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560B1 - 지상파 dmb 안테나 - Google Patents

지상파 dmb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560B1
KR100836560B1 KR1020060107075A KR20060107075A KR100836560B1 KR 100836560 B1 KR100836560 B1 KR 100836560B1 KR 1020060107075 A KR1020060107075 A KR 1020060107075A KR 20060107075 A KR20060107075 A KR 20060107075A KR 100836560 B1 KR100836560 B1 KR 100836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errestrial dmb
retractable
terminal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9593A (ko
Inventor
정종호
박창신
최창규
김병남
윤영상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안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안테나 filed Critical (주)에이스안테나
Priority to KR1020060107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560B1/ko
Publication of KR20080039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3Latching means; ensuring extension or retra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리트랙터블 안테나(retractable antenna)와 내장형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안테나가 결합된 지상파 DMB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서 리트랙터블 안테나의 인입 및 인출을 가능하게 하여,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서로 연결되므로써,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가 단독으로 동작할 경우에 비하여 향상된 복사 특성을 나타내는 지상파 DMB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가 결합된 지상파 DMB 안테나는,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지상파 DMB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상기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연결되어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분리되어 단독으로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에 연결되어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제1정합회로; 및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제2정합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장형, 지상파, DMB, 리트랙터블, 안테나

Description

지상파 DMB 안테나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tenna}
도 1은 종래의 로드 안테나의 구조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액티브 안테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다중대역 안테나의 구조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서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입된 경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서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출된 경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5a는 도 4a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입 되었을 때의 정재파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도 4b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출 되었을 때의 정재파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입된 경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출된 경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7a는 도 6a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입 되었을 때의 정재파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b는 도 6b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출 되었을 때의 정재파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리트랙터블 안테나(retractable antenna)와 내장형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안테나가 결합된 지상파 DMB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서 리트랙터블 안테나의 인입 및 인출을 가능하게 하여,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서로 연결되므로써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가 단독으로 동작할 경우에 비하여 향상된 복사 특성을 나타내는 지상파 DMB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파로 바꾸어 주거나, 그 반대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송신기의 경우에는 송신기에서 보내고 싶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파로 바꾸어 멀리까지 보내고, 멀리서 송신된 전파를 수신하면 그 전파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수신기에 전달한다.
상기와 같은 안테나의 몇 가지 종류를 도 1 내지 도 3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로드 안테나의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안테나(rod antenna, 30)는 그라운드 플레인(10)에 부싱(20)을 통하여 연결되어 급전된다(feed). 상기 로드 안테나(30)는 다단 방식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을 시청할 경우에는 로드 안테나(30)를 인출시킨 상태로 시청하고, TDMB 방송을 시청하지 않을 경우에는 로드 안테나(30)를 인입하여 로드 안테나(30)가 동작하지 않게 한다.
그러나, 상기 로드 안테나(30)는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기 때문에,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약 1/4 파장의 공진 길이를 가져야만 한다. 이 경우에, 단말기 외부로 나오는 로드 안테나(30)의 높이가 증가하게 된다. 만약, 약 1/4 파장보다 짧은 공진 길이로 로드 안테나(30)를 구현하고자 한다면, 공진 주파수를 낮추기 위한 별도의 정합회로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액티브 안테나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안테나(active antenna)는 안테나 소자(40)에 액티브 모듈(50)을 연결하여 방송신호를 출력한다.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소자(40)의 다음 단에 연결된 액티브 모듈(50)은 저잡음 증폭기로 구성되기 때문에, 액티브 모듈(50)에서 입력신호를 증폭시키게 되어 작은 크기의 안테나에서도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액티브 안테나는 안테나와 함께 별도의 액티브 모듈(50)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단말기 자체에서 발생 하는 노이즈가 많을 경우에, 신호증폭시 노이즈가 함께 증폭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다중대역 안테나의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대역 안테나는 내장형 안테나(60)와 리트랙터블 안테나(70)로 구성된다.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70)가 단말기 내부로 인입시에는 내장형 안테나(60)만으로 전기신호 공급부(80)와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70)가 단말기 외부로 인출시에는 내장형 안테나(60)와 리트랙터블 안테나(70)가 같이 동작하여 전기신호 공급부(8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러나, 상기 다중대역 안테나는 리트랙터블 안테나(70)가 인입되어 있을 때, 전기신호 공급부(80)와 신호를 송수신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말기 내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서 리트랙터블 안테나의 인입 및 인출을 가능하게 하여,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서로 연결되므로써,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가 단독으로 동작할 경우에 비하여 향상된 복사 특성을 나타내는 지상파 DMB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지상파 DMB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상기 단말기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연결되어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분리되어 단독으로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에 연결되어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제1정합회로; 및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제2정합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안테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지상파 DMB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상기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연결되어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분리되어 단독으로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에 연결되어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제1정합회로와;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제2정합회로; 및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제1정합회로를 수신기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제2정합회로를 상기 수신기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안테나를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서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입된 경우를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서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출된 경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60)가 내장된 단말기(170)에는,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 리트랙터블 안테나(110), 제1정합회로(120), 제2정합회로(130), 제1부싱(140) 및 제2부싱(150)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는 PCB 기판에 놓여 상기 단말기(170)에 내장되어 위치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의 측면에 인입되어 위치될 수도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의 측면에서 인출되어 위치될 수도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상기 단말기(170)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와 수신기(160)의 사이에 위치한 제1정합회로(120) 및 상기 수신기(160)를 통하여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상기 단말기(170)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와 분리되어 제2정합회로(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정합회로(130)와 상기 수신기(160)를 통하여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1정합회로(120)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와 상기 수신기(16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상기 단말기(170)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상기 제1부싱(140)에 접촉되어 단락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는 상기 제1부싱(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정합회로(120)를 통하여 상기 내장형 DMB 안테나와 상기 수신기(160) 사이의 임피던스가 정합된다. 그러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상기 단말기(170)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상기 제1부싱(140)과 분리되어 개방 상태가 되고 제2부싱(150)과 접촉되기 때문에 따라서, 상기 제1정합회로(120)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와는 더 이상 연결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이다.
상기 제2정합회로(13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신기(160)와 상기 제2부싱(15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상기 단말기(170)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상기 제1 부싱(140)과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제2정합회로(130)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와는 연결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 제2정합회로(13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상기 단말기(170)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제2부싱(150)에 접촉되어 단락상태가 되기 때문에 따라서, 상기 제2부싱(150)과 연결된 제2정합회로를 통하여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와 상기 수신기(160) 사의의 임피던스가 정합된다.
상기 제1부싱(14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상기 단말기(170)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와 접촉되어 단락되기 때문에 상기 제1부싱(140)에 연결된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와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킨다. 그러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상기 단말기(170)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제1부싱(140)은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와 더 이상은 접촉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와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제2부싱(15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상기 단말기(170)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와 접촉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는 상기 제2정합회로(130)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상기 단말기(170)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제2부싱(150)에 접촉되어 단락되기 때문에 상기 제2부싱에 의하여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와 상기 제2정합회로(130)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단말기(170)의 내부로 인입된 경우에 지상파 DMB 안테나의 전기적 공진 길이는,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의 전기적 길이와 인입된 리트랙터블 안테나(110)의 전기적 길이를 모두 합한 전체적인 길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단말기(170)의 외부로 인출된 경우에 지상파 DMB 안테나의 전기적 공진 주파수는, 인출된 리트랙터블 안테나(110)의 전기적 길이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이와같은 경우에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는 리트랙터블 안테나(110)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공진 길이가 감소하게 되기 때문에 지상파 DMB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상승하게 된다.
도 5a는 도 4a의 경우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입 되었을 때의 정재파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b는 도 4b의 경우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출 되었을 때의 정재파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의 측면에 인입되었을 경우에, 지상파 DMB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와 리트랙터블 안테나(110)의 전기적인 길이를 모두 합한 전체적인 전기적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의 측면에서 인출되었을 경우에, 지상파 DMB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리트랙터블 안테나(110)의 전기적 길이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의 측면에 인입된 경우에 지상파 DMB 안테나의 공진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3(지상파 DMB) 대역에서 발생하게 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상파 DMB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각각 180MHz, 210MHz, 300MHz일 경우에, 상기 지상파 DMB 안테나의 정재파비(VSWR)는 각각 4.5734, 2.9404, 19.710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리트랙터블 안테나(110)가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100)의 측면에서 인출된 경웨 지상파 DMB 안테나 공진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3(지상파 DMB) 대역에서 발생하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상파 DMB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각각 180MHz, 210MHz, 300MHz일 경우에, 상기 정재파비(VSWR)는 각각 4.4262, 1.9205, 13.947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입된 경우를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출된 경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60)가 내장된 단말기(270)에는,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 리트랙터블 안테나(210), 제1정합회로(220), 제2정합회로(230), 부싱(240) 및 스위칭 제어수단(250)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는 PCB 기판에 놓여 상기 단말기(270)에 내장되어 위치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의 측면에 인입되어 위치될 수도 있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의 측면에서 인출되어 위치될 수도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상기 단말기(270)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와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가 상호 연결되어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와 상기 수신기(260) 사이에 위치한 제1정합회로(220)와 상기 수신기(260)를 통하여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상기 단말기(270)의 외부로 인출시에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로부터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분리된 후에 상기 제2정합회로(230)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정합회로(230)와 상기 수신기(260)를 통하여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1정합회로(22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상기 단말기(270)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정합회로(220)에 의하여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와 상기 수신기(260) 사이의 임피던스가 정합된다.
상기 제2정합회로(23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상기 단말기(270)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상기 제2정합회로(230)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정합회로(230)에 의하여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와 상기 수신기(260) 사이의 임피던스가 정합된다.
상기 스위칭 제어수단(25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상기 단말기(270)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제1정합회로(220)와 연결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상기 단말기(270)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제2정합회로(230)와 연결된다.
상기 부싱(240)은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와 리트랙터블 안테나(210)를 상호 연결시킨다.
상기 스위칭 제어수단(250)은 터치 센서(251)와 스위칭 소자(252)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센서(251)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의 접촉 유무로 ON/OFF 동작한다. 그리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상기 단말기(270)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와 상기 터치 센서(251)가 상호 접촉되어 ON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칭 소자(252)는 상기 제1정합회로(220)를 상기 수신기(260)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하고,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상기 단말기(270)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와 상기 터치 센서(251)의 상호 접촉이 분리되어 OFF로 동작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칭 소자(252)는 상기 제2정합회로(230)를 상기 수신기(260)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단말기(270)의 내부로 인입된 경우에 지상파 DMB 안테나의 전기적 공진 주파수는,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의 전기적 길이와 인입된 리트랙터블 안테나(210)의 전기적 길이를 모두 합한 전체적인 길이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단말기(270)의 내부로 외부로 인출된 경우에 지상파 DMB 안테나의 전기적 공진 주파수는, 인출된 리트랙터블 안테나(210)의 전기적 길이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는 리트랙터블 안테나(210)와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체적인 공진 길이가 감소하게 되기 때문에 지상파 DMB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상승하게 된다.
도 7a는 도 6a의 경우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입 되었을 때의 정재파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b는 도 6b의 경우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인출 되었을 때의 정재파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의 측면에 인입되었을 경우에, 지상파 DMB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와 리트랙터블 안테나(210)의 전기적인 길이를 모두 합한 전체적인 전기적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의 측면에서 인출되었을 경우에, 지상파 DMB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리트랙터블 안테나(210)의 전기적 길이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의 측면에 인입된 경우에 지상파 DMB 안테나 공진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3(지상파 DMB) 대역에서 발생하게 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상파 DMB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각각 180MHz, 210MHz, 300MHz일 경우에, 상기 지상파 DMB 안테나의 정재파비는 각각 3.8977, 2.9670, 18.886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리트랙터블 안테나(210)가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200)의 측면에서 인출된 경우에 지상파 DMB 안테나의 공진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3(지상파 DMB) 대역에서 발생하게 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상파 DMB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각각 180MHz, 210MHz, 300MHz일 경우에, 상기 지상파 DMB 안테나의 정재파비는 각각 3.3209, 1.4142, 9.9115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가 결합된 지상파 DMB 안테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의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결합된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는, 지상파 DMB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서 리트랙터블 안테나의 인입 및 인출을 가능하게 하여, 인입 시에는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서로 연결되므로써,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가 단독으로 동작할 경우에 비하여 향상된 복사 특성을 갖게 한다. 또한, 방송신호가 약한 지역에서는, 리트랙터블 안테나를 인출시켜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는 동작하지 않게 하고, 리트랙터블 안테나만 동작하게 한다.

Claims (6)

  1.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지상파 DMB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상기 단말기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연결되어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분리되어 단독으로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연결되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제1정합회로; 및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 시에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제2정합회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안테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를 연결하는 제1부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안테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 시에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상기 제2정합회로를 연결하는 제2부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안테나.
  4.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내장된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지상파 DMB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상기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연결되어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분리되어 단독으로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는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연결되는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제1정합회로와;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 시에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상기 수신기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제2정합회로; 및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제1정합회로를 수신기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제2정합회로를 상기 수신기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안테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지상파 DMB 안테나와 리트랙터블 안테나를 연결하는 부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안테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수단은,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의 접촉 유무에 의하여 ON/OFF 동작하는 터치 센서; 및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내부로 인입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상기 터치 센서가 상호 접촉되어 상기 제1정합회로를 상기 수신기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가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인출 시에는 상기 리트랙터블 안테나와 상기 터치 센서가 상호 접촉이 분리되어 상기 제2정합회로를 상기 수신기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파 DMB 안테나.
KR1020060107075A 2006-11-01 2006-11-01 지상파 dmb 안테나 KR100836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075A KR100836560B1 (ko) 2006-11-01 2006-11-01 지상파 dmb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075A KR100836560B1 (ko) 2006-11-01 2006-11-01 지상파 dmb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593A KR20080039593A (ko) 2008-05-07
KR100836560B1 true KR100836560B1 (ko) 2008-06-10

Family

ID=39647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075A KR100836560B1 (ko) 2006-11-01 2006-11-01 지상파 dmb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787B1 (ko) * 2010-09-28 2011-08-09 (주)파트론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926A (ja) * 1995-02-16 1996-08-30 Sanyo Electric Co Ltd アンテナ装置
KR20050081433A (ko) * 2004-02-13 2005-08-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 매칭장치
KR20060037917A (ko) * 2004-10-29 2006-05-03 주식회사 팬택 리트랙터블 안테나에서 일체형으로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방법 및 장치
JP2006191251A (ja) * 2005-01-05 2006-07-20 Fujitsu Ltd アンテナシステムおよび携帯型無線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926A (ja) * 1995-02-16 1996-08-30 Sanyo Electric Co Ltd アンテナ装置
KR20050081433A (ko) * 2004-02-13 2005-08-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 매칭장치
KR20060037917A (ko) * 2004-10-29 2006-05-03 주식회사 팬택 리트랙터블 안테나에서 일체형으로 다이버시티를 구현하는방법 및 장치
JP2006191251A (ja) * 2005-01-05 2006-07-20 Fujitsu Ltd アンテナシステムおよび携帯型無線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787B1 (ko) * 2010-09-28 2011-08-09 (주)파트론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593A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8608B (zh) 包含广播接收器电路并且具有天线的装置
KR100822475B1 (ko) 저주파대역 무선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능동형 안테나 및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20100285836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8581792B2 (en) Receiver apparatus, junction cable, and power supply apparatus
EP1667279A1 (en) Mobile terminal antenna device, and broadcast wave receivable radio apparatus
US20090169044A1 (en) Earphone Antenna
WO2006092913A1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無線機器
US20110128193A1 (en) Car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EP2154751A1 (en) Modular active antenna for receiving multiple broadcasting signals
US20170069960A1 (en) Antenna
US20070004345A1 (en) Antenna switching system
KR100899293B1 (ko) 이중공진에 의한 광대역 안테나
KR100848038B1 (ko) 다중대역 안테나
JP4986937B2 (ja)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
KR100836560B1 (ko) 지상파 dmb 안테나
CN201490332U (zh) 一种新型对讲机天线
KR101253503B1 (ko) 능동 안테나 임피던스 정합회로를 사용한 다중대역 수신용 능동형 안테나
WO2009051433A1 (en) Antenna for mobile terminal
KR20060040279A (ko) 방송 주파수 수신용 안테나 모듈
CN101599575B (zh) 一种对讲机天线
KR100802616B1 (ko) 휴대 단말기
KR20060062861A (ko) 디지탈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H11308038A (ja) アンテナおよびアンテナ装置
WO2012081610A1 (ja) 無線機
KR20090010548U (ko) 이중대역 지상파 방송 수신 차량용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