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455B1 -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 이를이용한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및 판정장치 - Google Patents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 이를이용한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및 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455B1
KR100837455B1 KR1020060087391A KR20060087391A KR100837455B1 KR 100837455 B1 KR100837455 B1 KR 100837455B1 KR 1020060087391 A KR1020060087391 A KR 1020060087391A KR 20060087391 A KR20060087391 A KR 20060087391A KR 100837455 B1 KR100837455 B1 KR 100837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line
virtual
center point
f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464A (ko
Inventor
조영재
Original Assignee
조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재 filed Critical 조영재
Priority to KR1020060087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455B1/ko
Publication of KR20080023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결이 시작된 싸움소의 일정 범위의 영역을 가상 판정선으로 설정하여 표시하고 가성 판정선으로부터 하나의 싸움소가 이탈하는 것을 측정함에 의해 소싸움 경기의 승우의 판정과 경기소요시간을 전자식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소싸움경기의 판정방법 및 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싸움경기 판정방법은 비디오 카메라로 소싸움경기를 촬영하고, 촬영된 경기 영상을 제1 녹화장치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경기가 종료된 후 상기 제1녹화장치에 저장된 경기 동영상을 좌표계 화면으로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소싸움경기의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에 대결의 중심점을 지정함에 따라 지정된 대결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판정선에 대응하는 가상 판정선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는 경우 이탈하지 않은 싸움소를 승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싸움경기, 승우 판정, 가상 판정선, 경기소요시간

Description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 이를 이용한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및 판정장치{Method of establishing virtual judgment circle for judging bull's fighting game, Method and Apparatus for judging bull's fighting gam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소싸움 경기를 촬영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싸움경기 판정에 이용되는 가상 판정선을 설명하기 위한 모니터 화면,
도 3은 영상 화면에 좌표를 설정하기 위하여 소싸움 경기장을 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촬영된 경기장 영상 화면에 대한 좌표계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촬영된 경기장 영상 화면에서 경기장의 임의의 지점에서 중심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가상 판정선의 크기와 모양을 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실제 경기장에 반지름(R)의 판정선을 경기장 중심점과 X축의 임의의 지점에 나타낸 도면,
도 7은 중심점으로부터 떨어진 지점에 대한 가상 판정선의 크기와 모양을 구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영상 화면에서 실제 판정선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9는 영상 화면의 임의의 지점에서 가상 판정선의 크기 및 모양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판정선을 이용한 소싸움경기 판정장치를 나타낸 개략 블록도,
도 10b는 도 10a의 제어부와 데이터 저장부에 대한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싸움경기 판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소싸움 경기장 1a,100a; 중심점
2a,2b; 싸움소 3a,3b; 판정선
4; 거리측정기구 10; 제어부
11; 타이머모듈 12; 재생제어모듈
13; 좌표계 화면전환모듈 14; 가상표시선 표시모듈
20; 사용자 인터페이스 30; 비디오 카메라
40; 메모리장치 41; RAM
42: 시스템메모리 43; 데이터저장부
50,51; 녹화장치 60; 전광판
70; 모니터 100; 영상화면
103a-103c; 가상 판정선 110,111; 제1 및 제2 직선
431; 가상 판정선 테이블 432 ; 경기결과 기록 데이터 파일
본 발명은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 이를 이용한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및 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싸움경기를 촬영한 화면에서 대결이 시작된 싸움소의 일정 범위의 영역을 가상 판정선으로 설정하여 표시하고 가성 판정선으로부터 먼저 한 마리의 싸움소가 이탈하는 것을 측정함에 의해 소싸움 경기의 승우의 판정과 경기소요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및 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싸움경기는 우리 민족의 전통 민속놀이로 두 마리 싸움소가 머리나 몸체를 서로 맞대고 힘과 기술을 겨루는 경기이다. 경마, 경견 등이 인위적인 기준(출발선, 결승선)에 의해서 경기결과를 판정하는 것과는 달리, 소싸움경기는 싸움소의 돌발적인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경기결과를 판단하는 판정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민속놀이로서의 소싸움경기 판정방법은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머리나 몸체를 맞대고 싸우다가 한 마리의 싸움소가 경기를 포기하고 달아나면, 그 상대 싸움소가 승리한 것으로 심판이 판정한다.
실제 민속놀이의 소싸움경기 경기 규칙 중 승부 판정에 관한 내용을 발췌하 여 정리하면, 소싸움 경기 도중 한 마리 싸움소가 경기를 포기하고 머리를 돌려 달아난 때, 혹은 머리를 돌려 경기장의 1/4 바퀴이상 달아난 때 달아난 소를 패한 것으로 간주하고 상대 소를 승리한 것으로 정하고 있다.
민속놀이로서의 소싸움경기 규칙은 경기시간에 제한이 없고, 두 마리 싸움소중 한 마리가 달아날 때 까지 경기를 계속 진행하여 한 마리가 달아난 경우 경기의 승부만을 판정하도록 되어 있어서 경기 소요시간의 측정에 관한 사항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
한편, 전통소싸움경기에 관한 법률(이하 "우권법"이라 함)에서는 소싸움 경기시간을 30분으로 제한하고 있으며, 승리한 싸움소를 적중시키는 게임 방법과 함께 승부가 결정되는 순간을 매 5분 단위의 라운드(1~6 라운드로 구성)를 적중시키는 시간 적중식 게임방법도 정하고 있다. 따라서, 우권법에 따른 소싸움경기를 진행하고 판정함에 있어서는 승부의 판정과 함께 승부결정의 시간 즉, 경기소요 시간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심판의 수동적인 판단에 의해 소싸움 경기에서 이긴소(즉, 승우)를 결정하기 때문에 계속하여 움직이는 싸움소의 승우 판단은 객관적인 판단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주관적인 판단이 이루어지거나 승우의 판정시점이 부정확하게 될 수 있다.
즉, 경기시작 시간과, 승우를 결정하고 이때를 경기종료 시간으로 정하여 경기소요시간을 결정하였기 때문에 심판의 개인적인 판단에 따라 경기종료 시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경기소요 시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승부가 결정되 는 순간을 매 5분 단위의 라운드를 적중시키는 시간 적중식 게임방법에 있어서는 일부 고객에게 불리한 판정이 이루어지는 결과가 얻어지므로 보다 정확한 경기소요 시간의 측정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우권법에 따른 소싸움경기를 진행하고 판정함에 있어서는 승부의 판정과 함께 경기소요 시간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전자식 자동판정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소싸움 경기의 기본 특성에 근거한 새로운 판정기준으로 대결의 중심에서 일정거리 이상 이탈한 순간을 측정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소싸움 경기 소요시간의 정밀한 측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소싸움 경기는 두 마리 싸움소가 머리나 몸체를 서로 맞대고 싸우는 특성을 가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어서 싸우는 순간은 대결이 진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며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심판이 "대결의 중심"으로 정하고,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떨어져서 그 중 한 마리가 달아날 때에는 경기 중 측정된 최후의 "대결의 중심"에서 일정거리(즉, 판정선) 이상 이탈한 순간을 대결이 종료한 것으로 판정하여, 먼저 이탈한 소를 패한 것으로 간주하고 상대 소를 승리한 것으로 판정하고, 이 때의 경기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경기소요 시간으로 정하는 소싸움 경기규칙의 적용을 전제로 고안된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두 마리 싸움소의 경기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소싸움경기 영상에 컴 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지정된 대결의 중심에서 일정 범위의 가상 판정선을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판정선을 하나의 싸움소가 이탈하는 것을 판단함에 의해 승우의 판정과 경기소요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및 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고 대결의 중심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를 갖는 판정선을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이탈할 때 소싸움경기의 승우를 전자식으로 판정하는 데 이용되는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에 있어서, 소싸움 경기장의 중심 상공에 위치한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된 소싸움경기의 동영상을 좌표계 화면을 통하여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되는 소싸움경기의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에 대결의 중심점을 지정함에 따라 지정된 대결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판정선에 대응하는 가상 판정선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가상 판정선은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원은 대결의 중심점과 좌표계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제1직선과 상기 대결의 중심점에서 직교하는 제2직선에 타원의 제1 및 제2 초점이 위치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상 판정선은 상기 대결의 중심점에 대한 좌표값, 상기 가상 판정선이 이루는 타원의 제1 및 제2 초점에 대한 좌표값 및 가상 판정선이 이루는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루는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는 상기 영상화면의 좌표계 중심점과 상기 좌표계 중심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픽셀거리만큼 이동된 지점의 제1 및 제2 가상 판정선에 대한 장축과 단축의 길이를 미리 측정하고 이에 기초한 직선보간법에 의해 구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고 대결의 중심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를 갖는 판정선을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이탈할 때 소싸움경기의 승우를 전자식으로 판정하는 소싸움경기 판정방법에 있어서, 소싸움 경기장의 중심 상공에 위치한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여 촬영되는 소싸움경기의 동영상을 좌표계 화면을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소싸움경기의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에 대결의 중심점을 지정함에 따라 지정된 대결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판정선에 대응하는 가상 판정선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는 경우 이탈하지 않은 싸움소를 승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싸움경기 판정방법은 소싸움 경기장의 중심 상공에 위치한 비디오 카메라로 소싸움경기의 촬영을 개시하여 소싸움경기의 승우가 결정될 때까지 경기를 촬영하고, 촬영된 경기 영상을 제1 녹화장치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경기가 종료된 후 상기 제1녹화장치에 저장된 경기 동영상을 좌표계 화면으로 재생하는 단 계와, 상기 소싸움경기의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에 대결의 중심점을 지정함에 따라 지정된 대결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판정선에 대응하는 가상 판정선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는 경우 이탈하지 않은 싸움소를 승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싸움경기 판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에서 두 마리 싸움소가 대결을 시작하는 순간 심판의 판단에 따라 타이머를 작동시켜 경기시간의 측정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는 순간을 대결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타이머의 작동을 정지시켜 경기소요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화면에 대결의 중심점에 가상 판정선을 표시하고 승우의 결정이 이루어진 편집된 동영상을 제2녹화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소싸움 경기의 대결이 시작된 순간부터 경기소요시간의 측정을 개시하고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여 경기가 종료되는 순간까지 시간 기록을 동영상 파일에 함께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고 대결의 중심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를 갖는 판정선을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이탈할 때 소싸움경기의 승우를 전자식으로 판정하는 소싸움경기 판정장치에 있어 서, 사용자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원형으로 이루어진 소싸움 경기장의 중심 상공에 설치되어 소싸움경기를 촬영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와, 상기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경기 영상을 저장하고 재생하기 위한 제1 녹화장치와, 재생되는 동영상을 포함하여 처리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모든 픽셀마다 대결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판정선에 대응하는 가상 판정선을 정의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1메모리장치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명령에 따라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경기 동영상을 제1 녹화장치에 저장시키고, 상기 제1녹화장치에 저장된 경기 동영상을 좌표계 화면으로 재생하며 상기 소싸움경기의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대결의 중심점으로 지정할 때 상기 제1메모리장치의 가상 판정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판정선을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는 순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지정할 때 대결이 종료된 것으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에서 두 마리 싸움소가 대결을 시작하는 순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타이머를 작동시킬 때 경기시간의 측정을 시작하고, 상기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는 순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타이머의 작동을 정지시킬 때 타이머를 정지시키고 경기소요시간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소싸움경기 판정장치는 상기 동영상 화면에 대결의 중심점에 가상 판정 선을 표시하고 승우의 결정이 이루어진 편집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제2녹화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녹화장치에 저장되는 동영상 데이터는 상기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소싸움 경기의 대결이 시작된 순간부터 경기소요시간의 측정을 개시하고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여 경기가 종료되는 순간까지 시간 기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촬영된 소싸움경기 영상에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지정된 대결의 중심에서 일정 범위의 가상 판정선을 설정하고, 가상 판정선을 하나의 싸움소가 이탈하는 것을 판단함에 의해 승우의 판정과 경기소요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우권법에 따른 시간 적중식 게임에 필요한 경기소요시간의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판정선을 이용한 소싸움경기 판정장치를 나타낸 개략 블록도, 도 10b는 도 10a의 제어부와 데이터 저장부에 대한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판정선을 이용한 소싸움경기 판정장치는 제어부(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 비디오 카메라(30), 메모리장치(40), 제1 및 제2 녹화장치(50,51), 전광판(60) 및 모니 터(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예를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CPU)로 구성되며, 시스템메모리(42)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입출력장치의 기능 제어에 필요한 일반적인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과 가상 판정선을 이용한 소싸움경기의 판정 기능과 관련하여 도 11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른 제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판정 운영 프로그램에 따라 전체적인 시스템 제어를 위한 신호처리 이외에 메모리장치(40)로의 데이터 저장 및 인출기능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로의 입출력 기능, 전체적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 및 소싸움경기 판정 기능과 관련된 제어를 실행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는 소싸움경기 판정장치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설정 또는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는 다수의 숫자키, 방향키 및 명령키 등을 포함하는 키보드(21)와, 휠 또는 볼 마우스(22) 및 조이스틱(23)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와 제어부(10) 사이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의 출력을 제어부(10)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회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메모리장치(40)는 제어부(10)가 처리중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41)과, PC(personal computer)에 필요한 일반적인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과 도 11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른 소싸움경기 운영/판정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 메모리(42)와, 가상 판정선 테이블 및 경기결과 기록 데이터파일과 같은 다수의 데이터베이스(DB)로 이루어진 데이터 저장부(4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 메모리(42)는 본 발명의 소싸움경기 판정장치가 데스크 탑 또는 노트북 형태의 PC(personal computer)로 구현되는 경우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HDD)의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43)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소싸움 경기장에 대응하는 모니터(70)의 원형 화면에 픽셀 단위로 (x,y) 좌표를 표시하며, 소싸움경기의 판정을 위하여 소싸움경기를 촬영한 동영상 화면에 심판이 임의의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지정할 때 지정된 화면의 각 좌표점에 대한 타원형 가상 판정선을 정의하는데 필요한 중심점 좌표값,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 및 타원의 초점에 대한 좌표값을 저장한 가상 판정선 테이블(431) 및 경기결과 기록 데이터파일(432) 등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DB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1녹화장치(50)에는 비디오 카메라(30)를 통하여 소싸움경기 장면을 촬영한 미가공 동영상이 저장되고, 상기 제2녹화장치(51)에는 경기 종료후에 우권법에 따른 시간적중식 게임방법에서 경기소요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가상 판정선을 이용한 소싸움경기의 판정 순간을 기록한 동영상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녹화장치(50,51)로서 동영상의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를 사용하고 있으나,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주지된 기록 또는 저장장치, 바람직하게는 촬영된 동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HDD)에 압축 저장하는 디지털 영상 저장장치(DVR)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0)에는 시스템이 기동되어 사용자, 즉 심판이 제1녹화장치(50) 에 저장된 소싸움경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시키는 경우 시스템 메모리(42)에 저장되어 있는 소싸움경기 운영/판정에 필요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 로딩되면서 소싸움경기 판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모듈(11~14)이 설치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모듈(11~14)은 소싸움 경기의 대결이 시작된 순간부터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심판이 대결의 중심점을 지정하여 가상 판정선을 설정한 후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는 순간까지 소싸움경기의 경기소요시간을 편집되는 동영상 파일에 함께 기록되도록 함에 의해 경기소요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모듈(11)과, 상기 비디오 카메라(30)를 통하여 소싸움경기를 촬영하여 얻어진 동영상을 제1녹화장치(50)에 녹화하고, 녹화된 동영상 화면을 재생하여 모니터(70)에 표시하며 심판이 대결의 중심점을 지정하는 경우 지정된 중심점 좌표를 기준으로 가상 판정선을 설정함에 의해 소싸움 경기의 승우를 결정하고 승우가 결정된 편집화면을 제2 녹화장치(51)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재생제어모듈(12)과, 상기 가상 판정선 테이블(431)에 저장된 각 픽셀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소싸움 경기장에 대응하는 모니터(70)의 원형 화면에 픽셀 단위로 (x,y) 좌표를 표시하기 위한 좌표계 화면전환 모듈(12)과, 상기 가상 판정선 테이블(431)에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싸움경기를 촬영한 동영상 화면에 심판이 임의의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지정할 때 지정된 화면의 각 좌표점에 가상 판정선을 구현하는 가상 판정선 표시모듈(14)로 구성된다.
상기 재생제어모듈(12)은 심판이 대결의 중심점을 지정하여 가상 판정선을 설정한 후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는 순간을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도록 주지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에 채용되고 있는 각종의 기능, 예를들어, 고속 감기/되감기 기능, 일시정지 기능, 슬로우 모션 기능 등을 실행하도록 구현된다.
이하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소싸움경기 판정장치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영상화면의 좌표 설정 및 가상 판정선 설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소싸움 경기를 촬영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싸움경기 판정에 이용되는 가상 판정선을 설명하기 위한 모니터 화면이다.
본 발명의 소싸움경기 판정장치는 도 1과 같이 경기장 중심의 수직 상공에 설치된 한 대의 비디오 카메라(30)로 지름 30미터(또는 경기규칙에서 정한 규격)의 원형 소싸움 경기장(1)의 자유로운 지점에서 대결하는 두 마리 싸움소(2a,2b)의 경기를 촬영하고, 도 2와 같이 모니터(70)에 도시된 촬영된 소싸움경기 영상화면(100)에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지정된 대결의 중심에서 일정 범위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가상 판정선(103)을 설정하고, 가상 판정선(103)을 어느 하나의 싸움소(2a,2b)가 먼저 이탈하는 것을 판단함에 의해 승우의 판정과 경기소요시간을 측정하는 장치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경기장 중심의 수직 상공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30)를 소싸움경기를 촬영하는 경우 카메라 촬영거리와 촬영각에 따른 실제 판정선의 촬영된 영상 이미지를 최소 두지점 이상에서 측정하여 크기와 모양을 구하고, 보간법을 사용하여 임의의 지점에 대한 가상 판정선(103)에 대한 영상 이미지의 크기와 모양을 산출하는 기술을 구현하고, 또한, 경기시작 시간과 경기종료 시간 측정을 위해 계시장치(즉, 타이머)를 설치하여 경기 영상에 경기소요시간이 같이 저장되도록 하고자 한다.
도 3은 영상화면에 좌표를 설정하기 위하여 소싸움 경기장을 촬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촬영된 경기장 영상화면에 대한 좌표계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영상화면의 좌표 설정 및 영상 중심점에서의 거리를 구하기 위하여 먼저, 도 3과 같이 실제 소싸움 경기장 중심점(1a)의 수직 상공에 고정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30)로 소싸움 경기장 전체를 촬영(Full Shot)하여, 도 4 및 도 5와 같은 촬영된 영상화면(100)을 얻는다.
촬영한 경기장 영상화면(100)에 경기장 중심점(100a)을 수직으로 교차하는 X축과 Y축의 좌표계를 설정하고, 화면 픽셀의 단위로 (x,y) 좌표를 표시하고 픽셀수로 각 지점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들어, 경기장(1)의 중심점(1a)을 통과하는 거리측정기구(4)를 경기장(1)에 X축을 따라 설치하고 촬영하면, 촬영된 영상화면(100)에 나타난 거리측정기구(4)의 다수의 픽셀(104)을 카운팅함에 의해 좌표가 (P,Q)인 임의의 지점(M)과 중심점(100a)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도 5는 촬영된 경기장 영상화면에서 경기장의 임의의 지점에서 중심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영상화면(100)의 임의의 지 점(M)과 경기장 중심점(1a) 사이의 거리(픽셀거리)(L)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로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6065429949-pat00001
여기서, a는 지점(M)에 대한 X축 거리이고, b는 지점(M)에 대한 Y축 거리를 나타낸다.
이하에 가상 판정선의 크기 및 모양을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과 같이 실제 경기장(1)에 경기규칙에 규정된 반지름(R)인 2개의 제1 및 제2 판정선(3a,3b)을 각각 경기장 중심점(1a)과 X축 상의 임의의 지점에 그린 후, 경기장의 중심점(1a) 상공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30)로 촬영한다.
이때, 반지름(R)인 실제의 제1 및 제2 판정선(3a,3b)은 도 7과 같이 비디오 카메라(30)의 직하방인 경기장 중심점(1a)에서의 촬영거리(A)보다 경기장 중심점(1a)에서 떨어진 지점의 촬영거리(B)가 멀어지기 때문에 영상화면 내의 이미지는 중심점(1a)의 제1 판정선(3a)보다 중심점에서 멀어질수록 작게 나타난다.
또한 촬영각(e)에 따라 평면인 경기장 바닥면(1b)에 보여지는 제2 판정선(3b)은 실제 판정선이 원형임에도 불구하고 촬영각(e) 만큼 비스듬히 보여지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타원의 형태로 화면에 표출되게 된다.
실제 판정선의 영상화면(100)에서의 크기 측정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화면(100)에서의 경기장 중심점(1a)의 좌표(0,0)와 X축 위의 점(N)의 좌표(c,0)까지의 픽셀거리(c)를 구하고, 화면에 나타나는 각 판정선에 대한 영상 이미지, 즉 경기장 중심점(1a)을 기준으로 설정된 제1 가상 판정선(103a)과 X축 위의 점(N)을 기준으로 설정된 제2 가상 판정선(103b) 각각의 장축의 길이(A,a)와 단축의 길이(B,b)를 각각 측정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상 판정선(103a,103b)의 장축의 길이(A,a)와 단축의 길이(B,b)가 측정되는 경우 하기와 같이 경기장 중심점(1a)에서 임의의 픽셀거리(L)에 대응하는 X축 위의 다른 임의의 점에서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도 직선 보간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먼저, 장축의 길이(α)에 대한 중심점(1a)에서 거리(L)의 변화에 대응하는 직선 보간식은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6065429949-pat00002
이때, A는 제1 가상 판정선(103a)의 장축의 길이, a는 제2 가상 판정선(103b)의 장축의 길이, c는 경기장 중심점(1a)과 X축 위의 점(N) 사이의 길이를 나타내는 상수이다.
또한, 단축의 길이(β)의 중심점(1a)에서 거리(L)의 변화에 대응하는 직선 보간식은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얻어진다.
Figure 112006065429949-pat00003
이때, B는 제1 가상 판정선(103a)의 단축의 길이, b는 제2 가상 판정선(103b)의 단축의 길이, c는 경기장 중심점(1a)과 X축 위의 점(N) 사이의 길이를 나타내는 상수이다.
따라서, 영상화면(100)의 임의의 지점(M)에서 가상 판정선(103c)의 크기 및 모양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소싸움 경기를 촬영한 영상화면(100)에 심판이 좌표가 (P,Q)인 임의의 지점(M)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설정하고 가상 판정선(103c)의 중심으로 화면에 지정하였을 때, 임의의 지점(M)에 대한 중심점(1a)에서의 거리는 상기 수학식 1로 구할 수 있으며, 이때 가상 판정선(103c)의 장축(α)과 단축(β)은 상기 수학식 2와 수학식 3으로 각각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판정선(103c)은 경기장 중심으로 향해야 하므로 경기장 중심점(1a)에서 임의의 지점(M)을 통과하는 직선 1(110)과 교차하며, 직선 1과 수직으로 교차함과 동시에 대결의 중심점인 지점(M)을 지나는 직선 2(111)에 초점이 위치하는 타원을 이루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직선 1(110)은
Figure 112006065429949-pat00004
로 표현될 수 있고, 직선 2(111)는 하기 수학식 4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65429949-pat00005
또한, 대결의 중심점으로 지정되는 지점(M)과 장축의 길이(α), 단축의 길이(β), 그리고 상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지점(M)에 대한 가상 판정선(103c)인 타원의 초점을 유도하고, 그 초점의 좌표를 (d,e), (f,g)라고 정하면 가상 판정선(103c)의 타원 방정식은 다음 수학식 5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6065429949-pat00006
본 발명에서는 임의의 지점(M)에 대한 가상 판정선(103c)을 정의하는 필요한 요소들로서 상기에서 얻어진 대결의 중심점으로 지정되는 임의의 지점(M)에 대한 중심점 좌표값(P,Q), 지점(M)에 대한 가상 판정선(103c)인 타원의 초점에 대한 좌표값((d,e), (f,g)), 및 타원인 가상 판정선(103c)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α,β)를 영상화면(100)의 각 픽셀마다 미리 데이터값을 계산하여 산출하고 데이터 저장부(43)의 가상 판정선 테이블(431)에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미리 임의의 지점(M)에 대한 가상 판정선(103c)을 정의하는 필요한 요소들을 구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가상 판정선 테이블(431)에 저장하면 실제 판정장치를 운영할 때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 도 10a, 도 10b 및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판정선을 이용한 소싸움경기 판정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영상화면의 각 픽셀마다 가상 판정선에 대 한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축한 상태에서, 소싸움경기가 진행될 때 도 3과 같이 소싸움 경기장(1)의 중심 상공에 설치된 비디오 카메라(30)로 소싸움경기의 촬영을 개시하여 소싸움경기의 승우가 결정될 때까지 경기를 촬영하고, 촬영된 경기 영상을 제1 녹화장치(50)에 녹화한다(S11). 이러한 판정장치에 대한 조작은 사용자, 즉 심판이 사용자 인터페이스(20)에 포함된 키보드(21), 마우스(22) 및/또는 조이스틱(23)을 사용하여 제어부(10)에 사용자의 명령을 인가함에 의해 제어부(10)가 이를 수신하여 실행된다.
본 발명의 판정장치에서는 시스템이 기동되어 심판이 제1녹화장치(50)에 저장된 소싸움경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시키는 경우, 시스템 메모리(42)에 저장되어 있는 소싸움경기 운영/판정에 필요한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 제어부(10)로 로딩되면서 소싸움경기 판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타이머 모듈(11), 재생제어모듈(12), 좌표계 화면전환 모듈(12) 및 가상 판정선 표시모듈(14)이 설치된다.
경기가 종료된 후, 심판이 사용자인터페이스(20), 예를들어 마우스를 이용하여 재생제어모듈(12)에 의해 제공되는 제1녹화장치(50)에 대한 재생, 즉 플레이(play) 메뉴를 선택함에 의해 제1 녹화장치(50)에 녹화된 경기 동영상의 재생을 시작하면(S12), 모니터(70)에는 상기 좌표계 화면전환모듈(13)에 의해 상기 가상 판정선 테이블(431)에 저장된 각 픽셀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영상화면(100)을 도 4와 같이 좌표계 화면으로 표출한다(S13).
동영상의 재생 개시후 두 마리 싸움소(2a,2b)가 대결을 시작하는 순간 심판의 판단, 즉 마우스(22)로 타이머 모듈(11)에 의해 모니터 화면에 제공되는 타이머 의 개시버튼(도시되지 않음)을 선택시키면 경기시간의 측정을 시작한다(S14,S15).
그후, 소싸움 경기의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심판은 재생제어모듈(12)에 의해 제공되는 제1녹화장치(50)에 대한 고속 감기/되감기 기능, 일시정지 기능, 슬로우 모션 기능 등을 마우스를 사용하여 경기의 재생 속도 등의 과정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심판이 소싸움경기의 재생 중에 두 마리 싸움소(2a,2b)가 서로 맞붙어서 싸우는 순간은 대결이 진행 중인 것으로 판단하며(S16), 두 마리 싸움소(2a,2b)가 서로 맞붙은 지점(M)을 심판이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면, 즉 마우스(22)로 해당 지점을 선택하면 가상 판정선 표시모듈(14)은 이에 응답하여 상기 가상 판정선 테이블(431)로부터 지정된 지점(M)의 좌표에 대응하는 가상 판정선 데이터를 불러와서 영상화면(100)에 가상 판정선(103c)을 표시한다(S17).
그러나 소싸움 경기의 특성상 한 지점에서 승패가 결정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상기한 대결의 중심점은 가상 판정선(103c)을 이탈하지 않고 싸움소(2a,2b)의 이동에 따라 영상화면(100) 내에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심판은 싸움소 두 마리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대결의 중심점이 이동할 때 이에 추종하여 조이스틱(23)으로 이동된 대결의 중심점을 계속하여 선택함에 의해 이동된 지점에 대한 가상 판정선(103c)을 새롭게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대결의 중심이 설정되어 가상 판정선(103c)이 설정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가상 판정선(103c)을 이탈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S18), 판단결과 두 마리 싸움소(2a,2b)가 서로 분리되어 그 중 한 마리가 달아나는 현상이 발생할 때 심판은 슬로우 모션 등으로 재생모드를 설정하여 경기영상을 느리게 재생함에 의해 가상 판정선(103c)을 이탈하는 순간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이때의 정지된 영상을 스틸 사진으로 출력하여 전광판 등에 표시함에 의해 시간 적중식 게임을 선택한 고객에게 게임의 결과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기 중 측정된 최후의 "대결의 중심"에서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가상 판정선(103c)을 이탈한 순간을 정밀하게 조사하여 승우를 판단하고 대결이 종료한 것으로 판정함과 동시에 마우스(22)로 타이머 모듈(11)에 의해 제공되는 타이머의 종료버튼을 선택하면 타이머의 작동이 정지되어 경기시간의 측정이 종료된다(S19,S20). 이 경우 제어부(10)는 승우, 경기소요시간 등의 경기결과를 경기결과 기록 데이터 파일(432)에 기록한다.
상기와 같이, "대결의 중심"에서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가상 판정선(103c)을 이탈한 순간을 판단하는 것은 시간 적중식 게임을 선택한 고객에게는 매우 중요한 사항이므로 객관적이고 정확한 판단을 위해 슬로우 모션 기능 및 일시정지 기능 등을 활용하여 판단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상기한 재생제어모듈(12)은 제1녹화장치(50)로부터 재생된 동영상에 대하여 심판이 대결의 중심점을 지정하는 경우 지정된 중심점 좌표를 기준으로 가상 판정선을 설정함에 의해 소싸움 경기의 승우를 결정하고 승우가 결정된 편집화면을 제2 녹화장치(51)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타이머 모듈(11)에 의해 제공되는 타이머의 작동에 따라 소싸움 경기의 대결이 시작된 순간부터 시간측정을 개시하고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여 경기가 종료되는 순간까지 시간 기록을 동영상 파일에 함께 기록되도록 함에 의해 전체 경기소요시간과 매 5분 단위의 6라운드를 진행할 때 몇 번째 라운드에서 승부가 결정되었는지를 재검증시에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 설명에서는 경기소요시간의 측정이 녹화된 화면을 다시 재생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실제로 두 마리 싸움소의 경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대결을 시작하는 순간을 심판의 판단으로 경기시간측정을 시작하고, 경기 중에 심판이 대결의 중심점을 녹화되는 영상화면(100)에서 지정하여 지정된 중심점 좌표를 기준으로 가상 판정선(103c)을 설정하며, 한 마리 싸움소가 가상 판정선(103c)을 이탈하는 순간을 경기종료시점으로 판정하여 경기소요시간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실제 경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승우를 결정하는 방식은 소싸움경기의 특성상 측정의 정확성을 기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두 마리 싸움소가 동시 또는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대결을 중단하고 후퇴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경기 진행중에 승우를 즉시 판정하는 것은 판정의 정확성을 고려할 때 어려운 문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촬영된 소싸움경기 영상에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지정된 대결의 중심에서 일정 범위의 가상 판정선을 설정하고, 가상 판정선을 하나의 싸움소가 이탈하는 것을 판단함에 의해 승우의 판정과 경기소 요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우권법에 따른 시간 적중식 게임에 필요한 경기소요시간의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0)

  1.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고 대결의 중심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를 갖는 판정선을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이탈할 때 소싸움경기의 승우를 전자식으로 판정하는 데 이용되는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에 있어서,
    소싸움 경기장의 중심 상공에 위치한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된 소싸움경기의 동영상을 좌표계 화면을 통하여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되는 소싸움경기의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에 대결의 중심점을 지정함에 따라 지정된 대결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판정선에 대응하는 가상 판정선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상 판정선은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원은 대결의 중심점과 좌표계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제1직선과 상기 대결의 중심점에서 직교하는 제2직선에 타원의 제1 및 제2 초점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판정선은 상기 대결의 중심점에 대한 좌표값(P,Q), 상기 가상 판정선이 이루는 타원의 제1 및 제2 초점에 대한 좌표값((d,e), (f,g)) 및 가상 판정선이 이루는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α,β)로 정의되며,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루는 타원은 하기 수학식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
    Figure 112007081594020-pat00007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루는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α,β)는 상기 영상화면의 좌표계 중심점과 상기 좌표계 중심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픽셀거리만큼 이동된 지점(N)의 제1 및 제2 가상 판정선에 대한 장축과 단축의 길이를 미리 측정하고 이에 기초한 직선보간법에 의해 구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루는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α,β)는 하기 수학식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
    Figure 112007081594020-pat00008
    Figure 112007081594020-pat00009
    L은 좌표계 중심점에서 상기 대결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
    A는 좌표계 중심점에 표시된 제1 가상 판정선의 장축의 길이,
    B는 좌표계 중심점에 표시된 제1 가상 판정선의 단축의 길이,
    a는 길이를 알고 있는 X축 위에 위치한 지점(N)에 표시된 제2 가상 판정선의 장축의 길이,
    b는 길이를 알고 있는 X축 위에 위치한 지점(N)에 표시된 제2 가상 판정선의 단축의 길이,
    c는 좌표계 중심점과 X축 위의 지점(N) 사이의 길이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화면의 모든 픽셀마다 가상 판정선을 정의하는 데 필요한 대결의 중심점에 대한 좌표값, 가상 판정선이 이루는 타원의 제1 및 제2 초점에 대한 좌표값 및 가상 판정선이 이루는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를 구하여 메모리장치에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
  8.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고 대결의 중심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를 갖는 판정선을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이탈할 때 소싸움경기의 승우를 전자식으로 판정하는 소싸움경기 판정방법에 있어서,
    소싸움 경기장의 중심 상공에 위치한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하여 촬영되는 소싸움경기의 동영상을 좌표계 화면을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소싸움경기의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에 대결의 중심점을 지정함에 따라 지정된 대결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판정선에 대응하는 가상 판정선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는 경우 이탈하지 않은 싸움소를 승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9.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고 대결의 중심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를 갖는 판정선을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이탈할 때 소싸움경기의 승우를 전자식으로 판정하는 소싸움경기 판정방법에 있어서,
    소싸움 경기장의 중심 상공에 위치한 비디오 카메라로 소싸움경기의 촬영을 개시하여 소싸움경기의 승우가 결정될 때까지 경기를 촬영하고, 촬영된 경기 영상을 제1 녹화장치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경기가 종료된 후 상기 제1녹화장치에 저장된 경기 동영상을 좌표계 화면으로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소싸움경기의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는 단계와,
    상기 화면에 대결의 중심점을 지정함에 따라 지정된 대결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판정선에 대응하는 가상 판정선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는 경우 이탈하지 않은 싸움소를 승우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에서 두 마리 싸움소가 대결을 시작하는 순간 심판의 판단에 따라 타이머를 작동시켜 경기시간의 측정을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는 순간을 대결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타이머의 작동을 정지시켜 경기소요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화면에 대결의 중심점에 가상 판정선을 표시하고 승우의 결정이 이루어진 편집된 동영상을 제2녹화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소싸움 경기의 대결이 시작된 순간부터 경기소요시간의 측정을 개시하고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여 경기가 종료되는 순간까지 시간 기록을 동영상 파일에 함께 기록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판정선은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원은 대결의 중심점과 좌표계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제1직선과 상기 대결의 중심점에서 직교하는 제2직선에 타원의 제1 및 제2 초점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판정선은 상기 대결의 중심점에 대한 좌표값, 상기 가상 판정선이 이루는 타원의 제1 및 제2 초점에 대한 좌표값 및 가상 판정선이 이루는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화면의 모든 픽셀마다 가상 판정선을 정의하는 데 필요한 대결의 중심점에 대한 좌표값, 가상 판정선이 이루는 타원의 제1 및 제2 초점에 대한 좌표값 및 가상 판정선이 이루는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를 구하여 메모리장치에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화면에 심판이 대결의 중심점을 지정함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지정된 대결의 중심점에 관한 데이터를 읽어들여서 상기 판정선에 대응하는 가상 판정선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16.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대결의 중심점으로 정하고 대결의 중심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범위를 갖는 판정선을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이탈할 때 소싸움경기의 승우를 전자식으로 판정하는 소싸움경기 판정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원형으로 이루어진 소싸움 경기장의 중심 상공에 설치되어 소싸움경기를 촬영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와,
    상기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경기 영상을 저장하고 재생하기 위한 제1 녹화장치와,
    재생되는 동영상을 포함하여 처리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의 모든 픽셀마다 대결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상기 판정선에 대응하는 가상 판정선을 정의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제1메모리장치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명령에 따라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경기 동영상을 제1 녹화장치에 저장시키고, 상기 제1녹화장치에 저장된 경기 동영상을 좌표계 화면으로 재생하며 상기 소싸움경기의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가 서로 맞붙은 지점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대결의 중심점으로 지정할 때 상기 제1메모리장치의 가상 판정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판정선을 표시하고, 상기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는 순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지정할 때 대결이 종료된 것으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모리장치의 가상 판정선 데이터는 대결의 중심점에 대한 좌표값, 가상 판정선이 이루는 타원의 제1 및 제2 초점에 대한 좌표값 및 가상 판정선이 이루는 타원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시스템의 기동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이 로딩되어 설치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에서 두 마리 싸움소가 대결을 시작하는 순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타이머를 작동시킬 때 경기시간의 측정을 시작하고, 상기 동영상 화면에서 두 마리 싸움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는 순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타이머의 작동을 정지시킬 때 타이머를 정지시키고 경기소요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화면에 대결의 중심점에 가상 판정선을 표시하고 승우의 결정이 이루어진 편집된 동영상을 저장하는 제2녹화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녹화장치에 저장되는 동영상 데이터는 상기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소싸움 경기의 대결이 시작된 순간부터 경기소요시간의 측정을 개시하고 어느 하나의 싸움소가 가상 판정선을 이탈하여 경기가 종료되는 순간까지 시간 기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싸움경기 판정장치.
KR1020060087391A 2006-09-11 2006-09-11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 이를이용한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및 판정장치 KR100837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391A KR100837455B1 (ko) 2006-09-11 2006-09-11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 이를이용한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및 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7391A KR100837455B1 (ko) 2006-09-11 2006-09-11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 이를이용한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및 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464A KR20080023464A (ko) 2008-03-14
KR100837455B1 true KR100837455B1 (ko) 2008-06-12

Family

ID=3939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7391A KR100837455B1 (ko) 2006-09-11 2006-09-11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 이를이용한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및 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74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178A (ja) * 1995-03-01 1996-09-10 Nishi Sports:Kk 陸上競技用自動ファール判定装置及び同判定方法
KR20020092327A (ko) * 2002-11-15 2002-12-11 주식회사 비솔 경주경기의 착순판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178A (ja) * 1995-03-01 1996-09-10 Nishi Sports:Kk 陸上競技用自動ファール判定装置及び同判定方法
KR20020092327A (ko) * 2002-11-15 2002-12-11 주식회사 비솔 경주경기의 착순판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464A (ko) 200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0323B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displaying penalty kick match cursors in a video soccer game
US5779548A (en) Game apparatus and method of replaying game
KR101767356B1 (ko) 트레이닝 연습의 진행을 자동으로 평가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CN111359200B (zh) 基于增强现实的游戏交互方法和装置
KR102103757B1 (ko) 볼링 투구 영상 촬영시스템
WO200703587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all trajectory
WO2002071334A2 (en) Sport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10245505B2 (en) Generating custom recordings of skeletal animations
EP4122564A1 (en) Exercise or sports equipment as game controller
EP3009173A1 (en) Assisted-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billiards
KR100837455B1 (ko)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 이를이용한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및 판정장치
KR100972828B1 (ko)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297582B1 (ko)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 장치, 전자 장치
CN101378813A (zh) 具有不正当行为防止功能的游戏装置、游戏中的不正当行为防止方法及其程序
KR100807419B1 (ko) 소싸움경기 판정을 위한 전자식 가상 판정선 설정방법,이를 이용한 전자식 소싸움경기 판정방법 및 판정장치
KR20210055243A (ko) 실제촬영영상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당구장 영상 시스템
KR102442157B1 (ko) 대전 장치 및 대전 방법
KR102120711B1 (ko) 당구 게임 관리 및 보조 시스템
JP2023531818A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JP2022093223A (ja) プレイ記録動画作成システム
JP6965975B2 (ja) 映像処理装置、マルチカメラシステム、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処理プログラム
US20230132529A1 (en) Personalization of user generated content
KR100226651B1 (ko) 단체 구기에 있어서의 공격 및 수비체제를 확인하고 교정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
US20220062776A1 (en) System, method and multi-feature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video creation
EP4212218A1 (en) A method, computer program, apparatus and system for recording tennis sporting event as from game start and stop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