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780B1 - 집수정 유지관리구 - Google Patents

집수정 유지관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780B1
KR100836780B1 KR1020070018044A KR20070018044A KR100836780B1 KR 100836780 B1 KR100836780 B1 KR 100836780B1 KR 1020070018044 A KR1020070018044 A KR 1020070018044A KR 20070018044 A KR20070018044 A KR 20070018044A KR 100836780 B1 KR100836780 B1 KR 10083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irt
sump
holder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열
김윤태
이종설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70018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수정 유지관리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집수정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 분리한 상태에서 집수정 내부에 적층된 오물 등의 청소가 용이한 집수정 유지관리구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집수정 유지관리구의 구성은, 집수정 유지관리구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내 하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수집 공간이 형성되는 바닥에 망체가 구비되는 하부 오물받이; 상기 하부 오물받이에서 이격된 상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수집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오물받이; 및 상기 하부 오물받이 및 상부 오물받이를 연결하는 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로 집수정, 오물받이, 상·하부 오물받이, 프레임, 오물

Description

집수정 유지관리구{SUMP MAINTENANCE MANAGEMENT TOOL}
도 1은 종래의 집수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 유지관리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집수정 유지관리구가 집수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 유지관리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 유지관리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집수정 유지관리구가 집수정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 유지관리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제 5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 유지관리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조립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 1, 2 실시 예의 집수정 유지관리구
110: 하부 오물받이 112: 플레이트
112': 망체 120: 상부 오물받이
122: 망체 124: 손잡이
130: 프레임
200: 제 3 실시 예의 집수정 유지관리구
210: 하부 오물받이 212: 플레이트
220: 상부 오물받이 222: 망체
224: 손잡이 230: 프레임
232a: 결합 돌기 232b: 결합 홀
300: 제 4 실시 예의 집수정 유지관리구
310: 하부 오물받이 312: 바닥면
320: 상부 오물받이 322: 망체
324: 손잡이 330: 프레임
400: 제 5 실시 예의 집수정 유지관리구
410: 하부 오물받이 412: 플레이트
414a, 420b: 걸림부 420: 상부 오물받이
422: 망체 424: 손잡이
430: 프레임
본 발명은 집수정 유지관리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집수정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 분리한 상태에서 집수정 내부에 적층된 오물 등의 청소가 용이한 집수정 유지관리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집수정은 호우 발생시 도로의 차량과 시민들이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포장면의 우수(雨水)를 원활히 배수시키는 기능을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7월부터 10월 사이에 호우가 집중되므로 도로 집수정의 청소는 보통 5월~6월에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도로 집수정은 여건상 1년당 1~2회의 청소만 수행하기 때문에 집수정 내부의 오물이 굳어있거나 오물 양이 많아 청소를 원활히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종래의 도로 집수정(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매설되며 일측면에 하수관로에 연결되는 배출로(14)가 형성되는 콘크리트의 몸체(12) 및 상기 몸체(12)의 상단에 안착되는 덮개(16)로 구성된다.
현재 상기 도로 집수정(10)이나 하수관로의 오물을 청소하는 전용차량이 있으나 비용상의 문제로 주로 하수관로를 청소하는데 쓰이고 집수정은 인력에 의존하 여 청소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작업자가 일일이 상기 도로 집수정(10)의 내부 바닥에 수집된 오물을 직접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통과할 수 있는 부피가 감소되도록 상하로 오물받이를 구비하면서 상·하부 오물받이 내부에 수집되는 오물 등을 집수정에서 분리한 후 간단하고 용이하게 청소가 가능할 수 있게 한 집수정 유지관리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상부 오물받이만 분리하여 간단히 청소할 수 있고, 집중호우 전에는 하부 오물받이를 꺼내서 청소할 수 있으며, 향후 침투 집수정 시공이 확대될 전망이므로 집수정 하부의 흙과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한 집수정 유지관리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집수정 유지관리구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내 하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수집 공간이 형성되고 바닥에 망체가 구비되는 하부 오물받이; 상기 하부 오물받이에서 이격된 상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수집 공간이 형성되는 상부 오물받이; 및 상기 하부 오물받이 및 상부 오물받이를 연결하는 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상부 오물받이는 부피가 큰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 및 낙엽 등을 걸러주고, 상기 하부 오물받이는 도로나 인도에서 유입되는 흙을 받아주므로 상기 집수정에서 오물받이를 분리한 상태로 청소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집수정에서 오물받이를 분리한 후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 내부에 잔류하는 오물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하부 오물받이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오물받이는 상기 프레임에서 장탈착됨으로써, 건기(乾期) 때에는 상기 상부 오물받이만 분리한 후 그 내부에 잔류하는 오물 등을 제거하며, 우수량이 많은 우기(雨期) 때에는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를 모두 분리하여 그 내부에 잔류하는 오물 등을 제거하므로 시기에 따라 오물의 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오물받이의 망체 간격이 상기 하부 오물받이의 망체 간격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오물받이에서는 부피가 큰 오물이 걸러지고 상기 하부 오물받이에서는 부피가 큰 오물이 걸러진 후 흙·먼지 등과 같이 부피가 작은 오물 및 슬러지(sludge)가 수집된다.
이하, 본 발명의 집수정 유지관리구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제 1 실시 예 >
본 실시 예의 집수정 유지관리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도로 집수정(10)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 오물받이(110), 상부 오물받이(120) 및 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오물받이(110)는 상기 도로 집수정(10)의 몸체(12)내 하부에 위치되도록 후술할 프레임(130)의 하부에 용접 등으로 접합하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바닥면에 플레이트(112)가 구비되며 외측벽에는 차단막(114)이 구비된다.
즉, 상기 하부 오물받이(110)는 외측벽을 이루는 차단막(114)의 길이만큼 간격을 갖도록 수직 프레임(132)을 사방에 구비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132)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134)을 용접 등으로 접합시키며 상기 차단막의 높이만큼 상측에 이 수평 프레임(134)으로 상기 수직 프레임(132)을 접합하여 연결시키고 상기 수직 프레임(132) 및 수평 프레임(134)으로 형성된 공간을 차단막으로 용접 등에 의해 접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하부 오물받이(110)는 모두 스테인리스재로 형성되며, 일반 집수정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상부 오물받이(120)는 상기 도로 집수정(10)의 몸체(12) 내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프레임(130)의 상부에 용접 등으로 접합하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바닥면에 망체(122)가 구비되며 외측벽에는 차단막(120a)이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 오물받이(120)는 외측벽을 이루는 차단막(120a)의 길이만큼 간격을 갖도록 수직 프레임(132)을 사방에 구비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132)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134)을 용접 등으로 접합시키며 상기 차단막(120a)의 높 이만큼 하측에 이 수평 프레임(134)으로 상기 수직 프레임(132)을 접합하여 연결시키고 상기 수직 프레임(132) 및 수평 프레임(134)으로 형성된 공간을 차단막으로 용접 등에 의해 접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상부 오물받이(120)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며, 상기 망체(122)는 그 간격이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 및 낙엽 등과 같은 오물을 수집하도록 5㎜ 내외로 형성되되 간격의 증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120, 110)는 스테인리스 판재를 수직 프레임(132)과 수평 프레임(134)에 연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스테인레스 판재를 절곡한 후 모서리 변부 4 지점에만 수직 프레임(132)에 의해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30)은 상기 하부 오물받이(110) 및 상부 오물받이(120)를 일체로 연결하는 기능을 하며, 수직 프레임(132)과 수평 프레임(134)으로 구성되되 각 변부를 스테인리스 봉으로 연결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수평 프레임(134)의 대향된 상단 중심부에는 집수정 유지관리구(100)를 집수정(10)으로부터 분리할 때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124)가 용접 등으로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120, 110) 및 프레임(130)은 스테인리스(stainless) 재로 형성되어 부식이나 녹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 유지관리구는 상기 집수정(10)의 내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건기 때에는 우수에 의해 유입되는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 및 낙엽 등이 상기 상부 오물받이(120)에 걸러지므로 상기 집수정 유지관리구(100)를 손잡이(124)를 작업자가 파지한 후 이 집수정(10)으로부터 분리하고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집중호우 또는 우기 때에는 우수(雨水)에 의해 유입되는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 및 낙엽과 유입된 흙 중에서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 및 낙엽 등은 간격이 넓은 상부 오물받이(120)의 망체(122)에 걸러지고 흙 등은 간격이 좁은 상기 하부 오물받이(110)에 수집되므로 상기 집수정 유지관리구(100)를 손잡이(124)를 작업자가 파지한 후 이 집수정(10)으로부터 분리하고 이 상·하부 오물받이(120, 110)에 수집된 오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 제 2 실시 예 >
본 실시 예의 집수정 유지관리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도로 집수정(10)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 오물받이(110), 상부 오물받이(120) 및 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오물받이(120) 및 프레임(130)은 제 1 실시 예의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부 오물받이(110)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되고 그 바닥에 망체(112')가 구비되며, 상기 망체(112')는 그 간격이 흙 등과 같은 오물을 수집하도록 1㎜ 내외로 형성되되 간격의 증감이 가능하고, 침투 집수정에 주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오물받이(110)의 망체(112') 간격은 상기 상부 오물받이(120)의 망체(122)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하여야 하며, 이 이유는 이 상부 오물받이(120)에서 부피가 큰 오물을 걸러줘야 하기 때문이다.
< 제 3 실시 예 >
본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 유지관리구(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도로 집수정(10)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 오물받이(210), 상부 오물받이(220) 및 프레임(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오물받이(210)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며, 상기 도로 집수정(10)의 몸체(12) 내 하부에 위치되도록 후술할 프레임(230)의 하부에 용접 등으로 접합하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외측벽에는 차단막(214)이 구비된다.
즉, 상기 하부 오물받이(210)는 외측벽을 이루는 차단막(214)의 길이만큼 간격을 갖도록 수직 프레임(232)을 사방에 구비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232)의 상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234)을 용접 등으로 접합시키며 상기 차단막(214)의 높이만큼 하단 수평 프레임(234)의 상측에 이 수평 프레임(234)으로 상기 수직 프레임(232)을 접합하여 연결시키고 상기 수직 프레임(232) 및 수평 프레임(234)으로 형성된 공간을 차단막(214)으로 용접 등에 의해 접합시킨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하부 하부 오물받이(210)의 바닥에 플레이트(212)가 구비되는 것으로 일반 집수정에 사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르게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망체로 구비하여 침투 집수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 다. 여기서, 상기 하부 오물받이(210)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며, 상기 망체가 적용될 경우 그 간격이 흙 등과 같은 오물을 수집하도록 1㎜ 내외로 형성되되 간격의 증감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하부 오물받이(210)에 망체를 구비할 경우 그 간격이 상기 상부 오물받이(220)의 망체(222)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하여야 하며, 이 이유는 이 상부 오물받이(220)에서 부피가 큰 오물을 걸러줘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상부 오물받이(220)는 상기 도로 집수정(10)의 몸체(12) 내 상부에 위치되면서 후술할 프레임(230)의 상단에서 장탈착되도록 구비되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바닥면에 망체(222)가 구비되며 외측벽에는 차단막(220a)이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 오물받이(220)는 외측벽을 이루는 차단막(220a)의 길이만큼 간격을 가지면서 이 차단막(220a)의 높이만큼 수직 프레임(232)을 절단하여 사방에 구비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232)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234)을 용접 등으로 접합시키며 상기 차단막(220a)의 높이만큼 하측에 이 수평 프레임(234)으로 상기 수직 프레임(232)을 접합하여 연결시키고 상기 수직 프레임(232) 및 수평 프레임(234)으로 형성된 공간에 차단막(220a)으로 용접 등에 의해 접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232)의 저면에는 각각 상기 프레임(230) 중 수직 프레임(232)의 저면에 각각 결합 홀(23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수평 프레임(234)의 대향된 상단 중심부에는 상기 상부 오물받이(220)를 집수정(10)으로부터 분리할 때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24)가 용접 등으로 접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오물받이(220)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며, 상기 망체(222) 는 그 간격이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 및 낙엽 등과 같은 오물을 수집하도록 5㎜ 내외로 형성되되 간격의 증감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220, 210)는 스테인리스 판재를 수직 프레임(232)과 수평 프레임(234)에 연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다르게는 스테인레스 판재를 절곡한 후 모서리 변부 4 지점에만 수직 프레임(232)에 의해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230)은 상기 하부 오물받이(210)를 그 하단에 연결 고정하면서 그 상부에 장탈착되는 상부 오물받이(220)가 안착되며, 수직 프레임(232)과 수평 프레임(234)으로 구성되되 각 변부를 스테인리스 봉으로 연결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30)의 수직 프레임(232)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오물받이(220)의 결합 홀(232b)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돌기(232a)가 돌출 형성된다.
더욱이, 상기 프레임(230)에서 그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수평 프레임(234)의 대향된 상단 중심부에는 상기 하부 오물받이(210)가 구비된 이 프레임(230)을 집수정(10)으로부터 분리할 때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36)가 용접 등으로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220, 210) 및 프레임(230)은 스테인리스(stainless) 재로 형성되어 부식이나 녹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 유지관리구(200)는 상기 집수정(10)의 내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건기 때에는 우수에 의해 유입되는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 및 낙엽 등이 상기 상부 오물받이(220)에 걸러지므로 장탈착되는 상기 상부 오물받이(220)의 손잡이(224)를 작업자가 파지한 후 이 집수정(10)으로부터 분리하고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집중호우 또는 우기 때에는 우수에 의해 유입되는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 및 낙엽은 상기 상부 오물받이(220)의 망체(222)에 걸러지고, 이 이외에 유입된 흙 등은 상기 하부 오물받이(210)에 수집되므로 상기 상부 오물받이(220)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오물받이(210)가 고정된 프레임(230)의 손잡이(236)를 작업자가 파지한 후 이 집수정(10)으로부터 분리하고 이 하부 오물받이(210)에 수집된 오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 제 4 실시 예 >
본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 유지관리구(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도로 집수정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 오물받이(310), 상부 오물받이(320) 및 프레임(3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320, 310) 및 프레임(330)은 사출 성형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제조 단가 면에서 저렴한 이점이 있다.
상기 하부 오물받이(310)는 상기 도로 집수정의 몸체 내 하부에 위치되도록 후술할 프레임(330)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외측벽에는 차단 막(304)이 형성되고 바닥면(312)은 막히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하부 오물받이(310)의 바닥면(312)이 막힌 상태에서 일반 집수정에 사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다르게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망체로 구비하여 침투 집수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오물받이(310)에 상기 망체가 적용될 경우 그 간격이 흙 등과 같은 오물을 수집하도록 1㎜ 내외로 형성되되 간격의 증감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하부 오물받이(310)에 망체를 구비할 경우 그 간격이 상기 상부 오물받이(320)의 망체(322)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하여야 하며, 이 이유는 이 상부 오물받이(320)에서 부피가 큰 오물을 걸러줘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상부 오물받이(320)는 상기 도로 집수정의 몸체 내 상부에 위치되면서 후술할 프레임(330)의 상단에서 장탈착되도록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바닥면에 망체(322)가 구비되며 외측벽에는 차단막(320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오물받이(320)의 대향된 상단 중심부에는 집수정으로부터 분리할 때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24)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오물받이(320)의 망체(322)는 그 간격이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 및 낙엽 등과 같은 오물을 수집하도록 5㎜ 내외로 형성되되 간격의 증감이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330)은 상기 하부 오물받이(310)를 그 하단에 구비하면서 그 상부에 상부 오물받이(320)가 구비되며,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320, 310)의 모서리부를 서로 연결되도록 성형하는 절곡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오물받이(320)는 제 3 실시 예에서와 같이 하부 오물받이(310)가 형성된 프레임(330)의 상단에서 탈부착될 수도 있다.
< 제 5 실시 예 >
본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 유지관리구(4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도로 집수정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 오물받이(410), 상부 오물받이(420) 및 프레임(4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420, 410) 및 프레임(43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부 오물받이(410)는 상기 도로 집수정의 몸체 내 하부에 위치되도록 후술할 프레임(430)의 수직 프레임(432) 하부에 용접 등으로 접합하되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양단이 분리되며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바닥면에 플레이트(412)가 구비되며 외측벽에는 차단막(414)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오물받이(410)는 모두 스테인리스재로 형성되며, 일반 집수정에 주로 사용되며, 상기 하부 오물받이(410)의 플레이트(412) 대신에 망체를 구비할 경우 침투 집수정에 주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부 오물받이(410)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분할된 일단의 대향된 차단막(414)에서 그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414a)의 내부에 분할된 타단의 대향된 차단막(414)이 삽입되고 일단의 플레이트(412)가 타단의 플레이트(412)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오물받이(420)도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양측으로 분할된 일단의 대향된 차단막(420a)에서 그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부(420b)의 내부에 분할된 타단의 대향된 차단막(420a)이 삽입되고 일단의 망체(422)가 타단의 망체(422)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상부 오물받이(420)는 상기 도로 집수정의 몸체 내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432)의 상부에 용접 등으로 접합하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바닥면에 망체(422)가 구비되며 외측벽에는 차단막(420a)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오물받이(420)는 스테인리스로 형성되며, 상기 망체(422)는 그 간격이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 및 낙엽 등과 같은 오물을 수집하도록 5㎜ 내외로 형성되되 간격의 증감이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430)은 분할된 양측의 상기 하부 오물받이(410) 및 상부 오물받이(420)를 일체로 연결하는 기능을 하며, 수직 프레임(432)과 수평 프레임(434)으로 구성되되 각 변부를 스테인리스 봉으로 연결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420, 410)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432)의 중간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평 프레임(434)을 길이 조절 방향과 동일하도록 용접 등으로 접합하는 상기 수평 프레임(434)을 양측으로 분할하며 어느 하나의 내부에 다른 하나가 삽입되어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더욱이, 분할되는 상부 오물받이(420)의 대향된 상단 중심부에는 상기 오물받이(400)를 집수정으로부터 분리할 때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24)가 용접 등으로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420, 410) 및 프레임(430)은 스테인리스(stainless) 재로 형성되어 부식이나 녹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집수정 유지관리구(400)는 상기 집수정의 내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건기 때에는 우수에 의해 유입되는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 및 낙엽 등이 상기 상부 오물받이(420)에 걸러지므로 장탈착되는 상기 상부 오물받이(420)의 손잡이(424)를 작업자가 파지한 후 이 집수정으로부터 분리하고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집중호우 또는 우기 때에는 우수에 의해 유입되는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 및 낙엽은 상기 상부 오물받이(420)의 망체(422)에 걸러지고, 이 이외에 유입된 흙 등은 상기 하부 오물받이(410)에 수집된 오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집수정 유지관리구는 통과할 수 있는 부피가 감소되도록 상하로 오물받이를 구비하면서 상·하부 오물받이 내부에 수집되는 오물 등을 집수정에서 분리한 후 간단하고 용이하게 청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상부 오물받이만 분리하여 간단히 청소할 수 있고, 집중 호우 전에는 하부 오물받이를 꺼내서 청소할 수 있으며, 침투 집수정 시공이 확대될 경우 집수정 하부의 흙과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부식 또는 제작 단가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집수정 유지관리구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내 하부에 위치되어 내부에 수집 공간이 형성되며, 외측벽을 이루는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의 바닥에 접합된 플레이트 또는 망체로 구성되면서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는 하부 오물받이;
    상기 하부 오물받이에서 이격된 상측에 위치되어 내부에 수집 공간이 형성되며 외측벽을 이루는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의 바닥에 망체로 구성되면서 육면체 형상의 대향된 양단에 손잡이가 구비되는 상부 오물받이; 및
    상기 하부 오물받이와 상부 오물받이를 연결하는 봉 형태로 형성되되 상, 하측 차단막의 길이만큼 간격을 갖도록 모서리 사방에 구비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과 상기 차단막의 상, 하부 변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기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유지관리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오물받이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오물받이는 상기 프레임에서 장·탈착되되 상기 프레임의 상단 모서리부에는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와 상응한 상기 상부 오물받이의 저면 모서리부에 삽입되도록 결합 홀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오물받이 및 프레임의 대향된 양단에 손잡이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유지관리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분할 형성되되, 분할된 일단의 대향된 차단막에서 그 내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각각의 걸림부 내부에 분할된 타단의 대향된 차단막이 각각 삽입되고 일단의 플레이트가 타단의 플레이트의 상부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의 모서리를 각각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길이 조절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접합하는 상기 수평 프레임을 양측으로 분할한 후 상기 수평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다른 하나가 삽입되어 간격이 조절되는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유지관리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오물받이는 판재를 상부가 개구되도록 절곡한 후 모서리 변부 4 지점에 수직 프레임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정 유지관리구.
KR1020070018044A 2007-02-22 2007-02-22 집수정 유지관리구 KR10083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044A KR100836780B1 (ko) 2007-02-22 2007-02-22 집수정 유지관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044A KR100836780B1 (ko) 2007-02-22 2007-02-22 집수정 유지관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780B1 true KR100836780B1 (ko) 2008-06-12

Family

ID=39770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044A KR100836780B1 (ko) 2007-02-22 2007-02-22 집수정 유지관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94Y1 (ko) * 2010-07-02 2010-12-23 이용교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집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509Y1 (ko) 2001-06-22 2001-10-31 (주)엔포텍워터 우수받이용 필터링 바스켓
KR200265402Y1 (ko) * 2001-10-30 2002-02-25 성종상 우수 침투장치
KR200333114Y1 (ko) * 2002-10-17 2003-11-12 박태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빗물받이용 준설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509Y1 (ko) 2001-06-22 2001-10-31 (주)엔포텍워터 우수받이용 필터링 바스켓
KR200265402Y1 (ko) * 2001-10-30 2002-02-25 성종상 우수 침투장치
KR200333114Y1 (ko) * 2002-10-17 2003-11-12 박태훈 길이 조절이 가능한 빗물받이용 준설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594Y1 (ko) * 2010-07-02 2010-12-23 이용교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집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9420B1 (en) Sanitary, storm and catch basin trap with filter insert
US7959799B2 (en) Street curb filter basket system
US6797162B2 (en) Catch basin filter for stormwater runoff
US6869525B1 (en) Storm drain filter system
KR101749656B1 (ko)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US7288188B2 (en) Ground water collection system
CN103382739B (zh) 一种雨水口截污装置及其使用方法
KR100976852B1 (ko) 집수정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20110010631U (ko)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KR100836780B1 (ko) 집수정 유지관리구
CN212582849U (zh) 一种新型公路施工用排水槽装置
KR101320456B1 (ko)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KR200405382Y1 (ko) 절ㆍ성토부면 노면에 적용되는 집수정 구조
KR200437460Y1 (ko)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도로의 집수박스 구조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100842368B1 (ko) 통합형 우수겸용 오수받이
KR101765314B1 (ko) 분리형 빗물받이 필터
KR101027931B1 (ko) 집수구용 그레이팅
KR20160121676A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87840A (ko) 담배꽁초수거통이 구비된 도로용 빗물받이
KR100781715B1 (ko) 오물수거 버켓이 설치된 빗물받이 블럭
CN212715255U (zh) 一种市政道路防堵排水沟
CN219908433U (zh) 一种道路排水结构
CN212001523U (zh) 一种收水井三重滤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