 발생된 스팀은 도 3과 같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스팀 노즐수단(30)을 통하여 덮개(240)가 덮어진 변기 내부에 분출되어 변기 내부는 물론, 비데의 세정 노즐(210) 까지도 광범위하게 살균처리된다.
이때, 도 2 및 도 3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발생탱크(16)의 외곽에 는 열차단 커버(2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커버는 가열수단인 히터코일의 가동시 발생되는 열에 의한 비데 몸체의 열손을 예방할 것이다.
이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팀발생수단(10)에서 스팀발생탱크(16)의 입측(16a) 및 출측(16b)에는 저장수 공급라인(12)과 스팀의 노즐 공급라인(30)이 각각 연결되는 전기 작동식 개폐밸브(22)(24) 또는 기계 작동식 개폐밸브(26)(28)들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작동식 개폐밸브(22)(24)는, 세정수의 스팀발생탱크 일시저장 및 발생된 스팀의 배출을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제어한다.
다음,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스팀발생수단(10)에서 구비되는 기계식 작동식 입,출측 개폐밸브(26)(28)는, 스팀발생탱크의 입측 및 출측에 연계된 스프링(26a)(28a)으로 스팀발생탱크(16)의 물 유입구(16a)와 스팀 배출구(16b)를 수압과 스팀압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26b)(28b)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물 공급라인(12)으로 세정수가 일정압력으로 공급되면 스프링(26a)을 압축시키면서 개폐판(26b)이 밀려서 세정수의 스팀발생탱크내 유입이 수행된다.
다음, 도 4b와 같이, 세정수(W)가 스팀발생탱크(16)내에 일정부분 충진되어 공급이 중단되면 반대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개폐판(26b)은 탱크 입측 개구(16a)을 차단한다.
그리고, 도 4c 및 도 4d와 같이, 가열수단(18)의 가동으로 스팀(S)이 탱크내 에서 발생되어 일정압력이 되면 탱크 출측 스프링(28b)을 압축시키면서 밸브(28)의 개폐판(28a)는 출측 개구(16b)를 개방시키어 스팀의 공급라인(30) 공급이 수행되고, 노즐의 스팀 살균이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은 도 4의 기계 작동식 개폐밸브(26)(28)는 전기 가동에 따른 전기료 절감을 가능하게 할 것이고, 기계 작동 구조이므로 오작동도 없게 하는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때, 도 4와 같이, 기계식 작동 개폐밸브(26(28)를 갖는 스팀발생탱크(16)의 입측(16a)에는 입측 개폐밸브(26)의 스프링(26a)을 지지하는 고정링(미부호)이 구비될 수 있고, 반대측에는 출측 개폐밸브를 감싸는 연결통(29)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탱크(16)의 세정수 입측 개폐밸브의 스프링(26a)의 탄성력 보다는 스팀 배출구측 개폐밸브(28)의 스프링(28a)의 탄성력을 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입구측 개폐밸브(26)는 공급되는 세정수의 수압이 작용되는 경우 스프링(26a)이 압축되어 물 유입구를 통한 탱크내 유입을 가능하게 하고, 출측(스팀 배출) 개폐밸브(28)는 스팀압이 개폐판(28b)에 작용하는 경우 압축되고, 물의 수압에는 출구측 개폐밸브의 스프링(28a)은 압축되지 않아야 하므로, 물의 수압을 기준으로 출구측 개폐밸브의 스프링 탄성력은 입구측 개폐밸브의 스프링 탄성력 보다 커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변기 살균장치(1)에서 실질적으로 변기 내부에 스팀을 분출 시키어 살균토록 하는 상기 스팀 노즐수단(3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데 몸체(220)에 변기 내부를 향하여 장착되고 스팀발생수단(10)과 스팀공급라인(14)으로 연결되는 노즐바디(32) 및, 상기 노즐바디(32)의 내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팀 분출구멍(34)들이 구비된 노즐팁(36)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스팀 노즐수단(3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비데 몸체(220)의 내부에 노즐 바디(32)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그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노즐팁(36)이 경사지게 이동하여 스팀을 변기 내부에 보다 고르게 분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세정노즐 보다 더 아래를 향하게 하여 스팀을 분출시키어 세정 노즐도 스팀으로 같이 살균시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노즐바디(32)의 내부 공간에 상기 노즐팁(36)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되 선단부에는 스프링(38)이 개재되어 노즐바디에 공급되는 스팀압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노즐팁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노즐팁(36)은 노즐 바디(32)내에 공급되는 스팀의 압력으로 초기에 노즐바디를 통하여 전진하다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는 위치에서 스팀(S)은 노즐팁(36)의 스팀분출구멍(34)을 통하여 분출되면서 변기의 살균이 이루어 진다.
이때, 스팀 공급이 개폐 제어밸브(14a)를 통하여 중단되면, 노즐팁(36)과 노즐바디(32)사이에 외곽으로 개재된 스프링(38)의 반발력으로 노즐팁(36)은 본래의 위치 즉, 노즐 바디의 내측으로 복귀된다.
한편, 이와 같은 스팀 노즐수단(30)에서 노즐팁(36)의 전,후진 구조는 일 실시 예일 뿐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에를 들어 스팀 공급압력으로 노즐팁(36)을 전진시키는 대신에, 별도의 구동수단 예컨대 무한궤도 이동하는 체인, 와이어 등으로 노즐팁(36)을 노즐바디에서 전,후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기 살균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 노즐수단(30)의 노즐팁(36)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팀 분출 영역을 확대토록 제공되는 보조노즐팁(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팁(36)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팀의 공급에 따라 노즐바디(32)내에서 스프링(38)의 탄성력으로 전,후진하면, 상기 보조노즐팁(40)은 노즐팁(36)의 외곽 양측에서 피봇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 노즐팁(36)이 전진하면서 노즐바디(32)와 비데 몸체(220)의 구멍에서 돌출되면 상기 보조노즐팁(40)은 노즐팁(36)사이에 판스프링(48)이 체결되어 있어 판스프링(48)의 확장시 보조노즐팁(40)도 노즐팁(36) 양측에서 확장된다.
이때, 보조노즐팁(40)에는 스팀분출구멍(40a)이 형성된 중공관 형태이고, 그 단부는 라운드하게 형성되어 노즐팁(36)의 연결부위(42)에 형성된 개구(42a)를 통하여 스팀이 유입 분출되고, 피봇 볼트(46a)와 너트(46b)가 체결되어 상기 보조노즐팁(40)은 볼트를 축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스팀분출을 통한 변기 내부의 살균이 완료되어 스팀 공급이 중단되고, 이때 노즐팁측 스프링(38)의 탄성력으로 노즐팁(36)이 노즐바디(32)내로 후진되면 보조노즐팁(40)은 노즐바디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압박되고 판스프링(48)이 압 착되어 보노조즐팁(40)은 노즐팁(36) 양측에 밀착된 상태로 노즐바디(32)의 내부에 삽입(후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보조노즐팁(40)을 구비한 본 발명의 스팀 노즐수단(30)의 경우에는 스팀 분출 자체를 보다 광범위하게 다량 분출하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기 살균장치(1)는 스팀을 통한 변기 살균시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만 가동되도록 조작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작부(52)의 살균 개시 버튼(54)을 오작동하여도 좌판(230)의 착좌센서(58)에서 사용자가 좌판상에 있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50)는 스팀 살균을 수행하지 않는다.
동시에, 사용자가 없어도 덮개(240)가 내려와서 덮개감지센서(60) 예를 들어, 텃치센서 등의 작동으로 덮개가 닫혀 있음을 제어부(50)에서 감지하지 않으면 살균 개시 버튼(54)이 조작되어도 노즐의 스팀 살균이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적어도 좌판 상에 없고, 덮개가 밀폐된 경우에만 본 발명의 변기 살균장치가 안정적인 환경 예를 들어, 스팀 분출에 따른 주변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안정적인 환경에서만 가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인 변기 살균장치에 의하면, 변기에 장착된 비데의 내부에서 발생시킨 고온의 스팀을 변기 내부에서 분출시키어 변기 내부를 고온 살균함으 로써, 강력하게 변기 내부를 살균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살균도 원하는 시간에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변기를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1)

  1. 비데(200)가 장착된 변기(100)의 살균장치(1)에 있어서,
    상기 비데의 몸체(220) 내부에 구비되는 스팀발생수단(10); 및,
    상기 비데 몸체(220)에 변기 내부를 향하여 장착되고, 상기 스팀발생수단(10)과 스팀공급라인(14)으로 연결되는 노즐바디(32)와, 상기 노즐바디(32)의 내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팀 분출구멍(34)들이 구비되며, 스팀으로 변기 내부를 살균하는 노즐팁(36)을 포함하는 스팀 노즐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살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수단(10)은,
    비데 몸체(220) 내에 구비된 세정수탱크(250)에 연결된 물 공급라인(12)이 입측에 연결되고, 상기 스팀 노즐수단(30)과 연결되는 스팀공급라인(14)이 출측에 연결되어 유입된 세정수가 스팀으로 가열되는 스팀발생탱크(16); 및,
    상기 스팀발생탱크(16)에 연계되면서 탱크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18);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살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탱크(16)의 입측 및 출측에는 상기 각각의 물 공급라인(12) 및 스팀 공급라인(14)이 연결되는 전기 작동식 개폐밸브(22)(24) 또 는 기계 작동식(26)(28) 개폐밸브들이 구비되고,
    상기 스팀발생탱크(16)의 외곽에는 열차단 커버(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살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탱크 입,출측의 기계 작동식 개폐밸브(26) (28)는, 스팀발생탱크의 입측 및 출측에 연계된 스프링(26a)(28a)으로 스팀발생탱크(16)의 물 유입구(16a)와 스팀 배출구(16b)를 수압과 스팀압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26b)(28b)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살균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바디(32)의 내부 공간에 상기 노즐팁(36)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되 선단부에는 스프링(38)이 개재되어 노즐바디에 공급되는 스팀압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노즐팁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살균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36)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팀 분출 영역을 확대토록 제공된 보조노즐팁(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살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노즐팁(40)은 상기 노즐바디에서 전,후진 이동하는 노즐팁(36)의 양측에 단부가 피봇되되 상기 노즐팁(36)과 판스프링(48)으로 연결되어 노즐팁(36)의 전,후진시 전개 및 겹쳐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살균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18)은, 상기 비데 몸체 내에 배치된 기기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히터코일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50)에는 비데 조작부(52)에 설치된 노즐살균 개시버튼(54)과 상기 버튼 조작시 가열수단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56)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살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에는 비데 몸체와 연계된 좌판(230)에 구비된 착좌센서(58) 및 비데 몸체에 구비된 덮개(240)의 닫힘을 감지하는 덮개감지센서(60) 중 적어도 하나가 연결되어 변기 살균시 스팀의 외부 분출을 차단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살균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라인(12)과 스팀공급라인(14)에는 상기 비데 몸체 내 기기 제어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개폐 제어밸브(12a)(14a)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살균장치.
KR1020070040495A 2007-04-25 2007-04-25 변기 살균장치 KR10084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495A KR100841530B1 (ko) 2007-04-25 2007-04-25 변기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495A KR100841530B1 (ko) 2007-04-25 2007-04-25 변기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530B1 true KR100841530B1 (ko) 2008-06-25

Family

ID=3977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495A KR100841530B1 (ko) 2007-04-25 2007-04-25 변기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53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119B1 (ko) * 2009-01-21 2012-01-13 주식회사 파세코 좌변기 세척 장치를 갖는 비데
KR101204783B1 (ko) * 2008-11-27 2012-11-26 김진동 비데
KR101221538B1 (ko) * 2012-02-27 2013-01-11 김진동 비데
KR101303449B1 (ko) 2007-09-17 2013-09-05 코웨이 주식회사 노즐 살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CN108755882A (zh) * 2018-06-14 2018-11-06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智能马桶控制的方法、装置及智能马桶
CN111434865A (zh) * 2019-01-11 2020-07-21 香港生产力促进局 一种座厕清洁机
EP3699370A1 (en) * 2015-06-25 2020-08-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anitary cleaning device
KR102559900B1 (ko) 2022-03-17 2023-07-26 에스아이오티 주식회사 변기용 살균 세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기용 살균 세정 공정 및 변기용 살균 세정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137A (ja) * 2003-03-04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装置
KR20050057019A (ko) * 2002-08-29 2005-06-1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위생 세정 장치
KR20060120826A (ko)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7019A (ko) * 2002-08-29 2005-06-1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위생 세정 장치
JP2004270137A (ja) * 2003-03-04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装置
KR20060120826A (ko)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449B1 (ko) 2007-09-17 2013-09-05 코웨이 주식회사 노즐 살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1204783B1 (ko) * 2008-11-27 2012-11-26 김진동 비데
KR101104119B1 (ko) * 2009-01-21 2012-01-13 주식회사 파세코 좌변기 세척 장치를 갖는 비데
KR101221538B1 (ko) * 2012-02-27 2013-01-11 김진동 비데
EP3699370A1 (en) * 2015-06-25 2020-08-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anitary cleaning device
CN108755882A (zh) * 2018-06-14 2018-11-06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智能马桶控制的方法、装置及智能马桶
CN108755882B (zh) * 2018-06-14 2020-12-22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智能马桶控制的方法、装置及智能马桶
CN111434865A (zh) * 2019-01-11 2020-07-21 香港生产力促进局 一种座厕清洁机
KR102559900B1 (ko) 2022-03-17 2023-07-26 에스아이오티 주식회사 변기용 살균 세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기용 살균 세정 공정 및 변기용 살균 세정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530B1 (ko) 변기 살균장치
WO2011016389A1 (ja) 衛生洗浄装置
KR101303449B1 (ko) 노즐 살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KR100836726B1 (ko) 비데 노즐 살균장치
KR20080002305U (ko)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KR101252437B1 (ko) 위생 세정 장치
KR200478243Y1 (ko) 좌대 스팀 세척 기능을 겸비한 비데
JP2004308264A (ja) 衛生洗浄装置
KR101731548B1 (ko) 분사노즐의 소독기능이 구비된 비데의 제어장치
KR200464137Y1 (ko) 온수세정기의 살균장치
KR101250354B1 (ko) 스팀 살균 기능을 가지는 비데
JP4226356B2 (ja) 衛生洗浄装置
JP7209477B2 (ja) 局部洗浄装置
JP7340437B2 (ja) 局部洗浄装置及び水洗便器
KR101081020B1 (ko) 비데용 노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비데용 노즐의 세척방법
JP4345342B2 (ja) 衛生洗浄装置
KR20130096570A (ko) 양변기
JP4079821B2 (ja) ユニットバス洗浄装置およびその洗浄方法
JP4341275B2 (ja) 衛生洗浄装置
JP7061907B2 (ja) 局部洗浄装置
JP2005120674A (ja) 衛生洗浄便座
JP2004116151A (ja) 衛生洗浄装置
JP3751784B2 (ja) 食器洗浄機
JP4456820B2 (ja) トイレ装置
JP2004263421A (ja) 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