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714B1 - 고무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무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714B1
KR100836714B1 KR1020060118773A KR20060118773A KR100836714B1 KR 100836714 B1 KR100836714 B1 KR 100836714B1 KR 1020060118773 A KR1020060118773 A KR 1020060118773A KR 20060118773 A KR20060118773 A KR 20060118773A KR 100836714 B1 KR100836714 B1 KR 100836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rubber
glove
rubber glove
powd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1198A (ko
Inventor
정만근
Original Assignee
정만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만근 filed Critical 정만근
Priority to KR1020060118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714B1/ko
Publication of KR2007001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14Dipping a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64Producing wearing apparel
    • B29D99/0067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42Outerwear
    • B29L2031/4864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성 및 방향성이 개선된 고무 장갑에 관한 것으로, 내피면 상에 형성되며, 쑥 분말을 함유하는 분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완성된 고무 장갑의 내피면 상에 쑥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쑥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층은 방향, 살균 등과 같은 효과를 피부에 작용함으로써, 고무 장갑의 착용에 따른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고무장갑, 분말층, 쑥

Description

고무 장갑 및 그 제조 방법{Rubber Glov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 장갑의 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무 장갑 제조 방법의 공정도.
본 발명은 고무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성 및 방향성이 개선된 고무 장갑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목적, 특히 가정에서의 식기 세척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고무 장갑은 물에 대한 방수성 및 세척 등의 대상이 되는 물체에 대한 접착력을 강화시켜야 하므로, 최근에는 라텍스가 장갑의 구성 물질로 사용된다.
이러한 고무 장갑의 통상적인 제조 공정은 천연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용제를 수용한 디핑조에 금형을 담구어 금형에 용제가 일정한 두께로 응착되도록 하고, 이를 인출하여 건조 및 착색과정 등의 공정을 거친 후 금형과 성형물을 분리시켜 뒤집에 줌으로써 고무장갑을 완성하고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염화 칼슘이 함유된 응고제를 고무 제조 공정에 사용하게 된다.
사용자가 장시간 장갑을 착용하는 경우, 땀이 차거나 체온이 상승하여 세균 및 곰팡이 등이 고무 장갑의 내피에서 발생, 증식하고 이는 상기 염화 칼슘과 결합되어 주부 습진 등과 같은 다양한 피부 질환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고무면과 피부의 직접 첩촉에 의하여, 사용자는 불쾌한 착용감을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 고무 자체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이 피부로 침투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와 고무의 직접 접촉을 차단하여 직접 접촉에 의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을 방지하고, 또한 피부와 내피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시켜 사용자의 쾌적한 착용감을 발생시키는 고무 장갑을 제공하는 데 제 1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무 장갑을 제공하는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제 2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 제 1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일 구체예는 내피면 상에 형성되며, 쑥 분말을 함유하는 분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을 개시한다.
상기 제 2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또 다른 구체예는 완성된 고무 장갑을 100℃의 물로 습식 가열하는 단계, 상기 습식 가열된 장갑을 건조한 후 내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몰드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장착된 장갑을 고무로 디핑하는 단계, 상기 디핑된 장갑상에 쑥 분말을 함유하는 분말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장갑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고무 장갑의 폴리머 물질에 피부가 직접 접촉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유리한 효과를 발생시키는 쑥 분말에의한 피부 보호효과를 갖게 한다. 또한 고무 장갑과 피부 사이에 미세한 공간을 생성시킴으로써, 통풍성을 향상시키고, 땀 배출 성능을 개선하는 현저한 효과를 낳는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상기 제 1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 장갑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고무장갑(100)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를 때, 고무 장갑은 라텍스로 제조된다. 라텍스는 스틸렌(Styrene Monomer)과 부타디엔(Butadiene)를 주원료로 하여 유화중합으로 제조된 제품이며, 방수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 생활 용품 등의 제조 물질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사용자의 피부가 라텍스와 장시간 접촉한다면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질환 등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사용자의 피부는 라텍스의 내피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면서, 물 등과 직접 접촉하는 외피는 기존의 라텍스 재질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내피면 및 외피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도면이 또한 개시된다. 외피면(110)은 라텍스로 이루어진 외피면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외피면(110)과 접하는 내피면(115) 상에 적층된 분말층(120)이 개 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말층(120)은 순면 분말(121) 및 쑥 분말(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말층(120)은 반드시 충분히 조밀하게 적층되어야 한다. 만약, 분말층(120)이 조밀하게 적층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의 피부가 라텍스 재질과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꾀하는 특정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밀성의 획득은 본 발명에서 필수적이며,이러한 조밀성의 획득은 하기 설명되는 분말의 직경 조절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쑥 분말(122)이 갖는 효과를 자세히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쑥(mugwort)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지역과 유럽 등에 널리 분포하는 번식력이 강한 다년 식물이며,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 지역에서는 다양한 질병의 치료 약재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방향성, 항균 및 항종양에 대하여 활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쑥 분말(122)은 따라서 라텍스 재질 대신 피부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기술한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키므로, 상기 쑥 분말(122)은 전체 분말층(120)의 무게를 기준하여 30% 내지 90%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이어야 한다. 만약, 상기 범위보다 높은 경우, 순면 분말(121)의 함량이 너무 낮아져, 순면이 가지는 땀 흡수성 등이 떨어지므로 착용 쾌적감을 감퇴시키고, 만약 상기 범위보다 낮은 경우는 쑥에 의하여 발생하는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쑥 분말(122)은 800 내지 900 메쉬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000 메쉬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쑥 분말(122)의 균일한 분포 및 피부 접촉을 하기 위하여, 상기 순면 분말(121) 역시 상기 쑥 분말(122)와 비슷한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분말층(120)에 피부 보호제인 라노닌이 더 포함된 고무 장갑을 개시한다. 필요에 따라 피부 보호제 이외의 다른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라노닌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 2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예를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완성된 고무 장갑을 가열한다(S200). 이 과정을 통하여 상기 고무 장갑의 재질에 잔류하는 염 성분(주로 염화칼슘)이 제거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00℃의 끓는 물에 상기 고무 장갑을 담근 후 가열하는 습식 가열 방식을 채택하였다. 필요에 따라, 증기에 의하는 건식 방법 등도 고려할 수 있다.
다음, 가열된 상기 고무 장갑을 송풍 방식 등에 의하여 건조한 후 이를 뒤집은 후 몰드에 장착하여, 상기 고무 장갑의 내피면을 외부로 노출시킨다(S200).
이후, 상기 고무 장갑의 내피면에 디핑 공정이 진행된다(S300). 상기 디핑 공정을 통하여 고무 장갑의 내피면에 일정한 고무액이 도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라텍스액이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디핑 공정을 통하여 고무 장갑의 내 피면은 고체 분말 등이 접촉되어, 부착될 수 있는 충분한 접착성을 얻게 되었다.
다음에, 상기 디핑된 내피면에 쑥 분말, 순면 분말, 및 첨가제들으로 구성된 분말층이 형성된다(S4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성분으로 구성된 분말 등이 수용된 공간에 상기 디핑된 내피면을 접촉시킴으로써 분말층이 형성되었다. 이때, 디핑 공정 후 내피면은 충분히 짧은 시간 내에 분말층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디핑된 내피면이 자연 건조되어, 분말층이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핑 공정 후 30분 이내에 상기 분말층이 형성되었다.
이때 중요한 또 하나의 기술적 요소는 분말층을 구성하는 분말의 직경이다. 만약, 분말들간의 직경의 차이가 크다면, 상기 고무 장갑의 효과는 더 큰 직경에 의한 효과가 지배적일 것이다. 본 발명은 순면 및 쑥에 의한 효과 모두를 수득하고자 하는 점을 고려해보건대, 양 분말간의 두께 차는 사실상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말의 두께는 충분히 작아서, 상기 분말층 하부에 위치되는 고무장갑의 내피면에 피부가 접촉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분말 성분의 두께는 상술한 바와 같다.
다음, 상기 분말층을 건조 시킨 후(S500) 다시 외피면을 외부로 노출시켜 완제품을 형성(S600)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80℃로 40분간 내피면을 건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완성된 고무 장갑의 내피면 상에 쑥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층이 형성된다. 상기 쑥 분말을 포함하는 분말층은 방향, 살균 등과 같은 효과를 피부에 작용함으로써, 고무 장갑의 착용에 따른 다양한 문제를 해 결할 수 있다.

Claims (7)

  1. 내피면 상에 형성되며, 쑥 분말을 함유하는 분말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장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층은 상기 고무 장갑의 내피면이 상기 고무 장갑을 착용하는 피부와 직접 접촉하지 못하도록 조밀하게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장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층은 순면 분말 및 피부 보호제 라노닌을 더 함유하며, 상기 쑥 분말의 함량은 전체 분말층의 무게를 기준으로 3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장갑.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쑥 분말은 600 내지 1000 메쉬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장갑.
  5. 완성된 고무 장갑을 습식 가열하는 단계;
    상기 습식 가열된 장갑을 건조한 후 내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몰드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장착된 장갑을 고무액로 디핑하는 단계;
    상기 디핑된 장갑상에 쑥 분말을 함유하는 분말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장갑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순면 분말 및 피부 보호제 라노닌을 더 함유하며, 상기 쑥 분말의 함량은 전체 분말층의 무게를 기준으로 3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쑥 분말은 600 내지 1000 메쉬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장갑의 제조 방법.
KR1020060118773A 2006-11-29 2006-11-29 고무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6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773A KR100836714B1 (ko) 2006-11-29 2006-11-29 고무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773A KR100836714B1 (ko) 2006-11-29 2006-11-29 고무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198A KR20070011198A (ko) 2007-01-24
KR100836714B1 true KR100836714B1 (ko) 2008-06-10

Family

ID=3801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773A KR100836714B1 (ko) 2006-11-29 2006-11-29 고무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7233A (zh) * 2016-08-30 2016-11-23 任新年 一种抗菌橡胶板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8338B (zh) * 2011-12-26 2013-12-04 菏泽巨鑫源食品有限公司 营养护肤润肤有粉pvc手套及其制作方法
KR101389946B1 (ko) * 2013-11-04 2014-04-30 임석민 내면코팅 고무장갑과 그 제조방법
KR101373663B1 (ko) * 2013-11-12 2014-03-13 임석민 섬유 코팅 고무장갑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인 전극봉 금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9211A (ja) 1998-02-12 1999-08-24 Sumitomo Rubber Ind Ltd 手 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9211A (ja) 1998-02-12 1999-08-24 Sumitomo Rubber Ind Ltd 手 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7233A (zh) * 2016-08-30 2016-11-23 任新年 一种抗菌橡胶板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198A (ko)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4484B2 (ja) アロエ・ベラのグローブおよび製造方法
US6953582B2 (en) Skin-enhancing glove and method of manufacture
CA2550330C (en) Polymer composite fibrous coating on dipped rubber articles and method
EP2068666B1 (en) An elastomeric flexible article with absorbant polymer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0836714B1 (ko) 고무 장갑 및 그 제조 방법
AU2013280209A1 (en) Abrasion and cut resistant coating and coated glove
US20180171541A1 (en) Anti-perspirant glove
CA2745546A1 (en) Water-resistant and chemical-resistant glove
EP3073851A1 (en) Glove having foam lining for sweat management
WO2004002252A1 (ja) 保湿性手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49704B1 (ko) 고수분 전이성과 혈류개선에 의한 보온 기능을 갖는 의류용 섬유시트
JP2013231272A (ja) 手を保護する製品を製造する方法
DK3023538T3 (en) ANTIPERSPIRANT GLOVE
KR200427043Y1 (ko) 활성탄 함유층을 가진 고무장갑
CN205171248U (zh) 调温手套革
CN105586445B (zh) 一种真皮制作方法
JP3229866U (ja) 備長炭入りダウン構造
JP2004027449A (ja) 保湿性手袋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26963A (ko) 황토를 이용한 가구 제조방법
KR100997501B1 (ko) 보온섬유의 제조방법
JPS62155804A (ja) 靴用防菌防黴性胛材
CN108265519A (zh) 一种防勾丝袜子
KR20090130997A (ko) 보온섬유의 제조방법
TWM552424U (zh) 防水透濕多功能聚氨酯複合套
GB2535736A (en) Glo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