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544B1 -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544B1
KR100834544B1 KR1020070031095A KR20070031095A KR100834544B1 KR 100834544 B1 KR100834544 B1 KR 100834544B1 KR 1020070031095 A KR1020070031095 A KR 1020070031095A KR 20070031095 A KR20070031095 A KR 20070031095A KR 100834544 B1 KR100834544 B1 KR 100834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calling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시 위치 정보 수신 기능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상호 전송하여 서로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입력되는 통화 요청 과정과, 상기 통화 요청의 입력으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가 각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호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 과정과, 통화 종료 시 전송받은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착발신 이력을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 시 자동으로 사용자와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이 후에 사용자와 상대방의 모든 통화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더하여, 통화 시마다 자동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므로, 갑작스런 사고 등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나 상대방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착발신 이력, GPS, 통화 장소, 통화 내역

Description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s for saving call position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발신 이력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 시 위치 정보 수신 기능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호 전송하여 통화 정보와 함께 서로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 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란, 개인 이동 통신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은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을 비롯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한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카메라 및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한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으며, 이미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통화를 하였을 경우에 통화 소요시간 및 통화한 번호, 날짜와 시간에 관한 착발신 이력(이하, 통화 정보)을 자동으로 저장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저장된 통화 정보를 통해 자신이 누구와 통화를 하였는지, 언제 얼마나 통화를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손쉽게 알아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통화 정보에 해당 통화를 수행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함께 포함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통화 정보를 통해 사용자 및 사용자와 통화한 상대방의 통화 장소를 알 수 없다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통화 시 자동으로 사용자와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은 발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입력되는 통화 요청 과정과, 상기 통화 요청의 입력으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가 각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호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 과정과, 통화 종료 시, 전송받은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착발신 이력을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시스템은 통화 요청이 입력되면, 발신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발신자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발신 단말기와, 상기 발신자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수신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수신자 위치 정보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신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호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 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위치 정보는 후술되는 위치 정보 수신부로부터 생성되는 데이터로,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GPS 좌표 정보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통화 위치 정보 저장 시스템(10)은 발신 단말기(100a)와 수신 단말기(100b), 및 이동통신 망(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망(50)은 발신 단말기(100a)와 수신 단말기(100b)가 상호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도록 신호를 중계하는 모든 통신 망을 지칭한다. 이동통신 망(50)에는 일반적으로 기지국, 교환국 등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지만, 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의 중계만을 담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발신 단말기(100a)와 수신 단말기(100b)는 이동통신 망(50)을 통하여 상호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00a, 100b)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신 단말기(100a)와 수신 단말기(100b)는 모두 위치 정보 수신부(180a, 18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 수신부(180a, 180b)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a, 100b)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시스템(10)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GPS 수신기가 GPS 신호를 전송하는 GPS 위성이 포함된다.
한편,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 단말기(100a)와 수신 단말기(100b)가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도 2의 100)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발신 단말기(100a)와 수신 단말기(100b) 모두 도 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도 2의 100)의 참조 번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키 입력부(160), 표시부(150), 저장부(170), 위치 정보 수신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고, 제어부(19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140)는 통화 시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제어부(19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9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도시되지 않음) 및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 키(도시되지 않음)들을 구비한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9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50)의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0)에는 사용자의 통화 내역이 저장되는 통화 정보 데이터베이스(이하, 통화 정보 DB; 172)와, 지역 정보 데이터베이스(이하, 지역 정보 DB; 174)가 저장된다.
통화 정보 DB(172)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한 후, 수행된 통화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로, 발신자 번호, 발신자 이름, 착신 또는 발신 내역, 통화 시작 시간 또는 통화 종료 시간, 전체 통화 시간,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수신자의 위치 정보와 발신자의 위치 정보가 더 포함되어 저장된다.
지역 정보 DB(174)는 좌표 정보에 대응되는 지역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지역 정보 DB(174)는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좌표 정보들이 입력되어 있는 좌표 정보 필드와, 좌표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정보(예컨대, 서울 강남구 역삼동 등)들이 입력되어 있는 지역 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전술하였듯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 정보는 위치 정보 수신부(180)의 GPS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좌표 정보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좌표 정보만으로는 사용자가 해당 지역을 쉽게 인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좌표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지역 정보 DB(174)를 이용하여 지역 정보로 표시한다.
위치 정보 수신부(180)는 GPS 수신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좌표 정보를 획득한다. 위치 정보 수신부(180)는 GPS 위성으로부터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GPS 좌표 신호를 수신하여 후술되는 제어부(190)의 위치 정보 처리부(192)에게 전송한다.
제어부(19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는 통화 시 위치 정보를 획득 및 전송하 기 위한 위치 정보 처리부(192)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 처리부(192)는 통화 요청의 입력에 따라 후술되는 위치 정보 수신부(180)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통화 제어 신호(통화 요청 신호, 통화 수락 신호, 통화 종료 확인 신호 등)에 포함시킨다. 또한, 위치 정보 처리부(192)는 수신되는 통화 제어 신호로부터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 단말기(100a)의 사용자가 수신 단말기(100b)로 통화를 요청하기 위해 키 입력부(160)를 조작한다. 이에 S10 과정에서 제어부(190)가 통화 요청이 입력된 것을 인지한다. 그리고 S11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위치 정보 수신부(180)를 구동한다.
구동된 위치 정보 수신부(180)의 GPS 수신기는 GPS 위성들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S12 과정에서 현재 발신 단말기(100a)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위치 정보 처리부(192)로 전송한다.
좌표 정보를 획득하면, 위치 정보 처리부(192)는 획득한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통화 요청 신호에서 예비 영역(reserved field)를 이용하여 획득한 좌표 정보를 포함시킨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의 통화 요청 신호에 위치 정보 필드를 더 추가하여 구성하고, 상기 위치 정보 필드에 획득한 좌표 정보를 포함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지국 등의 이동통신 망(50)은 위치 정보 필드가 추가된 통화 요청 신호를 중계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좌표 정보(또는 위치 정보)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통화 요청 신호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통화 수락 신호 및 통화 완료 확인 신호의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좌표 정보는 상기한 통화 요청 신호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해당 신호에 포함된다.
다음으로, S13 과정에서 위치 정보 처리부(192)는 생성된 통화 요청 신호를 이동통신 망(50)으로 전송한다.
통화 요청 신호가 이동통신 망(50)을 거쳐 수신 단말기(100b)에 수신되면, S14 과정에서 수신 단말기(100b)의 위치 정보 처리부(192)는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로부터 발신 단말기(100a)의 좌표 정보(이하, 발신자 위치 정보)를 추출해낸다. 그리고 추출한 발신자 위치 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에 따르면, 통화 요청 신호를 이용하여 발신자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수신 단말기(100b)의 사용자가 발신 단말기(100a)의 사용자와 통화할 수 없더라도, 수신 단말기(100b)는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것만으로 발신자 위치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은 수신 단말기(100b)의 사용자가 부재 중이더라도 발신자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발신자가 어디에서 통화를 요청했는지 쉽게 알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계속해서, S15 과정에서 수신 단말기(100b)의 위치 정보 처리부(192)는 위치 정보 수신부(180)를 구동한다. 이에 S16 과정에서 수신 단말기(100b)의 위치 정보 수신부(180)는 전술된 발신 단말기(100a)의 위치 정보 수신부(180)과 동일한 과정(S12 과정)을 수행하며 수신 단말기(100b)의 현재 좌표 정보(이하, 수신자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수신자 위치 정보를 획득한 수신 단말기(100b)의 위치 정보 처리부(192)는 획득한 수신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통화 수락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S17 과정에서, 생성된 통화 수락 신호를 이동통신 망(50)을 통해 발신 단말기(100a)로 전송한다.
수신 단말기(100b)로부터 전송된 통화 수락 신호를 발신 단말기(100a)가 수신하면, S18 과정에서 발신 단말기(100a)의 위치 정보 처리부(192)는 수신된 통화 수락 신호로부터 수신자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한 수신자 위치 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발신 단말기(100a)와 수신 단말기(100b)가 통화 요청 신호 및 통화 수락 신호를 상호 전송하게 되면, 발신 단말기(100a)와 수신 단말기(100b)는 서로 호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을 통화할 수 있게 된다. 이 러한 호 형성 과정 및 통화 수행 과정에 대한 기술들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발신 단말기(100a)와 수신 단말기(100b)의 사용자들 간에 통화가 진행되는 중 사용자의 키 입력을 통해 통화 종료 요청이 입력되는 S20 과정이 진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 단말기(100a)에서 통화 종료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신 단말기(100b)에서도 통화 종료 요청이 입력될 수도 있다.
통화 종료 요청이 입력되면, S21 과정에서 발신 단말기(100a)의 제어부(190)는 통화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 단말기(100b)로 전송한다. 이에 S22 과정에서 수신 단말기(100b)는 응답 신호인 통화 종료 확인 신호를 발신 단말기(100a)로 전송함으로써 상호 간의 통화가 종료된다(S23, S25).
통화가 종료되면, 발신 단말기(100a)와 수신 단말기(100b)는 모두 착발신 이력을 통화 정보 DB(174)에 저장한다(S24, S26). 즉, 발신 단말기(100a)와 수신 단말기(100b)의 제어부(190)는 발신자 번호, 발신자 이름, 착신 또는 발신 내역, 통화 시작 시간 또는 통화 종료 시간, 전체 통화 시간, 등의 통화 정보를 추출하여 통화 정보 DB(174)에 저장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190)는 수신자의 위치 정보와 발신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정보를 통화 정보 DB(174)에 저장한다.
이때, 발신 단말기(100a)의 경우, S12 과정에서 획득한 발신자 위치 정보와, S18 과정에서 획득한 수신자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 그리고 수신 단말기(100b) 의 경우, S14 과정에서 획득한 발신자 위치 정보와, S16 과정에서 획득한 수신자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 또한, S24, S26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각 위치 정보들에 대응하는 지역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지역 정보 DB(174)를 이용한다. 즉, 제어부(190)는 지역 정보 DB(174)를 이용하여 각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지역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통화 정보 DB(174)에 저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통화 정보 DB(174)에 모든 통화 정보들이 저장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착발신 이력을 통해 통화 시 자신과 상대방의 통화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발신 이력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화면은 다수개의 착발신 이력이 목록으로 표시되는 상태에서 특정한 하나의 항목을 선택한 상태를 도시한 화면으로, 수신자의 정보(예컨대, 홍길동, 010??0001??0000)와 통화 시간(예컨대, 00시간 02분 14초), 및 통화 종료 시간(예컨대 2007??03??27 PM 1:32:27)가 표시되고, 이에 더하여 상대방의 통화 위치(예컨대, 서울 강남구 역삼동)과, 사용자의 통화 위치(예컨대 서울 중랑구 중화동)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발신 단말기(100a)와 수신 단말기(100b) 사이에 통화 호가 형성되기 이전에 상호 간에 위치 정보를 주고 받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화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상호간에 위치 정보를 주고 받는 방법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을 개략적 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한 흐름으로 진행되며, 수신 단말기(100b)가 수신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전송하는 과정에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S50 내지 S54 과정은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수행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S54 과정에서 발신자 위치 정보를 임시 저장한 위치 정보 처리부(192)는, S55 과정에서 통화 수락 신호를 발신 단말기(100a)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S56 과정에서 발신 단말기(100a)와 수신 단말기(100b) 간에 호가 형성되어 통화가 수행된다.
통화 수행 과정에서 발신 단말기(100a)에 통화 종료 요청이 입력되면(S57), S58 과정에서 발신 단말기(100a)의 제어부(190)는 이로부터 통화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 단말기(100b)로 전송한다.
통화 종료 요청 신호를 수신한 수신 단말기(100b)는 위치 정보 수신부(180)를 구동한다(S59). 그리고, S60 과정에서 위치 정보 수신부(180)를 통해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이어서 S61 과정에서, 수신 단말기(100b)의 위치 정보 처리부(192)는 획득한 수신자 위치 정보를 통화 종료 확인 신호에 포함시킨 후, 통화 종료 확인 신호를 발신 단말기(100a)로 전송한다.
통화 종료 확인 신호를 수신한 발신 단말기(100a)는 S62 과정에서 통화 종료 확인 신호로부터 수신자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이하의 과정은 전술된 실시예의 S24 내지 S26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은 통화 시 자동으로 사용자와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이 후에 사용자가 상대방과 어느 위치에서 서로 통화하였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통화 시마다 자동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므로, 갑작스런 사고 등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나 상대방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한번만 획득하여 상호 전송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신 단말기나 수신 단말기가 이동하면서 통화를 수행한 경우, 통화 수행 전의 위치와 통화 수행 후의 위치는 다르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변경된 정보를 모두 이용하기 위해 통화 수행 전에 각각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호 전송하고, 통화가 수행 완료된 후, 다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호 전송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은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들에서는 착발신 이력이 저장되는 통화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인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해당 상대방의 위치 정보들을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서는 GPS 수신기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 외에도 기지국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등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들이 이용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외에도 통화가 가능하고,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전자 기기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은 통화 시 자동으로 사용자와 상대방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이 후에 사용자와 상대방의 모든 통화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더하여, 통화 시마다 자동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므로, 갑작스런 사고 등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나 상대방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발신 단말기로부터 통화 요청이 입력되는 통화 요청 과정과,
    상기 통화 요청의 입력으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가 각각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상호 전송하는 위치 정보 전송 과정, 및
    통화 종료 시, 전송받은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착발신 이력을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발신 단말기가 통화 요청 신호에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수신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발신 이력은,
    상기 위치 정보 전송 과정에서 각각 획득한 상기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발신 위치 획득 과정과,
    통화 요청 신호에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화 요청 신호 전송 과정과,
    수신된 상기 통화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수신 위치 획득 과정, 및
    통화 수락 신호에 상기 수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발신 단 말기로 전송하는 통화 수락 신호 전송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전송 과정이 수행된 후,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 간에 통화가 수행되는 통화 수행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전송 과정은,
    상기 발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발신 위치 획득 과정과,
    통화 요청 신호에 상기 발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화 요청 신호 전송 과정과,
    상기 수신 단말기에서 수신된 상기 통화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통화 수락 신호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화 수락 신호 전송 과정과,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 간에 통화가 수행되는 통화 수행 과정과,
    통화 종료 요청 입력 시, 상기 수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수신 위치 획득 과정, 및
    통화 종료 신호에 상기 수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화 종료 신호 전송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6. 사용자로부터 통화 요청이 입력되면, 발신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발신자 위치 정보가 포함된 통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발신 단말기와,
    상기 통화 요청 신호로부터 상기 발신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며, 수신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통화 수락 신호 또는 통화 종료 완료 신호에 상기 수신자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발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수신 단말기, 및
    상기 발신 단말기와 상기 수신 단말기가 상호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위치 정보 저장 시스템.
KR1020070031095A 2007-03-29 2007-03-29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 KR100834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095A KR100834544B1 (ko) 2007-03-29 2007-03-29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095A KR100834544B1 (ko) 2007-03-29 2007-03-29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4544B1 true KR100834544B1 (ko) 2008-06-02

Family

ID=3976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095A KR100834544B1 (ko) 2007-03-29 2007-03-29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5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679A (ko) 2012-09-07 2014-03-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기반 통신 이력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2819A (ko) 2015-03-20 2016-09-28 신명진 복수 사용자의 위치기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799A (ko) * 2003-10-31 200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 내역 정보 이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799A (ko) * 2003-10-31 200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 내역 정보 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2679A (ko) 2012-09-07 2014-03-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기반 통신 이력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2819A (ko) 2015-03-20 2016-09-28 신명진 복수 사용자의 위치기반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28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응급전화 통화방법
CN101558680B (zh) 车载免提设备和数据传输方法
US7643619B2 (en) Method for offering TTY/TDD service in a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EP32005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EP1865699A1 (en) Portable telephone and forwarding program
TW201325197A (zh) 裝置間切換通話之方法
CN101883317A (zh) 移动终端及用户位置通知方法
JP2011135219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8182612A (ja) 携帯端末
KR10077824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 통화 채널을 통해 위치 정보를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34544B1 (ko) 통화 위치 정보 저장 방법 및 시스템
CN101106415A (zh) 确定移动用户方位的系统及其方法
US8457650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37558B1 (ko) 선호도를 이용한 수신알림 레벨 제어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3880583B2 (ja) 通信端末への時刻設定表示システム
JP4325305B2 (ja) 移動体通信端末装置、緊急メッセージ通知方法および緊急メッセージ通知プログラム
JP2002290534A (ja) 掛け直し案内機能付き電話端末装置およびその案内方法、ならびに基地局サーバ
JP2011135220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70018188A (ko) 위치정보통보기능을 갖춘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200391901Y1 (ko)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에 이용되는 이어셋
JP2001285448A (ja) 移動無線電話機および電話機
KR100715464B1 (ko)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
JP3959227B2 (ja) 位置情報送信システム
JP2006246201A (ja) 無線端末、管理サーバおよびpttシステム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