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504B1 -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504B1
KR100835504B1 KR1020060104001A KR20060104001A KR100835504B1 KR 100835504 B1 KR100835504 B1 KR 100835504B1 KR 1020060104001 A KR1020060104001 A KR 1020060104001A KR 20060104001 A KR20060104001 A KR 20060104001A KR 100835504 B1 KR100835504 B1 KR 100835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rging
voltage
moto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7226A (ko
Inventor
정해송
Original Assignee
정해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송 filed Critical 정해송
Priority to KR102006010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504B1/ko
Publication of KR20080037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정류, 평활 및 발진시켜 유도 충전 전압을 발생시키는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와,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로부터 유도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시켜 충전하는 충전부와, 충전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와, 충전부의 충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구동부와, 충전부에 전압이 충전될 때, 모터 구동부를 초기화시켜 모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모터 구동 초기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충전, 모터,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 모터 구동 초기화부

Description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 {charge system for driving mo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3은 도 1의 충전부, 모터 구동부, 충전 상태 표시부, 모터 구동 초기화부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용 핸드 그립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c는 도 4a의 핸드 그립을 도 4b의 충전기에 삽입하여 충전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원부 2 :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
3 : 충전부 4 : 모터 구동부
5 : 충전 상태 표시부 6 : 모터 구동 초기화부
7 : 모터부 8 : 정류부
9 : 정전압부 10 : 발진부
11 : 변압기
본 발명은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접점-비접촉으로 충전하기 위한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 칫솔 등과 같이 소형 모터를 사용한 생활기기들은 생활의 편리성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편의성이 더욱 강조된 다양한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쉽게 충전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전기 충전기들이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충전기들의 충전 방식은 여러 방식들이 있는데, 가장 기본적인 방식으로서, 기기의 충전 프로브를 플러그가 있는 코드에 접촉시키는 방식이 있고, 더 개량된 방식으로는 충전기의 전극에 기기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는 방식들도 있다.
이러한, 충전 방식들은 전동 칫솔 등과 같은 수분이 많은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 누전 등의 위험성이 발생하는 문제들이 있었다.
게다가, 이러한 접촉식 충전 방식은 경우에 따라 접촉 불량으로 인하여 충전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갖는 충전기들로 인하여, 생활 기기들의 성능 저하 및 오동작까지 초래하는 경우들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접점-비접촉식으로 안전하게 전기 충전을 시킬 수 있는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 구동이 온/오프에 관계없이 항상 충전이 가능한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전하고자 하는 기기의 현재 충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정류, 평활 및 발진시켜 유도 충전 전압을 발생시키는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와,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로부터 유도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시켜 충전하는 충전부와, 충전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와, 충전부의 충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구동부와, 충전부에 전압이 충전될 때, 모터 구동부를 초기화시켜 모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모터 구동 초기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는 입력되는 전압을 정류시키는 정류부와, 정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류된 전압을 일정한 전압값으로 공급하는 정전압부와, 정전압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전압을 발진시키는 발진부와, 발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진 전압을 유도 충전 전압으로 유도시키는 변압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충전부는 인가되는 전압을 충전하는 배터리와,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류 다이오드와, 정류 다이오드에 연결되어 정류된 전압을 평활시키는 평활용 콘덴서와, 평활된 전압을 조정하여 배터리에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조정용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충전 상태 표시부는 충전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와, 충전부에 연결되어 충전부의 전압을 검출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모터 구동부는 충전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승압하는 승압부와, 승압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 3 스위칭부와, 제 3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제 4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 모터 구동 초기화부는 충전부에 전압이 충전될 때, 모터 구동부를 초기화하도록, 충전부와 모터 구동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배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도 충전용 코일과 전압 유도용 코일을 사용하여 무접점-비접촉 충전을 위한 충전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 구동 초기화부를 구성함으로써, 충전부에 전압이 충전될 때, 모터가 구동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모터를 정지시켜 원활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 시스템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충전 상태 표시부를 구성함으로써, 충전하고자 하는 기기의 현재 충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시스템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원부(1),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2), 충전부(3), 모터 구동부(4), 충전 상태 표시부(5), 모터 구동 초기화부(6), 모터부(7)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2)는 전원부(1)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정류, 평활 및 발진시켜 유도 충전 전압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충전부(3)는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2)로부터 유도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시켜 충전하며, 충전 상태 표시부(5)는 충전부(3)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모터 구동부(4)는 충전부의 충전압에 의해 모터부(7)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모터 구동 초기화부(6)는 충전부(3)에 전압이 충전될 때, 모터 구동부(4)를 초기화시켜 모터부(4)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의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2)는 정류부(8), 정전압부(9), 발진부(10), 변압기(11)로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류부(8)는 전원부(1)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을 정류시키고, 정전압부(9)는 정류부(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류된 전압을 일정한 전압값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발진부(10)는 정전압부(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전압을 발진시키고, 변압기(11)는 발진부(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진 전압을 유도 충전 전압으로 유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부(8)는 전원부(1)에 연결되는 퓨즈(F1)와, 퓨즈(F1)에 직렬로 연결되는 정류다이오드(D11)와, 정류다이오드(D11)에 직렬로 연결되는 전압 안정화용 저항(R11)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전압부(9)는 정류부(8)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너 다이오드(ZD11)와, 제너 다이오드(ZD11)에 병렬로 연결되는 평활용 콘덴서(C14)와, 평활용 콘덴서 (C14)에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들(R13, R1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발진부(10)는 저항들(R13, R14)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는 발진 트랜지스터(Q11), 발진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에 연결되는 저항(R15), 발진 트랜지스터(Q11)와 저항(R15) 사이의 노드와, 발진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에 연결되는 콘덴서들(C11, C12), 그리고 콘덴서(C12)와 저항(R15) 사이에 연결되는 콘덴서(C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2)를 구성하는 정류부(8), 정전압부(9), 발진부(10) 등은 경우에 따라 도 2의 회로도 이외에도 다른 실시예로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2)의 유도 충전 전압의 발생 경로는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플러그(J3)으로부터 인가된 교류 전압은 퓨즈(F1) 및 정류 다이오드(D11)를 거쳐 정류된다.
이어, 정류된 전압은 전압 안정화용 저항(R11)을 통해 강압되어진 다음, 발진 트랜지스터(Q11), 베이스 바이어스 저항(R13, R14), 제너 다이오드(ZD11)로 구성되는 정전압 회로를 거쳐, 일정한 전압을 유지한다.
여기서, 정전압 회로를 거친 전압이 약 95 - 230V로 인입되더라도, 평활용 콘덴서(C14)에는 항상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어진다.
다음, 발진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R13)은 발진 트랜지스터(Q11)에 베이스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하여 발진 대기 상태를 유지시켜 주 며, 발진 주파수는 변압기의 코일과 발진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에 연결되어 있는 탱크 회로의 시정수에 의하여 결정되어진다.
여기서, 발진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와 에미터 양단에 연결되는 콘덴서(C11, C12)는 발진 파형 교정 콘덴서이다.
따라서 발진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에 연결되어 있는 변압기(11)의 유도 충전용 코일(J4)에 발진 전압이 인가되면, 충전하고자 하는 기기로 충전 전압이 유도된다.
도 3은 도 1의 충전부, 모터 구동부, 충전 상태 표시부, 모터 구동 초기화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3은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로부터 충전되는 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전동 칫솔에 사용되는 핸드 그립의 모터 구동 회로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모터 구동용 기기에 적용가능하지만, 여기서는 전동 칫솔 핸드 그립의 모터 구동 회로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12)는 인가되는 전압을 충전하는 배터리(BAT)와,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2)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 다이오드(D2)와, 정류된 전압을 평활시키는 평활용 콘덴서(C2)와, 평활된 전압을 조정하여 배터리(BAT)에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조정용 저항(R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충전부(12)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압 유도용 코일(J2)로부터 유도된 발진 전압은 정류 다이오드(D2)로 정류된 다음, 평활용 콘덴서(C2)에 의해 평활된다.
이어, 평활된 직류 전압은 충전 전류 조정용 저항(R1)에 의하여 미충전 방식으로 니켈-카드늄 배터리(Ni-Cd Battery)를 충전하게 된다.
또한, 충전 상태 표시부(13)는 충전부(12)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와, 충전부(12)에 연결되어 충전부(12)의 전압을 검출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충전 상태 표시부(13)는 충전부(12)의 충전 미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제 1 발광 다이오드(LD1)와, 충전부(12)의 전압을 검출하여, 제 1 발광 다이오드(LD1)를 스위칭하는 전압 검출용 집적회로(IC)(U1)와, 충전부(12)의 충전 완료 상태를 표시하는 제 2 발광 다이오드(LD2)와, 전압 검출용 집적회로(U1)의 스위칭에 따라 제 2 발광 다이오드(LD2)를 스위칭하는 구동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상태 표시부(13)에서, 충전부의 충전 상태를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기 위하여, 전압 검출용 집적회로(U1)의 입력 전압이 만충전 전압에 도달하지 않으면, 전압 검출용 집적회로(U1)의 출력단자는 '온(ON)' 상태를 유지하여 충전 완료전이고 현재 충전중임을 표시하는 제 1 발광 다이오드(LED1)가 적색 발광한다.
이때, 충전 완료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발광 다이오드(LED2)에 연결된 구동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이 흐르지 않게 되어, 제 2 발광 다이오드(LED2)는 발광하지 않는다.
이어, 충전부(12)의 배터리 전압이 서서히 상승하여 만충전 전압에 도달하게 되면, 전압 검출용 집적회로(U1)의 출력 단자는 '오프(OFF)' 상태로 되고, 제 1 발광 다이오드(LED1)는 발광하지 않고, 제 2 발광 다이오드(LED2)에 연결된 구동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저항(R4)을 통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제 2 발광 다이오드(LED2)는 녹색 발광하게 된다.
한편, 모터 구동부(14)는 음파 진동을 일으키는 모터 등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이다.
모터 구동부(14)는 승압부(15), 제 3 스위칭부, 제 4 스위칭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승압부(15)는 충전부(12)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승압하는 회로로서, 충전부(12)에 병렬로 연결되는 인덕터(L1)와, 인덕터(L1)에 연결되는 스텝-업 집적회로(STEP-UP IC)(U2)와, 스텝-업 집적회로(U2)에 병렬로 연결되고 외부 전원 Vcc에 연결되는 다이오드(D4)와, 다이오드(D4)와 스텝-업 집적회로(U2)의 일단에 연결되는 평활용 콘덴서(C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 3 스위칭부는 승압부(15)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것으로서, 외부 전원 Vcc에 연결되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S1)와, 택트 스위치(S1)와 병렬로 연결되는 평활용 콘덴서(C3)와, 택트 스위치(S1)의 스위칭에 따라 제 4 스위칭부를 스위칭하는 온-오프용 집적회로(IC)(U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 4 스위칭부는 제 3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것으로서, 트랜지스터들(Q2, Q3)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모터 구동부(14)에서, 충전부(12)의 배터리 전압은 온-오프용 집적회로(U3)를 구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인덕터(L1), 다이오드(D4), 스텝-업 집적회로(U2), 평활용 콘덴서(C4)로 구성되는 승압회로를 구성하고, 이 승압회로를 이용하여 전압을 승압시켜 온-오프용 집적회로(U3)에 Vcc 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택트 스위치(S1)의 스위칭에 의해 온-오프용 집적회로(U3)의 플립-플롭(flip-flop)의 출력 'Q'가 로우(LOW)가 됨으로써, 트랜지스터(Q2)를 스위칭시키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연결된 모터(J1)가 동작하게 된다.
다음, 모터 구동 초기화부(16, 17)는 충전부(12)에 전압이 충전될 때, 모터 구동부(14)를 초기화하도록, 충전부(12)와 모터 구동부(1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분배 저항(R9, R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분배 저항은 제 1 분배 저항(R9)과 제 2 분배 저항(R5)으로 구성되고, 제 1 분배 저항(R9)은 충전부(12)의 정류 다이오드(D2)와 모터 구동부(14)의 온-오프용 집적회로(U3)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2 분배 저항(R5)은 모터 구동부(14)의 택트 스위치(S1)와 온-오프용 집적회로(U3) 사이의 노드와 충전부(12)의 배터리(BAT)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터 구동 초기화부에서, 모터(J1)가 동작하고 있을 때,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인 충전기에 충전기기인 핸드 그립이 삽입되면, 배터리에 충전되어야 할 전압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계속 방전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모터 구동 초기화부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압 유도용 코일(J2)로부터 유도된 교류 전압을 정류 다이오드(D2)에 의해 맥류로 변환된다.
이어, 맥류된 변환된 전압은 분배 저항(R9, R5)을 통해 온-오프용 집적회로(U3)를 초기화시킴으로써, 동작하고 있는 모터는 정지하게 되고, 충전부의 배터리에는 충전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모터 구동 초기화부는 충전부의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택트 스위치(S1)의 스위칭에 관계없이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회로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용 핸드 그립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핸드 그립을 도 4b의 충전기에 삽입하여 충전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전동 칫솔용 핸드 그립과 그에 따른 충전기의 회로 구성도 및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모터를 사용하는 다양한 충전 기기들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무접점-비접촉식으로 전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회로 구성이 이루어지므로, 수분이 많은 환경 속에서도 충전하고자 하는 기기를 안전하고 수월하게 충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평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 구동의 동작 여부에 관계없이 충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충전하고자 하는 기기의 현재 충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정류, 평활 및 발진시켜 유도 충전 전압을 발생시키는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 상기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로부터 유도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시켜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 상기 충전부의 충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구동부; 상기 충전부에 전압이 충전될 때, 상기 모터 구동부를 초기화시켜 상기 모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모터 구동 초기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는, 상기 입력되는 전압을 정류시키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류된 전압을 일정한 전압값으로 공급하는 정전압부; 상기 정전압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정전압을 발진시키는 발진부; 상기 발진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발진 전압을 유도 충전 전압으로 유도시키는 변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정전압부는, 상기 정류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너 다이오드; 상기 제너 다이오드에 병렬로 연결되는 평활용 콘덴서; 상기 평활용 콘덴서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 1, 제 2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진부는, 상기 제 1, 제 2 저항 사이의 노드에 연결되는 발진 트랜지스터;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연결되는 제 3 저항;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저항 사이의 노드와, 상기 발진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 연결되는 제 1, 제 2 콘덴서; 상기 제 2 콘덴서와 제 3 저항에 연결되는 제 3 콘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을 정류, 평활 및 발진시켜 유도 충전 전압을 발생시키는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 상기 유도 충전 전압 발생부로부터 유도된 전압을 정류 및 평활시켜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상태 표시부; 상기 충전부의 충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구동부; 상기 충전부에 전압이 충전될 때, 상기 모터 구동부를 초기화시켜 상기 모터 구동부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모터 구동 초기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충전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승압하는 승압부; 상기 승압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제 3 스위칭부; 상기 제 3 스위칭부의 스위칭에 따라 모터의 구동을 스위칭하는 제 4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부는, 상기 충전부에 병렬로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에 연결되는 스텝-업 집적회로(STEP-UP IC); 상기 스텝-업 집적회로에 병렬로 연결되고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다이오드; 상기 다이오드와 스텝-업 집적회로의 일단에 연결되는 평활용 콘덴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스위칭부는,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 상기 택트 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는 평활용 콘덴서; 상기 택트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제 4 스위칭부를 스위칭하는 온-오프용 집적회로(I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스위칭부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KR1020060104001A 2006-10-25 2006-10-25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 KR100835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001A KR100835504B1 (ko) 2006-10-25 2006-10-25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001A KR100835504B1 (ko) 2006-10-25 2006-10-25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226A KR20080037226A (ko) 2008-04-30
KR100835504B1 true KR100835504B1 (ko) 2008-06-04

Family

ID=39575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001A KR100835504B1 (ko) 2006-10-25 2006-10-25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5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398U (ko) * 1996-07-29 1998-04-30 임장오 충전식 전동칫솔의 프리볼트 무선충전기 전자회로
KR20050011249A (ko) * 2003-07-22 2005-01-29 인터피온반도체주식회사 충전기와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398U (ko) * 1996-07-29 1998-04-30 임장오 충전식 전동칫솔의 프리볼트 무선충전기 전자회로
KR20050011249A (ko) * 2003-07-22 2005-01-29 인터피온반도체주식회사 충전기와 거치대로 이루어지는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226A (ko) 200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6675B2 (ja) 小型電気機器
JP4618468B2 (ja) 電源装置
US10116172B2 (en) Charging device and hand-held device for a small mobile electrical device
WO2014114069A1 (zh) 电容储能式可充电电池及其充电装置
CN104094512B (zh) 功率供应设备
JP5919506B2 (ja) 充電式電気機器
CN107005142A (zh) 多功能端子
JP4556863B2 (ja) 2線式電子スイッチ
JPH11341837A (ja) 圧電型電源装置
JP4650135B2 (ja) 電気機器システム
JPH0731064A (ja) 非接触形充電器
EP2808975B1 (en)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device
JP5913515B2 (ja) 誘導エネルギー伝達用回路機構
CN116208014B (zh) 一种谐振式微型逆变电路
KR100835504B1 (ko) 모터 구동용 충전 시스템
CN207975006U (zh) 驱动电路
JP2013236506A (ja) 電源回路
JP3247199B2 (ja) 充電装置
US10845858B2 (en) Power supply device with an electronic circuit brea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07148473A1 (ja) 自励式発振回路
CN206788299U (zh) 电缆检测装置
US6465985B2 (en) Arrangement including means for displaying a charging state
JP3306676B2 (ja) 小型電気機器
KR101177556B1 (ko) 전원장치의 기동회로
KR20090003657A (ko) 램프 안정기 회로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