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3547B1 -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 Google Patents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547B1
KR100833547B1 KR1020060020426A KR20060020426A KR100833547B1 KR 100833547 B1 KR100833547 B1 KR 100833547B1 KR 1020060020426 A KR1020060020426 A KR 1020060020426A KR 20060020426 A KR20060020426 A KR 20060020426A KR 100833547 B1 KR100833547 B1 KR 100833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flowering
compound
delaying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565A (ko
Inventor
남홍길
김준영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to KR102006002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547B1/ko
Publication of KR2007009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0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식물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15497084-pat00001
상기에서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 직쇄 또는 분쇄 알케닐기, 직쇄 또는 분쇄 알키닐기, 시클로 알킬기, 시클로 알케닐기, 아릴기, 알카릴기 또는 아랄킬기이며, R4는 할로겐 화합물이다.
식물체, 개화, 지연, 화합물

Description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체{Method for Delaying Flowering of Plant and the Plant Obtained Thereby}
도 1은 화합물 FL1이 처리된 애기장대가 야생형(Col-O) 애기장대 및 대조군(DMSO 처리군) 애기장대에 비하여 개화가 지연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애기장대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화합물 FL1의 화학식이다.
본 발명은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체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개화는 식물 발달에 있어 영양 단계에서 생식 단계로 전환을 판단하는 지표로써, 식물 발달 단계에 있어 급격한 전환점이라 할 수 있다. 개화가 진행됨에 따라 식물은 광합성 산물과 노화가 시작되면서 분해되는 영양분들을 개화에 모두 사용을 함으로써 개화를 유발하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다음 세대로의 자신의 유전자를 전달해 줄 자손인 씨앗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식물의 개화는 일련의 연속된 생화학적 및 생리학적 현상으로 유전적으로 계획되어 있어 세포, 조직 및 기관의 수준에서 매우 정교하고, 능동적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식물의 개화는 식물체가 퇴화하는 과정인 동시에 생장기관의 양분을 생식기관으로 이동시키는 등 진화과정 동안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획득한 유전형질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한편, 식물의 개화 시기는 경작(耕作) 식물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것은 개화 시기를 조절함으로써 수확 시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개화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면 원하는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생명공학 종사자들이 식물의 개화 조절에 관하여는 유전자나 호르몬 기타 화학물질을 찾아내고자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편, 생명체의 돌연변이 유도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생명체에 화학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생명체에 X-선 또는 감마선을 조사하는 방법이며, 세 번째는 특정 유전자를 활성화 또는 불활성화시키는 벡터를 생명체로 도입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첫 번째 방법을 이용하여 식물의 개화가 지연된 돌연변이 식물체를 제작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체를 제공하는 데 있 다.
본 발명의 여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는 미국 캠브리지사, 한국화합물은행 등으로부터 다양한 화합물을 제공받아 그 각각의 화합물을 식물체에 처리한 경우에, 특정 화합물에서 야생형 식물체 등에 비하여 개화가 지연된 식물체가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참조).
상기 화합물에 대해서 이를 제공받았던 한국화합물은행에 의뢰하여 NMR 분석을 한 결과, 그 화합물은 그 IUPAC 명칭이 1-[1-tert -부틸-2-(4-클로로-페닐)-비닐]-1H-이미다졸(1-[1-tert-butyl-2-(4-chloro-phenyl)-vinyl]-1H-imidazole)인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로 나타났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15497084-pat00002
본 발명자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기본 골격을 유지하며,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메틸기 및/또는 염소기를 치환·변형시키고 그 변형된 화합물을 식물체에 처리한 경우 그 변형된 화합물이 처리된 식물체도 야생형 식물체 등에 비하여 개화가 지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상기 변형된 화합물을 총괄적으로 표현하면,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15497084-pat00003
상기에서 R1,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 직쇄 또는 분쇄 알케닐기, 직쇄 또는 분쇄 알키닐기, 시클로 알킬기, 시클로 알케닐기, 아릴기, 알카릴기 또는 아랄킬기이며, R4는 할로겐 화합물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은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식물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그리고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이하에서, 상기 "식물체"란 경작 식물을 포함하여 그 개화가 지연됨으로써 인간에게 유용한 결과를 줄 수 있는 모든 식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구체적으로는 벼, 밀, 보리, 옥수수, 콩, 감자, 밀, 팥, 귀리, 수수, 배추, 무, 고추, 딸기, 토마토, 수박, 오이, 양배추, 참외, 호박, 파, 양파, 당근, 인삼, 참깨, 사탕수수, 사탕무우, 들깨, 땅콩, 유채, 사과나무, 배나무, 대추나무, 복숭아, 양다래, 포도, 감귤, 감, 자두, 살구, 바나나 등이 상기 식물체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상기 "식물체"는 성숙한 식물뿐만 아니라 성숙한 식물로 발육할 있는 식물 세포, 식물 조직, 식물의 종자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활성물질인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식물체에 접촉시킨다는 것은 그 화합물을 성숙한 식물체에 접촉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성숙한 식물체로 발육할 수 있는 식물 세포, 식물 조직, 식물 종자 등에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에서 그리고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이하에서, 상기 "접촉"의 의미는 식물체에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살포함에 의한 직접적인 접촉뿐만 아니라 식물체가 자라고 있는 토양 등에 살포함에 의한 간접적인 접촉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토양 등에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비료와 함께 살포하거나 비료에 포함시켜 살포하는 행위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활성물질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에서 R1, R2 및 R3가 각각 독립적으로 H, C1-C9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 C2-C9 직쇄 또는 분쇄 알케닐기, C2-C9 직쇄 또는 분쇄 알키닐기이고, R4는 F, Cl, Br 또는 I인 화합물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9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이고, R4는 F, Cl 또는 Br인 화합물이고,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이고, R4는 Cl 또는 Br인 화합물이고,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 직쇄 알킬기이고, R4는 Cl인 화합물이고,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R1, R2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고, R4는 Cl인 화합물로 파악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R1, R2 및 R3가 모두 CH3이고 R4는 Cl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다.
한편,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몇 개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가능한 한 이성질체, 예컨대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Z- 및 E- 이성질체 모두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또한, 화학적으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경우에는 라세미체가 통상적으로 제조된다는 점에서. 라세미체도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한편,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기 위하여 활성물질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어느 정도의 양(또는 농도; 이하 같음)으로 식물체에 살포하여야 하는가는 그 개화를 지연시키고자 하는 식물체의 종류, 식물체가 자라는 토양의 환경,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고자 목적(예컨대, 수확 시기 조절의 목적 등)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기초하는 한, 당업자가 특정 식물체에 대해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어느 정도의 양으로 살포하여야 하는가의 결정은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에 속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살포량은 식물체의 종류를 불문하고 토지 1000m2당 0.1Kg 내지 30kg 범위가 될 것이다.
한편, 활성물질인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식물체에 접촉시킴에 있어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만을 식물체에 접촉시켜도 무방하지만, 적합한 담체를 추가로 접촉시키거나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과 혼합하여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식물체에 의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흡수나 그 화합물의 식물체의 접촉을 용이함으로써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적합한 담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의 본 발명의 식물체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에 대한 설명에서 구체화될 것이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개화가 지연된 식물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상기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이란 바람직한 양태를 포 함하여 전술한 바의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식물체"의 의미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식물체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체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은 이를 식물체에 접촉시킴으로써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에서도, "식물체", "식물체의 개화" 및 "접촉"의 의미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한 활성물질인 <화학식 2>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양태에 대해서도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식물 개화 지연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가장 바람직한 양태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식물체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이외에도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보다 높이기 위하여 적합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식물체에 의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흡수나 그 화합물의 식물체의 접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연산 또는 합성의 유기물질 또는 무기물질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고체(예들 들면, 점토, 자연산 또는 합성의 실리케이트, 실리카, 수지, 왁스 또는 고체 비료)일 수도 있고, 액체(예를 들면, 물, 알콜, 케톤, 석유 유분, 방향족 또는 파라핀족 탄화수소, 염소화 탄화수소, 또는 액화 가스)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체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은 보호성 콜로이드, 접착제, 증점제, 요변성제, 침투제, 안정화제, 동결방지제, 방수제, 부식억제제, 건조제, UV-안정화제, 안료, 염료, 침강방지제 등과 같은 임의의 성분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 형태는 고체, 분산성 분말, 습윤성 분말, 분산성 과립 또는 용해성 과립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형태 중 고체나 분산성 분말의 경우,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함량은 최대 100%에 달할 수 있다.
습윤성 분말(또는 분무용 분말) 및 분산성 과립 형태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95%의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약 0.1% 내지 약 5%의 습윤제, 약 3% 내지 약 10%의 분산제, 그리고 필요할 경우 안정화제, 안료, 염료, 침투제, 접착제 또는 침강방지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윤성 분말 또는 분산성 과립 형태의 조성물은 최종 사용시에는 액상 조성물로 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체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은 처음부터 액상 형태를 띨 수도 있는 데, 특히 수용성 농축물, 현탁 농축물 또는 페이스트(paste) 형태일 수 있다.
수용성 농축물은 통상 약 10% 내지 약 80%의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함할 것이다.
곧바로 사용할 수 있는 액상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 0.01% 내지 약 20%의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분무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현탁 농축물은 저장 기간 동안 점도가 높아지거나 침강물을 형성하지 않아야 바람직한데,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약 75%의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약 0.5% 내지 약 15%의 계면활성제, 요변성제, 안료, 염료, 부식억제제, 안정화제, 침투제, 접착제 등 0.1% 내지 약 10%의 첨가제, 침강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fll 변이체 선별을 위한 화합물의 수집
식물의 다양한 표현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화합물을 선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미국 chembridge사, 한국화합물은행, 및 제노마인(주)(경북 포항 소재)로부터 다양한 화합물을 제공받아 스크리닝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애기 장대( Arabidopsis thaliana )로부터 개화 지연 돌연변이체의 선발
애기장대를 이용하여 식물체의 표현형에 영향을 주는 화합물을 탐색하기 위하여, 먼저 B5 배지(Duchefa 사, 미국) 웰(well)에 3개 정도의 애기장대의 종자를 점파하고 23℃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배양실에서 5~7일간 식물체를 키운 후, clean bench에서 식물체에 상기 제공받은 각각의 화합물(농도는 약 500μM)(DMSO라는 유기 용매에 녹아 있음)을 약 5㎕씩 분주하여 1.5㎖ 정도의 배지가 들어 있는 웰의 화합물 농도가 약 1.6μM이 되도록 하였다.
화합물을 처리한 후에는 이틀 간격으로, 식물체 뿌리의 생장 패턴, 잎의 형태, 개화 시기, 절간(internode)의 길이 등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식물체의 모든 표현형을, 야생형 식물체(Col-O)의 표현형 및 대조군 식물체(DMSO; BLANK CONTROL)의 표현형과 대비·관찰하였다.
대조군 식물체는 상기 한국화합물은행 등에서 제공받은 화합물 대신에 DMSO를 처리한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를 말한다. DMSO를 처리한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를 대조군으로 하여 관찰한 이유는 상기 표현형의 변화가 상기 한국화합물은행 등에서 제공받은 화합물을 처리한 결과인지 아니면 그 화합물이 녹아 있는 유기 용매인 DMSO에 의한 결과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관찰 결과, 처리한 화합물 중 특정 화합물에 대해서 야생형 식물체 및 대조군 식물체에 비해서 개화 시기가 늦어지는 식물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표현형의 변화를 일으킨 화합물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여, 야생형 식물체 및 대조군 식물체의 개화가 이루어지는 시점과 상기 화합물을 처리한 식물체의 개화가 이루어지는 시점을 관찰함으로써, 개화가 어느 정도 지연되는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화합물을 처리한 식물체의 경우 야생형 식물체 및 대조군 식물체에 비해서 약 3주 정도 개화가 늦어짐을 확인하고, 야생형에 비해 개화 시기가 느린 변이체를 fl1이라 명명하고, 이러한 변이체를 유발한 화합물을 FL1이라 명명하였다.
<실시예 3> FL1 화합물 분석을 통한 구조 확인
전술한 바의 실험이 끝난 후 화합물 FL1을 제공받았던 한국화합물은행에 의뢰하여 NMR 분석을 통해서 그 화합물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도 2에서 보여지는 구조의 화합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일한 구조의 화합물(한국화합물은행 관리번호: CB0066-E06; SPECS & BioSPECS 사의 화합물 코드 번호: AM-814/41094727)을 다시 제공받아 <실시예 2>와 동일한 실험을 반복한 결과 fl1 변이체와 동일한 표현형이 재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개화가 지연된 식물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활성물질로 포함하는 식물체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도 제공된다.

Claims (21)

  1.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식물체에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애기장대, 배추, 무, 양배추 및 유채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화학식 2>
    Figure 712008000814225-pat00008
    상기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9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 C2-C9 직쇄 또는 분쇄 알케닐기, C2-C9 직쇄 또는 분쇄 알키닐기이고, 상기 R4는 F, Cl, Br 또는 I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는 성숙한 식물, 성숙한 식물로 발육할 수 있는 식물 세포, 성숙한 식물로 발육할 수 있는 식물 조직 및 식물의 종자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계는 식물체에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살포함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수행되거나 식물체가 자라고 있는 토양에 살포함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9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이고, 상기 R4는 F, Cl 또는 B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이고, R4는 Cl 또는 B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이고, R4는 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고, R4는 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및 R3는 모두 CH3이고, R4는 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계와 함께 또는 상기 접촉 단계 후에 담체를 추가로 식물체에 접촉시키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단계와 함께 또는 상기 접촉 단계 후에 보호성 콜로이드, 접착제, 증점제, 요변성제, 침투제, 안정화제, 동결방지제, 방수제, 부식 억제제, 건조제, UV-안정화제, 안료, 염료 및 침강방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식물체와 접촉시키는 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식물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체로서, 애기장대, 배추, 무, 양배추 및 유채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식물체.
  13.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포함하되, 애기장대, 배추, 무, 양배추 및 유채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식물체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712008000814225-pat00009
    상기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9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 C2-C9 직쇄 또는 분쇄 알케닐기, C2-C9 직쇄 또는 분쇄 알키닐기이고, 상기 R4는 F, Cl, Br 또는 I임.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9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이고, 상기 R4는 F, Cl 또는 B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이고, R4는 Cl 또는 B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1-C4 직쇄 또는 분쇄 알킬기이고, R4는 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고, R4는 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및 R3는 모두 CH3이고, R4는 C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식물체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보호성 콜로이드, 접착제, 증점제, 요변성제, 침투제, 안정화제, 동결방지제, 방수제, 부식 억제제, 건조제, UV-안정화제, 안료, 염료 및 침강방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식물의 개화 지연용 조성물.
KR1020060020426A 2006-03-03 2006-03-03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KR100833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426A KR100833547B1 (ko) 2006-03-03 2006-03-03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426A KR100833547B1 (ko) 2006-03-03 2006-03-03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565A KR20070090565A (ko) 2007-09-06
KR100833547B1 true KR100833547B1 (ko) 2008-05-29

Family

ID=38688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426A KR100833547B1 (ko) 2006-03-03 2006-03-03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6006A (ko) * 2016-11-17 2018-05-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벼의 개화 지연방법 및 벼 개화 지연 유도용 조성물
KR102586640B1 (ko) * 2021-08-11 2023-10-06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염화칼슘 및 알긴산 나트륨 처리를 통해 복숭아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035A (en) 1975-06-25 1978-01-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1-(2-Carboxyaryl)-3-aryl-1,2,4-triazoles and use as herbicides
US4565875A (en) 1984-06-27 1986-01-21 Fmc Corporation Imidazole plant growth regulators
KR19990008149A (ko) * 1995-04-28 1999-01-25 제닌 페트릭 식물 성장 조절을 위한 n-아릴피라졸 또는 n-헤테로아릴피라졸의 용도
JP2003335606A (ja) 2002-05-21 2003-11-25 Nippon Zeon Co Ltd 花卉類の開花遅延剤および開花遅延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9035A (en) 1975-06-25 1978-01-1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1-(2-Carboxyaryl)-3-aryl-1,2,4-triazoles and use as herbicides
US4565875A (en) 1984-06-27 1986-01-21 Fmc Corporation Imidazole plant growth regulators
KR19990008149A (ko) * 1995-04-28 1999-01-25 제닌 페트릭 식물 성장 조절을 위한 n-아릴피라졸 또는 n-헤테로아릴피라졸의 용도
JP2003335606A (ja) 2002-05-21 2003-11-25 Nippon Zeon Co Ltd 花卉類の開花遅延剤および開花遅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565A (ko)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ifford et al. Photosynthesis, carbon partitioning, and yield
Jorge et al. Endosymbiotic Methylobacterium oryzae mitigates the impact of limited water availability in lentil (Lens culinaris Medik.) by increasing plant cytokinin levels
Ferguson et al. Relationship between gibberellin, ethylene and nodulation in Pisum sativum
Chen et al. Potassium and sodium relations in salinised barley tissues as a basis of differential salt tolerance
Beheshti et al. Dry matter accumulation and remobilization in grain sorghum genotypes (Sorghum bicolor L. Moench) under drought stress
Gautam et al. Submergence tolerance in relation to application time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rice (Oryza sativa L.)
Alberio et al. Sunflower crop physiology and agronomy
WO2015092549A2 (en) Biologicals for plants
Kurepin et al. The roles and interactions of ethylene with gibberellins in the far-red enriched light-mediated growth of Solanum lycopersicum seedlings
Ashigh et al. Water and temperature stress impact fitness of acetohydroxyacid synthase–inhibiting herbicide-resistant populations of eastern black nightshade (Solanum ptychanthum)
Zabihi-e-Mahmoodabad et al. The study of effect salinity stress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five different genotypes of wheat
Sorrentino et al. Lettuce reaction to drought stress: Automated high-throughput phenotyping of plant growth and photosynthetic performance
KR100833547B1 (ko) 식물체의 개화를 지연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Anamayi et al. Effect of cow dung and NPK fertilizer at different level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composition of Moringa oleifera
Nasrudin et al. Growth and yield of Inpari 29 rice varieties on raised-bed and different depths of sunken-bed in saline field
KR100849651B1 (ko)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JP6976578B2 (ja) 植物気孔開口調節剤
KR100688431B1 (ko)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얻어진 식물체
KR101135133B1 (ko) 식물체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개화를 억제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
Kalima Physiological responses of common bean (Phaseolus vulgaris L.) genotypes to water stress
JPWO2020130145A1 (ja) 植物の耐熱性あるいは耐塩性向上剤
Miklič et al. Effect of biostimulators on seed quality, yield and oil content in sunflower
JP7197888B2 (ja) 植物気孔開口抑制剤
Das et al. Rice mutants with tolerance to multiple abiotic stresses show high constitutive abundance of stress-related transcripts and proteins
Lee et al. Isolation of gamma-induced rice mutants with increased tolerance to salt by anther cul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