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619B1 - 표면개질된 리포좀,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칩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개질된 리포좀,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칩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619B1
KR100840619B1 KR1020060130166A KR20060130166A KR100840619B1 KR 100840619 B1 KR100840619 B1 KR 100840619B1 KR 1020060130166 A KR1020060130166 A KR 1020060130166A KR 20060130166 A KR20060130166 A KR 20060130166A KR 100840619 B1 KR100840619 B1 KR 100840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olecule
group
bam
hydrophilic surface
phospholipid bi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규
조형민
전준영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13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C12Q1/6837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using probe arrays or probe chi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3/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hysic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 C12Q2563/161Vesicles, e.g. liposome

Abstract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 등의 생체 분자가 고체 입자 표면에 부착되어, 바이오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표면개질된 리포좀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표면개질된 리포좀은, 친수성 표면을 가지는 고체 기판; 상기 고체 기판의 친수성 표면에 형성된 인지질 이중막; 및 일단에는 상기 인지질 이중막의 지질기(lipid group)와 결합되는 지방족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생체 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생체분자-생물학적 고정 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한다.
리포좀, 표면개질, BAM, 친지질, 바이오 칩

Description

표면개질된 리포좀,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칩 및 그 제조방법 {Surface-modified liposome, biochip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소포체 형태의 리포좀이 친수성 표면에 노출되어, 평면의 인지질 이중막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상기 생물학적 고정 화합물(BAM), 생체 분자 및 인지질 이중막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측광 엘립소미트리의 박막 두께 측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친수성 및 소수성 실리콘(SiO2) 웨이퍼 표면에서, 물방울의 접촉각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도 5는, 친수성 및 소수성 실리콘(SiO2) 웨이퍼 표면에, 리포좀 용액을 접촉시킨 경우, 리포좀의 상 변화를 보여주는 사진.
도 6은, 친수성 표면에서 지질 이중막의 형성속도와 온도의 관계를 보여주는 석영 결정 미량저울 분석 그래프.
본 발명은 표면개질된 리포좀,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 등의 생체 분자가 고체 입자 표면에 부착되도록 개질된 리포좀,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 등의 생체 분자(biological molecule)는, 소정의 고체 표면에 고정되어, 바이오칩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고체 매트릭스로서, 실리카, 고분자 멤브레인, 유리, 플라스틱 등이 사용된다. 상기 생체 분자들이, 그 기능과 활성을 유지하면서, 고체 표면에 효율적으로 고정되기 위하여, 고체 매트릭스 표면은 생체 적합성(biocompatibility)을 가지도록 개질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생체 적합성 표면의 일 예로서, 인지질 이중막을 포함하는 소포체(vesicle)인, 리포좀이 알려져 있다 (Charlotte, L. and H. Fredrik (2005) Ana. Biochem. 345, 72-80). 리포좀 소포체는 친수성 핵 부분과 표면의 소수성 인지질 이중막을 포함한다. 인지질 이중막은 세포막 구조에 필수적이며, 세포막 표면에 위치하는 다양한 리셉터(receptor)에 의한 세포 인지(cellular recognition) 기능은 세포막의 가장 본질적 기능의 하나이다.
이를 모방하기 위하여, 단백질, 핵산 등의 생체분자를 세포막(cellular membrane) 표면에 부착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지질 이중막과의 상호작용에 필요한 친지질 도메인이, 세포막 내부에 묻혀버리기 때문에, 위와 같은 노력은 별로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상업화된 세포막-모방 분자로서, 세포막을 위한 생물학적 고정 화합물(Biological Anchor for cell Membrane: BAM)이 알려져 있다. BAM은 한쪽 말단에는 올레일(oleyl)기를, 다른 한쪽 말단에는 N-하이드로숙신이미드(NHS)을 가지며, 이들은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사슬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NHS기는 단백질 등의 리간드 분자의 아민기와 공유결합되며, 상기 올레일기는 리포좀의 이중막 내에서 지질기(lipid group)와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그 결과, BAM과 리간드 단백질의 복합체, 예를 들어, BAM+단백질이 형성되고(Koichi, K. and T. Nagamune (2004), Biotechnol. Prog., 20, 897-904), 결과적으로, 지질 이중막은 단백질-도포된 표면으로 개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 등의 생체 분자를 소정의 고체 표면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표면개질된 리포좀,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칩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친수성 표면을 가지는 고체 기 판; 상기 고체 기판의 친수성 표면에 형성된 인지질 이중막; 및 일단에는 상기 인지질 이중막의 지질기(lipid group)와 결합되는 지방족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생체 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생체분자-생물학적 고정 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하는 표면개질된 리포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친수성 표면을 가지는 고체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고체 기판의 친수성 표면에 소포체 형태의 리포좀을 접촉시켜, 상기 친수성 표면에 인지질 이중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일단에는 지방족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생체 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생체분자-생물학적 고정 화합물 복합체를 상기 친수성 표면 상의 인지질 이중막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면개질된 리포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개질된 리포좀은,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 등의 생체 분자를 리포좀의 인지질 이중막에 결합시킨 것이다. 상기 인지질 이중막은 고체 기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생체 내 약물 표적 전달, 바이오센서 등의 바이오 칩 분야에 상기 생체 분자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지질 이중막은 소포체 형태의 리포좀이 파괴되어 생성되므로, 상기 고체 기판의 표면은, 파괴된 인지질 이중막이 부착될 수 있도록 친수성을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은 고체 기판으로는 통상의 친수성 고체 기판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리콘 웨이퍼 등의 SiO2 기판, 친수성 처리된 유리기판, 친수성 처리된 골드칩, 셀룰로오즈, 덱스트란, 키토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소포체 형태의 리포좀(vesicle form liposome)이 고체 기판의 친수성 표면에 노출되어, 평면의 인지질 이중막으로 변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소포체 형태의 리포좀이 SiO2 표면 등의 친수성 표면과 접촉하면, 소포체 구조가 파괴되어, 소포체의 핵 공간(내부)에 캡슐화된 액체(물)가 방출되고, DL--포스페티딜콜린 디팔미토일 등으로 이루어진, 멤브레인 형태의 인지질 이중막은 상기 친수성 표면에 평면 형태로 부착된다. 이러한 소포체 형태 리포좀의 파괴 현상은 공지되어 있으며[Vitalli, I. S. and D. J. Vanderah (2005), Anal. Biochem., 349, 247-253], 파괴된 리포좀의 인지질 이중막과 친수성 표면과의 결합은 측광 엘립소미트리의 상과 석영 결정 미량저울(Quartz crystal microbalance: QCM) 측정을 통하여 확인되었다(하기 실시예 1 및 2 참조). 상기 인지질 이중막의 형성은,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등의 통상의 버퍼 용액 중에서, 또한 30 내지 40℃의 온도 범위에서, 리포좀과 친수성 표면을 접촉, 바람직하게는 교반하면서 접촉시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지질 이중막의 형성 온도가 너무 낮으면, 소포체 리포좀과 친수성 표면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소포체 리포좀이 충분히 파괴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온도가 너무 높으면 DL--포스페티딜콜린 디팔미토 일의 녹는점이 42℃이므로 인지질 이중막 자체가 파괴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개질된 리포좀은, 일단에는 상기 인지질 이중막의 지질기(lipid group)와 결합되는 지방족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생체 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생체분자-생물학적 고정 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체를 구성하는 생물학적 고정 화합물(Biological Anchor for cell Membrane: BAM)은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 등의 생체 분자를 인지질 이중막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에는 지방족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0의 지방족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올레일(oleyl)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단백질, 핵산 등의 리간드와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 예를 들면, N-하이드로숙신이미드(NHS)기를 가지며, 이들이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사슬에 연결되어 있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은 2,000 내지 8,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상기 생물학적 고정 화합물(BAM), 생체 분자 및 인지질 이중막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BAM 분자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한쪽 말단에는 올레일기를 가지고, 반대편의 말단에는 NHS기를 가지며, 이들은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사슬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백질과 BAM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BAM의 NHS기와 단백질의 아민기가 결합하여 아미드를 형성함으로써 복합체를 구성한다. 도 2의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인지질 이중막에 삽입된 BAM + 단백질 복합체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BAM 분자의 올레일 사슬이 친지질 상호작용에 의하여 인지질 이중막 내부에 삽입된 것이다. 리포좀은 생체분자가 직접 결합하기 어려운 인지질 이중막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BAM 분자를 이용하면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백질이나 펩타이드와 같은 생체분자를 지질 이중막에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생체 분자로는, 생물학적 활성 또는 생물 인식 능력을 가지는, 단백질, 펩타이드, 핵산 등의 생체 분자를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비한정적인 예로는 BSA(bovine serum albumin), 항체류, EGF(epidermal growth factor), 아넥신5(annexin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생물학적 활성 또는 생물 인식 능력을 이용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면개질된 리포좀은, 생체 내 표적전달, 바이오센서 등의 바이오 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화학물질과 반응하는 두 종류 이상의 생체분자를 이용하여, 두 종류 이상의 생체분자-생물학적 고정 화합물 복합체를 제조하고, 이를 상기 인지질 이중막에 고정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표면개질된 리포좀은 2가지 이상의 물질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 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바이오 칩에 적용하는 또 다른 예로는, 생체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생체분자-생물학적 고정 화합물 복합체에 특정 단백질을 일정성 있게 결합시키면, 상기 특정 단백질과 타 검출대상 물질과의 결합반응을 이용하는 바이오 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장치는 다음과 같다.
(1) 측광 엘립소미트리(측광 타원편광분석, photometric ellipsometry): 상기 광학 장치는, 한양대학교(대한민국, 안산)의 박막 및 분광학 실험실에서 제작된 것으로서, 유리와 같은 투명한 기질을 포함하여, 박막의 두께를, 높은 공간 해상력(spatial resolution)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측광 엘립소미트리의 광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light source)으로부터 측정광을 시료(sample)에 조사하면, 측정광은 편광 프리즘(polarizer), 현미경(microscope) 및 2차원 상 검출기(two-dimensional image detector)를 통과하고, 편광된 광스펙트럼으로부터 이미지(image)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웨이퍼 표면의 리포좀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2) 석영 결정 미량저울(Quartz crystal microbalance: QCM, Q-Sense, 스웨덴): 센서 표면에 흡착된 질량의 변화를 감지하므로, 소포체가 파괴될 때 흘러나오는 물분자로부터 기인하는 질량의 감소를 감지한다. 또한, QCM는 에너지 분산(energy dissipation)를 분석하여, 흡착된 분자의 분자 유연성(molecular flexibility)을 추론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흡착된 분자와 그 미세환경(microenvironment) 사이의 동역학적 저항과 관련이 있으며, 진동 폭의 감소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Xiaodi, S. and W. Knoll (2005), Langmuir, 21, 348-353; Hook, F. and B. Kasemo (1998), J. Colloid Interf. Sci. 208, 63-67; Hook, F. and B. Kasemo (1998), Langmuir, 12, 729-734].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비교예 2-3에서, BAM의 올레일기와 리포좀의 이중막 사이의 상호작용을 QCM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제조예 1] 리포좀의 제조
DL--포스페티딜콜린 디팔미토일(DL--phosphatidylcholine dipalmitoyl: DPPC, 시그마, St.Louis, USA) 5mg을 클로로포름 1mg에 녹였다. 진공 및 질소 가스로 클로로포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10mM, pH 7.4)를 첨가하였다. 40℃에서 30분간 혼합함으로써, 완충액을 캡슐화한 소포체 형태의 리포좀을 형성하였다. 응집된 리포좀을 30분 동안 초음파로 처리한 후, 200nm 포어 크기의 세라믹 필터(Sartorious 제품, 독일)로 여과하였다. 리포좀 용액을 4℃에 방치한 다음, 초음파 처리하고, 응집이 있는 경우, 다시 여과하였다. 동적 광산란법(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DLS, ELS-8000, 오츠카, 일본)을 이용하여, 제조된 리포좀의 평균직경 및 크기분포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얻어진 리포좀은 모노-디스퍼스(mono-disperse) 크기 분포를 가지며, 평균직경은 약 240 nm이었다.
[실시예 1] 친수성 표면에서 리포좀의 상 변화
워터 드롭릿(water droplet, S.E.O. 제품, 한국)을 이용하여, 실리콘(SiO2) 웨이퍼의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친수성 실리콘(SiO2) 웨이퍼 표면에서 물방울의 접촉각은 16°이었고, 그 결과를 도 4(a)에 나타내었다. 상기 친수성 표면을 가지는 웨이퍼에, 제조예 1에서 얻은 리포좀 용액(0.5 mg/ml)을 37℃에서 30분 동안 접촉시킨 다음,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측광 엘립소미트리(631 nm의 단색 광원을 상기 시료에 조사)를 이용하여, 웨이퍼 표면의 리포좀 상을 얻었고, 이를 도 5(a)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소수성 표면에서 리포좀의 상 변화
20mM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octadecyltrichlorosilane: OTS, 시그마-알드리치 제품, USA)의 클로로포름 용액으로, 실리콘 웨이퍼를 3시간 동안 처리하여, 실리콘 웨이퍼의 표면을 소수성으로 개질하였다. 그런 다음, 10 mM 인산완충식염수(PBS)로 웨이퍼를 씻고, 공기-건조시켰다. OTS는 3개의 실란기를 가지고 있어 실리콘 웨이퍼와 실란올(sinanol) 결합을 형성하고, 반대쪽 말단에 붙어있는 메틸기는 표면에 소수성을 부여한다[Yazan, H. and C. Grant (2005), Colloids Surface A 262, 81-86; Barriga, J. and B. Fernandez (2006), Tribology International, in press]. 소수성으로 개질된 실리콘 웨이퍼에 대하여 워터 드롭릿(water droplet)을 이용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다. OTS-개질된 SiO2 표면에서 물방울의 접촉각은 98°이었고, 그 결과를 도 4(b)에 나타내었다. 도 4(b)를 도 4(a)와 비교해 보면, 친수성 표면이 소수성 표면으로 성공적으로 개질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소수성 표면을 가지는 웨이퍼를 37℃에서 30분 동안 리포좀 용액(0.5 mg/ml)과 접촉시킨 다음,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웨이퍼 표면의 리포좀 상을 얻고, 이를 도 5(b)에 나타내었다.
도 5를 보면, 각각의 표면에서 측광 엘립소미트리로 관찰된 리포좀은 명확히 다른 상을 나타낸다. 즉, 친수성 표면에서는 연속적인 평면의 단층막이 관찰되었고, 소수성 표면에서는 비연속적이거나 반연속적인(semi-continuous) 점(spot)이 관찰되었다. 이는 소포체 형태의 리포좀이 무작위로 분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기 결과는 리포좀의 형태가, 친수성과 같은 표면 특성에 따라, 달라짐을 나타낸다.
[제조예 2] BAM+단백질 복합체의 제조
BAM(분자량: 8,525, Sunbright OE-080CS, NOF, Inc. 제품, Tokyo, 일본)을 10 mM 소디움 시트르산 완충액(sodium citrate buffer, pH 4.0)에 녹여 2 mg/ml의 농도가 되게 하였다. 그런 다음, 이 용액을 1 mg/ml BSA(bovine serum albumin) 용액과 4시간 동안 4℃에서 반응시켜,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반응 종결을 위하여, 1M 수산화나트륨에 용해시킨, 95% 소디움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cyanoborohydride, NaBH3CN, 시그마 제품) 20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콘 멤브레인(Microcon membrane, MWCO 10,000, 밀리포어 제품)으로 여과하였다.
[실시예 2] 지질 이중막의 표면개질
먼저,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하여, 석영 결정 미량저울(QCM) 센서의 금(gold) 표면을 SiO2으로 개질한 다음, 0.5 mg/ml 리포좀 용액을 투입하였다. 미반응한 물질을 10 mM 인산완충식염수(pH 7.4)로 씻어내었다. 다음으로, 상기 SiO2 표면에 형성된 인지질 이중막에 0.15 mg/ml BAM+BSA 복합체(제조예 2)를 흐르게 하고, 진동주기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지질-지질 상호작용에 대한 QCM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BAM+BSA 복합체의 지질 이중막에 대한 향상된 접착성은 올레일 사슬과 지질이중막의 친지질 상호작용에 기인한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하여, 하기 비교예 2 및 3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2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부피 및 농도의 BAM+BSA 용액을, QCM의 비개질된(nude) 금 표면에 흐르게 하고, 진동주기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QCM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는 상호 접착에 있어서 지질 이중막의 역 할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비교예 3]
실시예 2의 지질 이중막 표면에, BSA 용액을 흐르게 하고, 진동주기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QCM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는 친지질 삽입과정에서 BAM, 특히 올레일 사슬의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Figure 112006094112816-pat00001
QCM의 △f (진동주기 변화)는 Sauebrey 공식(1Hz = 17.7 ng/cm2/Hz)을 통해 센서 표면에 흡착 혹은 결합된 물질의 질량 변화를 알 수 있다[Hook, F. and B. Kasemo (1998), Langmuir, 12, 729-734]. QCM 분석 결과, 실시예 2의 경우 약 1,735 ng의 BAM+BSA 복합체가 인지질 이중막 표면에 흡수되었다. 비교예 2는 단지 141 ng의 BAM+BSA 복합체가 금 표면에 흡수되었고, 이는 약 12배 감소에 해당한다. 또한, 비교예 3은 단지 51 ng의 BSA가 인지질 이중막에 흡수되었고, 이는 약 34 배 감소에 해당한다. 상기 결과는 지질 이중막 표면에 대한 접착에 있어 친지질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상기 BSA(흡착체)와 인지질 이중막(표면), 그리고 BAM+BSA 복합체(흡착체)와 금(표면)은, 흡착체와 표면 양쪽 모두가 친지질 도메인이 아닌 반면, BAM+BSA 복합체(흡착체)와 인지질 이중막(표면)은 흡착체와 표면 양쪽 모두에 친지질 도메인을 가진다. 실시예 3의 높은 흡착성은, BAM의 올레일 사슬이 지질막에 효과적으로 침투하여 안정한 복합체를 형성하였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3] 인지질 이중막 형성에 있어서의 온도효과
친수성 표면에서 지질 이중막의 형성속도와 온도의 관계를 시험하였다. 석영 결정 미량저울(QCM) 센서의 금(gold) 표면을 SiO2으로 개질한 다음, 0.5 mg/ml 리포좀 용액을 각각 22℃ 및 32℃에서 투입하였으며, 그 QCM 분석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의 (b)는 22℃에서의 QCM 분석 결과로서, 22℃에서는 리포좀이 지속적으로 흡수되고, 약 40분 후에 흡수는 포화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소실(dissipation) 곡선은 변함 없이 증가하는데, 이는 흡수과정과 연관된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지 않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도 6의 (a)는 32℃에서의 QCM 분석 결과로서, 32℃에서는 진동주기가 약 8분 동안 감소한 다음, 약 10분 동안 증가된 후 정체되고, 소실곡선은 증가한 후 감소한다. 이는 리포좀이 흡수 도중 구조적 변화를 겪었음을 의미한다. 즉 소포체 형태가 파괴되어, 캡슐화되었던 물분자가 방출되면서 이중막 형태가 되고, 그 결과 흡수된 양이 감소한 것이다. 또한, 소포 형태와는 대조적으로 평면 형태는 부피가 작기 때문에, 상기 이중막 변환은 에너지 소실의 감소를 가져온다. 이와 같은 고온에서의 변화는, 부분적으로는,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석영 결정의 진동 주기가 증가되기 때문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증가된 진동 주기에 의해 소포체 형태의 파괴가 촉진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의 표면개질 방법은 BAM 분자 구조의 특성과 친지질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단백질 및 핵산과 같은 생체 분자를 지질 이중막에 효과적으로 부착시킴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단백질을 가진 평면이나 소포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에 노출된 단백질의 일부분(moiety)은, 붙잡힌 분자의 선택적 접착을 위한 미끼(bait) 분자로서 사용되거나, 특정 조직이나 기관에 대하여 활성 타겟팅(targeting)을 위한 리간드 분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친수성 표면을 가지는 고체 기판;
    상기 고체 기판의 친수성 표면에 형성된 인지질 이중막; 및
    일단에는 상기 인지질 이중막의 지질기와 결합되는 지방족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서로 다른 화학물질과 반응하는 두 종류 이상의 생체 분자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두 종류 이상의 생체분자-생물학적 고정 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체를 구성하는 생물학적 고정 화합물은, 일단에는 올레일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생체분자와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로서 N-하이드로숙신이미드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분자량 2,000 내지 8,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사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칩.
  8. 친수성 표면을 가지는 고체 기판;
    상기 고체 기판의 친수성 표면에 형성된 인지질 이중막;
    일단에는 상기 인지질 이중막의 지질기와 결합되는 지방족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생체 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생체분자-생물학적 고정 화합물 복합체; 및
    상기 생체분자-생물학적 고정 화합물 복합체에 일정성 있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 검출대상 물질과 결합할 수 있는 특정 단백질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체를 구성하는 생물학적 고정 화합물은, 일단에는 올레일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생체분자와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로서 N-하이드로숙신이미드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분자량 2,000 내지 8,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사슬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 칩.
KR1020060130166A 2006-12-19 2006-12-19 표면개질된 리포좀,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칩 및 그제조방법 KR100840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166A KR100840619B1 (ko) 2006-12-19 2006-12-19 표면개질된 리포좀,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칩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166A KR100840619B1 (ko) 2006-12-19 2006-12-19 표면개질된 리포좀,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칩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619B1 true KR100840619B1 (ko) 2008-06-24

Family

ID=3977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166A KR100840619B1 (ko) 2006-12-19 2006-12-19 표면개질된 리포좀,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칩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6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860A (ko) * 2012-11-12 2014-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백질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이 패터닝된 형태로 고정된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2537A (ko) * 1999-06-28 2002-06-05 프록시마 컨셉츠 리미티드 컨쥬게이트의 비공유결합에 의해 형성된 에피토프
US6699719B2 (en) * 1996-11-29 2004-03-02 Proteomic Systems, Inc. Biosensor arrays and methods
US20040180147A1 (en) 2002-10-30 2004-09-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irect micro-patterning of lipid bilayers using UV light and selected uses thereof
EP1548444A1 (en) 2003-12-23 2005-06-29 Paul Scherrer Institut An assay chip, and uses of said assay chip to determine molecular structures and func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9719B2 (en) * 1996-11-29 2004-03-02 Proteomic Systems, Inc. Biosensor arrays and methods
KR20020042537A (ko) * 1999-06-28 2002-06-05 프록시마 컨셉츠 리미티드 컨쥬게이트의 비공유결합에 의해 형성된 에피토프
US20040180147A1 (en) 2002-10-30 2004-09-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irect micro-patterning of lipid bilayers using UV light and selected uses thereof
EP1548444A1 (en) 2003-12-23 2005-06-29 Paul Scherrer Institut An assay chip, and uses of said assay chip to determine molecular structures and funct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technol. Prog., Vol.20, pp.897-904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860A (ko) * 2012-11-12 2014-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백질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이 패터닝된 형태로 고정된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63228B1 (ko) * 2012-11-12 2019-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백질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이 패터닝된 형태로 고정된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oper et al. A vesicle capture sensor chip for kinetic analysis of interactions with membrane-bound receptors
WO1996038726A1 (en) Covalently immobilized phospholipid bilayers on solid surfaces
US20050032246A1 (en) Method of immobilizing membrane-associated molecules
Sut et al. Supported lipid bilayer coatings: Fabrication, bioconjugation, and diagnostic applications
Sun et al. A fabrication method of gold coated colloidosomes and their application as targeted drug carriers
WO2002035230A1 (en) Products with biofunctional coating
Wallin et al. Peptide-induced formation of a tethered lipid bilayer membrane on mesoporous silica
Yang et al. Gold nanoparticle-coupled liposomes for enhanced plasmonic biosensing
KR100840619B1 (ko) 표면개질된 리포좀, 이를 포함하는 바이오칩 및 그제조방법
CN102307885B (zh) 向物质表面引入功能性官能团的方法
JP2011185874A (ja) 生体分子分析用キット、これを用いた生体分子の分析方法
Larsson et al. Gravimetric antigen detection utilizing antibody-modified lipid bilayers
JP2008039692A (ja) 標的物質検出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053129A (ja) バイオセンサー用チ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面プラズモン共鳴分析用センサー
JP4248246B2 (ja) 支持されたリピドフィルム膜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の使用
CA2895275A1 (en) Lipid membrane enveloped particles with membrane proteins
JP2003156497A (ja) 新規支持膜、その調製及び使用
Vu et al. Immobilization of intact liposomes on solid surfaces: A quartz crystal microbalance study
Du et al. A study of polyethylene glycol backfilling for enhancing target recognition using QCM-D and DPI
Ishizuka-Katsura et al. Biotin-containing phospholipid vesicle layer formed on self-assembled monolayer of a saccharide-terminated alkyl disulfide for surface plasmon resonance biosensing
Cho et al. Fabrication of protein-anchoring surface by modification of Sio2 with liposomal bilayer
US7125707B2 (en) Use of secondary cell wall polymer of procaryotic microorganisms
KR101293664B1 (ko) 지질 이중층 상에 말단 에폭시기를 갖는 고체 입자 및 그를 제조하는 방법
JP2010032504A (ja) 組成物、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Nikolelis et al. Biosensors for the rapid repetitive detection of adrenaline using stabilized bilayer lipid membranes (BLMs) with incorporated calix [4] resorcinarene recep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