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907B1 -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907B1
KR100839907B1 KR1020070038910A KR20070038910A KR100839907B1 KR 100839907 B1 KR100839907 B1 KR 100839907B1 KR 1020070038910 A KR1020070038910 A KR 1020070038910A KR 20070038910 A KR20070038910 A KR 20070038910A KR 100839907 B1 KR100839907 B1 KR 100839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machine room
defrost water
evaporation name
evap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70038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3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eans to fix, clamp, or connect water pipes or evaporation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 F25D2321/1442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outside a refrig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1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using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8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 하부 일측에 마련되며 그 내측에 압축기와 응축기가 설치된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외측에 설치되며 증발기에서 발생된 제상수가 수집되는 증발명과,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기계실 내의 공기를 증발명 쪽으로 이동시키는 팬과, 상기 기계실을 증발명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은 기계실 내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기계실에서 발생한 고온의 공기를 강제 대류시킴으로써 제상수를 증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냉장고, 제상수, 증발명, 연통부, 강제 대류

Description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Apparatus for Evaporating defrosted water in refrigerator}
도 1은 종래의 제상수 증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증발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 절취선에 따른 평면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 절취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냉장고 12 : 바닥프레임
13 : 보호판 14 : 제상수덕트
20 : 기계실 21 : 압축기
22 : 응축기 23 : 팬
24 : 연통부 40 : 증발명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실 내의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키면서 증발명에 수집된 제상수를 효과적으로 증발시 킬 수 있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증발기는 저온 상태이기 때문에 주변의 온도와 습도 조건에 따라 증발기 파이프 표면에 성에가 응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성에는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성에의 정도에 따라 히터 등에 의해서 성에를 녹여야 하며, 이때 성에가 녹아 생성되는 제상수는 냉장고 기계실에 설치된 증발명에 수집되어 증발된다.
도 1은 종래의 제상수 증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상수 증발장치는 증발명(30)이 냉장고(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획된 공간인 기계실(20) 내에 설치된다. 상기 기계실(20)은 압축기(21)와 응축기(미도시) 등이 설치되는 공간이다. 종래의 증발명(30)은 압축기(21)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기계실(30)을 구획하는 프레임(11)에 형성된 제상수 수집홀(31)을 통해서 흘러들어오는 제상수를 저장한다. 상기 증발명(30)에 저장된 제상수는 증발명(30)의 하부에 위치하는 고온의 압축기(21)로부터 열을 받아 증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증발명(30)은 기계실(20)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기계실(20) 내의 공간 활용도를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증발명(30)은 압축기(21)로부터 열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가능한 압축기(21)와 밀착되어야 함과 동시에, 아울러 압축기(21)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증발명(30)의 하부 형상은 가능한 압축기(21)의 상부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형상 이 복잡하며, 또한 압축기(21)로부터의 이격 거리에 대한 세밀한 고려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계실의 외측에 위치하면서도 기계실의 고온의 공기에 의해서 제상수를 증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계실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실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공기를 강제로 제상수의 상부로 유입시킴으로써 강제 대류에 의해서 제상수를 증발시키기 때문에 증발명의 형상이 압축기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증발명의 형상에 관한 설계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 하부 일측에 마련되며 그 내측에 압축기와 응축기가 설치된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외측에 설치되며 증발기에서 발생된 제상수가 수집되는 증발명과,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기계실 내의 공기를 증발명 쪽으로 이동시키는 팬과, 상기 기계실을 증발명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에서 상기 팬에 의해서 기계실 내를 순환하는 공기는 상기 응축기를 거친 후 상기 연통부를 통과하여 증발명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에서 상기 팬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에서 상기 증발명은 냉장고의 바닥프레임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에서 상기 증발명은 양측에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고리는 냉장고 바닥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후크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에서 상기 바닥프레임에는 제상수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에서 상기 증발명의 전방으로는 보호판이 냉장고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증발장치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증발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절취선에 따른 평면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B-B 절취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앞서 설명한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증발장치는 냉장고 하부에 위치하는 기계실(20)과, 상기 기계실(20)의 외측에 설치되는 증발명(40)과, 상기 기계실(20) 내의 공기를 증발명(40)으로 유도하는 팬(23)과, 상기 기계실(20)과 증발명(40)을 연통시키는 연통부(24)를 포함한다.
상기 기계실(20)은 종래와 동일하게 냉장고(10)의 하부에 위치하며 프레임(11)에 의해서 냉동실(또는 냉장실)과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1)은 냉장고(10)의 후방(도 2 및 도 3의 우측) 일부분을 냉동실(또는 냉장실)과 구획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1)으로 인해서 형성된 공간이 기계실(20)이 된다. 상기 기계실(20)은 프레임(11)과는 별도의 기계실프레임(25)에 의해서 둘러싸여지게 된다.
상기 기계실(20) 내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1)와, 상기 압축기(21)로부터 나오는 고온 고압의 냉매의 온도를 낮추어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22)와 압축기(21) 사이에는 팬(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팬(23)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기계실(20) 내로 유입하여 후술하는 증발명(40)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팬(23)은 기계실(20) 내에 설치된 응축기(22)와 압축기(21)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응축기(22) 및 압축기(21)를 냉각시키는 종래의 팬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추가적인 비용의 발생을 방지한다. 한편 응축기(22)와 인접하는 기계실프레임(25)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서, 상기 팬(23)의 회전에 의해서 유입된 외부공기는 응축기(22)에서 응축기(22)와의 열교환을 통해서 그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또한 압축기(21)를 통과하면서 압축기(21)와의 열교환을 통해서 압축기(21)를 냉각시키면서 그 온도가 더욱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응축기(22) 및 압축기(21)를 거치면서 온도가 상승된 공기는 후술하는 연통부(24)를 통해서 증발명(40)으로 유 입되어 증발명(40)에 저장된 제상수를 증발시키게 된다.
상기 기계실(20) 내에서 만들어진 고온의 공기를 증발명(40)으로 유입시키는 연통부(24)는 기계실(20)의 전방측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기계실(20)은 상기 연통부(24)를 통해서 냉장고(10)의 저면과 연통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서 기계실(20) 내의 고온의 공기가 냉장고(10)의 저면 전방으로 방출된다.
도 3에 도시한 연통부(24)는 응축기(22)와 압축기(21) 사이의 공간 및 압축기(21)의 일부를 포함하는 폭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기계실(20)에서 응축기(21)를 통과한 공기와, 압축기(21)를 통과한 공기가 함께 연통부(24)를 통해서 유출될 수 있다. 하지만 설계에 따라서는 연통부(24)의 폭을 조절하거나, 반대로 연통부(24)의 폭을 그대로 두고 응축기(22) 및 압축기(21)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응축기(22)를 통과한 공기가 연통부(24)를 통해서 유출될 수 있도록 하거나 압축기(21)까지 통과한 공기가 연통부(24)를 통해서 유출될 수 있도록 설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증발명(40)은 연통부(24) 전방의 상기 바닥프레임(12)의 하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증발명(40)의 후방은 연통부(24)를 통해서 기계실(20)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증발명(40)의 후방측 일부가 연통부(24)를 통해서 기계실(2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서 상기 연통부(24)를 통해서 유출되는 고온의 공기가 증발명(40) 내로 유입되어 제상수와 접하게 되며, 그 결과 상기 증발명(40)에 수집된 제상수가 증발하게 된다.
상기 증발명(40)은 바닥프레임(12)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 기 바닥프레임(12)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크(1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명(40)의 양측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서 상기 후크(120)에 걸려지는 걸림고리(4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명(40)은 걸림고리(41)에 의해 후크(120)에 걸려 지지되며, 아울러 후크(120)를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바닥프레임(12)의 상부에 위치하는 냉장고(10) 내측 공간에는 증발기(미도시)에서 발생된 제상수를 수집하여 증발명(40)으로 흘려보내기 위한 제상수덕트(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상수덕트(14)는 증발명(40)이 위치하는 상기 바닥프레임(12) 중 하부에 형성된 제상수배수홀(121)에 접속된다. 상기 제상수배수홀(121)은 바닥프레임(12)을 관통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증발명(40)으로 제상수를 내려 보내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명(40)이 장착되는 냉장고(10)의 하부 전방면에는 보호판(13)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증발명(4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냉장고의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증발명(40)을 통과한 고온의 공기가 냉장고 전방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13)은 탈착가능하기 때문에, 제상수의 양이 증가하여 증발명(40)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는 보호판(13)을 떼어 내고 증발명(40)을 인출하여 제상수를 직접 배수할 수 있으며, 아울러 증발명(40)을 세척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는 냉장고의 증발장치는, 기계실(20) 내에 설치된 팬(23)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응축기(22) 및 압축기(21)에 의해서 상승시키고, 이를 연통부(24)를 통해서 기계실(20) 외측에 위치하는 증발명(30)으로 유입시킨다. 상기 증발명(40)으로 유입된 고온의 공기는 제상수덕트(14) 및 제상수배수홀(121)을 통해서 증발명(40)에 수집된 제상수를 증발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상기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증발명을 냉장고의 기계실 내에 설치하지 않고 기계실 외측 측면에 설치한 후 기계실과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기계실 내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기계실에서 발생한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제상수를 증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실 내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강제 대류에 의해서 증발시키기 때문에 증발명의 형상에 제한이 없으며 그 결과 증발명의 형상에 대한 설계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발명을 전방에서 탈착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며, 또한 제상수가 충분히 증발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직접 제상수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냉장고 하부 일측에 마련되며 그 내측에 압축기와 응축기가 설치된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의 외측에 설치되며 증발기에서 발생된 제상수가 수집되는 증발명과,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기계실 내의 공기를 증발명 쪽으로 이동시키는 팬과,
    상기 기계실을 증발명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에 의해서 기계실 내를 순환하는 공기는 상기 응축기를 거친 후 상기 연통부를 통과하여 증발명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응축기를 냉각시키는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명은 냉장고의 바닥프레임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명은 양측에 걸림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고리는 냉장고 바닥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후크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에는 제상수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명의 전방으로는 보호판이 냉장고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KR1020070038910A 2007-04-20 2007-04-20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KR100839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910A KR100839907B1 (ko) 2007-04-20 2007-04-20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8910A KR100839907B1 (ko) 2007-04-20 2007-04-20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907B1 true KR100839907B1 (ko) 2008-06-19

Family

ID=3977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8910A KR100839907B1 (ko) 2007-04-20 2007-04-20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9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098A (ko) * 1997-05-27 1998-12-05 배순훈 냉장고
JPH116680A (ja) 1997-06-16 1999-01-12 Toshiba Corp 冷蔵庫
KR19990018510U (ko) * 1997-11-11 1999-06-05 윤종용 냉장고용 증발접시덮개의 고정장치
KR20030078474A (ko) * 2002-03-29 200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20040015666A (ko) * 2002-08-13 200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5098A (ko) * 1997-05-27 1998-12-05 배순훈 냉장고
JPH116680A (ja) 1997-06-16 1999-01-12 Toshiba Corp 冷蔵庫
KR19990018510U (ko) * 1997-11-11 1999-06-05 윤종용 냉장고용 증발접시덮개의 고정장치
KR20030078474A (ko) * 2002-03-29 200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20040015666A (ko) * 2002-08-13 200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5228A (ko) 냉장고의 제상 장치
JP6501149B2 (ja) 冷凍装置
KR100958538B1 (ko) 제상 폐열을 이용한 집수조 히팅장치
KR100839907B1 (ko) 냉장고의 제상수 증발장치
JP2014048031A (ja) 冷蔵庫
JP3691308B2 (ja) 冷蔵庫
JP6689376B2 (ja) 冷却ユニット
JP2014048029A (ja) 冷蔵庫
KR100901033B1 (ko) 그릴팬 어셈블리
KR101689611B1 (ko) 냉장고
JPH1073366A (ja) 冷却貯蔵庫
WO2015062661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defrost water collection receptacle
ITMI20072106A1 (it) Impianto frigorifero
JP3992431B2 (ja) 冷蔵庫
KR102589389B1 (ko) 증발기의 제상시 발생하는 수증기의 포집 장치
CN219531347U (zh) 一种快速蒸发化霜水的冷柜
JP2000346532A (ja) 冷却装置
KR101611274B1 (ko) 냉장고
KR100499027B1 (ko) 냉장고
KR100558818B1 (ko) 냉장고의 제상 잔빙 제거용 면상히터
JP5905803B2 (ja) 冷蔵庫
JP2014052094A (ja) 冷蔵庫
JP2006336956A (ja) 冷却庫
KR20110005993U (ko) 직냉식 와인 냉장고
JP2000180027A (ja) 除霜水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