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572B1 -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 Google Patents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572B1
KR100837572B1 KR1020070035812A KR20070035812A KR100837572B1 KR 100837572 B1 KR100837572 B1 KR 100837572B1 KR 1020070035812 A KR1020070035812 A KR 1020070035812A KR 20070035812 A KR20070035812 A KR 20070035812A KR 100837572 B1 KR100837572 B1 KR 100837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e
clutch
magnet housing
wheel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식
김용기
Original Assignee
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070035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60K17/348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 B60K17/35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having differential means for driving one set of wheels, e.g. the front, at one speed and the other set, e.g. the rear, at a different speed including arrangements for suppressing or influencing the power transfer, e.g. viscous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16D25/062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 F16D25/063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 F16D25/0635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16D25/0638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with more than two discs, e.g. multiple lamell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팩트한 구성으로 차체 하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 단가를 낮추면서도 작동응답성 및 작동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active torque coupling for a four wheel driv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 도면,
도 3은 테이퍼콘의 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4는 마그넷하우징의 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이륜구동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6은 사륜구동상태가 구현되는 것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입력축 3; 출력축
5; 클러치드럼 7; 다판클러치
9; 압력판 11; 볼램프구조
13; 캠링 15; 테이퍼콘
17; 마그넷하우징 19; 전자석
21; 콘플레이트 23; 경사면
25; 볼 27; 구형홈
29; 클러치디스크 31; 클러치플레이트
33; 오일홈 35; 도그
37; 스프링지지스냅링 39; 스프링
41; 운동제한스냅링 43; 스프링안착홈
45; 스러스트베어링 47; 장공
49; 레이디얼베어링 53; 링기어
55; 디퍼렌셜
57; 액슬하우징 59; 케이스연장부
61; 커버
본 발명은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 구조와 작동성능을 개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토크 커플링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토크를 분배하여 원활하고 안정된 사륜구동상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주행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 액티브 토크 커플링은 리어액슬하우징에 결합되어 프로펠러샤프트를 통해 전달받은 회전력을 조절하여 후륜의 디퍼렌셜로 전달하도록 되어 있으며, 차량의 각종 주행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는 전자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액티브 토크 커플링은 대체로 상기 전자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마그네틱클러치, 프로펠러샤프트와 디퍼렌셜 사이에서 전달되는 토크를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다판클러치 및 상기 마그네틱클러치의 작동력을 상기 다판클러치로 전달하는 기구 등을 구비한 구조로서,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차체 하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제조 단가를 낮추면서도 작동응답성 및 작동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컴팩트한 구성으로 차체 하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 단가를 낮추면서도 작동응답성 및 작동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은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일단에 동심축을 이루면서 삽입되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에 회전구속 상태로 연결된 클러치드럼과;
상기 클러치드럼과 상기 입력축 사이에 설치된 다판클러치와;
상기 입력축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다판클러치에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압력판과;
상기 입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압력판을 상기 다판클러치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력판과의 사이에 볼램프 구조로 연결되며, 외주면이 상기 다판클러치를 향해 외경이 확대되도록 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캠링과;
상기 캠링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경사면을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클러치드럼에 스플라인 결합된 테이퍼콘과;
상기 테이퍼콘이 상기 클러치드럼에 대하여 직선슬라이딩 할 수 있는 한계를 정하고, 상기 테이퍼콘을 상기 다판클러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콘운동제한수단과;
상기 캠링과 회전구속상태로 연결되는 마그넷하우징과;
상기 다판클러치를 향한 방향이 상기 마그넷하우징에 의해 감싸여지고, 제어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 전자석과;
상기 테이퍼콘과 상기 마그넷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전자석의 자기력을 받아 상기 마그넷하우징과 마찰접촉상태가 전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콘을 상기 다판클러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테이퍼콘과 볼램프구조로 연결된 콘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1)과; 상기 입력축(1)의 일단에 동심축을 이루면서 삽입되는 출력축(3)과; 상기 출력축(3)에 회전구속 상태로 연결된 클러치드럼(5)과; 상기 클러치드럼(5)과 상기 입력축(1) 사이에 설치된 다판클러치(7)와; 상기 입력축(1)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다판클러치(7)에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압력판(9)과; 상기 입력축(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압력판(9)을 상기 다판클러치(7)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력판(9)과의 사이에 볼램프구조(11)로 연결되며, 외주면이 상기 다판클러치(7)를 향해 외경이 확대되도록 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캠링(13)과; 상기 캠링(13)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경사면을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클러치드럼(5)에 스플라인 결합된 테이퍼콘(15)과; 상기 테이퍼콘(15)이 상기 클러치드럼(5)에 대하여 직선슬라이딩 할 수 있는 한계를 정하고, 상기 테이퍼콘(15)을 상기 다판클러치(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콘운동제한수단과; 상기 캠링(13)과 회전구속상태로 연결되는 마그넷하우징(17)과; 상기 다판클러치(7)를 향한 방향이 상기 마그넷하우징(17)에 의해 감싸여지고, 제어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 전자석(19)과; 상기 테이퍼콘(15)과 상기 마그넷하우징(17) 사이에서 상기 전자석(19)의 자기력을 받아 상기 마그넷하우징(17)과 마찰접촉상태가 전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콘(15)을 상기 다판클러치(7)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테이퍼콘(15)과 볼램프구조(11)로 연결된 콘플레이트(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드럼(5)이 상기 출력축(3)에 회전구속 상태로 연결된다는 의미는 클러치드럼(5)이 상기 출력축(3)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스플라인 등으로 연결되어, 적어도 회전력에 있어서는 서로 자유롭지 못하게 구속되어, 출력축(3)과 클러치드럼(5)은 함께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볼램프(ball ramp)구조는 볼램프구조를 이루는 경사면(23)의 가장 깊은 위치에 볼(25)이 삽입되도록 구형홈(27)이 더 형성된 구조이다.
즉, 통상의 볼램프구조(11)는 볼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경사진 경사면만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23) 내에 구형홈(27)을 더 구비함으로써, 볼램프구조(11)를 이루는 두 상대물체의 틈이 가장 좁은 상태에서, 상기 구형홈(27)에 볼(25)이 안착되어 두 상대물체의 일시적인 구속상태가 안정적으로 확보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구형홈(27)의 깊이는 구의 반경을 넘지 않는 적정한 수준으로 형성하여, 두 상대물체 사이의 회전속도에 차이가 생기면 볼(25)이 상기 구형홈(27)에서 빠져나오면서 경사면을 타고 움직임에 따라 볼램프구조가 가지는 본연의 작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다판클러치(7)는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마찬가지로 교번하여 배치된 클러치디스크들과 클러치플레이트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클러치디스크(29)들은 상기 입력축(1)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플레이트(31)들은 상기 클러치드럼(5)에 스플라인 결합된 구조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플레이트(21)의 상기 마그넷하우징(17)을 향한 면에는 다수의 오일홈(33)이 형성된 구조를 취하였다. 따라서, 상기 콘플레이트(21)와 마그넷하우징(17)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 해 콘플레이트(21)와 마그넷하우징(17)의 소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하우징(17)과, 상기 캠링(13) 사이에는 다수의 도그(35)로 서로 연결된 구조를 취하여 상호간의 회전이 구속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콘운동제한수단은 상기 클러치드럼(5)의 내주면에 삽입된 스프링지지스냅링(37)과; 상기 스프링지지스냅링(37)과 테이퍼콘(15)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스프링(39)과; 상기 클러치드럼(5)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테이퍼콘(15)이 상기 전자석(19)쪽으로 이동하는 한계를 설정하는 운동제한스냅링(41)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운동제한스냅링(41)의 설치위치는 상기 테이퍼콘(15)이 상기 스프링(39)에 의해 밀려서 최대로 이동된 상태에서도 상기 콘플레이트(21)와 상기 마그넷하우징(17) 사이에 매우 좁은 간극이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테이퍼콘(15)의 일측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스프링(39)의 일단이 삽입되는 스프링안착홈(43)이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다수 배치된 구조로 하였다.
상기 마그넷하우징(17)은 상기 다판클러치(7)를 향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직선운동이 제한되도록 스러스트베어링(45)에 의해 지지된다. 즉, 상기 스러스트베어링(45)은 후술하는 커버와 상기 마그넷하우징(17) 사이에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테이퍼콘(15)의 내주면에는 마찰재를 도포하여, 테이퍼콘(15)에서 상 기 캠링(13)으로 원활하게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마그넷하우징(17)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석(19)이 위치한 공간과 상기 콘플레이트(21)가 위치한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장공(47)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상기 마그넷하우징(17)에 감싸여진 전자석(19)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이 상기 콘플레이트(21)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입력축(1)에 삽입된 출력축(3)의 외주면에는 입력축(1)과의 사이에 레이디얼베어링(49)이 구비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출력축(3)은 디퍼렌셜(55)의 링기어(53)와 치합되고, 상기 클러치드럼(5)과, 캠링(13)과, 테이퍼콘(15)과, 콘플레이트(21) 및 마그넷하우징(17) 등의 부품들은 상기 디퍼렌셜(55)을 감싸는 액슬하우징(57)과 일체로 연결된 케이스연장부(59) 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연장부(59)에는 커버(61)가 장착됨으로써, 상기한 부품들을 모두 내부에 내장하여 외부와 격리시키면서 일체로 패키지화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을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고, 액슬하우징(57)에 일체로 액티브 토크 커플링을 구성함으로써, 보다 컴팩트한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고, 소요되는 부품의 수를 저감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도 5와 도 6을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이륜구동상태이다. 즉, 본 발명의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은 그 입력축(1)이 전륜측과 연결된 프로펠러샤프트에 연결되고, 출력축(3)이 상기 디퍼렌셜(55)을 통하여 후륜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며, 이 상태는 전륜만에 의해 차량이 구동되고 있고, 상기 프로펠러샤프트를 통해 상기 입력축(1)으로 들어온 회전력은 출력축(3)으로 전달되지 않는 상태이다.
물론, 이 상태에서, 후륜은 피동되어 회전되므로 상기 디퍼렌셜(55)을 통해 상기 출력축(3)도 회전하고 있으나, 상기 전륜측과는 동력이 단절된 상태이다.
상기 입력축(1)으로 들어온 회전력은 상기 클러치디스크(29)들과, 압력판(9)으로 직접 전달되고, 상기 압력판(9)과 볼램프로 연결된 캠링(13) 및 상기 캠링(13)에 도그들로 연결된 마그넷하우징(17)도 상기 입력축(1)과 함께 회전되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 출력축(3)에 연결된 클러치드럼(5)과, 상기 클러치드럼(5)에 연결된 클러치플레이트(31)들 및 테이퍼콘(15)은 출력축(3)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테이퍼콘(15)에 볼램프구조(11)로 연결된 콘플레이트(21)도 상기 출력축(3)과 함께 회전하는 상태이다.
물론, 이때, 상기 압력판(9)과 캠링(13) 사이의 볼램프구조(11) 및 상기 테이퍼콘(15)과 콘플레이트(21) 사이의 볼램프구조(11)는 모두 볼(25)이 상기 구형홈(27)에 삽입된 상태로서, 볼램프구조(11)에 의해 연결된 두 상대물체를 각각 안정된 상태로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콘플레이트(21)와 마그넷하우징(17) 사이 및 상기 테이퍼콘(15)과 캠링(13) 사이에서는 상대회전이 발생하는 상태이며, 이때 상기 상대회전이 발생하는 곳에는 상기 구형홈(27)에 의한 안정된 볼램프구조(11)에 의해 과도한 드래그토크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안정되고 내구성 있는 액티브 토크 커플링의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19)에 전력이 공급되어 자기력이 발생되면, 상기 콘플레이트(21)는 자기력에 이끌려 상기 마그넷하우징(17)에 밀착되고, 상기 콘플레이트(21)와 마그넷하우징(17)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콘플레이트(21)의 회전속도를 상기 테이퍼콘(15)과 다르게 한다.
따라서, 상기 테이퍼콘(15)과 콘플레이트(21) 사이의 볼램프구조(11)가 작동되어, 상기 테이퍼콘(15)은 상기 스프링(39)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다판클러치(7)쪽으로 이동되어, 내측의 경사면이 상기 캠링(13)의 외측에 구비된 경사면과 접촉하여 파일럿토크의 전달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테이퍼콘(15)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캠링(13)은 다시 상기 압력판(9)과의 속도차가 발생되고, 상기 압력판(9)과 캠링(13) 사이의 볼램프구조(11)가 작동되어 상기 압력판(9)은 상기 다판클러치(7)를 가압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러스트베어링(45)은 상기 압력판(9)과 캠링(13) 사이의 볼램프구조(11)가 작용함에 의해 상기 압력판(9)이 확실하고 안정되게 상기 다판클러치(7)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넷하우징(17)을 통하여 상기 캠링(1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압력판(9)이 다판클러치(7)를 가압하면, 상기 다판클러치(7)를 이루는 다수의 클러치플레이트(31) 및 클러치디스크(29)는 서로 압착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여, 결국 상기 입력축(1)의 회전력이 클러치디스크(29)와 클러치플레이트(31)를 통하여, 상기 클러치드럼(5)으로 전달되고, 상기 클러치드럼(5)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출력축(3)을 통하여 디퍼렌셜(55)로 전달됨으로써, 후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사륜구동상태가 형성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후륜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의 크기는 상기 전자석(19)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을 조절함으로써, 정밀하게 조절되어, 차량의 주행상태에 최적화된 사륜구동상태를 확보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2중으로 채택된 볼램프구조(11)는 상기 전자석(19)에 의해 마그넷하우징(17)과 콘플레이트(21) 사이에 형성되는 비교적 작은 마찰력으로도 충분히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을 만큼 상기 압력판(9)을 가압할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 별도의 파일럿클러치팩 등을 사용하는 메커니즘에 비하여, 보다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보다 큰 회전력을 보다 안정되게 조절하여 출력축(3)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콘플레이트(21)와 마그넷하우징(17) 사이의 간극을 상기 운동제한스냅링(41)에 의해 매우 정밀한 수준으로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어서 작동 응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석(19)에 전력이 차단되어 자기력이 소멸하면, 상기 스프링(39)에 의해 상기 테이퍼콘(15)이 신속하고 확실하게 상기 운동제한스냅링(41)에 의해 제한되는 위치까지 이동되고, 상기 콘플레이트(21)와 테이퍼콘(15) 사이의 볼(25)은 상기 구형홈(27)에 삽입되며, 상기 콘플레이트(21)의 오일홈(33)은 상기 마그넷하우징(17)과의 마찰력을 급격히 저감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신속하고 확실하게 이륜구동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컴팩트한 구성으로 차체 하부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 단가를 낮추면서도 작동응답성 및 작동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을 제공한다.

Claims (10)

  1. 회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축(1)과;
    상기 입력축(1)의 일단에 동심축을 이루면서 삽입되는 출력축(3)과;
    상기 출력축(3)에 회전구속 상태로 연결된 클러치드럼(5)과;
    상기 클러치드럼(5)과 상기 입력축(1) 사이에 설치된 다판클러치(7)와;
    상기 입력축(1)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다판클러치(7)에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압력판(9)과;
    상기 입력축(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압력판(9)을 상기 다판클러치(7)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압력판(9)과의 사이에 볼램프 구조(11)로 연결되며, 외주면이 상기 다판클러치(7)를 향해 외경이 확대되도록 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 캠링(13)과;
    상기 캠링(13)의 외주면에 상응하는 경사면을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클러치드럼(5)에 스플라인 결합된 테이퍼콘(15)과;
    상기 테이퍼콘(15)이 상기 클러치드럼(5)에 대하여 직선슬라이딩 할 수 있는 한계를 정하고, 상기 테이퍼콘(15)을 상기 다판클러치(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콘운동제한수단과;
    상기 캠링(13)과 회전구속상태로 연결되는 마그넷하우징(17)과;
    상기 다판클러치(7)를 향한 방향이 상기 마그넷하우징(17)에 의해 감싸여지고, 제어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 전자석(19)과;
    상기 테이퍼콘(15)과 상기 마그넷하우징(17) 사이에서 상기 전자석(19)의 자기력을 받아 상기 마그넷하우징(17)과 마찰접촉상태가 전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테이퍼콘(15)을 상기 다판클러치(7)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테이퍼콘(15)과 볼램프구조(11)로 연결된 콘플레이트(21);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운동제한수단은 상기 클러치드럼(5)의 내주면에 삽입된 스프링지지스냅링(37)과;
    상기 스프링지지스냅링(37)과 테이퍼콘(15)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스프링(39)과;
    상기 클러치드럼(5)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상기 테이퍼콘(15)이 상기 전자석(19)쪽으로 이동하는 한계를 설정하는 운동제한스냅링(41);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콘(15)의 일측에는 상기 스프링(39)의 일단이 삽입되는 스프링안착홈(43)이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다수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하우징(17)은 상기 다판클러치(7)를 향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직선운동이 제한되도록 스러스트베어링(45)에 의해 지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램프구조(11)는 볼램프를 이루는 경사면(23)의 가장 깊은 위치에 볼(25)이 삽입되도록 구형홈(27)이 더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플레이트(21)의 상기 마그넷하우징(17)을 향한 면에는 다수의 오일홈(33)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콘(15)의 내주면에는 마찰재가 도포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하우징(17)에는 상기 전자석(19)이 위치한 공간과 상기 콘플레이트(21)가 위치한 공간을 연통시키도록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장공(47)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1)에 삽입된 출력축(3)의 외주면에는 입력축(1)과의 사이에 레이디얼베어링(49)이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3)은 디퍼렌셜(55)의 링기어(53)와 치합되고;
    상기 클러치드럼(5)과, 캠링(13)과, 테이퍼콘(15)과, 콘플레이트(21) 및 마그넷하우징(17)은 상기 디퍼렌셜(55)을 감싸는 액슬하우징(57)과 일체로 연결된 케이스연장부(59) 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연장부(59)에는 커버(61)가 장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KR1020070035812A 2007-04-12 2007-04-12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KR100837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812A KR100837572B1 (ko) 2007-04-12 2007-04-12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812A KR100837572B1 (ko) 2007-04-12 2007-04-12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7572B1 true KR100837572B1 (ko) 2008-06-11

Family

ID=3977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812A KR100837572B1 (ko) 2007-04-12 2007-04-12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5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557B1 (ko) 2008-12-03 2010-11-15 다이모스(주) 액티브 토크전달장치
KR101315532B1 (ko) * 2011-12-30 2013-10-08 현대다이모스(주) 구동력 전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4978A (ja) 1997-07-25 1999-02-16 Copyer Co Ltd 回転力伝達部材
US6062330A (en) 1992-06-24 2000-05-16 Borg-Warner Automotive, Inc. On demand vehicle drive system
JP2002070890A (ja) 2000-08-29 2002-03-08 Tochigi Fuji Ind Co Ltd 電磁式テーパクラッチ及びそれを用いたカップリング
JP2005351463A (ja) 2004-06-14 2005-12-22 Tochigi Fuji Ind Co Ltd 加圧アクチュエータ、トルク伝達カップリング、四輪駆動車
KR100642595B1 (ko) 2005-08-24 2006-11-10 다이모스(주) 4륜구동차량의 액티브 컨트롤 커플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2330A (en) 1992-06-24 2000-05-16 Borg-Warner Automotive, Inc. On demand vehicle drive system
JPH1144978A (ja) 1997-07-25 1999-02-16 Copyer Co Ltd 回転力伝達部材
JP2002070890A (ja) 2000-08-29 2002-03-08 Tochigi Fuji Ind Co Ltd 電磁式テーパクラッチ及びそれを用いたカップリング
JP2005351463A (ja) 2004-06-14 2005-12-22 Tochigi Fuji Ind Co Ltd 加圧アクチュエータ、トルク伝達カップリング、四輪駆動車
KR100642595B1 (ko) 2005-08-24 2006-11-10 다이모스(주) 4륜구동차량의 액티브 컨트롤 커플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557B1 (ko) 2008-12-03 2010-11-15 다이모스(주) 액티브 토크전달장치
KR101315532B1 (ko) * 2011-12-30 2013-10-08 현대다이모스(주) 구동력 전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529B1 (ko) 병렬클러치및록업특성을갖는트랜스퍼케이스
KR100512196B1 (ko) 파티클 클러치로 제어되는 볼-램프 작동 클러치
CN101796329A (zh) 受控的差速器致动器
JP2007170667A (ja) アクチュエータと皿ばねとを備えた摩擦クラッチ
US5720375A (en) Coupling device for use in differential gear devices
CN112503108A (zh) 中间轴离合机构
US20210293316A1 (en) Differential device
KR100642595B1 (ko) 4륜구동차량의 액티브 컨트롤 커플링
KR20070066950A (ko) 트랜스퍼 케이스용 원추형 클러치팩 액츄에이터
US6582336B2 (en) Electromagnetically-actuated limited slip differential
KR100837572B1 (ko) 사륜구동차량의 액티브 토크 커플링
JP2008075712A (ja) 駆動力伝達装置
US8151958B2 (en) Power transmitting device
US20040159524A1 (en) Cone-clutched assembly
KR20000047959A (ko) 1방향 클러치를 갖는 점성 구동 볼 램프 클러치
EP1280678B1 (en) A roller arrangement in a torque transmitting device
KR100864586B1 (ko) 사륜구동차량의 토크온디멘드 장치
EP1402194B1 (en) A ball arrangement in a torque transmitting device
JP2012062937A (ja) 電磁クラッチ及びこれを備えた駆動力伝達装置
JP2013130286A (ja) 動力伝達装置
JP2009085293A (ja) 差動制限装置
JP2007002972A (ja) 回転伝達装置
JP2008051156A (ja) トルク伝達カップリング
US11519468B2 (en) Rotating e-clutch assembly providing four operating modes
CN112352114B (zh) 摩擦离合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