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1114A -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의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의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1114A
KR20110081114A KR1020110001999A KR20110001999A KR20110081114A KR 20110081114 A KR20110081114 A KR 20110081114A KR 1020110001999 A KR1020110001999 A KR 1020110001999A KR 20110001999 A KR20110001999 A KR 20110001999A KR 20110081114 A KR20110081114 A KR 20110081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ing information
frame
information
field
pre sign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5219B1 (ko
Inventor
윤성렬
이스마엘 구티에레스
정홍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8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1Recovering the multiplex stream from a specific network, e.g. recovering MPEG packets from ATM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15DVB-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인밴드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상파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와 모바일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생성된 프레임의 시그널링 정보 필드에 상기 생성된 프레임 또는 다음에 전송할 프레임에서 전송될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인지 정보를 기록하는 추가 영역을 할당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의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THE APPRATUSE AND METHOD FOR SERVICE TRANSMISSION USING INBAND TRANSMISSION IN DIGITAL VIDEO BROADCASTING}
바람직한 실시 예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인밴드 전송 방식을 이용하여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디지털 전송 기술을 사용하는 방송 시스템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 (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디지털 비디오 방송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DVB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Digital Video Broadcasting System: 이하 'DVB 시스템'이라 칭함)은 유럽의 디지털 방송 기술로 기존의 디지털 방송뿐만 아니라 이동용, 휴대용 기기를 대상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전송 규격이다.
상기 DVB 시스템은 MPEG 2 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Transport Stream) 기반의 방송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IP (Internet Protocol) 기반의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DVB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방송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스트림들을 하나의 IP 스트림에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IP 스트림을 개별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개별 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스트림을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DVB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들의 종류가 무엇이며, 각 서비스가 어떠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2세대 지상파 DVB 방송 시스템 (이하 ‘DVB-T2 시스템’이라 칭함)에서 물리 계층의 프레임 (T2 프레임) 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프레임 구조는 간략하게 P1, P2 심볼 부분 (이하 ‘프리앰블 필드’라 칭함)과 데이터 심볼 부분 (이하 ‘데이터 필드’라 칭함)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프리앰블 필드에서는 프레임의 시그널링(Signaling) 정보가 전송되고, 상기 데이터 필드에서는 데이터 즉, 페이로드(Payload)가 전송된다.
먼저 프리앰블 필드의 P1 심볼 부분에서 전송되는 P1 프리앰블은 수신기에서 프레임의 초기 신호를 스캔(scan)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P1 프리앰블은 수신기에서 주파수 옵셋을 검출하고, 중앙 주파수(center frequency)를 튜닝하기 위해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P1 프리앰블은 프레임의 식별 정보, FFT (Fast Fourier Transform) 사이즈 및 다른 전송 정보 등을 수신기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P1 프리앰블은 프레임의 시작에 전송되며, 3비트의 S1 필드와 4비트의 S2 필드로 구성된다. 상기 S1 필드는 DVB-T2 시스템의 구성 요소(SISO, MISO 또는 mixed 시스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S2 필드는 DVB-T2 시스템의 FFT 크기 및 보호 구간(Guard Interval)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프리앰블 필드의 P2 심볼 부분은 L1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L1 시그널링 정보는 DVB-T2 시스템 파라미터 및 데이터 필드의 구성 요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P2 심볼 부분은 L1-pre 시그널링 필드와 L1-post 시그널링 필드로 구성된다. 상기 L1-pre 시그널링 필드는 200 비트의 고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L1-post 시그널링 필드는 가변 길이를 가진다.
상기 L1-pre 시그널링 필드에서는 하기 <표 1>과 같은 정보가 전송된다.
TYPE 8 bits
BWT_EXT 1 bit
S1 3 bits
S2 4 bits
L1_REPETITION_FRAG 1 bit
GUARD_INTERVAL 3 bits
PAPR 4 bits
L1_MOD 4 bits
L1_COD 2 bits
L1_FEC_TYPE 2 bits
L1_POST_SIZE 18 bits
L1_POST_INFO_SIZE 18 bits
PILOT_PATTERN 4 bits
TX_ID_AVAILABILITY 8 bits
CELL_ID 16 bits
NETWORK_ID 16 bits
T2_SYSTEM_ID 16 bits
NUM_T2_FRAMES 8 bits
NUM_DATA_SYMBOLS 12 bits
REGEN_FLAG 3 bits
L1_POST_EXTENSION 1 bit
NUM_RF 3 bits
CURRENT_RF_IDX 3 bits
T2_VERSION 4 bits
RESERVED 6 bits
CRC_32 32 bits
상기 L1-pre 시그널링 필드에서 전송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DVB-T2 표준(ETSI EN 302 755)에서 상세히 설명되고 있다.
상기 L1-pre 시그널링 필드에서 전송되는 정보 중에서 L1_post_size(18 비트) 정보를 이용하면, 데이터 필드의 시작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L1-pre 시그널링 필드의 크기는 200비트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L1-pre 시그널링 필드의 크기에 L1_post_size 만큼을 더하면, 데이터 필드의 시작 위치를 알 수 있다. 즉 상기 L1_post_size의 정보만 알 수 있으면, L1-post 시그널링 필드 다음에 위치하는 데이터 필드의 시작 위치를 알 수 있다.
상기 L1-post 시그널링 필드는 Configurable 필드, Dynamic 필드, Extension 필드를 포함한다. 그 외에 상기 L1-post 시그널링 필드는 포함하고 있는 세 개의 필드들에 대한 에러 유무를 확인하는 CRC (Cyclic Redundancy Check) 필드와 패리티 (Parity) 부분이 채워지는 패딩 (Padding)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L1-post 시그널링 필드의 크기는 L1-Pre 시그널링 필드의 L1_post_size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는 상기 L1-pre 시그널링 필드를 수신한 후에, 상기 L1-post 시그널링 필드를 수신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필드는 DVB-T2 표준에서 언급하고 있는 것과 같이 PLP (Physical Layer Pipe)를 기반으로 여러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은 L1-pre 시그널링 정보와 L1-post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PLP 기반의 데이터 필드로부터 자신에게 할당된 PLP를 찾아 원하는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근래에 모바일 방송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 증가로 인해, 다양한 휴대 방송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이동 통신 망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 (MBMS: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휴대용 단말을 위한 T-DMB (Terrestrial-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edia FLO, 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등이 있다.
추가로 DVB-T2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DVB-T2 시스템은 지상파 서비스를 위해 설계됨에 따라, 모바일 환경에서는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모바일 환경에서 DVB-T2 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바일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시그널링 및 데이터의 강인성(robustness)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다. 보다 상세하게 DVB-T2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P2 심볼은 FFT의 사이즈에 따라 1개 (32K, 16K FFT), 2개(8K FFT), 4개(4K FFT), 8개(2K FFT), 또는 16개(1K FFT)의 OFDM 심볼을 통해 짧은 구간 동안 전송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다수의 심볼 (최대 255 OFDM 심볼)에 걸쳐 전송되는 데이터 필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타임 다이버시티(Time diversity)가 작은 취약점을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에서 모바일 방송 서비스, 지상파 방송서비스 혹은 케이블 방송 서비스를 위해 시그널링의 강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에서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모바일 수신기 혹은 고정형 수신기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에서 L1-pre 시그널링 필드에 존재하는 예비 비트를 사용하여 새로운 슈퍼 프레임의 전송으로 인한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인지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에서 L1-pre 시그널링 필드를 통해 전송되는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하는 두 개의 프레임이 가지는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인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에서 L1-pre 시그널링 필드를 통해 전송되는 인지 정보를 이용하여 연속하는 적어도 두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슈퍼 프레임이 변경되었음을 인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에서 L1-pre 시그널링 필드에 존재하는 예비 비트를 이용하여 시그널링 변경 플래그 또는 시퀀스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에서 L1-pre 시그널링 필드에 존재하는 예비 비트에 의해 전송되는 시그널링 변경 플래그 또는 시퀀스를 이용하여 연속하는 두 개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인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에서 소정 구간에서 누적한 소프트 비트 값을 이용하여 수신 프레임의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디코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방송 송신장치에서 인밴드 전송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지상파 방송 데이터와 모바일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생성된 프레임의 시그널링 정보 필드는 상기 생성된 프레임 또는 다음에 전송할 프레임에서 전송될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인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장치에서 인밴드 전송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은, 상기 방송 서비스에 따른 프레임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프레임의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지 정보가 시그널링 정보 필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밴드 전송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송신장치는, 지상파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와 모바일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프레임의 시그널링 정보 필드에 상기 생성된 프레임 또는 다음에 전송할 프레임에서 전송될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인지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밴드 전송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장치는, 상기 방송 서비스에 따른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프레임의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프레임 해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해석부는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지 정보가 상기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되었는지 확인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DVB-T2 수신기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인밴드 전송을 이용하여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시그널링의 강인성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한 추가적인 필드들이 DVB-T2 수신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수신기가 추가 필드를 이용하여 시그널링의 강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는 DVB-T2 수신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방송 수신기가 추가 필드를 이용하여 시그널링의 강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2세대 지상파 DVB 방송 시스템에서 물리 계층의 프레임 구조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DVB-T2 시스템에서 모바일 방송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슈퍼 프레임 (super frame)의 전송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DVB-T2 시스템을 위한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구조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4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DVB-T2 시스템에서 인밴드 전송 방식을 기반으로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의 상세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변경 플래그를 이용할 때 모바일 수신기에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6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 시퀀스를 이용할 때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상관 정도에 의해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인지하는 일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7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시퀀스를 이용할 때 모바일 수신기에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8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9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에서 프레임 생성부의 상세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0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1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에서 프레임 해석부의 상세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12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L1-Pre 시그널링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모바일 방송 서비스 및 모바일 수신기를 이용하여 설명하나,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등의 다양한 방송 서비스 혹은 통신 시스템에서 강인한 시그널링 전송을 위하여 활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DVB-T2 시스템을 기반으로 모바일 방송을 서비스하기 위해 선결되어야 하는 시그널링의 강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인밴드 시스템의 모바일 방송을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DVB-T2 수신기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DVB-T2 시스템에서 모바일 방송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슈퍼 프레임 (super frame)의 전송 예를 보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Frame (n,m)은 n번째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들 중 m번째 프레임을 의미한다. 즉 Frame (n,m)에서 n은 슈퍼 프레임 인덱스를 나타내며, m은 슈퍼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프레임을 가리키는 프레임 인덱스를 나타낸다. 예컨대 Frame (0,0)은 슈퍼 프레임 인덱스 0을 가지는 첫 번째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 프레임 인덱스 0을 가지는 첫 번째 프레임을 가리킨다.
따라서 도 2에서는 슈퍼 프레임이 NT2개의 프레임들로 구성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DVB-T2 시스템을 위한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인밴드 전송을 제공하는 DVB-T2 시스템을 이용하여 모바일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은 데이터 필드와 프리앰블 필드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필드 내에는 다수의 PLP들이 존재한다. 상기 다수의 PLP들에는 모바일 방송을 위한 몇 개의 PLP들이 존재한다. 즉 상기 데이터 필드의 일부에서 지상파용 T2-PLP를 전송하고, 나머지 부분에서 모바일용 NGH(Next Generation Handheld)-PLP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프리앰블 필드에서는 P1 심볼과 P2 심볼을 전송한다.
상기 P2 심볼은 L1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L1 시그널링 정보는 데이터 필드 내의 T2-PLP와 NGH-PLP를 구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L1 시그널링 정보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신뢰성(Reliability)이 확보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P2 심볼은 지상파 방송의 환경(line of sight 등)을 기준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모바일 환경에서 타임 다이버시티가 부족하여 수신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L1 시그널링 정보를 모바일 수신기에게 정확하게 수신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한다. 특히 상기 L1 시그널링 정보 중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4는 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DVB-T2 시스템에서 인밴드 전송 방식을 기반으로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의 상세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은 프리앰블 필드와 데이터 필드로 구성된다. 상기 프리앰블 필드는 P1 심볼 부분과 P2 심볼 부분 및 NGH 시그널링 PLP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P2 심볼 부분은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되는 영역 (이하 “L1-pre 시그널링 필드”라 칭함)과 L1-post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되는 영역 (이하 “L1-post 시그널링 필드”라 칭함)으로 구분된다.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L1_post_size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L1_post_size 정보는 상기 L1-post 시그널링 필드의 크기를 나타낸다. 상기 L1_post_size 정보는 모바일 수신기에 의해 정확히 수신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강인성이 필요하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강인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후술될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모바일 수신기가 정확한 L1_pre 시그널링 정보를 얻도록 하는 방안으로써, 매 프레임마다 수신되는 L1_pre 시그널링 정보를 누적하도록 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누적된 L1_pre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디코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누적하여 이용함으로써,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품질(qua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일한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누적은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품질(quality)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모바일 수신기가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인지할 수 있다면, 동일한 L1_pre 시그널링 정보만을 누적할 수 있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DVB-T2 시스템에서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프레임들에서 동일(constant)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프레임들에서는 동일한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때때로 각 프레임 내의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은 새로운 슈퍼 프레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매 슈퍼 프레임 단위로 반드시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즉 연속하는 슈퍼 프레임이라 하더라도, 이전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에서 전송되는 L1-pre 시그널링 정보와 다음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에서 전송되는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동일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모바일 수신기가 L1_pre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됨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L1-pre 시그널링 필드에 추가 필드를 마련하였다. 예컨대 기존 T2 프레임을 구성하는 L1-pre 시그널링 필드에 존재하는 예비 비트 영역(RESERVED: 6 bits)을 추가 필드로 이용한다. 그리고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강인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추가 필드에 부가적인 정보를 삽입한다. 상기 부가적인 정보는 모바일 수신기가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인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 (이하 “인지 정보 (Recognition Information)”라 칭함)가 될 수 있다. 즉 수신기에서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인지하도록 송신기가 추가 필드를 통해 인지 정보를 전송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상기 인지 정보로는 변경 플래그 (L1_Pre_change_flag) 또는 특정 시퀀스(Sequence)가 이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추가 필드에 1비트의 IS_플래그와 5비트의 인지 정보가 추가된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1비트의 IS_플래그는 인밴드 전송이 존재하는 지를 나타낸다. 예컨대 상기 IS_플래그가 ‘0’인 경우는 데이터 필드 내에 인밴드 전송에 따른 PLP, 즉 NGH-PLP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며, 상기 IS_플래그가 ‘1’인 경우는 데이터 필드 내에 인밴드 전송에 따른 PLP, 즉 NGH-PLP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IS_플래그가 ‘1’인 경우에는 NGH-PLP를 수신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되는 NGH 시그널링 PLP 부분이 존재한다.
한편 상기 5비트의 인지 정보는 변경 플래그 (L1_Pre_change_flag)를 포함하거나 특정 시퀀스(Sequenc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 정보는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누적을 통해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강인성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이용한다.
상기 인지 정보가 변경 플래그 (L1_Pre_change_flag)를 포함하는 경우와 특정 시퀀스(Sequence)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에 있어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복호하는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NGH 시그널링 PLP 부분 (NGH signaling PLP)은 IS (Inband System), 즉 NGH 시스템의 시그널을 위한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NGH 시그널링 PLP 부분은 전송할 정보의 량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된다. 한편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NGH 시그널링 PLP 부분이 프레임의 프리앰블 필드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상기 NGH 시그널링 PLP 부분은 기존 T2 프레임의 구조가 최대한 변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데이터 필드를 구성하는 첫 번째 PLP에 구비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상기 NGH 시그널링 PLP 부분은 NGH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되는 영역 (이하 “NGH L1-pre 시그널링 필드”라 칭함)과 NGH L1-post 시그널링 정보가 전송되는 영역 (이하 “NGH L1-post 시그널링 필드”라 칭함)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NGH L1-pre 시그널링 필드의 크기는 142 비트들로 고정되며, 상기 NGH L1-post 시그널링 필드의 크기는 가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인밴드 방법을 이용하여 DVB-T2의 서비스 신호에 2차 서비스 (Ex. DVB-NGH)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2차 서비스에 대한 신호는 시그널 부분 (NGH signaling PLP)과 데이터 부분 (NGH_PLP)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두 신호는 DVB-T2 신호의 데이터 부분에서 전송된다. 하지만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상기 시그널 부분 (NGH signaling PLP)은 프레임의 프리앰블 필드에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 부분 (NGH_PLP)은 프레임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NGH signaling PLP의 위치는 프레임 내에서 P2 심볼 다음의 첫 번째 PLP로 고정되거나 프레임 내의 프리앰블 필드에서 P2 심볼 다음의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NGH signaling PLP는 NGH PLP의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내는 정보들로 구성된다. 상기 NGH signaling PLP는 정해진 위치에서 자유롭게 설계될 수도 있으며, T2 시스템에서의 시그널링 구조와 유사하게 NGH_L1_pre 시그널링 필드와 NGH_L1_post 시그널링 필드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NGH signaling PLP를 별도로 전송하는 이유는 낮은 부호화 율(code rate) 또 다이버시티(diversity) 추가 등을 고려하여 NGH signaling PLP를 설계함으로써 NGH_PLP를 정확히 알려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NGH signaling PLP를 통해 전송되는 IS 시그널링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L1 pre 시그널링 정보 중에서 L1_post_size 필드에 기록된 정보를 정확하게 수신하여야 한다. 또한 DVB-T2 수신기의 impact(또는 변경)을 주지 않기 위해서, IS 전송 유무에 대한 정보는 L1 pre 시그널링 필드를 구성하는 예비 필드를 통해 알려주어야 한다. 따라서 IS_flag를 통해서 해당 T2 프레임에 IS가 존재하는 지에 대한 유무를 수신기에 알려주어야 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DVB-T2 신호 내에 NGH 시그널링과 NGH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L1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내용은 DVB-T2의 구조와 유사하다. 즉, NGH_L1_Pre 시그널링 필드와 IS_L1_post 시그널링 필드의 구조를 유지할 수도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NGH 시그널링은 첫 번째 Data PLP에 다중화 시킬 수 있다. 사실 T2 표준에서는 첫 번째 PLP에 공통 (common) PLP가 위치하고, 그 후에 데이터 PLP가 수신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첫 번째 PLP에 NGH 시그널링을 전송한다는 것이 수신기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왜냐하면 L1_post 시그널링 필드의 구성 부분(configurable part)에서 모든 PLP에 대한 위치 정보를 알려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NGH 시그널링을 통해서 프레임 내에서 NGH PLP에 대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그리고 NGH 시그널링 정보는 인밴드 시스템의 사용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밴드 전송 방식의 지원에 따른 NGH PLP의 전송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NGH PLP는 DVB-T2 Data PLP (T2_PLP)의 나머지 부분에 할당하여 전송한다. 도 4에서와 같이 NGH PLP가 Type 1 또는 Type 2에 할당될 수 있다. 상기 Type 1은 프레임에서 PLP가 하나의 조각(slice)에 존재하는 경우이고, 상기 Type 2는 프레임에서 PLP가 여러 조각(slice)에 나누어져 전송되는 구조이다.
한편 도 4에서 옵션 (a)와 같이 NGH PLP는 T2_PLP 뒤에 위치하고,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T2_PLP와 NGH_PLP가 교차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옵션 (b)). 이것은 타임 다이버시티 (time diversity)를 좀 더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현재 T2 표준에서 L1_post 시그널링 필드의 구성 (configurable) 및 다이나믹(dynamic)을 통해서 각각 PLP에 대한 위치 정보가 시그널링된다. 따라서 수신기는 여러 PLP들 중에서 일부를 무시하거나 원하는 PLP만을 수신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L1 시그널링 정보로 NGH PLP의 위치 정보를 전송함에도 불구하고, NGH PLP에 대한 NGH 시그널링 정보를 별도로 전송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L1-pre 시그널링 필드 및 L1-post 시그널링 필드가 수신기에서 정확하게 디코딩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인지 정보로 변경 플래그를 이용하여 L1_pre 시그널링 정보를 강인화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식별하기 위한 인지 정보로써 변경 플래그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전송 중인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에서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변경 플래그를 제공한다.
따라서 수신기는 프레임 별로 제공되는 L1_pre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변경 플래그에 의해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인지한다. 이로써 상기 수신기는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기반으로 동일한 L1_pre 시그널링 정보만을 누적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누적된 L1_pre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디코딩할 수 있다.
하기 <표 2>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위해 변경 플래그를 이용할 때 추가 필드를 설계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pat00001
한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변경 플래그를 이용하는 방안으로 두 가지의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는 하기 <표 3>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3>에서의 방법 1은 다음 전송될 슈퍼 프레임에서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이 예상되는 경우, 현재 전송 중인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 특정 프레임에서만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됨을 알리는 변경 플래그를 전송한다. 상기 특정 프레임은 사전에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 약속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특정 프레임으로는 현재 전송 중인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 마지막 프레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현재 전송 중인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 나머지 프레임들 (0~NT2-2번째 프레임)에서는 L1_pre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지 않을 것임을 나타내는 변경 플래그 (일 예로 ‘0’)를 전송한다. 마지막 프레임 (NT2-1번째 프레임)에서만 L1_pre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될 것임을 나타내는 변경 플래그 (일 예로 ‘1’)를 전송한다. 따라서 수신기에서는 변경 플래그가 ‘0’에서 ‘1’로 변경되면, 다음 슈퍼 프레임에서 L1_pre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될 것임을 인지하도록 한다.
상기 <표 3>에서의 방법 2는 새롭게 전송을 시작할 슈퍼 프레임에서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이 예상되는 경우, 새롭게 전송을 시작할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에서 이전에 전송한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에서 전송된 변경 플래그와 다른 값을 가지는 변경 플래그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변경 플래그는 변경 회수에 따라 교대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매 슈퍼 프레임에서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것을 가정할 때, 짝수 번째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에서의 변경 플래그는 ‘0’으로 설정하고, 홀수 번째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에서의 변경 플래그는 ‘1’로 설정한다.
따라서 수신기에서는 변경 플래그가 ‘0’에서 ‘1’로 변경되거나 ‘1’에서 ‘0’으로 변경되면, L1_pre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도 5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변경 플래그를 이용하는 경우 모바일 수신기에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신기는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프레임으로부터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프레임의 프리앰블 필드에 존재하는 P2 심볼 부분을 구성하는 L1 pre 시그널링 필드에 기록된다.
상기 수신기는 502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프레임으로부터 분석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메모리(504)에 저장한다.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소프트 비트 값 혹은 다른 값으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 비트 값은 LLR(Log Likelihood Ratio) 값을 의미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소프트 비트 값으로 저장되는 것을 가정한다.
상기 메모리(504)에 저장된 소프트 비트 값은 L1_pre_change_flag의 필요 조건(requirement)이 만족될 시에 초기화된다. 상기 초기화 과정은 수신기에서 부정확한 또는 다른 정보의 소프트 비트를 결합(combining)해서 발생되는 에러 전파(error propagation)를 피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신기는 506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프레임으로부터 분석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디코딩한다. 그리고 508단계에서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CRC 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디코딩하는데 실패하였다면, 상기 수신기는 510단계에서 상기 메모리(504)에 저장되어 있는 소프트 비트 값들을 컴바이닝 (combining)한다. 즉 이전까지 수신된 프레임의 분석에 의해 획득한 L1-pre 시그널링 정보와 현재 수신된 프레임의 분석에 의해 획득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컴바이닝한다.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컴바이닝은 소프트 비트 값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컴바이닝을 통해 획득한 소프트 비트 값을 사용하여 상기 502단계에서 획득한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다시 수행한다.
그 후 512단계에서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CRC 비트를 사용하여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한다.
상술한 바에 의해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이 성공적 (CRC success)으로 이루어졌다면, 상기 수신기는 상기 프레임의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하였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L1_post_size 정보를 이용하여 NGH signaling PLP의 위치 정보를 얻게 된다. 상기 수신기가 NGH signaling PLP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수신기가 인밴드 전송에 따른 PLP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신기는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IS-플래그를 참조한다. 즉 상기 IS-플래그에 의해 데이터 필드에 NGH PLP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NGH signaling PLP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수신기는 514단계에서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변경 플래그인 L1_Pre_change_flag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L1_Pre_change_flag가 필요 조건 (requirement)을 만족하는 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필요 조건은 상기 L1_Pre_change_flag의 변경에 해당한다. 즉 이전에 수신한 프레임에 의해 확인된 L1_Pre_change_flag와 현재 수신한 프레임에 의해 확인된 L1_Pre_change_flag가 동일한 값을 가지는지 여부를 필요 조건을 사용한다. 따라서 현재 수신한 프레임에 의해 확인된 L1_Pre_change_flag가 이전에 수신한 프레임에 의해 확인된 L1_Pre_change_flag와 다른 값을 가진다면, 상기 수신기는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될 예정이거나 변경되었음을 인지한다.
예컨대 앞에서 설명된 방안 1을 이용할 때, L1_Pre_change_flag가 변경될 시 다음에 수신할 프레임에 포함될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될 것임을 인지한다. 하지만 앞에서 설명된 방안 2를 이용할 때, 현재 수신한 프레임에 포함된 L1-pre 시그널링 정보, 즉 디코딩에 성공한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이전 프레임에 포함된 L1-pre 시그널링 정보와 상이하다는 것을 인지한다.
상술한 동작에 의해 상기 수신기는 수신된 또는 수신할 프레임의 구성이 달라졌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L1_Pre_change_flag는 soft bit(LLR)의 누적 (accumulation) 개시 시점을 알려주는 의미도 갖는다.
따라서 상기 L1_Pre_change_flag가 필요 조건 (requirement)을 만족한다는 것은 상기 L1_Pre_change_flag가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에 상응하는 값을 갖는 경우에 해당한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L1_Pre_change_flag가 필요 조건을 만족할 시, 상기 메모리(504)에 누적하여 저장된 소프트 비트 값을 초기화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는 516단계에서 앞서 수신한 프레임의 디코딩에 성공하였다고 처리한다.
하지만 상기 512단계에서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CRC 검사를 통해 에러(error)가 검출(CRC fail)되면, 상기 수신기는 L1_pre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는데 실패하였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수신기는 518단계로 진행하여 앞서 수신한 프레임의 디코딩에 실패하였다고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502단계 내지 518단계를 반복하여 처리함으로써, 다음 수신될 프레임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인지 정보로 시퀀스를 이용하여 L1_pre 시그널링 정보를 강인화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식별하기 위한 인지 정보로써 소정 길이 (예컨대 5비트)의 시퀀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전송 중인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에서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시퀀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수신기는 프레임 별로 제공되는 L1_pre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와 이전에 수신한 프레임에서 제공된 시퀀스 간의 상관도에 의해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인지한다. 이로써 상기 수신기는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기반으로 동일한 L1_pre 시그널링 정보만을 누적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누적된 L1_pre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디코딩할 수 있다.
예컨대 연속하여 수신한 프레임 내의 L1-pre 시그널링 필드를 구성하는 추가 필드에 존재하는 5비트의 시퀀스의 상관 정도와 평균 상관비 (Average Correlation Ratio, 이하 ‘ACR’이라 칭함)를 이용하여,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수신기에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하기 <표 4>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위해 시퀀스를 이용할 때 추가 필드를 설계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4>를 이용하는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연속하는 프레임에 의해 획득한 시퀀스 간의 상호 상관 값 (cross correlation value)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한 상호 상관 값을 기반으로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적어도 두 개의 연속하는 프레임이 같은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가진다면, 상기 적어도 연속하는 두 개의 프레임에 의해 계산된 상호 상관 값은 크게 나타날 것이다. 하지만 상기 적어도 연속하는 두 개의 프레임이 상이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가진다면, 상기 두 개의 프레임에 의해 계산된 상호 상관 값은 작게 나타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호 상관 값이 나타나는 이유는 적어도 연속하는 두 개의 프레임 간에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적어도 연속하는 두 개의 프레임은 서로 다른 시퀀스를 갖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계산된 상호 상관 값에 의해 두 개의 연속하는 프레임이 같은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가지는지 아니면 다른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가지는 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판단 기준이 필요하다. 즉 상기 계산된 상호 상관 값에 의해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임계치가 필요하다.
예컨대 상기 임계치로는 상한 상호 상관 값과 하한 상호 상관 값의 비율에 의해 결정되는 ACR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한 상호 상관 값은 동일한 시퀀스에 의해 계산되는 상호 상관 값들의 평균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하한 상호 상관 값은 다른 시퀀스에 의해 계산되는 상호 상관 값들의 평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계산된 상호 상관 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연속하는 두 개의 프레임에 의해 수신된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계산된 상호 상관 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연속하는 두 개의 프레임에 의해 수신된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상이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연속하는 두 개의 프레임에서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 시퀀스를 이용할 때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상관 정도에 의해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인지하는 일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연속하는 복수의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각각에 대응하여 계산된 상호 상관 값들과 ACR을 보이고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시퀀스가 인가될 때, 현저하게 낮은 상호 상관 값을 갖게 되어 수신기가 정확하게 L1_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인지할 수 있다.
하기 <표 5>에서는 인지 정보로 사용될 시퀀스로써, 이진 시퀀스(binary sequence) 조합의 구성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 5>에 의하면, 두 개의 이진 시퀀스 조합에 의해 시퀀스를 표현할 때, 같은 시퀀스에 상응하는 상호 상관 값은 5이고, 다른 시퀀스에 상응하는 상호 상관 값은 -5이다. 한편 4개의 이진 시퀀스 조합에 의해 시퀀스를 표현할 때, 같은 시퀀스에 상응하는 상호 상관 값은 5이고, 다른 시퀀스의 상호 상관 값은 -1이다.
상술한 예에 의해 계산된 상호 상관 값을 기준으로 할 때에, 첫 번째 예에 의한 ACR은 10으로 되고, 두 번째 예에 의한 ACR은 6이 된다. 따라서 두 개의 시퀀스 조합을 사용할 때, 두 신호를 구별할 수 있는 성능이 우수하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예시된 시퀀스 외에도 32가지의 시퀀스 중에서 2개의 조합을 사용할 때에도 동일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도 7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시퀀스를 이용할 때, 모바일 수신기에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해 수행하는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때 시퀀스는 동적 시퀀스 정보가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신기는 초기 동작을 시작함에 있어서, 프레임의 첫 번째 시작에 상응한 초기화를 수행한다. 즉 상기 수신기는 701단계에서 P2 심볼 카운터 값(s), 실패 카운터 값(fail_count)를 0으로 설정한다. 상기 P2 심볼 카운터 값(s)은 디코딩이 수행되는 P2 심볼을 카운팅하기 위한 값이고, 상기 실패 카운터 값(fail_count)은 디코딩에 실패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카운팅하기 위한 값이다.
그 후 상기 단말기는 프레임을 수신하고, 703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프레임의 P1 심볼 부분의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P1 심볼 부분의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DVB-T2 시스템의 구성, FFT 및 보호 구간 등을 인지한다.
상기 수신기는 705단계에서 P2 심볼 부분에 존재하는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하여 메모리(729)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P2 심볼 카운터 값(s)을 1 증가시킨다.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소프트 비트(soft bit) 값 혹은 다른 값으로 상기 메모리(729)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소프트 비트 값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신기는 707단계에서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시퀀스를 기반으로 이전에 수신되어 상기 메모리(729)에 저장되어 있는 L1_pre 시그널링 정보와의 상호 상관 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는 709단계에서 상기 계산된 상호 상관 값을 ACR과 비교하여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상기 수신기는 711단계에서 새로 획득한 소프트 비트 값과 이전에 메모리(729)에 저장되어 있던 소프트 비트 값들을 컴바이닝(combining)한다.
하지만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수신기는 713단계에서 상기 메모리(729)를 리셋함으로써, 상기 메모리(729)에 저장되어 있던 소프트 비트 값을 클리어한다.
이 경우 컴바이닝 하기 전에 수신한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 및 CRC 검사를 수행하여 정상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을 때에 한하여 컴바이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기는 컴바이닝을 수행하거나 상기 메모리(729)를 리셋한 후 715단계에서 L1_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L1_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위해 상기 컴바이닝이 이루어진 소프트 비트 값 또는 상기 메모리(729)에 새로 저장된 소프트 비트 값을 사용한다. 즉 반복하여 누적된 소프트 비트 값을 사용하여 L1_pre 시그널링 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디코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 후 상기 디코딩 결과에 대한 CRC 검사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디코딩 결과에 대한 CRC 검사를 통해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에 성공하였는지를 717단계에서 판단한다.
만약 상기 디코딩에 성공하였다면, 상기 수신기는 725단계에서 L1_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성공 처리한다. 하지만 상기 디코딩에 실패하였다면, 상기 수신기는 719단계에서 상기 실패 카운터 값(fail_count)을 1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는 721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누적 프레임의 수 S와 상기 실패 카운터 값(fail_count)을 비교한다. 상기 수신기는 상기 실패 카운터 값(fail_count)이 상기 미리 설정된 누적 프레임의 수 S 보다 작거나 같으면, 727단계에서 상기 L1_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실패 처리한다.
이 경우 L1_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했지만,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위해 상기 메모리(729)에 저장된 소프트 비트 값들을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즉 현재 수신한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디코딩에는 실패하였지만 향후 이루어질 다음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반면 상기 DVB-T2 시스템에 의해 미리 설정된 누적 프레임의 수 S보다 상기 실패 카운터 값(fail_count)이 크면, 상기 수신기는 채널 환경이 매우 열악하다고 판단한다.
그 이유는 여러 번의 누적이 이루어진 소프트 비트 값에 의해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디코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L1_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에 실패하였기 때문이다.
이 경우 상기 수신기는 723단계에서 상기 메모리(729)을 리셋함으로써, 새롭게 누적되는 소프트 비트 값에 의해 L1_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실패 카운터 값(fail_count)을 0으로 리셋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메모리(729)를 리셋한 후 상기 72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L1_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실패 처리한다.
도 7에 의해 L1_pre 시그널링 정보를 디코딩하는 방법은 누적하는 프레임의 비율에 따라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만약 매우 짧은 슈퍼 프레임, 즉 슈퍼 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개수가 작을 때, 소프트 비트 값들이 잘 수렴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만족할 만한 디코딩 성능을 얻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채널 환경에 상응하는 최적의 프레임의 수를 구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다.
도 8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 생성부(810)는 지상파 방송과 모바일 방송을 함께 지원하기 위한 프레임을 생성한다. 상기 프레임 생성부(810)에 의해 생성되는 프레임의 구조는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다.
상기 프레임 생성부(810)에 의해 생성되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 필드는 지상파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데이터 (T2_PLP)와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데이터 (NGH_PLP)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생성부(810)에 의해 생성되는 프레임의 프리앰블 필드는 P1 심볼 영역과 P2 심볼 영역 및 NGH 시그널링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P2 심볼 영역을 구성하는 L1-pre 시그널링 필드에는 상기 방송 데이터 (T2_PLP, NGH_PLP)를 복호하기 위해 요구되는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현재 프레임 또는 다음 프레임에서 전송될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인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인지 정보는 변경 플래그 또는 시퀀스가 될 수 있다. 상기 변경 플래그는 다음 프레임에 의해 전송될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 또는 현재 프레임에 의해 전송된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을 식별하기 위한 1비트의 정보이다. 그리고 상기 시퀀스는 프레임에 의해 전송될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에 따라 변경되는 5비트의 정보이다.
상기 프레임 생성부(810)는 데이터 필드를 통해 전송되는 NGH_PLP의 디코딩을 위한 NGH 시그널링 정보가 NGH 시그널링 필드에 포함될 수 있도록 프레임을 생성한다.
상기 프레임 생성부(810)에 의해 생성된 프레임은 전송부(820)으로 제공된다. 상기 전송부(820)는 상기 프레임 생성부(810)에 의해 생성된 프레임을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도 9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에서 프레임 생성부의 상세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방송 데이터 생성부(90)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 필드를 통해 전송될 방송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방송 데이터는 지상파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데이터 (T2_PLP)와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데이터 (NGH_PLP)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 데이터 생성부(90)는 스트림 생성부(Stream Generator)(910), BCH 엔코더(BCH Encoder)(912), LDPC 엔코더(LDPC Encoder)(914), QAM 맵퍼(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Mapper)(916), 인터리버(Interleaver)(918)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스트림 생성부 (910)는 방송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스트림 생성부(910)에 의해 생성된 방송 데이터는 BCH 엔코더 (912)와 LDPC 엔코더(LDPC Encoder)(914)를 통해서 채널 코딩된다. 상기 채널 코딩된 데이터는 QAM 맵퍼 (916)에 의해 변조된다. 상기 QAM 맵퍼(916)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인터리버 (918)를 통해 셀(Cell) 및 시간(Time)에 의한 인터리빙이 이루어진다. 상기 인터리빙된 데이터는 프레임 구성부(Frame Builder)(920)로 전달된다.
L1-pre 시그널링 정보 생성부(92)는 방송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해 요구되는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인밴드 전송에 따른 방송 데이터 NGH_PLP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IS_flag와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인지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인지 정보는 변경 플래그 또는 시퀀스가 될 수 있다. 즉 L1-pre 시그널링의 성능 향상을 위한 추가 비트는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삽입된다.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 생성부(92)는 BCH 엔코더(932), LDPC 엔코더(934),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맵퍼(936)으로 구성된다.
L1-pre 데이터(930)는 BCH 엔코더(932)와 LDPC 엔코더(934)를 통해 채널 코딩된다. 상기 채널 코딩된 신호는 BPSK 맵퍼(936)에서 BPSK 방식에 의해 변조된다. 상기 BPSK 변조된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프레임 맵퍼(820)로 전달된다.
L1-post 시그널링 정보 생성부(94)는 방송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해 요구되는 L1-post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L1-post 시그널링 정보 생성부(94)는 BCH 엔코더(940)와 LDPC 엔코더(942), QAM 맵퍼(944)로 구성된다.
L1-post 데이터(938)는 상기 L1-pre 데이터(830)와 동일하게 BCH 엔코더(940)와 LDPC 엔코더(942)를 통해 채널 코딩된다. 상기 채널 코딩된 신호는 QAM 맵퍼(944)를 통해 QAM 신호로 변조된다. 상기 QAM 변조된 L1-post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프레임 구성부 (920)으로 전달된다.
상기 송신 신호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L1-pre 시그널링 정보와 L1-post 시그널링 정보는 각각 다른 채널 코딩 방법으로 인코딩된다.
상술한 바에 의해 상기 방송 데이터 생성부(90)에 의해 생성된 T2_PLP, NGH_PLP와,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 생성부(92)에 의해 생성된 L1-pre 시그널링 정보 및 상기 L1-post 시그널링 정보 생성부(94)에 의해 생성된 L1-post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프레임 구성부(920)에 의해 다중화된다.
상기 다중화에 의해 프레임으로 구성된 신호는 주파수 인터리버(Frequency Interleaver)(922)를 통해 주파수 영역으로 인터리빙된다. 상기 주파수 영역으로 인터리빙된 신호는 IFFT(Inverse FFT(Fast Fourier Transform)(924)에 의해 시간 영역의 신호로 생성된다. 상기 시간 영역의 신호는 GI 삽입부(926)로 전달되어 보호 구간(Guard Interval)이 삽입됨으로써, 최종 송신 신호로 생성된다. 상기 송신 신호에 대해서는 전단에 DVB-T2 프레임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P1 심볼이 P1 삽입부(928)에 의해 삽입된다.
상술한 바에 의해 구성된 DVB-T2의 프레임 (P1 심볼, L1 시그널링 정보, T2_PLP, NGH 시그널링 정보, NGH_PLP로 구성된 송신 신호)은 채널을 거쳐 수신기에 전송된다. 한편 도 9에서는 NGH 시그널링 정보를 프레임에 추가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상기 NGH 시그널링 정보를 프레임을 구성하는 데이터 필드의 첫 번째 PLP에 추가할 경우에는 상기 스트림 생성부(910)에 의해 NGH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림이 생성될 것이다.
그렇지 않고 NGH 시그널링 정보가 프레임의 프리앰블 필드에 추가될 때에는 상기 NGH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코딩 및 변조를 위한 구성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신부(1010)는 방송 서비스를 위해 송신기에 의해 전송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상기 수신부(1010)는 수신한 프레임을 프레임 해석부(1020)로 전달한다.
상기 프레임 해석부(1020)는 상기 수신부(1010)를 통해 수신한 프레임으로부터 서비스를 원하는 지상파 방송 데이터 또는 모바일 방송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지상파 방송 데이터 또는 모바일 방송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프레임 해석부(1020)는 원하는 방송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수신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L1 시그널링 정보를 디코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 해석부(1020)는 상기 L1 시그널링 정보를 구성하는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정확하게 디코딩하기 위해 도 5 또는 도 7에서 제안된 제어 흐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프레임 해석부(1020)는 복수의 프레임들을 통해 수신되는 동일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누적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누적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디코딩한다. 상기 프레임 해석부(1020)는 동일한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누적을 위해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인지 정보를 이용한다. 상기 프레임 해석부(1020)는 상기 인지 정보에 의해 수신한 또는 수신할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해석부(1020)는 모바일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 (NGH_PLP)를 위한 NGH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 프레임로부터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획득한 NGH 시그널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원하는 모바일 방송 서비스에 대응한 NGH PLP를 출력한다.
도 11은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를 구성하는 프레임 해석부의 상세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P1 검출부(1110)는 수신 신호로부터 P1 심볼을 검출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한다. 상기 동기화된 신호는 GI 제거부(1112)로 전달되어 보호 구간이 제거(GI Removal)되며, 상기 보호 구간이 제거된 신호는 FFT(1114)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신호는 주파수 디인터리버(Frequency De-Interleaver)(1116)에 의해 디인터리빙된다. 상기 디인터리빙된 신호는 프레임 분석부(Frame Analyzer)(1118)에서 L1-pre 시그널링 정보와 L1-post 시그널링 정보 및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로 분리된다. 상기 프레임이 NGH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때, 상기 프레임 분석부(1118)에 의해 수신한 프레임으로부터 NGH 시그널링 정보가 추가로 분리된다.
상기 프레임 분석부(1118)에 의해 검출된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L1-pre 시그널링 정보 해석부(20)에 의해 해석되어 L1-pre 데이터로 출력된다. 이를 위해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 해석부(20)는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정확하게 디코딩하기 위해 도 5 또는 도 7에서 제안된 제어 ㅎ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 해석부(20)는 복수의 프레임들을 통해 수신되는 동일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누적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누적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 수신한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 해석부(20)는 동일한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누적을 위해 L1-pre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인지 정보를 이용한다.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 해석부(20)는 상기 인지 정보에 의해 수신한 또는 수신할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L1-pre 시그널링 정보 해석부(20)는 BPSK 디맵퍼(BPSK Demapper)(1130), LDPC 디코더(LDPC Decoder)(1132) 및 BCH 디코더(BCH Decoder)(1134)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 분석부(1118)에 의해 검출된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BPSK 디맵퍼 (1130)와 LDPC 디코더 (1132) 및 BCH 디코더 (1134)에 의해 디코딩이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 분석부(1118)에 의해 검출된 L1-post 시그널링 정보는 L1-post 시그널링 정보 해석부(30)에 의해 해석되어 L1-post 데이터로 출력된다. 상기 L1-post 시그널링 정보 해석부(30)는 QAM 디맵퍼(QAM Demapper)(1138), LDPC 디코더(LDPC Decoder)(1140) 및 BCH 디코더(BCH Decoder)(1142)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 분석부(1118)에 의해 검출된 L1-post 데이터는 QAM 디맵퍼 (1138)와 LDPC 디코더 (1140) 및 BCH 디코더 (1142)에 의해 디코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신기는 L1-pre 데이터(1136) 및 L1-post 데이터(1144)를 이용하여 T2_PLP, NGH 시그널링 정보 및 NGH_PLP의 위치정보를 계산한다.
방송 데이터 해석부(10)는 상기의 신호들 중에서 수신기에 할당된 신호의 위치에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신호 해석부(10)는 디-인터리버(1120), QAM 디맵퍼(QAM Demapper)(1122), LDPC 디코더(LDPC Decoder)(1124), BCH 디코더(BCH Decoder)(1126)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수신신호는 디-인터리버(1120)에 의해 시간, 셀 디인터리빙이 이루어진다. 상기 디인터리빙된 데이터는 QAM 디맵퍼 (1122)에서 복조(Demodulation)된 후 LDPC 디코더 (1124)와 BCH 디코더 (1126)를 통해 채널 디코딩된다. 상기 디코딩된 신호는 스트림 수신기(1128)에서 방송신호로 복원된다.
한편 앞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으나 도 9와 도 11을 통해 살펴본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의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을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도 12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L1-Pre 시그널링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프레임 분석부에 의해 수신된 L1-Pre 시그널링 정보(1210)를 입력으로 하는 판별기(1212)는 상기 수신된 L1-Pre 정보(1210)에 의해 다음 프레임에서 전송될 L1-pre 시그널링 정보 또는 현재 수신한 프레임에서 전송된 L1-pre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L1-pre 정보의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앞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판별기(1212)는 메모리(1224)에 저장된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리셋(Reset) 여부도 판별한다.
한편 상기 수신된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상기 메모리(1224)로 전달되어 이전 L1-pre 시그널링 정보와 함께 누적하여 저장된다.
상기 판별기(1212)를 통해 수신된 L1-Pre 시그널링 정보(1210)는 컴바이너(1214)로 제공된다. 상기 컴바이너(1214)는 상기 판별기(1212)로부터 제공되는 L1-pre 시그널링 정보와 상기 메모리(1224)에 저장되어 있던 이전 프레임의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컴바이닝한다. 상기 컴바이닝된 L1-pre 시그널링 정보는 L1-Pre 디코더(L1-Pre Decoder)(1216)로 전달된다. 상기 L1-Pre 디코더(1216)는 상기 컴바이닝된 신호에 대한 LDPC 디코딩을 수행한다. 상기 디코딩된 신호는 CRC 검사부(1218)로 제공되어 CRC 검사를 통해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CRC 검사부(1218)는 상기 CRC 검사의 성공 여부에 따라, L1-pre 시그널링 정보의 수신 여부 및 상기 메모리(1224)의 리셋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CRC 검사부(1218)는 CRC 검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한다(참조번호 1220). 하지만 상기 CRC 검사에 의해 오류가 검출되면, 상기 디코딩된 L1-pre 시그널링 정보를 비교기(1222)로 전달하여 상기 메모리(1224)에 대한 리셋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4)

  1. 디지털 비디오 방송 송신장치에서 인밴드 전송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상파 방송 데이터와 모바일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생성된 프레임의 시그널링 정보 필드는 상기 생성된 프레임 또는 다음에 전송할 프레임에서 전송될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인지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정보는 상기 시그널링 정보 필드를 구성하는 L1-pre 시그널링 필드 내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L1-pre 시그널링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정보는 1비트의 변경 플래그 또는 5비트 시퀀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 필드는 모바일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필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6.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장치에서 인밴드 전송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따른 프레임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프레임의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지 정보가 시그널링 정보 필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수신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지 정보는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될 프레임 바로 이전에 수신된 프레임의 L1-pre 시그널링 필드 내에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수신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정보에 의해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는 L1-pre 시그널링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수신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정보는 1비트의 변경 플래그 또는 5비트 시퀀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수신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정보가 5비트 시퀀스인 경우, 상기 수신한 프레임에 포함된 시퀀스와 이전 프레임에서 수신한 시퀀스 간의 상관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수신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 필드는 모바일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필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수신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프레임의 시그널링 정보를 메모리에 누적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송 서비스 수신방법.
  13. 인밴드 전송을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송신장치에 있어서,
    지상파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와 모바일 방송 서비스에 따른 방송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부와,
    상기 생성된 프레임을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프레임의 시그널링 정보 필드에 상기 생성된 프레임 또는 다음에 전송할 프레임에서 전송될 시그널링 정보의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인지 정보를 기록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송신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인지 정보를 L1-pre 시그널링 필드 내에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송신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정보에 의해 변경 여부를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는 L1-pre 시그널링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송신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정보는 1비트의 변경 플래그 또는 5비트 시퀀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송신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 필드는 모바일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필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송신장치.
  18. 인밴드 전송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에 따른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한 프레임의 시그널링 정보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프레임 해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해석부는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지 정보가 상기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되었는지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인지 정보는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될 프레임 바로 이전에 수신된 프레임의 시그널링 정보 필드를 구성하는 L1-pre 시그널링 필드 내에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정보에 의해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정보는 L1-pre 시그널링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정보는 1비트의 변경 플래그 또는 5비트 시퀀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해석부는,
    상기 인지 정보가 5비트 시퀀스인 경우, 상기 수신한 프레임에 포함된 시퀀스와 이전 프레임에서 수신한 시퀀스 간의 상관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시그널링 정보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정보 필드는 모바일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필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해석부는,
    상기 수신한 프레임의 시그널링 정보를 메모리에 누적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장치.
KR1020110001999A 2010-01-07 2011-01-07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의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875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478 2010-01-07
KR20100001478 2010-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114A true KR20110081114A (ko) 2011-07-13
KR101875219B1 KR101875219B1 (ko) 2018-07-05

Family

ID=4387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999A KR101875219B1 (ko) 2010-01-07 2011-01-07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의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61394B2 (ko)
EP (1) EP2357745B1 (ko)
KR (1) KR101875219B1 (ko)
WO (1) WO201108401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24464C (en) 2010-09-14 2016-07-1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through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US9348691B2 (en) 2010-09-14 2016-05-2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 signal through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GB2488163A (en) * 2011-02-18 2012-08-22 Sony Corp Using Signal Parameter Estimation of a first signal type ( DVB-T2) to predict corresponding parameter values for a second signal type ( DVB-NGH)
GB2488161A (en) * 2011-02-18 2012-08-22 Sony Corp DVB Signal Acquisition using Signal Parameter Estimation of a particular frequency for estimating parameters of a subsequent signal on the revisited frequency
WO2013039323A2 (en) 2011-09-13 2013-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stream in wireless system
GB2494650B (en) * 2011-09-13 2014-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ditional data streams for multi-transmitter wireless systems
KR102000533B1 (ko) 2013-06-25 2019-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08983A1 (en) * 2013-07-14 2015-01-2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KR20150012816A (ko) * 2013-07-26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37873A1 (en) * 2013-09-13 2015-03-19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6204607B2 (ja) 2013-11-25 2017-09-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放送信号送信装置、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送信方法及び放送信号受信方法
WO2015076514A1 (en) * 2013-11-25 2015-05-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EP3075162A4 (en) 2013-11-29 2017-07-2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WO2016006472A1 (ja) * 2014-07-08 2016-01-14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IT201800000832A1 (it) * 2018-01-12 2019-07-12 Inst Rundfunktechnik Gmbh Sender und/oder empfänger zum senden bzw. empfangen von rundfunkinformationssignal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4735B2 (en) 2004-02-10 2012-03-27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signaling information for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US20060221885A1 (en) * 2005-03-30 2006-10-05 Shirish Nagaraj Power de-boosting on the control channel
US7974254B2 (en) * 2007-10-22 2011-07-05 Nokia Corporation Digital broadcast signaling metadata
US8248910B2 (en) * 2008-01-29 2012-08-21 Nokia Corporation Physical layer and data link layer signalling in digital video broadcast preamble symbols
KR100937429B1 (ko) 2008-02-04 2010-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신호 송수신 장치
EP2093912B1 (en) * 2008-02-21 2018-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frame including control information in a broadcasting system
US8401038B2 (en) * 2008-12-17 2013-03-19 Viasat, Inc. False lock detection for physical layer frame synchronization
WO2010143861A2 (en) * 2009-06-09 2010-12-16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7745B1 (en) 2015-06-03
WO2011084015A2 (en) 2011-07-14
WO2011084015A3 (en) 2011-11-24
US20110167464A1 (en) 2011-07-07
KR101875219B1 (ko) 2018-07-05
US9661394B2 (en) 2017-05-23
EP2357745A1 (en)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219B1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의 방송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10750232B2 (en)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ing signal receptio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using same
US10104404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through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RU2483448C2 (ru) Сигнализация физического и канального уровней в символах преамбулы цифрового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вещания
US8498312B2 (en) Transmission of physical layer signaling in a broadcast system
US9887850B2 (en)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er/receiver and broadcasting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US9106493B2 (en) Broadcast signal transmitter, broadcast signal receiver, and method for transceiving broadcast signals in broadcast signal transceivers
US20150071153A1 (en)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broadcast signal transceiving method in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es
EP2237467A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EP3010160A1 (en) Compressed ip-plp stream with ofdm
US20100086087A1 (en) Transmission Enhancements for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N1933453A (zh) 多重循环冗余校验的装置与方法
TW201141198A (en) Frame mapping apparatus and method
CA2746735A1 (en)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the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EP248790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broadcast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