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311B1 - 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5311B1
KR100835311B1 KR1020060138615A KR20060138615A KR100835311B1 KR 100835311 B1 KR100835311 B1 KR 100835311B1 KR 1020060138615 A KR1020060138615 A KR 1020060138615A KR 20060138615 A KR20060138615 A KR 20060138615A KR 100835311 B1 KR100835311 B1 KR 100835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water supply
disposed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8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potable water dispenser, e.g. for use in homes or off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저수부 하류에 설치되는 출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저수부 상부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물통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서 장치가 컴팩트해져서 소형화될 수 있으며 별도의 펌프 없이도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형, 정수기

Description

물공급장치{Water feeder}
도 1은 종래의 정수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 개략도.
도 4는 살균케이스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하우징 210 : 급수부
211 : 안착부 212 : 도어
310 : 저수부 311 : 물통
320 : 온도센서
340 : 열전소자 350 : 방열판
360 : 송풍팬 370 : 살균케이스
373 : 살균볼 372 : 관통공
374 : 나사산 375 : 마개
380 : 피씨비 390 : 조작 및 표시부
400 : 출수밸브 401 : 출수콕
410 : 스위치 420 : 레버
430 : 전등
500 : 유브이램프 510 : 반사갓
600 : 급수용기 700 : 물받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73831호
본 발명은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저수부 하류에 설치되는 출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저수부 상부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물통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서 장치가 컴팩트해져서 소형화될 수 있으며 별도의 펌프 없이도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수기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73831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긴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고 바닥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하우징(102)과, 상기 하우징(102)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여과장치를 거쳐 정화된 물이 각각 저장되는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냉/온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각각 냉각하고 가열하는 냉각장치 및 히터(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하우징(102)의 전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냉/온수탱크와 급수관에 의해 각각 연결된 1쌍의 콕(104)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08은 물받이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콕(104)은 상측에 물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급수관이 연결되고 하단에 배수구가 형성된 콕 본체와, 상기 콕 본체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 시 상기 배수구를 폐쇄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콕 본체의 외측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 시 상기 개폐밸브가 상승되어 상기 배수구가 개방되도록 개폐밸브와 연동된 조작레버와, 상기 콕 본체와 개폐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이 해제되면 상기 배수구가 폐쇄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하강시키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레버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작레버와 연동된 개폐밸브가 상승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은 압축되고, 상기 배수구는 개방되어 물이 나오게 된다. 물론 조작레버의 조작을 해제하면, 상기 압축된 스프링은 원상태로 복원되고, 이 복원력으로 개폐밸브가 하강되어 상기 배수구는 폐쇄된다.
물을 출수시키기 위해 별도의 펌프가 구비되어야 하며, 별도의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를 구비하여 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저수부 하류에 설치되는 출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저수부 상부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물통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서 장치가 컴팩트해져서 소형화될 수 있으며 별도의 펌프 없이도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는,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저수부 하류에 설치되는 출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저수부 상부에는 끼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치가 컴팩트해져서 소형화될 수 있으며 별도의 펌프 없이도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통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풍구에 송풍팬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과 상기 열전소자 사이에 방열판이 배치되어,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여 피씨비와 같은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부 개략도이고, 도 4는 살균케이스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는, 급수 부(210)가 형성된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본체와, 상기 물공급장치 본체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급수부(210)로 제공하는 출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200)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급수부(210)가 형성된다.
급수부(210)는 전방이 개방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급수부(210)에는 하부에 안착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출수부 하부에 배치되는 안착부(211)가 형성된다.
안착부(211) 내부에는 컵 또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물받이(700)가 배치된다.
안착부(211) 전방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컵 또는 물받이(7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0)에는 급수부(210)를 개폐하는 도어(212)가 구비되어 있다.
도어(212)는 안착부(211)의 걸림턱 상부에 배치되어, 급수부(210)를 열고 닫는다.
도어(212)는 하우징(200)에 여닫이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 전면 상부에는 조작 및 표시부(390)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및 표시부(390)는 버튼 등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물공급장치를 조작하거나, 램프나 화면으로 물공급장치의 상태를 표시해준다.
하우징(200) 하부 바닥면에는 인쇄회로기판인 피씨비(380)가 배치되어 설치된다.
하우징(200) 상부에는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은 물통(311)의 입구측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부로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홈이 형성되어 물통(31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200) 후방에는 통풍구가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물공급장치 본체는 하우징(200) 내부의 공간부에 배치되어 물을 공급한다.
상기 물공급장치 본체는 크게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물통(311)과, 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되는 저수부(310)와, 저수부(310)에 설치되는 열전소자(340)를 포함한다.
물통(311)은 PET병과 같이 병형상으로 구비되며, 물통(311) 입구측이 상기 안착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물통(311)의 뒤집어져서 하우징(200) 상부에 배치된다.
저수부(31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물통(311)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공에 물통(311)의 입구가 끼워지게 되어 저수부(310)와 물통(311)은 연통되게 된다.
또한, 저수부(310) 상부에는 물살균수단이 끼워지는 제2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끼움공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끼움공은 상기 끼움공 후방에 배치된다.
저수부(310)에는 물이 임시적으로 저장되어 물을 가열시키거나, 냉각시킨다.
이와 같이, 물통(311)이 배치되어 자유 낙하에 의해 상기 출수부를 열고 닫으면 펌프와 같은 별도의 구성 없이도 물은 저수부(310)를 통통과하여 물이 사용자에게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장치가 컴팩트해져서 소형화되어 탁상 등에 올려놓고 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에 물통(311)을 끼워넣어 사용자가 물통(311)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통(311)이 별도로 구비되어 수도관에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를 이동시키기에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열전소자(340)는 저수부(310) 후방 외벽에 설치되어 있다.
열전소자(340)는 전극을 제어하여 저수부(310)의 물을 냉각시키는 동시에 가열시킬 수 있게 되어 냉각장치와 가열장치의 기능을 병행한다.
이와 같이 열전소자(340)가 구비되어 물을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킬 수 있으며, 장치를 컴팩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저수부(310)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저수부(310)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송풍팬(360)은 상기 통풍구를 통해 공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통풍구에 근접하도록 하우징(200) 내벽에 설치된다.
방열판(340)은 송풍팬(360)과 열전소자(340) 사이에 이 배치되도록 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된다.
이로써, 열전소자(340)로 인해 하우징(200) 내부에 열이 발생하게 되면, 열전소자(340) 후방에 접하고 있는 방열판(340)을 통해 열은 이동되고, 방열판(340) 후방에 있는 송풍팬(360)을 통해 열은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방열판(340) 및 송풍팬(360)을 구비하여 하우징(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여 피씨비(380)와 같은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열전소자(340) 및 방열판(370)은 한국등록실용 제20-0096144호에 제시된 것이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이를 참고하기로 한다.
저수부(310)는 내벽에 저수부(310) 내부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20)가 구비되어 있다.
온도센서(320)는 저수부(310) 후방 측벽의 내벽 하부에 설치된다.
온도센서(320)는 제어부에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변온장치 등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러한 온도센서(320)는 한국공개특허 제10-1997-0032961호에 제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온도센서(320)는 설치될 수 있다.
물살균수단은 저수부(310) 내부에 배치되어, 저수부(310)의 물을 살균한다.
상기 물살균수단은 살균케이스(370)와 살균케이스(370) 내부에 배치되는 살 균볼(373)을 포함한다.
살균케이스(37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본체에는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도록 관통공(372)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374)이 형성된다.
관통공(372)는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본체는 메쉬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에는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도록 상단에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본체는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본체는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375)를 더 포함한다.
마개(375)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막혀있고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마개(375) 상면에는 상기 케이스본체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공구 등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거나, 돌기가 길게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마개(375) 상부 외주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가 상기 물살균수단을 저수부(310)에 체결할 때 걸림턱 역할을 하여 상기 물살균수단이 더 이상 깊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사산(374)은 상기 플랜지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마개(375)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나사산(374)이 형성되어 구성이 단순해지며 컴팩트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마개(375)가 구비되어 카트리지 방식으로 상기 물살균수단이 구비 됨으로써, 오랜 사용으로 살균재(살균볼)가 소멸되거나 교체시기가 되면 마개(375)를 통해 살균재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살균볼(373)은 구슬형상으로 형성되어 살균케이스(370)의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며, 세라믹분말과 은나노소자를 혼합하여 소성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살균볼(373)은 볼형상으로 형성되어 물과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며 살균볼(373)과 살균볼(37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접촉시간이 길어지며, 상기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살균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물살균수단은 하부가 저수부(31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는 상기 제2끼움공에 나사결합되어, 저수부(310)와 상기 물살균수단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저수부(310)에 상기 물살균수단을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출수부는 상기 물공급장치 본체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급수부(210)로 제공한다.
상기 출수부는 밸브(400)로 구비되어 저수부(310) 하류에 설치된다.
밸브(400)는 급수부(210)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된다.
밸브(400) 하류측에는 출수콕(401)이 연결되며, 출수콕(401)은 외부로 돌출되며 급수부(210)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살균수단은 급수부(210)를 살균하며, 급수부(210)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우징(200)에 설치된다.
상기 살균수단은 살균액을 분사하는 방식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 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살균수단이 유브이램프(500)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브이램프(500)로 구비되어 넓은 공간을 살균시킬 수 있다.
유브이램프(500)는 급수부(210)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전방과 후방에 두개가 구비된다.
두개의 유브이램프(500) 사이에 출수콕(401)이 배치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두개의 유브이램프(500) 상부에는 반사갓(510)이 유브이램프(5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반사갓(510)은 상면과 상기 상면에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상면은 유브이램프(500)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은 상기 유브이램프(500) 측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반사갓(510)이 구비되어, 유브이램프(500)의 빛이 넓은 공간에 고르게 퍼질 수 있으며, 자외선이 급수부(210)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유브이램프(5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자외선이 방출되어 급수부(210)를 살균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출수콕(401)도 살균되어 출수콕(401)을 통해 세균이 밸브(4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부(211)에는 물받이(700)가 배치되어 급수도중에 흘러내린 물이 장치 주위를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700)는 상부에 컵과 같은 급수용기(600)가 놓여질 수 있는 받침대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안착부(211)가 형성되어, 상기 살균수단이 출수되는 물이 튈 수 있는 급수부(210)에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는 동시에 안착부(211)에 안착되는 급수용기(600) 및 물받이(700)도 살균시킬 수 있다.
나아가, 반사갓(510) 내부에 배치되도록 각각의 유브이램프(500) 후방에는 전등(430)이 배치되어, 실내가 어두운 경우에도 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반사갓(510)을 통해 전등(430) 빛도 반사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급수부(210)를 밝게 할 수 있다.
스위치(410)는 급수부(210)에 설치되어 밸브(400)로 출수신호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스위치(410)가 구비되어, 급수용기(600)를 상기 급수부(210)에 놓으면서 스위치(410)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스위치(410)는 누름스위치로 구비되어 급수부(210)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410)는 급수부(210) 후방 측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410)가 배치되어, 급수용기(600)를 급수부(210)에 위치시킬 때 급수용기(600)와 스위치(410)가 자연스럽게 접촉되도록 하여 자동으로 출수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410)가 눌리면 지속적으로 눌린 상태라고 하더라도 정해진 양의 물만 출수시키도록 상기 출수부인 밸브(40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물공급장치가 있는 곳을 이탈하더라도 급수용기(600)의 물 이 넘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상기 제어부는 스위치(410)가 눌린 상태에서는 계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밸브(4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급수부(210) 상부에는 레버(42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급수용기(600)를 급수부(210)에 밀어넣으면 효과적으로 스위치(410)가 눌리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공급장치는, 사용자가 급수용기(600)를 급수부(210)에 밀어넣게 되면 레버(420)가 회동되면서 스위치(410)가 눌리게 되고, 스위치(410)는 밸브(400)를 작동시켜 저수부(310)의 물을 출수콕(401)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물공급장치는 정수기, 이온수기, 냉수기, 온수기 등의 통상의 물공급장치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저수부와, 상기 저수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저수부 하류에 설치되는 출수부를 포함 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저수부 상부에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물통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서 장치가 컴팩트해져서 소형화될 수 있으며 별도의 펌프 없이도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통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풍구에 송풍팬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과 상기 열전소자 사이에 방열판이 배치되어,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여 피씨비와 같은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저수부;
    상기 저수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
    상기 저수부 하류에 설치되는 출수부;
    상기 저수부 내부에 배치되는 물살균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저수부와 상기 물살균수단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통풍구가 형성되며,
    상기 통풍구에 송풍팬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과 상기 열전소자 사이에 방열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공급장치.
KR1020060138615A 2006-12-29 2006-12-29 물공급장치 KR100835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615A KR100835311B1 (ko) 2006-12-29 2006-12-29 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615A KR100835311B1 (ko) 2006-12-29 2006-12-29 물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311B1 true KR100835311B1 (ko) 2008-06-09

Family

ID=3977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615A KR100835311B1 (ko) 2006-12-29 2006-12-29 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160A (ko) * 2011-08-29 2014-06-23 칼도몬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액체 저장 용기로부터의 액체 분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847A (ko) * 1999-06-30 1999-09-06 김기호 정수기
KR200329977Y1 (ko) * 2003-07-11 2003-10-17 정애숙 자외선 살균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847A (ko) * 1999-06-30 1999-09-06 김기호 정수기
KR200329977Y1 (ko) * 2003-07-11 2003-10-17 정애숙 자외선 살균 정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160A (ko) * 2011-08-29 2014-06-23 칼도몬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액체 저장 용기로부터의 액체 분배 장치
KR102016187B1 (ko) * 2011-08-29 2019-10-21 칼도몬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액체 저장 용기로부터의 액체 분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1176B2 (en) Water purifier
US97649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ably treating water in a water cooler
KR101116042B1 (ko) 초음파 가습원리를 이용한 과산화수소 의료용 소독장치
TW201516354A (zh) 飲料水供給裝置
WO2017221719A1 (ja) 飲料水サーバー
WO2022193987A1 (zh) 上水器
KR100835311B1 (ko) 물공급장치
KR102204586B1 (ko)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
GB0301296D0 (en) Water treatment
KR100835310B1 (ko) 물공급장치
KR100784267B1 (ko) 물공급장치
JP2014061946A (ja) 飲料水供給装置、当該飲料水供給装置に用いる供給部材および吸気装置
KR101648613B1 (ko) 정수기
KR101046185B1 (ko) 냉장고용 살균 정수장치
KR100780816B1 (ko) 살균케이스 및 저수부 어셈블리
KR20080062614A (ko) 물공급장치
US20220268461A1 (en) Floating ultrasonic humidifier capable of generating ultraviolet rays
KR102123683B1 (ko) 출수모듈
KR20060096588A (ko) 급수시 살균등이 주사토록 되는 냉온수기의 급수전
TW201811680A (zh) 殺菌裝置
EP1270500B1 (en) Unit for dispensing liquid food products
GB2389409A (en) Dual temperature water dispensing device
KR102391178B1 (ko) 코크살균수단과 급수제어수단이 마련된 음수대
KR102129072B1 (ko) 출수모듈
KR20180028777A (ko) 음용수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