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723B1 -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오염물질 제거장치 및제거방법 - Google Patents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오염물질 제거장치 및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723B1
KR100835723B1 KR1020070009069A KR20070009069A KR100835723B1 KR 100835723 B1 KR100835723 B1 KR 100835723B1 KR 1020070009069 A KR1020070009069 A KR 1020070009069A KR 20070009069 A KR20070009069 A KR 20070009069A KR 100835723 B1 KR100835723 B1 KR 100835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soil
foam
contaminants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우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0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8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chemic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02Surface-active compounds containing sulfu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오염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거장치는 오염된 지역의 불포화토양층에 설치되고 계면활성제거품을 오염부위 측으로 분출하여 계면활성제거품이 오염물질을 토양입자로부터 분리하게 하는 계면활성제거품분출부와; 상기 계면활성제거품분출부의 반대측에 매설되며,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과 계면활성제거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거방법은, 상기 불포화토양층내의 오염부위 측으로 계면활성제거품을 분출하여 계면활성제거품이 오염물질을 토양 입자로부터 분리하게 하는 오염물질분리단계와; 상기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과 계면활성제거품을 불포화토양층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거품상태의 계면활성제용액을 오염물질측으로 분사하여 계면활성제거품이 토양 입자사이의 공극에 자리잡고 있는 오염물질을 공극 외부로 밀어냄으로써 오염물질을 토양 입자로부터 분리시키는 원리를 가지므로, 무엇보다 오염물질 제거효율이 좋으며 특히 사용된 계면활성제거품과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완전히 배출할 수 있어 이차적인 오염을 막을 수 있고, 구성과 공정 자체가 매우 간편하다.

Description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오염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Removal system and Method for soil contaminants in unsaturated soil by using surfactant foam}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오염물질 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토양오염물질 제거장치의 평면적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토양입자 사이에 머물러 있는 오염물질이 계면활성제거품에 의해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불포화토양층 12:불투수층
14:차단벽 16:공급관
16a:분출구멍 18:거품발생부
18a:탱크 18b:공기펌프
18c:펌프 20:주입펌프
22:배출관 22a:흡입구멍
24:진공펌프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 오염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휘발유나 디젤 등의 각종 유류(油類)나 유기 용매제 등의 액상물질을 수용하는 저장탱크는 정해진 조건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되지만, 오랜 시간 사용됨에 따라 점차 노후화 하여 가령 용접부위에 미세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크랙이 발생하면 저장되어 있는 액상물질이 저장탱크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 환경을 크게 오염시킬 수 있다.
특히 지하에 매립 설치된 저장탱크의 경우 (땅을 파내어 저장탱크를 들어올리지 않은 한) 저장탱크의 상태를 확인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이를테면 저장탱크의 바닥에 미세한 크랙이 발생하고 이 크랙을 통해 액상물질이 누출된다 하더라도 그 사실을 당장 알 수가 없다.
상기한 이유로 저장탱크 주변 토양의 오염 정도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검사하고, 이를 통해 얻은 결과를 기초로 저장탱크로부터 액상물질의 유출 여부를 파악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상기한 검사가 매일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최소 몇 개월 내지는 1년 단위로 수행되므로, 예컨대 검사 다음날 크랙이 발생하여 액상물질의 유출이 시작되었다면 다음 검사할 때 까지 액상물질의 유출 사실을 알 수 없 어 주변 토양을 심각하게 오염시키게 된다.
한편, 지상 및 지하 저장탱크로부터 유출되는 액상물질은 토양 속에서 점차 확산되어 불포화토양층을 오염시킴은 물론 경우에 따라 지하수층에 도달하여 지하수를 황폐화시킨다. 더욱이 불포화토양층 내에 머무는 액상물질은 토양 입자 사이의 공극(空隙) 모세관현상(capillary force)으로 인해 공극내에서 안정된 상태로 자리 잡으며 표면장력에 의해 토양 입자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오염된 상태의 불포화토양층을 복원하기 위한 확실한 방법으로는, 오염된 불포화토양층을 파내고 그 자리에 새로운 흙을 채워 넣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포크레인 등의 건설 중장비를 동원하여 지표면의 불투수층(대부분의 저장탱크가 위치한 장소에는 저장탱크로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표면에 불투수층이 도포되어 있다.)을 걷어내고 땅을 굴착해서 파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오염된 토양을 파내고 새로운 흙을 채우는 공사는 일단 공사 규모가 크고 많은 인력과 비용을 요구함은 물론 특히 공사에 걸리는 시간이 최소한 며칠에서 일주일 이상 소요되기도 한다. 따라서 예컨대 주유소 바닥 하부의 토양을 교체하여야 할 경우 공사기간 동안 주유소의 영업을 할 수 없으므로 금전적인 손해가 배가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화학적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상기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방법은 오염된 불포화토양층에 과산화수소를 주입하여 과산화수소가 불포화토양층의 내부를 흘러가면서 오염물질과 만나 오염물질의 농도를 떨어뜨리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불포화토양층내 오염물질과 과산화수소가 일단 접촉되어야 그 나름의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토양의 내부 조직이 균질하지 않기 때문에 불포화 토양층내 오염물질을 전체적으로 제거하기가 매우 힘들다. 또한 토양내 오염물질의 농도를 어느정도 떨어뜨리기는 하지만, 사용된 과산화수소 및 부산물을 회수하지 않을 경우 불포화토양층 하부의 지하수를 크게 오염시킨다는 더 큰 문제를 야기한다. 즉, 상기 과산화수소가 오염물질의 농도를 떨어뜨리기는 하지만 (오염물질과의 반응을 통해 오염된 과산화수소가) 자체 중력에 의해 점차 아래로 흘러 지하수에 도달하므로 오히려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이다.
더욱이 과산화수소의 농도 저감능력이 그다지 높지 않으므로 오염물질의 농도를 허용치 이하로 떨어뜨리기 위해서는 다량의 과산화수소를 흘려보내야 하므로 지하수의 부담을 더욱 가중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계면활성제거품을 오염물질측으로 분사하여, 계면활성제거품이 토양 입자사이의 공극에 자리잡고 있는 오염물질을 공극 외부로 밀어내도록 하여 오염물질을 토양 입자로부터 분리시키는 원리를 가지므로, 무엇보다 오염물질 제거효율이 좋으며 특히 사용된 계면활성제거품과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완전히 배출할 수 있어 이차적인 오염을 막을 수 있고, 구성과 공정 자체가 간편한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 오염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 오염물질 제거장치는, 수용공간을 갖는 탱크(18a)와; 상기 탱크(18a)에 계면활성제용액을 공급하는 펌프(18c)와; 상기 탱크(18a)에 공급되어 있는 계면활성제용액에 공기를 분사하여 계면활성제용액으로부터 거품을 일으키는 공기펌프(18b)와;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지역의 불포화토양층에 설치되고, 상기 탱크(18a)로부터 거품상태의 계면활성제를 넘겨받아 계면활성제 거품을 오염부위 측으로 분출하여 계면활성제거품이 토양 입자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토양입자로부터 분리하게 하는 계면활성제거품분출부와; 상기 오염부위를 사이에 두고 계면활성제거품분출부의 반대측에 매설되며, 외부로부터 진공력을 제공받아,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과 토양입자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한 후의 계면활성제거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면활성제거품분출부는; 상기 불포화토양층내의 오염된 오염부위 주변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중공파이프로서 상기 오염부위를 향하여 계면활성제거품을 분출할 수 있도록 그 주연부 중 상기 오염부위를 향하는 부위에 다수의 분출구멍(16a)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가 막혀있는 공급관(16)과, 상기 탱크(18a)의 내부에서 공기펌프(18b)에 의해 거품상태로 변환된 계면활성제를 상기 공급관(16) 내부로 압송하여 상기 분출구멍(16a)을 통해 거품상태의 계면활성제가 분출되게 하는 주입펌프(2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오염부위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급관(16)의 반대측에 설치되며, 그 주연부에 상기 공급관(16)으로부터 분출되어 오염부위를 통과하는 계면활성제거품과 상기 계면활성제거품에 의해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되어 밀려 이동하는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다수의 흡입구멍(22a)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배출관(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의 측부에는 공급관으로부터 분출하는 계면활성제거품이 오염부위 이외의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계면활성제거품은 7%이하의 농도로 희석된 계면활성제수용액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술폰산(sulfonic acid)계열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 오염물질 제거방법은,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지역의 불포화토양층에 머물러 있는 오염물질을 불포화토양층으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불포화토양층내의 오염부위 측으로 계면활성제거품을 분출하여 계면활성제거품이 오염부위내 토양 입자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토양 입자로부터 분리하게 하는 오염물질분리단계와; 상기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과 토양입자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한 후의 계면활성제거품을 불포화토양층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물질분리단계는; 다수의 분출구멍을 가지며 상기 오염부위의 주변에 설치된 다수의 공급파이프 내부에 계면활성제거품을 공급하여, 계면활성제거품이 상기 분출구멍을 통해 오염부위로 분출하게 하는 단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거품은 7%이하의 농도로 희석된 계면활성제수용액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조된 상태로 공급파이프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단계는; 다수의 흡입구멍을 갖는 배출파이프를 불포화토양층 내의 오염부위 주변에 다수 설치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해 상기 배출파이프에 진공을 인가하여 상기 오염물질 및 계면활성제거품을 흡입구멍을 통해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술폰산(sulfonic acid)계열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오염물질 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불포화토양층(10)의 표면에 불투수층(12)이 포장되어 있고, 불포화토양층(10) 내부에는 유류저장탱크(A)가 매설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유류저장탱크(A)는 예컨대 휘발유나 디젤 또는 등유 등의 연료용 유류(油類) 일 수 도 있고, 유류 이외의 액상 화학물질 일 수 도 있다.
여하튼 상기 유류저장탱크(A)의 어딘가에 문제가 생겨 저장탱크(A)에 수용되어 있는 유류가 불포화토양층(10)으로 누출되어 있다. (상기 불포화토양층(10)으로 누출된 유류는 더 이상 유류가 아니라 오염물질(z)이며, 계속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 오염물질 제거장치가, 상기와 같이 불토화토양층(10)으로 누출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토양 오염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오염물질(z) 영역의 측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공급관(16)과, 상기 오염물질(z)을 사이에 두고 공급관(16)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배출관(22)과, 외부로부터 공급된 계면활성제 용액을 거품상태로 가공하는 거품발생부(18)와, 상기 거품발생부(18)에서 제조된 거품상태의 계면활성제용액을 상기 공급관(16)으로 압송하는 주입펌프(20)와, 상기 공급관(16)의 측부에 설치되며 공급관(16)으로부터 분출되는 거품상태의 계면활성제용액이 오염물질(z)이외의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14)과, 상기 배출관(22)에 진공을 제공하는 진공펌프(2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토양 오염물질 제거장치는, 오염물질이 스며있는 불포화토양층에 거품상태의 계면활성제용액을 분사하여, 계면활성제용액으로 하여금 토양 입자의 공극 사이에 자리잡고 있는 오염물질을 (토양 입자로부터 분리시켜) 공극 외부로 밀어내는 원리를 갖는다. 계면활성제용액을 거품상태로 만들어서 분사하는 이유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토양 오염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오염물질이 토양의 공극으로부터 제거되는 원리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알아본다.
도 5a 및 도 5b는 토양입자(s) 사이에 머물러 있는 오염물질(z)이 거품상태의 계면활성제에 의해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모여있는 토양입자(s) 사이의 공극에 오염물질(z)이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오염물질(z)은 토양입자(s)들과의 인력에 의해 토양 입자에 부착되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토양입자(s) 사이의 공극에 머물러 있는 오염물질(z)을 공극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거품을 화살표 a방향으로 분사하면, 계면활성제 거품이 오염물질(z)의 표면장력을 급격히 떨어뜨려 오염물질(z)과 토양입자(s)간의 인력이 약화되고,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오염물질(z)이 계면활성제의 유동압력에 의해 공극 외부로 밀려 나간다. 계면활성제거품을 계속적으로 분사하면 오염물질(z)은 계면활성제거품에 떠밀려 불포화토양층 내부에서 토양입자의 사이를 통과해 분사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질 제거장치는 상기한 원리에 따른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염물질(z)이 분포하고 있는 부위의 외측에 공급관(16)을 설치하고 반대편에 배출관(22)을 설치한 후, 공급관(16)으로는 계면활성제거품을 분사하고 배출관(22)에는 진공을 걸면, 계면활성제거품이 화살표 a방향으로 흐르며 오염물질을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출관(22)측으로 몰아 가는 것이다. 배출관(22)은 오염물질과 사용된 계면활성제거품을 흡입하여 지상으로 보낸다.
한편, 상기 공급관(16)은 그 주연부에 다수의 분출구멍(16a)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파이프로서 불포화토양층(10)에 거의 수직으로 박혀 설치된다. 특히 상기 공급관(1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염물질(z)이 퍼져있는 부위의 일측에 (마치 오염물질의 일측부를 감싸는 것처럼)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공급관(16)의 직경이나 길이 또는 공급관(16)의 설치개수나 공급관(16) 사이의 이격거리는 오염물질(z)의 종류나 오염된 부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짐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분출구멍(16a)은 오염물질(z)을 향하는 방향에 집중되어 상기 주입펌프(20)에 의해 압입되는 거품형태의 계면활성제용액의 대부분이 화살표 a방향으로 분출되도록 한다. 상기 공급관(16)의 하단부는 막혀있다.
상기 공급관(16)을 통해 불포화토양층(10)내에 분사될 계면활성제용액을 거품상태로 제조하는 거품발생부(18)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탱크(18a)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계면활성제용액을 상기 탱크(18a)로 보내는 펌프(18c)와, 상기 탱크(18a)에 수용되어 있는 계면활성제용액에 공기를 분사하여 계면활성제용액으로부터 거품을 일으키는 공기펌프(18b)로 구성된다.
상기 계면활성제용액은 7%이하의 농도로 희석된 계면활성제수용액이다. 상기 계면활성제용액의 농도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진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술폰산(sulfonic acid)계열을 사용함이 좋다.
상기 공기펌프(18b)에 의해 거품상태로 변환된 계면활성제용액은 주입펌프(20)에 의해 공급관(16) 내부로 압송되어 분출구멍(16a)을 통해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거품발생부(18)로 하여금 계면활성제용액을 거품상태로 변환하는 것은, 계면활성제의 비중을 낮추어 계면활성제성분이 화살표 a방향을 따라 거의 수평으로 이동하여 배출관(22)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불포화토양층의 상층부는 불투수층(12)으로 되어 있고 하층부는 지하수층이므로 계면활성제 거품이 수평이동하며 배출관으로 이동하게 된다.
거품화되지 않은 계면활성제용액은 공기보다 비중이 크기 때문에 공급관(16)으로부터 분출된 후 배출관(22)으로 이동하면서 (자중에 의해) 서서히 하부로 쳐지게 된다. 이렇게 하향 이동하여 지하수층으로 유출되는 계면활성제는 불포화 토양층의 오염물질과 충분히 접촉할 수 없다. 물론 계면활성제거품의 주입량과 주입압력을 증가시키고 지하수층을 높여 계면활성제와 오염물질과의 접촉을 시도할 수 있 으나 경제적 부담이 크고 현실적이지 않다.
상기 배출관(22)은 그 주연부에 다수의 흡입구멍(22a)을 갖는 파이프로서 상기 오염물질(z)을 사이에 두고 공급관(16)의 반대측에 구비된다. 상기 배출관(22)은 불포화토양층(10) 내부에 거의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16)으로부터 분출되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며 오염물질(z)을 몰아가는 계면활성제용액과 오염물질(z)을 흡입구멍(22a)을 통해 받아들여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배출관(22)을 통해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고 계면활성제거품을 회수할 수 있도록 배출관(22)에는 진공펌프(24)가 연결된다. 상기 진공펌프(24)는 통상의 진공펌프로서 배출관(22)에 진공압력을 제공하여 일단 배출관(22) 내부로 흡입된 (사용된) 계면활성제거품과 오염물질을 불포화토양층 외부로 뽑아낸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토양오염물질 제거장치의 평면적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오염물질(z)이 퍼져 있는 오염지역의 일측에 다수의 공급관(16)이 설치되어 있고 그 반대편에 배출관(22)이 다수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급관(16)과 배출관(22)의 개수나 설치 위치가 경우에 따라 달라짐은 상기한 바와같다.
특히 상기 공급관(16)의 뒤편에는 차단벽(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단벽(14)은 공급관(16)으로부터 분출되는 거품상태의 계면활성제용액이 오염물질(z) 이외의 다른 곳으로 흘러가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차단벽(14)은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오염물질 제거장치를 구동하여 거품발생부(18)와 주입펌프(20)와 진공펌프(24)를 동작시키면, 공급관(16)을 통해 거품상태의 계면활성제용액이 분출하기 시작한다. 상기 공급관(16)의 분출구멍(16a)을 통해 분출하는 계면활성제용액은 거품상태로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며,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같이) 토양의 공극으로부터 오염물질(z)을 분리하여 오염물질을 배출관(22)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계면활성제용액의 유동압력 및 계면활성능력을 통해 화살표 a방향으로 밀려가는 오염물질은 마침내 도 2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배출관(22)에 도달하고 배출관(22)에 흡입된 후 불포화토양층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오염물질 제거장치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은, 크게 오염물질분리단계와 배출단계로 구분된다.
상기 오염물질분리단계는,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지역에 상기한 공급관(16)과 배출관(22)과 거품발생부(18) 및 각 펌프를 설치한 후, 불포화토양층(10)내의 오염물질(z)측으로 거품상태의 계면활성제용액을 분출하는 과정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분출되는 계면활성제거품은 오염 부위내 토양 입자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z)을 토양 입자로부터 분리하며 배출관(22)측으로 밀고간다.
또한 상기 배출단계는, 상기 오염물질분리단계를 통해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과 토양입자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한 후의 계면활성제용액을 불포화토양층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진공펌프(24)에 의해 구현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거품을 오염물질측으로 분사하여 계면활성제거품이 토양 입자사이의 공극에 자리잡고 있는 오염물질을 공극 외부로 밀어냄으로써 오염물질을 토양 입자로부터 분리시키는 원리를 가지므로, 무엇보다 오염물질 제거효율이 좋으며 특히 사용된 계면활성제용액과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을 외부로 완전히 배출할 수 있어 이차적인 오염을 막을 수 있고, 구성과 공정 자체가 매우 간편하다.

Claims (10)

  1. 삭제
  2. 수용공간을 갖는 탱크(18a)와;
    상기 탱크(18a)에 계면활성제용액을 공급하는 펌프(18c)와;
    상기 탱크(18a)에 공급되어 있는 계면활성제용액에 공기를 분사하여 계면활성제용액으로부터 거품을 일으키는 공기펌프(18b)와;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지역의 불포화토양층에 설치되고, 상기 탱크(18a)로부터 거품상태의 계면활성제를 넘겨받아 계면활성제 거품을 오염부위 측으로 분출하여 계면활성제거품이 토양 입자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토양입자로부터 분리하게 하는 계면활성제거품분출부와;
    상기 오염부위를 사이에 두고 계면활성제거품분출부의 반대측에 매설되며, 외부로부터 진공력을 제공받아,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과 토양입자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한 후의 계면활성제거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계면활성제거품분출부는;
    상기 불포화토양층내의 오염된 오염부위 주변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중공파이프로서 상기 오염부위를 향하여 계면활성제거품을 분출할 수 있도록 그 주연부 중 상기 오염부위를 향하는 부위에 다수의 분출구멍(16a)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가 막혀있는 공급관(16)과, 상기 탱크(18a)의 내부에서 공기펌프(18b)에 의해 거품상태로 변환된 계면활성제를 상기 공급관(16) 내부로 압송하여 상기 분출구멍(16a)을 통해 거품상태의 계면활성제가 분출되게 하는 주입펌프(20)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오염부위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급관(16)의 반대측에 설치되며, 그 주연부에 상기 공급관(16)으로부터 분출되어 오염부위를 통과하는 계면활성제거품과 상기 계면활성제거품에 의해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되어 밀려 이동하는 오염물질을 흡입하는 다수의 흡입구멍(22a)을 갖는 하나 이상의 배출관(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 오염물질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측부에는 공급관으로부터 분출하는 계면활성제거품이 오염부위 이외의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 오염물질 제거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거품은 7%이하의 농도로 희석된 계면활성제수용액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 오염물질 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술폰산(sulfonic acid)계열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 오염물질 제거장치.
  6.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지역의 불포화토양층에 머물러 있는 오염물질을 불포화토양층으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불포화토양층내의 오염부위 측으로 계면활성제거품을 분출하여 계면활성제거품이 오염부위내 토양 입자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토양 입자로부터 분리하게 하는 오염물질분리단계와;
    상기 토양입자로부터 분리된 오염물질과 토양입자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한 후의 계면활성제거품을 불포화토양층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물질분리단계는;
    다수의 분출구멍을 가지며 상기 오염부위의 주변에 설치된 다수의 공급파이프 내부에 계면활성제거품을 공급하여, 계면활성제거품이 상기 분출구멍을 통해 오염부위로 분출하게 하는 단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거품은 7%이하의 농도로 희석된 계면활성제수용액에 공기를 분사하여 제조된 상태로 공급파이프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 오염물질 제거방법.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는;
    다수의 흡입구멍을 갖는 배출파이프를 불포화토양층 내의 오염부위 주변에 다수 설치하고, 진공펌프를 이용해 상기 배출파이프에 진공을 인가하여 상기 오염물질 및 계면활성제거품을 흡입구멍을 통해 흡입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 오염물질 제거방법.
  9. 삭제
  10.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술폰산(sulfonic acid)계열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 오염물질 제거방법.
KR1020070009069A 2007-01-29 2007-01-29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오염물질 제거장치 및제거방법 KR100835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069A KR100835723B1 (ko) 2007-01-29 2007-01-29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오염물질 제거장치 및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069A KR100835723B1 (ko) 2007-01-29 2007-01-29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오염물질 제거장치 및제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723B1 true KR100835723B1 (ko) 2008-06-09

Family

ID=3977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069A KR100835723B1 (ko) 2007-01-29 2007-01-29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오염물질 제거장치 및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7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123B1 (ko) * 2012-03-13 2012-11-2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계면활성제 거품을 이용한 회분식 오염토양 정화처리장치
KR101291435B1 (ko) 2012-04-10 2013-07-3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성 계면활성제 거품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처리방법 및 정화처리장치
KR101519943B1 (ko) * 2014-10-14 2015-05-14 에이치플러스에코 주식회사 토양오염 확산 방지 및 정화를 위한 오일탱크 방유구조물
CN109821879A (zh) * 2019-02-13 2019-05-31 云南天朗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有机物污染原位修复的土壤深层搅拌工艺及装置
KR20200091081A (ko) 2019-01-22 2020-07-3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이종 제제 인터벌 도포방식을 통한 오염토양 정화처리방법
CN113092718A (zh) * 2021-03-29 2021-07-09 湖北工业大学 一种防止化学浸出的室内土工饱和装置及试验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7240A (en) 1990-07-19 1991-08-06 Ocean Toad Enterprises Inc. In-situ soil treatment process
KR100294473B1 (ko) 1998-03-19 2001-09-17 최상일 오염된토양의정화를위한세척제조성물
KR100337953B1 (ko) 2000-03-03 2002-05-24 김순영 오염토양복원용 미생물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오염토양복원방법
KR20040088869A (ko) * 2003-04-14 2004-10-20 (주)에스지알테크 토양복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원방법
KR20050074173A (ko) * 2004-01-13 2005-07-18 주식회사 에코비젼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대수층 내 오염물질의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7240A (en) 1990-07-19 1991-08-06 Ocean Toad Enterprises Inc. In-situ soil treatment process
KR100294473B1 (ko) 1998-03-19 2001-09-17 최상일 오염된토양의정화를위한세척제조성물
KR100337953B1 (ko) 2000-03-03 2002-05-24 김순영 오염토양복원용 미생물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오염토양복원방법
KR20040088869A (ko) * 2003-04-14 2004-10-20 (주)에스지알테크 토양복원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원방법
KR20050074173A (ko) * 2004-01-13 2005-07-18 주식회사 에코비젼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대수층 내 오염물질의 제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123B1 (ko) * 2012-03-13 2012-11-2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계면활성제 거품을 이용한 회분식 오염토양 정화처리장치
KR101291435B1 (ko) 2012-04-10 2013-07-3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성 계면활성제 거품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처리방법 및 정화처리장치
WO2013154323A1 (ko) * 2012-04-10 2013-10-1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다기능성 계면활성제 거품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처리방법 및 정화처리장치
KR101519943B1 (ko) * 2014-10-14 2015-05-14 에이치플러스에코 주식회사 토양오염 확산 방지 및 정화를 위한 오일탱크 방유구조물
KR20200091081A (ko) 2019-01-22 2020-07-3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이종 제제 인터벌 도포방식을 통한 오염토양 정화처리방법
CN109821879A (zh) * 2019-02-13 2019-05-31 云南天朗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有机物污染原位修复的土壤深层搅拌工艺及装置
CN113092718A (zh) * 2021-03-29 2021-07-09 湖北工业大学 一种防止化学浸出的室内土工饱和装置及试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723B1 (ko) 계면활성제거품을 이용한 토양오염물질 제거장치 및제거방법
KR101271727B1 (ko) 수평 주입정과 수평 추출정을 포함하는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및 그 오염 토양 정화 방법
US5403119A (en) Perforated piling for soil remediation
KR101720098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오염 지하수 정화 장치
US5421671A (en) Remotely monitored and controlled self-flushing secondary containment system
US6238137B1 (en) Containment system for spills
KR101205123B1 (ko) 계면활성제 거품을 이용한 회분식 오염토양 정화처리장치
KR102352211B1 (ko) 오염된 심도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정화제 분사가 가능한 토양정화용 듀얼 팩커장치
JP6402023B2 (ja) エアリフトポンプ装置および水中汚濁成分の除去方法
KR100440823B1 (ko) 오염토양 개량방법
JP6138024B2 (ja) 汚染水ブロックエリア生成方法及び装置
JPH10258266A (ja) 汚染地盤の原位置修復方法および汚染物質処理装置
KR20120081837A (ko) 수중 오염 퇴적토 현장 정화장치
JP3807545B2 (ja) 汚染土壌の処理工法
KR102480862B1 (ko) 기초 보강을 위한 마이크로 파일의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슬라임 처리 장치
JP2007245052A (ja) 油汚染土壌の原位置油回収方法
US6557633B2 (en) In-well contaminant stripper
JP2007253057A (ja) 油汚染土壌の原位置での油回収方法
JPH10249326A (ja) 汚染帯水層の浄化方法および浄化装置
JP7427528B2 (ja) 油層回収装置
US6746605B2 (en) Multi-arrayed vacuum recovery method and system for groundwater wells
KR102453331B1 (ko) 지중고압분사장치를 포함하는 유류회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류회수방법
KR102080708B1 (ko) 자유상유류 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유상유류 제거 방법
JP2019089049A (ja) 汚染土壌浄化システム
PL245144B1 (pl) Sposób czyszczenia i umartwiania wyłączonych z eksploatacji lub uszkodzonych rurociągów przeznaczonych do transportu węglowodoró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