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565B1 - 디지털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방송(dab/dmb) 수신시스템에서 패킷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방송(dab/dmb) 수신시스템에서 패킷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565B1
KR100840565B1 KR1020060117617A KR20060117617A KR100840565B1 KR 100840565 B1 KR100840565 B1 KR 100840565B1 KR 1020060117617 A KR1020060117617 A KR 1020060117617A KR 20060117617 A KR20060117617 A KR 20060117617A KR 100840565 B1 KR100840565 B1 KR 100840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length
value
findex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7757A (ko
Inventor
성단근
서영익
정성훈
강태훈
송나옥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6011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565B1/ko
Publication of KR20080047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09Error detection only, e.g. using cyclic redundancy check [CRC] codes or single parity b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5Monitoring of client processing errors or hardware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2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패킷 추출 방법은 디지털 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방송(DAB/DMB) 수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서브채널 데이터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패킷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정상상태로 하여 상기 정상상태에서 패킷을 추출하는 단계와 정상상태에서 패킷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CRC 에러가 발생하면 오류상태로 전환하게 하고, 상기 오류 상태에서는 CRC 에러가 없는 패킷을 찾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서브채널 데이터 내의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에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패킷에 CRC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CRC 에러가 없는 모든 패킷을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패킷 손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데이터 그룹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신기에서의 전력 손실을 줄일 뿐만 아니라 올바른 데이터를 받을 때까지 걸리는 지연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패킷 서비스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DAB, DMB, T-DMB, 패킷

Description

디지털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방송(DAB/DMB) 수신 시스템에서 패킷 추출 방법 {Method for Delineating Packets in Digital Audio/Multimedia Broadcasting (DAB/DMB) Receiver Systems}
도 1은 DAB/DMB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도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DAB/DMB 시스템에서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단으로 전송되어 지는 프레임의 구조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DAB/DMB 시스템에서 패킷방식 서브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의 구조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하나의 데이터 그룹이 다수 개의 패킷으로 나뉘어 전송됨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5는 다수개의 패킷이 하나의 서브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어 지는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서브채널 데이터 내에서 패킷을 추출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7은 정상상태에서 패킷을 추출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오류상태에서 CRC 에러가 없는 패킷을 찾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방송 (DAB/DMB) 시스템에서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하여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패킷이 순차적으로 전송되었을 때, 수신된 패킷들 중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패킷에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CRC 에러가 없는 모든 패킷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AB/DMB 시스템은 오디오,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이동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방송시스템으로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면 도 1에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송출기(10)와 다수 개의 수신기(21, 22, 23)로 이루어진다. 송출기(10)는 DAB/DMB신호를 송출하여 주는 장비이고, 수신기(21,22,23)는 송출기로부터 오는 신호를 받아서 처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장비이다. DAB/DMB 시스템에서는 도 2와 같은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여 송출기로부터 수신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2의 프레임 구조에서 동기채널(Synchronization Channel)(101)은 프레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사용되며 다음에 오는 고속정보채널(Fast Information channel, FIC)(102)은 다수 개의 고속정보블록(Fast Information Block, FIB)(104)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채널로서, FIB 데이터는 주로 방송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어 진다. 주 서비스 채널(Main Service Channel, MSC)(103)은 하나 또는 다수 개의 공통 인터리빙 프레임(Common Interleaved Frame, CIF)(105)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채널로서 실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어 진다. 하나의 CIF(105)는 55,296 비트를 전송할 수 있는데 CIF(105)에서 전송에 사용되는 최소 단위는 Capacity Unit (CU)이 라고 불리어지며 1 CU는 64 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CIF(105)는 864개의 CU로 이루어지게 되고, 각 CU는 0부터 863까지의 어드레스로 구별 지어진다. MSC(103)는 또한 서브채널(sub-channel)들로 구분할 수가 있는데, 각 서브채널(103)의 크기는 CU의 정수배의 값을 가질 수 있고, 연속적인 CU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각 CU는 하나의 서브채널(103)을 전송하는 데만 사용될 수 있다.
MSC(103)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하나는 스트림(stream)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패킷(packet) 방식이다. 스트림 방식은 발신(source)과 착신(destination) 사이에 투명하게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하나의 스트림 방식 서브채널에 대하여 단 하나의 서비스 요소(service component)만이 전송될 수 있다. 패킷 방식의 경우에는 다수의 서비스 요소를 같은 서브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수의 서비스 요소가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한 전송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은 패킷 구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3은 DAB/DMB 시스템에서 패킷방식 서브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의 구조를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각 패킷은 도 3에서 보듯이 패킷 정보를 알려주는 패킷 헤더(Packet header)(201)와 실제 데이터를 싣는 패킷 데이터 필드(Packet data field)(202) 그리고 전송 시에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패킷 CRC 부분(203)으로 이루어져 있다. 패킷 헤더의 구성 요소들을 보면 처음 2 비트(Packet length) (204)는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음 표 1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즉, DAB/DMB 시스템의 경우에는 전송되는 패킷의 길이가 표 1에서 보는 네 개 중의 한 개로 한정됨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6087196001-pat00001
다음 2 비트(Continuity index)(205)는 모듈로 4 계수기로 같은 어드레스를 가진 패킷이 하나 전송될 때마다 하나씩 증가한다. 그리하여 한 어드레스내의 연속적인 패킷간의 링크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2 비트(First/Last: 206)는 데이터 그룹형태로 전송되는 경우에 패킷의 연속성을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다음 표 2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Figure 112006087196001-pat00002
데이터 그룹이라는 것은 서비스 컴포넌트의 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단위로서 다음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패킷을 이용하여 전송을 하게 된다. 도 4는 하나의 데이터 그룹(401)이 다수 개의 패킷으로 나뉘어 전송됨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에서 패킷 레벨(402)은 데이터 그룹(401)에 패킷 헤더(201)와 패킷 CRC(203)을 더 포함하고 있다.
패킷 헤더(201)에서 First/Last(206) 다음에 오는 10 비트(Address)(207)는 서브채널 내에서 특정 서비스 요소로 전송되는 패킷들을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어드레스를 알려주며, 다음의 1 비트(Command: 208)는 전송되는 패킷이 데이터용 패킷인지 명령용 패킷인지를 알려주는 것으로 '0'인 경우에는 데이터 패킷을 '1'인 경우에는 명령용 패킷을 의미한다. 패킷 헤더의 마지막 7 비트(Useful data length: 209)는 패킷 데이터 필드 영역 중에서 실제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어진 바이트 수를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패킷은 하나의 서브 채널을 통하여 다수 개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송되어 질 수 있다. 이렇게 다수 개의 패킷이 하나의 서브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어 지는 경우에, 서브채널 내의 앞부분에서 전송되어 온 패킷에서 CRC 에러가 발생하면 뒤에 오는 패킷을 찾아내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CRC 에러가 발생했다는 것은 전송되는 패킷의 비트 일부가 깨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는 비트도 깨졌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가장 쉬운 방법은 서브채널 내에서 뒤에 따라 오는 모든 패킷을 포기하고 더 이상의 디코딩을 하지 않는 것으로 간단하지만 뒤에 제대로 전송되어 들어오는 패킷도 버려진다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만약 패킷이 데이터 그룹의 일부로 전송되는 경우에, 한 패킷의 손실은 전체 데이터 그룹의 손실로 연결된다. 즉 그 동안 수신한 패킷뿐만 아니라 앞으로 수신될 동일 데이터 그룹 내의 모든 패킷의 수신이 의미가 없어지면서 전력 손실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올바른 데이터 그룹을 다시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 상당한 지연시간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서브채널 내에서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패킷이 전송되어 오는 경우에,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패킷에서 CRC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존재하더라도 CRC 에러가 없는 모든 패킷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형태에 따른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방송(DAB/DMB) 수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서브채널 데이터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패킷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패킷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정상상태로 하여 상기 정상상태에서 패킷을 추출하는 단계와 정상상태에서 패킷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CRC 에러가 발생하면 오류상태로 전환하게 하고, 상기 오류 상태에서는 CRC 에러가 없는 패킷을 찾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킷 추출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도 6과 같이 정상상태(601)와 오류상태(602)의 두 가지 상태로 구성되어 진다. 하나의 서브채널로 전송되어온 데이터는 일단 정상상태(601)로 입력이 되고, CRC 에러가 발생할 때까지는 정상상태로 동작하여 추출한 패킷은 패킷 처리를 위한 기능블록으로 전달한다. 이때 CRC 에러가 발생하면 오류상태(602)로 전환하게 된다. 오류상태에서는 CRC 에러가 발생한 패킷의 실제 길이가 얼마인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패킷의 시작 위치를 오류가 발생한 패킷의 시작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192 비트(24 바이트)씩 증가시키면서 CRC가 올바른지를 확인한다. 일단 CRC가 올바른 패킷을 찾았다면 그 패킷을 패킷 처리를 위한 기능블록으로 전달하고 다시 정상상태로 전환한다.
도 7은 정상상태(701)에서의 패킷 추출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정상상태에서의 패킷 추출은 서브채널 데이터의 입력으로부터 시작된다. 입력된 서브채널 데이터는 D[0,L-1]로 표시하고, D[0]가 입력된 데이터의 첫 번째 비트 값을, D[L-1]이 마지막 비트 값을 나타내며, D[index]는 index번째의 비트 값을 나타낸다. 또한 D[a, b]는 D[a]에서부터 D[b]까지의 비트열을 의미한다.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패킷을 포함하고 있는 서브채널 데이터가 입력되면(701단계) 우선 index라는 변수를 0으로 설정한다(702 단계). 도 3에서 보듯이 패킷의 길이는 처음 2 비트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index가 지정하는 값부터 시작하여 처음 2 비트(D[index, index+1])을 이용하여 패킷의 길이 (Packet Length, PL)을 결정한다(703 단계). 패킷의 길이가 결정되면 이 값을 이용하여 하나의 패킷을 구성하게 되는 index가 지정하는 값부터 시작하여 PL만큼의 데이터(D[index, index+PL-1])를 읽어 CRC 검사를 수행한다(704 단계). CRC 검사 결과(705단계), CRC 에러가 발생되면 오류상태로 천이하여 오류가 발생한 경우의 작업을 수행하며(706단계), CRC 검사 결과 CRC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정상 패킷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패킷(D[index, index+PL-1])을 패킷처리블록으로 전송하고(707 단계), index 값에 PL값을 더함으로써 index 변수가 다음 패킷의 시작 위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708 단계). 변 경된 index 값이 서브채널 데이터의 길이(L)보다 크거나 같다면 서브채널 데이터로부터 모든 패킷을 추출한 것으로 확인하여 다시 서브채널 데이터의 입력을 기다린다. 만약 index 값이 서브채널 데이터의 길이(L)보다 작다면 서브채널내의 다음 패킷을 추출하기 위하여 다시 패킷의 길이를 결정하는 작업부터 반복 수행한다(709 단계). 오류상태(602)에서 정상패킷을 추출하면 다시 정상상태(601)로 천이하게 되는데 오류상태(602)로부터 천이되어 오면(702), index 값을 오류상태에서 패킷의 시작위치를 알려주기 위하여 사용된 findex 값으로 변경하여 주고 서브채널내의 다음 패킷을 추출하기 위하여 다시 패킷의 길이를 결정하는 작업(703단계에서 709단계)을 반복 수행한다.
도 8은 오류상태에서의 CRC 에러가 없는 패킷을 찾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정상상태에서 패킷 추출시 CRC 에러가 발생하면 오류상태로 천이하게 된다(801 단계). 오류상태(602)에서는 CRC 에러가 발생한 패킷의 길이 정보를 신뢰할 수 없기 때문에 CRC 에러가 발생한 패킷의 시작점부터 CRC 에러가 없는 패킷을 찾아가야 한다. 그래서 정상상태로부터 천이가 되면 findex를 index 값으로 설정한다(802 단계). 이때 index는 CRC 에러가 발생한 패킷의 시작점을 나타낸다. 패킷의 크기는 24, 48, 72, 96 바이트로 192 비트의 배수이기 때문에 즉, CRC 에러가 발생한 패킷의 크기가 192 비트의 배수이기 때문에 findex의 값을 192 비트(24 바이트)씩 증가시키면서 CRC 에러가 없는 패킷을 찾게 된다. 그래서 우선 CRC 에러가 발생한 패킷의 시작점에서 192 비트 증가시킨다(803 단계). 증가시킨 findex의 값이 입력된 서브채널 데이터의 길이(L)보다 크거나 같다면(804 단계) 입력된 데이터의 마 지막 패킷에 CRC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패킷 추출 동작을 끝마치고 정상상태의 시작부분으로 천이하여 새로운 서브채널 데이터가 입력되기를 기다린다(805 단계). 만약 작다면(804단계) findex로부터 시작하여 2 비트(D[findex, findex+1])를 읽어 패킷의 길이(PL)를 결정한다(806 단계). 만약 findex에 패킷 길이를 더한 값이 서브채널 데이터의 길이보다 크다면(807 단계) 패킷 길이에 잘못이 있는 것이므로 findex값을 변경하는 부분(803 단계)으로 돌아가 CRC 에러가 없는 패킷을 찾는 작업을 새로 수행한다. 만약 findex에 패킷 길이를 더한 값이 서브채널 데이터의 길이보다 크지 않다면(807 단계) findex로부터 시작하여 하나의 패킷일 것으로 예상되는 데이터(D[findex, findex+PL-1])를 읽어 CRC 검사를 수행한다(808 단계). CRC 검사를 통과하지 못하면(809 단계) findex값을 변경하는 부분(803 단계)으로 돌아가 CRC 에러가 없는 패킷을 찾는 작업을 새로 수행한다. CRC 검사를 통과한다면(809 단계) CRC 에러가 없는 패킷을 추출한 것이므로 추출한 패킷을 패킷처리블록으로 전송하고(810 단계), findex값을 패킷 길이만큼 증가시켜(811 단계) 정상상태로 천이한다(812 단계). 정상상태에서는 이 findex값부터 시작하여 추가적인 패킷 추출작업을 수행한다.
새로운 서브채널 데이터가 들어올 때마다 패킷의 CRC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한 정상상태의 흐름도와 오류상태의 흐름도를 수행하면서 서브채널 데이터내의 패킷을 추출하여 패킷처리블록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서브채널 데이터 내의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패킷이 존재하는 경우에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패킷에 CRC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CRC 에러가 없는 모든 패킷을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패킷 손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데이터 그룹의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신기에서의 전력 손실을 줄일 뿐만 아니라 올바른 데이터를 받을 때까지 걸리는 지연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패킷 서비스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Claims (8)

  1. 디지털 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방송(DAB/DMB) 수신 시스템에서 하나의 서브채널 데이터로부터 하나 또는 다수 개의 패킷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정상상태로 하여 상기 정상상태에서 패킷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상상태에서 패킷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CRC 에러가 발생하면 오류상태로 전환하게 하고, 상기 오류 상태에서는 CRC 에러가 없는 패킷을 찾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추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상태에서 패킷을 추출하는 단계는
    서브 채널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서브 채널 데이터에서 패킷 헤더의 처음 2 비트를 읽어들여 패킷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패킷 길이 만큼의 서브 채널 데이터를 읽어들여 CRC 에러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CRC 에러 검사 결과 CRC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패킷 길이 만큼의 서브 채널 데이터를 패킷 처리 블록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CRC 에러 검사 결과 CRC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오류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추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상태에서 상기 서브 채널 데이터의 입력을 받는 경우, 변수 인덱스 값을 0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류상태에서 상기 정상상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오류 상태에서 더 이상 오류가 없다고 판단된 인덱스 값인 findex 값을 상기 변수 인덱스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추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채널 데이터를 패킷 처리 블록으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변수 인덱스에 상기 결정된 패킷 길이를 더하여 상기 변수 인덱스 값을 변경시키는 단계;
    상기 변수 인덱스 값과 상기 서브 채널 데이터의 길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변수 인덱스 값이 상기 서브 채널 데이터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다면, 상기 서브 채널을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변수 인덱스 값이 상기 서브 채널 데이터의 길이보다 작다면, 상기 패킷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추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상태에서 CRC 에러가 없는 패킷을 찾는 단계는
    (a) 상기 정상상태에서 CRC 에러가 발생한 경우 오류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b) 상기 오류상태에서의 인덱스 값인 findex 값을 상기 정상상태에서 상기 오류상태로 전환할 당시의 변수 인덱스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findex 값에 192비트를 더한 값을 새로운 findex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새로 설정된 findex 값과 서브 채널 데이터를 비교하는 제1 비교 단계;
    (e) 상기 제1 비교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새로 설정된 findex 값이 상기 서브 채널 데이터의 길이보다 같거나 크다면 상기 정상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추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교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새로 설정된 findex 값이 상기 서브 채널 데이터의 길이보다 작다면 상기 서브 채널 데이터에서 findex 값 및 index+1 의 값에 해당하는 2 비트를 읽어들여 패킷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findex 값에 패킷의 길이를 더한 값과 서브 채널 데이터의 길이를 비교하는 제2 비교 단계;
    상기 제2 비교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서브 채널 데이터의 길이가 더 작은 경우 상기 (c)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상기 제2 비교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서브 채널 데이터의 길이가 더 크거나 같은 경우 CRC 에러 검사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추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RC 에러 검사 단계는
    상기 findex부터 상기 패킷의 길이 만큼의 서브 채널 데이터를 읽어 CRC 에러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CRC 에러 검사 결과, CRC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c)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상기 CRC 에러 검사 결과, CRC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findex부터 상기 패킷의 길이 만큼의 서브 채널 데이터를 패킷 처리 블록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추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처리 블록으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findex 값에 상기 패킷의 길이를 더한 값을 새로운 findex 값으로 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findex 값을 가지고 상기 정상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추출 방법.
KR1020060117617A 2006-11-27 2006-11-27 디지털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방송(dab/dmb) 수신시스템에서 패킷 추출 방법 KR100840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617A KR100840565B1 (ko) 2006-11-27 2006-11-27 디지털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방송(dab/dmb) 수신시스템에서 패킷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617A KR100840565B1 (ko) 2006-11-27 2006-11-27 디지털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방송(dab/dmb) 수신시스템에서 패킷 추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757A KR20080047757A (ko) 2008-05-30
KR100840565B1 true KR100840565B1 (ko) 2008-06-23

Family

ID=3966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617A KR100840565B1 (ko) 2006-11-27 2006-11-27 디지털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방송(dab/dmb) 수신시스템에서 패킷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5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8232A (ja) 1999-06-15 2000-12-26 Toshiba Corp Vodシステム
KR20010035772A (ko) * 1999-10-02 2001-05-07 윤종용 무선 멀티미디어 통신에서의 비디오 비트스트림 데이터의 오류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040013615A (ko) * 2002-08-07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저장 재생 장치
KR20040097519A (ko) * 2003-05-12 2004-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킷 전송망에서 영상 데이터의 에러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8232A (ja) 1999-06-15 2000-12-26 Toshiba Corp Vodシステム
KR20010035772A (ko) * 1999-10-02 2001-05-07 윤종용 무선 멀티미디어 통신에서의 비디오 비트스트림 데이터의 오류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040013615A (ko) * 2002-08-07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저장 재생 장치
KR20040097519A (ko) * 2003-05-12 2004-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킷 전송망에서 영상 데이터의 에러 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757A (ko) 200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2198B2 (en) Encoding/decoding device and encoding/decoding method
KR101426368B1 (ko) 디지털 방송 송신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들의 스트림 구성 및 처리 방법
US89779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application layer-forward error correction packet in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US7697535B2 (en) Error resilient protocol data unit boundary detection
WO2009076318A1 (en) Network entry and recovery
CN101379814A (zh) 移动广播终端中接收数据的装置和方法
KR20060065435A (ko) 서브채널 디코더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방법
KR20080016669A (ko) Tps 비트 내의 네트워크 id 시그널링
KR20110081114A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의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10081143A (ko) Atsc 데이터스트림에서 데이터 패킷의 동기화 맵핑 방법 및 시스템
US8929444B2 (en) Data communication unit,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of decoding
US7370263B1 (en) Hardware efficient CRC generator for high speed communication networks
US20150022719A1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US6985726B2 (en) Method of blind transport format detection
US86157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a packet error in an audio and video communication system
JP2002359610A (ja) ディジタル信号受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信号受信システム
US80097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omplementary data in an analog radio transmission system
KR100840565B1 (ko) 디지털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방송(dab/dmb) 수신시스템에서 패킷 추출 방법
BRPI0722371A2 (pt) aparelho de recepção de difusão digital e método de processamento de fluxo para um aparelho de recepção de difusão digital
KR10130409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수신 데이터의 버퍼링 및복호 방법 및 장치
CN100369477C (zh) 数字多媒体广播接收机的频道解码器
EP3657809A1 (en) Packet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923574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송출 시스템 및 방법
KR102087216B1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20050111869A (ko) Enhanced-8VSB 전송 시스템의 부가 데이터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