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445B1 -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445B1
KR100841445B1 KR1020060049591A KR20060049591A KR100841445B1 KR 100841445 B1 KR100841445 B1 KR 100841445B1 KR 1020060049591 A KR1020060049591 A KR 1020060049591A KR 20060049591 A KR20060049591 A KR 20060049591A KR 100841445 B1 KR100841445 B1 KR 100841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c
wireless interface
frame
bus
interfac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333A (ko
Inventor
전범진
조현철
김택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9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445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HDMI)에 규정된 사용자 전자 제어(Consumer Electronic Control:CEC) 정보 프레임을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CEC 정보를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하고자 할 경우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된 일측 CEC 버스가 점유되면 해당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이 우선적으로 대응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에 널프레임을 생성하여 연결된 CEC 버스를 우선 점유하도록 지시함으로써, 느린 CEC 신호를 모두 받아 무선 전송할 때까지의 시간동안 다른 디바이스가 CEC 버스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여 버스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WIRELESS INTERFA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사용자 전자 제어(CEC)의 규격을 보인 타이밍도 및 데이터 구성도.
도 2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CEC전송 방식의 문제점을 보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CEC 전송예를 보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 디바이스 20: 제 1 CEC 버스
30: 제 1무선 인터페이스 40: 무선망
50: 제 2무선 인터페이스 60: 제 2 CEC 버스
70: 제 2 디바이스
본 발명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이하 HDMI라 칭함)에 규정된 사용자 전자 제어(Consumer Electronic Control, 이하 CEC라 칭함) 정보 프레임을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수단, 재생 수단 및 표시 수단들의 발전에 따라 복잡한 멀티미디어 관련 디바이스들 사이의 신호 선로 연결을 간편화하면서도 고품질 정보들을 손실 없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관련 기술들도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컴퓨터와 표시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을 위해 개발된 후 그 영역을 일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사이의 연결을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발전한 DVI(Digital Video Interactive)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DVI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멀티미디어 신호 전송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HDMI가 상용화되어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상기 HDMI는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오디오/비디오를 전송할 수 있는 최초의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로, 상기 HDMI는 어떠한 오디오/비디오 소스, 셋탑박스와 DVD 플레이어, 모니터, 디지털TV와 같은 장치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HDMI는 향상된 고선명 비디오와 더불어 단일 케이블을 통해 멀티채널 디지털 오디오를 지원함으로써, 모든 ATSC, HDTV를 전송할 수 있고 충분한 대역폭을 지닌 8채널 디지털 오디오를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HDMI를 사용할 경우 우수하면서 압축되지 않은 고품질 디지털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HDMI에는 가전 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원하는 가전 기기를 제어 할 수 있도록 하는 부가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CEC 및 CEC 버스가 정의되어 있는데, 이를 활용함에 따라 간단한 가전기기 네트워크의 구성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최근, 상기 HDMI를 유선 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HDMI 규격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선 HDMI 방식에서도 상기 CEC와 같은 부가 신호가 전송될 수 있어야 한다.
유선 HDMI 방식에서는 CEC 정보를 전용 CEC 버스를 통해 전송하기 때문에 해당 CEC 정보의 발생과 동시에 해당 CEC 버스의 점유권을 얻을 수 있어 CEC 데이터들의 충돌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단일 아날로그 채널을 이용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느리게 동작되는 CEC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CEC를 모두 수신한 후에야 패킷화를 통한 CEC 정보의 전송이 가능해져 해당 CEC 정보를 수신하고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에 따른 지연 시간 내에 CEC 버스가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점유되면 CEC 정보의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용 선로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로 제공되는 CEC 정보를 다른 정보들과 함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경우 발생되는 버스 충돌을 방지하고자 제안된 본 발명 실시예의 목적은 CEC 정보를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전송하고자 할 경우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된 일측 CEC 버스가 점유되면 해당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이 우선적으로 대응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에 널프레임을 생성하여 연결된 CEC 버스를 우선 점유하도록 지시함으로써, 버스 충돌을 방지하도 록 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CEC 정보를 송수신할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이 CEC 정보의 전송을 검출하면 우선적으로 널 프레임 패킷을 자동 생성 및 전송하여 대응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과 연결된 CEC 버스를 우선 점유하도록 하고, 실제 CEC 정보를 모두 수신한 후 패킷화하여 상기 널 프레임 패킷 다음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CEC 정보를 버스 충돌의 위험 없이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CEC 정보를 송수신할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이 CEC 정보의 전송을 검출하면 우선적으로 널 프레임 패킷을 자동 생성하여 전송한 후 CEC 정보를 후속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CEC 송신 디바이스에 널 프레임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송수신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에 각각 연결된 CEC 버스의 동기화를 실시하도록 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CEC 버스 사이에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성되더라도 인터페이스 변환에 의한 지연에 기인한 CEC 정보들의 충돌을 방지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로 상호 연결된 CEC 버스의 동기화를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유선 CEC 규격과의 호환성을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의 사용자 전자 제어(CEC) 버 스와 유선 연결되어 CEC 프레임 발생이 검출되는 즉시 널 프레임을 무선 패킷으로 전송하고 상기 CEC 프레임을 모두 수신한 후 패킷화하여 후속 전송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의 제1 사용자 전자 제어(CEC) 버스를 통해 직렬 정보를 제공하는 제 1디바이스와; 상기 제1 CEC 버스와 연결되며 CEC 프레임 발생이 검출되면 널 프레임을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우선 전송하고 상기 CEC 프레임을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후속 전송하는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하여 연결된 제2 CEC 버스에 제공하는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과 HDMI의 상기 제2 CEC 버스를 통해 연결된 제 2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을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들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HDMI에 포함된 제1 사용자 전자 제어(CEC) 버스가 점유되는 즉시 소정 신호를 전송하는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를 파악한 후 널 프레임을 연결된 제2 CEC 버스에 제공하는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은, 제1 HDMI와 연결된 제 1무선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상기 제1 HDMI의 제1 CEC 버스를 통해 CEC 프레임 발생을 검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CEC 프레임 발생에 따라 널 프레임을 제2 HDMI와 연결된 제 2무선 인터페이스로 무선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가 상기 CEC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널 프레임에 후속하여 CEC 프레임을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로 무선 전송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가 상기 전송되는 널 프레임 및 CEC 프레임을 수신하여 연결된 제2 CEC 버스에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은, 제 1디바이스가 제 1 HDMI의 제1 CEC 버스를 통해 CEC 프레임 정보를 제 1무선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가 상기 CEC 프레임 정보의 발생을 파악하는 즉시 널 프레임 패킷을 제 2무선 인터페이스로 무선 송신하고, 상기 CEC 프레임을 모두 수신한 후 이를 패킷화하여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로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연속되는 CEC 프레임을 순차 수신하여 각각 CEC 프레임 패킷으로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에 전송한 후 최종 CEC 프레임 패킷을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로 전송함과 아울러 널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제 1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로부터 전송된 프레임 패킷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는 연결된 제 2 HDMI의 제2 CEC 버스를 통해 제 2디바이스에 상기 수신한 프레임 정보를 순차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은, HDMI를 지원하는 제 1디바이스에 의한 제1 CEC 버스의 신호 변화를 연결된 제 1무선 인터페이스가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신호 변화가 파악되면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가 기 약속된 신호를 제 2무선 인터페이스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기 약속된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제2 CEC버스를 점유하여 다른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 1디바이스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CEC 프레임을 수신한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가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CEC 프레임을 패킷화하여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에 제공하고 널 프레임을 상기 제 1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HDMI의 CEC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CEC 프레임 정보를 이루는 신호들의 비트 타이밍과 프레임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1a는 CEC 프레임의 시작 비트 타이밍도이고, 도 1b는 CEC 프레임의 데이터 비트 타이밍도이며, 도 1c는 CEC 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CEC 프레임은 1개의 시작 비트와 8개의 데이터 비트, 그리고 1비트의 메세지 종료 설정 비트(End of Message, 이하 EOM이라 칭함)와 1비트의 확인 정보(ACK)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 1a 및 도 1b의 굵은 실선은 이상적인 타이밍을 보이며, 점선은 허용 가능한 타이밍 영역을 보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 HDMI는 복수의 디지털 라인들이 병렬 구성된 것이며, 그 중에는 CEC 정보 전달을 위한 전용 CEC 버스 라인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CEC 버스라인은 모든 HDMI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에 공통 구성되는 단일 버스로 해당 버스에 CEC 프레임 정보를 먼저 제공하는 디바이스가 해당 버스의 우선 사용권을 가지게 된다. 즉, CEC 프레임의 시작 비트를 제공하거나 버스 점유의 명확화를 위해 CEC 버스에 저전위 신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가 버스의 우선권(다른 디바이스의 사용을 제한)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CEC는 간단한 제어 명령을 제공하기 위한 부가 정보이기 때문에 낮은 주파수의 데이터율을 가지게 되는데, 도시된 도 1a 및 도 1b의 타이밍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CEC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서 적어도 4.5㎳+10×2.4㎳ = 28.5㎳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도시된 점선은 신호의 허용 오차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허용 오차를 가정할 경우 30ms를 초과하는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다. 따라서, CEC 버스 구성 중 일정 영역에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구간을 구성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CEC 프레임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CEC 버스에 제공하고자 할 경우,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실질적으로 소비되는 패킷화 시간과 전송 지연 시간(일반적으로 수㎲)을 더 추가할 경우 CEC 정보를 발생시킨 시점과 해당 정보에 의해 상기 CEC 정보를 발생시킨 디바이스가 무선 인터페이스 저편의 CEC 버스를 점유하기까지의 시점 사이에 상당히 긴 지연(약 28.5㎳ 내외)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지연 시간 내에 유선 HDMI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가 CEC 버스(무선 인터페이스의 상대편에 연결된 CEC 버스)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CEC 버스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상기 CEC 버스는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점유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 이전에 다른 디바이스가 생성한 CEC 프레임 정보가 뒤늦게 상기 CEC 버스에 제공되어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상기 설명한 이유로 인한 CEC 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디바이스(10)와 제 2디바이스(70)는 각각 HDMI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들로, 이들은 유선 HDMI 대신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들(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이 배치되어 해당 구간은 무선 망(40)을 통해 상호 HDMI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디바이스(10)는 HDMI를 통해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과 연결되고, 제 2디바이스(70) 역시 HDMI를 통해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과 연결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각 HDMI 인터페이스 중에서 CEC 버스 부분(20, 60)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제 1디바이스(10)가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과 연결된 CEC 버스(20)를 통해 CEC 정보를 프레임 단위로 제공하고, 상기 CEC 프레임이 제공되기 시작한 이후에(이 시점에서도 상기 CEC 버스(60)는 점유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함) 제 2디바이스(70)가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과 연결된 CEC 버스(60)를 통해 CEC 프레임을 제공하기 시작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이 상기 제 1디바이스(10)로부터 CEC 프레임을 완전히 수신하여 이를 패킷으로 만들어 무선망(40)으로 전송할때 까지는 적어도 2~30㎳ 지연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지연 중에 제 2디바이스(70)가 CEC 프레임을 제공하기 시작하면 상기 제 2디바이스(70)가 연결된 CEC 버스(60)의 점유권을 가지게 되지만, 이러한 점유권에 의해 CEC 프레임을 제공하기 시작하는 와중에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50)를 통해 제 1디바이스(10)가 제공한 CEC 프레임이 도착하게 되어 도시한 바와 같은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CEC 버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널 프레임의 전송을 통해 CEC 프레임을 발생시킨 디바이스가 전체 CEC 버스의 우선권을 빠르게 획득하여 CEC 버스를 우선 점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 50) 중 일측에 연결된 디바이스가 CEC 버스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디바이스가 연결된 CEC 버스에 최대한 신속하게 CEC 버스 사용 사실을 알려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해당 CEC 버스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이 연결된 CEC 버스(20)를 감시하다가 상기 제 1디바이스(10)가 CEC 프레임 정보를 송신하기 시작하면 그 시작 비트를 검출하는 즉시 널(null) 프레임을 생성한 후 이를 패킷화 하거나 혹은 널 패킷을 직접 생성하여 이를 우선적으로 무선망(40)을 통해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으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 50)은 압축되지 않은 AV 신호를 전송하기에 충분한 대역을 가져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시작 비트와 10개의 논리 비트로 이루어진 CEC 프레임 정보(널 프레임)를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시간은 수㎲ 이하일 수 있어 상기 제 1디바이스(10)가 CEC 버스에 CEC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시작 비트를 제공함과 거의 동시에 상기 제 2디바이스(70)가 연결된 CEC 버스에 널 프레임이 제공되기 시작하여 그 시차(수 ㎲ 이하)는 (한 비트를 제공할 때 수십~수백㎲를 오차 허용 범위로 가지는 CEC 프레임의 비트 타이밍과 비교하여) 거의 무시할 수 있게 된다. 즉, 제 1디바이스가 CEC 버스를 점유하여 CEC 프레임을 전송하고자 할 때 다른 디바이스가 CEC 버스를 상기 시차 내에 동시에 점유하고자 시도할 확률은 극히 작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처리를 위해서,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은 상기 연결된 CEC 버스(20)의 신호(점유되지 않은 경우 항상 논리 1)를 주시하다가 해당 신호가 변화(논리 1에서 논리 0으로)되는 경우, 즉시 널 프레임을 무선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주시하지 않고 신호 변화를 인터럽트 방식으로 감지하여 해당 인터럽트 처리 루틴에서 널 프레임을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혹은 정확한 CEC 점유를 위해 시작 비트까지는 신호를 확인한 후 널 프레임을 전송할 수도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가 변환되는 즉시 널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이 널 프레임 패킷을 직접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이 지연 시간을 더욱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혹은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과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으로 상호간에 약속된 방식으로 신호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이 널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식도 가능하며, 이러한 방식을 적용할 경우 지연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이 제공하는 상기 널 프레임은 일반적인 CEC 프레임의 규격에 맞추어 시작 비트와 8개의 널 데이터 비트, 그리고 후속하는 CEC 프레임이 있음을 알릴 수 있도록 1로 설정되는 EOM 비트와 무선 전송을 위해 확인된 것으로 가정한 ACK 비트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이 연결된 CEC 버스(60)를 통해 제 2디바이스(70)에 제공하는 널 프레임의 구성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 2디바이스(70)는 후속하는 CEC 프레임이 모두 처리되어 상기 EOM 비트가 0이 되는 프레임이 확인될 때까지 상기 CEC 버스(60, 20)를 점유하지 못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은 제 1디바이스(10)가 제공하는 CEC 프레임을 모두 수신한 후 이를 패킷화하여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50)에 제 공하며, 이는 CEC 정보를 이루는 모든 프레임들을 전송할때까지 반복된다. 상기 모든 CEC 정보가 전송될때까지 모든 CEC 버스는 상기 제 1디바이스(10)가 점유하게 되어 다른 디바이스는 상기 CEC 버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CEC 정보를 한 프레임씩 전송할 수도 있으나, 실제 CEC 정보를 구성하는 모든 CEC 프레임을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이 모두 수신한 후 일괄적으로 패킷화하여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으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이 모든 CEC 프레임들을 수신할 때까지 해당 무선 채널을 AV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할 수 있어 전송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이 모든 CEC 프레임을 전송할 경우, 마지막 CEC 프레임을 전송한 후 실제 상기 CEC 프레임이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에 의해 제 2디바이스(70)에 제공되는 시간(하나의 CEC 프레임이 제공되는 약 30ms 정도의 시간)동안 상기 제 1디바이스(10)에 연결된 CEC 버스(20)는 아무 디바이스도 점유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시간 내에 상기 제 1디바이스(10)가 다른 CEC 정보의 제공을 시도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은 최종 CEC 프레임을 무선 전송한 후 상기 제 1디바이스(10)측으로 널 프레임(마지막 CEC 프레임 임을 나타내도록 EOM가 0으로 설정됨)을 제공하여 해당 시간동안 상기 제 1디바이스(10)가 새로운 CEC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디바이스(10)가 CEC 프레임들을 모두 제공하고 난 다음 다른 디바이스가 CEC 버스를 점유한 것 처럼 상 기 제 1디바이스(10)를 속여 상기 제 1디바이스(10)가 해당 널 프레임이 제공되는 시간 동안에는 CEC 버스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상기 설명된 CEC 프레임 전송과정을 도식적으로 보인 신호 전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디바이스가 CEC 버스를 점유하여 CEC 정보를 제 2디바이스에 제공하는 과정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먼저, 제 1디바이스(10)가 시작 비트를 CEC 버스에 제공하면서 CEC 프레임의 전송을 시작하면,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은 상기 제 1디바이스(10)가 제공하는 시작 비트를 검출함과 동시에 널 프레임을 생성하여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으로 전송한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들(30, 40) 사이의 무선 데이터 전송은 패킷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들(30, 40)은 데이터를 패킷화하는 수단을 가진다. 이때, 상기 CEC 프레임 정보는 프레임 단위로 패킷화하여 전송(널 프레임, 개별 CEC 프레임 등)할 수 있으며, 복수 프레임 단위로 패킷화하여 전송(복수 CEC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CEC 정보)할 수도 있다. 혹은 상기 널 프레임 대신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과 기 약속된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이 상기 제 1디바이스(10)가 CEC 버스를 점유하고자 함을 인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에 널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하는 무선 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은 이를 근거로 제 2디바이스(70)와 연결된 CEC 버스에 널 프레임을 제공하기 시작한다. 상기 널 프레임은 널 시작 비트와 널 비트 데이터들 및 후속 CEC 프레임이 존재함을 알리는 EOM 비트와 ACK 비트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널 프레임을 제 2디바이스(70)에 제공하는 시간동안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은 상기 제 1디바이스(10)로부터 실질적인 CEC 프레임을 전송받게 되며, 이렇게 1개의 CEC 프레임을 모두 전송받으면 이를 패킷화하여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에 전송한다.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은 널 프레임을 제 2디바이스(70)와 연결된 CEC 버스에 제공한 후 상기 CEC 프레임을 수신하여 이를 후속하여 상기 CEC 버스에 제공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후, 제 1디바이스(10)가 CEC 프레임을 추가 제공하면 원하는 CEC 정보를 모두 상기 방식으로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측으로 제공하여 프레임 단위 전송을 실시한다.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30)은 마지막 CEC 프레임(EOM 비트를 통해 파악)이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50)을 통해 상기 제 2디바이스(70)와 연결된 CEC 버스에 제공되는 시간동안 상기 제 1디바이스(10)에 의한 새로운 CEC 정보 제공을 금지하도록 상기 제 1디바이스(10)와 연결된 CEC 버스에 널 프레임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상기 이격된 CEC 버스가 동기화 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들이 상기 CEC 버스를 통한 신호만 전송하는 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 무선 인터페이스들 간의 신호 전송은 대단히 짧은 시간(수㎲)이면 충분하므로, 그 외의 시간 동안은 AV 정보들을 패킷화하여 전송하면, AV 스트림의 전송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 하면서 CEC 버스의 충돌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은 CEC 정보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고자 할 경우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된 일측 CEC 버스가 점유되면 해당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이 우선적으로 대응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에 널프레임을 생성하여 연결된 CEC 버스를 우선 점유하도록 지시함으로써, 느린 CEC 신호를 모두 받아 무선 전송할 때까지의 시간동안 다른 디바이스가 CEC 버스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여 버스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은 CEC 정보를 송수신할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이 CEC 정보의 전송을 검출하면 우선적으로 널 프레임 패킷을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여 대응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된 CEC 버스를 우선 점유하도록 하고, 이후에 CEC 정보의 수신 및 패킷화하여 상기 널 프레임 패킷에 후속하여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CEC 정보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은 CEC 정보를 송수신할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이 CEC 정보의 전송을 검출하면 우선적으로 널 프레임 패킷을 자동 생성하여 전송한 후 CEC 정보를 후속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CEC 송신 디바이스에 널 프레임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송수신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에 각각 연결된 CEC 버스를 동기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은 CEC 버스 사이에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성되더라도 인터페이스 변환에 필요한 지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CEC 정보들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하고, 널 프레임 제공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들에 각각 연결된 CEC 버스를 동기화 시키도록 함으로써, 유선 CEC 버스와의 호환성을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의 제1 사용자 전자 제어(CEC) 버스를 통해 직렬 정보를 제공하는 제 1디바이스와;
    상기 제1 CEC 버스와 연결되며 CEC 프레임 발생이 검출되면 널 프레임을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우선 전송하고 상기 CEC 프레임을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후속 전송하는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하여 연결된 제2 CEC 버스에 제공하는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과 HDMI의 상기 제2 CEC 버스를 통해 연결된 제 2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CEC 프레임을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후속 전송하면서 상기 연결된 제1 CEC 버스에 널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제1 CEC 버스에서 CEC 프레임의 시작 비트를 검출함과 동시에 널 프레임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은,
    CEC 프레임의 시작 비트 검출에 따른 인터럽트 처리 과정에서 널 프레임을 생성하며, 상기 널 프레임은 시작 비트, 한 바이트의 널 비트들, 후속 데이터 블록이 존재함을 알리도록 설정된 메세지 종료 설정 비트(EO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은,
    CEC 프레임 검출시 널 프레임을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전송하고, 후속하는 CEC 프레임을 하나 이상 처리하여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전송한 후, 최종 CEC 프레임을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널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연결된 제1 CEC 버스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연결된 제1 CEC 버스의 신호 변화를 감지하는 즉시 널 프레임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7. 삭제
  8.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을 무선 인터페이스 수단들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HDMI에 포함된 제1 사용자 전자 제어(CEC) 버스가 점유되는 즉시 소정 신호를 전송하는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를 파악한 후 널 프레임을 연결된 제2 CEC 버스에 제공하는 제 2무선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9. 제1 HDMI와 연결된 제 1무선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상기 제1 HDMI의 제1 CEC 버스를 통해 CEC 프레임 발생을 검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CEC 프레임 발생에 따라 널 프레임을 제2 HDMI와 연결된 제 2무선 인터페이스로 무선 전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가 상기 CEC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널 프레임에 후속하여 CEC 프레임을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로 무선 전송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가 상기 전송되는 널 프레임 및 CEC 프레임을 수신하여 연결된 제2 CEC 버스에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널 프레임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널 프레임 패킷을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하나 이상의 CEC 프레임을 수신하면서 각 CEC 프레임을 패킷화하여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와;
    연속된 CEC 프레임들의 전송이 완료되면 널 프레임을 연결된 상기 제1 CEC 버스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 CEC 버스의 신호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으로 CEC 프레임 발생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 CEC 버스의 신호 변화를 인터럽트 방식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시작 비트, 한 바이트의 널 비트들, 후속 데이터 블록이 존재함을 알리도록 설정된 메세지 종료 설정 비트(EOM)를 포함하는 널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상기 정보가 포함된 널 프레임 패킷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5. 제 1디바이스가 제 1 HDMI의 제1 CEC 버스를 통해 CEC 프레임 정보를 제 1무선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가 상기 CEC 프레임 정보의 발생을 파악하는 즉시 널 프레임 패킷을 제 2무선 인터페이스로 무선 송신하고, 상기 CEC 프레임을 모두 수신한 후 이를 패킷화하여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로 무선 송신하는 단계와;
    연속되는 CEC 프레임을 순차 수신하여 각각 CEC 프레임 패킷으로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에 전송한 후 최종 CEC 프레임 패킷을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로 전송함과 아울러 널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제 1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로부터 전송된 프레임 패킷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는 연결된 제 2 HDMI의 제2 CEC 버스를 통해 제 2디바이스에 상기 수신한 프레임 정보를 순차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16. HDMI를 지원하는 제 1디바이스에 의한 제1 CEC 버스의 신호 변화를 연결된 제 1무선 인터페이스가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신호 변화가 파악되면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가 기 약속된 신호를 제 2무선 인터페이스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기 약속된 신호를 수신한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가 연결된 제2 CEC버스를 점유하여 다른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 1디바이스가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CEC 프레임을 수신한 상기 제 1무선 인터페이스가 상기 수신한 하나 이상의 CEC 프레임을 패킷화하여 상기 제 2무선 인터페이스에 제공하고 널 프레임을 상기 제 1디바이스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법.
KR1020060049591A 2006-06-01 2006-06-01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0841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591A KR100841445B1 (ko) 2006-06-01 2006-06-01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591A KR100841445B1 (ko) 2006-06-01 2006-06-01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333A KR20070115333A (ko) 2007-12-06
KR100841445B1 true KR100841445B1 (ko) 2008-06-25

Family

ID=3914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591A KR100841445B1 (ko) 2006-06-01 2006-06-01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4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526A (ko) * 2002-05-31 2005-04-0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경로 결정 및 구성
JP2005102161A (ja) 2003-08-27 2005-04-14 Victor Co Of Japan Ltd 伝送システム
US20050223411A1 (en) 2004-04-06 2005-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US20060092893A1 (en) 2004-11-03 2006-05-04 Mark Champio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wireless digital multimedi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526A (ko) * 2002-05-31 2005-04-0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경로 결정 및 구성
JP2005102161A (ja) 2003-08-27 2005-04-14 Victor Co Of Japan Ltd 伝送システム
US20050223411A1 (en) 2004-04-06 2005-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US20060092893A1 (en) 2004-11-03 2006-05-04 Mark Champio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wireless digital multi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333A (ko)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2455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4091073B2 (ja) 家電制御(cec)プロトコル対応装置,cec命令管理方法,cec対応システム,及び音響/映像のエンターテイメントシステム
JP4427733B2 (ja) 映像音声処理システム、アンプ装置および音声遅延処置方法
JP4844230B2 (ja)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67568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processing packet including at least one of video output format of video data and audio output format of audio data
EP2046023B1 (en) Av device
KR20080058740A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시간 동기화 방법
US11457266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audio and video and related apparatus
US8356121B2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in audio visual device system, and television receiver
US990063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20100077442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in audio visual device system, and television receiver
CN103314599A (zh) 用于通过分组化通信网络传达的流送内容的时钟恢复的机制
JP2010074204A (ja) 無線映像送信装置、無線映像受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cecメッセージ伝送方法
JP5739015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41445B1 (ko)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EP20734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centralized vehicular electronics system utilizing Ethernet with audio video bridging
US8422518B2 (en) Managing transmit jitter for multi-format digital audio transmission
JP200810971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200086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graphical data
JP2011082633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660718B2 (ja) 車載ネットワーク機器
CN100525222C (zh) 在总线结构网络上执行通信的方法和设备
KR100802612B1 (ko)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2009212588A (ja) スクランブル解除装置
KR20190102353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